KR20170002816U - 수납된 음료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음료 포장박스 - Google Patents

수납된 음료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음료 포장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816U
KR20170002816U KR2020160000532U KR20160000532U KR20170002816U KR 20170002816 U KR20170002816 U KR 20170002816U KR 2020160000532 U KR2020160000532 U KR 2020160000532U KR 20160000532 U KR20160000532 U KR 20160000532U KR 20170002816 U KR20170002816 U KR 2017000281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box
box body
beverages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5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5481Y1 (ko
Inventor
김기중
김철중
Original Assignee
(주) 다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다정 filed Critical (주) 다정
Priority to KR20201600005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481Y1/ko
Publication of KR201700028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8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4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4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28Elemen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02Bending or folding
    • B29C53/04Bending or folding of plates or sheets
    • B29C53/06Forming folding lines by pressing or sc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2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박스 내에 담겨진 내용물이 움직임 되지 않게 포장할 수 있는 음료 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 사각통 형상의 박스본체에 음료용기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수납되는 음료의 위치와 대응하게 측벽에 개구홀을 형성하고, 박스본체에 삽입된 음료의 수납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간격유지구는 음료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상판의 양측에 절첩되는 측판이 구비된 시트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그 측판에 의하여 상판이 유동되지 않게 박스본체 내면에 지지되도록 하고, 간격유지구의 상판에는 음료의 둘레를 고정하여 유동되지 않도록 유동방지홀을 형성하여 박스에 수납된 음료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음료가 담겨진 박스를 운반하거나 취급하는 중에 음료 간 충돌을 방지하여 제품손상 및 파손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납된 음료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음료 포장박스{Packing Box}
본 고안은 음료 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 박스 내에 내용물이 움직임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간격유지구를 삽입하여 운반과정에서 내용물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내용물 간 충돌을 방지하고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음료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물용으로 사용되는 음료는 별도의 포장박스에 여러 개의 음료가 담겨져 유통되는 것으로, 음료가 제조된 후 소비자에게 공급되기까지는 음료제조회사에서 음료를 출하한 후, 도매상이나 소매상 등의 유통단계를 거쳐서 공급되며 이 과정에서 포장박스에 담겨진 음료끼리 서로 부딪쳐 손상될 우려가 있다.
특히, 선물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건강 음료나 다이어트 음료와 같이 기능성 음료의 경우에는 포장된 물품의 가치를 높게 보이게 하면서도 내용물의 변질을 막기 위하여 유리병에 담겨져 유통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유리병은 유통과정에서 손상되거나 파손될 우려가 높기 때문에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박스본체에 스티로폼이나 에어캡과 같은 충격흡수재나 접어서 사용하는 간격유지구를 삽입하여 여러 개의 음료를 수납한 상태에서 음료 간의 간격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서로 간에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충격흡수재는 제품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적절한 충격흡수능력, 유통의 편리를 위해 경량성, 적은체적, 적은 부품수를 만족시키는 것이 요구되지만, 이를 모두 충족하기가 어렵고, 외관이 깔끔하지 못하기 때문에 상품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비교적 외관이 깔끔하고 고급스럽게 보여지는 간격유지구는 그 구조가 여러 번 접어서 사용하는 방식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포장공정에서의 작업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으며, 간격유지구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유통과정에서 안정성을 담보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한편, 박스에 담겨 선물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음료는 박스에 담긴 상태에서는 내용물을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전시를 위해서는 박스를 개방한 상태로 진열하거나, 소비자가 구매하기 이전에 박스를 열어서 내용물을 직접 확인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는데, 이렇게 일일이 확인하는 절차가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KR 101274270 B1 KR 200298028 Y1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통과정에서 박스에 담겨진 내용물이 움직임 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여 내용물이 손상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박스 내 내용물을 외부에서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간격유지구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간격유지구가 박스 내부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도 포장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고안은, 사각통 형상의 박스본체에 복수의 음료가 삽입되고, 박스본체에는 삽입된 음료의 수납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간격유지구가 삽입되어 수납된 음료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음료 포장박스에 있어서, 상기 박스본체에는 음료용기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수납되는 음료의 위치와 대응하게 측벽에 개구홀을 형성하고, 상기 간격유지구는 음료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상판의 양측에 절첩되는 측판이 구비된 시트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그 측판에 의하여 상판이 유동되지 않게 박스본체 내면에 지지되도록 하고, 상기 상판에는 음료의 둘레를 고정하여 유동되지 않도록 유동방지홀을 형성하여 박스에 수납된 음료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음료가 담겨진 박스를 운반하거나 취급하는 중에 음료 간 충돌을 방지하여 제품손상 및 파손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음료 포장박스에 의하면, 음료가 출하된 이후에 소비자에게 유통되기 까지 유통과정에서 음료가 유동되지 않고 이격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므로 외부 충격이나 용기 간 마찰에 의한 용기손상 및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박스에 음료를 가득 채우지 않고 일부를 빼낸 상태에서 휴대할 경우에도 내용물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다.
또한, 음료의 내용물이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전시효과를 높일 수 있고, 소비자가 박스를 열어보지 않고도 수납상태를 직접 육안으로 확인한 후 제품을 선택할 수 있어 매우 효과적인 홍보효과를 유발할 수 있으며, 시트 측면에 절개부를 형성하여 유선형의 병을 사용할 경우 병의 일부가 돌출되어 용기의 측면이 더 안정적으로 지지됨은 물론, 용기가 돌출된 상태로 포장이 이루어지므로 입체적인 광고효과를 유발하고 상품가치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간격유지구의 구조가 한 번의 프레스 성형에 의하여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으므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간격유지구를 접어서 끼우는 단순한 작업에 의하여 포장이 완료되므로 작업자의 작업능률 등을 향상시키고 포장작업을 신속하게 마무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포장박스에 음료가 포장된 상태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포장박스에 음료가 포장되는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포장박스에 수납된 음료의 지지구조를 나태낸 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의 간격유지구의 외관 사시도
도 5 및 도 9은 본 고안의 간격유지구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7 내지 도 9의 사용상태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음료를 수납하기 위한 사각통 형상의 박스본체(100)와, 그 박스본체(100)에 삽입되어 박스본체에 수납된 음료 간의 이격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유지구(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박스본체(100)는 육면체로 이루어지면서 그 내측에 수납공간이 구비되어 여러 개의 음료를 일렬 또는 다열로 배열하여 수납할 수 있는 것으로, 일정한 두께를 갖는 종이판이나 골판지 등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박스본체의 상부에는 분리 가능한 덮개가 구비되어 개폐되거나, 또는 박스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날개(손잡이가 형성된)를 형성하여 수납공간을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박스본체(100)의 측벽(120)에는 구멍이 타공되어 내용물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개구홀(14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개구홀(142)은 음료용기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타공될 수 있다.
그리고 개구홀(142)은 음료가 수납된 상태에서 측벽의 중앙에 측방향으로 길게 타공하여 여러 개의 음료(A)가 배열된 상태를 노출하거나, 또는 수납된 음료의 우치와 대응하게 각각의 음료를 개별적으로 노출되도록 복수의 개구홀(14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박스본체에 음료가 수납된 상태에서 소비자가 박스본체를 개방하지 않고도 수납된 음료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개구홀(142)이 형성되는 위치는 측벽의 변에 가깝게 배치하기보다는 측벽의 중앙으로 밀집한 형태로 배치하도록 함으로써 박스본체(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외부충격에 의하여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구(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220)의 양측에 절첩되는 측판(240)이 구비된 시트(210)로 구비되고, 상기 상판(220)에는 유동방지홀(222)이 타공 형성될 수 있다.
상판(220)은 박스본체의 내공간의 평단면의 면적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사각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박스본체의 내경 크기와 대응하게 사각 형태의 판으로 구성되고, 그 상판의 양 변 또는 네 변에 절첩가능한 측판(240)이 구비되어 측판이 박스본체(100)의 측벽 내면에 지지되어 간격유지구가 박스본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판이 유동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이 상판(220)에는 음료의 용기둘레와 대응하게 유동방지홀(222)이 형성되어 음료가 박스본체에 수납된 상태에서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유동되지 않고 음료 용기 간에 충동을 방지하며, 운반이나 취급 중에 제품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음료의 용기로는 유리병이나 캔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용기가 유리병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상판에 구비되는 유동방지홀(222)이 병목 부근이나 병목 하단의 돌출된 부분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측면 유동은 물론, 상,하로 유동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음료의 용기가 상,하단부의 직경이 넓고 허리부분이 좁게 형성되도록 하고, 그 좁은 직경에 대응하게 유동방지홀(222)을 형성하면 음료의 용기로 강제로 끼우거나 뺄 수 있게 구비되므로 임의로 용기가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용기의 이격된 거리가 전혀 유동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음료의 용기가 평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질 경우 유동방지홀은 절첩라인을 기준으로 반원형으로 타공되게 구비되어 원형의 용기둘레를 따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210)는 음료를 포장할 때 간격유지구를 쉽게 접어서 박스본체에 삽입할 수 있도록 상판(220)과 측판(240)의 경계를 이루는 부분에 절첩라인(23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 절첩라인(230)은 칼선이 형성되는 도무송라인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해당 라인을 눌러 가공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절첩라인(230)은 상판에 구비되는 유동방지홀(222)과 시트의 외곽경계라인을 절단하는 공정에서 한 번의 프레스 공정에 의하여 일체로 가공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간격유지구(200)의 측판(240)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의 용기가 노출되도록 절개부(24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개부(242)는 측판의 일부가 구멍으로 타공되어 절개부의 하단이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시트를 박스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판과 측판이 각각 박스의 내면에 밀착 고정되어 간격유지구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음료가 더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개부(242)가 형성되는 위치는 측벽의 변에 가깝게 배치하기보다는 측벽의 중앙으로 밀집한 형태로 배치하도록 함으로써 간격유지구(2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외력에 의하여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판에 형성된 절개부(242)는 상판에 형성된 유동방지홀(222)으로부터 연장되게 하나의 구멍으로 타공하여 제작하면 상판과 측판의 경계를 이루는 절첩라인(230)의 폭을 줄일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하여 포장공정에서 작업자가 시트를 용이하게 접어서 박스본체에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시트(210)는 간격유지구(200)를 박스본체(100)에 삽입한 상태에서 박스본체의 개구홀을 통하여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박스본체(100)의 측벽(140)에 개구홀(142)을 형성하여 음료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경우에 그 개구홀(142)에 투명 비닐지를 접착하여 투시가 가능하면서도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박스본체를 제작하는 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박스본체의 분리수거가 번거롭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시트(210)의 재질을 투명시트로 구현하면 박스에 별도로 비닐지를 붙이지 않고도 투시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도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유입을 차단할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유지구(200)에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판(240)의 단부와 상판(220)의 양측에 각각 받침날개(260)와 보강날개(2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받침날개(260)는 박스본체(100)의 바닥에 안착될 수 있도록 절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간격유지구(200)를 박스본체(100)에 삽입한 상태에서 음료를 삽입하면 도 10과 같이 음료의 하단이 받침날개(260)의 상부에 안착되어 받침날개가 움직임되지 않게 잡아주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용기 자체의 하중에 의하여 받침날개(260)가 지지되므로 박스본체에 음료를 담은 상태로 휴대하거나 이동하는 경우에도 간격유지구(200)가 전혀 움직임되지 않으므로 음료간 간격이 유지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음료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받침날개(260)에 의하여 간격유지구가 지지되므로 음료를 낱개로 인출할 때 간격유지구가 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음료를 일부 인출한 상태에서 휴대 및 이동하는 경우에도 음료 간의 간격이 일정한 상태로 유지된 상태에서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간격유지구(200)의 상판에 형성되는 유동방지홀(222)의 직경은 음료의 허리 부분이 오목하게 내입된 경우, 그 내입된 직경에 대응하게 유동방지홀을 형성하면 음료를 삽입하거나 인출할 때 음료 하단부가 유동방지홀에 걸리도록 하여 강제로 삽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게 함으로써 박스 내에서 음료가 더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도 유동을 방지토록 할 수 있다.
즉, 유동방지홀(222)의 직경이 음료 용기의 하부직경보다 미세하게 작게 형성함으로써 강제로 삽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 직경의 크기는 사용자가 음료를 넣고 빼낼 때 힘을 들일 필요없이 간편하게 삽입 또는 인출가능한 정도의 직경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유지구(200)의 상판(220)에 형성되는 보강날개(280)는 상판(220)이 박스본체의 내벽에 안정되게 지지되면서도 상판이 상측으로 가압될 때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유동방지홀(222)의 직경을 용기의 하부직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강제로 인출하도록 하는 경우, 상판(220)이 들리면서 유동이 발생할 수 있는데, 상판의 양츠에 보강날개(280)를 절곡함으로써 상판(220)이 유연성있게 움직임 되는 것을 일정 부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받침날개(260)가 음료에 받혀진 상태에서 음료를 들어올릴 때 상판이 상부로 휘지 않고 안정되게 간격유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100: 박스본체
140: 측벽 142: 개구홀
200: 간격유지구
220: 상판 222: 유동방지홀
230: 절첩라인
240: 측판 242: 절개부
260: 받침날개
280: 보강날개

Claims (6)

  1. 사각통 형상의 박스본체(100)에 복수의 음료(A)가 삽입되고, 박스본체에는 삽입된 음료의 수납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간격유지구(200)가 삽입되어 수납된 음료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음료 포장박스에 있어서,
    상기 박스본체(100)는 음료용기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수납되는 음료의 위치와 대응하게 측벽(140)에 개구홀(142)이 형성되고,
    상기 간격유지구(200)는 음료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상판(220)의 양측에 절첩되는 측판(240)이 구비된 시트(210)로 이루어져 측판에 의하여 상판이 유동되지 않게 박스본체 내면에 지지되고, 상기 상판(220)에는 음료의 둘레를 고정하여 유동되지 않도록 유동방지홀(222)이 형성되어
    박스에 수납된 음료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운반이나 취급 중에 음료 간 충돌을 방지하여 손상 및 파손을 방지토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된 음료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음료 포장박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210)는 음료를 포장할 때 간격유지구를 쉽게 접어서 박스본체에 삽입할 수 있도록 상판(220)과 측판(240)의 경계를 이루도록 눌림 가공되는 절첩라인(230)이 유동방지홀(222)과 시트의 외곽경계라인을 절단하는 공정에서 한 번의 프레스 공정에 의하여 일체로 가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된 음료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음료 포장박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구(200)의 측판(240)에는 음료의 용기가 노출되도록 절개부(24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된 음료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음료 포장박스.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210)는 간격유지구를 삽입한 상태에서 박스본체의 개구홀을 통하여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시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된 음료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음료 포장박스.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구(200)의 측판(240)에는 음료하단에 받침되는 받침날개(260)가 연장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된 음료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음료 포장박스.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구(200)의 상판(220)에는 측판이 형성되지 않은 타측의 양변에 상판(220)이 들리면서 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날개(280)가 절첩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된 음료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음료 포장박스.
KR2020160000532U 2016-01-29 2016-01-29 수납된 음료용기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휴대용 음료용기 포장박스 KR2004854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532U KR200485481Y1 (ko) 2016-01-29 2016-01-29 수납된 음료용기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휴대용 음료용기 포장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532U KR200485481Y1 (ko) 2016-01-29 2016-01-29 수납된 음료용기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휴대용 음료용기 포장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816U true KR20170002816U (ko) 2017-08-08
KR200485481Y1 KR200485481Y1 (ko) 2018-02-21

Family

ID=60628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532U KR200485481Y1 (ko) 2016-01-29 2016-01-29 수납된 음료용기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휴대용 음료용기 포장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48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6879A (ko) * 2020-10-08 2022-04-15 주식회사 로데 비접착식 다중 포장상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5418A (ko) 2021-12-07 2023-06-14 민병두 캔 용기 물류 포장상자용 접이식 포장 간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028Y1 (ko) 2002-08-22 2002-12-12 태림포장공업 주식회사 포장 박스 내부에 들어가는 골판지를 이용한 적층 포장체
KR100700929B1 (ko) * 2005-09-26 2007-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샌드 페이퍼 부착 장치
KR20100068338A (ko) * 2007-08-15 2010-06-23 미드웨스트바코 패키징 시스템즈 엘엘씨 카톤 및 카톤 블랭크
KR101274270B1 (ko) 2010-11-12 2013-06-14 주식회사 지피피 포장박스 칸막이
KR20140135482A (ko) * 2013-05-16 2014-11-26 미드웨스트바코 코포레이션 카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028Y1 (ko) 2002-08-22 2002-12-12 태림포장공업 주식회사 포장 박스 내부에 들어가는 골판지를 이용한 적층 포장체
KR100700929B1 (ko) * 2005-09-26 2007-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샌드 페이퍼 부착 장치
KR20100068338A (ko) * 2007-08-15 2010-06-23 미드웨스트바코 패키징 시스템즈 엘엘씨 카톤 및 카톤 블랭크
KR101274270B1 (ko) 2010-11-12 2013-06-14 주식회사 지피피 포장박스 칸막이
KR20140135482A (ko) * 2013-05-16 2014-11-26 미드웨스트바코 코포레이션 카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6879A (ko) * 2020-10-08 2022-04-15 주식회사 로데 비접착식 다중 포장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481Y1 (ko) 201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69221B1 (en) Package for pharmaceutical products, in particular for parenteral products
US4037722A (en) Protective packaging for bottles
US20060254942A1 (en) Carton for Multiples of Tapered Containers
KR200492642Y1 (ko) 포장상자와 물품 디스펜서
WO2015049702A1 (en) Packaging for the transport of bottles or similar
JP2013544540A (ja) 製品ディスペンサシステム
US20120037635A1 (en) Beverage container
US11111051B2 (en) Bottle packaging system
CN111319845B (zh) 容器组件
KR200485481Y1 (ko) 수납된 음료용기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휴대용 음료용기 포장박스
KR101705019B1 (ko) 포장 용기
KR200484205Y1 (ko) 계란 포장 용기
US8479480B2 (en) Packaging assembly comprising lightweight containers and manufacturing process
US20150083625A1 (en) Dispensing Carton for a Refrigerator Door
KR101757074B1 (ko) 광고 및 보강지주기능과 상품보호를 위한 포장상자용 칸막이
KR101013254B1 (ko) 터널형 과일포장박스
CN109890712B (zh) 带后折翼的集成牵引系统
JP3187833U (ja) 瓶梱包用緩衝体及び梱包資材セット
WO2016067657A1 (ja) 物品運送用梱包具
EP2007636B1 (en) Protection and transport container for bottles
KR20080004312U (ko) 제품용기 포장상자
EP3251963A1 (en) Transport container
EP2070824A1 (en) Dispensing package comprising a ramp and method of assembly.
JP6924870B2 (ja) 宙吊り包装箱
JP6747125B2 (ja) 2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