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978A - 편광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편광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978A
KR20170000978A KR1020150090261A KR20150090261A KR20170000978A KR 20170000978 A KR20170000978 A KR 20170000978A KR 1020150090261 A KR1020150090261 A KR 1020150090261A KR 20150090261 A KR20150090261 A KR 20150090261A KR 20170000978 A KR20170000978 A KR 20170000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base film
polarizer
stretching
lami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0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배욱
박기호
조아라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0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0978A/ko
Publication of KR20170000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9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23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sing multilayered plate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9/00Polyvinylalcohols, polyvinylethers, polyvinylaldehydes, polyvinylketones or polyvinylket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편광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편광판을 제공한다. 편광판 제조방법은 기재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이 부착된 적층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적층 필름을 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재 필름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공중합체 수지(ethylene propylene diene tertpolymer: EPDM)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편광판 및 그 제조방법{POLARIZER PLAT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편광판 및 편광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편광판은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패턴을 가시화하기 위하여, 광의 진동 방향을 제어하는 목적으로 액정 셀의 안팎에 사용되고 있다. 액정표시장치의 적용 분야가 개발 초기의 소형 기기로부터 최근에는 노트북 컴퓨터, 액정 모니터, 액정 컬러 프로젝터, 액정 텔레비전, 차량 탑재용 네비게이션 시스템, 퍼스널 폰 및 옥 내외에서 사용되는 계측 기기 등으로 폭 넓은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액정표시장치의 적용 분야 중에서도 액정 모니터, 액정 텔레비전 등은 고휘도의 백라이트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최근, 표시 장치들의 박형화 추세에 따라, 내부 부품들도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편광판에 사용되는 편광 필름도 종래 제품 이상으로 박형화가 요구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박형화가 가능하면서도 광학 특성이 우수한 편광판 및 그 제조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재필름을 사용하여 편광판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기재 필름 상의 불필요한 무늬가 편광자로 전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편광판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박형이면서 광학 특성이 우수한 편광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제조방법은 기재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이 부착된 적층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적층 필름을 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재 필름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공중합체 수지(ethylene propylene diene tertpolymer: EPDM)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또는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공중합체 수지는 상기 기재 필름 내에서 50 내지 70 중량%의 함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재 필름의 유리 전이온도는 120℃ 내지 140℃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적층 필름을 요오드 및 이색성 색소 중 적어도 하나로 염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의 상기 기재 필름이 부착된 면의 타면에 보호 필름을 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및 보호 필름이 합지된 상태로 상기 기재 필름을 제거하여 일 면에 보호 필름이 합지된 편광자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신된 적층 필름에서 상기 기재 필름을 제거하여 편광자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득된 편광자의 적어도 일 면에 보호 필름을 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제조방법은 기재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이 부착된 적층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적층 필름을 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재 필름의 연신 후의 두께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차이는 0.2㎛ 내지 1.6㎛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기재 필름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공중합체 수지(ethylene propylene diene tertpolymer: EPDM)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공중합체 수지는 상기 기재 필름 내에서 50 내지 70 중량%의 함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재 필름의 연신 후의 두께 방향으로의 표준 편차가 0.1㎛ 내지 0.8㎛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은 상기의 편광판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며, 두께가 0.5㎛ 내지 15㎛인 편광자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 제조방법은 기재 필름을 사용하여 편광판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기재 필름 상의 불필요한 무늬가 편광자로 전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판 제조방법에 의하면 박형이면서 광학 특성이 우수한 편광판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재 필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 필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2의 적층 필름에서 편광판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편광판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편광판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편광판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연신 후의 편광자의 측정 사진이다.
도 9는 비교예에 따른 연신 후의 편광자의 측정 사진이다.
도 10은 실시예와 비교예의 기재 필름의 연신 후 각 지점별로 두께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제조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은 순차적 또는 연속적임을 명시하거나 다른 특별한 언급이 있는 경우가 아니면, 하나의 제조 방법을 구성하는 하나의 단계와 다른 단계가 명세서 상에 기술된 순서로 제한되어 해석되지 않는다. 따라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제조 방법의 구성 단계의 순서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그에 부수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변화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편광판 제조방법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재 필름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 필름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에는 도 2의 적층 필름에서 기재 필름을 제거하여 편광자를 수득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제조방법은, 기재 필름(100)의 적어도 일면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200)이 부착된 적층 필름(1)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적층 필름(1)을 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 필름(100)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공중합체 수지(ethylene propylene diene tertpolymer: EPDM)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연신 후에 기재 필름 상의 격자 무늬가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200)에 전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재 필름(100)은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200)을 연신하여 편광자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200)의 파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보다 박형의 편광자를 제조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기재 필름(100) 표면의 모폴로지가 불균일하거나, 일종의 무늬가 있을 경우, 그대로 연신 및 기타 제조과정에서 편광자에 그대로 전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기재 필름(100)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공중합체 수지를 포함함으로써, 기재 필름(100)의 모폴로지를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제조된 편광자에 불필요한 격자 무늬 등이 전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또는 폴리에틸렌 수지 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공중합체 수지와 함께 기재 필름(100)의 모폴로지를 매우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공중합체 수지는 상기 기재 필름(100) 내에서 50 내지 70 중량%의 함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55 내지 65중량%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기재 필름(100)의 모폴로지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재 필름(100)의 유리전이온도는 120℃ 내지 140℃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재 필름(100) 내에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공중합체 수지(ethylene propylene diene tertpolymer: EPDM)를 포함함으로써, 기재 필름의 유리 전이 온도를 상기와 같이 조절할 수 있고, 기재 필름(100) 표면의 모폴로지를 보다 우수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재 필름(100)의 연신 후의 두께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차이는 0.2㎛ 내지 1.6㎛의 범위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4㎛ 내지 0.8㎛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적층 필름(1)을 연신한 후에 기재 필름(100) 상의 불필요한 무늬가 편광자로 전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기재 필름(100)의 두께는 기재 필름(100)의 평면에 수직한 방향을 의미하며, 기재 필름(100)의 두께는 예를 들어, 10㎜ 내지 50㎜ 또는 20㎜ 내지 40㎜ 정도의 범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가 연신하고자 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의 크기 두께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재 필름(100)의 연신 후의 두께 방향으로의 표준 편차는 0.1㎛ 내지 0.8㎛의 범위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2㎛ 내지 0.4㎛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표준 편차의 의미는 상기 기재 필름(100)의 두께의 평균치에서 벗어나는 정도를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두께 방향으로의 표준 편차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기재 필름(100)의 연신 후의 모폴로지를 개선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기재 필름(100)에 무늬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고, 이러한 무늬가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100), 최종적으로는 편광자에 전사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기재 필름(100) 상에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호모 폴리머 형태이거나, 랜덤 폴리머 상태이거나, 이들이 혼합된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기재 필름(100) 내에서 10 내지 50중량%의 범위로 포함되거나, 20 내지 40중량%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기재 필름(100)의 연신 후의 표면 모폴로지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층 필름(10)은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200)으로 구성되는 수지 필름 자체를 기재 필름(100)에 합지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도공법에 의해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코팅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층 필름(1)을 요오드 및 이색성 색소 중 적어도 하나로 염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염착하는 단계는 적층 필름(1)의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200)에 요오드나, 이색성을 나타내는 물질인 염료, 안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도입하여 이들을 필름 내부에 흡착시키는 공정이다. 상기 요오드, 염료 또는 안료 분자는 편광 필름의 연신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은 흡수하고, 수직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은 투과시킴으로써, 특정한 진동 방향을 갖는 편광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염착하는 단계는 적층 필름(1)을 요오드 또는 이색성 물질의 용액에 함침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요오드를 이용하여 염착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요오드 용액의 온도는 20 ℃ 내지 50 ℃ 범위이고, 함침 시간은 10 내지 300초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요오드 용액으로 요오드 수용액을 사용하는 경우, 요오드(I2)와 요오드 이온, 예를 들어 용해 보조제로 사용되는 요오드화 칼륨(KI) 등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요오드(I2)의 농도는 수용액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0.5 중량% 범위이고, 요오드화 칼륨(KI)의 농도는 수용액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 중량% 범위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염착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팽윤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팽윤 단계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200)의 분자 사슬을 유연하게 하고 분자 사슬을 이완시킴으로써, 염착 공정 시 이색성 물질이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200) 내부로 균질하게 염착되어 얼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팽윤율은 150% 내지 250%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팽윤 과정에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200)을 연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팽윤율 및 연신율을 만족할 때, 편광 필름의 물성을 저해하지 않고 염착 과정에서의 얼룩 발생을 방지하며 광학 특성 균일도를 증진시키면서 고투과성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팽윤 단계는 건식 방법 또는 습식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팽윤액이 담긴 팽윤조에서 습식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팽윤 온도는 필름 두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5 ℃ 내지 40 ℃ 범위일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염착하는 단계 이후에 가교 공정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염착하는 단계에서 요오드 또는 이색성 물질의 분자가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200)에 염착되면, 붕산, 보레이트 등을 이용하여 상기 이색성 분자를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200)의 고분자 매트릭스 상에 흡착되도록 한다. 가교 방법의 예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200)을 붕산 수용액 등에 침적하여 수행하는 침적법을 들 수 있지만, 이것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름에 용액을 도포 또는 분사하는 도포법이나 분사법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연신하는 단계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200)을 당업계에 일반적인 습식 연신법 및/또는 건식 연신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연신하는 단계의 최종 연신 비율은 2:1 내지 5:1 범위일 수 있다.
상기 건식 연신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롤간(inter-roll) 연신법, 가열 롤(heating roll) 연신법, 압축 연신법, 텐터(tenter) 연신법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습식 연신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텐터 연신법, 롤간 연신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습식 연신법의 경우, 알코올류, 물 또는 붕산 수용액에서 연신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메틸알코올, 프로필알코올 등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신 온도 및 시간은 필름의 재질, 희망하는 연신율, 사용 방법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연신하는 단계는 일축 연신 또는 이축 연신일 수 있다. 다만, 액정 셀에 접착되는 편광 필름의 제조를 위해서는 위상차 특성을 구현할 수 있도록 이축 연신을 진행할 수 있다.
염착하는 단계 및 연신하는 단계는 그 순서가 항상 같을 필요는 없고, 공정 장비 및 설비에 따라 적절하게 순서를 선택하여 진행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연신하는 단계가 염착하는 단계 또는 상기 가교 공정과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연신하는 단계가 염착하는 단계와 동시에 진행될 경우, 연신하는 단계는 요오드 용액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연신하는 단계가 상기 가교 공정과 동시에 진행되는 경우에는 연신하는 단계는 붕산 수용액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신된 적층 필름에서 상기 기재 필름(100)을 제거하여 박막의 편광자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기재 필름(100)을 제거하여 편광자를 수득하는 단계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200)에 박리력을 가하여 기재 필름(100)으로부터 이탈시키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수득된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보호 필름을 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보호 필름을 합지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편광판이 제조될 수 있다. 보호 필름으로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편광자 보호 필름 또는 위상차 필름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필름들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디아세틸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타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에테르계, 폴리술폰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이미드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아릴레이트계, 폴리비닐알코올계, 폴리염화비닐계,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아크릴계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재질로 된 필름일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을 합지하는 방법으로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접착제 또는 점착제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점착제 또는 접착제는 사용되는 보호 필름의 재질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6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을 합지하여 편광판을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4 내지 6을 참조하면, 우선 도 4와 같이,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100)의 상기 기재 필름(200)이 부착된 면의 타면에 보호 필름(400)을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400)은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200)과의 사이에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개재한 상태로 부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호 필름(400)을 합지하는 단계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100)을 기준으로 기재 필름(200)이 부착되지 않은 반대면에 보호 필름(400)을 부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와 같이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200) 및 보호 필름(400)이 합지된 상태로 상기 기재 필름(100)을 제거하여 일 면에 보호 필름(400)이 합지된 상태의 편광자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 6과 같이, 편광자(200)의 일 면에 보호 필름(400)이 합지된 상태의 편광판(10)을 제조할 수 있다.
편광자(200)의 보호 필름이 합지되지 않은 면에는 도 7의 편광판(20)과 같이, 별도의 보호 필름 없이 점착제(500)만을 배치하여 보다 박형의 편광판을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편광자(200)의 내구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편광자(200)와 점착제(500) 사이에 별도의 베어층(미도시)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점착제(500)는 후술할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 상에 부착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도 7과 달리 편광자의 보호 필름이 부착된 면의 반대면에 제 2보호 필름을 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편광자에서 기재 필름이 접합되어 있던 면에 제 2보호 필름을 합지함으로써, 편광판의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이외에도 본 발명의 편광판 제조방법은 보호 필름의 외측에 하드 코팅층, 반사 방지층 등의 각종 기능층 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당해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는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편광판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며, 두께가 0.5㎛ 내지 15㎛인 편광자를 포함할 수 있다. 편광자의 두께가 0.5 ㎛ 이상인 경우에는 공정 상 박막화가 가능할 수 있고, 15 ㎛ 이하인 경우에는 박막 장치 등에 적용될 수 있다.
편광판은 박막 편광자의 양면에 부착된 제 1보호필름 및 제 2보호필름을 포함할 수 있으며, 편광자와 제 1보호필름 사이에는 제 1접착층이 형성되고, 편광자와 제 2보호필름 사이에는 제 2접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
편광판은 그 자체로 편광판으로 사용될 수도 있으나, 상기 도 7에서 설명하였다시피, 제1 보호필름 및 제2 보호필름 중 적어도 하나를 제거하고 사용될 수도 있다. 즉, 편광자의 일측면에는 제 1보호필름이 제 1접착층을 개재한 상태이면서, 다른 측면에는 제 2보호필름을 제거한 상태로 점착층을 형성하여 액정 표시 장치의 액정 셀 등의 소자에 부착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제 2보호필름을 제거하므로, 두께가 얇은 액정 표시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표시 장치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된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일 수 있으며, 표시 장치가 액정 표시 장치인 경우, 표시 패널 및 편광판 이외에도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패널은 액정 셀일 수 있으며, 액정 셀은 통상적으로 2 장의 기판과, 상기 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판 중 하나는 일반적으로 컬러 필터, 대향 전극, 배향막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기판에는 액정 구동 전극, 배선 패턴, 박막 트랜지스터 소자, 배향막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액정 셀의 동작 모드로는, 예를 들어 비틀림 네마틱(Twisted Nematic) 모드 또는 복굴절 제어(Electrically Controlled Birefrigence) 모드를 들 수 있다. 상기 복굴절 제어(Electrically Controlled Birefrigence) 모드에는, 수직 배향(Vertical Alignment) 방식, OCB(Optically Compensated) 방식, IPS(In-Plane Switching) 방식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일반적으로 광원, 도광판 및 반사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의 구성에 따라 직하 방식, 사이드 라이트 방식, 면 형상 광원 방식 등으로 임의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편광판은 상기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 셀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 경우, 편광판의 편광자는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 중에서 특정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만 투과시킬 수 있다.
또한, 편광판은 액정 셀의 백라이트 반대 위치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액정 표시 장치의 다른 구성 요소들 사이에 개재된 형태일 수도 있고, 액정 표시 장치의 표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액정 셀을 사이에 두고 두 개의 편광판이 위치하는 경우, 각 편광판의 편광자의 투과축은 직교 또는 평행일 수 있다.
한편, 표시 장치는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표시 패널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은 각각의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화소들 각각은 애노드(anode) 및 캐소드(cathode) 사이의 유기 발광층으로 구성된 OLED와 OLED를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화소 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화소 회로는 주로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와, 커패시터, 구동 TFT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는 스캔 펄스에 응답하여 데이터 전압을 커패시터에 충전하고, 구동 TFT는 커패시터에 충전된 데이터 전압에 따라 OLED로 공급되는 전류량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OLED의 발광량을 조절하고,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유기 발광 표시 패널에 대해서는 당해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는바,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편광판은 상기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의 시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편광판은 시청자가 유기 발광 표시 패널로부터 표시되는 영상을 관찰하는 측면으로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반사에 의한 콘트라스트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험데이터를 통해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호모 폴리프로필렌(Homo Polypropylene) 20중량%, 랜덤 폴리프로필렌(Random Polypropylene) 20중량% 및 EPDM (Ethylene-propylene- Diene terpolymer) 60중량% 포함하도록 하여 압출 공정에 의해 기재 필름을 제조하였으며, 상기 기재 필름과 편광자를 수계 접착제로 합지한 후 60℃ 습식 공정에서 수동 연신기를 통해 6배 연신하였다.
비교예
호모 폴리프로필렌(Homo Polypropylene) 80중량% 및 랜덤 폴리프로필렌(Random Polypropylene) 20중량%를 포함하도록 하여 압출 공정에 의해 기재 필름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편광자를 연신하였다.
측정예 1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된 편광자를 촬영하여 격자 무늬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관찰하였으며, 실시예의 결과는 하기 도 8에 비교예의 결과는 하기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8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재 필름을 사용하여 연신된 편광자의 경우, 기재 필름의 모폴로지가 균일하기 때문에, 기재 필름의 격자무늬가 전사되어 편광자에 나타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비교예의 기재 필름을 사용하여 연신한 편광자의 경우는 기재 필름의 연신 후에 불균일한 모폴로지로 인해 기재필름의 격자무늬가 편광자에 그대로 전사되어 드러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측정예 2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의 연신 후에 기재 필름을 각 지점별로, 두께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도 10과 같이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기재 필름의 두께는 YAMABUN社의 접촉 연속식 두께 측정기(model: TOF-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포인트 측정 간격은 0.1㎜/point로 하여 측정하였다. 하기 도 10의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포인트 측정 간격을 의미하며, 세로축은 기재 필름의 두께를 의미한다.
또한, 실시예와 비교예의 측정된 두께의 표준 편차를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비교예
연신 후 기재 필름 두께의 표준 편차(㎛) 0.29 1.02
상기 표 1 및 하기 도 10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기재 필름의 경우, 비교예의 기재 필름에 비해 연신 후의 모폴로지 균일도가 매우 우수해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서로 다른 실시예들은 상호 조합되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2: 적층 필름
10, 20: 편광판
100: 기재 필름
200: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편광자
300: 접착층
400: 보호 필름
500: 점착제

Claims (14)

  1. 기재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이 부착된 적층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적층 필름을 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재 필름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공중합체 수지(ethylene propylene diene tertpolymer: EPDM)를 포함하는 편광판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또는 폴리에틸렌 수지 를 포함하는 편광판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공중합체 수지는 상기 기재 필름 내에서 50 내지 70 중량%의 함량 범위로 포함되는 편광판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의 유리 전이온도는 120℃ 내지 140℃의 범위인 편광판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필름을 요오드 및 이색성 색소 중 적어도 하나로 염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편광판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의 상기 기재 필름이 부착된 면의 타면에 보호 필름을 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편광판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및 보호 필름이 합지된 상태로 상기 기재 필름을 제거하여 일 면에 보호 필름이 합지된 편광자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판 제조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된 적층 필름에서 상기 기재 필름을 제거하여 편광자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판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수득된 편광자의 적어도 일 면에 보호 필름을 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편광판 제조방법.
  10. 기재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이 부착된 적층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적층 필름을 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재 필름의 연신 후의 두께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차이는 0.2㎛ 내지 1.6㎛의 범위인 편광판 제조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공중합체 수지(ethylene propylene diene tertpolymer: EPDM)를 포함하는 편광판 제조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공중합체 수지는 상기 기재 필름 내에서 50 내지 70 중량%의 함량 범위로 포함되는 편광판 제조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의 연신 후의 두께 방향으로의 표준 편차가 0.1㎛ 내지 0.8㎛의 범위인 편광판 제조방법.
  14. 제 1항 내지 13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며,
    두께가 0.5㎛ 내지 15㎛인 편광자를 포함하는 편광판.
KR1020150090261A 2015-06-25 2015-06-25 편광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009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261A KR20170000978A (ko) 2015-06-25 2015-06-25 편광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261A KR20170000978A (ko) 2015-06-25 2015-06-25 편광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978A true KR20170000978A (ko) 2017-01-04

Family

ID=57831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0261A KR20170000978A (ko) 2015-06-25 2015-06-25 편광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097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3754B1 (ko) 편광자의 제조 방법, 편광자, 편광판, 광학 필름, 복합편광판의 제조 방법, 복합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TWI471618B (zh)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element
KR101799133B1 (ko) 액정 패널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070088353A (ko) 편광자의 제조방법, 편광자, 편광판, 광학 필름,화상표시장치 및 세정장치
WO2013021818A1 (ja) 光学積層体、光学積層体のセット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液晶パネル
CN107407760B (zh) 偏光元件
KR20130018605A (ko) 편광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76701A (ko)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한 oled 표시장치
TW201842386A (zh) 偏光板、影像顯示裝置及該影像顯示裝置之製造方法
US11294112B2 (en) Polarizing plate, manufacture method of the same, and curved display panel
US20230251521A1 (en) Polarizer,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866297B1 (ko) 편광자의 제조 방법, 편광자,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737181B1 (ko) 광학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22699A (ko) 편광판 및 이 편광판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JP2017049361A (ja) 光学補償層付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有機elパネル
KR20160109525A (ko) 위상차 필름,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1835924B1 (ko) 광학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892333B1 (ko) 광학 필름,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광학 필름의 제조방법
JP2019066882A (ja) 光学補償層付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有機elパネル
US20180065355A1 (en) Polarizing plate,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polarizing plat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polarizing plate
US20220291436A1 (en) Polarizing plate
KR20170000978A (ko) 편광판 및 그 제조방법
US10591655B2 (en) Optical film,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2078021B1 (ko) 편광판과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60097819A (ko) 편광 필름 및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