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019U - M2m 통신 기능을 내장한 과부하 계전기 모듈 - Google Patents
M2m 통신 기능을 내장한 과부하 계전기 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02019U KR20170002019U KR2020150007816U KR20150007816U KR20170002019U KR 20170002019 U KR20170002019 U KR 20170002019U KR 2020150007816 U KR2020150007816 U KR 2020150007816U KR 20150007816 U KR20150007816 U KR 20150007816U KR 20170002019 U KR20170002019 U KR 20170002019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verload relay
- information
- data
- measurement information
- loa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 H02H7/085—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against excessive load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M2M 통신 기능을 내장한 과부하 계전기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입력된 교류 전력으로부터 획득되는 계측 정보를 바탕으로, 외부 부하에 대한 상기 교류 전력의 공급 또는 차단을 제어하는 과부하 계전기와, 상기 부하의 주변 환경 인자인 온도, 습도 및 진동을 각각 센싱하는 복수의 센서 모듈과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이 각각 센싱한 환경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 터미널부와, 상기 계측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정보 표시기와, 상기 과부하 계전기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계측 정보 및 상기 센서 터미널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환경 센싱 정보를 TCP/IP 데이터로 각각 변환하는 데이터 처리기, 및 상기 TCP/IP 데이터로 변환된 상기 계측 정보 및 상기 환경 센싱 정보를 자신의 기기 고유 식별 번호를 사용하여 LTE 무선망을 통해 모니터링 서버로 무선 전송하는 M2M 통신 모뎀을 포함하는 과부하 계전기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과부하 계전기 모듈에 따르면, 모터 등과 같은 회전 구동 부하를 과전류로부터 보호함은 물론이며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과 관련한 계측 정보 및 부하의 주변 환경 정보를 M2M 통신 기능을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로 무선 전송할 수 있어, 원격지에서 다수의 부하들에 대한 개별적인 전력 공급 상태 및 주변 환경 상태를 실시간 통합 모니터링 및 관리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과부하 계전기 모듈에 따르면, 모터 등과 같은 회전 구동 부하를 과전류로부터 보호함은 물론이며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과 관련한 계측 정보 및 부하의 주변 환경 정보를 M2M 통신 기능을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로 무선 전송할 수 있어, 원격지에서 다수의 부하들에 대한 개별적인 전력 공급 상태 및 주변 환경 상태를 실시간 통합 모니터링 및 관리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M2M 통신 기능을 내장한 과부하 계전기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 등의 회전 구동 부하를 보호할 수 있으며 M2M(Machine to Machine) 기능을 이용하여 원격지로 각종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M2M 통신 기능을 내장한 과부하 계전기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부하 계전기는 전자 접촉기(MC;Magnetic Contactor)와 부하 사이에 위치하며 부하에 과전류가 발생할 때 전자 접촉기의 접점이 떨어지도록 제어하여 부하로의 교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과부하 계전기는 주로 모터 등과 같은 회전 구동 부하를 과부하(과전류)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기존의 전자식 과부하 계전기(EOCR;Electric Over Current Relay)는 상술한 바와 같은 기본적인 과부하 보호 기능 이외에도, 전압, 전류, 전력 및 역률 등을 계측할 수 있으며, 일부 신기종의 경우 전력량계 및 전력 분석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기존의 전자식 과부하 계전기는 단순히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과 관련한 전기적 계측 정보만을 획득 가능하며 부하의 주변 환경적인 요소의 계측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상 발생 시 다각도의 분석이 어렵고 원격지에서의 체계적인 모니터링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 제1999-0073963호(1999.10.05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은,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 관련 정보뿐만 아니라 부하 주변의 환경적 정보를 추가로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한 정보들을 M2M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 무선 전송할 수 있는 M2M 통신 기능을 내장한 과부하 계전기 모듈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입력된 교류 전력으로부터 획득되는 계측 정보를 바탕으로, 외부 부하에 대한 상기 교류 전력의 공급 또는 차단을 제어하는 과부하 계전기와, 상기 부하의 주변 환경 인자인 온도, 습도 및 진동을 각각 센싱하는 복수의 센서 모듈과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이 각각 센싱한 환경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 터미널부와, 상기 계측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정보 표시기와, 상기 과부하 계전기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계측 정보 및 상기 센서 터미널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환경 센싱 정보를 TCP/IP 데이터로 각각 변환하는 데이터 처리기, 및 상기 TCP/IP 데이터로 변환된 상기 계측 정보 및 상기 환경 센싱 정보를 자신의 기기 고유 식별 번호를 사용하여 LTE 무선망을 통해 모니터링 서버로 무선 전송하는 M2M 통신 모뎀을 포함하는 과부하 계전기 모듈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자신의 기기 고유 식별 번호를 가지며, 복수의 상기 과부하 계전기 모듈로부터 전송된 각각의 데이터를 무선 수신하는 M2M 통신 모뎀, 및 상기 수신한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계측 정보와 상기 환경 센싱 정보를 상기 과부하 계전기 모듈의 기기 고유 식별 번호와 연계하여 개별적으로 관리하고, 상기 과부하 계전기 모듈별로 상기 계측 정보와 상기 환경 센싱 정보의 조회 및 출력 기능을 제공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과부하 계전기 모듈 각각의 기기 고유 식별 번호를 수신처로 하여 데이터 전송 주기를 명령하는 신호를 상기 LTE 무선망을 통해 각각 무선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과부하 계전기 모듈는, 각각 상기 모니터링 서버의 기기 고유 식별 번호를 수신처로 하여 상기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기 명령받은 전송 주기에 따라 자신의 데이터를 상기 LTE 무선망을 통해 무선 전송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과부하 계전기 모듈에 따르면, 모터 등과 같은 회전 구동 부하를 과전류로부터 보호함은 물론이며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과 관련한 계측 정보 및 부하의 주변 환경 정보를 M2M 통신 기능을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로 무선 전송할 수 있어, 원격지에서 다수의 부하들에 대한 개별적인 전력 공급 상태 및 주변 환경 상태를 실시간 통합 모니터링 및 관리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서버에서는 원격지에서도 개별 부하의 상태를 쉽게 인지할 수 있으며 이상 상태 발생 시에 해당 부하의 환경적 요인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분석할 수 있게 하여, 추후 유사 경우 발생 시에 위험이나 고장을 사전에 예지하여 경고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과부하 계전기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과부하 계전기 모듈과 모니터링 서버 간의 통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모니터링 서버가 제공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과부하 계전기 모듈과 모니터링 서버 간의 통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모니터링 서버가 제공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M2M 통신 기능을 내장한 과부하 계전기 모듈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전자식 과부하 계전기의 과부하 보호 기능 및 전기적 계측 기능에 더불어, 부하 주위의 환경적 요소를 수집하는 기능과, 계측 및 수집한 정보를 LTE 통신망을 통하여 원격지로 무선 전송하는 M2M(Machine to Machine) 통신 기능을 하나의 기기로 모듈화하여 구현된다.
즉, 본 고안의 과부하 계전기 모듈은 과전류 등으로부터 부하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기본 기능 이외에, 부하의 공급 전력에 관한 각종 계측 정보(ex, 전류, 전압, 역률) 및 부하 주변의 각종 환경 여건 정보(ex, 온도, 습도, 진동)를 수집하는 기능, 그리고 수집된 정보를 M2M 통신 모뎀을 사용하여 LTE 무선망을 통해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모두 포함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의 경우 기존에 과부하 보호 기능만을 가진 일반적인 전자식 과부하 계전기와는 달리, 주변 환경 요소의 수집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M2M 통신 기능을 부가하는 것을 통해 원격지 서버에서 다수의 과부하 계전기 모듈의 체계적인 모니터링 및 관리가 가능하게 한다.
이하의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과부하 계전기 모듈에 의해 보호되는 부하란 일반적인 모터(motor), 구동부 등과 같은 회전 구동 부하를 의미할 수 있다. 물론 본 고안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과부하 계전기 모듈에 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과부하 계전기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과부하 계전기 모듈(100)은 전자 접촉기(MC; Magnetic Contactor)(10)와 부하(20) 사이에 설치된다. 또한, 과부하 계전기 모듈(100)은 원격지에 위치한 모니터링 서버(200)와 LTE 무선망을 통하여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과부하 계전기 모듈(100)은 과부하 계전기(110), 센서 터미널부(120), 정보 표시기(130), 데이터 처리기(140), 그리고 M2M 통신 모뎀(150)을 포함한다. 이들 요소들은 단일의 외부 케이스(160)에 모두 내장되어 하나의 모듈로 구현된다.
먼저, 과부하 계전기(110)는 외부에서 입력된 교류(AC) 전력으로부터 계측 정보(ex, 전류, 전압, 전력, 역률)를 획득하고 이를 기초로 부하(20)로의 교류 전력의 공급 또는 차단을 제어한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과부하 계전기(110)는 전자 접촉기(110)에서 공급하는 교류 전력(ex, 3상 교류 전력)을 전력 입력단(111)을 통해 입력받으며, 입력받은 교류 전력을 전력 출력단(112)을 통하여 부하(20)에 공급한다. 부하(20)는 과부하 계전기(110)에서 출력된 교류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게 된다.
다만, 과부하 계전기(110)는 전자 접촉기(110)로부터 공급받은 교류 전력으로부터 전류, 전압, 전류, 역률 등의 정보를 계측하고 계측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과부하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과부하(ex, 과전류)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과부하 계전기(110)는 제어 신호 출력단(113)을 통하여 전자 접촉기(110)에 제어 신호를 전송함에 따라 전자 접촉기(110)의 접점이 떨어지게 한다.
이에 따라, 부하(20)로의 전력 공급이 차단되고 부하(20)를 과부하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한다. 이와 같은 과부하 계전기(110)의 동작 원리는 기 공지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센서 터미널부(120)는 부하(20)의 주변 환경 인자인 온도, 습도, 진동을 각각 센싱하는 복수의 센서 모듈(온도 센서, 습도 센서, 진동 센서)과 연결되며, 복수의 센서 모듈이 각각 센싱한 환경 센싱 정보(온도 정보, 습도 정보, 진동 정보)를 수집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하(20)의 주변에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진동 센서가 설치되어 온도, 습도, 그리고 진동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각 센서 모듈의 출력 단자는 센서 터미널부(120)에 형성된 각각의 입력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로 복수의 센서 모듈은 센서 터미널부(120)에 외장된다.
여기서 물론, 각각의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진동 센서는 모터 등의 부하(20)에 직접 설치되거나 부하(20)의 주변에 간접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모터는 고속으로 회전 구동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온도와 습도 및 진동 정보는 부하(20)의 상태 해석에 중요한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추후 이상 발생 시에 관련 이력들이 원인 분석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의 경우 부하(20) 주변의 환경적 요인을 수집하는 장치로서 온도, 습도, 진동 센서를 예시하고 있으나, 동종의 센서가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설치될 수도 있으며, 부하(20) 주변에서 부하(20)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센서(ex, CCTV)가 센서 터미널부(120)에 추가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정보 표시기(130)는 외부 케이스(160)의 표면에 디스플레이 창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과부하 계전기(110)가 측정한 계측 정보(ex, 전력, 전압, 전류)를 전달받아 화면 상에 표시한다. 이러한 정보 표시기(130)는 부하(20)가 설치된 실제 현장(site)에서, 현재 공급 전력의 계측 값을 작업자가 실시간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데이터 처리기(140)는 과부하 계전기(110)로부터 계측 정보를 전달받으며 센서 터미널부(120)로부터 환경 센싱 정보를 전달받는다. 데이터 처리기(140)는 정보의 수신을 위해 과부하 계전기(110) 및 센서 터미널부(120)와 각각 RS232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처리기(140)는 전달받은 계측 정보(ex, 전력, 전압, 전류, 역률)와 환경 센싱 정보(ex, 온도, 습도, 진동)를 TCP/IP 데이터로 각각 변환한다. 이러한 데이터 처리기(140)는 획득한 계측 정보와 환경 센싱 정보를 IEEE 무선랜 표준 등을 준수하여 무선 전송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로 만들어주는 역할을 한다.
M2M 통신 모뎀(150)은 상술한 바와 같이 TCP/IP 데이터로 변환된 계측 정보 및 환경 센싱 정보를, 자신의 기기 고유 식별 번호를 사용하여 LTE 무선망을 통해 모니터링 서버(200)로 무선 전송한다.
M2M(Machine to Machine)은 사물 지능 통신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물 통신은 현존하는 통신서비스와 마찬가지로 네트워크 상에서 기기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한 식별 코드가 존재해야만 통신 신호의 무선 전송과 그에 따른 통신사의 과금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과부하 계전기 모듈(100)은 사물 통신이 가능하도록 M2M 통신 모뎀(150)이 내장된다. M2M 통신 모뎀(150)은 기기 고유 식별 번호를 가지고 있으며 기기 고유 식별 번호는 모뎀의 전화번호에 해당될 수 있다.
M2M 서비스는 각 통신사마다 사물 인터넷 및 기기 간의 통신을 서비스하기 위하여 수요를 유치하고 있으며 간단한 절차로 가입이 가능하다. 또한 통신사와 계약 체결된 M2M 통신 모뎀의 대수와 데이터 전송량 등에 의해 통신사의 과금이 결정될 수 있다.
M2M 통신 모뎀(150)은 계측 정보와 환경 센싱 정보를 자신의 기기 고유 식별 번호를 사용하여 통신사의 LTE 무선망을 통해 모니터링 서버(200)로 무선 전송한다. 여기서 모니터링 서버(200) 역시 사물 통신이 가능하도록 M2M 통신 모뎀을 내장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외에도 M2M 통신 모뎀(150)은 소정의 감시 서버나 단말기와 연결된 유선 랜(LAN)과도 연결되어 별도의 통신망을 통하지 않고 해당 서버나 단말기로 정보를 지속적으로 유선 전송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의 경우 단일의 부하(20)에 대한 원격 모니터링도 가능하지만 복수의 부하(20)에 대한 통합적인 원격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한다. 즉, 복수의 부하(20) 마다 과부하 계전기 모듈(100)이 연결되며, 각각의 과부하 계전기 모듈(100)은 M2M 통신 기능을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200)로 해당 부하(20)의 상태 정보(ex, 전력 공급 상태, 환경 요인)를 전송할 수 있다. 물론 과부하 계전기 모듈(100) 각각은 서로 구별되는 기기 고유 식별 번호를 가지기 때문에 각 모듈(100)은 모니터링 서버(200)와 독립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과부하 계전기 모듈과 모니터링 서버 간의 통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모니터링 서버(200) 역시 타 기기와 사물 통신이 가능하도록 M2M 통신 모뎀(210)이 내장되어 있다.
M2M 통신 모뎀(210)은 기기 고유 식별 번호를 가지며, 복수의 과부하 계전기 모듈(100)로부터 전송되는 각각의 데이터(계측 정보, 환경 센싱 정보)를 상기 LTE 망을 통하여 무선 수신한다.
모니터링부(220)는 수신한 데이터에 포함된 계측 정보와 환경 센싱 정보를 과부하 계전기 모듈(100)의 기기 고유 식별 번호와 연계하여 개별적으로 관리한다. 모니터링부(220)는 각각의 과부하 계전기 모듈(100)에 대응하는 부하(20)의 정보를 알고 있기 때문에, 수신한 데이터에 연계된 기기 고유 식별 번호를 파악하면 어떤 부하(20)에 대한 데이터인지도 파악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220)는 과부하 계전기 모듈(100) 별로 계측 정보와 환경 센싱 정보의 조회 및 출력 기능을 제공한다. 즉, 모니터링 서버(200)가 원격에서 관리 중인 여러 대의 과부하 계전기 모듈 중에서 관리자 등에 의해 선택된 모듈에 대한 정보 조회 및 정보 출력이 가능하게 한다.
도 3은 도 2의 모니터링 서버가 제공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과 같이, 모니터링 서버(200)는 과부하 계전기 모듈(100)에서 전송한 전력, 전압, 전류, 그리고 온도, 습도, 진동 정보를 숫자, 테이블, 그래프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실시간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과부하 계전기 모듈(100)은 모니터링 서버(200)에 설정 주기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 주기는 사전에 모니터링 서버(200)에서 지령한 전송 주기에 해당될 수 있다.
즉, 모니터링 서버(200)는, 과부하 계전기 모듈(100) 각각의 기기 고유 식별 번호를 수신처로 하여, 데이터 전송 주기를 명령하는 신호를 LTE 무선망을 통해 각각 무선 전송한다. 예를 들면, 5분의 주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라는 명령을 M2M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그러면, 각각의 과부하 계전기 모듈(100)은, 모니터링 서버(200)의 기기 고유 식별 번호를 수신처로 하여 자신의 데이터(계측 정보, 환경 센싱 정보)를 기 명령받은 데이터 전송 주기(ex, 5분)에 따라 LTE 무선망을 통해 무선 전송한다. 모니터링 서버(200)는 해당 주기 마다 전송되는 데이터를 각각의 모듈별로 구분하여 관리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과부하 계전기 모듈(100) 및 모니터링 서버(200)는 모바일 앱이 실행된 사용자 단말기(ex, 스마트 폰)와도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과부하 계전기 모듈(100)로부터 데이터를 직접 전송받거나 모니터링 서버(20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조회 및 검색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관리자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관련 데이터를 실시간 확인 및 조회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경우 다수의 구동 모터를 설비로 사용하는 중소 또는 대규모 산업 현장(생산 시설 등)에 편리하게 적용 가능하며 수많은 모터의 동작 상태나 주변 환경 요인을 원격에서 실시간 감시할 수 있게 하므로 다방 분야의 각종 산업 현장에 편리하고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과부하 계전기 모듈에 따르면, 모터 등과 같은 회전 구동 부하를 과전류로부터 보호함은 물론이며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과 관련한 계측 정보 및 부하의 주변 환경 정보를 M2M 통신 기능을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로 무선 전송할 수 있어, 원격지에서 다수의 부하들에 대한 개별적인 전력 공급 상태 및 주변 환경 상태를 실시간 통합 모니터링 및 관리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서버에서는 원격지에서도 개별 부하의 상태를 쉽게 인지할 수 있으며 이상 상태 발생 시에 해당 부하의 환경적 요인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분석할 수 있게 하여, 추후 유사 경우 발생 시에 위험이나 고장을 사전에 예지하여 경고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과부하 계전기 모듈
110: 과부하 계전기
120: 센서 터미널부 130: 정보 표시기
140: 데이터 처리기 150: M2M 통신 모뎀
160: 외부 케이스 200: 모니터링 서버
210: M2M 통신 모뎀 220: 모니터링부
120: 센서 터미널부 130: 정보 표시기
140: 데이터 처리기 150: M2M 통신 모뎀
160: 외부 케이스 200: 모니터링 서버
210: M2M 통신 모뎀 220: 모니터링부
Claims (3)
- 입력된 교류 전력으로부터 획득되는 계측 정보를 바탕으로, 외부 부하에 대한 상기 교류 전력의 공급 또는 차단을 제어하는 과부하 계전기;
상기 부하의 주변 환경 인자인 온도, 습도 및 진동을 각각 센싱하는 복수의 센서 모듈과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이 각각 센싱한 환경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 터미널부;
상기 계측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정보 표시기;
상기 과부하 계전기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계측 정보 및 상기 센서 터미널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환경 센싱 정보를 TCP/IP 데이터로 각각 변환하는 데이터 처리기; 및
상기 TCP/IP 데이터로 변환된 상기 계측 정보 및 상기 환경 센싱 정보를 자신의 기기 고유 식별 번호를 사용하여 LTE 무선망을 통해 모니터링 서버로 무선 전송하는 M2M 통신 모뎀을 포함하는 과부하 계전기 모듈.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자신의 기기 고유 식별 번호를 가지며, 복수의 상기 과부하 계전기 모듈로부터 전송된 각각의 데이터를 무선 수신하는 M2M 통신 모뎀; 및
상기 수신한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계측 정보와 상기 환경 센싱 정보를 상기 과부하 계전기 모듈의 기기 고유 식별 번호와 연계하여 개별적으로 관리하고, 상기 과부하 계전기 모듈별로 상기 계측 정보와 상기 환경 센싱 정보의 조회 및 출력 기능을 제공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과부하 계전기 모듈.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과부하 계전기 모듈 각각의 기기 고유 식별 번호를 수신처로 하여 데이터 전송 주기를 명령하는 신호를 상기 LTE 무선망을 통해 각각 무선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과부하 계전기 모듈은,
각각 상기 모니터링 서버의 기기 고유 식별 번호를 수신처로 하여 상기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기 명령받은 전송 주기에 따라 자신의 데이터를 상기 LTE 무선망을 통해 무선 전송하는 과부하 계전기 모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7816U KR20170002019U (ko) | 2015-11-30 | 2015-11-30 | M2m 통신 기능을 내장한 과부하 계전기 모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7816U KR20170002019U (ko) | 2015-11-30 | 2015-11-30 | M2m 통신 기능을 내장한 과부하 계전기 모듈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2019U true KR20170002019U (ko) | 2017-06-09 |
Family
ID=59093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50007816U KR20170002019U (ko) | 2015-11-30 | 2015-11-30 | M2m 통신 기능을 내장한 과부하 계전기 모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02019U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9072B1 (ko) * | 2018-12-27 | 2019-07-10 | 김영남 | 터널등 원격감시 시스템 |
KR102039897B1 (ko) * | 2019-07-10 | 2019-11-04 | 김영남 | 전류제어 감시장치 |
-
2015
- 2015-11-30 KR KR2020150007816U patent/KR20170002019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9072B1 (ko) * | 2018-12-27 | 2019-07-10 | 김영남 | 터널등 원격감시 시스템 |
KR102039897B1 (ko) * | 2019-07-10 | 2019-11-04 | 김영남 | 전류제어 감시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72398B1 (ko) | 전자태그를 이용한 전력설비 관리시스템 | |
GB2485446A (en) | Motor monitoring and control | |
CN106161489A (zh) | 电动工具的数据传输系统 | |
CN103066563A (zh) | 智能电动机保护器系统 | |
CN107508259A (zh) | 电动机智能监控系统 | |
KR101262163B1 (ko) | 분전반을 이용한 통합 감시·제어 시스템 | |
CN104678936A (zh) | 配电室监控设备和系统 | |
KR20170002019U (ko) | M2m 통신 기능을 내장한 과부하 계전기 모듈 | |
CN105094039A (zh) | 换流变压器冷却器控制柜智能控制方案人机界面搭建方法 | |
KR101099573B1 (ko) | 통신기능 탑재형 배선용 차단기 | |
KR101264869B1 (ko) | 현장 감시 장치, 디지털 보호 계전기의 전력계통 감시 시스템 및 방법 | |
CN204361789U (zh) | 一种供配电综合保护监控系统 | |
KR101229963B1 (ko) | 모터 감시제어시스템 | |
KR101094148B1 (ko) | 지능형 배전반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통합관리 방법 | |
RU2681244C2 (ru) | Интеллектуальная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муфта | |
US11856343B2 (en) | Monitoring of high-voltage or medium-voltage equipment | |
KR20220045135A (ko) | 스마트폰 원격제어를 통한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 |
Floriduz et al. | Wireless temperature sensing in electrical motors with XBee modules | |
KR20140024518A (ko) | 전력 사용량 관리 방법과 센서 노드 및 이를 이용한 전력 사용량 수집 장치 | |
EP2672353A1 (en) | Transformer monitoring with a mobile device | |
CN203349960U (zh) | 一种用于防爆电动机的温度监测系统 | |
MX2010014028A (es) | Sistema para adquisicion, proteccion, registro, comunicacion y control de datos. | |
KR101090511B1 (ko) |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전력설비 감시 시스템 | |
KR20200069423A (ko) | 회전기기의 진동 주파수를 이용한 자가발전 방식의 일체형 자가진단 모듈 | |
CN104678791A (zh) | 配电室监控设备和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