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093U - Flowerpot - Google Patents
Flowerpo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02093U KR20170002093U KR2020150007962U KR20150007962U KR20170002093U KR 20170002093 U KR20170002093 U KR 20170002093U KR 2020150007962 U KR2020150007962 U KR 2020150007962U KR 20150007962 U KR20150007962 U KR 20150007962U KR 20170002093 U KR20170002093 U KR 20170002093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nting
- hole
- plant
- space
- planted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claims 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46
- 210000001847 Jaw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965 increased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219357 Cact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601 egg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84 res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A01G9/083—Devices for setting plants in po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2009/003—Receptacles consisting of separable sections, e.g. for allowing easy removal of the plant
Abstract
본 고안은 화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물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식재할 수 있고, 식물의 모종을 지지함과 성장에 따라 식물을 식재하는 식재부를 교체하지 않고 식재할 수 있는 화분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중심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관부가 구비된 본체 하우징과 상기 본체 하우징에 내설되며,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통공이 형성되고 내부는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재공간부가 형성되되 상기 식재공간부에 식물을 용이하게 식재할 수 있도록 반으로 분할되며 분할된 서로 대응되는 이면의 양측면에는 체결돌기와 체결홈이 형성되어 체결결합된 식재부와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부에는 식물을 보호할 수 있는 덮개부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wer pot which can be plant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size and type of the plant, and can support the seedling of the plant and grow the plant according to the growth, A main body housing having a space portion formed therein and a tube portion formed with a through hole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space portion,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and a planting space portion in which the plant can be planted, And a fastening protrusion and a fastening groove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divided back and forth parts so as to facilitate planting of the plant in the planting space part, and the planting part is fastened and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housing. And a lid is provided.
Description
본 고안은 화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물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식재할 수 있고, 식물의 모종을 지지함과 성장에 따라 식물을 식재하는 식재부를 교체하지 않고 식재할 수 있는 화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werpot, more specifically, a flowerpot which can be plant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size and type of a plant, .
최근에 생활수준이 개선되고 아파트나 빌라와 같은 주거형태의 공급이 급증하면서 베란다나 실내공간을 친환경적이면서도 자연미를 느낄 수 있도록 꾸미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Recently, as the living standard has improved and the supply of residential type such as apartments and villas has increased rapidly,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tendency to decorate the veranda and the interior space so that they can feel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natural beauty.
특히, 도시에서는 자연을 접하기가 쉽지 않아 지면서 이러한 욕구는 증가하고 있다. Especially, in cities, it is not easy to see nature, and this desire is increasing.
이러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베란다나 실내 인테리어의 경우 친환경적인 요소에 중점을 두고 있는데, 이에 이용되는 것이 화초나 채소류 등의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화분이다. To meet these demands, the emphasis is on environmentally friendly elements such as verandas and interior decorations, which are used to grow plants such as plants and vegetables.
화분은 주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친환경적으로 주거요소를 개선 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실내정화작용 및 실내수분공급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실내 조형물로 이용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pollen is mainly used to improve the housing element in the home or the office environmentally. It can obtain the indoor cleaning effect and the indoor water supply effect, and can be used as an indoor decoration.
이와 같은 식물을 식재하는 통상의 화분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훼류 장식용 화분에 있어서, 원예작물 재배용 플러그트레이에서 재배된 화훼작물을 개별적으로 심을 수 있는 식재구(11)가 형성된 원형의 다수 식재셀(12)로 구성되며, 상기 식재셀(12)은 상부가 상호 연결된 일체형의 모듈로 구성되어 단일의 식물용 화분으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flower pots for planting such plants include, in flower pots ornamental pots, a plurality of circular plantlets (Fig. 1), in which planting pots 11 for planting flower crops grown in the plug tray for horticultural crop cultivation are formed, Cell 12, and the planting cell 12 is composed of a unitary modul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composed of a single plant pot.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화분은 그 형태가 화분의 제작 당시 정해진 것이기 때문에 식물의 성장에 따라 변경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식물의 모종을 식재시 뿌리가 안착되지 않은 모종 또는 식물의 줄기가 약한 식물은 충격에 의해 쉽게 흔들려 뿌리가 손상되거나 식재된 식물이 이탈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Since the shape of the conventional pollen as mentioned above is determined at the time of the production of the pollen, it is not possible to change it according to the growth of the plant. In addition, the seedlings whose plants are not rooted when planting the seedling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oot can be damaged easily or the planted plant can be detached.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은 화분에 식재되는 식물의 모종을 지지하여 충격에 의해 식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식물의 성장에 따라 식재되는 화분을 변경 및 다양한 형태로 식재할 수 있는 화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intended to support plant seedlings planted in pots to prevent the plant from being detached by impact, The purpose is to provide pots that can be plante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중심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관부가 구비된 본체 하우징과 상기 본체 하우징에 내설되며,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통공이 형성되고 내부는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재공간부가 형성되되 상기 식재공간부에 식물을 용이하게 식재할 수 있도록 반으로 분할되며 분할된 서로 대응되는 이면의 양측면에는 체결돌기와 체결홈이 형성되어 체결결합된 식재부와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부에는 식물을 보호할 수 있는 덮개부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에 의해 달성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ain body housing having a space portion formed therein and a tube portion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at a center portion of the space portion,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 planting space for planting the plant is formed in the planting space, and the planting space is divided into two halves so as to facilitate the planting of the plant, and fastening protrusions and fastening groov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divided backing, And a cover for protecting the plant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housing.
또한, 상기 식재부의 상부와 하부면에 형성된 통공의 내경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holes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lanting por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식재부의 식재공간부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식재부의 걸림턱에 안착되어 식재된 식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it is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a supporting base is formed, in which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so as to support the planted planted with the catching jaw formed in the planting space of the planting unit and resting on the hooking jaw of the planting unit.
또한, 상기 지지대의 관통공 내주면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 체결결합되도록 외주면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보조지지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upport base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support having a coupling groove formed i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of the support base and having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through hole formed in a central portion thereof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또한, 상기 식재부의 상부면에는 유도가이드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유도가이드부에 삽입되어 이동되도록 가이드돌기가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식재부의 상부면에 통공의 내경을 조절할 수 있는 내경조절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n guide guide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nting portion, and a guide protrus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guide portion to be inserted and guided in the guide guide por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planting portion has an inner diameter adjusting portion .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화분은 식물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식재할 수 있고, 식물의 성장에 따라 식재된 식재부를 교체하지 않고 식재할 수 있으며, 식물의 모종을 지지할 수 있어 충격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olle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lanted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size and type of the plant, and it can be planted without replacing the planted plant parts according to the plant growth, and can support plant seedlings There is an effect that it can be prevented that it is separated by impact.
도 1은 종래의 화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화분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화분을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식재부를 나타내 분해사시도.
도 5a, 5b는 본 고안의 화분을 나타내 실시예.
도 6a는 본 고안의 식재부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6b, 6c는 도 6a에 대한 사용 실시예.
도 7은 본 고안의 식재부를 나타내 다른 실시예.
도 8은 도 7에 대한 다른 실시예.
도 9a는 본 고안의 화분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9b는 도 9a에 대한 실시예.
도 10a, 10b, 10c는 본 고안의 화분을 나타낸 사용실시에.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ot.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polle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n engaging cross-sectional view showing polle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lant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a and 5b show pollen of the present invention.
6A is another embodiment showing the plant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6b and 6c illustrate the use of Figure 6a.
Fig. 7 shows a plant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other embodiment of Figure 7;
9A is another embodiment showing the polle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b is an embodiment of Figure 9a.
10A, 10B, and 10C show the use of the polle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sign the concept of the term appropriately to describe its own design in the best way possible.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a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stitu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ater and variations may be present.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화분(1)은 내부에 공간부(12)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12)의 중심부에는 관통공(14-2)이 형성된 관부(14)가 구비된 본체 하우징(10)과 상기 본체 하우징(10)에 내설되며,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통공(22)이 형성되고 내부는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재공간부(24)가 형성되되 상기 식재공간부(24)에 식물을 용이하게 식재할 수 있도록 반으로 분할되며 분할된 서로 대응되는 이면의 양측면에는 체결돌기(25)와 체결홈(26)이 형성되어 체결결합된 식재부(20)와 상기 본체 하우징(10)의 상부에는 식물을 보호할 수 있는 덮개부(3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2 to 4, the pollen 1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ubular portion 14 having a space portion 12 formed therein and a through hole 14-2 form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space portion 12, A through hole 22 is formed in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housing 10 and a planting space 24 for planting the plant is formed inside the main body housing 10, The planting space portion 24 is divided in half so that the plant can be easily planted. On both sides of the divided backing surfaces, a fastening protrusion 25 and a fastening groove 26 are formed and fastened to the planting portion 20, And a lid 30 for protecting the plant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housing 10.
상기 본체 하우징(10), 식재부(20), 덮개부(30)는 불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내부에 식재된 식물을 관찰 및 빛이 내부로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ain body housing 10, the planting portion 20, and the lid 30 may be formed of an opaque material,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main housing 10, the planting portion 20, and the lid 30 ar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
상기 식재부(20)는 상부면과 하부면에 통공(22)이 형성되고 내부에 식물이 식재할 수 있는 식재공간부(24)가 형성되므로써, 상기 식재공간부(24)에 식물이 식재시 상기 통공(22)으로 돌출되는 식물의 줄기부분을 지지하여 외부충격에 의해 식재된 식물이 흔들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planting part 20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22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reof and a planting space part 24 in which the plant can be planted is formed in the planting space part 24,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stem portion of the plant protruding into the through hole 22 to prevent the plants planted by the external impact from shaking off.
상기 식재부(20)의 식재공간부(24)에 식재되는 식물은 다양한 종류의 식물중 식물의 모종, 난, 선인장 등과 같이 줄기가 가늘고, 뿌리가 짧게 형성된 식물을 식재시 그 효과가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Plants planted in the planting space portion 24 of the planting portion 20 may be effective in planting plants having various stem types such as plant seedlings, eggs, cacti, etc., which are thin and have short roots There is an effect.
이와 같이 상기 식재부(20)의 내부에 식재되는 식물이 성장에 따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상기 식재부(20)는 반으로 분할되며 분할된 서로 대응되는 이면의 양측면에는 체결돌기(25)와 체결홈(26)이 형성되어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The planting part 20 is divided in half so that plants planted in the planting part 20 can be easily changed as the plant grows, and fastening protrusions 25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divided backing parts, So that the fastening groove 26 is formed and detachable.
즉, 식물의 성장에 따라 상기 식재부(20)를 용이하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at is, the planting portion 20 can be easily separated and replaced according to the growth of plants.
상기와 같이 상기 식재부(20)는 상기 본체 하우징(10)의 공간부(12) 및 관부(14)에 형성되는 관통공(14-2)에 도 5a,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재부(20)가 내설되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5a and 5b, the planting part 2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14-2 formed in the space part 12 and the pipe part 14 of the main body housing 10, (20) can be installed and formed into various shapes.
또한, 상기 식재부(20)의 통공(22)은 식물의 성장에 따라 상기 식재부(20)를 교체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도록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재부(20)의 상부와 하부면에 형성된 통공(22)의 내경(D1,D2)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6a, the through-holes 22 of the planting unit 20 ar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lanting unit 20 so that the plants can be used without replacing the planting unit 20, 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diameters D1 and D2 of the through hole 22 form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즉, 도 6b,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재부(20)의 상부면에 형성된 통공(22)의 내경(D1)보다 하부면에 형성되는 통공(22)의 내경(D2)이 크게 형성되어 식물의 성장에 따라 상기 식재부(20)를 상부면에 형성된 통공(22)과 하부면에 형성된 통공(22)을 나누어 설치할 수 있어 상기 식재부(20)를 교체하지 않고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6B and 6C, the inner diameter D2 of the through hole 22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22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nting portion 20 is formed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D1 of the through hole 22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nting portion 20 The planting part 20 can be installed in the through hole 22 formed in the upper surface and the through hole 22 formed in the lower surface depending on the growth of the plant so that the planting part 20 can be installed without replacing .
이와 같이 상기 식재부(20)의 통공(22)에 의해 식물을 지지함과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지만 더욱더 식물을 지지함과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다양한 식물에 적용할 수 있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재부(20)의 식재공간부(24)에 걸림턱(24-2)이 형성되고 상기 식재부(20)의 걸림턱(24-2)에 안착되어 식재된 식물의 지지할 수 있도록 중심부에 관통공(42)이 형성된 지지대(4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prevent the plants from being supported and separated by the through holes 22 of the planting unit 20 as described above, A holding jaw 24-2 is formed in the planting space portion 24 of the planting portion 20 and is placed on the hooking jaw 24-2 of the planting portion 20 to support the planted plant It is preferable that a support base 40 having a through hole 42 formed at its center is further provided.
이때, 상기 지지대(40)의 관통공(42) 내경(D3)은 상기 식재부(20)의 통공(22) 내경(D1,D2)보다 작게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The inner diameter D3 of the through hole 42 of the support base 40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s D1 and D2 of the through hole 22 of the planting portion 20. [
즉, 상기 지지대(40)는 상기 식재부(20)의 통공(D1,D2)보다 직경(D3)이 작게 형성되어 식물의 모종을 더욱더 다양하게 적용되어 식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at is, the support base 40 is formed to have a smaller diameter D3 than the through holes D1 and D2 of the planting unit 20, so that the planting seedlings can be planted more diversely.
상기와 같은 상기 지지대(40)는 더욱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40)의 관통공(42) 내주면에 결합홈(42-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42-2)에 체결결합되도록 외주면에는 결합돌기(52)가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관통공(54)이 형성된 보조지지대(5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8, a coupling groove 42-2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42 of the support base 40, and the coupling groove 42-2 is formed in the coupling groove 42-2, And a supporting protrusion 50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through hole 54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protrusion 52-2.
즉, 상기 지지대(40)에 탈부착할 수 있는 보조지지대(50)가 구비되어 식물의 모종을 다양하게 적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That is, the auxiliary support 50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support 40 and can be used with various kinds of plant seedlings.
이와 같이 상기 식재부(20)에 식재되는 식물을 더욱더 다양하게 적용함과 식물의 성장에 따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재부(20)의 상부면에는 유도가이드부(22-2)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유도가이드부(22-2)에 삽입되어 이동되도록 가이드돌기(62)가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식재부(20)의 상부면에 통공(22)의 내경을 조절할 수 있는 내경조절부(6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9A,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nting part 20, an induction guide part (not shown)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planting part 20 so that the plants to be planted in the planting part 20 can be more variously applied, A guide protrusion 6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guide member 22-2 so that the guiding protrusion 62 is inserted and guided in the guiding guide unit 22-2. And an inner diameter adjusting unit 60 for adjusting the inner diameter.
즉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재부(20)에 식재된 식물의 성장에 따라 상기 내경조절부(60)를 좌, 우로 이동시켜 상기 식재부(20)를 교체하지 않고 식물을 지지함과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 9B, the inner diameter adjusting unit 60 is moved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growth of plants planted in the planting unit 20 to support the plant without replacing the planting unit 20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deviation.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식물용 화분(1)은 도 10a, 10b,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로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통공(22)이 형성되고 내부는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재공간부(24)가 형성되되 상기 식재공간부(24)에 식물을 용이하게 식재할 수 있도록 반으로 분할되며 분할된 서로 대응되는 이면의 양측면에는 체결돌기(25)와 체결홈(26)이 형성되어 체결결합된 식재부(20)를 분리하여 상기 식재공간부(24)에 식물을 모종을 식재시킨 후 내부에 공간부(12)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12)의 중심부에는 관통공(14-2)이 형성된 관부(14)가 구비된 본체 하우징(10)의 관통공(14-2)에 내설결합시키고, 상기 본체 하우징(10)의 공간부(12)에는 식물의 모종이 성장에 의해 번식할 수 있도록 배양토를 충진 시킨 후 상기 본체 하우징(10)의 상부에는 식물을 보호할 수 있는 덮개부(30)를 체결결합시킨다. As described above, the plant pot (1)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hrough hole (22)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s shown in Figs. 10a, 10b and 10c, A planting space 24 is formed in the planting space 24 so that the plants can be easily planted. The planting space 25 is divided into two halves, And a planting seedlings are planted in the planting space part 24 after separating the planting part 20 which is formed and joined together and then a space part 12 is formed in the planting space part 24, And a seedling of a plant grows in the space portion 12 of the main housing 10, and the seedling of the plant grows in the space 12 of the main housing 10, After the filling of the culture soil so as to be reproducible,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housing 10 is covered with a cover To couple the fastening unit 30.
이와 같이 본 고안의 화분은 식물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식재할 수 있고, 식물의 성장에 따라 식재된 식재부를 교체하지 않고 식재할 수 있으며, 식물의 모종을 지지할 수 있어 충격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olle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lant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size and type of the plant, and it can be planted without replacing the planted plant parts according to the plant growth, It is possible to prevent detachment.
1 : 화분
10 : 본체 하우징
12 : 공간부
14 : 관부
14-2 : 관통공
20 : 식재부
22 : 통공
22-2 : 유도가이드부
24 : 식재공간부
24-2 : 걸림턱
25 : 체결돌기
26 : 체결홈
30 : 덮개부
40 : 지지대
42 : 관통공
42-2 : 결합홈
50 : 보조지지대
52 : 결합돌기
54 : 관통공
62 : 가이드돌기
60 : 내경조절부1: Flower pot
10: main body housing 12:
14: Tube 14-2: Through hole
20: plant material 22: through hole
22-2: induction guide part 24: planting space part
24-2: engagement jaw 25: fastening projection
26: fastening groove 30: lid part
40: Support base 42: Through hole
42-2: coupling groove 50: auxiliary support
52: engaging projection 54: through hole
62: guide projection 60: inner diameter adjusting portion
Claims (5)
상기 본체 하우징에 내설되며,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통공이 형성되고 내부는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재공간부가 형성되되 상기 식재공간부에 식물을 용이하게 식재할 수 있도록 반으로 분할되며 분할된 서로 대응되는 이면의 양측면에는 체결돌기와 체결홈이 형성되어 체결결합된 식재부와;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부에는 식물을 보호할 수 있는 덮개부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A main body housing having a space portion formed therein and a tube portion formed with a through hole at a center portion of the space portion;
Wherein a through hole is formed in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housing and a planting space for planting the planting space is formed therein. The planting space is divided into two halves so as to facilitate the planting of plants in the planting space, And a fastening protrusion and a fastening groov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corresponding back surface and fastened to each other;
And a cover for protecting the plant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housing.
상기 식재부의 상부와 하부면에 형성된 통공의 내경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hol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lanting por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상기 식재부의 식재공간부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식재부의 걸림턱에 안착되어 식재된 식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base having a hole formed in the planting space portion of the planting portion an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thereof so as to support the planted planting plant which is seated on the hooking protrusion of the planting portion.
상기 지지대의 관통공 내주면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 체결결합되도록 외주면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관통공가 형성된 보조지지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through-hole formed in a central portion thereof so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of the support base and is fastened to the coupling groove.
상기 식재부의 상부면에는 유도가이드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유도가이드부에 삽입되어 이동되도록 가이드돌기가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식재부의 상부면에 통공의 내경을 조절할 수 있는 내경조절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guide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guided guide member to be inserted into the guiding guide unit and having an inner diameter adjuster capable of adjusting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nting member A pot that featur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7962U KR200483887Y1 (en) | 2015-12-04 | 2015-12-04 | Flowerpo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7962U KR200483887Y1 (en) | 2015-12-04 | 2015-12-04 | Flowerpo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2093U true KR20170002093U (en) | 2017-06-14 |
KR200483887Y1 KR200483887Y1 (en) | 2017-07-06 |
Family
ID=59093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50007962U KR200483887Y1 (en) | 2015-12-04 | 2015-12-04 | Flowerpo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3887Y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21129A (en) * | 2002-10-04 | 2004-04-22 | Chie Sakakita | Combination flowerpot |
KR100631300B1 (en) | 2004-05-13 | 2006-10-04 | 경기도(농업기술원) | A Parer Decoration Flowerpot Convenient for Packing and Transferring |
KR200449819Y1 (en) * | 2008-04-10 | 2010-08-12 | 김진범 | Mini a flowerpot for accessory |
-
2015
- 2015-12-04 KR KR2020150007962U patent/KR200483887Y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21129A (en) * | 2002-10-04 | 2004-04-22 | Chie Sakakita | Combination flowerpot |
KR100631300B1 (en) | 2004-05-13 | 2006-10-04 | 경기도(농업기술원) | A Parer Decoration Flowerpot Convenient for Packing and Transferring |
KR200449819Y1 (en) * | 2008-04-10 | 2010-08-12 | 김진범 | Mini a flowerpot for accessor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3887Y1 (en) | 2017-07-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1430804Y (en) | Combined flowerpot for plants | |
KR20160027725A (en) | Assembly Adapter For Hydroponic And The Flowerpot Using The Same | |
KR20130003824A (en) | Plant cultivating receptacles | |
KR200483887Y1 (en) | Flowerpot | |
KR200390125Y1 (en) | a pot of growing vegetation and a cover having a pot thereof | |
JP7182293B2 (en) | Ornamental plant watering pot | |
KR101811871B1 (en) | Pots for raising ginseng | |
KR20120056185A (en) | Multi flowerpot | |
JP2007244219A (en) | Pot and method for producing pot in which plant is planted | |
KR200416035Y1 (en) | A flowerpot for beautiful scenery | |
JP4544905B2 (en) | Moss balls, moss ball cultivation equipment and moss ball cultivation method | |
TWM542932U (en) | Rotary flowerpot structure | |
KR200291872Y1 (en) | A flowerpot with transparent cover | |
JPH0729815Y2 (en) | Container for plant cultivation | |
JP3213867U (en) | Plant cultivation planter | |
KR101555671B1 (en) | Plant cultivation apparatus | |
JP3069514U (en) | Flower plant pot decoration stand | |
KR200339586Y1 (en) | The flowerpot for orchid | |
KR200192094Y1 (en) | Merchandising pollen of flowers with seed and growth soil | |
KR200364363Y1 (en) | A can flower pot diffusing fragrance | |
CN203851537U (en) | Flowerpot | |
KR200389810Y1 (en) | Half-barrel transparency flowerpot | |
KR200186526Y1 (en) | Flowerpot-assembly for growing plant | |
KR200395445Y1 (en) | Flowerport with a fishbowl | |
JP3159168U (en) | Houseplants planted in transparent elongated containe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