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942A - M2m 시스템에서 요청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M2m 시스템에서 요청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942A
KR20170001942A KR1020160079009A KR20160079009A KR20170001942A KR 20170001942 A KR20170001942 A KR 20170001942A KR 1020160079009 A KR1020160079009 A KR 1020160079009A KR 20160079009 A KR20160079009 A KR 20160079009A KR 20170001942 A KR20170001942 A KR 20170001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quest message
schedule
information
attribute information
execution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9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ublication of KR20170001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9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2Establishing a time schedule for servicing the requests
    • H04L67/325
    • H04L67/32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3Routing a service request depending on the request content or con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M2M(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기술에 관한 것으로, M2M 시스템에서 요청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예는 M2M 시스템에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스케줄 정보를 이용하여 M2M 장치의 동작을 스케줄링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실시예는 M2M(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장치가 요청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오리지네이터(Originator)로부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요청 메시지에 동작 실행 시간 파라미터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동작 실행 시간 파라미터가 존재하는 경우, M2M 장치의 스케줄 자원 정보에 동작 실행 시간 파라미터를 적용하는 단계; 및 스케줄 자원 정보에 기초하여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오리지네이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M2M 시스템에서 요청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Methods for processing request message in M2M system and Apparatuses thereof}
본 실시예는 M2M(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기술에 관한 것으로, M2M 시스템에서 요청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예는 M2M 시스템에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스케줄 정보를 이용하여 M2M 장치의 동작을 스케줄링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사물 통신 (M2M, "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또는 MTC, "Machine type communication" 또는 스마트 디바이스 통신, "Smart Device communication" 또는 "Machine oriented communication" 또는 사물 인터넷, "Internet of Things")은 사람이 통신 과정에 개입하지 않고 통신이 이루어지는 방식의 모든 통신 방식을 지칭한다. 최근 oneM2M에서 M2M과 관련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oneM2M의 아키텍처(Architecture) 및 요구 사항(Requirement)을 충족시키는 기술적인 요소들이 제시되지 않은 상태이다.
한편, M2M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각의 M2M 장치는 특정 목적 또는 특정 효과를 위하여 스케줄에 따라 동작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주택이나 아파트에서 전기, 가스, 수도 등의 사용량 정보를 월별 또는 일정한 주기로 사물통신을 통하여 수집하기 위해서는 전기계량기, 가스 검침기, 수도 계량기 등에서 수집한 정보를 미리 지정된 시간에 전송하여야 한다. 또한, 미리 지정된 시간에 동작을 하더라도 주변에 아파트가 신규로 건축되거나, 주인이 바뀌는 경우와 같이 환경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일정을 수정하거나 변경할 필요도 있다.
그러나, M2M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의 정보 송수신, 접속 제어 및 동작을 위한 자원 관리 및 스케줄링 제어에 대한 구체적인 절차가 논의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본 실시예는 사물통신에 필수적인 통신기능의 제어, 각종 응용 기능 및 자원의 관리 등에 필요한 제어 동작을 미리 지정하여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과 절차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스케줄링을 위한 속성 정보를 고안하여 스케줄 자원을 구성하고, 스케줄 자원을 관리하는 방법과 절차를 제안하고자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는, M2M(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장치가 요청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오리지네이터(Originator)로부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요청 메시지에 동작 실행 시간 파라미터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동작 실행 시간 파라미터가 존재하는 경우, M2M 장치의 스케줄 자원 정보에 동작 실행 시간 파라미터를 적용하는 단계; 및 스케줄 자원 정보에 기초하여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오리지네이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는, 요청 메시지를 처리하는 M2M(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장치에 있어서, 오리지네이터(Originator)로부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요청 메시지에 동작 실행 시간 파라미터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동작 실행 시간 파라미터가 존재하는 경우, M2M 장치의 스케줄 자원 정보에 동작 실행 시간 파라미터를 적용하는 제어부; 및 스케줄 자원 정보에 기초하여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오리지네이터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M2M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는 다수의 사물통신을 위한 장치가 스케줄 자원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동작을 수행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M2M 시스템의 환경 변화 등을 빠르게 반영하고, 동적으로 개별 M2M 장치의 동작을 변경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M2M 시스템을 상위 레벨의 기능적 관점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M2M 시스템 구성도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공통서비스객체 자원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요청 메시지를 처리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M2M 장치가 요청 메시지를 처리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줄 자원 정보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M2M 장치가 요청 메시지를 처리하는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M2M 장치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물 통신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사물 통신은 M2M(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IoT(Internet of Things), 스마트 장치 통신(Smart Device Communication, SDC), 또는 사물 지향 통신(Machine Oriented Communication) 등으로 다양하게 불려질 수 있다. 최근 oneM2M에서 사물통신과 관련된 많은 기술적 사항을 제시하고 있다. 사물 통신은 사람이 통신 과정에 개입하지 않고 통신이 이루어지는 다양한 통신을 지칭한다. 사물 통신은 에너지(energy) 분야, 엔터프라이즈(enterprise) 분야, 헬스케어(Healthcare) 분야, 공공 서비스(Public Services) 분야, 주거(Residential) 분야, 리테일(Retail) 분야, 운송(Transportation)분야, 그리고 기타 분야 등으로 나뉘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 분야를 포함하며, 그 외의 분야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M2M 시스템을 상위 레벨의 기능적 관점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애플리케이션 개체(Application Entity, AE)(110)은 종단간(end-to-end) M2M 솔루션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로직을 제공한다. 일 예로 차량 등의 집단적인 추적 애플리케이션(fleet tracking application), 원격 혈당 감시 애플리케이션(remote blood sugar monitoring application), 또는 원격 전력 검침과 제어 애플리케이션(remote power metering and controlling application) 등이 될 수 있다(Application Entity (AE): Application Entity provides Application logic for the end-to-end M2M solutions. Examples of the Application Entities can be fleet tracking application, remote blood sugar monitoring application, or remote power metering and controlling application.). 공통 서비스 개체(Common Services Entity, CSE)(120)는 서비스 기능의 집합으로써, 이러한 서비스 기능은 M2M 환경에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기능이다. 이러한 서비스 기능은 참조점(Reference Points) Mca, Mcc를 통해 다른 기능으로 드러나며, 참조점 Mcn를 이용하여 기반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다. 일 예로는 데이터 관리(Data Management), 디바이스 관리(Device Management), M2M 구독 관리(M2M Subscription Management), 위치 서비스(Location Service) 등이 될 수 있다. CSE에 의해 제공되는 서브기능(subfunction)은 논리적으로 CSF(Common service function)으로 이해될 수 있다. oneM2M 노드의 CSE내에 CSF 중 일부는 필수적(mandatory)이 되며 일부는 선택적(optional)이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CSF 내의 서브기능들 역시 필수적 또는 선택적이 될 수 있다.
기반 네트워크 서비스 기능(Underlying Network Services Function, NSF)(130)은 공통 서비스 개체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비스의 예로는 디바이스 관리, 위치 서비스(location services)와 디바이스 트리거링(device triggering)을 포함한다.
참조점(Reference Points)은 공통 서비스 개체(CSE)에서 지원되는 것으로 Mca 참조점은 애플리케이션 개체와 공통 서비스 개체 간의 통신 플로우를 지시하는 참조점이다. Mcc 참조점은 두 공통 서비스 개체 간의 통신 플로우를 지시하는 참조점이다. Mcn 참조점은 공통 서비스 개체와 하나의 네트워크 서비스 개체간의 통신 플로우를 지시하는 참조점이다.
보다 상세히, Mca 참조점은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개체(AE)가 공통 서비스 개체에 의해 지원되는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Mca 참조점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들은 공통 서비스 개체가 제공하는 기능에 의존적이며, 애플리케이션 개체와 공통 서비스 개체는 동일한 물리적 개체에 존재하거나 다른 물리적 개체에 따로 존재할 수 있다. Mcc 참조점은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는 다른 공통 서비스 개체의 서비스를 사용하고자 하는 공통 서비스 개체에게 그러한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Mcc 참조점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들은 공통 서비스 개체가 제공하는 기능에 의존적이다. Mcc 참조점은 서로 다른 M2M 노드 간에 지원될 수 있다. Mcn 참조점은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는 기반 네트워크의 서비스 개체를 사용하고자 하는 공통 서비스 개체에게 그러한 사용을 가능하게 하며, 이는 전송과 연결 이외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Mcn 참조점의 인스턴스(instance)는 기반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의존적으로 구현된다. 두 개의 물리적 M2M 노드 간의 정보 교환은 기본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반 네트워크의 전송(transport) 및 연결(connectivity)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공통 서비스 개체를 CSE로 기재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서비스 개체를 NSE로 기재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M2M 장치는 CSE 또는 AE를 의미하거나, CSE 또는 AE를 포함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M2M 시스템 구성도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기반노드(Infrastructure Node, 250)는 M2M 통신을 제공하는데 필수적인 서버 기능을 수행한다. 기반노드(250)는 기반노드 응용개체(AE, 252)와 기반노드 공통서비스개체(CSE, 254)로 구성된다. 기반노드 공통서비스 개체(254)는 아래에서 설명할 도 3과 같은 자원을 이용하여 구성한다. 252와 254는 Mca 참조점을 통하여 구분하고, 사물통신에 필요한 메시지, 특히 스케줄러 자원의 생성 (create), 삭제 (delete), 갱신 (update), 조회 (retrieve), 통지 (notify)하기 위한 요청메시지와 응답메시지의 구성과 처리에 사용한다.
중계노드(200)는 응용서비스노드(220)와 기반노드(100)의 M2M 통신 또는 Internet of Things, 사물통신 기능을 중계한다. 중계노드(200)는 중계노드 응용개체(202)와 중계노드 공통서비스개체(204)로 구성된다. 중계노드 공통서비스개체 (204)는 도 3과 같은 자원을 이용하여 구성한다. 202와 204는 Mca 참조점을 통하여 구분하며, 254와 204는 Mcc참조점을 이용하여 구분하고, 사물통신에 필요한 메시지, 특히 스케줄러 자원의 생성 (create), 삭제 (delete), 갱신 (update), 조회(retrieve), 통지 (notify)하기 위한 요청메시지와 응답메시지의 구성과 처리에 사용한다.
응용서비스노드(210)는 응용개체(212)와 중계노드 공통서비스개체(214)로 구성할 수 있다. 응용개체(212)는 기기의 목적상 요구되는 응용 기능을 처리한다. 응용서비스노드(210)의 공통서비스개체(214)는 도 3과 같은 자원을 이용하여 구성한다. 212와 214는 Mca 참조점을 통하여 구분하며, 214와 254는 Mcc참조점을 이용하여 구분하고, 사물통신에 필요한 메시지, 특히 스케줄러 자원의 생성(create), 삭제 (delete), 갱신 (update), 조회 (retrieve), 통지 (notify)하기 위한 요청메시지와 응답 메시지의 구성과 처리에 사용한다. 한편, 응용서비스노드(220)는 중계노드(200)를 통하여 기반노드(100)와 사물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210과 220의 차이점은 노드를 구성하는 통신 인터페이스가 다른 것이 특징이다. 예를 들어, 220은 블루투스, ZigBee, Zwave, WiFi등의 초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200을 통하여 100과 통신한다. 이에 반해, 210은 3G, LTE, Ethernet, Gigabit Ethernet, ADSL등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100과 통신한다.
응용전용노드(230, 240)는 공통서비스개체를 가지지 않고, 응용개체(242)만을 가지고 사물통신을 하는 경우를 대상으로 한다. 230은 3G, LTE, Ethernet, Gigabit Ethernet, ADSL등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100과 통신하는 경우이고, 240은 블루투스, ZigBee, Zwave, WiFi등의 초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200을 통하여 100과 통신한다.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M2M 시스템은 기반노드, 중계노드, 응용 서비스 노드 및 응용전용 노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노드는 CSE 또는 AE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CSE와 AE는 각각의 참조점을 통해서 타 CSE 또는 AE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M2M 장치가 타 M2M 장치 또는 노드 또는 M2M 개체로부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이를 처리하는 구체적인 방법 및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M2M 장치에 스케줄 자원이 구성되는 경우, 요청 메시지의 스케줄 자원 정보를 이용하여 M2M 장치가 해당 요청 메시지를 스케줄에 맞추어 처리하는 구체적인 방법 및 절차를 제공하고자 한다.
예를 들면, 주택이나 아파트에서 전기, 가스, 수도 등의 사용량 정보를 월별 또는 일정한 주기로 사물통신을 통하여 수집하기 위해서는 전기계량기, 가스 검침기, 수도 계량기 등에서 수집한 정보를 미리 지정된 시간에 전송하여야 한다. 또한, 미리 지정된 시간에 동작을 하더라도 주변에 아파트가 신규로 건축되거나, 주인이 바뀌는 경우와 같이 M2M 시스템 환경이 변화되는 경우에 스케줄을 수정하거나 변경할 필요도 있다. 또한, 전기, 가스, 수도 계량기와 더불어 차량, 가로등, 교통 신호등의 제어를 포함하는 경우, 각각의 장치에서 요구되는 통신의 수요는 사람이 사용하는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의 수를 훨씬 능가한다. 이런 경우, 통신 네트워크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하여 각 장치의 통신 가능 시기를 제어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스케줄 정보에 따라 통신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또한, 에너지, 기업, 의료, 공공서비스, 주거, 소매, 교통 및 운송 등 다양한 응용을 위한 데이터를 수집한 서버에서도 특정 응용 동작을 주기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월별, 년간 통계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처리를 주기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스케줄 정보을 바탕으로 동작해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에서의 M2M 장치는 전술한 CSE 또는 AE를 의미할 수 있다. 또는 M2M 장치는 넓은 의미에서 노드를 의미할 수도 있다. 또는, M2M 장치는 M2M 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일반적인 개체를 의미할 수도 있다. 따라서, M2M 장치는 그 용어에 한정되지 않으며, CSE, AE, 노드 등 다양한 의미를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3은 공통서비스개체 자원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사물통신 공통기능은 응용과 서비스 계층 관리 기능, 통신 관리와 전달 처리 기능, 데이터 관리와 저장 기능, 디바이스 관리 기능, 탐색 (Discovery) 기능, 위치, 네트워크 서비스와 서비스 실행 및 트리거링 (Network Service exposure, Service Execution and Triggering) 기능, 등록 기능, 보안 기능, 서비스 과금 및 정산 기능, 구독 및 통지 기능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통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개체를 CSE(Common Service Entity)라고 한다. 다양한 사물통신 응용 분야는 표 1과 같이 제시할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Figure pat00001
이와 같이, M2M 장치(예를 들어, CSE)는 다양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기능을 위한 자원을 포함한다. 또한, 각 자원은 하나 이상의 속성정보 또는 하위 자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M2M 장치가 스케줄 자원정보를 이용하여 요청 메시지를 처리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요청 메시지를 처리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발원자(Originator, 400)는 CSE 또는 AE와 같은 M2M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수신자(Receiver, 410)도 CSE 또는 AE와 같은 M2M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원자(400)는 도 2의 응용개체(252, 202, 212, 222) 또는 공통서비스개체(254, 204, 214, 224) 등이 될 수 있다. 수신자 (410)는 공통서비스개체(254, 204, 214, 224) 또는 응용개체 (232, 242)등이 될 수 있다.
발원자(400)는 요청 메시지 (Request Message)를 수신자(410)에게 보낸다(S400). 요청메시지는 “Operation”, “To”, “From”, “Request Identifier” 파라미터가 필수적으로 포함된다. “Operation" 파라미터는 생성(CREATE), 조회(RETRIEVE), 갱신(UPDATE), 삭제(DELETE), 통지(NOTIFY) 등의 정보를 나타낸다. 즉, 해당 요청 메시지가 요청하는 동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To” 파라미터는 대상 자원이나 Operation을 수행하기 위한 속성 정보가 있는 주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From” 파라미터는 발원자(400)를 표시하는 식별정보이다. “Request identifier”는 요청 메시지와 응답 메시지를 추적하기 위한 정보이다.
한편, 스케줄 자원을 관리하기 위하여 요청 메시지에 동작 실행 시간 (Operation Execution Time) 파라미터가 사용될 수 있다. 동작 실행 시간(Operation Execution Time) 파라미터는 수신자(410)가 동작 (Operation)을 실행하기 위한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발원자(400)가 요청 메시지에 동작 실행 시간 파라미터를 포함하여 전송한 경우, 수신자(410)는 해당 파라미터를 처리하여 요청 메시지를 실행한다(S410). 수신자(410)가 요청 메시지를 실행 또는 처리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수신자(410)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S410 단계에서 처리하고, 요청 메시지 처리에 따른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S430). 응답 메시지는 “Response Code” 또는 “Response Status Code”, “Request Identifier” 파라미터가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한다. “Response Code” 또는 “Response Status Code”는 수신자(410)가 요청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처리하였는지, 요청 메시지를 처리하는데 실패하였는지, 메시지 수신을 확인(acknowledgement) 하였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Request Identifier” 파라미터는 해당 응답 메시지와 해당 요청 메시지의 매칭을 위해서 사용된다.
이하, 각 도면을 참조하여 도 4의 S410 단계에서 수신자의 요청 메시지 처리 방법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M2M 장치가 요청 메시지를 처리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M2M 장치가 요청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은 오리지네이터(Originator)로부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요청 메시지에 동작 실행 시간 파라미터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동작 실행 시간 파라미터가 존재하는 경우, M2M 장치의 스케줄 자원 정보에 동작 실행 시간 파라미터를 적용하는 단계 및 스케줄 자원 정보에 기초하여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오리지네이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M2M 장치는 오리지네이터(Originator)로부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510). 전술한 바와 같이, M2M 장치(예를 들어, CSE 또는 AE)는 오리지네이터로부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요청 메시지는 “Operation”, “To”, “From”, “Request Identifier” 파라미터가 필수적으로 포함한다. 또한, M2M 장치의 스케줄 관리를 위해서 스케줄 자원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요청 메시지는 오리지네이터와 M2M 장치의 관계에 따라서 Mcc 또는 Mca 참조점을 통한 통신 절차를 통해서 수신될 수 있다. 오리지네이터도 CSE 또는 AE일 수 있다.
M2M 장치는 요청 메시지에 동작 실행 시간 파라미터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520).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M2M 장치는 요청 메시지에 스케줄 자원과 관련된 동작 실행 시간 파라미터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동작 실행 시간 파라미터는 M2M 장치가 요청 메시지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스케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실행 시간 파라미터는 특정 시점, 특정 시간 주기 또는 특정 시간 조건을 만족할 경우에 요청 메시지에 따른 요청을 처리하도록 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동작 실행 시간 파라미터는 M2M 장치의 동작 스케줄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M2M 장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에 요청 메시지에 대한 유효성을 체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요청 메시지에 대한 유효성 체크는 해당 요청 메시지의 "To" 파라미터의 정보가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M2M 장치와 일치하는지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o" 파라미터의 정보가 M2M 장치를 지시하는 경우, 해당 요청 메시지는 M2M 장치를 수신자로 전송된 것이므로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To" 파라미터의 정보가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M2M 장치와 다른 경우, 해당 요청 메시지의 수신자가 M2M 장치가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M2M 장치는 미리 설정된 기준 또는 요청 메시지의 필수 파라미터를 기준으로 유효성 체크를 수행할 수 있다.
만약, "To" 파라미터의 정보가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M2M 장치와 매칭되지 않아서,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M2M 장치는 유효성 체크 결과와 해당 M2M 장치의 중계전달기능(Communication Management and Delivery Handling, CMDH) 존재 여부에 따라 해당 요청 메시지를 전달한다. 예를 들어, 요청 메시지가 유효하지 않고 M2M 장치에 CMDH 기능이 있는 경우에 M2M 장치는 해당 요청 메시지를 큐에 저장하고, CMDH 메시지 전달 절차를 수행한다. 또는 요청 메시지가 유효하지 않고, M2M 장치에 CMDH 기능이 없는 경우에 M2M 장치는 해당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고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한편, M2M 장치는 동작 실행 시간 파라미터가 존재하는 경우, M2M 장치의 스케줄 자원 정보에 동작 실행 시간 파라미터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530). 예를 들어, M2M 장치는 요청 메시지에 동작 실행 시간 파라미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해당 동작 실행 시간 파라미터를 M2M 장치의 스케줄 자원 정보에 적용할 수 있다. 스케줄 자원 정보는 M2M 장치의 동작 스케줄을 관리하기 위한 자원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스케줄 자원 정보는 스케줄 요소 속성정보, 스케줄 타입 속성정보 및 스케줄 워크 속성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속성정보를 하위 속성으로 포함할 수 있다. 스케줄 자원 정보와 관련해서는 이하에서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동작 실행 시간 파라미터를 스케줄 자원 정보의 스케줄 요소 속성정보로 변환하여 M2M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실행 시간 파라미터가 특정 시점에 해당 요청 메시지를 실행하도록 지시하는 경우에 특정 시점에 대한 정보를 스케줄 요소 속성 정보로 변환하여 M2M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동작 실행 시간 파라미터가 M2M 장치에 적용되는 경우에 스케줄 워크 속성 정보의 값도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스케줄 타입 속성 정보는 요청 메시지의 요청 타입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요청 메시지에 동작 실행 시간 파라미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M2M 장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바로 해당 요청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다. 즉, 해당 요청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하지 않는다.
또한, M2M 장치는 스케줄 자원 정보에 기초하여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오리지네이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540). 예를 들어, M2M 장치는 동작 실행 시간 파라미터를 변환한 스케줄 요소 속성정보와 현재 시각 정보를 비교하여 요청 메시지의 처리 조건 만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M2M 장치는 스케줄 요소 속성정보와 현재 시각 정보의 매칭 여부를 기준으로 처리 조건이 만족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실행 시간 파라미터가 특정 시간을 지정할 경우, 동작 실행 시간 파라미터를 스케줄 속성 정보로 변환하고, 변환된 스케줄 속성 정보의 특정 시간과 현재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처리 조건이 만족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M2M 장치는 요청 메시지의 처리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스케줄 자원 정보에 포함되는 스케줄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요청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케줄 타입 정보가 예정된 작업을 실행하는 동작인 경우와 자원에 대한 도달성을 허용하는 동작인 경우 중 어느 하나의 경우를 지정하고 있는 경우, 지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지정된 작업을 수행한 결과에 대해서 응답 메시지를 이용하여 오리지네이터로 전송할 수 있다. 예정된 작업을 실행하는 동작은 처리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요청 메시지에서 지정하는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의미하며, 자원에 대한 도달성을 허용하는 동작은 M2M 장치에 대한 연결성을 허용하여 타 장치가 M2M 장치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동작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스케줄 타입 정보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요청 메시지에 의해서 설정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M2M 장치는 요청 메시지를 처리함에 있어서, 요청 메시지에 동작 실행 시간 파라미터가 존재하는 경우에 이를 이용하여 M2M 장치의 스케줄 자원 정보를 수정/변경/생성하여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줄 자원 정보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스케줄 자원 정보(600)는 스케줄 요소 속성정보(scheduleElement, 610), 스케줄 타입 속성정보(scheduleType, 620) 및 스케줄 워크 속성 정보(scheduledWork, 630)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케줄 자원 정보(600)는 필요에 따라 부속 자원(child resource, 64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610, 620, 630은 스케줄 자원에 특징적인 속성 정보이다. 스케줄 자원(600)은 <subscription>의 부속 자원(640)을 갖지 않거나, 다수의 부속자원(640) 가질 수 있다.
표 2는 스케줄 자원 정보(600)에 포함될 수 있는 속성정보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Figure pat00002
표 2를 참조하면, 스케줄 자원 정보(600)는 전술한 스케줄 자원에 특징적인 속성정보 뿐만 아니라, resourceType, resourceID, resourceName, parentID, expirationTime, creationTime, lastModifiedTime, labels, announceTo, announcedAttribute 등의 속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속성 정보는 CSE 자원을 구성하는 스케줄 자원 정보(600) 이외에도 타 자원 정보에 동일하게 포함되는 공통적인 속성 정보이다.
스케줄 자원 정보(600)에 포함되는 특징적인 속성 정보는 전술한 스케줄 요소 속성정보(610), 스케줄 타입 속성정보(620) 및 스케줄 워크 속성정보(630)이며, 이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스케줄 요소 속성 정보(scheduleElement, 610)는 7개의 정보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정보는 빈칸으로 구분한다. 7개의 정보는 각각 초, 분, 시간, 날짜, 월, 요일, 년도를 나타낸다. 각각의 정보는 4개의 특수문자를 사용할 수 있다. 첫째, 눈표(*) 문자는 모든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요일 정보를 *로 표시하면 모든 요일을 나타낸다. 둘째, 사선(/)은 주기적으로 수행하는 범위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시간 정보를 0/4로 표시하면 0시에 시작하여 4시간을 주기로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다. 즉, 0시, 4시, 8시, 12시, 16시, 20시에 수행한다. 셋째, 컴마(,)는 여러 개의 목록을 나타내는데 사용한다. 예를 들어 시간 정보를 컴마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목록으로 표현할 수 있는데, 0,4,8,12,16,20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넷째, 하이픈(-)은 범위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월을 6-8과 같이 표시하면 6월부터 8월까지를 나타낸다. 추가적으로 L은 마지막(last)을 표시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월의 마지막 날짜는 5L과 같이 나타낸다. 매월 마지막 토요일은 6L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스케줄 요소 속성 정보(610)은 필수적인 속성으로서 다수의 목록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읽기, 쓰기가 가능하다.
스케줄 타입 속성 정보(scheduleType, 620)는 스케줄 자원(600)의 목적을 나타내기 위한 필수적인 속성정보이다. 즉, 스케줄의 목적이 스케줄이 설정된 시간에 자원을 접근할 수 있음을 나타내거나 스케줄이 설정된 시간에 정해진 일을 처리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스케줄 워크 속성정보(scheduledWork, 630)는 요청 메시지의 동작 실행 시간 (Operation Execution Time)파라미터가 있는 경우, 스케줄된 시간에 실행하기 위한 요청메시지를 나타내는 선택적인 속성이다. 즉, 스케줄 타입 속성 정보가 예정된 작업을 실행하는 경우, 스케줄 워크 속성 정보가 필요하다. 즉, 스케줄 타입 속성 정보가 자원에 대한 도달성을 허용하는 경우에는 스케줄 요소 속성 정보에서 정의한 시간에 해당 M2M 장치에 대한 도달성(reachability)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밧데리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디바이스가 전원을 절약하기 위하여 수면 상태를 유지하다가 서버 등의 시스템이 접근을 허용하기 위한 동작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서, 생성, 삭제, 수정, 조회, 통지 등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상태이나, 통신이 가능한 상태이다.
전술한 본 실시예에 따른 M2M 장치의 요청 메시지 처리 동작을 각각의 경우를 모두 고려한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에서 도시한 흐름도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는 도 7의 흐름도 중 일부 절차 만을 수행하거나, 일부 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
도 7은 M2M 장치가 요청 메시지를 처리하는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M2M 장치가 오리지네이터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한 요청메시지를 확인한다(S700). 또한, M2M 장치는 요청 메시지에 유효성 체크를 수행할 수 있다(S705). 예를 들어, M2M 장치는 요청 메시지의 “Operation”, “To”, “From”, “Request Identifier” 파라미터가 필수적으로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필수적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수신자가 요청메시지를 처리하여야 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요청 메시지의 “To” 파라미터 정보가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M2M 장치와 다른 경우, M2M 장치는 요청 메시지를 처리하지 않고, 중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CMDH(Communication Management and Delivery Handling) 처리 여부를 판단한다(S750). M2M 장치가 요청 메시지를 중계 전달하기 위하여 CMDH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요청 메시지를 큐에 저장하여 CMDH 메시지 전달 절차를 수행한다(S755). 만약, M2M 장치가 CMDH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해당 요청 메시지를 전달한다(S760).
M2M 장치는 요청 메시지가 유효한 경우(예를 들어 S705 단계에서 요청 메시지를 처리하는 “To” 파라미터의 정보가 M2M 장치인 경우), “Operation Execution Time” 파라미터의 존재 여부를 확인한다(S710). S710 단계에서 “Operation Execution Time” 파라미터가 없는 경우, M2M 장치는 수신된 요청 메시지에 따라 해당 요청을 처리한다(S745).
S710 단계에서 “Operation Execution Time” 파라미터가 있는 경우, “Operation Execution Time” 파라미터의 정보를 전술한 스케줄 자원 정보로 변환한다. “Operation Execution Time” 파라미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케줄 요소 속성 정보로 변환될 수 있으며, M2M 장치는 스케줄 요소 속성 정보와 현재 시각을 비교하여 요청 메시지의 처리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판단한다(S715).
예를 들어, 스케줄 자원 정보는 스케줄 요소(scheduleElement) 속성 정보를 현재 시각과 비교하여, 스케줄 요소(scheduleElement)로 표현된 “Operation Execution Time” 파라미터의 정보가 현재 시각보다 이전인 경우, 요청 메시지를 즉시 실행하여 처리한다(S745).
이와 달리, S715 단계에서 비교 결과, 스케줄 요소(scheduleElement) 속성정보로 표현된 “Operation Execution Time” 파라미터의 정보가 미래 시점인 경우, 대기한다(S720).
이후, M2M 장치는 “Operation Execution Time” 파라미터를 변환한 스케줄 요소(scheduleElement) 속성 정보의 시각에 현재 시각이 매칭되는지를 판단한다(S725). 아직, 현재 시각이 도달하지 못한 경우, S720 단계로 되돌아가며, 도달여부는 주기적으로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체크할 수 있다. 만약, 스케줄 요소 속성정보의 시각 정보와 현재 시각이 매칭되면, M2M 장치는 스케줄 타입 (scheduleType) 속정 정보를 검사한다(S730).
스케줄 타입 속성 정보가 “예정된 작업을 실행하는 동작 (Execute operation of scheduled work)”인 경우, 수신한 요청 메시지를 실행한다(S740). 스케줄 타입 속성 정보가 “자원에 대한 도달성 허용 (Allow reachability to resource)”인 경우, 동작을 실행하지 않고, 연결성만 허용한다(S735). 연결성만 허용하는 경우에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개체가 접근할 수 있도록 동작 상태를 유지하고, 스케줄이 종료되면 연결성 허용을 차단한다. 예를 들어 밧데리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디바이스가 전원을 절약하기 위하여 수면 상태를 유지하다가 서버 등의 시스템이 접근을 허용하기 위해서 수면 상태를 종료하는 동작상태가 S735 단계의 상태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M2M 장치는 도 7의 절차에 따라 요청 메시지를 스케줄 자원 정보를 이용하여 처리할 수 있으며, 도 7의 각 단계 중 일부만을 수행하거나, 일부를 생략하고 수행할 수도 있다.
전술한 요청 메시지 처리 절차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는 M2M 장치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다시 한 번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M2M 장치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M2M 장치(800)는 오리지네이터(Originator)로부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830)와 요청 메시지에 동작 실행 시간 파라미터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동작 실행 시간 파라미터가 존재하는 경우, M2M 장치의 스케줄 자원 정보에 동작 실행 시간 파라미터를 적용하는 제어부(810) 및 스케줄 자원 정보에 기초하여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오리지네이터로 전송하는 송신부(820)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케줄 자원 정보는 스케줄 요소 속성정보, 스케줄 타입 속성정보 및 스케줄 워크 속성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속성정보를 포함한다.
제어부(810)는 동작 실행 시간 파라미터를 스케줄 자원 정보의 스케줄 요소 속성정보로 변환한다. 또한, 제어부(810)는 동작 실행 시간 파라미터를 변환한 스케줄 요소 속성정보와 현재 시각 정보를 비교하여 요청 메시지의 처리 조건 만족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제어부(810)는 요청 메시지에 대한 유효성을 체크하고, 유효성 체크 결과 및 중계 전달 기능 포함 여부에 기초하여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제어부(810)는 전술한 본 실시예들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스케줄 자원 정보를 수정 또는 생성하고 스케줄 자원 정보에 맞추어 요청 메시지를 처리하는 데에 따른 전반적인 M2M 장치(800)의 동작을 제어한다.
한편, 송신부(820)와 수신부(830)는 전술한 본 실시예들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신호나 메시지, 데이터를 송수신 또는 전달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본 실시예들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각 단계 또는 구성은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이용하여 각 기능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해당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는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판독되고 실행됨으로써 본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따라서, 전술한 본 실시예들을 구현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저장매체는 본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언급한 표준내용 또는 표준문서들은 명세서의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생략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따라서, 위 표준내용 및 표준문서들의 일부의 내용을 본 명세서에 추가하거나 청구범위에 기재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M2M(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장치가 요청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오리지네이터(Originator)로부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요청 메시지에 동작 실행 시간 파라미터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동작 실행 시간 파라미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M2M 장치의 스케줄 자원 정보에 상기 동작 실행 시간 파라미터를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줄 자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오리지네이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 자원 정보는,
    스케줄 요소 속성정보, 스케줄 타입 속성정보 및 스케줄 워크 속성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속성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실행 시간 파라미터를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동작 실행 시간 파라미터를 상기 스케줄 자원 정보의 스케줄 요소 속성정보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동작 실행 시간 파라미터를 변환한 스케줄 요소 속성정보와 현재 시각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요청 메시지의 처리 조건 만족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의 처리 조건 만족 여부는,
    상기 스케줄 요소 속성정보와 상기 현재 시각 정보의 매칭 여부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의 처리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스케줄 자원 정보에 포함되는 스케줄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요청 메시지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의 처리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요청 메시지의 처리 조건이 만족될 때까지 상기 요청 메시지를 처리하지 않고 홀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유효성을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성 체크 결과 및 상기 M2M 장치의 중계전달 기능 포함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요청 메시지를 처리하는 M2M(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장치에 있어서,
    오리지네이터(Originator)로부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요청 메시지에 동작 실행 시간 파라미터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동작 실행 시간 파라미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M2M 장치의 스케줄 자원 정보에 상기 동작 실행 시간 파라미터를 적용하는 제어부; 및
    상기 스케줄 자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오리지네이터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M2M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 자원 정보는,
    스케줄 요소 속성정보, 스케줄 타입 속성정보 및 스케줄 워크 속성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속성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실행 시간 파라미터를 상기 스케줄 자원 정보의 스케줄 요소 속성정보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실행 시간 파라미터를 변환한 스케줄 요소 속성정보와 현재 시각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요청 메시지의 처리 조건 만족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유효성을 체크하고, 상기 유효성 체크 결과 및 중계 전달 기능 포함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장치.
KR1020160079009A 2015-06-26 2016-06-24 M2m 시스템에서 요청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700019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91505 2015-06-26
KR1020150091505 2015-06-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942A true KR20170001942A (ko) 2017-01-05

Family

ID=57835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9009A KR20170001942A (ko) 2015-06-26 2016-06-24 M2m 시스템에서 요청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194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6179A1 (ko) * 2017-06-23 2018-12-27 주식회사 케이티 M2m 시스템에서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90000817A (ko) * 2017-06-23 2019-01-03 주식회사 케이티 M2m 시스템에서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6179A1 (ko) * 2017-06-23 2018-12-27 주식회사 케이티 M2m 시스템에서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90000817A (ko) * 2017-06-23 2019-01-03 주식회사 케이티 M2m 시스템에서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11533597B2 (en) 2017-06-23 2022-1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cessing message in M2M system and device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33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2M device subscription
JP6353117B2 (ja) リソースの消費量をモニタしかつ制御することに関連する通信プロセス及びシステム
KR102410469B1 (ko) 사물 인터넷 이벤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EP3375146B1 (en) Systems and methods relating to a smart home manager
CN106537841A (zh) 在机器对机器网络中的资源和属性管理
EP3329657B1 (en) A method a server and a client for policy based control of m2m devices
US10194417B2 (en) Method for processing notification messa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11696248B2 (en) Service layer registration
US103750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request for stopping notification receip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2805981A (zh) 用于服务层的主题和数据的动态代理和管理的框架
EP2925028A1 (en) Method and device for group management in machine communication
Mohamed et al. Adaptability of SOA in IoT services–an empirical survey
EP3332513B1 (en) Service element host selection
KR20170001942A (ko) M2m 시스템에서 요청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N111095904A (zh) 通信网络中的服务层消息模板
US10271296B2 (en) Method for changing schedul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CN111164951B (zh) 基于服务能力要求和偏好的服务注册
KR20140003324A (ko) M2m 시스템에서 동적 보고 스케줄링을 구현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70052477A (ko) M2m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039551A (ko) Receiver CSE에서 효율적인 자원관리 위해 flexBlocking communication method를 처리하는 방법
CN104052728A (zh) 服务调度系统
KR20160132313A (ko) 스케줄러 자원의 관리 방법과 스케줄러 자원을 이용한 응용
KR20160130622A (ko) 저전력 무선 센서네트워크에서의 명령어 처리 방법
KR20170023316A (ko) 다수의 디바이스에서 제공하는 복합적인 데이터를 메시업하여 처리하는 방법
KR20180039552A (ko) Receiver CSE에서 효율적인 자원관리 위해 flexBlocking communication method를 처리하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