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121A - 전기화학법을 이용한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 및 이에 의한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 - Google Patents

전기화학법을 이용한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 및 이에 의한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121A
KR20170002121A KR1020150092131A KR20150092131A KR20170002121A KR 20170002121 A KR20170002121 A KR 20170002121A KR 1020150092131 A KR1020150092131 A KR 1020150092131A KR 20150092131 A KR20150092131 A KR 20150092131A KR 20170002121 A KR20170002121 A KR 20170002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um oxide
nanofibers
aluminum
nanofiber
working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2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7255B1 (ko
Inventor
김철생
박찬희
김인기
신명선
김정인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92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7255B1/ko
Publication of KR20170002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45Oxides or hydroxides of elements of Groups 3 or 13 of the Periodic Table; Alumi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3/00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 C25D3/0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 C25D3/4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light metals
    • C25D3/44Aluminiu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0/00Phys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ultrasonic, corona discharge, irradiation,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8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metals; with metal-generat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on tex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 Cell Separator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전기화학법을 이용한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 및 이에 의한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화학법을 이용한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은, 기준 전극(RE), 상대 전극(CE) 및 알루미늄을 포함한 작업 전극(WE)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작업 전극에 나노섬유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세 전극을 각각 산성 수용액에 침지하는 단계; 및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나노섬유에 알루미늄 산화 피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화학법을 이용한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 및 이에 의한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METHOD FOR FORMING ALUMINUM OXIDE NANOFIBERS USING ELECTROCHEMISTRY PROCESS AND ALUMINUM OXIDE NANOFIBERS THEREBY}
본 발명은 전기화학법을 이용한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 및 이에 의한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화학법을 이용하여 나노섬유에 알루미늄 산화 피막을 형성시켜 우수한 전도성을 가지는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를 제조할 수 있는 전기화학법을 이용한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 및 이에 의한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에 관한 것이다.
나노섬유(nanofibers)는 지름이 수십에서 수백 나노미터에 불과한 초극세실로서, 고분자 화합물 등을 이용하여 자기결합방법(self-assembly), 상분리방법(phase separation), 전기방사법(electrospinning) 등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나노섬유를 기반으로 하는 전자 소자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섬유의 신축성과 직조의 가능성, 넓은 표면적, 표면 처리의 다양성, 복합 재료 구성의 용이성과 같은 다양한 장점으로 인하여 많은 전자 소자 시장을 대체할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텍스타일 태양전지, 신축성 트랜지스터, 신축성 디스플레이, 외부 자극형 약물 전달, 바이오 센서 및 가스 센서, 광조절 기능성 섬유 등 많은 분야에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섬유에 도전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섬유의 원사 제조 시 방사액에 도전성 물질을 혼합하는 방법, 도전성 물질을 스퍼터링 등의 방법으로 코팅하는 방법, 유기성 전도성 물질(전도성 고분자(pyrrole, PEDOT), 전도성 잉크, 도료) 등의 피막을 형성하는 방법, 금속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 등을 이용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4-0128528호 (2014.11.06. 공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기화학법을 이용하여 나노섬유에 알루미늄 산화 피막을 형성시켜 우수한 전도성을 가지는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를 제조할 수 있는 전기화학법을 이용한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 및 이에 의한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화학법을 이용한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은, 기준 전극(Reference electrode, RE), 상대 전극(Counter electrode, CE) 및 알루미늄을 포함한 작업 전극(Working electrode, WE)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작업 전극에 나노섬유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세 전극을 각각 산성 수용액에 침지하는 단계; 및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나노섬유에 알루미늄 산화 피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극을 준비하는 단계는, Ag/AgCl로 이루어진 기준 전극, 백금(Pt)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진 상대 전극, 수정판(Quartz crystal) 형태로 이루어진 작업 전극을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 전극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수정판에 알루미늄 포일(foil)을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 전극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수정판에 알루미늄 박막을 증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섬유를 배치하는 단계는, 중합체를 용매에 분산시켜 방사 용액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방사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상기 나노섬유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성 수용액에 침지하는 단계는, 황산의 몰 농도가 0.001 내지 0.1M인 황산 수용액에 침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알루미늄 산화 피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전극 및 작업 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상대 전극에서 환원 반응이 발생하고, 상기 작업 전극에서 산화 반응이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알루미늄의 산화에 의해 상기 나노섬유의 표면에 알루미늄 산화 피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는, 상술한 전기화학법을 이용한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나노섬유는, 폴리우레탄(PU),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polymethyl acrylate, PMA), 폴리아크릴 공중합체, 폴리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PVAc),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PVP), 폴리비닐알콜(polymethyl alcohol, PVA), 폴리퍼퓨릴알콜(PPFA), 폴리스티렌(PS), 폴리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EO),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PPO),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비닐풀루오라이드, 폴리비닐리덴풀루오라이드 공중합체,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polyacrylonitrile, PAN),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PVA),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아닐린(polyaniline, PANI),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chloride, PVC),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PVDF),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셀룰로오스(cellulose),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acetate butyrate)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화학법을 이용하여 나노섬유에 알루미늄 산화 피막을 형성시켜 전도성을 가지는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를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전기화학법을 이용하여 신축성 및 유연성이 있는 나노섬유에 낮은 저항을 가지는 알루미늄 산화 피막을 형성시켜 유연하면서 우수한 전도성을 가지는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화학법을 이용한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화학법을 이용한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화학법을 이용한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에 의해 생성되는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화학법을 이용한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를 형성하기 위한 QCM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QCM 장치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화학법을 이용한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이다.
도 8a 및 도 8b는 각각 알루미늄이 피막되지 않은 나노섬유 및 알루미늄이 피막된 나노섬유의 C-V 곡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9a는 EDS peak analysis 그래프이며, 도 9b는 eZAF Smart Quant Results 표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이루어지다(made of)"는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화학법을 이용한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화학법을 이용한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은, 기준 전극(Reference electrode, RE), 상대 전극(Counter electrode, CE) 및 알루미늄을 포함한 작업 전극(Working electrode, WE)을 준비하며(S10), 상기 작업 전극에 나노섬유를 배치하고(S20), 상기 세 전극을 각각 산성 수용액에 침지하고(S30),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나노섬유에 알루미늄 산화 피막을 형성한다(S40). 이를 통해, 전도성이 없는 나노섬유가 전도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극을 준비 시(S10), Ag/AgCl로 이루어진 기준 전극, 백금(Pt)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진 상대 전극, 수정판(Quartz crystal) 형태로 이루어진 작업 전극을 준비할 수 있다. 물론, 기준 전극, 상대 전극, 작업 전극 등은 다른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러한 3 전극 시스템에서 전류가 작업 전극과 상대 전극의 사이에서 흐르고, 작업 전극의 전위는 기준 전극을 기준으로 조절될 수 있다. 작업 전극이 Anode의 역할을 하고, 상대 전극이 Cathode의 역할을 한다. 특히, 작업 전극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데, 수정판에 알루미늄 박막을 증착 또는 수정판에 알루미늄 포일을 위치시켜 수정판에서 산화 반응이 일어나 알루미늄이 피막되도록 한다.
또한, 나노섬유의 배치 시(S20), 중합체를 용매에 분산시켜 방사 용액을 생성하고, 상기 방사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를 생성한 후, 작업 전극에 나노섬유를 배치할 수 있다. 즉, 전기방사법으로 나노섬유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PU)과 같은 중합체를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 등의 용매에 분산시켜 방사 용액을 생성하고, 상기 방사 용액을 통상적인 전기 방사 장치(미도시)로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를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 준비된 방사 용액을 1-D 로봇 시스템(1-D robot-system)에 부착된 플라스틱 주사기 튜브에 넣고, 금속 모세관 노즐을 통해 공급하고, NI(National Instrument) 사의 랩뷰 9.0 프로그램(LabVIEW 9.0 software program)에 의해 1-D 로봇 시스템이 좌우로 이동하며 전기방사할 수 있다. 물론, 전기방사법(electrospinning) 외에 자기결합방법, 상분리방법 등 다른 방법으로 나노섬유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산성 수용액에 침지 시(S30), 황산의 몰 농도가 0.001 내지 0.1M인 황산 수용액에 침지할 수 있다. 황산의 몰 농도가 0.001M 미만일 경우, 알루미늄 산화 박막이 형성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황산의 몰 농도가 0.1M을 초과할 경우, 알루미늄 산화 박막의 속도가 증가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황산 수용액에서 황산의 몰 농도가 0.05M일 수 있다.
그리고, 알루미늄 산화 피막의 형성 시(S40), 기준 전극 및 작업 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고, 상대 전극에서 환원 반응이 발생하고, 작업 전극에서 산화 반응이 발생하며, 알루미늄의 산화에 의해 나노 섬유의 표면에 알루미늄 산화 피막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전압의 인가 시에 작업 전극에서 전하를 잃어버려 산화 반응이 일어나 나노 섬유의 표면에 알루미늄 산화 피막이 형성되고, 상대 전극에서 전하를 받아서 환원 반응이 일어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화학법을 이용한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의 개념도이다. 또한,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화학법을 이용한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에 의해 생성되는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기화학법을 이용한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10)는, 용기(18)에 전해질인 산성 수용액(19)을 수용하고, 상기 산성 수용액(19)에 침지된 기준 전극(11), 상대 전극(12), 작업 전극(13)의 3전극 셀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준 전극(11)은 Ag/AgCl, 상대 전극(12)은 백금 와이어, 작업 전극(13)은 수정판을 사용할 수 있다. 작업 전극(13)은 알루미늄(15)이 위치하며, 나노 섬유(16)를 함께 산성 수용액(19)에 침지시키게 된다.
Potentiometer 등을 사용하여 기준 전극(11)에 대해 전압을 걸어 주면, 작업 전극(13)에서 알루미늄(15)의 산화 반응이 일어나 나노섬유(16)에 알루미늄 산화 피막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화 알루미늄(Al2O3)이 나노섬유(16)의 공극으로 침투하여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의 합성층을 이룰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나노섬유(16)의 표면에 알루미늄(15)이 산화되어 박막을 형성함으로써,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20)를 형성한다.
여기에서, 나노섬유(16)는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극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물질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노섬유(16)는 폴리우레탄(PU),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polymethyl acrylate, PMA), 폴리아크릴 공중합체, 폴리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PVAc),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PVP), 폴리비닐알콜(polymethyl alcohol, PVA), 폴리퍼퓨릴알콜(PPFA), 폴리스티렌(PS), 폴리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EO),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PPO),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비닐풀루오라이드, 폴리비닐리덴풀루오라이드 공중합체,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polyacrylonitrile, PAN),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PVA),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아닐린(polyaniline, PANI),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chloride, PVC),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PVDF),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셀룰로오스(cellulose),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acetate butyrate)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나노섬유(16)는 유연성을 가지고 있어 플렉서블한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20)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고분자 나노섬유(16)는 표면이 매끄러워 알루미늄(15)이 얇게 피막되더라도 우수한 전기 전도성을 가질 수 있다. 이외에도 당업자가 채택 가능한 나노섬유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20)에서 알루미늄(15)이 산화되어 나노섬유(16)의 표면에 피막되어 나노섬유(16)가 알루미늄(15)으로 코팅된 전극이 만들어지며, 알루미늄(15)의 뛰어난 도전성에 의해 낮은 면저항 특성을 갖는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20)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알루미늄 산화 피막, 즉 알루미나(Al2O3)는 치밀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나노섬유(16)의 표면에 산화 피막이 다른 금속에 비해 더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20)는 알루미늄 박막의 표면에 산화막에 의한 보호막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20)의 내산소성 및 내수분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험예 및 이에 따른 결과들을 살펴 보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화학법을 이용한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를 형성하기 위한 QCM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5의 QCM 장치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QCM 장치(100)를 이용하여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20)를 제조할 수 있다. QCM 장치(Quartz Crystal Microbalance)는 수정판(132) 양단면에 금속 전극을 입히고 이들 전극 사이에 교류 전압을 가하면 수정 진동자가 일정한 주파수로 진동을 하게 되며, 공진 주파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물질 이동에 대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도 5에서, QCM 장치(100)는 반응 용액을 수용할 수 있는 반응 용기(112)를 포함하는 제1 어셈블리(110)와 상기 제1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제2 어셈블리(120), 상기 제1 및 제2 어셈블리(110, 120)에 위치하는 수정판(132)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제1 어셈블리(110)의 결합홀(114)에 제2 어셈블리(120)의 결합돌기(124)가 결합되며, 수정판(132)의 일면은 반응 용기(112)의 액체와 접촉하고, 타면은 공기 중에 노출되므로, O-링(105)을 이용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수정판(132)의 일면에 알루미늄(15) 및 나노섬유(16)를 위치시켜 반응 용기(112)의 액체와 접촉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수정판(132)의 일면에 알루미늄 포일(154)를 위치시키고, 2개의 O-링(105)으로 반응 용액이 새지 않고, 공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고정하고, 상기 수정판(132)을 제2 어셈블리(120)의 만곡 영역(122)에 놓는다. 그리고, 나노섬유(16)를 수정판(132)에 위치시키고, 제1 어셈블리(110)의 결합홀(114)에 제2 어셈블리(120)의 결합돌기(124)를 결합시킨 후에 체결부재(144)로 체결한다. 수정판(132)의 하면에는 지지대(142)를 놓을 수 있다. 이때, 수정판(132)에 알루미늄 포일(154) 대신에 수정판(132)의 일면을 알루미늄(15)으로 증착시켜 전기화학반응을 일으킬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반응 용기(112)에 황산 수용액을 넣고, 수정판(132)에 전압을 가하여 알루미늄(15)을 산화시켜 나노섬유(16)의 표면에 알루미늄 산화 피막을 형성시키게 된다. 이러한 QCM 장치(100)를 이용하면 수정판(132)의 한 전극을 작업 전극으로 사용하여 전기화학반응을 일으킴과 동시에 발진 주파수 변화와 공진 저항, 그리고 전류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화학법을 이용한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이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사전자현미경(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으로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를 촬영한 결과, 나노섬유(16)의 표면에 알루미늄(15)이 산화되어 산화 피막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에서, 나노섬유(16)는 폴리우레탄(PU)으로 생성된 것이다.
도 8a 및 도 8b는 각각 알루미늄이 피막되지 않은 나노섬유 및 알루미늄이 피막된 나노섬유의 C-V 곡선(Cyclic Voltammogram)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시간에 비례하여 전위를 변화시킬 때에 흐르는 전류를 전류-전위 곡선으로 기록하는 방법을 전위 주사법(potential sweep method)이라고 하는데, 이것을 계속 반복해서 전위 주사하는 경우를 Cyclic voltammetry(순환 전압 전류법, CV)라고 부른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환원 전위에서의 반응에 사용된 전류 Ipc와 산화 전위에서의 반응에 사용된 전류 Ipa가 도시되어 있다.
도 8a와 도 8b를 비교하면, 알루미늄이 피막되지 않은 나노섬유 C-V 곡선(도 8a 참조)에 비해, 알루미늄이 피막된 나노섬유의 C-V 곡선(도 8b 참조)이 피크 값의 차이가 크며, 알루미늄이 피막된 나노섬유가 충분히 우수한 전도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도 9a는 EDS peak analysis 그래프이며, 도 9b는 eZAF Smart Quant Results 표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EDS(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알루미늄이 피막된 나노섬유를 정성 분석한 결과, Al peak의 면적이 다른 원소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b를 참조하면, 폴리우레탄의 주요 성분인 탄소(C), 산소(O)와 상기 폴리우레탄으로 생성된 나노섬유의 표면에 산화되는 알루미늄(Al)이 검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전기화학법을 이용하여 나노섬유에 알루미늄 산화 피막을 형성시킬 수 있고, 전도성이 없는 나노섬유를 전도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의 형성 장치
11: 기준 전극(RE) 12: 상대 전극(CE)
13: 작업 전극(WE) 15: 알루미늄
16: 나노섬유 18: 용기
19: 산성 수용액

Claims (9)

  1. 기준 전극(RE), 상대 전극(CE) 및 알루미늄을 포함한 작업 전극(WE)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작업 전극에 나노섬유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세 전극을 각각 산성 수용액에 침지하는 단계; 및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나노섬유에 알루미늄 산화 피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화학법을 이용한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을 준비하는 단계는,
    Ag/AgCl로 이루어진 기준 전극, 백금(Pt)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진 상대 전극, 수정판(Quartz crystal) 형태로 이루어진 작업 전극을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화학법을 이용한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전극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수정판에 알루미늄 포일(foil)을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화학법을 이용한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전극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수정판에 알루미늄 박막을 증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화학법을 이용한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를 배치하는 단계는,
    중합체를 용매에 분산시켜 방사 용액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방사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상기 나노섬유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화학법을 이용한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성 수용액에 침지하는 단계는,
    황산의 몰 농도가 0.001 내지 0.1M인 황산 수용액에 침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화학법을 이용한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산화 피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전극 및 작업 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상대 전극에서 환원 반응이 발생하고, 상기 작업 전극에서 산화 반응이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알루미늄의 산화에 의해 상기 나노섬유의 표면에 알루미늄 산화 피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화학법을 이용한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형성되는,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는,
    폴리우레탄(PU),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PMA), 폴리아크릴 공중합체, 폴리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아세테이트(PVAc),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폴리비닐알콜(PVA), 폴리퍼퓨릴알콜(PPFA), 폴리스티렌(PS), 폴리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EO),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PPO),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비닐풀루오라이드, 폴리비닐리덴풀루오라이드 공중합체, 폴리이미드,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PAN), 폴리비닐알콜(PVA),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닐린(PANI),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
KR1020150092131A 2015-06-29 2015-06-29 전기화학법을 이용한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 및 이에 의한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 KR101697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131A KR101697255B1 (ko) 2015-06-29 2015-06-29 전기화학법을 이용한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 및 이에 의한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131A KR101697255B1 (ko) 2015-06-29 2015-06-29 전기화학법을 이용한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 및 이에 의한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121A true KR20170002121A (ko) 2017-01-06
KR101697255B1 KR101697255B1 (ko) 2017-01-17

Family

ID=57832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2131A KR101697255B1 (ko) 2015-06-29 2015-06-29 전기화학법을 이용한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 및 이에 의한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725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334B1 (ko) * 2008-01-04 2009-07-1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알루미늄과 탄소재료 간의 공유결합을 형성하는 방법, 알루미늄과 탄소재료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알루미늄과 탄소재료 복합체
KR20090105924A (ko) * 2006-12-14 2009-10-07 유니버시티 오브 울롱공 나노튜브 및 탄소층 나노구조 복합체
KR20110138862A (ko) * 2010-06-22 2011-12-28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다공성 폴리머 웹 집전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40128528A (ko) 2013-04-26 2014-11-06 한국과학기술원 알루미늄 박막이 코팅된 고분자 나노섬유 전극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5924A (ko) * 2006-12-14 2009-10-07 유니버시티 오브 울롱공 나노튜브 및 탄소층 나노구조 복합체
KR100907334B1 (ko) * 2008-01-04 2009-07-1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알루미늄과 탄소재료 간의 공유결합을 형성하는 방법, 알루미늄과 탄소재료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알루미늄과 탄소재료 복합체
KR20110138862A (ko) * 2010-06-22 2011-12-28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다공성 폴리머 웹 집전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40128528A (ko) 2013-04-26 2014-11-06 한국과학기술원 알루미늄 박막이 코팅된 고분자 나노섬유 전극 및 그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201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7255B1 (ko) 2017-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heibi et al. Electrical power generation from piezoelectric electrospun nanofibers membranes: electrospinning parameters optimization and effect of membranes thickness on output electrical voltage
Wu et al. Construction of microfluidic-oriented polyaniline nanorod arrays/graphene composite fibers for application in wearable micro-supercapacitors
Mokhtari et al. Comparative evaluation of piezoelectric response of electrospun PVDF (polyvinilydine fluoride) nanofiber with various additives for energy scavenging application
Promphet et al. An electrochemical sensor based on graphene/polyaniline/polystyrene nanoporous fibers modified electrode for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lead and cadmium
Mitchell et al. High performance supercapacitor based on multilayer of polyaniline and graphene oxide
Li et al. Electrospinning of polymeric and ceramic nanofibers as uniaxially aligned arrays
Zhang et al. A novel ammonia sensor based on high density, small diameter polypyrrole nanowire arrays
KR101624303B1 (ko) 알루미늄 박막이 코팅된 고분자 나노섬유 전극 및 그 제조 방법
US20100173228A1 (en) Nanotube and Carbon Layer Nanostructured Composites
JP2015214714A (ja) 多機能性導電性/透明/可撓性膜の製造方法
US20170309409A1 (en) Elastic fiber electrode, micro-supercapacitor using sam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U2007332084A1 (en) Nanotube and carbon layer nanostructured composites
Chen et al. Synthesis of aligned carbon nanotube composite fibers with high performances by electrochemical deposition
Sapountzi et al. One-step fabrication of electrospun photo-cross-linkable polymer nanofibers incorporating multiwall carbon nanotubes and enzyme for biosensing
Yu et al. Synthesis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template-based polyaniline nanowires and template-free nanofibril arrays: Two potential nanostructures for gas sensors
Yang et al. Highly sensitive hydrogen peroxide sensor based on a glassy carbon electrode modified with platinum nanoparticles on carbon nanofiber heterostructures
Das et al. High performance BiFeO3 ferroelectric nanostructured photocathodes
Jia et al. Flexible polyaniline/poly (methyl methacrylate) composite fibers via electrospinning and in situ polymerization for ammonia gas sensing and strain sensing
Zhou et al. A highly sensitive ammonia sensor based on spinous core–shell PCL–PANI fibers
Ebadi et al. Electroactive actuator based on polyurethane nanofibers coated with polypyrrole through electrochemical polymerization: a competent method for developing artificial muscles
KR20180063471A (ko) 2차원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시트 가스 감지 물질 및 그 제조 방법
Guo et al. Triboelectric nanogenerator-based near-field electrospinning system for optimizing PVDF fibers with high piezoelectric performance
Napier et al. Dry Spun, Bulk‐Functionalized rGO Fibers for Textile Integrated Potentiometric Sensors
Chithrambattu et al. Large scale preparation of polyaniline/polyvinyl alcohol hybrid films through in-situ chemical polymerization for flexible electrode materials
Tang et al. Re-stickable all-solid-state supercapacitor supported by cohesive thermoplastic for textile electron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