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534A -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그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그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534A
KR20170000534A KR1020150089520A KR20150089520A KR20170000534A KR 20170000534 A KR20170000534 A KR 20170000534A KR 1020150089520 A KR1020150089520 A KR 1020150089520A KR 20150089520 A KR20150089520 A KR 20150089520A KR 20170000534 A KR20170000534 A KR 20170000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key operation
operation signal
screen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9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7350B1 (ko
Inventor
상효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50089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7350B1/ko
Publication of KR20170000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Dedicated function buttons, e.g. for the control of an EPG, subtitles, aspect ratio, picture-in-picture or tele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2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 H04N21/42213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data entry
    • H04N21/42216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data entry for quick navigation, e.g. through an EP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그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은, 현재 채널의 콘텐츠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키 조작 신호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의 분석 결과 상기 입력된 키 조작 신호가 제1 키 조작에 따른 제1 키 조작 신호인 경우에는 기 설정된 순서에 따른 다른 채널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상기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키 조작 신호가 제2 키 조작에 따른 제2 키 조작 신호인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에 매칭된 채널 그룹 항목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채널 그룹 리스트가 상기 화면 일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채널 그룹 리스트가 상기 화면 일 영역에 표시된 이후,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키 조작 신호가 상기 제2 키 조작 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채널 그룹 리스트에 포함된 채널 그룹 항목 중 기 설정된 순서에 따른 채널 그룹 항목이 선택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키 조작 신호가 상기 제1 키 조작 신호인 경우에는 현재 선택된 채널 그룹 항목에 매칭된 채널 중 기 설정된 순서에 따른 채널이 선택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그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DISPLAY CONTROLLER, CONTROL METHOD THEREOF,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CONTROL METHOD, APPLICATION SAVED IN THE RECORDING MEDIUM FOR EXECUTING THE CONTROL METHOD BEING COMBINED WITH HARDWAR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그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와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화면에 특정 채널에 대한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그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방송 기술과 방송 콘텐츠의 발전으로 인해, 고객들은 IPTV, 케이블 방송 등에 가입하는 경우 적게는 수십 개, 많게는 수백 개의 방송 채널을 시청할 수 있다.
그런데 채널의 수가 너무 많다보니 자신이 원하는 채널을 신속하게 찾기 어려운 단점도 있다.
예를 들어 지상파 방송을 보다가 스포츠 전문 채널을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채널을 기억하고 있지 않으면 그 많은 채널들을 일일이 검색하며 찾아야 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각 채널에서 방송되는 콘텐츠는 서비스하는 업체마다 또는 지역마다 다를 수 있는데, 이 경우 다른 집을 방문한 사람들은 자신이 원하는 채널을 신속히 찾을 수 없는 것이다.
물론 고객이 원하는 방송을 키워드 입력 방식 등으로 온라인 상에서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제시된 바 있으나, 고객이 키워드 입력을 통해 원하는 방송 채널을 검색하는 경우는 그 불편함으로 인해 드물다.
공개특허 제10-2008-0047942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방송 시청 고객이 자신이 원하는 종류의 방송 채널을 보다 신속히 찾을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그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내부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와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화면에 특정 채널에 대한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는, 외부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는 콘텐츠 수신부와; 적어도 하나의 키를 구비한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각 키의 사용자 조작에 따른 키 조작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키 조작 신호를 분석하는 신호 분석부와; 기 선택된 현재 채널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상기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한 기본 표시 모드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키 조작 신호를 상기 신호 분석부에서 분석한 결과,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키 조작 신호가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의 제1 키 조작에 따른 제1 키 조작 신호인 경우에는 기 설정된 순서에 따른 다른 채널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상기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키 조작 신호가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의 제2 키 조작에 따른 제2 키 조작 신호인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에 매칭된 채널 그룹 항목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채널 그룹 리스트가 상기 화면 일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화면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면 표시 제어부는 상기 채널 그룹 리스트가 상기 화면 일 영역에 표시된 이후,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키 조작 신호가 상기 제2 키 조작 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채널 그룹 리스트에 포함된 채널 그룹 항목 중 기 설정된 순서에 따른 채널 그룹 항목이 선택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키 조작 신호가 상기 제1 키 조작 신호인 경우에는 현재 선택된 채널 그룹 항목에 매칭된 채널 중 기 설정된 순서에 따른 채널이 선택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내부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와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화면에 특정 채널에 대한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은, 기 선택된 현재 채널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상기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한 기본 표시 모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키를 구비한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각 키의 사용자 조작에 따른 키 조작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키 조작 신호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의 분석 결과 상기 입력된 키 조작 신호가 제1 키 조작에 따른 제1 키 조작 신호인 경우에는 기 설정된 순서에 따른 다른 채널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상기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키 조작 신호가 제2 키 조작에 따른 제2 키 조작 신호인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에 매칭된 채널 그룹 항목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채널 그룹 리스트가 상기 화면 일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채널 그룹 리스트가 상기 화면 일 영역에 표시된 이후,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키 조작 신호가 상기 제2 키 조작 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채널 그룹 리스트에 포함된 채널 그룹 항목 중 기 설정된 순서에 따른 채널 그룹 항목이 선택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키 조작 신호가 상기 제1 키 조작 신호인 경우에는 현재 선택된 채널 그룹 항목에 매칭된 채널 중 기 설정된 순서에 따른 채널이 선택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리모컨에서의 직관적인 사용자 조작에 따라 송출되는 키 조작 신호를 감지하여 그룹별 또는 장르별 채널 전환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방송 시청자로 하여금 원하는 방송 채널로 보다 신속하게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전체 방송 시청을 위한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사용자 입력 장치의 외형의 일 예이고,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4 내지 도 9는 채널 그룹별 제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표시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10 내지 도 13은 선호 채널 제어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표시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또는 개별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100)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100), 디스플레이 장치(200), 사용자 입력 장치(300), 방송 콘텐츠 제공 서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방송 콘텐츠 제공 서버(400)는 케이블 방송 업체, IPTV(Internet Protocol TV) 방송 업체, 유선 방송 업체, 위성 방송 업체 등에서 운영하는 서버로서 고객에게 다양한 채널의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방송 콘텐츠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텔레비전, 모니터 등에 해당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자체적으로 구비한 모듈을 통해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10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콘텐츠 등 또는 메뉴 등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사용자 입력 장치(300)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 조작하는 장치로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100)와 분리된 독립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또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100)와 통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100)는 적외선 신호를 송출하는 리모컨이라 가정한다.
이처럼 리모컨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300)의 일 예가 도 2에 도시되었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 장치(300)에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물리적 버튼이 구비되어 있는데, 사용자 입력 장치(300)가 반드시 물리적 버튼을 사용자가 선택하는 형태로 구비될 필요는 없고, 터치스크린을 포함하여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소프트웨어에 의한 일종의 전자적 버튼을 사용자가 터치하여 선택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 장치(300)에는 채널 선택을 위한 채널 선택 키(310)와 선호 채널 이동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선호 채널 키(32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채널 선택 키(3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누를 수 있고(press), 수평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앞쪽 또는 뒤쪽으로 밀 수 있다(push).
채널 선택 키(310)를 수직 방향으로 누르는 경우 사용자 입력 장치(300)는 제1 키 조작 신호를 송출할 수 있고, 채널 선택 키(310)를 수평 방향으로 미는 경우 사용자 입력 장치(300)는 제2 키 조작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키 조작 신호는 반드시 단일의 신호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 개의 신호를 포괄하여 지칭하는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장치(300)는 사용자가 채널 선택 키(310)를 수평 방향 중 앞쪽으로 미는 경우 제2-1 키 조작 신호를 송출하고 사용자가 채널 선택 키(310)를 수평 방향 중 뒤쪽으로 미는 경우 제2-2 키 조작 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데, 여기서 제2-1 키 조작 신호와 제2-2 키 조작 신호를 통틀어서 제2 키 조작 신호라 할 수 있다.
제1 키 조작 신호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복수 개의 신호를 포괄하여 지칭하는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장치(300)는 사용자가 채널 선택 키(310)의 앞쪽 부분을 수직 방향으로 누르는 경우 제1-1 키 조작 신호를 송출하고 사용자가 채널 선택 키(310)의 뒤쪽 부분을 수직 방향으로 누르는 경우 제1-2 키 조작 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데, 여기서 제1-1 키 조작 신호와 제1-2 키 조작 신호를 통틀어서 제1 키 조작 신호라 할 수 있다.
선호 채널 키(320)는 수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누를 수 있는데(press). 이때 사용자 입력 장치(300)는 제3 키 조작 신호를 송출한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 장치(300)에 구비되는 버튼의 형태 및 구성은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에게 편리한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100)는 그 내부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와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화면에 특정 채널에 대한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장치이다.
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가 함께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디스플레이부 화면에 방송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디스플레이부가 함께 구비되어 있지 않고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유선 케이블 등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디스플레이 장치(200) 화면에 방송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100)는 텔레비전과 같은 별도의 표시 장치와 연결되어 방송 콘텐츠를 그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송출하는 셋탑박스인 것을 일 예로 한다.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100)는 상술한 방송 콘텐츠 제공 서버(400)가 제공하는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는데, 그 방송 콘텐츠의 수신에는 유/무선을 이용하는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100)는 인공위성을 통해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인터넷 망을 통해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100)는 인터넷 망에 구비된 방송 콘텐츠 제공 서버(400)로부터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100)의 구체적인 기능 블록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3에서는 종래에 공지된 자명한 구성은 편의상 생략하였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100)는 콘텐츠 수신부(150), 입력부(110), 신호 분석부(120), 화면 표시 제어부(130), 선호 채널 등록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종 데이터 또는 정보의 저장 또는 등록 등을 위한 저장부(미 도시함)는 별도로 또는 각 구성부에 포함되는 형태로 존재할 수 있는데 편의상 그 설명을 생략한다.
콘텐츠 수신부(150)는 외부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인터넷 망을 통해 방송 콘텐츠를 요청 및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콘텐츠 수신부(150)는 채널을 선택할 수 있는 방송 튜너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100)가 콘텐츠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있지만, 콘텐츠를 직접 수신하지 않고 단지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어하기만 하는 목적이라면 콘텐츠 수신부(150)는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입력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키를 구비한 사용자 입력 장치(300)로부터 각 키의 사용자 조작에 따른 키 조작 신호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 장치(300)는 리모컨인 것을 일 예로 하였으므로, 입력부(110)는 리모컨에서 송출한 적외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적외선 수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신호 분석부(120)는 입력부(110)에 입력된 키 조작 신호를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리모컨에서 송출된 신호에는 키 조작 신호를 포함하는 각종 제어 신호들이 포함될 수 있는데, 신호 분석부(120)는 그러한 각종 제어 신호들을 구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화면 표시 제어부(130)는 신호 분석부(120)에서 분석한 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200)에 콘텐츠 수신부(150)를 통해 수신된 콘텐츠, 예를 들어 방송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더 나아가 화면 표시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200)에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일종의 선택 메뉴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후술하는 채널 그룹 리스트(210). 상세 채널 리스트(2120), 선호 채널 리스트 등도 모두 이러한 선택 메뉴에 해당한다.
화면 표시 제어부(130)의 기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화면 표시 제어부(130)는 사용자 입력 장치(3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특정 채널을 선택하여 화면(20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이처럼 사용자가 콘텐츠를 일반적으로 시청하는 상태를 기본 표시 모드 상태라 하는데, 기본 표시 모드는 후술하는 선호 채널 이동 모드와 구별하기 위해 정의한 것이다.
기본 표시 모드 상태에서는 화면(200) 전체 영역에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콘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즉, 기본 표시 모드 상태는 시청자가 종래의 방식대로 특정 채널을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하는데, 도 4에는 기본 표시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콘텐츠가 화면(200)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기본 표시 모드 상태에서 입력부(110)에 입력된 키 조작 신호를 신호 분석부(120)에서 분석한 결과 입력부(110)에 입력된 키 조작 신호가 사용자 입력 장치(300)의 제1 키 조작에 따른 제1 키 조작 신호인 경우에는 화면 표시 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순서에 따른 채널(예를 들어 현재의 채널과는 다른 채널)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화면(20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화면 표시 제어부(130)는 채널 선택을 위해 앞서 설명한 콘텐츠 수신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기본 표시 모드 상태에서 입력부(110)에 입력된 키 조작 신호를 신호 분석부(120)에서 분석한 결과 입력부(110)에 입력된 키 조작 신호가 사용자 입력 장치(300)의 제2 키 조작에 따른 제2 키 조작 신호인 경우에는 화면 표시 제어부(130)는 채널 그룹 리스트(210)가 화면(200)의 일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채널 그룹 리스트(210)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 그룹 항목을 포함하고 있는 리스트이고, 각 채널 그룹 항목은 적어도 하나의 채널에 매칭되어 있다.
예를 들어 채널 그룹 항목은 각 콘텐츠의 장르를 구분 짓는 항목일 수 있는데, 지상파/종편/홈쇼핑과 관련된 채널들이 하나의 채널 그룹 항목에 매칭될 수 있고, 스포츠/레저와 관련된 채널들이 또 다른 채널 그룹 항목에 매칭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각종 리스트(상술한 채널 그룹 리스트(210) 포함)는 그 내부의 항목들 전체가 한 번에 표시될 수도 있지만 화면(200) 크기 상 그 일부만 먼저 표시되고 나머지는 사용자의 스크롤 명령에 따라 추후에 표시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화면 표시 제어부(130)는 이처럼 채널 그룹 리스트(210)가 상기 화면(200) 일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때 채널 그룹 리스트(210)에 포함된 채널 그룹 항목 중 기 설정된 순서에 따른 어느 하나가 자동으로 선택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도 2의 채널 선택 키(310)를 한번 PUSH 조작을 하는 경우 화면 표시 제어부(130)는 화면(200)에 채널 그룹 리스트(210)가 표시되도록 함과 아울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순서에 따른 어느 하나의 채널 그룹 항목이 자동으로 선택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일종의 디폴트 선택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해당한다.
여기서 자동으로 선택된 채널 그룹 항목은 현재 채널에 매칭된 채널 그룹 항목, 현재 채널에 매칭된 채널 그룹 항목에 인접한 채널 그룹 항목, 채널 그룹 리스트(210)의 제일 처음(아래)에 위치한 채널 그룹 항목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른 예로써 화면 표시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채널 선택 키(310)의 한번 PUSH 조작에 따라 채널 그룹 리스트(210)가 표시되도록 제어한 후 사용자가 채널 선택 키(310)를 한번 더 PUSH 조작을 하는 경우에야 비로소 기 설정된 순서에 따른 어느 하나의 채널 그룹 항목이 선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자동이든 사용자에 의해서든 어느 하나의 채널 그룹 항목이 선택된 경우에는 화면 표시 제어부(130)는 그 선택된 채널 그룹 항목에 매칭된 채널 중 기 설정된 순서에 따른 채널을 자동 선택하고 그 자동 선택한 채널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채널 그룹 리스트(210) 또는 후술하는 상세 채널 리스트(2120)와 함께 화면(20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에는 이러한 채널 그룹 리스트(210)가 화면(200)에 표시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 5의 채널 그룹 리스트(210)에는 복수 개의 채널 그룹 항목이 나타나 있는데, 특히 현재 선택된 채널 그룹 항목(212)은 다른 채널 그룹 항목(211, 213, 214, 215, 216, 217, 218, 219)과 구별되도록 표시되어 있다.
특히, 화면 표시 제어부(130)는 채널 그룹 리스트(210)가 화면(200) 일 영역에 표시된 이후, 사용자 입력 장치(300)로부터 입력되는 키 조작 신호가 제2 키 조작 신호인 경우에는 채널 그룹 리스트(210)에 포함된 채널 그룹 항목 중 기 설정된 순서에 따른 채널 그룹 항목이 선택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화면 표시 제어부(130)는 선택되는 채널 그룹 항목에 대해 앞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선택되지 않은 다른 채널 그룹 항목과 구분되도록 표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상태에서는 '영화/시리즈' 채널 그룹 항목(212)이 하이라이트 표시되고 있지만, 사용자가 도 2의 채널 선택 키(310)를 수평 방향 중 앞쪽으로 밀었다가 놓음(릴리즈)에 따라 상술한 제2-1 키 조작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화면 표시 제어부(130)는 그 다음 채널 그룹 항목인 '오락/취미' 항목(213)이 하이라이트 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만일 도 5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 2의 채널 선택 키(310)를 수평 방향 중 뒤쪽으로 밀었다가 놓음(릴리즈)에 따라 상술한 제2-2 키 조작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화면 표시 제어부(130)는 그 이전 채널 그룹 항목인 '지상파/종편/홈쇼핑' 항목(211)이 하이라이트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화면 표시 제어부(130)는 채널 그룹 리스트(210)가 화면(200) 일 영역에 표시된 이후, 사용자 입력 장치(300)로부터 입력되는 키 조작 신호가 제1 키 조작 신호인 경우에는 현재 선택된 채널 그룹 항목에 매칭된 채널 중 기 설정된 순서에 따른 채널이 선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채널 선택에 따라 실제 채널 전환(즉, 선택된 채널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표시)이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는 실제 채널 전환은 이루어지지 않고 사용자로부터 추가적인 명령이 있을 때까지(예를 들어 리모컨의 OK 버튼을 누를 때까지) 채널 전환 준비 상태를 유지하고만 있을 수도 있다.
여기서 화면 표시 제어부(130)는 채널 그룹 항목이 선택된 이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 해당 선택된 채널 그룹 항목에 매칭된 채널에 각각 대응되는 채널 항목을 포함하는 상세 채널 리스트(2120)가 화면(200) 일 영역에 자동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에 이러한 상세 채널 리스트(2120)가 화면(200)에 표시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 6에서는 현재 선택된 채널 그룹 항목이 '영화/시리즈'(212)이고, 그 선택된 채널 그룹 항목(212)에 속하는 각 채널들에 대한 정보가 상세 채널 리스트(2120) 형태로 표시되고 있다.
즉, 도 6을 참조하면 영화/시리즈 채널 그룹 항목(212)에 29번 채널(2121), 30번 채널(2122), 32번 채널(2123), 33번 채널(2124), 34번 채널(2125), 36번 채널(2126), 37번 채널(2127), 38번 채널(2128), 39번 채널(2129)이 속해 있고, 그 각각의 채널에 대응되고 추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채널 항목들(2121~2129)이 나타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른 예로써, 화면 표시 제어부(130)는 채널 그룹 항목이 선택된 이후 사용자 입력 장치(300)로부터 제1 키 조작 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선택된 채널 그룹 항목에 매칭된 채널에 각각 대응되는 채널 항목을 포함하는 상세 채널 리스트(2120)가 화면(200) 일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자동으로 상세 채널 리스트(2120)가 표시되도록 하는 게 아니라 사용자의 결정 및 선택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
채널 그룹 리스트(210)를 표시함에 있어서 화면 표시 제어부(1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의 채널 그룹 리스트(210)의 일부 영역에 겹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또는 도 5의 채널 그룹 리스트(210)를 완전히 대체하여 동일한 위치에 채널 그룹 리스트(210)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화면 표시 제어부(130)는 상세 채널 리스트(2120)가 인터레이스 또는 애니메이션 효과를 거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토록 한다.
화면 표시 제어부(1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세 채널 리스트(2120)가 화면(200)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 장치(300)로부터 입력되는 키 조작 신호가 제1 키 조작 신호인 경우 상세 채널 리스트(2120)에 포함된 채널 항목에 대응되는 채널 중 기 설정된 순서에 따른 채널이 선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서는 영화/시리즈 항목(212)에 속한 채널 항목 중 29번 채널에 해당하는 채널 항목(2121)이 선택되어 하이라이트 된 상태가 나타나 있는데, 사용자가 도 2의 채널 선택 키(310)의 앞쪽 부분을 수직 방향으로 누름에 따라 상술한 제1-1 키 조작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화면 표시 제어부(130)는 그 다음 번에 위치한 30번 채널에 해당하는 채널 항목(2122)을 선택하여 해당 채널 항목(2122)이 하이라이트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30번 채널에 해당하는 채널 항목(2122)이 선택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 2의 채널 선택 키(310)의 뒤쪽 부분을 수직 방향으로 누름에 따라 상술한 제1-2 키 조작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화면 표시 제어부(130)는 그 이전에 위치한 29번 채널에 해당하는 채널 항목(2121)을 선택하여 해당 채널 항목(2121)이 다시 하이라이트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채널 그룹 항목 간의 선택 이동은 도 2의 채널 선택 키(310)의 PUSH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고, 채널 항목 간의 선택 이동은 채널 선택 키(310)의 PRESS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는 셈이다.
또한 화면 표시 제어부(130)는 상세 채널 리스트(2120)가 화면(200)에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300)로부터 입력되는 키 조작 신호가 제2 키 조작 신호인 경우 상세 채널 리스트(2120)가 화면(200)에서 제거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화면 표시 제어부(130)는 기본 표시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 장치(300)로부터 선호 채널 키(320) 즉, 제3 키 조작에 따른 제3 키 조작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선호 채널 이동 모드로 진입하고, 선호 채널 이동 모드로 진입한 이후 사용자 입력 장치(300)로부터 제1 키 조작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기 등록된 선호 채널 중 기 설정된 순서에 따른 선호 채널이 선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화면 표시 제어부(130)는 제3 키 조작 신호가 입력된 시점(즉, 선호 채널 이동 모드로 진입한 시점) 또는 선호 채널 이동 모드로 진입한 이후 최초의 제1 조작 신호가 입력되는 시점에 적어도 하나의 선호 채널 항목을 포함하는 선호 채널 리스트가 화면(200)의 일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선호 채널 리스트에는 선호 채널로 등록되지 않은 채널에 대응되는 비선호 채널 항목도 포함될 수 있는데, 화면 표시 제어부(130)는 비선호 채널 항목과 상기 선호 채널 항목이 구분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0에는 선호 채널 리스트가 화면(200)에 표시된 상태가 나타나 있는데, 도 10에는 선호 채널 항목으로써, 29번 채널 항목(221), 40번 채널 항목(222), 44번 채널 항목(223), 49번 채널 항목(224)이 다른 비선호 채널 항목(225, 226, 227, 228, 229)과 구별되도록 표시되어 있다.
이처럼 선호 채널 리스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 2의 채널 선택 키(310)를 조작함에 따라 제1 키 조작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화면 표시 제어부(130)는 선호 채널 리스트에 포함된 선호 채널 항목 간을 이동하며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는 등록된 선호 채널 중 29번 채널 항목(221)이 선택되어서 하이라이트 표시된 상태가 나타나 있는데,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 2의 채널 선택 키(310)의 앞쪽 부분을 수직 방향으로 누름에 따라 상술한 제1-1 키 조작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화면 표시 제어부(130)는 그 다음 번에 위치한 선호 채널 항목인 40번 채널 항목(222)을 선택하여 해당 채널 항목(222)이 하이라이트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화면 표시 제어부(130)는 채널 항목에 대한 선택이 이루어지는 경우 그 선택된 선호 채널 항목에 대응되는 채널의 컨텐츠가 선호 채널 리스트와 함께 화면(20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채널 전환 표시는 앞서 설명한 콘텐츠 수신부(150)의 튜너의 제어를 동반하는 제어에 해당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설명은 선호 채널이 이미 등록되어 있음을 전제로 하는 것인데, 이러한 선호 채널 등록은 선호 채널 등록부(140)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 입력 장치(300) 상에서의 키 조작이 키 누름과 키 릴리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신호 분석부(120)가 기본 표시 모드 상태에서 입력되는 키 조작 신호가 제3 키에 대한 누름 조작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된 것이라 분석하는 경우, 선호 채널 등록부(140)는 현재 화면(200)에 표시 제어되는 채널을 선호 채널로 등록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1은 아직 어떠한 선호 채널도 등록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 장치(300)로부터 제3 키 조작 신호가 입력된 경우 화면 표시 제어부(130)가 선호 채널 등록을 위한 안내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100)에서 채널 그룹 리스트(210)를 이용하여 채널이 선택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도 7(a)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기 선택된 채널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화면(200)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 장치(300)의 채널 선택 키(310)를 한 번 누르는(PRESS) 경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100)는 도 7(b)와 같이 다음 채널로 전환하여 해당 전환된 채널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도 7(b)와 같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순차적으로 채널 전환을 수행하는 것은 종래의 방식과 동일하다.
만일 도 7(a)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 장치(300)의 채널 선택 키(310)를 한 번 미는(PUSS) 경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100)는 도 7(c)와 같이 채널 그룹 리스트(210)가 표시되도록 하고, 그 채널 그룹 리스트(210)에 포함된 채널 그룹 항목 중 현재 표시되고 있는 채널이 속한 채널 그룹 항목(즉, '지상파/종편/홈쇼핑' 채널 그룹 항목) 다음에 위치한 채널 그룹 항목(즉, '영화/시리즈' 채널 그룹 항목)이 선택되도록 하며, '영화/시리즈' 채널 그룹 항목에 포함되는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도 8(a)와 같이 채널 그룹 리스트(210)의 각 채널 그룹 항목 중 '지상파/종편/홈쇼핑'항목(211)이 선택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 장치(300)의 채널 선택 키(310)를 한 번 앞으로 미는(PUSS) 경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100)는 도 8(b)와 같이 그 다음에 위치한 채널 그룹 항목인 '영화/시리즈'항목(212)을 선택하여 하이라이트 표시되도록 제어하는데, 이때 '영화/시리즈'채널 그룹 항목(212)에 속하는 채널 중 첫 번째 채널로 채널 전환을 수행하여 그 전환된 채널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후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 장치(300)의 채널 선택 키(310)를 아래로 한 번 누르는(PRESS) 경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100)는 도 8(c)와 같이 애니메이션 표시(2120_a)를 거쳐 도 8(d)와 같이 영화/시리즈 채널 그룹 항목(212)에 대한 상세 채널 리스트(2120)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애니메이션 표시(2120_a)는 마치 상세 채널 리스트(2120)가 펼쳐지는 듯한 느낌을 주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면, 도 9(a)와 같이 상세 채널 리스트(2120)가 표시되고 29번 채널 항목(2121)이 선택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 장치(300)의 채널 선택 키(310)를 한 번 아래로 누르는(PRESS) 경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100)는 도 9(b)와 같이 그 다음에 위치한 채널 항목인 30번 채널 항목(2122)이 선택되고 해당 선택된 채널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마찬가지로 도 9(b)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 장치(300)의 채널 선택 키(310)를 한 번 더 아래로 누르는(PRESS) 경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100)는 도 9(c)와 같이 그 다음에 위치한 채널 항목인 32번 채널 항목(2123)이 선택되고 해당 선택된 채널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후 도 9(c)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 장치(300)의 채널 선택 키(310)를 아래로 한 번 누르는(PRESS) 경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100)는 도 9(d)와 같이 애니메이션 표시(2120_a)를 거쳐 도 8(b)와 같이 상세 채널 리스트(2120)가 삭제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선호 채널을 제어하는 과정을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2에는 사용자가 선호 채널을 등록하는 과정이 나타나 있다.
도 12(a)와 같이 방송 콘텐츠를 시청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 2의 선호 채널 키(320)를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누르고(PRESS)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100)는 도 12(a)의 화면(200) 하단과 같이 "오래 누르기 : 선호채널 등록"이 표시되도록 제어한 후 현재 시청 중인 방송 채널에 대한 선호 채널 등록을 완료한 경우 도 12(b)와 같이 "선호 채널로 등록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한 후 기 설정된 시간 경과 후 도 12(c)와 같이 해당 메시지가 삭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선호 채널이 등록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 2의 선호 채널 키(320)를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누르고(PRESS)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100)는 도 12(c)의 화면(200) 하단과 같이 "오래 누르기 : 선호채널 해제"가 표시되도록 제어한 후 현재의 채널에 대한 선호 채널 해제를 완료한 경우 도 12(d)와 같이 "선호 채널로 등록이 해제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한 후 기 설정된 시간 경과 후 도 12(a)와 같이 해당 메시지가 삭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으로 복수 개의 선호 채널이 등록될 수 있는데, 도 13은 등록된 선호 채널을 이용하는 제어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우선 도 13(a)와 같이 선택된 채널의 콘텐츠가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 2의 선호 채널 키(320)를 선택(즉, 한 번 눌렀다가 바로 릴리즈)함에 따라 상술한 제3 키 조작 신호가 수신된 이후, 이어서 사용자가 채널 선택 키(310)의 앞쪽 부분을 수직 방향으로 선택(즉, 한 번 눌렀다가 바로 릴리즈)함에 따라 상술한 제1-1 키 조작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화면 표시 제어부(130)는 도 13(b)와 같이 선호 채널 리스트가 표시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현재 표시되고 있는 채널에 가장 인접한 다음 선호 채널(즉, 29번 채널)을 선택한 후 그 선택된 채널로 채널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해당 전환된 채널의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도 13(b)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또 다시 사용자가 채널 선택 키(310)의 앞쪽 부분을 수직 방향으로 선택(즉, 한 번 눌렀다가 바로 릴리즈)함에 따라 상술한 제1-1 키 조작 신호가 다시 입력되는 경우, 화면 표시 제어부(130)는 도 13(c)와 같이 현재 선택된 선호 채널 다음에 위치한 선호 채널(40번 채널)을 선택한 후 그 선택된 채널로 채널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하는 과정은 소정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기록 매체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전자적 기록 매체,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자기적 기록 매체, CD(Compact Disk)와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때,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되어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의 기능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이러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 :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200 : 디스플레이 장치
300 : 사용자 입력 장치 400 : 콘텐츠 제공 서버
110 : 입력부 120 : 신호 분석부
130 : 화면 표시 제어부 140 : 선호 채널 등록부
150 : 콘텐츠 수신부 210 : 채널 그룹 리스트
2120 : 상세 채널 리스트

Claims (30)

  1. 내부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와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화면에 특정 채널에 대한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기 선택된 현재 채널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상기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한 기본 표시 모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키를 구비한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각 키의 사용자 조작에 따른 키 조작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키 조작 신호를 분석하는 단계와;
    (b) 상기 (a) 단계의 분석 결과 상기 입력된 키 조작 신호가 제1 키 조작에 따른 제1 키 조작 신호인 경우에는 기 설정된 순서에 따른 다른 채널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상기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키 조작 신호가 제2 키 조작에 따른 제2 키 조작 신호인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에 매칭된 채널 그룹 항목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채널 그룹 리스트가 상기 화면 일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c) 상기 채널 그룹 리스트가 상기 화면 일 영역에 표시된 이후,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키 조작 신호가 상기 제2 키 조작 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채널 그룹 리스트에 포함된 채널 그룹 항목 중 기 설정된 순서에 따른 채널 그룹 항목이 선택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키 조작 신호가 상기 제1 키 조작 신호인 경우에는 현재 선택된 채널 그룹 항목에 매칭된 채널 중 기 설정된 순서에 따른 채널이 선택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채널 그룹 항목이 선택된 이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해당 선택된 채널 그룹 항목에 매칭된 채널에 각각 대응되는 채널 항목을 포함하는 상세 채널 리스트가 상기 화면 일 영역에 자동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채널 그룹 항목이 선택된 이후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상기 제1 키 조작 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선택된 채널 그룹 항목에 매칭된 채널에 각각 대응되는 채널 항목을 포함하는 상세 채널 리스트가 상기 화면 일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의 제어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 채널 리스트는 인터레이스 또는 애니메이션 효과를 거쳐 상기 채널 그룹 리스트의 일부 영역에 겹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의 제어방법.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상세 채널 리스트가 상기 화면에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키 조작 신호가 상기 제1 키 조작 신호인 경우 상기 상세 채널 리스트에 포함된 채널 항목에 대응되는 채널 중 기 설정된 순서에 따른 채널이 선택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의 제어방법.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 채널 리스트가 상기 화면에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키 조작 신호가 상기 제2 키 조작 신호인 경우 상기 상세 채널 리스트가 상기 화면에서 제거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의 제어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채널 그룹 리스트가 상기 화면 일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채널 그룹 리스트에 포함된 채널 그룹 항목 중 기 설정된 순서에 따른 어느 하나가 자동으로 선택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으로 선택된 채널 그룹 항목은 현재 채널에 매칭된 채널 그룹 항목, 현재 채널에 매칭된 채널 그룹 항목에 인접한 채널 그룹 항목, 상기 채널 그룹 리스트의 제일 처음에 위치한 채널 그룹 항목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의 제어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자동으로 선택된 채널 그룹 항목에 매칭된 채널 중 기 설정된 순서에 따른 채널이 자동 선택되고 그 자동 선택된 채널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상기 채널 그룹 리스트와 함께 상기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의 제어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d) 상기 기본 표시 모드 상태에서 제3 키를 더 구비한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상기 제3 키 조작에 따른 제3 키 조작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선호 채널 이동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와;
    (e) 상기 선호 채널 이동 모드로 진입한 이후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상기 제1 키 조작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기 등록된 선호 채널 중 기 설정된 순서에 따른 선호 채널이 선택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키 조작 신호가 입력된 후 최초의 제1 조작 신호가 입력되는 시점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 채널 항목을 포함하는 선호 채널 리스트가 상기 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선호 채널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상기 선호 채널 리스트와 함께 상기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채널 리스트에는 선호 채널로 등록되지 않은 채널에 대응되는 비선호 채널 항목도 포함되고,
    상기 비선호 채널 항목과 상기 선호 채널 항목은 구분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전에,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 상에서의 키 조작이 키 누름과 키 릴리즈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기본 표시 모드 상태에서 입력되는 키 조작 신호를 분석한 결과 상기 제3 키에 대한 누름 조작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된 것이라 판단하는 경우 현재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채널을 선호 채널로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항 내지 제3항, 제7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6.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3항, 제7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17. 내부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와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화면에 특정 채널에 대한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는 콘텐츠 수신부와;
    적어도 하나의 키를 구비한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각 키의 사용자 조작에 따른 키 조작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키 조작 신호를 분석하는 신호 분석부와;
    기 선택된 현재 채널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상기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한 기본 표시 모드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키 조작 신호를 상기 신호 분석부에서 분석한 결과,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키 조작 신호가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의 제1 키 조작에 따른 제1 키 조작 신호인 경우에는 기 설정된 순서에 따른 다른 채널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상기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키 조작 신호가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의 제2 키 조작에 따른 제2 키 조작 신호인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에 매칭된 채널 그룹 항목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채널 그룹 리스트가 상기 화면 일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화면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면 표시 제어부는 상기 채널 그룹 리스트가 상기 화면 일 영역에 표시된 이후,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키 조작 신호가 상기 제2 키 조작 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채널 그룹 리스트에 포함된 채널 그룹 항목 중 기 설정된 순서에 따른 채널 그룹 항목이 선택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키 조작 신호가 상기 제1 키 조작 신호인 경우에는 현재 선택된 채널 그룹 항목에 매칭된 채널 중 기 설정된 순서에 따른 채널이 선택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표시 제어부는 상기 채널 그룹 항목이 선택된 이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 해당 선택된 채널 그룹 항목에 매칭된 채널에 각각 대응되는 채널 항목을 포함하는 상세 채널 리스트가 상기 화면 일 영역에 자동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표시 제어부는 상기 채널 그룹 항목이 선택된 이후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상기 제1 키 조작 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선택된 채널 그룹 항목에 매칭된 채널에 각각 대응되는 채널 항목을 포함하는 상세 채널 리스트가 상기 화면 일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표시 제어부는 상기 상세 채널 리스트가 인터레이스 또는 애니메이션 효과를 거쳐 상기 채널 그룹 리스트의 일부 영역에 겹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21.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표시 제어부는 상기 상세 채널 리스트가 상기 화면에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키 조작 신호가 상기 제1 키 조작 신호인 경우 상기 상세 채널 리스트에 포함된 채널 항목에 대응되는 채널 중 기 설정된 순서에 따른 채널이 선택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22.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표시 제어부는 상기 상세 채널 리스트가 상기 화면에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키 조작 신호가 상기 제2 키 조작 신호인 경우 상기 상세 채널 리스트가 상기 화면에서 제거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23. 제17항에 있어서,
    화면 표시 제어부는 상기 채널 그룹 리스트가 상기 화면 일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채널 그룹 리스트에 포함된 채널 그룹 항목 중 기 설정된 순서에 따른 어느 하나가 자동으로 선택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으로 선택된 채널 그룹 항목은 현재 채널에 매칭된 채널 그룹 항목, 현재 채널에 매칭된 채널 그룹 항목에 인접한 채널 그룹 항목, 상기 채널 그룹 리스트의 제일 처음에 위치한 채널 그룹 항목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화면 표시 제어부는 상기 자동으로 선택된 채널 그룹 항목에 매칭된 채널 중 기 설정된 순서에 따른 채널을 자동 선택하고 그 자동 선택한 채널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상기 채널 그룹 리스트와 함께 상기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26.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표시 제어부는 상기 기본 표시 모드 상태에서 제3 키를 더 구비한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상기 제3 키 조작에 따른 제3 키 조작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선호 채널 이동 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선호 채널 이동 모드로 진입한 이후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상기 제1 키 조작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기 등록된 선호 채널 중 기 설정된 순서에 따른 선호 채널이 선택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3 키 조작 신호가 입력된 후 최초의 제1 조작 신호가 입력되는 시점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 채널 항목을 포함하는 선호 채널 리스트가 상기 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표시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선호 채널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상기 선호 채널 리스트와 함께 상기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채널 리스트에는 선호 채널로 등록되지 않은 채널에 대응되는 비선호 채널 항목도 포함되고,
    상기 화면 표시 제어부는 상기 비선호 채널 항목과 상기 선호 채널 항목이 구분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 상에서의 키 조작이 키 누름과 키 릴리즈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신호 분석부가 상기 기본 표시 모드 상태에서 입력되는 키 조작 신호가 상기 제3 키에 대한 누름 조작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된 것이라 분석하는 경우, 현재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채널을 선호 채널로 등록하는 선호 채널 등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KR1020150089520A 2015-06-24 2015-06-24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그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KR101717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520A KR101717350B1 (ko) 2015-06-24 2015-06-24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그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520A KR101717350B1 (ko) 2015-06-24 2015-06-24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그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534A true KR20170000534A (ko) 2017-01-03
KR101717350B1 KR101717350B1 (ko) 2017-03-16

Family

ID=57797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9520A KR101717350B1 (ko) 2015-06-24 2015-06-24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그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735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7892A (ko) * 2006-01-13 2006-02-27 주식회사 인터랙티브티비미디어그룹 티브이 컨텐츠 데이터의 처리 장치
KR100788696B1 (ko) * 2006-06-21 2007-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을브라우즈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80047942A (ko) 2006-11-27 2008-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피 티브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80064932A (ko) * 2007-01-07 2008-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기기
KR20100051255A (ko) * 2008-11-07 2010-05-17 브로드밴드미디어주식회사 Iptv 서비스에서 선호채널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7892A (ko) * 2006-01-13 2006-02-27 주식회사 인터랙티브티비미디어그룹 티브이 컨텐츠 데이터의 처리 장치
KR100788696B1 (ko) * 2006-06-21 2007-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을브라우즈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80047942A (ko) 2006-11-27 2008-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피 티브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80064932A (ko) * 2007-01-07 2008-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기기
KR20100051255A (ko) * 2008-11-07 2010-05-17 브로드밴드미디어주식회사 Iptv 서비스에서 선호채널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7350B1 (ko) 2017-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7526B2 (en) Providing content related to an item in an interactive data scroll
US2010007743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supplemental information in an electronic programming guide
KR101402406B1 (ko) 다중 입력 소스들에 대한 통합된 epg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N101998084A (zh) 显示设备和显示方法
CN103841430A (zh) 一种电子节目菜单的显示方法
KR20080028437A (ko)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콘텐츠 표시 방법
CN103237254A (zh) 电视接收终端和电子节目菜单信息处理方法
CN100527781C (zh) 一种具有情景模式的机顶盒及其控制方法
US876304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ustomer service features via a graphical user interface in a television receiver
JP5134350B2 (ja) リモコン装置及びシステム
US9704021B2 (en) Video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0963750B1 (ko) Iptv에서 리모콘을 이용한 검색 방법 및 문자 입력 방법
CN103458291A (zh) 一种视频内容提示方法和装置
JP4719296B1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CN103596034A (zh) 智能电视的桌面显示的控制方法和控制装置
KR101517837B1 (ko) 스마트 tv의 컨텐츠 제공 방법
KR20150102007A (ko) 가입 비디오 채널 관련 이벤트 메시지 디스플레이 방법 및 시스템
JP4498093B2 (ja) 放送受信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717350B1 (ko)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그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CN102497587A (zh) 频道显示的方法及装置
KR2016013317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2298828B (zh) 可显示搜索结果的遥控系统
KR101008617B1 (ko) 티브이의 복귀채널 구현장치 및 그 방법
KR101777250B1 (ko) 샵채널서비스 운영방법
KR100474477B1 (ko) 확장된 텔레웹 채널 탐색 기능을 갖는 텔레웹 재생장치및 그 탐색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