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041U - Versatile cooking utensils with sanitary properties and ease of use - Google Patents

Versatile cooking utensils with sanitary properties and ease of u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041U
KR20170002041U KR2020150007867U KR20150007867U KR20170002041U KR 20170002041 U KR20170002041 U KR 20170002041U KR 2020150007867 U KR2020150007867 U KR 2020150007867U KR 20150007867 U KR20150007867 U KR 20150007867U KR 20170002041 U KR20170002041 U KR 2017000204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ck portion
stick
food
pedestal
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867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84348Y1 (en
Inventor
문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앤지
Priority to KR20201500078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348Y1/en
Priority to CN201611064098.2A priority patent/CN106820872A/en
Publication of KR201700020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041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3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348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2Forks; Forks with ejectors; Combined forks and spoons; Salad servers
    • A47G21/023Forks; Forks with ej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6Combined or separable sets of table-service utensils; Oyster knives with openers; Fish servers with means for removing bo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틱부에 형성된 받침대에 상호 계합하는 돌기와 요홈이 형성되어, 사용시 스틱부가 받침대에 의해 테이블의 바닥과 접촉되지 않아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돌기와 요홈이 계합되면서 스틱부가 상호 어긋나지 않아 음식물을 용이하게 집을 수 있는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돌기(11b)가 형성된 제1받침대(11a)가 중간에 형성되는 제1스틱부(11); 상기 돌기(11b)에 대응되는 요홈(12b)이 형성된 제2받침대(12a)가 중간에 형성되는 제2스틱부(12); 및 상기 제1스틱부(11)의 일단부와 상기 제2스틱부(12)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용시 상기 제1스틱부(11)와 상기 제2스틱부(12)가 만날 때, 상기 돌기(11b)가 상기 요홈(12b)에 삽입되면서 상기 제1스틱부(11)의 타단부와 상기 제2스틱부(12)의 타단부가 서로 어긋나지 않게 되되, 상기 제1스틱부(11)의 타단부 내측면과 상기 제2스틱부(12)의 타단부 내측면에는, 음식물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wearing tool having hygienic and easy-to-use features.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feeding tool having hygienic and easy-to-use convenience, in which sticks are not misaligned with each other when protrusions and grooves are engaged with each other, so that food can be easily picked up.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ick portion 11 in which a first pedestal 11a having a protrusion 11b formed therein is formed in the middle; A second stick part 12 formed in the middle of a second pedestal 12a formed with a groove 12b corresponding to the projection 11b; And a connecting portion 20 connecting one end of the first stick portion 11 and one end of the second stick portion 12 so that when the first stick portion 11 and the second stick portion 12 are in use, The protrusion 11b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2b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stick portion 11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tick portion 12 do not deviate from each other when the stick portion 12 meets each other Wherein a food engaging portion is formed on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first stick portion (11) and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second stick portion (12), and a multipurpose feeding tool It is technically essential.

Description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Versatile cooking utensils with sanitary properties and ease of use}{Versatile cooking utensils with sanitary properties and ease of use combined with hygiene and ease of use}

본 고안은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틱부에 형성된 받침대에 상호 계합하는 돌기와 요홈이 형성되어, 사용시 스틱부가 받침대에 의해 테이블의 바닥과 접촉되지 않아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돌기와 요홈이 계합되면서 스틱부가 상호 어긋나지 않아 음식물을 용이하게 집을 수 있는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wearing tool having hygienic and easy-to-use features.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feeding tool having hygienic and easy-to-use convenience, in which sticks are not misaligned with each other when protrusions and grooves are engaged with each other, so that food can be easily picked up.

일반적으로 취식도구는 숟가락, 젓가락, 포크, 나이프 등 음식물을 먹기 위해 사용하거나, 집게, 뒤집게 등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들을 말한다.Generally speaking, eating tools are used to eat foods such as spoons, chopsticks, forks, and knives, or to cook foods such as tongs, back tongs, and the like.

특히, 집게, 뒤집게 등의 취식도구는 자체 탄성에 의해 벌어지게 형성되어 음식물을 집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오른손과 왼손의 구분없이 손잡이에 힘을 가하여 크기가 크고 무게가 많이 나가는 음식물을 조리할 때 주로 사용된다.In particular, the graspers such as the graspers and the back graspers are formed by self-elasticity so as to grasp the food, and when force is applied to the grasper without discriminating between the right hand and the left hand, It is mainly used.

하지만 이처럼 취식도구를 청결하지 않은 식탁이나 바닥에 놓고 사용할 때 받침대를 별도로 구비하여 사용하여야 했으므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cumbersome to use the dishwasher when the dishwasher was placed on a table or floor that was not cleaned.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취식도구에 관련된 선행 기술로 '잡기 편하고 위생적이며 다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다기능 젓가락(등록번호:10-1227783)'이 있다.As a prior art related to a feeding tool for solving such a problem, there is a multifunctional chopstick (registration number: 10-1227783) for 'easy to catch, hygienic and versatile.

상기한 '잡기 편하고 위생적이며 다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다기능 젓가락'에서는, 다기능 젓가락의 청결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스틱부가 바닥에 닿지 않도록 받침대를 설치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In order to maintain the cleanliness of the multifunctional chopsticks, a pedestal is installed so that the stick does not touch the floor, so that the hygienic use of the chopsticks is possible.

그러나 손으로 스틱부를 잡을시 엄지와 검지의 위치가 고정되지 않아 조작이 쉽지 않으므로 음식물을 집는 동작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스틱부로 음식물을 집을시 스틱부가 상호 엇갈려지면서 음식물을 잡는데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position of the thumb and the index finger is not fixed by the hand when the stick is caught by the hand, it is inconvenient to pick up the food because the operation is not easy.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atch food because the stick parts are staggered there was.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27783호, 2013. 01. 23.자 등록.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227783, 2013. 01. 23. Self Registration.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손으로 스틱부를 잡을시 엄지와 검지의 위치를 고정시켜 조작이 쉽고, 음식물을 용이하게 집기 위한 구조를 가진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t is a multi-purpose feeding tool having a hygienic and easy-to-use structure that is easy to operate by fixing the position of the thumb and index finger when holding the stick by hand, The purpose is to provid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돌기가 형성된 제1받침대가 중간에 형성되는 제1스틱부; 상기 돌기에 대응되는 요홈이 형성된 제2받침대가 중간에 형성되는 제2스틱부; 및 상기 제1스틱부의 일단부와 상기 제2스틱부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용시 상기 제1스틱부와 상기 제2스틱부가 만날 때, 상기 돌기가 상기 요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제1스틱부의 타단부와 상기 제2스틱부의 타단부가 서로 어긋나지 않게 되되, 상기 제1스틱부의 타단부 내측면과 상기 제2스틱부의 타단부 내측면에는, 음식물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gnetic bearing device comprising: a first stick portion having a first pedestal formed with a protrusion formed therebetween; A second stick having a second pedestal formed in the middle thereof with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And a connecting part connecting one end of the first stick part and one end of the second stick part. When the first stick part and the second stick part are in use, the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groove,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stick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tick portion are not shifted from each other, and the food engaging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first stick portion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second stick portion The technical point of view is a multi-purpose food preparation tool that combines hygiene and ease of use.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식물걸림부는, 상기 제1스틱부 및 상기 제2스틱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더 깊게 함몰 형성된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ood holding portion is a groove formed gradually deeper down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tick portion and the second stick por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식물걸림부는, 상기 제1스틱부 및 상기 제2스틱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ood sticking portion is a protrusion protru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tick portion and the second stick portion.

여기서 상기 제1스틱부, 상기 제2스틱부 및 상기 연결부는, 일체로 성형되어 탄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first stick portion, the second stick portion, and the connection portion are integrally molded and have elasticity.

그리고 상기 제1스틱부와 제2스틱부는, 금속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연결부에 인서트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stick portion and the second stick portion are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insert-molded into the connection portion.

아울러 상기 제1스틱부에는, 상기 제1받침대와 상기 연결부의 사이에 제1거치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스틱부에는, 상기 제2받침대와 상기 연결부의 사이에 제2거치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제1거치돌기와 상기 제2거치돌기는, 동일한 위치 또는 서로 위치 차를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stick portion may have a first mounting protrusion formed between the first pedestal and the connection portion, and a second mounting protrusion may be formed in the second stick portion between the second pedestal and the connection por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protrusions are formed at the same position or at different positions from each other.

부가적으로, 상기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는, 젓가락 또는 집게 또는 뒤집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ultipurpose feeding tool having hygiene and ease of us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chopstick, a tongue, or an inverted gain.

참고로, 상기 연결부에는, 장식용 덮개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or reference, a decorative lid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connection portion.

특히, 상기 제1스틱부와 상기 제2스틱부의 타단부는, 음식물을 수용하는 헤드부의 상부에 형성된 삽입홈에 대응되게 끼워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articularly, the other end of the first stick portion and the second stick portion are fitted to correspond to the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head portion that receives the food.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는, 한 쌍의 받침대가 형성되어 스틱부가 테이블의 바닥면에 닿지 않도록 하여 위생적으로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olution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e multipurpose feeding tool having the hygienic and user-friendly featu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a pair of pedestals are formed, and the stick portion does not touch the bottom surface of the table, so that it can be used hygienically and cleanly.

그리고 돌기와 요홈이 상호 대응하여 형성됨으로써 한 쌍의 스틱부를 상호 평행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음식물을 용이하게 집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protrusions and the grooves ar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pair of stick portions can be fixed parallel to each other, so that the food can be easily picked up.

또한 한 쌍의 거치돌기가 동일한 위치 또는 위치 차를 두고 형성되어 손으로 스틱부를 잡을시 엄지와 검지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취식도구의 조작을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since the pair of mounting protrusions are formed with the same position or position difference, the position of the thumb and the index finger can be fixed when the user holds the stick with his / her hand,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feeding tool can be facilitated.

뿐만 아니라, 스틱부의 타단부 내측면에 홈 또는 돌기 형상의 음식물걸림부가 형성됨에 따라 면 등의 음식물을 떨어뜨리지 않고 집을 수 있는 보조적인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grooved portion of the groove or the protrusion is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stick portion, there is an auxiliary effect that the food such as the surface can be picked up without dropping.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라 음식물걸림홈이 적용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라 음식물걸림돌기가 적용된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따라 장식용 덮개를 포함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에 따라 헤드부가 장착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od holding groove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ood stuck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essential parts of Figs. 1 and 2. Fig.
4 is a use state diagram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four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corative lid according to a fif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d mounted unit according to a six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라 음식물걸림홈(11d, 12d)이 적용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라 음식물걸림돌기(11e, 12e)가 적용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요부 확대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사용 상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od holding groove 11d, 12d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od holding frame 11e, 12e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1 and FIG. 2, and FIG. 4 is a state of use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틱부(10)가 젓가락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제1스틱부(11), 제2스틱부(12) 및 연결부(2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multipurpose feeding too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hygienic and user-friendly functions. The stick 10 has a chopstick shape, (11), a second stick portion (12), and a connecting portion (20).

먼저, 제1스틱부(11)와 제2스틱부(12)는 동일한 길이를 가진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손으로 힘을 가하면 유동하여 음식물을 집는 역할을 한다.First, the first stick portion 11 and the second stick portion 12 are formed as a pair having the same length, and flow when the force is applied by hand, and serve to collect food.

즉, 제1스틱부(11)의 일단부와 제2스틱부(12)의 일단부에 손으로 힘을 가하면, 제1스틱부(11)의 타단부와 제2스틱부(12)의 타단부가 상호 만나면서 음식물과 직접 접촉되어 음식물을 집게 된다.That is, when one end of the first stick portion 11 and one end of the second stick portion 12 are manually pressed, the other end of the first stick portion 11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tick portion 12 The end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food to collect the food.

여기서 제1스틱부(11)와 제2스틱부(12)의 중간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받침대(11a)와 제2받침대(12a)가 각각 형성되는데, 이는 취식도구가 테이블에 놓였을 때 스틱부(10)가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3, a first pedestal 11a and a second pedestal 12a are respectively formed between the first stick portion 11 and the second stick portion 12, So that the stick portion 10 does not touch the floor.

말하자면, 제1받침대(11a)와 제2받침대(12a)는 취식도구를 위생적으로 청결하지 않은 테이블의 바닥면에 놓을시 별도의 받침대를 사용할 필요가 없도록 제1스틱부(11)와 제2스틱부(12)보다 더 돌출 형성되어, 스틱부(10)를 테이블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시키는 것을 의미한다.In other words, the first and second pedestals 11a and 12a are provided with a first stick portion 11 and a second stick portion 12b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use a separate pedestal when placing the feeding tool on the bottom surface of a table that is not hygienically clean Is formed more protruding than the portion 12, which means that the stick portion 10 is spaced a certain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table.

그리고 제1스틱부(11)와 제2스틱부(12)가 만날 때, 제1받침대(11a)와 제2받침대(12a)가 상호 접촉하면서, 스틱부(10)로 음식물을 집을시 비틀어지거나 엇갈리는 현상을 1차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When the first stick portion 11 and the second stick portion 12 meet each other, the first pedestal 11a and the second pedestal 12a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It plays a primary role in preventing staggering.

또한, 제1받침대(11a)와 제2받침대(12a)의 내측면에는 돌기(11b)와 요홈(12b)이 더 형성되는데, 이는 제1스틱부(11)와 제2스틱부(12)가 만나면서 음식물을 집을시 상호 계합되어 스틱부(10)가 비틀어지거나 엇갈리는 현상을 2차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protrusions 11b and the recesses 12b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pedestals 11a and 12a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stick portions 11 and 12 And prevents the stick portion 10 from being twisted or staggered due to mutual engagement when food is collected.

즉, 취식도구를 오므려 제1스틱부(11)의 타단부와 제2스틱부(12)의 타단부가 상호 대응하여 만날 때, 돌기(11b)가 요홈(12b)에 삽입되면서 제1스틱부(11)의 타단부와 제2스틱부(12)의 타단부가 서로 어긋나지 않도록 평행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When the other end of the first stick portion 11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tick portion 12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in a mutually corresponding manner, the protrusion 11b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2b, The other end of the first stick portion 12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tick portion 12 can be fixed in parallel so as not to be offset from each other.

따라서 돌기(11b)와 요홈(12b)이 상호 계합되어 지지력을 발휘함에 따라 제1스틱부(11)의 타단부와 제2스틱부(12)의 타단부를 평행하게 고정시켜 음식물을 떨어뜨리지 않고 용이하게 집을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protrusion 11b and the groove 12b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o exert a supporting force,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stick portion 11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tick portion 12 are fixed parallel to each other, So that it can be easily picked up.

특히, 본 고안에서는 제1스틱부(11)의 타단부 내측면과 제2스틱부(12)의 타단부 내측면에 음식물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d engaging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first stick portion 1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second stick portion 12.

상세하게는, 음식물이 미끄러지지 않고 많은 양의 음식물을 집기에 용이하도록, 제1스틱부(11)의 타단부 내측면과 제2스틱부(12)의 타단부 내측면에 음식물걸림부(음식물걸림홈(11d, 12d) 또는 음식물걸림돌기(11e, 12e))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first stick portion 11 and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second stick portion 12 are provided with food engaging portions The grooves 11d and 12d or the food stoppers 11e and 12e) may be additionally formed.

첫째, 음식물걸림홈(11d, 12d)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틱부(11) 및 제2스틱부(12)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더 깊게 함몰 형성된 홈 형태인 것으로, 면 등의 음식물을 집을시 제1스틱부(11)의 타단부 내측에 함몰 형성된 음식물걸림홈(11d)과, 제2스틱부(12)의 타단부 내측에 함몰 형성된 음식물걸림홈(12d)의 공간에 음식물이 걸리게 됨에 따라, 취식도구의 조작에 의해 음식물이 흘러내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1, the food holding grooves 11d and 12d are formed in a groove shape gradually deeper down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tick portion 11 and the second stick portion 12, A food engaging groove 11d formed in the inside of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first stick portion 11 when the food such as a face is picked up and a food holding groove 11d formed in the inside of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second stick portion 12 12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ood from flowing down by the operation of the feeding tool.

만약 음식물걸림홈(11d, 12d)이 스틱부(10)의 타단부 내측면에 단지 원형 또는 다각 형태로 함몰 형성된 홈 형태에 불과하다면, 취식도구의 조작에 따라 음식물이 끊길 우려가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스틱부(10)의 타단부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더 깊게 함몰 형성시킴에 따라, 이러한 우려를 미연에 방지 가능함을 의미한다.If the food holding grooves 11d and 12d are merely grooves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stick 10 in a circular or polygonal form, the food may be cut off by operation of the feeding tool. However, It means that the inside of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stick portion 10 is formed gradually deeper down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by preventing such a concern.

둘째, 음식물걸림돌기(11e, 12e)는 제1스틱부(11) 및 제2스틱부(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 돌기 형태인 것으로, 요철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Second, the food stoppers 11e and 12e are protrusions protru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tick portion 11 and the second stick portion 12, and may be formed in a concavo-convex shape.

첫째 경우와 마찬가지로, 음식물걸림돌기(11e, 12e) 역시 취식도구의 조작에 의해 음식물이 흘러내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제1스틱부(11)의 타단부 내측면에 하나 이상의 돌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음식물걸림돌기(11e)와, 제2스틱부(12)의 타단부 내측면에 하나 이상의 돌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음식물걸림돌기(12e)의 사이사이에 음식물이 걸림에 따라 음식물을 용이하게 집을 수 있다.As in the first case, the food blocking protrusions 11e and 12e are also provided to prevent the food from flowing down by manipulation of the feeding tool. In the first stick portion 11, The foodstuff can be easily picked up by the food sticking protrusion 11e and between the food sticking protrusion 12e having one or more protruding shapes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ticking portion 12 as food is caught.

다음으로, 연결부(20)는 제1스틱부(11)의 일단부와 제2스틱부(12)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것으로, 제1스틱부(11)의 타단부와 제2스틱부(12)의 타단부가 음식물에 닿도록 유동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connecting portion 20 connects one end of the first stick portion 11 and one end of the second stick portion 12 and connects the other end of the first stick portion 11 and the second stick portion 12 ) To flow to the food.

즉, 연결부(20)는 제1스틱부(11)와 제2스틱부(12)의 일단부에 일체로 성형되어, 제1스틱부(11)와 제2스틱부(12)가 각각 외측에서 내측으로 유동된 후 원상태로 복귀 가능하도록 탄성을 가진 것이라 할 수 있다. 단, 연결부(20)는 탄성력이 효과적으로 발휘되도록 환 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ing portion 20 is formed integrally with one end of the first stick portion 11 and the second stick portion 12 so that the first stick portion 11 and the second stick portion 12 It can be said that it has elasticity so that it can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after flowing into the inside.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portion 20 is formed in a ring shape so that an elastic force is effectively exerted.

이처럼 연결부(20)는 제1스틱부(11)와 제2스틱부(12)의 일단부에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으나, 제1스틱부(11)와 제2스틱부(12)는 플라스틱제의 연결부(20)와 달리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1스틱부(11)와 제2스틱부(12)가 금속재질로 구성된 경우, 제1스틱부(11)와 제2스틱부(12)는 연결부(20)에 인서트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and second stick portions 11 and 12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and second stick portions 11 and 12. The first and second stick portions 11 and 12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one end portion of the first stick portion 11 and the second stick portion 12, The connection part 2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When the first and second stick portions 11 and 12 are made of a metal material, the first and second stick portions 11 and 12 ar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ortion 20, .

이때 제1받침대(11a)와 연결부(20)의 사이에 제1거치돌기(11c)가 더 형성되고, 제2받침대(12a)와 연결부(20)의 사이에 제2거치돌기(12c)가 더 형성되는데, 제1거치돌기(11c)와 제2거치돌기(12c)는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사용의 편리성을 위해서 위치 차를 두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 first mounting protrusion 11c is further formed between the first pedestal 11a and the connecting portion 20, and a second mounting protrusion 12c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second pedestal 12a and the connecting portion 20 The first fixing protrusion 11c and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12c may be formed at the same position, but they are preferably formed with a positional difference for ease of use.

즉, 제1거치돌기(11c)와 제2거치돌기(12c)는 손으로 스틱부(10)를 잡았을시 엄지와 검지의 끝단과 엄지의 중간의 위치를 잡아줌으로써, 엄지와 검지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해주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stick 10 is gripped by the hand,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rojections 11c and 12c hold the middle position between the thumb and the index finger and the thumb, thereby preventing the thumb and the index finger from slipping will be.

이에 따라 취식도구를 사용할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거치돌기(11c)와 제2거치돌기(12c)에 엄지와 검지가 걸쳐지면서 손이 미끄러지지 않게 지지해 줄 뿐만 아니라 제2거치돌기(12c)에 의해 엄지와 검지가 움켜쥐는 힘을 보충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taking tool is used, as shown in Fig. 4, the thumb and index finger are struck on the first and second mount projections 11c and 12c to support the hand without slipping, The projection 12c replenishes the force of the thumb and the index finger.

아울러, 제1거치돌기(11c)와 제2거치돌기(12c)는 취식도구가 테이블의 바닥 면에 놓였을 때 제1받침대(11a)와 제2받침대(12a)에 의해 스틱부(10)가 테이블에 접촉되지 않도록, 제1받침대(11a)와 제2받침대(12a)의 돌출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protrusions 11c and 12c are 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pedestals 11a and 12a so that the stick portion 10 is fixed by the first pedestal 11a and the second pedestal 12a when the feeding tool is plac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able. It is preferable to protrude relatively lower than the projecting height of the first pedestal 11a and the second pedestal 12a so as not to contact the table.

특히, 제1받침대(11a)와 제1거치돌기(11c)는 제1스틱부(11)로부터 별도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다.Particularly, the first pedestal 11a and the first fixing protrusion 11c can be separated and combined separately from the first stick 11.

이는 제1받침대(11a) 및 제1거치돌기(11c)와는 서로 다른 재질(예컨대, 나무(대나무 포함) 재질)의 제1스틱부(11)와도 결합 가능함을 의미한다. 즉, 제1받침대(11a) 및 제1거치돌기(11c)는 이들과는 서로 다른 재질의 다용도 취식도구(100)와도 결합이 가능하므르, 사용의 용이성을 달성할 수 있다.This means that it can be coupled to the first stick portion 11 of a different material (for example, wood (including bamboo)) from the first pedestal 11a and the first pedestal 11c. That is, the first pedestal 11a and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s 11c can be combined with the multipurpose feeding tool 100 made of different material from them, so that ease of use can be achieved.

제1받침대(11a) 및 제1거치돌기(11c)와 마찬가지로, 제2받침대(12a)와 제2거치돌기(12c)도 제2스틱부(12)로부터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다.The second pedestal 12a and the second pedestal 12c can be separated from and coupled to the second stick portion 12 like the first pedestal 11a and the first pedestal 11c.

제2받침대(12a) 및 제2거치돌기(12c) 역시, 이들과는 서로 다른 재질인 나무로 이루어진 제2스틱부(12)와도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즉, 제2받침대(12a) 및 제2거치돌기(12c)는 나무와 같은 또 다른 재질의 다용도 취식도구(100)와 결합하여 사용의 용이성을 달성할 수 있다.The second pedestal 12a and the second pedestal 12c can also be coupled to the second stick 12 made of wood which is different from the second pedestal 12a and the second pedestal 12c. That is, the second pedestal 12a and the second pedestal 12c can be combined with a multipurpose feeding tool 100 of another material, such as wood, to achieve ease of use.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의 변형 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5에서는 스틱부(10)를 뒤집게로 실시하였고 도 6에서는 집게로 실시하였다. 이 외에도 취식도구를 용도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there is shown a modified example of a multipurpose wearing tool having hygienic and ease of use. In FIG. 5, the stick 10 is retouched, and in FIG. 6, the stick is used. In addition to this, it is possible to carry out various types of food-feeding tools according to the purpose.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를 레저 등의 용도에 부합되도록 구성한 것으로써, 제1거치돌기(11c)와 제2거치돌기(12c)를 없애 크기를 소형화한 형태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four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the multipurpose feeding tool having hygienic and user-friendly features is configured to be suitable for use in a leisure or the like, and the first mounting protrusion 11c and the second mounting protrusion 12c are removed to reduce the size .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따라 장식용 덮개(30)를 포함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장식용 덮개(30)는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의 외관을 미려하게 보일 수 있게 구성한 것임을 알 수 있다.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ecorative lid 30 according to a fif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 it can be seen that the ornamental lid 30 is designed to provide a beautiful appearance of a multipurpose eating tool that combines hygiene and ease of use.

내용인즉, 연결부(20)에 장식용 덮개(30)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장식용 덮개(30)는 어린이들에게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캐릭터 형상이거나, 꽃, 동물 등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decorative lid 3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connection portion 20 and the decorative lid 30 can be formed into a character shape that can be interesting to children or a shape such as a flower or an animal Lt; / RTI >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에 따라 헤드부(40)가 장착된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스틱부(10)의 타단부에 음식물을 수용하거나 집을 수 있는 구성인 헤드부(40)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ead portion 40 according to a six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9, it can be seen that the head portion 40, which is a constitution capable of receiving or picking up food at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stick portion 10, can be additionally mounted.

말하자면, 제1스틱부(11)와 제2스틱부(12)의 타단부는, 음식물을 수용하는 헤드부(40)의 상부에 형성된 삽입홈에 대응되게 끼워맞춤되는 방식으로써, 영유아 및 어린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함으로써, 식습관 개선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other end of the first stick portion 11 and the second stick portion 12 is fitted in a manner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head portion 40 that receives the food, By stimulating curiosity, it can also help to improve eating habits.

다시 말해, 제1스틱부(11)의 타단부와 제2스틱부(12)의 타단부가 모아지도록 오므린 후, 헤드부(40)의 상부에 함몰 형성된 삽입홈을 통하여 스틱부(10)와 헤드부(40)를 상호 연결하는 것이라 할 수 있는데, 이처럼 스틱부(10)와 헤드부(40)의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여 영유아 및 어린이들의 흥미를 유발하여 식습관의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In other words, after the other end of the first stick portion 11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tick portion 12 are gathered, the stick portion 10 is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head portion 40, It is possible to connect and separate the stick portion 10 and the head portion 40 so as to induce the interest of infants and children and to improve the eating habits .

단, 본 고안의 명세서상에서는 헤드부(40)를 숟가락 모양으로 도시하였으나, 헤드부(40)가 숟가락 형상에만 한정되는 것만은 아니고, 포크 등 음식물을 수용하거나 집을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느 것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 portion 40 is shown as a spoon shape. However, the head portion 40 is not limited to the spoon shape but may be any shape that can accommodate or pick food such as a fork Also,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는, 스틱부(10)의 타단부가 테이블의 바닥면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아 위생적으로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틱부(10)를 평행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음식물을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집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ultipurpose wearing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anitary properties and ease of use can maintain the hygienic clean state because the other end of the stick portion 10 does not directly touch the bottom surface of the table, 10 can be easily and stably picked up.

더불어 스틱부(10)의 타단부 내측면에 홈 또는 돌기 형상의 음식물걸림부를 형성시킴에 따라 음식물이 흘러내리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음식물을 용이하게 집을 수 있도록 보조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food or beverage can be easily picked up by preventing the food from flowing down by forming a food or beverage-shaped food engaging portion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stick portion 10.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scope of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스틱부
11: 제1스틱부
11a: 제1받침대
11b: 돌기
11c: 제1거치돌기
11d: 음식물걸림홈
11e: 음식물걸림돌기
12: 제2스틱부
12a: 제2받침대
12b: 요홈
12c: 제2거치돌기
12d: 음식물걸림홈
12e: 음식물걸림돌기
20: 연결부
30: 장식용 덮개
40: 헤드부
100: 다용도 취식도구
10:
11: first stick portion
11a: First pedestal
11b: projection
11c: First mounting projection
11d: food jam home
11e: food obstacle
12: second stick portion
12a: second pedestal
12b: groove
12c: second mounting projection
12d: food jam home
12e: food obstacle
20: Connection
30: Decorative cover
40:
100: Multipurpose cooking tool

Claims (9)

돌기(11b)가 형성된 제1받침대(11a)가 중간에 형성되는 제1스틱부(11);
상기 돌기(11b)에 대응되는 요홈(12b)이 형성된 제2받침대(12a)가 중간에 형성되는 제2스틱부(12); 및
상기 제1스틱부(11)의 일단부와 상기 제2스틱부(12)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용시 상기 제1스틱부(11)와 상기 제2스틱부(12)가 만날 때, 상기 돌기(11b)가 상기 요홈(12b)에 삽입되면서 상기 제1스틱부(11)의 타단부와 상기 제2스틱부(12)의 타단부가 서로 어긋나지 않게 되되,
상기 제1스틱부(11)의 타단부 내측면과 상기 제2스틱부(12)의 타단부 내측면에는, 음식물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A first stick portion 11 formed in the middle of a first pedestal 11a on which the projection 11b is formed;
A second stick part 12 formed in the middle of a second pedestal 12a formed with a groove 12b corresponding to the projection 11b; And
And a connecting portion 20 connecting one end of the first stick portion 11 and one end of the second stick portion 12,
When the first stick portion 11 and the second stick portion 12 meet during use, the protrusion 11b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2b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stick portion 11 and the second stick portion 12 The other end portions of the two stick portions 12 are not shifted from each other,
And a food engaging portion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first stick portion and an inner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tick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걸림부는,
상기 제1스틱부(11) 및 상기 제2스틱부(12)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더 깊게 함몰 형성된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ood-
Wherein the first stick portion (11) and the second stick portion (12) are grooves formed gradually deeper down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tick portion (11) and the second stick portion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걸림부는,
상기 제1스틱부(11) 및 상기 제2스틱부(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ood-
Wherein the first stick portion (11) and the second stick portion (12) are protrusions protru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tick portion (11) and the second stick portion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틱부(11), 상기 제2스틱부(12) 및 상기 연결부(20)는,
일체로 성형되어 탄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tick portion 11, the second stick portion 12,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tegrally molded and has elasticity, and is a multipurpose feeding tool that combines hygiene and ease of u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틱부(11)와 제2스틱부(12)는,
금속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연결부(20)에 인서트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tick portion (11) and the second stick portion (12)
And the insert part is formed in the connection part (20) by a metal material. The multipurpose feeding tool combines hygiene and ease of u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틱부(11)에는,
상기 제1받침대(11a)와 상기 연결부(20)의 사이에 제1거치돌기(11c)가 형성되고,
상기 제2스틱부(12)에는,
상기 제2받침대(12a)와 상기 연결부(20)의 사이에 제2거치돌기(12c)가 형성되되,
상기 제1거치돌기(11c)와 상기 제2거치돌기(12c)는,
동일한 위치 또는 서로 위치 차를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first stick portion 11,
A first mounting protrusion 11c is formed between the first pedestal 11a and the connecting portion 20,
In the second stick portion 12,
A second mounting protrusion 12c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pedestal 12a and the connecting portion 20,
The first mounting projection (11c) and the second mounting projection (12c)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are formed at the same position or at different positions from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는,
젓가락 또는 집게 또는 뒤집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ultipurpose feeding tool, which combines hygiene and ease of use,
Chopsticks, tongs, or inverted gauges that combine hygiene and ease of u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0)에는,
장식용 덮개(30)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connecting portion 20,
And a decorative lid (30) is detachably installed. The multipurpose feeding tool combines hygiene and ease of u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틱부(11)와 상기 제2스틱부(12)의 타단부는,
음식물을 수용하는 헤드부의 상부에 형성된 삽입홈에 대응되게 끼워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ther end of the first stick portion (11) and the second stick portion (12)
Wherein the body is fitted to an insertion groove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a head part for accommodating food, the utensil being combined with the utensil for ease of use.
KR2020150007867U 2015-12-02 2015-12-02 Versatile cooking utensils with sanitary properties and ease of use KR200484348Y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867U KR200484348Y1 (en) 2015-12-02 2015-12-02 Versatile cooking utensils with sanitary properties and ease of use
CN201611064098.2A CN106820872A (en) 2015-12-02 2016-11-28 What wholesomeness and ease for use had both multi-functional takes food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867U KR200484348Y1 (en) 2015-12-02 2015-12-02 Versatile cooking utensils with sanitary properties and ease of u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041U true KR20170002041U (en) 2017-06-12
KR200484348Y1 KR200484348Y1 (en) 2017-08-28

Family

ID=59093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867U KR200484348Y1 (en) 2015-12-02 2015-12-02 Versatile cooking utensils with sanitary properties and ease of us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84348Y1 (en)
CN (1) CN106820872A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1207Y1 (en) * 1999-05-25 2000-05-15 김광석 Hygienic spoon and chopsticks
KR200377102Y1 (en) * 2004-11-30 2005-03-08 윤석수 Tweezers Type Chopsticks
KR101227783B1 (en) 2012-08-27 2013-01-29 문영민 Catching hygienic and easy-to-use, versatile multifunction chopstick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8714A (en) * 2000-03-16 2001-09-25 Hidenori Ichinokawa Tip raised chopstick
KR200380042Y1 (en) * 2004-11-18 2005-03-28 윤석수 Tool for catching and supporting food
CN201542318U (en) * 2009-11-23 2010-08-11 内蒙古科技大学 Leisure food sanitary jig
KR20110136010A (en) * 2010-06-14 2011-12-21 강성남 Take food tool
CN204445207U (en) * 2015-03-18 2015-07-08 潘琴丽 A kind of Skidproof chopsticks
CN204600092U (en) * 2015-04-29 2015-09-02 陈灏 A kind of chopsticks of improve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1207Y1 (en) * 1999-05-25 2000-05-15 김광석 Hygienic spoon and chopsticks
KR200377102Y1 (en) * 2004-11-30 2005-03-08 윤석수 Tweezers Type Chopsticks
KR101227783B1 (en) 2012-08-27 2013-01-29 문영민 Catching hygienic and easy-to-use, versatile multifunction chopstic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348Y1 (en) 2017-08-28
CN106820872A (en) 201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82907B2 (en) All-in-one multipurpose eating utensil adapted to be separated into pieces
US20110078907A1 (en) Combination chopstick utensil
USD531860S1 (en) Spoon
CA2856526A1 (en) Post on eating utensil
KR102181150B1 (en) Multi-function chopsticks having winding module for pasta noodles
US20070131697A1 (en) Plate with utensil pocket
KR200484348Y1 (en) Versatile cooking utensils with sanitary properties and ease of use
US20190208940A1 (en) Elevated utensil
JP5356846B2 (en) Chopstick holder for pots
KR101311373B1 (en) A spoon set with compounds
KR102223747B1 (en) Head-up hygienic chopsticks
KR200322251Y1 (en) Multi spoon
KR200242082Y1 (en) Grip for Tableware
KR20180000188U (en) Spoon
JP3150212U (en) Rice cooker suitable for infant meal
KR200378909Y1 (en) A Chopstic Having Zipper At Handle Part
KR200287246Y1 (en) Sanitary spoon stand
KR200488061Y1 (en) Spoon case combined Pot handle
KR20170071201A (en) spoon and fork
KR20130011009A (en) A spoon and chopsticks support
AU2015255653B2 (en) Spoon head device for use with chopsticks
KR200394596Y1 (en) Chopstick
KR20150000463U (en) sanitary structure of spoon and pork
KR200317777Y1 (en) A eating tools constituted a supporter
KR20110136010A (en) Take food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