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019U - Portable bottle - Google Patents

Portable bott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019U
KR20170001019U KR2020150006037U KR20150006037U KR20170001019U KR 20170001019 U KR20170001019 U KR 20170001019U KR 2020150006037 U KR2020150006037 U KR 2020150006037U KR 20150006037 U KR20150006037 U KR 20150006037U KR 20170001019 U KR20170001019 U KR 201700010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region
portab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037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91944Y1 (en
Inventor
정수
Original Assignee
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수 filed Critical 정수
Priority to KR20201500060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944Y1/en
Publication of KR201700010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019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9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944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용기는, 내부가 빈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양측 단부가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며, 양측 단부 중 제 1 단부에 토출구가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제 1 단부에 결합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able container is provided. Wherein the container comprises: a main body having an empty space formed therein, both ends of which are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and a discharge port is formed at a first end of each of the opposite ends; And a lid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end portion.

Description

휴대용 용기{PORTABLE BOTTLE}Portable container {PORTABLE BOTTLE}

본 고안은 휴대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기의 일부가 고리와 같이 휘어지고, 두 개의 다른 용기를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링의 형태로 보관할 수 있는 휴대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container in which a part of the container is bent like a ring, and two different containers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stored in the form of a ring.

수분은 인체의 70%에 달하는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인체의 수분량이 부족하게 되면 단순 갈증뿐 아니라, 탈수에 의한 피로, 무기력증은 물론이고 면역력 저하에 의해 수많은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건조해진 피부에 의해 피부 트러블이 생길 수도 있고, 체내의 노폐물을 제대로 배출하지 못하여 미용에도 많은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반대로 올바른 수분섭취를 한다면, 체내의 노폐물을 잘 배출하여, 노화방지, 다이어트 및 피부 미용은 물론 면역력이 증가하여 많은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다 건강한 신체를 가질 수 있다. 일일 권장 수분 섭취량은 사람마다 차이는 있지만 보통 2리터 내지 3리터의 물을 섭취하여야 하며 이와 같은 일일 권장 수분 섭취량의 물을 마시기 위하여 많은 사람들이 텀블러 또는 음료 용기를 휴대하여 수시로 수분을 섭취하고 있다.Water accounts for as much as 70% of the human body. If the water content of the human body is insufficient, not only a simple thirst, but also fatigue and lethargy due to dehydration, as well as a decrease in immunity, can cause a lot of complications. In addition, dry skin may cause skin troubles, and waste in the body can not be discharged properly, which can have a great negative effect on beauty. On the other hand, if you take the right amount of water, you will be able to have a healthier body by discharging the waste materials in the body well, preventing aging, diet and skin beauty as well as immunity and preventing many complications. Daily recommended water intake varies from person to person, but usually 2 to 3 liters of water should be consumed. To drink such a daily recommended water intake, many people carry a tumbler or beverage container and drink water from time to time.

종래, 음료 용기는 흔히 상단에 뚜껑을 포함하는 기둥형태의 용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음료 용기는 사용은 용이하나 휴대하여 이동 시에는 뚜껑을 닫아 가방에 넣어두거나 손으로 들고 이동하여야 한다. 일반적인 상황에선 큰 불편함은 없으나 양손에 짐이 많은 경우, 우산을 든 경우나 등산과 같은 운동시에는 종래의 음료 용기를 손에 휴대하고 다니기 번거로운 문제가 있고, 또한, 들고 다니는 가방이 작은 경우 가방에 넣고 다닐 수 없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백팩의 경우에도 가방에 물병을 꽂을 주머니가 있는 가방이 아니라면 가방을 내려 수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a beverage container is often used as a columnar container including a lid at the top. These beverage containers are easy to use, but when they are carried, they should be closed and put in their bags or carried with their hands. In general, there is no great inconvenience, but there is a troublesome problem of carrying a conventional beverage container in a hand when a person has a lot of luggage on his / her hands, an umbrella, or a climbing. In addition, There is a hassle that you can not carry it in. Even if you have a backpack, if you do not have a bag with a pocket for water bottles in your bag, you will have to store the bag down.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용기의 일부가 고리와 같이 휘어진 형태로서, 용기의 휘어진 부분을 이용해 팔 또는 가방 끈 등에 걸 수 있고, 두 개의 다른 용기의 양 끝을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링의 형태로 보관할 수 있는 휴대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n particula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can be stored in the form of a single ring.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용기는, 내부가 빈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양측 단부가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며, 양측 단부 중 제 1 단부에 토출구가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제 1 단부에 결합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able container is provided. Wherein the container comprises: a main body having an empty space formed therein, both ends of which are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and a discharge port is formed at a first end of each of the opposite ends; And a lid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end por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 1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1 영역; 상기 양 측 단부 중 제 2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2 영역; 및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을 연결하는 제 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 제 2 영역, 제 3 영역은 유체 연통할 수 있다.Preferably, the body portion includes: a first region extending from the first end; A second region extending from a second one of the opposite lateral ends; And a third region connecting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wherein the first region, the second region, and the third region are in fluid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덮개부는, 일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는 제 1 결합부; 및 상기 일 단부와 반대되는 단부에 형성되어 다른 용기의 본체부에 결합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lid portion includes: a first engaging portion formed at one end portion and coupled to the main body portion;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formed at an end opposite to the one end and coupled to the main body of the other container.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 1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 1 덮개; 및 상기 제 2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 2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덮개는 상기 제 1 덮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lid portion includes: a first lid including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a second lid including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the second lid being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lid.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결합부는 상기 제 1 단부와 나사 결합하거나 끼워맞춤 결합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first engaging portion is screwed or engageable with the first end portion.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용기 세트가 제공된다. 상기 용기 세트는, 제 1 용기; 및 상기 제 1 용기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2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용기 및 상기 제 2 용기 각각은, 내부가 빈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양측 단부가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며, 양측 단부 중 제 1 단부에 토출구가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제 1 단부에 결합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일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는 제 1 결합부; 및 상기 일 단부와 반대되는 단부에 형성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able container set is provided. The container set comprises: a first container; And a second container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container, wherein each of the first container and the second container has an empty space formed therein, both ends of which are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A main body portion having a discharge port formed at a first end thereof; And a lid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end portion, wherein the lid portion includes: a first engaging portion formed at one end portion and coupled to the main body portion;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formed at an end opposite to the one end.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용기 및 상기 제 2 용기중 하나의 용기의 양 측 단부 중 제 2 단부는 다른 용기의 상기 덮개부의 상기 제 2 결합부에 결합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second end of both the lateral ends of one of the first container and the second container may engage with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of the lid portion of the other container.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용기는, 용기의 일부가 고리와 같이 휘어진 형태로서, 용기의 휘어진 부분을 이용해 팔 또는 가방 끈 등에 걸 수 있고, 두 개의 서로 다른 용기의 양 끝을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링의 형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휴대성 및 보관 편의성이 보다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The portabl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a shape in which a part of the container is bent like a ring and can be hung on an arm or a bag strap or the like using a bent portion of the container, It can be stored in the form of a ring of the portable terminal.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a 내지 도 1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용기의 전체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용기의 덮개부 종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용기의 덮개부 종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및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휴대용 용기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drawings reci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A to 1B are views showing an overall configuration of a portabl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is a view showing a longitudinal section of a lid portion of a portabl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lid of the portable contai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and FIG. 4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portable containers are coupl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obscur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can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도 1a 내지 도 1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용기의 전체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S. 1A to 1B are views showing an overall configuration of a portabl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 내지 도 1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용기(100)는 본체부(110) 및 덮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A and 1B, a portable contai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in body 110 and a lid 120.

본체부(110)는 양 단부 즉, 제 1 단부(111)와 제 2 단부(112)가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어, 바람직하게는, 양 단부가 상이한 높이를 가지는 'U'자 형상을 이루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body 110 is formed such that both ends, i.e., the first end 111 and the second end 112 are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and preferably both ends have a "U" shape with different heights .

본체부(110)의 내부에는 내용물(예를 들어, 음료 등)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10)는 제 1 단부로(111)부터 연장되는 제 1 영역(114), 제 2 단부(112)로부터 연장되는 제 2 영역(115) 및 제 1 영역(114)과 제 2 영역(115)을 연결하는 제 3 영역(116)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제 1 영역(114), 제 2 영역(115) 및 제 3 영역(116)이 유체 연통하도록 구현됨으로써,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제 1 단부(111)에는 수용된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토출구(113)가 형성될 수 있다.A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contents (e.g., drinks, etc.) can be received may be formed inside the body 110. Specifically, the main body 110 includes a first region 114 extending from the first end portion 111, a second region 115 extending from the second end portion 112, a first region 114, The first region 114, the second region 115, and the third region 116 may be configured to be in fluid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Thereby forming a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On the other hand, the first end 111 may have a discharge port 113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stored therein to the outside.

덮개부(120)는 제 1 단부(111)에 형성된 토출구(113)를 커버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체부(110)의 제 1 단부(1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음료 등의 섭취를 원하는 경우, 덮개부(120)를 제 1 단부(111)로부터 분리하여 제 1 단부(111)에 형성된 토출구(113)를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음료 등을 섭취할 수 있게 된다. The lid 120 covers the discharge port 113 formed in the first end 111 and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end 111 of the main body 110 as shown in FIG. have. Accordingly, when the user desires to take a drink or the like, the lid part 12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end part 111 to expose the discharge port 113 formed in the first end part 111, .

또한, 덮개부(120)는 하나의 휴대용 용기(100)를 다른 휴대용 용기(100)와 결합시키기 위한 용도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덮개부(120)의 구체적인 구성은 이하 도 2a 내지 도 2b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lid portion 120 can be used as an application for coupling one portable container 100 to another portable container 100.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lid 1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A to 2B.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용기의 덮개부 종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2A is a view showing a longitudinal section of a lid portion of a portabl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용기(100)의 덮개부(120)는 제 1 결합부(121) 및 제 2 결합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A, the lid 120 of the portable contai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engaging portion 121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123.

즉, 도 2a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덮개부(120)의 일 단부에는 본체부(100)의 제 1 단부(111)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결합부(121)가 형성되고, 반대되는 다른 단부에는 다른 용기(100)의 본체부(110)의 제 2 단부(112)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2 결합부(123)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2A, a first engaging portion 121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end 111 of the body 10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lid 120,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123 for detachably coupling the second end portion 112 of the main body portion 110 of the other container 100 to the other end portion.

덮개부(120)의 제 1 결합부(121) 및 제 2 결합부(123)는, 바람직하게는, 각각 나사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고안이 적용되는 실시에에 따라, 결합 구조 및 방법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first engaging portion 121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23 of the lid 120 may each preferably have a threaded engagement structure. However, this is illustrative, and in accordance with the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joining structure and method may be variously modified.

한편, 사용자의 사용 태양에 따라, 덮개부(120)는 본체부(110)의 제 1 단부(111)로부터 분리된 후, 동일 용기(100) 또는 다른 용기(100)의 본체부(110)의 제 2 단부(112)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음료 등의 섭취를 위해 장시간 덮개부(120)를 분리하여 사용할 경우, 분리된 덮개부(120)를 동일 용기(100) 또는 다른 용기(100)의 본체부(110)의 제 2 단부(112)에 결합하여 보관할 수 있게 함으로써, 덮개부(120)를 분실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cover 120 may be detached from the first end 111 of the body 110 and then removed from the body 100 of the same container 100 or another container 100 And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second end 112. That is, when the user uses the lid unit 120 for a long period of time for ingesting drinks or the like, the separated lid unit 120 may be installed in the same container 100 or the main body 110 of the other container 100 So that the risk of losing the lid 120 can be prevented. As shown in FIG.

도 2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 종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2B is a view showing a longitudinal section of the co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b를 참조하면, 덮개부(220)는, 제 1 결합부(221)가 형성된 제 1 덮개(222)와 제 2 결합부(223)가 형성된 제 2 덮개(224)로 구성될 수 있다.2B, the lid 220 may include a first lid 222 having a first engaging portion 221 formed therein and a second lid 224 having a second engaging portion 223 formed therein.

이때, 제 2 덮개(224)는 제 1 덮개(22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덮개(222) 상단부의 내면 및 제 2 덮개(224) 하단부의 외면에는 각각 제 1 체결 돌기(225) 및 제 2 체결 돌기(226)가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 2 덮개(224)의 제 2 체결 돌기의 적어도 일부가 제 1 덮개(222)의 제 1 체결 돌기에 걸리도록 끼워 맞춤 결합됨으로써, 제 2 덮개(224)는 제 1 덮개(222)와의 결합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처럼, 제 2 덮개(224)가 제 1 덮개(222)와의 결합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이하 상술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다른 휴대용 용기(100)와의 탈착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이러한 덮개부(220)의 결합 구조 및 방식은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고안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결합 구조 및 방법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lid 224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lid 222. 2B, a first fastening protrusion 225 and a second fastening protrusion 226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lid 222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second lid 224, respectively, And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of the second cover 224 is fit to engage with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of the first cover 222 so that the second cover 224 is engaged with the first cover 222 22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econd lid 224 is rotatably engaged with the first lid 222, the user can more easily perform the detachment from the other portable container 100 . However, the joining structure and method of the lid 220 are illustrative, an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joining structure and the method may be variously changed.

한편, 제 1 결합부(221) 및 제 2 결합부(223)의 구성은 도 2a를 참조하여 상술된 제 1 결합부(121) 및 제 2 결합부(123)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The structur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3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12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It is omitted.

도 3은 및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휴대용 용기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3 and FIG. 4 are views showing a state where a plurality of portable containers are coupl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용기(100-1, 2, 3, n)는 2 이상이 서로 결합된 용기 세트의 형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용기 세트를 구성하는 휴대용 용기(100-1, 2, 3, n) 각각은 전술한 도 1a 내지 도2b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3 and 4, the portable containers 100-1, 2, 3, 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the form of a container set in which two or more are coupled to each other. At this time, each of the portable containers 100-1, 2, 3, n constituting the container set may have a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s. 1A to 2B described above.

먼저, 휴대용 용기(100-1, 2, 3, n)는, 도 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2개의 용기(예를 들어, 제 1 용기(100-1) 및 제 2 용기(100-2))가 결합된 용기 세트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3, the portable containers 100-1, 200, 2, 3, and n may be provided with two containers (for example, the first container 100-1 and the second container 100-2) ) Can be used in the form of a combined container set.

구체적으로, 제 1 용기(100-1)의 제 2 결합부(120, 220)가 제 2 용기(100-2)의 제 2 단부(112)에 결합되고, 제 2 용기(100-2)의 제 2 결합부(120, 220)가 제 1 용기(100-1)의 제 2 단부(112)에 각각 결합됨으로써, 제 1 용기(100-1) 및 제 2 용기(100-2)는 링(ring) 형상을 이루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용기(100-1, 2)가 결합된 용기 세트의 경우, 링 형상을 이루게 됨으로써, 파지가 보다 용이해지며, 이동 시에 가방 끈 등에 걸어두었을 때 큰 움직임에도 이탈하지 않게 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2개의 용기(100-1, 2)를 휴대 및 보관할 수 있게 된다. Specifically, the second engaging portions 120 and 220 of the first container 100-1 are coupled to the second end 112 of the second container 100-2, The first container 100-1 and the second container 100-2 are connected to the second end 112 of the first container 100-1 by the second engaging portions 120 and 220, ring shape. In the case of the container set in which the two containers 100-1 and 2 are combined as described above, the shape of the container is made to be ring-shaped so that it is easier to grasp, and even when the container set is hooked on the bag strap, , It is possible to carry and store the two containers 100-1 and 2 more stably.

이때, 전술한 도 2b의 덮개부(220)를 사용할 경우, 제 1 덮개(222)와 별도로 제 2 덮개(224)만 회전 가능하도록 구현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2개의 용기(100-1, 2)가 링 형태로 결합됨에도 불구하고 손쉽게 나사 결합된 제 1 용기(100-1) 및 제 2 용기(100-1)를 탈착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when the lid 220 of FIG. 2B is used, since only the second lid 224 is rotatable independently of the first lid 222, The first container 100-1 and the second container 100-1, which are easily screwed together,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한편, 휴대용 용기(100-1, 2, 3, n)는,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3개 이상이 결합된 용기 세트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제 1 용기(100-1)의 제 2 결합부(120, 220)가 제 2 용기(100-2)의 제 2 단부(112)에 결합되고, 제 2 용기(100-2)의 제 2 결합부(120, 220)가 제 3 용기(100-3)의 제 2 단부(112)에 차례로 결합되는 방식으로, 3개 이상의 용기(100-1, 2, 3, n)를 서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휴대용 용기(100-1, 2, 3, n)를 결합된 하나의 세트로 일괄 보관 및 휴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portable containers 100-1, 2, 3, n can be used in the form of a container set in which three or more are combined as shown in Fig. That is, the second engaging portions 120 and 220 of the first container 100-1 are coupled to the second end portion 112 of the second container 100-2, Two or more containers 100-1, 2, 3, n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such a manner that the two engagement portions 120, 220 are sequentially engaged with the second end portion 112 of the third container 100-3 Can be us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ollectively store and carry a plurality of portable containers 100-1, 2, 3, n in a single combined set.

또한, 2개 또는 3개 이상의 휴대용 용기(100-1, 2, 3, n)를 결합하여 용기 세트로 사용하는 경우, 사용 태양에 따라 각각의 용기에 상이한 내용물을 담아 보관 또는 휴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가 보다 증대될 수 있다.Further, when two or three or more portable containers 100-1, 2, 3, and n are combined and used as a container set, different contents can be stored or carried in each container according to the use mode , The convenience of the user can be further increased.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n optimal embodiment has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 here Although specific terms are employed, they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only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or the scope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echnical protection of this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

100, 100-1, 2, 3, n : 휴대용 용기 110 : 본체부
111 : 제 1 단부 112 : 제 2 단부
113 : 토출구 114 : 제 1 영역
115 : 제 2 영역 116 : 제 3 영역
120, 220 : 덮개부 121, 221 : 제 1 결합부
222: 제 1 덮개 123, 223: 제 2 결합부
224: 제 2 덮개 225: 제 1 체결 돌기
226: 제 2 체결 돌기
100, 100-1, 2, 3, n: a portable container 110:
111: first end 112: second end
113: discharge port 114: first area
115: second area 116: third area
120, 220: lid portion 121, 221: first engaging portion
222: first cover 123, 223: second engaging portion
224: second cover 225: first fastening projection
226: second fastening projection

Claims (8)

휴대용 용기에 있어서,
내부가 빈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양측 단부가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며, 양측 단부 중 제 1 단부에 토출구가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제 1 단부에 결합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In a portable container,
A main body portion having an empty space formed therein, both end portions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and a discharge port formed at a first end portion of both end portions; And
And a lid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en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 1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1 영역;
상기 양 측 단부 중 제 2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2 영역; 및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을 연결하는 제 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 제 2 영역, 제 3 영역은 유체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region extending from the first end;
A second region extending from a second one of the opposite lateral ends; And
And a third region connecting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Wherein the first region, the second region, and the third region are in fluid communic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일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는 제 1 결합부; 및
상기 일 단부와 반대되는 단부에 형성되어 다른 용기의 본체부에 결합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The electronic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engaging part formed at one end and engaged with the main body part; And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formed at an end opposite to the one end to engage with the body portion of the other contain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 1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 1 덮개; 및 상기 제 2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 2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덮개는 상기 제 1 덮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3,
A first lid including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And a second cover including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And said second lid rotatably engages with said first li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는 상기 제 1 단부와 나사 결합하거나 끼워맞춤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is threadably engaged with or engaged with the first end portion.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부는 다른 용기의 일 단부와 나사 결합하거나 끼워맞춤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and 4,
Wherein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is threadedly engaged with one end of the other container.
휴대용 용기 세트로서,
제 1 용기; 및 상기 제 1 용기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2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용기 및 상기 제 2 용기 각각은,
내부가 빈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양측 단부가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며, 양측 단부 중 제 1 단부에 토출구가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제 1 단부에 결합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일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는 제 1 결합부; 및
상기 일 단부와 반대되는 단부에 형성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세트.
As a portable container set,
A first container; And a second container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container,
Wherein each of the first container and the second container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having an empty space formed therein, both end portions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and a discharge port formed at a first end portion of both end portions; And
And a lid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end,
The lid portion includes a first engaging portion formed at one end and coupled to the main body portion; And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formed at an end opposite to the one en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용기 및 상기 제 2 용기중 하나의 용기의 양 측 단부 중 제 2 단부는 다른 용기의 상기 덮개부의 상기 제 2 결합부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세트.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cond end of the opposite side ends of one of the first container and the second container engages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of the lid portion of the other container.


KR2020150006037U 2015-09-09 2015-09-09 Portable bottle KR20049194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037U KR200491944Y1 (en) 2015-09-09 2015-09-09 Portable bott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037U KR200491944Y1 (en) 2015-09-09 2015-09-09 Portable bott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019U true KR20170001019U (en) 2017-03-17
KR200491944Y1 KR200491944Y1 (en) 2020-07-06

Family

ID=58496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037U KR200491944Y1 (en) 2015-09-09 2015-09-09 Portable bott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944Y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7762U (en) * 1987-01-26 1988-07-29
JP2004001808A (en) * 2002-05-30 2004-01-08 Yoshino Kogyosho Co Ltd Joining container
KR200435321Y1 (en) * 2006-09-20 2007-01-16 박상탁 Drink container and container set containing the same
KR20080090563A (en) * 2005-05-05 2008-10-08 미오존 리미티드 Dispensing device
KR20090009013U (en) * 2008-03-04 2009-09-09 (주)아모레퍼시픽 Cosmetic case
KR20120103031A (en) * 2011-03-09 2012-09-19 김성은 Portable water pack
CN203563837U (en) * 2013-05-17 2014-04-30 塔林·利斯克 Fluid carrying devic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7762U (en) * 1987-01-26 1988-07-29
JP2004001808A (en) * 2002-05-30 2004-01-08 Yoshino Kogyosho Co Ltd Joining container
KR20080090563A (en) * 2005-05-05 2008-10-08 미오존 리미티드 Dispensing device
KR200435321Y1 (en) * 2006-09-20 2007-01-16 박상탁 Drink container and container set containing the same
KR20090009013U (en) * 2008-03-04 2009-09-09 (주)아모레퍼시픽 Cosmetic case
KR20120103031A (en) * 2011-03-09 2012-09-19 김성은 Portable water pack
CN203563837U (en) * 2013-05-17 2014-04-30 塔林·利斯克 Fluid carry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944Y1 (en) 2020-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3850B2 (en) Containers and container closures
US20100308006A1 (en) Closure and bottle
US20110024311A1 (en) Liquid container with storage compartment
US20170325641A1 (en) Portable Urinal
KR20170001019U (en) Portable bottle
CN201132628Y (en) Mineral water packaging bottle
KR200476250Y1 (en) bottle with keeping part
KR20150001117U (en) Bag which can be used portable table
CN105923252B (en) A kind of container cover
KR20100006908U (en) Functional cosmetic bottle
KR200441478Y1 (en) Bottle cap for spring water bottle
CN206255317U (en) Collapsible container
KR200269545Y1 (en) Cap of pet bottle with hook
GB2525584A (en) Drinks receptacle
KR200476132Y1 (en) bottle with keeping part
IES87011B2 (en) Dog leash handle assembly
CN210285207U (en) Portable container
US20220087217A1 (en) Portable pet travel cup with prefilled water and sealable lid
KR200220252Y1 (en) A cosmetic receptacle having dual structure
KR200228814Y1 (en) Water bag with a tap
CN209064719U (en) A kind of egg package box improving fastening structure
KR200380031Y1 (en) Vessel
KR200418918Y1 (en) A receptacle
WO2006021143A1 (en) A portable multi-functional beverage container
JP3084945U (en) Water bottle with storage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