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137U - Apparatus for checking activity state of motor using piezo-electric vibration senso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hecking activity state of motor using piezo-electric vibration sen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137U
KR20170002137U KR2020170001677U KR20170001677U KR20170002137U KR 20170002137 U KR20170002137 U KR 20170002137U KR 2020170001677 U KR2020170001677 U KR 2020170001677U KR 20170001677 U KR20170001677 U KR 20170001677U KR 20170002137 U KR20170002137 U KR 2017000213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operation state
vibration
electric moto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67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홍섭
Original Assignee
김홍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섭 filed Critical 김홍섭
Priority to KR20201700016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2137U/en
Publication of KR201700021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137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4Testing dynamo-electric machines
    • G01R31/343Testing dynamo-electric machines in oper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 H01L41/113
    • H01L41/187
    • H01L41/193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2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a reserve is maintained in an energy source by disconnecting non-critical loads, e.g. maintaining a reserve of charge in a vehicle battery for starting an engin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3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mechanical input and electr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generators or sens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5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active materials
    • H10N30/853Ceramic composi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5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active materials
    • H10N30/857Macromolecular composi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이 고안에 따른 진동압전센서를 이용한 전동기 동작상태 확인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수용되어 상기 전동기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진동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진동 압전 센서, 상기 본체에 수용되어 상기 전기 에너지를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부, 상기 본체에 수용되어 상기 변환된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직류 전원 출력부 및 상기 출력된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전동기의 동작 상태를 알리는 동작 상태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checking an operation state of a motor using a vibration sensor, including a main body, a vibration piezoelectric sensor for sensing vibration generated from the motor and converting the sensed vibration into electric energy, A DC power output unit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DC power, and an operation state informing unit inform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motor using the DC power source .

Description

진동압전센서를 이용한 전동기 동작상태 확인장치{APPARATUS FOR CHECKING ACTIVITY STATE OF MOTOR USING PIEZO-ELECTRIC VIBRATION SENSOR}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checking the operation state of an electric motor using a piezoelectric vibration sensor,

이 출원은 진동압전센서를 이용한 전동기 동작상태 확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진동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고 그를 이용해 현장의 고압, 저압 전동기들의 동작 여부를 확인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checking the operation state of a motor using a vibration sens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c energy using vibration and confirming whether the high-voltage and low-voltage motors are operated on the site.

일반적으로 국, 내외 발전소 및 산업 플랜트 현장에는 고압 또는 저압의 수 많은 전동기가 적용되어 운용되고 있다.Generally, many high-voltage or low-voltage motors are applied to the domestic and overseas power plants and industrial plant sites.

하지만, 이러한 산업 현장의 특성상 현장이 너무 넓고 각종 설비의 소음으로 인해 전동기들이 제대로 동작을 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관리자가 전동기에 접근하여 일일이 동작 상태를 확인해야만 하는 비효율성이 존재한다.However, due to the nature of such an industrial site, there is an inefficiency in that the manager must check the operation state by accessing the motor in order to check whether the motors are operating properly due to the wide area and noise of various facilities.

이에,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734478호(전동기기 음계 원격 점검 장치)에서는, 전동기기 동작에 따른 내부의 소음을 감지하고 소정의 음계 범위로 측정하여 일정 주파수 이상의 음계가 수신되면, 담당자에게 전동 기기의 동작에 문제가 있음을 알리는 기술을 제안하였다.In this regar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34478 (an apparatus for remote control of a musical instrument musical instrument) detects an internal nois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a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asures the musical interval within a predetermined scale range. When a musical scale exceed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is received, And proposed a technique for notifying that there is a problem in the operation of the device.

또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89793호(전동기를 감시하고 분석하는 장치 및 방법)에서는, 전동기에 입력되는 전류와 전압을 곱하여 전력을 계산하고, 계산된 전력을 누적 전력에 가산하며, 전동기에 입력되는 전압 및 전류의 위상을 구하여 이로부터 직전 기동시의 위상을 차감하여 위상차를 구한 후, 해당 위상차가 미리 설정된 위상차보다 큰 경우 전동기의 기동 특성에 이상이 있음을 판단하는 기술을 제안하였다.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89793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analyzing an electric motor), electric power is calculated by multiplying current and voltage input to the electric motor, and the calculated electric power is added to the accumulated electric power. A phase difference is obtained by subtracting the phase at the immediately preceding start from the phase of the inputted voltage and current, and thereafter, when the phase difference is larger than a preset phase difference, a technique of determining that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start characteristics of the motor is proposed.

또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15977호(전동기의 예방 보전 장치)에서는, 조작량과 소정의 상관 관계에 있는 전동기의 상태량을 취득하는 상태량 취득 수단과, 전동기 및 그 부대 설비가 정상적인 경우에 있어서의 조작량과 상태량과의 관계를, 상관 관계에 따라 모델화한 상관 모델을 미리 기억하는 모델 기억 수단과, 모델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상관 모델에서의, 전동기의 운전시의 조작량에 대한 상태량을 산출하는 모델 상태량 산출 수단과, 운전시에 상태량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한 상태량과 모델 상태량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한 상태량을 비교함에 의해, 전동기 및 그 부대 설비의 이상을 검출하는 이상 검출 수단을 통해 전동기의 예방 보전을 행하는 기술을 제안하였다.In addition,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3-0115977 (preventive maintenance device of a motor), state quantity acquisition means for acquiring a state quantity of a motor having a predetermined correlation with an operation quantity, A model storage means for storing a correlation model in whic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nipulated variable and the state quantity in the correlation model is modeled in accordance with a correlation, and a correlation model stored in the model storage means for calculating a state quantity for the manipulated variable at the time of operation of the electric motor The model state quantity calculation means and the state quantity obtained by the state quantity acquisition means at the time of operation and the state quantity calculated by the model state quantity calculation means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to detect the abnormality of the motor and the auxiliary equipment, And the like.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전동기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현장 관리자가 전동기의 설치 위치에 일일이 방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However, in this conventional technology,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a field manager has to visi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electric motor in order to check the operation state of the electric motor.

또한, 전동기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복잡한 계산이 필요하고 그에 따른 구성 요소도 추가되어야 하며, 추후에 유지 보수를 위한 점검 시간과 투입 인력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complicated calculations are required to check the operation state of the electric motor, and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must be added, an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inspection time and input labor are required for the maintenance in the future.

또한, 전동기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는 장치에 공급되는 별도의 추가 전원이 필요하므로, 전원 케이블 구매와 설치, 그리고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a separate additional power supply is required to be supplied to the device for check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electric motor, which requires the purchase and installation of a power cable and cost.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734478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34478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89793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89793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15977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115977

본 출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현장 관리자가 전동기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전동기에 가까이 접근할 필요 없이, 전동기 주변에서 전동기의 동작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easily confirming the operation state of an electric motor near a motor without requiring a field manager to approach the electric motor in order to check the operation state of the electric motor I want to.

또한, 별도의 추가 전원을 사용하지 않는 무전원으로 전동기의 동작 상태를 확인 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Also, it is intended to provide a method for confirm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motor by a non-power source which does not use any additional power sour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출원은 본체, 본체에 수용되어 전동기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고, 감지된 진동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진동 압전 센서, 본체에 수용되어 전기 에너지를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부, 본체에 수용되어 변환된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직류 전원 출력부 및 출력된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전동기의 동작 상태를 알리는 동작 상태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application is directed to a piezoelectric vibration sensor which is housed in a main body, detects a vibration generated from an electric motor, converts the sensed vibration into electric energy, A DC power output unit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DC power, and an operation state informing unit inform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motor using the DC power outputted from the DC power supply unit.

이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압전 센서는 강성(stiffness)을 가지는 금속막 및 금속막의 상면에 접착제로 코팅된 압전막을 포함하되, 금속막은 일단이 고정 부재에 의해 기판에 고정되는 압전 캔틸레버(Piezoelectric Cantilever) 구조를 가지며, 외부로부터 진동이 인가되면, 금속막의 변형에 따른 압전막의 변형에 의해 전기 에너지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ibration-type piezoelectric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metal film having stiffness and a piezoelectric film coated with an adhesiv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etal film, wherein the metal film is a piezoelectric cantilever whose one end is fixed to the substrate by a fixing member Cantilever structure. When vibration is applied from the outside, electric energy is generated by deformation of the piezoelectric film due to deformation of the metal film.

이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장 관리자가 전동기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전동기에 가까이 접근할 필요 없이, 전동기 주변에서도 전동기의 동작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 field manager can easily confirm the operation state of the electric motor in the vicinity of the electric motor without having to approach the electric motor in order to check the operation state of the electric motor.

또한, 전동기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소비되는 점검 시간과 투입 인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Also, the checking time and the input attraction force consumed for check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electric motor can be reduced.

또한, 추가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진동으로 직접 생산해 내는 자가 발전 전원을 사용하여 전동기의 동작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전원 케이블 구매와 설치에 소요되는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of purchasing and installing the power cable by check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motor by using the self-generated power source that directly produces the vibration without using the additional power source.

이 출원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출원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 of this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effects set forth above, but includes all conceivable effects from the description of the application or from the composition of the items recited in the claims.

도 1은 이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압전센서를 이용한 전동기 동작상태 확인장치의 적용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진동압전센서를 이용한 전동기 동작상태 확인장치의 내부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3a는 이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압전 센서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3b는 이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압전 센서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이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압전 센서의 사시 분해도.
도 5는 이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압전 센서의 사시도.
도 6은 이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압전센서를 이용한 전동기 동작상태 확인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7은 이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압전센서를 이용한 전동기 동작상태 확인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8은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압전센서를 이용한 전동기 동작상태 확인장치의 적용을 도시한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n application of an apparatus for checking the operation state of a motor using a vibra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side of a device for checking the operation status of a motor using the vibration sensor shown in FIG.
FIG. 3A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vibration-type piezoelectric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
3B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vibration-type piezoelectric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is application.
4 is a perspective exploded view of a vibrating piezoelectric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is applica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vibrating piezoelectric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is application.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checking the operation state of a motor using a vibra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checking the operation state of a motor using a vibration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8 is a view showing an application of an apparatus for checking the operation state of a motor using a vibra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이 고안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 출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is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application, however,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thu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그리고 도면에서 이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lik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no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이 출원 기술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이 출원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압전센서를 이용한 전동기 동작상태 확인장치의 적용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진동압전센서를 이용한 전동기 동작상태 확인장치의 내부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n application of an apparatus for checking the operation state of a motor using a vibration piezoelectric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of an apparatus for checking the operation state of a motor using the vibration- Fig.

이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압전센서를 이용한 전동기 동작상태 확인장치(이하, ‘전동기 동작상태 확인장치’라 칭함)(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압 또는 저압 전동기(이하, ‘전동기’라 칭함)(10)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1, an apparatus for checking the operation state of an electric motor 100 using a vibra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igh-voltage or low-voltage electric mot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 electric motor ") 10.

참고로, 전동기(10)에 직접적인 부착이 곤란한 경우, 전동기 동작상태 확인장치(100)는 전동기(10) 주변의 정션 박스(junction box)에 부착될 수도 있다.For reference, when it is difficult to directly attach to the electric motor 10, the electric motor operation state checking device 100 may be attached to a junction box around the electric motor 10.

도 2를 참고하면, 전동기(10)에 부착된 전동기 동작상태 확인장치(100)는 별도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진동 압전 센서(120)가 전동기(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감지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며, 생산된 전기 에너지는 정류부(130)를 통해 직류 전원으로 변환된 후 직류 전원 출력부(140)를 통해 램프와 같은 동작 상태 알림부(150)로 공급되어 동작 상태 알림부(150)를 발광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apparatus 100 for detect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ctric motor 100 may detect the vibration transmitted from the electric motor 10 by the vibration sensor 120, And the generated electric energy is converted into direct current power through the rectifying unit 130 and then supplied to the operation state informing unit 150 such as a lamp through the direct current power output unit 140 to be supplied to the operation state informing unit 150, .

즉, 전동기(10)가 정상적으로 동작(일정한 진동 세기와 주파수가 출력)하는 경우 전동기 동작상태 확인장치(100)는 동작 상태 알림부(150)를 발광시키고, 전동기(10)가 동작이 중단된 경우 전동기 동작상태 확인장치(100)의 동작 상태 알림부(150)는 더 이상 발광되지 않으므로, 전동기(10)의 동작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motor 10 normally operates (the constant vibration intensity and the frequency are output), the motor operation state checking device 100 causes the operation state informing part 150 to emit light. When the operation of the motor 10 is stopped The operation state notification unit 150 of the motor operation state checking apparatus 100 can no longer emit light so that the operation state of the motor 10 can be easily confirmed.

참고로, 전동기 동작상태 확인장치(100)는 전동기(1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생성되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동기 동작상태 확인장치(100)에 포함된 축전지(미도시)에 전기 에너지를 충전할 수도 있다.For reference, the electric motor operation state checking apparatus 100 charges electric energy (not shown) in a battery (not shown) included in the motor operation state checking apparatus 100 using electric energy generated in a state where the electric motor 10 normally operates You may.

그리고 전동기 동작상태 확인장치(100)에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이 포함되는 경우, 전동기 동작상태 확인장치(100)는 축전지(미도시)에 충전된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와이파이나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전동기(10)의 동작 상태를 관리자의 단말기(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electric motor operation state checking device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the electric motor operation state checking device 100 detects the operation stat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by using electric energy charged in a battery To transmit the operating state of the motor 10 to a terminal (not shown) of the manager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Wi-Fi or Bluetooth.

이하, 도 3a, 도 3b,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전동기 동작상태 확인장치(100)의 구성 중 진동 압전 센서(120)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vibration-type piezoelectric sensor 120 in the configuration of the motor operation state checking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A, 3B, 4 and 5. FIG.

도 3a 및 도 3b는 이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압전 센서(12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3a는 진동 압전 센서(120)의 평면도이고 도 3b는 진동 압전 센서의 측면도이다.3A and 3B ar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a vibration-type piezoelectric sensor 12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rein FIG. 3A is a plan view of the vibration-type piezoelectric sensor 120 and FIG. 3B is a side view of the vibration-type piezoelectric sensor.

이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압전 센서(120)는 금속막(121), 압전막(122) 및 고정 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vibration-type piezoelectric sensor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include a metal film 121, a piezoelectric film 122, and a fixing member 123.

먼저, 금속막(121)은 강성(stiffness)을 가지며, 금속막(121)의 상면에는 압전막(122)이 접착제로 코팅될 수 있고, 압전막(122)에는 (+)와 (-)극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캔틸레버 구조로 결합부(124a)에 고정 설치되는 판형의 금속막(121) 상부에는 압전막(122)이 설치되는데, 이 압전막(122)은 도 3a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전극이 연결되는 +전극 압전막(122a)과 -전극이 연결되는 -전극 압전막(122b)이 상호 조립된 상태에서 접착제에 의해 금속막(121)에 부착된다. 한편, 금속막(121)에 압전막(122)이 부착 설치되는 과정에서 압전막(122) 주위에는 접착제로 코팅이 됨으로써 도 3a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코팅층(122d)이 형성된다. 또한, 압전막(122)은 +전극 압전막(122a)의 일측에 -전극의 연결을 위해 -전극 압전막(122b)의 일부가 반원의 형상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호형상의 간격(122c)이 형성된 구조로 형성된다.The metal film 121 has stiffness and the piezoelectric film 122 can be coated with an adhesiv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etal film 121 and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Can be formed. To this end, as shown in the figure, a piezoelectric film 122 is provided on a plate-shaped metal film 121 fixed to the coupling part 124a with a cantilever structure, The + electrode piezoelectric film 122a to which the + electrode is connected and the-electrode piezoelectric film 122b to which the - electrode is connected are adhered to the metal film 121 by the adhesive in the assembled state. Meanwhile, in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piezoelectric film 122 to the metal film 121, a coating layer 122d is formed by coating with the adhesive around the piezoelectric film 122, as shown in FIG. 3A. The piezoelectric film 122 has an arcuate space 122c so that a part of the electrode piezoelectric film 122b may be exposed in a semicircular shape for connecting the electrode to one side of the positive electrode film 122a .

또한, 진동 압전 센서(120)는 금속막(121)의 일단이 고정 부재(123)에 의해 진동 감지 장치(100)의 기판(112)에 고정되는 압전 캔틸레버(Piezoelectric Cantilever)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vibrating piezoelectric sensor 120 may have a piezoelectric cantilever structure in which one end of the metal film 121 is fixed to the substrate 112 of the vibration sensing device 100 by a fixing member 123.

여기서 금속막(121)의 일단에는 고정 부재(123)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121a)이 형성될 수 있으며, 금속막(121)의 결합공(121a)을 관통한 고정 부재(123)는 전동기 동작상태 확인장치(100)의 기판(112)(예를 들어 기판에 돌출되어 형성된 결합부(112a))에 결합되어 캔틸레버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참고로, 고정 부재(123)는 볼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fixing member 123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metal film 121. The fixing member 123 penetrates through the coupling hole 121a of the metal film 121, Can be coupled to the substrate 112 (for example, the coupling portion 112a protruding from the substrate) of the operation state checking apparatus 100 to maintain the cantilever shape. For reference, the fixing member 123 may include a bolt or the like.

외부로부터 진동이 인가되면, 진동에 의해 금속막(121)이 변형되고, 금속막(121)의 변형에 따른 압전막(122)의 변형에 의해 전기 에너지가 생성될 수 있다.When external vibration is applied, the metal film 121 is deformed by vibration, and electrical energy can be generated by deformation of the piezoelectric film 122 as the metal film 121 is deformed.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진동 압전 센서(120)의 사시 분해도이다.4 is a perspective exploded view of the vibration-type piezoelectric sensor 120 shown in FIG.

금속막(121)의 상면에 압전막(122)이 배치되며, 금속막(121)의 일단에는 고정 부재(123)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121a)이 형성되어 있다.A piezoelectric film 122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etal film 121 and a coupling hole 121a is formed on one end of the metal film 121 for coupling with the fixing member 123.

그리고 전동기 동작상태 확인장치(100)의 기판(112)과 금속막(121) 사이에 위치하여 금속막(121)이 기판(112)에 고정되도록 하는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124)가 진동 압전 센서(120)에 더 포함할 수도 있다.A base plate 124 is disposed between the substrate 112 and the metal film 121 of the apparatus 100 to fix the metal film 121 to the substrate 112. The base plate 124, Sensor 120 as shown in FIG.

고정 부재(123)는 금속막(121)의 결합공(121a)을 관통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24)에 결합될 수 있다.The fixing member 123 may be coupled to the base plate 124 through the coupling hole 121a of the metal film 121. [

여기서 베이스 플레이트(124)에는 고정 부재가 결합(123)되는 위치에 진동 압전 센서(120)가 캔틸레버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일정 높이의 결합부(124a)가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base plate 124 may be provided with a coupling portion 124a having a constant height for allowing the vibration sensor 120 to maintain a cantilever shape at a position where the fixing member 123 is coupled.

참고로, 도 4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금속막(121)의 타단은 질량을 가지는 물체(proof mass)가 부착된 유니몰프(unimorph) 또는 바이몰프(bimorph) 타입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4, the other end of the metal film 121 may have a shape of a unimorph or bimorph type with a mass having a proof mass attached thereto.

도 5는 이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압전 센서(120)의 사시도로서, 탄성 부재(125)가 더 포함된 경우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 vibration-type piezoelectric sensor 1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which the elastic member 125 is further included.

탄성 부재(125)는 일단이 베이스 플레이트(124)에 결합되고, 타단이 금속막(121)의 일단에 결합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진동이 인가되면, 진동 압전 센서(120)의 진동을 극대화하여 전기 에너지가 용이하게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125 has one end coupled to the base plate 124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one end of the metal film 121 so that the vibration of the piezoelectric sensor 120 is maximized, Can be easily generated.

도 6은 이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동작상태 확인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motor operation state chec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이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동작상태 확인장치(100)는 본체(110), 진동 압전 센서(120), 정류부(130), 직류 전원 출력부(140) 및 동작 상태 알림부(1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구성 요소들은 본체(110)의 내부에 배치된 전동기 동작상태 확인장치(100)의 기판(112) 상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The apparatus for checking the operation state of an electric mo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10, a vibration sensor 120, a rectifier 130, a DC power output unit 140, And the components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substrate 112 of the motor operating condition determining device 100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110. [

각 구성 요소를 설명하면, 본체(110)는 전동기 동작상태 확인장치(100)의 상기 구성 요소들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외부의 충격과 오염으로부터 상기 구성 요소들을 보호할 수 있다.Describing each component, the main body 110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components of the motor operation state checking device 100 are accommodated, and can protect the components from external shocks and contamination.

참고로, 본체의 뒷면에는 전동기 동작상태 확인장치(100)가 전동기(10)의 일면에 거치되도록 하는 복수의 거치 자석(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For reference, a plurality of stationary magnets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motor operation state checking device 100 is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motor 10. [

한편, 진동 압전 센서(120)는 전동기(10)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고, 감지된 진동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ibration sensor 120 can sense the vibration generated from the motor 10 and convert the sensed vibration into electric energy.

진동 압전 센서(120)의 적합한 소재는 압전 세라믹(Piezo Ceramic), 고분자(Polymer) 또는 이들이 적절히 배합된 합성물(Composite)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에너지 변환 효율의 극대화를 위해 설계된 진동 압전 소자와 단위 모듈, 그리고 최적의 매칭(Matching) 회로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A suitable material of the vibration sensor 120 may include a piezoelectric ceramic, a polymer, or a composite material thereof. The vibration piezoelectric device and the unit module, which are designed for maximizing energy conversion efficiency, , And an optimal matching circuit.

또한, 진동 압전 센서(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 캔틸레버(Piezoelectric Cantilever)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ibrating piezoelectric sensor 120 may include a piezoelectric cantilever structure as shown in FIG.

진동 압전 센서(120)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 있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The structure of the vibration-type piezoelectric sensor 120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nd FIG.

참고로, 진동 압전 센서(120)의 진동 주파수는 전동기(10)의 진동 주파수와 일치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reference, it is preferable that the vibration frequency of the vibration-type piezoelectric sensor 120 is set to coincide with the vibration frequency of the electric motor 10.

전동기(10)가 상시 운전 상태인 경우, 진동 압전 센서(120)에 가해지는 진동 외력의 주파수 파형은 일정(예를 들어 120hz)하며, 진동 세기와 진동 주파수를 전동기(10)에 대응되도록 설정한 진동 압전 센서(120)는 전동기(10)가 멈추지 않는 한 지속적으로 전기 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When the motor 10 is in the normal operation state, the frequency waveform of the vibratio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vibration sensor 120 is constant (for example, 120 Hz), and the vibration intensity and the vibration frequency are set to correspond to the electric motor 10 The vibration-type piezoelectric sensor 120 can continuously generate electric energy as long as the electric motor 10 does not stop.

한편, 정류부(130)는 진동 압전 센서(120)에서 생성된 자가 발전 전원, 즉, 전기 에너지를 직류로 변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ctifying unit 130 can convert the self-generated power generated by the vibration sensor 120, that is, electric energy into direct current.

진동 압전 센서(120)의 (+), (-)극의 출력은 그대로 정류부(130)로 연결이 되어 직류 전원(예를 들어 DC 2~5V)으로 변환될 수 있다.The outputs of the (+) and (-) poles of the vibration sensor 120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rectifier 130 and converted into a DC power source (for example, DC 2 to 5 V).

한편, 직류 전원 출력부(140)는 정류부(130)에서 변환된 직류 전원을 출력할 수 있으며, 출력된 직류 전원은 동작 상태 알림부(150)로 공급되어 동작 상태 알림부(150)가 빛을 발산하도록 할 수 있다.The DC power output unit 140 may output the DC power converted by the rectifier unit 130 and the DC power may be supplied to the operation status notification unit 150 so that the operation status notification unit 150 It can be diverted.

한편, 동작 상태 알림부(150)는 전동기(10)의 동작 여부를 표시할 수 있으며, 고휘도 LED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구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state informing unit 150 may indicate whether the electric motor 10 is operating or not, and may include a high-brightness LED or a generally used light bulb.

즉, 동작 상태 알림부(150)는 전동기(1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전술한 진동 압전 센서(120), 정류부(130) 및 직류 전원 출력부(140)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빛을 발산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electric motor 10 normally operates, the operation state informing unit 150 uses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vibration piezoelectric sensor 120, the rectifying unit 130, and the DC power output unit 140 to continuously Can radiate light.

그러나, 전동기(10)의 동작이 중단되는 경우, 진동 압전 센서(120)가 전동기로부터 더 이상 진동을 감지할 수 없어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지 못하므로, 정류부(130) 및 직류 전원 출력부(1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못해 빛을 발산할 수 없다.However, when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motor 10 is interrupted, the vibration sensor 120 can not detect any more vibration from the electric motor and thus can not generate electric energy. Therefore, the rectifier 130 and the DC power output unit 140, It can not emit light.

또한, 동작 상태 알림부(150)는 상기 고휘도 LED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구뿐만 아니라 스피커와 같은 소리 출력 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state informing unit 150 may further include sound output means such as a speaker as well as the high-brightness LED or a generally used light bulb.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동작상태 확인장치(100)는 전자 노이즈가 발생되지 않을 뿐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별도의 전원이 필요 없는 무전원의 자가 발전 방식으로 전기 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lectric motor operation state check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n electric power non-power generating system which can not only generate no electromagnetic noise bu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Can be generated

또한, 현장 관리자가 전동기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전동기에 가까이 접근할 필요 없이, 전동기 주변에서도 전동기의 동작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전동기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소비되는 점검 시간과 투입 인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eld manager can easily confirm the operation state of the electric motor around the electric motor without needing to approach the electric motor in order to check the operation state of the electric motor, the check time consumed to check the operation state of the electric motor, Can be reduced.

도 7은 이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동작상태 확인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FIG.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motor operation state check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이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동작상태 확인장치(100)는 본체(110), 진동 압전 센서(120), 정류부(130), 직류 전원 출력부(140), 동작 상태 알림부(150), 축전지(160) 및 무선 통신부(17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구성 요소들은 본체(110)의 내부에 배치된 전동기 동작상태 확인장치(100)의 기판(112) 상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The apparatus for checking the operation state of an electric mo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10, a vibration sensor 120, a rectifier 130, a DC power output unit 140, A battery 160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0. The components may be disposed on the substrate 112 of the apparatus 100 for detect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motor 100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110,

참고로, 축전지(160)와 무선 통신부(170)는 기판(112) 상에 배치될 수 있으나,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를 설명하기 위해 도 7과 같이 도시하였다.For reference, the battery 16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0 may be disposed on the substrate 112, but are illustrated in FIG. 7 to illustrate the difference from the embodiment shown in FIG.

도 7에 도시된 상기 구성 요소 중 본체(110), 진동 압전 센서(120), 정류부(130), 직류 전원 출력부(140) 및 동작 상태 알림부(150)는 도 6에 도시된 구성 요소와 동일하며, 축전지(160)와 무선 통신부(170)가 더 추가된 형태이다.The main body 110, the vibration sensor 120, the rectifying unit 130, the DC power output unit 140, and the operating status informing unit 150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 7 are connected to the components shown in FIG. 6 And the battery 16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0 are further added.

직류 전원 출력부(140)로부터 출력된 전원은 동작 상태 알림부(150)로 공급되어 빛을 발산시킬 수도 있지만, 축전지(160)에 전기 에너지를 충전할 수도 있다.The power output from the DC power output unit 140 may be supplied to the operation state notification unit 150 to emit light, but the battery 160 may be charged with electric energy.

참고로, 동작 상태 알림부(150)가 상기 고휘도 LED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구뿐만 아니라 스피커와 같은 소리 출력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경우, 진동 감지 장치(100)의 제어부(미도시)는 축전지(160)에 충전된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동작 상태 알림부(150)의 스피커를 통해 전동기(10)의 동작이 중단되었음을 알릴 수도 있다.When the operation state notification unit 150 further includes sound output means such as a speaker as well as the high-brightness LED or a generally used light bulb, a control unit (not shown) of the vibration sensing apparatus 100 may be connected to the battery 160 The operation state notification unit 150 may notify the user that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motor 10 has been interrupted.

또한, 무선 통신부(170)는 축전지(160)에 충전된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와이파이나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전동기(10)의 동작 상태를 관리자의 단말기(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0 can transmit the operation state of the motor 10 to a terminal (not shown) of the manager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Wi-Fi or Bluetooth using the electric energy charged in the battery 160.

이를 위해, 전동기 동작상태 확인장치(100)의 제어부(미도시)는 진동 압전 센서(120)에서 더 이상 전동기(10)의 진동을 감지하지 못하거나, 동작 상태 알림부(150)의 빛이 더 이상 발산되지 않는 경우, 전동기(10)가 동작하지 않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미리 설정된 관리자의 단말기(미도시)로 무선 통신부(170) 통해 전송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control unit (not shown) of the motor operation state checking apparatus 100 may not detect the vibration of the electric motor 10 by the vibration sensor 120, A message informing that the electric motor 10 is not operating can be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0 to a predetermined terminal (not shown) of the manager.

물론, 전동기(1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에도, 주기적으로 동작 상태를 관리자의 단말기(미도시)로 전송함으로써 관리자가 수시로 전동기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Of course, even when the electric motor 10 normally operates, the operation state of the electric motor can be confirmed from time to time by the manager periodically transmitting the operation state to the terminal (not shown) of the manager.

참고로, 무선 통신부(170)의 무선 통신 방식은 상기 와이파이나 블루투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서 이동 통신망(3G, LTE)을 이용할 수도 있다.For referenc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0 is not limited to the Wi-Fi and the Bluetooth, but may be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3G, L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8은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동작상태 확인장치(100)의 적용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8 is a diagram showing an application of the device operation state check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동작 상태 알림부(1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일면에 일체형으로 결합될 수도 있고, 본체(110)와 소정 길이의 전선으로 연결되어 관리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8, the operation state informing unit 150 may be integrally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110 through a wir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s shown in FIG.

즉, 전동기(10)가 개방된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 전동기(10)의 일면에 거치된 전동기 동작상태 확인장치(100)의 동작 상태 알림부(150)는 관리자에 의해 용이하게 발견될 수 있지만, 주변 시설이나 기타 장애물로 인해 전동기(10)에 대한 시야 확보가 곤란한 경우, 동작 상태 알림부(150)를 본체(110)로부터 소정 길이의 전선으로 연결하여 관리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electric motor 10 is in the open position, the operation state notification unit 150 of the motor operation state checking device 100, which is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electric motor 10, The operation status notification unit 150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10 by a wir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manager can easily check the operation status of the motor 10 due to surrounding facilities or other obstacles can do.

전술한 이 출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이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이 출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applica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application belongs may understand that other embodiments may be readily devis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is application will be.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이 출원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이 출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a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is application.

100 : 전동기 동작상태 확인장치 110 : 본체
120 : 진동 압전 센서 121 : 금속막
121a : 결합공 122 : 압전막
123 : 고정 부재 124 : 베이스 플레이트
124a : 결합부 130 : 정류부
140 : 직류 전원 출력부 150 : 동작 상태 알림부
160 : 축전지 170 : 무선 통신부
100: motor operating condition check device 110:
120: Vibrating Piezoelectric Sensor 121: Metal Film
121a: bonding hole 122: piezoelectric film
123: fixing member 124: base plate
124a: Coupling portion 130:
140: DC power output unit 150: Operation status notification unit
160: Storage battery 170:

Claims (5)

전동기가 설치된 현장에서 상기 전동기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여 상기 전동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전동기 동작상태 확인장치에 있어서,
상자 형상으로 상기 전동기의 일면에 부착을 위한 복수의 거치 자석이 일측에 설치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일측에 결합부가 형성된 기판;
상기 기판에 형성된 결합부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일측에는 일정 높이 돌출된 결합부가 각각 형성된 복수의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결합부 각각에 일단이 캔틸레버 구조로 고정 설치되며 판형으로 강성을 가지는 복수의 금속막, +전극 압전막과 -전극 압전막이 상호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금속막 상에 부착 설치되되 상기 +전극 압전막의 일측에는 -전극의 연결을 위해 상기 -전극 압전막의 일부가 반원형으로 노출되도록 호형상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압전막 및 상기 복수의 압전막이 상기 금속막에 부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압전막 주위는 접착제로 코팅되도록 하여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하며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에 수용되어 상기 전동기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고 상기 전동기로부터 감지된 진동이 전기 에너지로 변환될 수 있도록 상기 전동기의 진동 주파수와 일치하는 진동 주파수로 설정된 복수의 진동 압전 센서;
상기 각각의 금속막이 대응하는 상기 각각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각각의 결합부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설치되는 고정 부재;
일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금속막의 일측에 결합되는 탄성부재;
상기 본체에 수용되며 상기 각각의 진동 압전 센서에서 발생한 전기 에너지를 직류로 변환하는 복수의 정류부;
상기 본체에 수용되며 상기 각각의 정류부에서 변환된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직류 전원 출력부; 및
상기 직류 전원 출력부에서 출력된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전동기의 동작 상태를 알리는 동작 상태 알림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압전센서를 이용한 전동기 동작상태 확인장치.
An apparatus for checking an operation state of a motor for detecting a vibration occurring in the motor at a site where the motor is installed to check whether the motor operates normally,
A body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tationary magnets for mounting on one surface of the electric motor in a box shape;
A substrate provided inside the body and having a coupling part on one side;
A plurality of base plat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joint portion formed on the substrate,
A plurality of metal films each having a plate-shaped rigidity fixed to one end of each of the coupling portions of the base plate, the positive electrode piezoelectric film and the negative electrode piezoelectric film being adhered to each other on the metal film, A plurality of piezoelectric films formed on the one side of the + electrode piezoelectric film with arcs spaced so as to expose a part of the-electrode piezoelectric film in a semicircular shape for connection of the negative electrode, and a plurality of piezoelectric films, And a coating layer formed around the piezoelectric film so as to be coated with an adhesive, wherein the coating layer is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and detects vibrations generated from the electric motor and converts the vibration sensed by the electric motor into electric energy A plurality of vibration piezoelectric sensors set to a vibration frequency coinciding with the vibration frequency of the motor ;
A fixing member installed so that each of the metal films is fixed to each of the coupling portions formed on the corresponding base plate;
An elastic membe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base plate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one side of the metal film;
A plurality of rectifying units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and converting electric energy generated in the respective vibration piezoelectric sensors into direct current;
A DC power output unit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and outputting DC power converted by each of the rectifying units; And
An operation state informing unit inform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electric motor by using the direct current power outputted from the direct current power output unit; And a controller for detect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motor using the vibration sens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상태 알림부는 상기 본체의 일면에 결합하거나, 상기 본체와 소정 길이의 전선으로 연결되되, 빛 및 소리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전동기의 동작 상태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압전센서를 이용한 전동기 동작상태 확인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ration state informing unit is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or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by a wire of a predetermined length and informs the operation state of the motor by using at least one of light and sound, Operation status check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수용되며 상기 출력된 직류 전원을 충전하는 축전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압전센서를 이용한 전동기 동작상태 확인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battery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and charging the output DC power; Further comprising a vibra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moto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수용되며, 상기 축전지에 충전된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전동기의 동작 상태를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압전센서를 이용한 전동기 동작상태 확인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and transmitt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motor to a terminal of a manager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ing electric energy charged in the battery; Further comprising a vibra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moto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상태 알림부는 상기 전동기의 동작이 중단되면, 상기 축전지에 충전된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전동기의 동작이 중단되었음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압전센서를 이용한 전동기 동작상태 확인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operation state informing unit informs that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motor is stopped by using the electric energy charged in the battery when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motor is stopped.
KR2020170001677U 2017-04-05 2017-04-05 Apparatus for checking activity state of motor using piezo-electric vibration sensor KR20170002137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677U KR20170002137U (en) 2017-04-05 2017-04-05 Apparatus for checking activity state of motor using piezo-electric vibration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677U KR20170002137U (en) 2017-04-05 2017-04-05 Apparatus for checking activity state of motor using piezo-electric vibration senso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3790 Division 2017-03-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137U true KR20170002137U (en) 2017-06-16

Family

ID=59240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677U KR20170002137U (en) 2017-04-05 2017-04-05 Apparatus for checking activity state of motor using piezo-electric vibration sen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2137U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3324B1 (en) 2018-04-10 2018-08-29 김홍섭 Equipment operation status monitoring device using piezoelectric elements
KR20220048321A (en) * 2020-10-12 2022-04-19 한국원자력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y monitoring using powerless vibration sensor
KR102410123B1 (en) 2021-06-30 2022-06-22 김홍섭 Real-time monitoring system including Iot smart device using vibro-piezoelectric element
KR102638213B1 (en) * 2023-06-29 2024-02-19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Warning apparatus and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478B1 (en) 2006-08-21 2007-07-03 주식회사 대영 Electric motor scale remote control device
KR20130115977A (en) 2012-04-13 2013-10-22 도시바 미쓰비시덴키 산교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Apparatus for preventive maintenance of motor
KR101389793B1 (en) 2012-11-21 2014-04-29 네오피스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analyzing mo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478B1 (en) 2006-08-21 2007-07-03 주식회사 대영 Electric motor scale remote control device
KR20130115977A (en) 2012-04-13 2013-10-22 도시바 미쓰비시덴키 산교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Apparatus for preventive maintenance of motor
KR101389793B1 (en) 2012-11-21 2014-04-29 네오피스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analyzing moto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3324B1 (en) 2018-04-10 2018-08-29 김홍섭 Equipment operation status monitoring device using piezoelectric elements
KR20220048321A (en) * 2020-10-12 2022-04-19 한국원자력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y monitoring using powerless vibration sensor
KR102410123B1 (en) 2021-06-30 2022-06-22 김홍섭 Real-time monitoring system including Iot smart device using vibro-piezoelectric element
KR102638213B1 (en) * 2023-06-29 2024-02-19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Warning apparatus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02137U (en) Apparatus for checking activity state of motor using piezo-electric vibration sensor
KR100837926B1 (en) Power generator using piezoelectric material
US20090103704A1 (en) Vo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wiring system using the same device
CA2659839A1 (en) Vibration power generation
CA2778950A1 (en) Nonlinear oscillator for vibration energy harvesting
KR100691796B1 (en) Vibration generator using permanent magnet and piezoelectric ceramics and generating method using thereof
JP2010115062A (en) Generating set and electronic equipment
JP2016174487A (en) Vibration power generator and floor damping structure using the same and vibration detector
CN113358071A (en) Self-powered bridge structure displacement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US7948215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ower generation in enclosures
Huet et al. Tunable piezoelectric vibration energy harvester with supercapacitors for WSN in an industrial environment
JP2014169054A (en) On-vehicle electric equipment device
KR101332006B1 (en) Omnidirectional vibration based energy harvester
JP7361300B2 (en) Power generator and transmitter
FR2938657B1 (en) METHOD FOR MONITORING THE VOLTAGE OF AN ELECTRIC POWER GENERATING ELEMENT OF A BATTERY
TW200714492A (en) System and method for harvesting electric power from a rotating tire's acoustic energy
JP2015111091A (en) Sensor device and abnormality detection system
JP2014232046A (en) Power generation device, building diagnosis device and building diagnosis system
JP2007187512A (en) Monitoring device and monitoring system
CN213185925U (en) Power generation device and health monitoring equipment using same
JP6067260B2 (en) Vibration power generation circuit,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and wireless sensor
KR20130005445A (en) Power generation apparatus using piezoelectric element
WO2017099458A1 (en) Vibration piezoelectric sensor and device for checking motor operating state by using same
KR100913333B1 (en) Resonance type energy harvester using piezoelectric film
US20200169193A1 (en) An accessory system and a method of powering an accesso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