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173U - 포터블 광고판 - Google Patents

포터블 광고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173U
KR20170002173U KR2020150008129U KR20150008129U KR20170002173U KR 20170002173 U KR20170002173 U KR 20170002173U KR 2020150008129 U KR2020150008129 U KR 2020150008129U KR 20150008129 U KR20150008129 U KR 20150008129U KR 20170002173 U KR20170002173 U KR 2017000217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unit
fixing
display unit
backres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81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규
Original Assignee
김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규 filed Critical 김영규
Priority to KR20201500081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2173U/ko
Publication of KR201700021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17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2Mobile visual advertising by a carrier person or animal
    • G09F21/026Advertising carried by a person, e.g. carried on the should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고판이 설치된 본체를 사용자가 등과 어깨에 메고 이동하며 광고할 수 있도록 구현한 포터블 광고판에 관한 것으로, 본체부; 본체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광고 콘텐츠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 본체부의 전면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등과 어깨에 본체부를 착용하도록 하기 위한 착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포터블 광고판{Portable Billboard}
본 고안의 기술 분야는 포터블 광고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고판이 설치된 본체를 사용자가 등과 어깨에 메고 이동하며 광고할 수 있도록 구현한 포터블 광고판에 관한 것이다.
광고판은, 대부분의 경우 판 형상의 프레임 외면에 도형, 문자 등의 광고내용을 표현하여 특정 사업이나 물품을 많은 사람들에게 널리 알리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광고판은 광고내용이 획일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과 광고내용이 일정시간마다 변화될 수 있도록 한 것이 제공되어 있다. 광고내용이 획일적인 광고판은 프레임에 고정되는 천이나 합성수지 시트의 표면에 도형이나 문자를 부착시키거나 실사출력 또는 실크스크린 인쇄에 의해 광고내용을 표현한 것이 일반적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04175호(2005.12.13 등록)는 이동형 광고장치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긴 축 형상을 가지고 회전함으로써 필름을 감거나 풀어주는 권취 롤러와, 권취 롤러에 회전력을 부가하는 구동부와, 긴 필름 형상으로 구동부 및 권취 롤러가 회전하면 권취 롤러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하나 이상의 광고를 순차적으로 보이는 광고 필름과, 박스 형상으로 권취 롤러 및 구동부 및 광고 필름의 외부를 둘러싸서 보호 및 지지하되, 일면이 개방되어 광고 필름을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하는 개방면을 포함하는 프레임과, 광고 필름의 내부에서 외부로 빛을 비추어주는 제 2 조명과, 광고 필름의 일측에 구비된 경계부와, 경계부를 감지하고 구동부에 전기적인 신호를 보내어 구동부가 작동하여 광고 필름이 정확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감지 센서와, 권취 롤러가 필요 이상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브레이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이동하는 차량에 장착하되 다수의 광고를 교대로 전시하여 광고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11695호(2000.11.14 등록)는 지지몸체 내부로 삽입된 물로 부터 광고원판의 지지가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광고원판의 탄성력 및 복원력이 우수하고, 이동에 따라 해체할 시에는 지지몸체 내부의 물을 빼내 간이 광고판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면서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된 철심을 통해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광고문안이 새겨진 광고판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간이 이동형 광고판 구조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상부광고판은 광고문안이 새겨지는 복수개의 플레이트 사이에 수직 길이방향으로 철심을 소정간격으로 다수 밀착 고정한 후에 그 외곽테두리를 테이프나 기타 마감재로 처리한 광고원판을 구성하고, 광고원판은 하부물통 일측에 물 주입구를 갖으면서 물이 채워지는 내부공간을 갖는 지지몸체에 삽입되어 세워지도록 하되, 지지몸체의 상면 길이방향으로는 광고판의 삽입을 안내하는 판삽입구를 형성하고 저면의 양측에는 엠보싱 형태로서 지면과 밀착되는 다리부를 돌출시키며, 다리부의 사이에는 판삽입구를 통해 지지몸체의 내부로 삽입된 광고판 끝부분이 삽입되어 견고한 고정상태를 자동 유지하면서 세워지도록 판고정홈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광고판은, 어느 한 장소에 고정 설치되어, 해당 장소를 지나가는 사람들만 광고를 접할 수 있어 한정적이며,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광고하는 것이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이동 가능한 광고판은, 차량에 광고판을 설치하여 광고하는 경우, 차량 구매 및 광고판 설치비용으로 인해 제작비용이 많이 들어 경제성이 낮아 높은 비용부담을 꺼리는 소비자들을 만족시킬 수 없으며, 지지몸체에 광고판을 설치하여 광고하는 경우, 광고판을 이동시키는 것이 번거로운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04175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11695호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광고판이 설치된 본체를 사용자가 등과 어깨에 메고 이동하며 광고할 수 있도록 구현한 포터블 광고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고안의 한 특징에 따르면,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광고 콘텐츠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등과 어깨에 상기 본체부를 착용하도록 하기 위한 착용부를 포함하는 포터블 광고판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포터블 광고판은,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형성되어, 리모컨으로부터 리모컨 신호를 수신받아 이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수신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포터블 광고판은,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형성되어, 광고 콘텐츠의 오디오를 출력해 주기 위한 스피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포터블 광고판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스피커부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해주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충전어댑터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잭; 상기 연결잭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연결잭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는 충전배터리; 및 상기 충전배터리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충전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스위칭시켜 주거나 차단시켜주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포터블 광고판은, 상기 본체부 내에 구비되거나,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형성된 USB를 통해 연결되어, 광고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였다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기 위한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착용부는,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기 위한 등받이부재; 상기 등받이부재의 전면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상기 등받이부재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다수 개의 제1고정부재; 및 일측이 상기 등받이부재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등받이부재의 하측에 고정 형성되어, 사용자의 어깨에 상기 본체부를 착용하도록 하기 위한 착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고정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전면 또는 후면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고정홈; 상기 등받이부재를 관통한 후에 상기 고정홈에 체결되어, 상기 등받이부재를 상기 본체부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다수 개의 고정돌기; 및 상기 등받이부재와 상기 고정돌기 사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등받이부재에 파고들지 않도록 상기 고정돌기를 지지해 주기 위한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포터블 광고판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본체부의 전후방향으로 회동시켜 주기 위한 회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회동부는, 양측이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삽입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본체부의 전후방향으로 회동시켜 주기 위한 회동부재; 및 일측이 상기 회동부재의 일측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을 고정시켜 주기 위한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광고판이 설치된 본체를 사용자가 등과 어깨에 메고 이동하며 광고할 수 있도록 구현한 포터블 광고판을 제공함으로써, 많은 사람들이 광고를 가까이서 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장소에 상관없이 다양한 곳에서 광고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고안에 의하면, 본체에 광고판과 어깨끈을 설치한 간단한 구조로서 종래의 이동 가능한 광고판보다 제작비용이 저렴하여 경제성이 있으며, 이에 높은 비용부담을 꺼리는 소비자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포터블 광고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전원공급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포터블 광고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착용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있는 제1고정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포터블 광고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있는 회동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포터블 광고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포터블 광고판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포터블 광고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포터블 광고판(10)은, 본체부(100), 디스플레이부(200), 착용부(3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상부에 디스플레이부(200)를 설치하고, 전면에 착용부(300)를 설치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100)는, 세로의 길이를 가로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여, 상부에 디스플레이부(200)를 설치하고, 디스플레이부(200)의 하부 방향으로 착용부(300)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100)는, 외부면을 가벼우면서도 단단한 물질(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 티타늄 등의 금속)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착용부(300)를 장시간 착용하더라고 무거움을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착용한 후에 내려놓을 시에 파손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0)는, 본체부(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광고 콘텐츠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부(200)는, 본체부(100)의 상부 전면 또는 후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본체부(100)에 착용부(300)가 설치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부(200)는, 예를 들어 LCD 디스플레이 또는 LED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로서, 화려한 불빛이나 움직이는 문구, 사진 및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착용부(300)는, 본체부(100)의 전면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등과 어깨에 본체부(100)를 착용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착용부(300)는, 본체부(100)의 후면에도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포터블 광고판(10)은, 리모컨수신처리부(400), 스피커부(500), 전원공급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모컨수신처리부(400)는, 본체부(100)의 전면에 형성되어, 리모컨으로부터 리모컨 신호를 수신받아 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200)(또는, 스피커부(500), 또는, 전원공급부(600))의 동작을 제어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리모컨수신처리부(400)는, 리모컨으로부터 수신받은 리모컨 신호에 따라 메모리부(700)에 저장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리모컨수신처리부(400)는, 리모컨으로부터 리모컨 온 신호를 수신받아 디스플레이부(200)에서 광고 콘텐츠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스피커부(500)에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리모컨수신처리부(400)는, 리모컨으로부터 리모컨 오프 신호를 수신받아 디스플레이부(2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광고 콘텐츠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스피커부(500)에서 오디오를 출력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리모컨수신처리부(400)는, 리모컨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온 신호 또는 디스플레이 오프 신호를 수신받을 경우, 스위치(630)(도 2 참조)를 작동시키지 않아도 광고 콘텐츠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00)에 디스플레이하거나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스피커부(500)는, 본체부(100)의 전면에 형성되어, 광고 콘텐츠의 오디오를 출력해 준다.
전원공급부(600)는, 본체부(100)의 내부에 형성되어, 디스플레이부(200) 및 스피커부(50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해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포터블 광고판(10)은, 디스플레이부(200)가 설치된 본체를 사용자가 등과 어깨에 메고 이동하며 광고할 수 있도록 구현으로써, 많은 사람들이 광고를 가까이서 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장소에 상관없이 다양한 곳에서 광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포터블 광고판(10)은, 본체부(100)에 디스플레이부(200)와 착용부(300)를 설치한 간단한 구조로서 종래의 이동 가능한 광고판보다 제작비용이 저렴하여 경제성이 있으며, 이에 높은 비용부담을 꺼리는 소비자들을 만족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전원공급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원공급부(600)는, 연결잭(610), 충전배터리(620), 스위치(630)를 포함한다.
연결잭(610)은, 충전배터리(620)를 연결 설치하고, 본체부(100)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충전어댑터를 연결시켜 주어, 충전배터리(62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해 준다.
충전배터리(620)는, 본체부(100)의 내부에 형성되고, 연결잭(610)에 연결 설치되어, 연결잭(61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된다.
일 실시 예에서, 충전배터리(620)는, 연결잭(61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어, 디스플레이부(200), 리모컨수신처리부(400) 및 스피커부(50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스위치(630)는, 충전배터리(620)에 연결 설치되어, 충전배터리(62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스위칭시켜 주거나 차단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스위치(630)는, 충전배터리(62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스위칭시켜 주어, 디스플레이부(200), 리모컨수신처리부(400) 및 스피커부(50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충전배터리(62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디스플레이부(200), 리모컨수신처리부(400) 및 스피커부(50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포터블 광고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포터블 광고판(20)은, 디스플레이부(200), 리모컨수신처리부(400), 스피커부(500), 메모리부(70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200), 리모컨수신처리부(400), 스피커부(5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 이하 그 설명을 생략하며,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메모리부(700)는, 본체부(100) 내에 구비되거나, 본체부(100)의 하부에 형성된 USB를 통해 연결되어, 광고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였다가 디스플레이부(200) 및 스피커부(500)에 제공해 준다. 이 때, 디스플레이부(200)는, 메모리부(700)에 저장된 광고 콘텐츠 정보를 제공받아 광고 콘텐츠의 영상으로 변환시켜 디스플레이하며, 스피커부(500)는, 메모리부(700)에 저장된 광고 콘텐츠 정보를 제공받아 광고 콘텐츠의 오디오로 변환시켜 출력한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부(700)는, USB를 본체부(100)에 연결할 경우에, USB에 저장된 광고 콘텐츠를 자동으로 저장하며, 저장된 광고 콘텐츠를 디스플레이부(200)와 스피커부(500)에 제공해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부(700)는, 리모컨으로부터 리모컨 신호(즉, 리모컨 온 신호 및 리모컨 오프 신호)에 대한 리모컨수신처리부(400)의 동작을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착용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착용부(300)는, 등받이부재(310), 다수 개의 제1고정부재(320), 착용부재(330)를 포함한다.
등받이부재(310)는, 본체부(100)의 전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등을 받쳐준다.
일 실시 예에서, 등받이부재(310)는, 본체부(100)의 후면에도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등받이부재(310)는, 등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완충구조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제1고정부재(320)는, 등받이부재(310)의 전면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등받이부재(310)를 고정시켜 준다.
착용부재(330)는, 일측이 등받이부재(310)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일측이 등받이부재(310)의 하측에 고정 형성되어, 사용자의 어깨에 본체부(100)를 착용하도록 해준다.
일 실시 예에서, 착용부재(330)는, 예를 들어 가방(즉, 백팩)의 어깨끈과 동일한 것으로서, 완충구조를 갖도록 형성하여 어깨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하부에 길이조절 스트랩을 설치하여 상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착용부재(330)는, 전면에 벨트를 고정 설치하여, 사용자의 상체 너비에 맞도록 좌우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편리하게 본체부(100)를 착용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있는 제1고정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고정부재(320)는, 다수 개의 고정홈(321), 다수 개의 고정돌기(322), 지지판(323)을 포함한다.
고정홈(321)은, 본체부(100)의 전면 또는 후면에 형성되어, 고정돌기(322)를 체결한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홈(321)은, 내부면에 암나사를 형성하여, 고정돌기(322)를 단단하게 체결해줄 수 있다.
고정돌기(322)는, 등받이부재(310)를 관통한 후에 고정홈(321)에 체결되어, 등받이부재(310)를 본체부(100)에 고정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돌기(322)는, 예를 들어, 볼트, 직결피스, 드라이월 스크류 등과 같이 나사부분에 수나사가 형성된 고정수단으로서, 고정홈(321)에 형성된 암나사와 체결될 수 있다.
지지판(323)은, 고정돌기(322)가 삽입되는 다수 개의 홀을 구비하며, 등받이부재(310)와 고정돌기(322) 사이에 고정 설치되어, 고정돌기(322)가 등받이부재(310)에 파고들지 않도록 고정돌기(322)를 지지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판(323)은, 홀의 후부에 걸림턱을 형성하여, 고정돌기(322)를 삽입 했을 때에 고정돌기(322)의 머리부분이 걸림턱에 걸려 외부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제1고정부재(320)는, 본체부(100)의 전면 또는 후면에 등받이부재(310)를 밀착시키고 등받이부재(310)의 전면에 지지판(323)을 밀착시킨 후에, 고정돌기(322)가 지지판(323)의 홀과 등받이부재(310)를 차례대로 관통하고, 고정홈(321)에 체결되어, 등받이부재(310)를 본체부(100)의 전면 또는 후면에 고정시켜 줄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포터블 광고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포터블 광고판(30)은, 본체부(100), 디스플레이부(200), 착용부(300), 회동부(8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부(100), 디스플레이부(200), 착용부(3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 이하 그 설명을 생략하며,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회동부(800)는, 본체부(10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디스플레이부(200)에 고정 설치되어, 디스플레이부(200)를 본체부(100)의 전후방향으로 회동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회동부(800)는, 예를 들어, 본체부(100)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200)가 위치할 경우, 디스플레이부(200)를 360도 회동시켜 주어, 본체부(100)의 후면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회동부(800)는, 본체부(100)와 디스플레이부(200)의 사이 각도를 회동각도라고 할 경우에, 조절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있는 회동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회동부(800)는, 회동부재(810), 제2고정부재(820)를 포함한다.
회동부재(810)는, 양측이 본체부(10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삽입 설치되어, 디스플레이부(200)를 본체부(100)의 전후방향으로 회동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회동부재(810)는, 예를 들어, 본체부(100)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200)가 위치할 경우, 디스플레이부(200)를 360도 회동시켜 주어, 본체부(100)의 후면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회동부재(810)는, 본체부(100)의 상부에 삽입 설치된 양측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회동고정부재(830)에 형성된 요철과 접촉할 수 있다.
제2고정부재(820)는, 일측이 회동부재(810)의 일측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다른 일측이 디스플레이부(200)의 후면에 고정 설치되어, 디스플레이부(200)의 후면을 고정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제2고정부재(820)는, 회동부재(810)의 일측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회동부재(810)의 회동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0)가 회동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일 실시 예에서, 제2고정부재(820)는, 예를 들어, 볼트, 스크류 등과 같은 고정수단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부(200)의 후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디스플레이부(200)와 회동부재(810)를 연결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회동부(800)는, 회동고정부재(8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동고정부재(830)는, 본체부(100)의 상부 양측부에 형성되어, 회동부재(810)의 양측을 고정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회동고정부재(830)는, 회동부재(810)의 양측면 형성된 요철에 대향하는 위치에 맞물리도록 요철을 형성하고, 회동부재(810)의 사이에 스프링(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삽입 설치하여, 회동부재(810)가 회동하는 것을 고정시켜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회동부(800)는, 회동부재(810)를 회동하는 경우에, 회동고정부재(830)를 잡아당겨 회동부재(810)가 회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그 이후에, 잡아당긴 회동고정부재(830)가 원래의 위치로 위치하면, 회동고정부재(830)의 요철과 회동부재(810)의 요철이 맞물려 회동부재(810)가 더 이상 회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포터블 광고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포터블 광고판(40)은, 본체부(100), 디스플레이부(200), 착용부(300), 회동부(800), 거치부(9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부(100), 디스플레이부(200), 용부(3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 이하 그 설명을 생략하며,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거치부(900)는, '■' 형태로 형성되고, 양측이 본체부(100)의 양측면에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 설치되어, 착용부(300)를 착용하지 않을 시에, 회동하여 본체부(100)를 거치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거치부(900)는, 전후방향으로 일정한 각도(예를 들면, 10도 ~ 45도)만큼 회동하여, 본체부(100)를 거치해줄 수 있다. 이 때, 회동부(800)는, 회동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200)가 빛에 반사되어 광고 콘텐츠가 보이지 않는 현상을 방지하고, 디스플레이부(200)에 디스플레이되는 광고 콘텐츠가 온전히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20, 30, 40: 포터블 광고판
100: 본체부
200: 디스플레이부
300: 착용부
310: 등받이부재
320: 제1고정부재
321: 고정홈
322: 고정돌기
323: 지지판
330: 착용부재
400: 리모컨수신처리부
500: 스피커부
600: 전원공급부
610: 연결잭
620: 충전배터리
630: 스위치
700: 메모리부
800: 회동부
810: 회동부재
820: 제2고정부재
830: 회동고정부재
900: 거치부

Claims (10)

  1.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광고 콘텐츠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200); 및
    상기 본체부(100)의 전면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등과 어깨에 상기 본체부(100)를 착용하도록 하기 위한 착용부(300)를 포함하는 포터블 광고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의 전면에 형성되어, 리모컨으로부터 리모컨 신호를 수신받아 이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수신처리부(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광고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의 전면에 형성되어, 광고 콘텐츠의 오디오를 출력해 주기 위한 스피커부(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광고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200) 및 상기 스피커부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해주기 위한 전원공급부(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광고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600)는,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충전어댑터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잭(610);
    상기 연결잭(610)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연결잭(61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는 충전배터리(620); 및
    상기 충전배터리(620)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충전배터리(62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스위칭시켜 주거나 차단시켜주기 위한 스위치(6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광고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 내에 구비되거나,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에 형성된 USB를 통해 연결되어, 광고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였다가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에 제공하기 위한 메모리부(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광고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3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전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기 위한 등받이부재(310);
    상기 등받이부재(310)의 전면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상기 등받이부재(310)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다수 개의 제1고정부재(320); 및
    일측이 상기 등받이부재(310)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등받이부재(310)의 하측에 고정 형성되어, 사용자의 어깨에 상기 본체부(100)를 착용하도록 하기 위한 착용부재(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광고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320)는.
    상기 본체부(100)의 전면 또는 후면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고정홈(321);
    상기 등받이부재(310)를 관통한 후에 상기 고정홈(321)에 체결되어, 상기 등받이부재(310)를 상기 본체부(100)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다수 개의 고정돌기(322); 및
    상기 등받이부재(310)와 상기 고정돌기(322) 사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고정돌기(322)가 상기 등받이부재(310)에 파고들지 않도록 상기 고정돌기(322)를 지지해 주기 위한 지지판(3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광고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200)를 상기 본체부(100)의 전후방향으로 회동시켜 주기 위한 회동부(8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광고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800)는,
    양측이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삽입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200)를 상기 본체부(100)의 전후방향으로 회동시켜 주기 위한 회동부재(810); 및
    일측이 상기 회동부재(810)의 일측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의 후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의 후면을 고정시켜 주기 위한 제2고정부재(8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광고판.
KR2020150008129U 2015-12-11 2015-12-11 포터블 광고판 KR2017000217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129U KR20170002173U (ko) 2015-12-11 2015-12-11 포터블 광고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129U KR20170002173U (ko) 2015-12-11 2015-12-11 포터블 광고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173U true KR20170002173U (ko) 2017-06-21

Family

ID=59240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8129U KR20170002173U (ko) 2015-12-11 2015-12-11 포터블 광고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217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56909A (zh) * 2019-11-24 2020-04-03 西安微城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信息科技数据展示装置及使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1695Y1 (ko) 2000-08-30 2001-01-15 이유선 간이 이동형 광고판 구조
KR20040004175A (ko) 2002-07-04 2004-01-13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프린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1695Y1 (ko) 2000-08-30 2001-01-15 이유선 간이 이동형 광고판 구조
KR20040004175A (ko) 2002-07-04 2004-01-13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프린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56909A (zh) * 2019-11-24 2020-04-03 西安微城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信息科技数据展示装置及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617332S1 (en) User interface for a display screen
USD653100S1 (en) Cable organizer
AU304586S (en) Gaming device
AU2000269262A1 (en) Transflective display with non-inverting image
AU2003270607A1 (en) Advertising/promotional display system with integral sound generating means
CA2414414A1 (en) Eyeglass frame with removably mounted lenses
KR20170002173U (ko) 포터블 광고판
WO2006113730A3 (en) Rotatable advertising plaque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0900004B1 (ko) 전자 가격표시기의 전원공급장치
USD634327S1 (en) Flexible laptop display slipcover having a transparent front panel and an advertising back panel
JP2010176113A (ja) 広告パネル
CN202487110U (zh) 一种流媒体广告背包
USD530273S1 (en) Charging stand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1284254B1 (ko) 다용도 거치대
KR102154812B1 (ko) 광고 및 태양광 충전 기능을 가진 가방
CN209216494U (zh) 一种电梯广告机
WO2005008619A3 (fr) Systeme d’affichage dynamique dans un boitier lumineux
CN208903613U (zh) 一种小型便携式的led广告灯箱
USD577034S1 (en) Graphic user interface for dislay on a MP3 player
CN211124910U (zh) 一种活动式组合广告牌
CN214253770U (zh) 一种方便携带且美观的广告手牌
KR101674461B1 (ko) 모니터 탑재용 키보드
CN215061046U (zh) 一种具有多角度投影功能的市场营销商业宣传设备
CN217721696U (zh) 一种tts与音频双输入模式一体播报设备
KR20120051816A (ko) 광고용 디스플레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