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017A - 자동차용 시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017A
KR20170002017A KR1020150091853A KR20150091853A KR20170002017A KR 20170002017 A KR20170002017 A KR 20170002017A KR 1020150091853 A KR1020150091853 A KR 1020150091853A KR 20150091853 A KR20150091853 A KR 20150091853A KR 20170002017 A KR20170002017 A KR 20170002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air
duct
seat
col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1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열
Original Assignee
(주)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50091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2017A/ko
Publication of KR20170002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0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28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coming from the vehicle ventilation system, e.g. air-conditioning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 B60H1/0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 B60H1/1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 B60H1/1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using an air blower
    • B60N2/4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5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blown towards the seat surface
    • B60Q3/0276
    • B60Q3/028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프론트시트의 내측에 구비되며, 일측으로 자동차의 냉풍 및 온풍을 공급받는 메인덕트와, 상기 메인덕트의 타측에 연결 구비되며, 메인덕트를 통해 공급되는 자동차의 냉풍 및 온풍을 이송하도록 구비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의 상부에 구비되어 송풍팬으로부터 자동차의 냉풍 및 온풍을 공급받으며, 하부측이 송풍팬과 연결됨과 아울러 상부측이 상부로 연장 형성되어 냉풍 및 온풍을 상부측으로 이송하도록 구비되는 공급덕트와, 상기 프론트시트의 상부에 구비되며, 양측에는 전방으로 각각 돌출되는 사이드헤드레스트가 형성되는 헤드레스트와, 상기 헤드레스트의 내측 전방 하부에 삽입 구비되며, 일측이 헤드레스트의 전방으로 노출되고, 타측은 공급덕트와 연결되어 공급덕트로부터 자동차의 냉풍 및 온풍을 공급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하부덕트와, 상기 사이드헤드레스트의 내측에 각각 삽입 구비되며, 각각의 일측은 사이드헤드레스트의 외부로 노출되고, 타측은 공급덕트와 연결되어 공급덕트로부터 자동차의 냉풍 및 온풍을 공급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사이드통풍구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 구비되며, 헤드레스트의 일측에 구비되어 냉풍 및 온풍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헤드레스트온도조절스위치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 구비되며, 헤드레스트의 일측에 구비되어 냉풍 및 온풍의 풍량 세기를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헤드레스트풍량조절스위치와, 상기 프론트시트의 후방에 내측으로 내입된 공간부가 형성되어 프론트시트에 내입 구비되며, 공간부의 전방 상부에는 후방측으로 탄성지게 탄성체가 구비되고. 탄성체의 후방에는 후방측으로 돌출되는 고정구가 구비되며, 공간부의 하부에는 전방으로 눌림되는 스위치가 구비되고, 공간부의 하부 중앙에는 하부측으로 내입되는 내입부가 형성되며, 공간부의 상부 중앙에는 상부측으로 연장 내입되는 연장공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에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삽입 구비되며, 상부에는 연장공에 대응되게 상부로 연장됨과 아울러 양측이 연장공에 힌지 결합되어 축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면서도 상부 선단에는 내측으로 내입된 다수개의 걸림부를 갖는 돌부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전방 내측에 삽입 구비되며, 자동차의 배터리에서 전원을 제공받음과 아울러 스위치의 신호에 따라 점등되는 램프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이격 구비되며, 프론트시트의 내측에 삽입되어 후방측이 노출 구비되고, 자동차의 배터리에서 전원을 제공받는 USB단자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Seat for car}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프론트시트에 자동차의 냉풍 및 온풍이 공급되는 덕트가 연결되어 착석자의 선택에 따라 냉풍 또는 온풍을 헤드레스트에 공급하여 프론트시트 착석자의 머리와 목 부위에 공급하도록 하면서도 리어시트의 착석자가 책을 읽거나 또는 물건을 찾는 등의 행동을 하기 위해 램프를 점등할 시에 램프의 점등으로 인한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램프의 조사각도를 리어시트의 착석자가 원하는 각도로 용이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자동차에서 공급되는 냉풍 또는 온풍은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전면 또는 하부에서만 공급되었으며, 이러한 냉풍 또는 온풍의 공급으로 인해 운전자 및 동승자가 시트에 착석할 시에는 운전자 및 동승자의 전면은 시원하거나 따뜻한 반면 시트 및 헤드레스트에 신체가 닿는 부분은 냉풍 또는 온풍이 닿지 않아 땀이 차는 등의 문제점 등이 발생되었으며, 냉풍 또는 온풍의 바람세기를 약하게 조절하였을 시에는 냉풍 또는 온풍이 신체에 영향을 미치는데 오래걸리는 문제점도 있는 것이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종래의 자동차에서 야간에 리어시트에 앉은 착석자가 책을 읽거나 물건을 찾는 등의 행동을 하기 위해서는 자동차의 천장 부위에 있는 램프를 점등하여 책을 읽거나 물건을 찾는 등의 행동을 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자동차의 천장 부위에 있는 램프를 점등하여 리어시트에 앉은 착석자가 책을 읽거나 물건을 찾는 등의 행동을 할 시에는 야간에 운전을 하는 운전자에게 램프의 빛이 조사됨으로써 운전자의 시선이 교란되어 사고의 위험이 높아짐은 물론이거니와 램프의 빛으로 인해 후방에 운행중인 차량의 정보를 신속히 파악할 수 없어 사고의 위험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공기를 차량 시트로 토출하는 차량 시트용 통풍 장치에 있어서, 시트쿠션의 이동에 따라 공기가 통과하는 내부 통로의 단면적 변화 없이 길이가 가변되는 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덕트는 연결덕트와 하부덕트로 구성되면서 어느 하나의 덕트가 나머지 하나의 덕트에 끼워져서 설치되는데, 상기 연결덕트는 상기 시트쿠션의 이동시에 움직임이 없도록 시트의 고정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덕트는 상기 시트쿠션과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시트의 이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시트쿠션의 이동시에 상기 시트의 이동부에 설치된 상기 하부덕트가 상기 시트의 고정부에 설치된 상기 연결덕트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길이가 가변되는 구성을 갖도록 설치되되, 상기 하부덕트에서 상기 연결덕트로 삽입되는 쪽의 일단 바깥 둘레면에는 상기 연결덕트와의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여 공기누출을 방지하는 실링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연결덕트와 상기 하부덕트는 길이가 늘어나도록 슬라이드 이동한 하부덕트의 복귀동작을 도와줄 수 있도록 수평탄성수단을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덕트에서 상기 하부덕트가 삽입되는 쪽의 일단에는 상기 연결덕트의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연결덕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연결덕트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덕트에서 상기 연결덕트로 삽입되는 쪽의 일단에는 상기 연결덕트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는 하부덕트 가이드홈이 상기 하부덕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 등록특허공보 제10-1208756호에서와 같이 공지된 바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프론트시트에 설치되는 승용차용 독서등에 있어서, 전구가 끼워지는 램프를 다각도로 굴곡시킬 수 있는 다관절관을 매개로 상기 프론트시트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 공개특허공보 제10-1997-0037760호에서와 같이 공지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기술은 냉풍 또는 온풍을 조절하기 위해 운전자가 전면에서 시선을 자동차의 공조기로 옮겨 조작을 하여야함으로 운전중 안전사고의 문제점 또한 있는 것이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술은 자동차의 사고시 리어시트의 착석자가 다관절관으로 인해 심각한 부상을 입을 위험성이 높아짐은 물론 외관상으로도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 자동차용 시트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08756호 공개특허공보 제10-1997-003776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자동차의 프론트시트에 자동차의 냉풍 및 온풍이 공급되는 덕트가 연결되어 착석자의 선택에 따라 냉풍 또는 온풍을 헤드레스트에 공급하여 착석자의 머리와 목 부위에 공급하도록 함과 아울러 헤드레스트의 일측에 냉풍, 온풍 및 바람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스위치를 구비함으로써 운전자의 시선이 전방에서 이동하지 않아도됨으로 운전중에 안전사고가 방지되도록 함과 아울러 리어시트의 착석자가 책을 읽거나 또는 물건을 찾는 등의 행동을 하기 위해 램프를 점등할 시에 램프의 점등으로 인해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램프의 조사각도를 리어시트의 착석자가 원하는 각도로 용이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시트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의 프론트시트의 내측에 구비되며, 일측으로 자동차의 냉풍 및 온풍을 공급받는 메인덕트와, 상기 메인덕트의 타측에 연결 구비되며, 메인덕트를 통해 공급되는 자동차의 냉풍 및 온풍을 이송하도록 구비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의 상부에 구비되어 송풍팬으로부터 자동차의 냉풍 및 온풍을 공급받으며, 하부측이 송풍팬과 연결됨과 아울러 상부측이 상부로 연장 형성되어 냉풍 및 온풍을 상부측으로 이송하도록 구비되는 공급덕트와, 상기 프론트시트의 상부에 구비되며, 양측에는 전방으로 각각 돌출되는 사이드헤드레스트가 형성되는 헤드레스트와, 상기 헤드레스트의 내측 전방 하부에 삽입 구비되며, 일측이 헤드레스트의 전방으로 노출되고, 타측은 공급덕트와 연결되어 공급덕트로부터 자동차의 냉풍 및 온풍을 공급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하부덕트와, 상기 사이드헤드레스트의 내측에 각각 삽입 구비되며, 각각의 일측은 사이드헤드레스트의 외부로 노출되고, 타측은 공급덕트와 연결되어 공급덕트로부터 자동차의 냉풍 및 온풍을 공급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사이드통풍구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 구비되며, 헤드레스트의 일측에 구비되어 냉풍 및 온풍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헤드레스트온도조절스위치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 구비되며, 헤드레스트의 일측에 구비되어 냉풍 및 온풍의 풍량 세기를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헤드레스트풍량조절스위치와, 상기 프론트시트의 후방에 내측으로 내입된 공간부가 형성되어 프론트시트에 내입 구비되며, 공간부의 전방 상부에는 후방측으로 탄성지게 탄성체가 구비되고. 탄성체의 후방에는 후방측으로 돌출되는 고정구가 구비되며, 공간부의 하부에는 전방으로 눌림되는 스위치가 구비되고, 공간부의 하부 중앙에는 하부측으로 내입되는 내입부가 형성되며, 공간부의 상부 중앙에는 상부측으로 연장 내입되는 연장공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에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삽입 구비되며, 상부에는 연장공에 대응되게 상부로 연장됨과 아울러 양측이 연장공에 힌지 결합되어 축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면서도 상부 선단에는 내측으로 내입된 다수개의 걸림부를 갖는 돌부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전방 내측에 삽입 구비되며, 자동차의 배터리에서 전원을 제공받음과 아울러 스위치의 신호에 따라 점등되는 램프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이격 구비되며, 프론트시트의 내측에 삽입되어 후방측이 노출 구비되고, 자동차의 배터리에서 전원을 제공받는 USB단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시트는 자동차의 프론트시트에 자동차의 냉풍 및 온풍이 공급되는 메인덕트, 공급덕트가 연결 구비되어 프론트시트에 착석한 착석자의 선택에 따라 냉풍 또는 온풍을 헤드레스트에 공급하여 착석자의 머리와 목 부위에 공급하도록 함과 아울러 헤드레스트의 일측에 냉풍, 온풍 및 바람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스위치를 구비함으로써 운전자의 시선이 전방에서 이동하지 않아도됨으로 운전중에 안전사고가 방지되는 이점은 물론 리어시트의 착석자가 책을 읽거나 또는 물건을 찾는 등의 행동을 하기 위해 램프를 점등할 시에 램프의 점등으로 인해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아 운전중 안전사고가 방지되는 이점과 아울러 램프의 조사각도를 리어시트의 착석자가 원하는 각도로 용이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 또한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헤드레스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헤드레스트의 개략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시트의 후방측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시트의 개략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스의 작동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시트는 자동차의 프론트시트(2)의 내측에 구비되며, 일측으로 자동차의 냉풍 및 온풍을 공급받는 메인덕트(10)와, 상기 메인덕트(10)의 타측에 연결 구비되며, 메인덕트(10)를 통해 공급되는 자동차의 냉풍 및 온풍을 이송하도록 구비되는 송풍팬(11)과, 상기 송풍팬(11)의 상부에 구비되어 송풍팬(11)으로부터 자동차의 냉풍 및 온풍을 공급받으며, 하부측이 송풍팬(11)과 연결됨과 아울러 상부측이 상부로 연장 형성되어 냉풍 및 온풍을 상부측으로 이송하도록 구비되는 공급덕트(12)와, 상기 프론트시트(2)의 내부에 삽입 구비되며, 송풍팬(11) 및 자동차의 공조기와 연결 구비되어 상호 유기적으로 신호를 주고 받도록 구비되는 제어부(19)와, 상기 프론트시트(2)의 상부에 구비되며, 양측에는 전방으로 각각 돌출되는 사이드헤드레스트(22)가 형성되는 헤드레스트(23)와, 상기 헤드레스트(23)의 내측 전방 하부에 삽입 구비되며, 일측이 헤드레스트(23)의 전방으로 노출되고, 타측은 공급덕트(12)와 연결되어 공급덕트(12)로부터 자동차의 냉풍 및 온풍을 공급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하부덕트(24)와, 상기 사이드헤드레스트(22)의 내측에 각각 삽입 구비되며, 각각의 일측은 사이드헤드레스트(22)의 외부로 노출되고, 타측은 공급덕트(12)와 연결되어 공급덕트(12)로부터 자동차의 냉풍 및 온풍을 공급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사이드통풍구(26)와, 상기 제어부(19)와 연결 구비되며, 헤드레스트(23)의 일측에 구비되어 냉풍 및 온풍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헤드레스트온도조절스위치(35)와, 상기 제어부(19)와 연결 구비되며, 헤드레스트(23)의 일측에 구비되어 냉풍 및 온풍의 풍량 세기를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헤드레스트풍량조절스위치(36)와, 상기 프론트시트(2)의 후방에 내측으로 내입된 공간부(38)가 형성되어 프론트시트(2)에 내입 구비되며, 공간부(38)의 전방 상부에는 후방측으로 탄성지게 탄성체(39)가 구비되고. 탄성체(39)의 후방에는 후방측으로 돌출되는 고정구(40)가 구비되며, 공간부(38)의 하부에는 전방으로 눌림되는 스위치(41)가 구비되고, 공간부(38)의 하부 중앙에는 하부측으로 내입되는 내입부(42)가 형성되며, 공간부(38)의 상부 중앙에는 상부측으로 연장 내입되는 연장공(43)이 형성되는 하우징(44)과, 상기 하우징(44)의 공간부(38)에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삽입 구비되며, 상부에는 연장공(43)에 대응되게 상부로 연장됨과 아울러 양측이 연장공(43)에 힌지(45) 결합되어 축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면서도 상부 선단에는 내측으로 내입된 다수개의 걸림부(46)를 갖는 돌부(47)가 형성되는 케이스(49)와, 상기 케이스(49)의 전방 내측에 삽입 구비되며, 자동차의 배터리에서 전원을 제공받음과 아울러 스위치(41)의 신호에 따라 점등되는 램프(50)와, 상기 하우징(44)의 일측에 이격 구비되며, 프론트시트(2)의 내측에 삽입되어 후방측이 노출 구비되고, 자동차의 배터리에서 전원을 제공받는 USB단자(56)로 이루어진다.
먼저, 자동차의 프론트시트(2)의 내측에 구비되며, 일측으로 자동차의 냉풍 및 온풍을 공급받는 메인덕트(1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메인덕트(10)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며, 프론트시트(2)의 승하강 및 전후진에 대응되도록 주름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메인덕트(10)의 타측에 연결 구비되며, 메인덕트(10)를 통해 공급되는 자동차의 냉풍 및 온풍을 이송하도록 구비되는 송풍팬(11)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송풍팬(11)은 메인덕트(10)를 동해 공급되는 자동차의 냉풍 및 온풍을 후술되는 공급덕트(12)로 보다 안정적으로 공급함과 아울러 냉풍 및 온풍의 세기가 약해질 수 있는 것을 보강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송풍팬(11)의 상부에 구비되어 송풍팬(11)으로부터 자동차의 냉풍 및 온풍을 공급받으며, 하부측이 송풍팬(11)과 연결됨과 아울러 상부측이 상부로 연장 형성되어 냉풍 및 온풍을 상부측으로 이송하도록 공급덕트(1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공급덕트(12)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프론트시트(2)의 내부에 삽입 구비되며, 송풍팬(11) 및 자동차의 공조기와 연결 구비되어 상호 유기적으로 신호를 주고 받도록 제어부(19)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9)는 후술되는 헤드레스트온도조절스위치(35), 헤드레스트풍량조절스위치(36)와 연결되어 헤드레스트온도조절스위치(35) 및 헤드레스트풍량조절스위치(36)의 조작에 따라 자동차의 공조기에 신호를 전달하여 냉풍 및 온풍의 온도를 조절하거나 송풍팬(11)에 신호를 보내어 냉풍 및 온풍의 바람세기를 조절하는 역할도 하는 것이다.
상기 프론트시트(2)의 상부에 구비되며, 양측에는 전방으로 각각 돌출되는 사이드헤드레스트(22)가 형성되는 헤드레스트(23)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사이드헤드레스트(22)는 자동차의 사고시에 운전자의 목 및 머리를 사이드헤드레스트(22) 내에서 고정되도록 함으로서 부상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역할 및 내측에 후술되는 사이드통풍구(26)가 구비됨으로서 착석자의 목 및 머리의 양측면에 냉풍 또는 온풍을 직접적으로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헤드레스트(23)의 내측 전방 하부에 삽입 구비되며, 일측이 헤드레스트(23)의 전방으로 노출되고, 타측은 공급덕트(12)와 연결되어 공급덕트(12)로부터 자동차의 냉풍 및 온풍을 공급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하부덕트(2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하부덕트(24)는 사고시에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머리가 헤드레스트(23)에 닿을 시 충격을 받지 않도록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하부덕트(24))의 전체가 연질로 형성되어도 무방한 것이나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머리가 닿는 부분에서 내측으로 일정 부분만을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하여도 무방한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덕트(24)는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목 뒷부분에 직접적으로 냉풍 및 온풍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며, 상체 또는 하체와는 달리 외부로 노출되는 목에 직접적으로 냉풍 및 온풍을 공급함으로서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체온을 낮추거나 올리기 유용한 이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 사이드헤드레스트(22)의 내측에 각각 삽입 구비되며, 각각의 일측은 사이드헤드레스트(22)의 외부로 노출되고, 타측은 공급덕트(12)와 연결되어 공급덕트(12)로부터 자동차의 냉풍 및 온풍을 공급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사이드통풍구(2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사이드통풍구(26)는 사고시에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머리가 사이드통풍구(26)에 닿을 시 충격을 받지 않도록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사이드통풍구(26)의 전체가 연질로 형성되어도 무방한 것이나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머리가 닿는 부분에서 내측으로 일정 부분만을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하여도 무방한 것이다.
또한, 상기 사이드통풍구(26)는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목 양측에 직접적으로 냉풍 및 온풍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며, 옷과 같은 피복물에 의해 가려진 상체 또는 하체와는 달리 사람의 체온을 상승시키거나 내리는데 효율적이고 적합한 부위인 목 부분에 직접적으로 냉풍 및 온풍을 공급함으로서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체온을 낮추거나 올리기 유용한 이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하부덕트(24) 및 사이드통풍구(26)가 외측으로 노출된 측에는 각각 하부덕트(24) 및 사이드통풍구(26)의 내측으로 이물질 등이 투입되지 못하도록 망 형태로된 커버(37)가 각각 하부덕트(24) 및 사이드통풍구(26)의 내측에 끼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커버(37)는 망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이며, 인체에 닿았을 시에 거부감이 들지 않도록 천연섬유사 또는 인조섬유사로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제어부(19)와 연결 구비되며, 헤드레스트(23)의 일측에 구비되어 냉풍 및 온풍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헤드레스트온도조절스위치(35)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헤드레스트온도조절스위치(35)는 제어부(19)에 연결되어 냉풍 또는 온풍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나 헤드레스트온도조절스위치(35)가 자동차의 공조기에 직접 연결되어 작동되어도 무방한 것이다.
상기 제어부(19)와 연결 구비되며, 헤드레스트(23)의 일측에 구비되어 냉풍 및 온풍의 풍량 세기를 조절하도록 헤드레스트풍량조절스위치(3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헤드레스트풍량조절스위치(36)는 제어부(19)와 연결되어 송풍팬(11)의 회전 속도를 조절함과 아울러 공급덕트(12)로 공급되는 냉풍 및 온풍의 풍량 세기도 동시에 조절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헤드레스트온도조절스위치(35) 및 헤드레스트풍량조절스위치(36)의 형태나 조작방식은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시선을 돌리지 않고도 손의 감각만으로 무엇을 위한 것인지 파악이 가능하도록 각기 다른 형태 및 조작법을 갖는 스위치 또는 레버가 구비되어 사용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프론트시트(2)의 후방에 내측으로 내입된 공간부(38)가 형성되어 프론트시트(2)에 내입 구비되며, 공간부(38)의 전방 상부에는 후방측으로 탄성지게 탄성체(39)가 구비되고. 탄성체(39)의 후방에는 후방측으로 돌출되는 고정구(40)가 구비되며, 공간부(38)의 하부에는 전방으로 눌림되는 스위치(41)가 구비되고, 공간부(38)의 하부 중앙에는 하부측으로 내입되는 내입부(42)가 형성되며, 공간부(38)의 상부 중앙에는 상부측으로 연장 내입되는 연장공(43)이 형성되는 하우징(44)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44)은 후술되는 케이스(49)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고정구(40)는 금속재로 형성되어 후술되는 케이스(49)의 걸림부(46)에 고정구(40)가 걸림될 시에 많은 마찰에도 마모 또는 손상 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며, 고정구(40)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반원통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하우징(44)의 공간부(38)에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삽입 구비되며, 상부에는 연장공(43)에 대응되게 상부로 연장됨과 아울러 양측이 연장공(43)에 힌지(45) 결합되어 축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면서도 상부 선단에는 내측으로 내입된 다수개의 걸림부(46)를 갖는 돌부(47)가 형성되는 케이스(49)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49)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며, 케이스(49)의 힌지(45)는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도 무방한 것이나 지속적인 사용을 위해 쉽게 파손되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 보다는 금속재를 선택하여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케이스(49)의 전방 내측에 삽입 구비되며, 자동차의 배터리에서 전원을 제공받음과 아울러 스위치(41)의 신호에 따라 점등되는 램프(5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램프(50)는 하우징(44)의 스위치(41)에 의해 점등되는 것이며, 케이스(49)가 하우징(44)에서 축회전하여 공간부(38)에서 이탈되면 점등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44)의 일측에 이격 구비되며, 프론트시트(2)의 내측에 삽입되어 후방측이 노출 구비되고, 자동차의 배터리에서 전원을 제공받는 USB단자(5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USB단자(56)는 다양한 기기를 충전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며, 자동차의 시동이 ON 상태일 때만 작동되도록 하여 자동차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케이스(49)의 전방 하부 양측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전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충격흡수구(58)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충격흡수구(58)는 케이스(49)가 축회전하여 하우징(44)의 공간부(38)에 삽입될 시에 충격 및 소음이 감소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시트는 자동차의 프론트시트(2)에 자동차의 냉풍 및 온풍이 공급되는 메인덕트(10), 공급덕트(12), 하부덕트(24) 및 사이드통풍구(26)가 연결 구비되어 착석자의 선택에 따라 냉풍 또는 온풍을 헤드레스트(23)에 공급하여 착석자의 머리와 목 부위에 공급하도록 함과 아울러 헤드레스트(23)의 일측에 냉풍, 온풍 및 바람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온도조절스위치(35) 및 헤드레스트풍량조절스위치(36)를 구비함으로서 운전자의 시선이 전방에서 이동하지 않아도됨으로 운전중에 안전사고가 방지되는 이점이 있음과 아울러 리어시트의 착석자가 책을 읽거나 또는 물건을 찾는 등의 행동을 하기 위해 램프(50)를 점등할 시에 램프(50)의 점등으로 인해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아 운전중 안전사고가 방지되는 이점이 있음과 아울러 램프(50)의 조사각도를 리어시트의 착석자가 원하는 각도로 용이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 또한 있는 것이다.
2 : 프론트시트 10 : 메인덕트
11 : 송풍팬 12 : 공급덕트
19 : 제어부 22 : 사이드헤드레스트
23 : 헤드레스트 24 : 하부덕트
26 : 사이드통풍구 35 : 헤드레스트온도조절스위치
36 : 헤드레스트풍량조절스위치 44: 하우징
49 : 케이스 50 : 램프
56 : USB단자

Claims (7)

  1. 자동차의 프론트시트(2)의 내측에 구비되며, 일측으로 자동차의 냉풍 및 온풍을 공급받는 메인덕트(10);
    상기 메인덕트(10)의 타측에 연결 구비되며, 메인덕트(10)를 통해 공급되는 자동차의 냉풍 및 온풍을 이송하도록 구비되는 송풍팬(11);
    상기 송풍팬(11)의 상부에 구비되어 송풍팬(11)으로부터 자동차의 냉풍 및 온풍을 공급받으며, 하부측이 송풍팬(11)과 연결됨과 아울러 상부측이 상부로 연장 형성되어 냉풍 및 온풍을 상부측으로 이송하도록 구비되는 공급덕트(12);
    상기 프론트시트(2)의 내부에 삽입 구비되며, 송풍팬(11) 및 자동차의 공조기와 연결 구비되어 상호 유기적으로 신호를 주고 받도록 구비되는 제어부(19);
    상기 프론트시트(2)의 상부에 구비되며, 양측에는 전방으로 각각 돌출되는 사이드헤드레스트(22)가 형성되는 헤드레스트(23);
    상기 헤드레스트(23)의 내측 전방 하부에 삽입 구비되며, 일측이 헤드레스트(23)의 전방으로 노출되고, 타측은 공급덕트(12)와 연결되어 공급덕트(12)로부터 자동차의 냉풍 및 온풍을 공급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하부덕트(24);
    상기 사이드헤드레스트(22)의 내측에 각각 삽입 구비되며, 각각의 일측은 사이드헤드레스트(22)의 외부로 노출되고, 타측은 공급덕트(12)와 연결되어 공급덕트(12)로부터 자동차의 냉풍 및 온풍을 공급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사이드통풍구(26);
    상기 제어부(19)와 연결 구비되며, 헤드레스트(23)의 일측에 구비되어 냉풍 및 온풍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헤드레스트온도조절스위치(35);
    상기 제어부(19)와 연결 구비되며, 헤드레스트(23)의 일측에 구비되어 냉풍 및 온풍의 풍량 세기를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헤드레스트풍량조절스위치(36);
    상기 프론트시트(2)의 후방에 내측으로 내입된 공간부(38)가 형성되어 프론트시트(2)에 내입 구비되며, 공간부(38)의 전방 상부에는 후방측으로 탄성지게 탄성체(39)가 구비되고. 탄성체(39)의 후방에는 후방측으로 돌출되는 고정구(40)가 구비되며, 공간부(38)의 하부에는 전방으로 눌림되는 스위치(41)가 구비되고, 공간부(38)의 하부 중앙에는 하부측으로 내입되는 내입부(42)가 형성되며, 공간부(38)의 상부 중앙에는 상부측으로 연장 내입되는 연장공(43)이 형성되는 하우징(44);
    상기 하우징(44)의 공간부(38)에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삽입 구비되며, 상부에는 연장공(43)에 대응되게 상부로 연장됨과 아울러 양측이 연장공(43)에 힌지(45) 결합되어 축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면서도 상부 선단에는 내측으로 내입된 다수개의 걸림부(46)를 갖는 돌부(47)가 형성되는 케이스(49);
    상기 케이스(49)의 전방 내측에 삽입 구비되며, 자동차의 배터리에서 전원을 제공받음과 아울러 스위치(41)의 신호에 따라 점등되는 램프(50);
    상기 하우징(44)의 일측에 이격 구비되며, 프론트시트(2)의 내측에 삽입되어 후방측이 노출 구비되고, 자동차의 배터리에서 전원을 제공받는 USB단자(5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덕트(10), 공급덕트(12), 하부덕트(24) 및 사이드통풍구(26)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덕트(10) 및 공급덕트(12)는 프론트시트(2) 및 헤드레스트(23)의 승하강 및 전후진에 대응되도록 주름관 형태로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덕트(24) 및 사이드통풍구(26)가 외측으로 노출된 측에는 각각 상기 하부덕트(24) 및 사이드통풍구(26)의 내측으로 이물질 등이 투입되지 못하도록 망 형태로된 커버(37)가 각각 내측에 끼움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44) 및 케이스(49)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45) 및 고정구(40)는 금속재로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49)의 전방 하부 양측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전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충격흡수구(58)가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KR1020150091853A 2015-06-29 2015-06-29 자동차용 시트 KR201700020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1853A KR20170002017A (ko) 2015-06-29 2015-06-29 자동차용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1853A KR20170002017A (ko) 2015-06-29 2015-06-29 자동차용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017A true KR20170002017A (ko) 2017-01-06

Family

ID=57832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1853A KR20170002017A (ko) 2015-06-29 2015-06-29 자동차용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201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7760A (ko) 1995-12-29 1997-07-24 김태구 승용차용 독서등
KR101208756B1 (ko) 2010-02-05 2012-12-05 현대다이모스(주) 차량 시트용 통풍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7760A (ko) 1995-12-29 1997-07-24 김태구 승용차용 독서등
KR101208756B1 (ko) 2010-02-05 2012-12-05 현대다이모스(주) 차량 시트용 통풍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08595B (zh) 集成式空气通风口和灯组件
US11904658B2 (en) Ventilation device for the inside of a motor vehicle
KR20170002018A (ko) 자동차용 시트
KR20170002017A (ko) 자동차용 시트
KR20170002015A (ko) 자동차용 시트
KR20170002012A (ko) 자동차용 시트
KR20170002020A (ko) 자동차용 시트
CN111976418A (zh) 顶棚通风装置
KR20170011679A (ko) 자동차용 시트
KR20170002021A (ko) 자동차용 시트
KR20170011678A (ko) 자동차용 시트
KR20170011684A (ko) 자동차용 시트
KR20170011681A (ko) 자동차용 시트
KR20170011682A (ko) 자동차용 시트
KR20170002006A (ko) 자동차용 시트
KR20160139839A (ko) 냉온풍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시트
KR20160104877A (ko) 냉온풍 기능이 구비된 헤드레스트
KR20160104875A (ko) 냉온풍 기능이 구비된 헤드레스트
KR20160139841A (ko) 냉온풍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시트
KR20170002007A (ko) 자동차용 시트
KR20170001995A (ko) 자동차용 시트
JP2008183959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170002014A (ko) 자동차용 시트
KR101673099B1 (ko) 자동차의 리어 플로어판넬용 에어덕트의 에어노즐 장치
KR101704267B1 (ko) 워머가 구비된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