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796U - Air vent structure for tumbler - Google Patents

Air vent structure for tumb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796U
KR20170000796U KR2020170000869U KR20170000869U KR20170000796U KR 20170000796 U KR20170000796 U KR 20170000796U KR 2020170000869 U KR2020170000869 U KR 2020170000869U KR 20170000869 U KR20170000869 U KR 20170000869U KR 20170000796 U KR20170000796 U KR 2017000079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watertight
air vent
watertight plate
groov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869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85719Y1 (en
Inventor
김종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가프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가프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가프라
Priority to KR20201700008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719Y1/en
Publication of KR201700007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796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7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71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수밀용기용 에어벤트 구조체는 컵본체와 상기 컵본체의 상단에 결합되고 내용물을 마시는 취수공이 형성된 뚜껑으로 이루어진 수밀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하단면에 밀착 결합되고 상기 취수공에 내용물이 통과하도록 중공이 형성된 연질의 수밀판과, 상기 수밀판의 일측에 상기 뚜껑을 관통하도록 돌출 형성되고 하단측면과 상단을 연결하는 기공이 형성된 에어벤트와, 상기 수밀판 상단면에 상기 에어벤트의 주변을 둘러싸며 함몰 형성되는 제1홈부와, 상기 제1홈부 내주연에는 상기 제1홈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블래이드로 이루어진다. The watertight container for a watertight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up body and a lid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cup body and formed with a water intake hole for drinking the contents. The watertight container is tightly coupled to the lower end face of the lid, An air vent formed on one side of the watertight plate so as to penetrate the lid and formed with pores connecting the lower end side and the upper end of the air vent; And a blade formed at an edge of the first groove portion so as to be inclined toward the first groove portion.

Description

수밀용기용 에어벤트 구조체{Air vent structure for tumbler}[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vent structure for a tumbler,

본 고안은 수밀용기용 에어벤트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수밀용기가 수밀성을 유지하면서 공기를 통하게 하는 수밀용기용 에어벤트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vent structure for a watertight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vent structure for a watertight container that allows air to pass while maintaining the watertightness of the watertight container.

수밀용기는 용기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설계된 것으로, 음료통, 반찬통, 보관함 등으로 다양하게 쓰이고 있다. 또한, 유아가 사용하는 용기는 휴대를 해야하는 경우가 빈번하고, 유아는 용기를 파지하는 악력이 낮아 용기를 잘 떨어뜨어뜨려 내용물이 새어 나오는 경우가 많으므로 유아의 음료수를 수용하고 유아가 상기 음료수를 흘리지 않고 마실 수 있는 수밀용기 제품이 연구개발 되고 있다. The watertight container is designed to prevent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from leaking out to the outside, and is used variously as a beverage container, a side container, and a storage box. In addition, the containers used by infants are frequently required to be carried, and infants have a low gripping force for gripping the containers, so that the containers are often dropped and the contents are often leaked. Therefore, Watertight container products that can be spilled without shedding are being researched and developed.

이와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6728호(2013.04.29. 등록) '유아용 다용도 컵'이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의 기술은 음료나 이유식 등의 내용물이 외부로 쏟아지거나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유아들이 편안하게 잡고 바닥에 남은 소량의 물까지 손쉽게 마실 수 있도록 있도록 하는 유아용 다용도 컵에 관한 것으로, 바닥부와 측면부에 의해 둘러싸여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의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바닥부의 내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된 통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개구부를 덮어 상기 공간을 밀폐하는 뚜껑부 및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뚜껑처럼 끼워지고 양측으로부터 상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손잡이를 형성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뚜껑부 상에는 상 방향으로 돌출되어 입으로 물 수 있는 산 또는 오리 주둥이 형상의 나팔꼭지가 형성되고, 상기 나팔꼭지의 산마루에는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을 덮는 연질의 덮개 막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 막에는 그 덮개 막의 중심을 지나는 하나 이상의 절개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related art related to this i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No. 20-0466728 (Registered on April 29, 2013) 'Multi-purpose cup for infants'. This conventional technology relates to a multi-purpose cup for infants which prevents the contents such as beverages and baby foods from pouring out or flowing down and allows infants to comfortably hold a small amount of water remaining on the floor, A tubular main body portion surrounded by the side surface portion and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pace, an inn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a lid portion covering the opening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a handle portion which is fit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as a lid and extends upwardly from both sides to form a handle, and on the lid portion, a trumpet-shaped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to form an acid- or duck- A hole is formed in the ridge of the trumpet tap, and the hole A soft cover film is formed, and the cover film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incision is formed through the center of the cover film.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상기 나팔꼭지로 내용물을 취식할 때에 상기 컵 내부가 밀폐상태가 되므로 외부와 컵 내부의 압력차이가 발생하지 않아 구강 악력이 약한 유아가 내용물을 흡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 has a problem in that when the contents are taken in by the trumpet tap, the inside of the cup becomes airtight, so that there is no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outside and the inside of the cup.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개선하고자 한 것으로, 물이 새지 않으면서도 공기가 출입가능하도록 하여 내용물을 편리하게 취식할 수 있도록 하는 수밀용기용 에어벤트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n air vent structure for a watertight container that allows air to flow in and out without leaking water, so that the contents can be conveniently ingested.

본 고안은 컵본체와 상기 컵본체의 상단에 결합되고 내용물을 마시는 취수공이 형성된 뚜껑으로 이루어진 수밀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하단면에 결합되는 연질의 수밀판과, 상기 수밀판의 일측에 상기 뚜껑을 관통하도록 돌출 형성되고 하단측면과 상단을 연결하는 기공이 형성된 에어벤트와, 상기 수밀판 상단면에 상기 에어벤트의 주변을 둘러싸며 함몰 형성되는 제1홈부와, 상기 제1홈부 내주연에는 상기 제1홈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블래이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밀용기용 에어벤트 구조체에 의해 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tight container comprising a cup body and a lid which is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cup body and formed with a water intake hole for drinking the contents and has a flexible watertight plate coupled to a lower end surface of the lid, An air ven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tight plate so as to penetrate through the airtight plate and having pores connecting the lower end side and the upper end; And an air vent structure for a watertight container, wherein a blade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first groove.

상기 블래이드는 상단이 상기 수밀판의 상단면보다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수밀판이 상기 뚜껑의 하단면에 밀착되면 상기 블래이드가 기울어지면서 상기 뚜껑의 하단면에 면접된다. The blades are formed so that an upper end thereof protrudes from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watertight plate. When the watertight plat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lid, the blade is inclined and is interposed on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lid.

상기 블래이드의 하단 내주연을 따라 제1보조홈부가 형성된다. A first auxiliary groove is formed along a bottom inner circumference of the blade.

상기 수밀판은 상기 뚜껑의 하단면 내주연에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뚜껑의 취수공이 노출되도록 중공이 형성된다. The watertight plate is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y of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lid, and a hollow is formed to expose a water intake hole of the lid.

상기 수밀판에는 상기 중공 주변을 둘러싸며 함몰 형성된 제2홈부가 형성된다. The watertight plate is formed with a second groove portion which is formed to be recessed to surround the hollow portion.

상기 수밀판의 하단면에는 상기 컵본체의 상단면 내주연에 밀착되는 환형돌출부가 돌출 형성된다. And an annular protrusion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a peripheral edge of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cup body is protruded from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watertight plate.

상기 수밀판의 중공 내주연 일부에는 손잡이가 돌출 형성된다. A handle is protruded from a part of the inner periphery of the hollow of the watertight plate.

본 고안에 따른 수밀용기용 에어벤트 구조체는 에어벤트에 기공이 형성됨에 따라 외기가 기공을 통해 수밀판과 뚜껑 사이로 유입 되어 기압차를 발생시켜 사용자가 내용물을 편리하게 취식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수밀판에는 블래이드가 형성됨에 따라 공기는 내부로 유입시키고 내용물은 유출되지 않도록 차단시키는 효과가 있다. The air vent structure for a watertight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ir is introduced into the air vent so that the outside air flows into the space between the watertight plate and the lid through the pores to generate a difference in air pressure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take the contents, As the blades are formed on the plate, the air is introduced into the inside and the contents are prevented from flowing out.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밀용기용 에어벤트 구조체가 수밀용기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밀용기용 에어벤트 구조체가 수밀용기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분해도.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밀용기용 에어벤트 구조체의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밀용기용 에어벤트 구조체와 뚜껑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확대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air vent structure for a watertight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watertight container.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ir vent structure for a watertight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watertight container.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vent structure for a watertight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ir vent structure for a watertight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ngaged with a lid. FIG.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This is intended to be illustrative in nature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readily implement the invention, and this does not mean that the technical idea and scope of the invention is limited.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In addition, the size and shap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terms defined in particular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the operator And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고안에 따른 수밀용기용 에어벤트 구조체(100)는 컵본체(10)와 상기 컵본체의 상단에 결합되고 내용물을 마시는 취수공(20)이 형성된 뚜껑(30)으로 이루어진 수밀용기(1)에 있어서, 상기 뚜껑(30)의 하단면에 밀착 결합되고 상기 취수공(20)에 내용물이 통과하도록 중공(140)이 형성된 연질의 수밀판(130)과, 상기 수밀판(130)의 일측에 상기 뚜껑(30)을 관통하도록 돌출 형성되고 하단측면과 상단을 연결하는 기공(111)이 형성된 에어벤트(110)와, 상기 수밀판(130) 상단면에 상기 에어벤트(110)의 주변을 둘러싸며 함몰 형성되는 제1홈부(131)와, 상기 제1홈부(131) 내주연에는 상기 제1홈부(131)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블래이드(133)로 이루어진다. The air vent structure 100 for a watertight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up body 10 and a watertight container 1 made of a lid 30 having a water intake hole 20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cup body and drinking the contents A soft watertight plate 130 tightly coupled to a lower end surface of the lid 30 and formed with a hollow 140 for allowing the contents to pass through the water intake hole 20, An air vent 110 protruding to penetrate through the lid 30 and having pores 111 connecting the lower end of the air vent 110 and the upper end of the air vent 110, And a blade 133 formed at an edge of the first groove 131 so as to be inclined toward the first groove 131.

여기서 상기 컵본체(10)와 뚜껑(30)은 수밀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뚜껑(30)에 형성된 취수공(20)을 통해 컵본체(10)에 수용된 내용물을 마시게 된다.The cup body 10 and the lid 30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 watertight manner to drink the contents stored in the cup body 10 through the water intake holes 20 formed in the lid 30.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벤트 구조체(100)는 수밀판(130)과 상기 수밀판(130) 일측에 상기 뚜껑(30)을 관통하도록 돌출형성된 에어벤트(110)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뚜껑(30)에는 상기 에어벤트(110)가 끼워지는 통공(40)이 형성된다.The air vent structur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tight plate 130 and an air vent 110 protruding from the watertight plate 130 to penetrate the lid 30, (30)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40) through which the air vent (110) is inserted.

상기 에어벤트는 수밀판(130)으로부터 상향하게 돌출된 형태로 원기둥 형태의 끼움목(115)과, 상기 끼움목(115)의 상측부에 형성되며 상기 끼움목(115)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상측부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져 형성되는 헤드부(113)와, 상기 헤드부(113)와 끼움목(115)을 관통하는 기공(111)으로 이루어진다. The air vent is formed at the upper side of the fitting neck 115 and protrudes outward from the fitting neck 115 in a cylindrical shape protruding upward from the watertight plate 130, And a pore 111 passing through the head part 113 and the fitting neck 115. The head part 113 is formed to be inclined inwardly toward the upper side.

상기 기공(111)은 끼움목(115)의 일측면상기 헤드부(113)의 상단 일부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The pores 111 are formed through a part of the upper end of the head part 113 on one side of the fitting neck 115.

헤드부(113)는 상기 뚜껑(30)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외기가 유입되고 상기 끼움목(115)은 뚜껑(30)의 하단면에 위치하여 상기 외기가 컵본체(1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The head portion 113 is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lid 30 and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and the fitting neck 115 is positioned at the lower end face of the lid 30 so that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the cup body 10 .

상기 수밀판(130)은 상기 뚜껑(10) 하단면과 상기 컵본체(10)의 상단에 밀착되어 상기 컵본체(10)에 수용된 액상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뚜껑(30)에 형성된 통공을 막을 수 있는 면적을 가지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뚜껑(30)의 취수공(20)에 대응되는 부분에 중공(140)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140)을 중심으로 링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뚜껑(30)의 가장자리까지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The watertight plate 130 closely contacts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lid 10 and the upper end of the cup body 10 to prevent the liquid contained in the cup body 10 from leaking to the outs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ollow 140 is form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water intake hole 20 of the lid 30, And is formed in a ring shape around the hollow 140, and is formed to closely contact the edge of the lid 30.

상기 수밀판(130)은 상기 뚜껑(30)에 형성된 통공(40)으로 내용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중공(140)측으로 돌출형성되어 통공(40)하부를 넓게 밀폐하는 호형돌출부(151)가 형성된다. The watertight plate 130 is provided with an arcuate protrusion 151 protruding toward the hollow 140 to prevent the contents from leaking through the through hole 40 formed in the lid 30 and sealing the lower portion of the through hole 40 widely, .

상기 수밀판(130)의 하단면에는 상기 컵본체(10)의 내주연에 밀착되는 환형돌출부(145)가 형성되어 상기 컵본체(10)에 수용된 액상물이 컵본체(10)와 상기 뚜껑(30) 사이의 틈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 annular protrusion 145 is formed on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watertight plate 130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up body 10 so that the liquid contained in the cup body 10 flows into the cup body 10, 30 so as not to leak into the gap.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벤트 구조체(100)는 상기 뚜껑(3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뚜껑(30)으로부터 분리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수밀판(130)에는 중공(140)을 향해 돌출 형성된 손잡이(143)가 형성된다. The air vent structur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the lid 30. In order to facilitate separation from the lid 30, 140 are formed.

상기 수밀판(130)에는 상기 에어벤트(110)의 끼움목(115) 하단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곳에 제1홈부(131)가 환형으로 상기 에어벤트(110)를 둘러싸며 함몰형성되는데, 이 제1홈부(131)는 내용물이 상기 수밀판(130)과 상기 뚜껑(30)의 하단면 사이로 스며들었을 때에 상기 제1홈부(131)에 물이 고이도록 하여 상기 에어벤트(110)의 기공(111)으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The watertight plate 130 has a first groove 131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surrounding the air vent 11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wer end of the fitting neck 115 of the air vent 110, The first grooves 131 are formed in the first grooves 131 so that when the contents are permeated between the watertight plate 130 and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lid 30, In order to prevent the water from penetrating.

이때, 상기 제1홈부(131) 내측에는 둘레를 따라 경사지게 돌출형성되는 블래이드(133)가 형성되는데, 이 블래이드(133)는 제1홈부(131)에서 넘어오는 물이 상기 에어벤트(110)의 기공으로 침투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밀판(130)이 상기 뚜껑(30)의 하단면에 면접된 상태일때에 상기 블래이드(133)는 상기 수밀판(130)의 평면보다 상측으로 약간 돌출형성됨에 따라 블래이드(133)의 상단이 상기 뚜껑(30)에 의해 가압되고, 상기 블래이드(133)는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뚜껑(30)에의해 가압되면서 경사진 방향으로 더욱 기울어지게 된다. 이 블래이드(133)는 상기 제1홈부(131)에 고인 물의 침투를 막을 수 있도록 상기 제1홈부(131) 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a blast 133 protruding from the first groove 131 is formed at an inner side of the first groove 131. The blast 133 prevents the water flowing out of the first groove 131 from flowing into the air ven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atertight plate 130 is in the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lid 30, the blades 133 are positioned on the watertight plate 130 The upper end of the blades 133 is pressed by the lid 30 and the blades 133 are inclined so that the lid 30 is pressed by the lid 30 in an inclined direction It becomes more inclined. The blades 133 are preferably inclin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grooves 131 so as to prevent penetration of toughened water in the first grooves 131.

상기 블래이드(133) 내측에는 상기 에어벤트(110)의 기공(111)으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한번 더 방지하기 위한 제1보조홈부(135)가 형성되는데, 이 제1보조홈부(135)는 상기 블래이드(133)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고,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보조홈부(135)는 상기 제1홈부(131)의 깊이보다 얕게 형성된다. A first auxiliary groove portion 135 is formed inside the blades 133 for preventing water from penetrating into the pores 111 of the air vent 110. The first auxiliary groove portion 135 is formed b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ub-groove 135 is formed to be shallower than the depth of the first groove 131.

한편 수밀판(130)에는 중공(140) 주변에 제2홈부(141)가 형성된다. On the watertight plate 130, a second groove 141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hollow 140.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뚜껑(30)의 상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에어벤트(110)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에어벤트(110)의 기공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상기 컵본체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상기 제1홈부(131)와 형성됨에 따라 상기 수밀판(130)과 뚜껑(30)의 하단면 사이로 스며든 물이 상기 제1홈부(131)에 고이게 되며, 상기 제1홈부(131)에 고인물은 상기 블래이드(133)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기공(111)으로 침투되는 것이 방지된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air vent 110 protrud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lid 30 is formed, external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cup body through the pores of the air vent 110, Water impregnated between the watertight plate 130 and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lid 30 is formed in the first groove 131 as the first groove 131 is formed, The blades 133 are prevented from protruding and penetrating into the pores 111.

또한, 상기 블래이드(133)는 상기 제1홈부(131)를 향해 기울어져 형성됨에 따라 상기 기공(111)을 통해 공기가 상기 뚜껑(30)과 수밀판(130) 사이로 유입될 때에는 제1홈부(131)를 향해 기울어지면서 공기를 상기 컵본체(10) 내측으로 이동시키고, 물이 상기 수밀판(130) 사이로 스며들때에는 상기 물이 블래이드(133)의 기울기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블래이드(133)는 상기 제1홈부(131)와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즉, 상기 블래이드(133)는 수직으로 세워지게 되어 상기 물의 침투를 막는 것이다. When the air flows into the space between the lid 30 and the watertight plate 130 through the pores 111, the blades 133 are tilted toward the first groove 131, Since the water mov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tilting direction of the blades 133 when the water penetrates between the watertight plates 130 by moving the air inside the cup body 10 while being inclined toward the water- (133) is incli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groove (131). That is, the blades 133 are vertically erected to prevent penetration of the water.

10 : 컵본체 20 : 취수공
30 : 뚜껑 40 : 통공
100 : 에어벤트구조체 110 : 에어벤트
111 : 기공 113 : 헤드부
115 : 끼움목 130 : 수밀판
131 : 제1홈부 133 : 블래이드
135 : 제1보조홈부 140 : 중공
141 : 제2홈부 143 : 손잡이부
151 : 호형돌출부 145 : 환형돌출부
10: cup body 20: water intake ball
30: lid 40: through hole
100: air vent structure 110: air vent
111: pore 113: head part
115: insert neck 130: watertight plate
131: first groove portion 133: blade
135: first auxiliary groove portion 140: hollow
141: second groove portion 143: handle portion
151: arc-shaped protrusion 145: annular protrusion

Claims (6)

컵본체와, 상기 컵본체의 상단에 결합되고 내용물을 마시는 취수공이 형성된 뚜껑으로 이루어진 수밀용기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뚜껑의 하단면에 결합되는 연질의 수밀판;
상기 수밀판의 일측에 상기 뚜껑을 관통하도록 돌출 형성되고 하단측면과 상단을 연결하는 기공이 형성된 에어벤트;
상기 수밀판 상단면에 상기 에어벤트의 주변을 둘러싸며 함몰 형성되는 제1홈부; 및
상기 제1홈부 내주연에는 상기 제1홈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블래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블래이드는 상단이 상기 수밀판의 상단면보다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수밀판이 상기 뚜껑의 하단면에 밀착되면 상기 블래이드가 기울어지면서 상기 뚜껑의 하단면에 면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밀용기용 에어벤트 구조체.
And a watertight container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up body and formed with a lid having a water intake hole for drinking the contents,
A soft watertight plate coupled to a lower end surface of the lid;
An air vent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watertight plate to penetrate the lid and having pores connecting the lower end side and the upper end;
A first groove port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tight plate so as to surround and surround the air vent; And
And a blade formed at an edge of the first groove portion so as to be inclined toward the first groove portion,
Wherein when the watertight plate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lid, the blade is inclined and is interfaced with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lid.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래이드의 하단 내주연을 따라 제1보조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밀용기용 에어벤트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first auxiliary groove portion is formed along a bottom inner circumference of the bla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판은 상기 뚜껑의 하단면 내주연에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뚜껑의 취수공이 노출되도록 중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밀용기용 에어벤트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tertight plate is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a peripheral edge of a lower end surface of the lid and a hollow is formed to expose a water intake hole of the li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판에는 상기 중공 주변에 제2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밀용기용 에어벤트 구조체.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watertight plate is formed with a second groove portion around the hollow.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판의 하단면에는 상기 컵본체의 상단면 내주연에 밀착되는 환형돌출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밀용기용 에어벤트 구조체.
The method of claim 3,
And an annular projection project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tight plate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tight pla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판의 중공 내주연 일부에는 손잡이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밀용기용 에어벤트 구조체.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handle is protruded from a part of the inner periphery of the hollow of the watertight plate.
KR2020170000869U 2017-02-21 2017-02-21 Air vent structure for tumbler KR20048571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869U KR200485719Y1 (en) 2017-02-21 2017-02-21 Air vent structure for tumb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869U KR200485719Y1 (en) 2017-02-21 2017-02-21 Air vent structure for tumbl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3406U Division KR20160004175U (en) 2015-05-28 2015-05-28 Air vent structure for tumb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796U true KR20170000796U (en) 2017-03-02
KR200485719Y1 KR200485719Y1 (en) 2018-02-13

Family

ID=58412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869U KR200485719Y1 (en) 2017-02-21 2017-02-21 Air vent structure for tumb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719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64148B2 (en) 2005-07-07 2013-01-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devices for interworking of wireless wide area networks and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or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US8311543B2 (en) 2005-07-07 2012-11-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devices for interworking of wireless wide area networks and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or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749A (en) * 2001-01-29 2001-04-06 김홍열 A packaging vessel
KR200396097Y1 (en) * 2005-06-27 2005-09-15 김광윤 Sealing structure of vessel
KR20130027668A (en) * 2011-09-08 2013-03-18 정진옥 Airtight container for preserve food
JP2013112378A (en) * 2011-11-29 2013-06-10 Thermos Kk Plug of beverage vesse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749A (en) * 2001-01-29 2001-04-06 김홍열 A packaging vessel
KR200396097Y1 (en) * 2005-06-27 2005-09-15 김광윤 Sealing structure of vessel
KR20130027668A (en) * 2011-09-08 2013-03-18 정진옥 Airtight container for preserve food
JP2013112378A (en) * 2011-11-29 2013-06-10 Thermos Kk Plug of beverage vess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719Y1 (en) 2018-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1250B2 (en) Insulated drinking vessel with multifunction lid
AU2018217207B2 (en) Lid with check valve
KR200482433Y1 (en) Watertight Tumbler for child
US7168589B2 (en) Spill-resistant container
JP4883942B2 (en) Beverage container and lid with drinking mouth
US20160270572A1 (en) Lid assemblies for drinking vessels and drinking vessels including the same
US20110049169A1 (en) Vented closure for container
KR200466313Y1 (en) Multi-Straw Cup
WO2020219570A1 (en) Drinking vessel with selectable drinking mode
KR200480377Y1 (en) The tumbler cap
JP3209513U (en) Lid and container member having lid
KR200485719Y1 (en) Air vent structure for tumbler
JP2016515503A (en) Infant beverage container
JP3219375U (en) Infant straw cup
US11912471B2 (en) Lid assembly for a container
CN105919380A (en) Vacuum cup
KR20160004175U (en) Air vent structure for tumbler
US20170238740A1 (en) Drink lid tactile spout locator
CN210581981U (en) Cup cover ventilation system and cup cover
KR101877555B1 (en) Spill-resistant discharge device
JP2020045114A (en) Over-cap and container with over-cap
JP3165311U (en) lid
US20240059459A1 (en) Beverage container
JP2020037441A (en) Over-cap and container with over-cap
KR101810558B1 (en) cap structured for blocking the leakage of the liquid cont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