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533A - 이동 가능한 다용도 항온 항습 고상발효배양실 - Google Patents

이동 가능한 다용도 항온 항습 고상발효배양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533A
KR20170000533A KR1020150089518A KR20150089518A KR20170000533A KR 20170000533 A KR20170000533 A KR 20170000533A KR 1020150089518 A KR1020150089518 A KR 1020150089518A KR 20150089518 A KR20150089518 A KR 20150089518A KR 20170000533 A KR20170000533 A KR 20170000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m
air
humidity
filter assembly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9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석범
윤한홍
김재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충무발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충무발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충무발효
Priority to KR1020150089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0533A/ko
Publication of KR20170000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5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1/00Bioreactors or fermen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u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7/00Means for sterilizing, maintaining sterile conditions or avoiding chemical or biological contamination
    • F24F11/0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한 다용도 항온 항습 고상발효배양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우레탄 패널과 같은 단열 벽체로 룸 공간을 형성하고, 룸의 일측에는 적절한 온도의 청정공기를 제공하는 공조실을 설치하며, 공조실에 프리 필터와 헤파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 조립체를 장착하고 출입구에 에어커튼을 장착함으로써, 외부의 온도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 외부로부터 잡균 등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온도 및 습도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 패널을 장착하여 사계절 내내 연중 생산이 가능하고, 내부식성 스테인리스 재질로 바닥을 형성하여 잡균번식이 어렵고 청소와 살균이 용이하며, 공조실의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청정공기를 펀칭 덕트를 통해 룸 내부로 주입하고, 룸 내부에서 순환 및 대류된 공기는 공조실의 프리 필터와 헤파 필터를 거쳐 다시 송풍기를 통해 토출구로 토출됨으로써, 오염 가능성을 배제하고 룸 내부의 공기를 적절한 온습도를 보유하는 신선하고 청정한 공기로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식 구조로 모듈화하여 필요에 따라 개조 및 확장이 용이하고, 사용자의 요청이나 생산품의 특성에 따라 주문제작이 가능하며, 외부 바닥 측면에 이동가능한 이동용 고리가 구비되어 있어 차량에 적재하여 원하는 장소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고 설치면적에 제한이 없어 공간활용도가 높은 이동 가능한 다용도 항온 항습 고상발효배양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단열 벽체로 둘러싸인 룸; 상기 룸 내의 공기를 여과시키는 필터 조립체와, 상기 필터 조립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 조립체를 거쳐 여과된 공기를 가압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에 의해 가압된 공기를 다시 상기 룸 방향으로 토출시키는 토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룸의 일측에 구비되는 공조실; 및 상기 룸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구비되어 습도를 조절하는 가습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다용도 항온 항습 고상발효배양실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 가능한 다용도 항온 항습 고상발효배양실{omitted}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한 다용도 항온 항습 고상발효배양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우레탄 패널과 같은 단열 벽체로 룸 공간을 형성하고, 룸의 일측에는 전기가열장치 및 냉각장치로 구성되어 적절한 온도의 청정공기를 제공하는 공조실을 설치하며, 공조실에 프리 필터와 헤파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 조립체를 장착하고 출입구에 에어커튼을 장착함으로써, 외부의 온도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 외부로부터 잡균 등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온도 및 습도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 패널을 장착하여 사계절 내내 연중 생산이 가능하고, 내부식성 스테인리스 재질로 바닥을 형성하여 잡균번식이 어렵고 청소와 살균이 용이하며, 공조실의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청정공기를 펀칭 덕트를 통해 룸 내부로 주입하고, 룸 내부에서 순환 및 대류된 공기는 공조실의 프리 필터와 헤파 필터를 거쳐 다시 송풍기를 통해 토출구로 토출됨으로써, 오염 가능성을 배제하고 룸 내부의 공기를 적절한 온습도를 보유하는 신선하고 청정한 공기로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식 구조로 모듈화하여 필요에 따라 개조 및 확장이 용이하고, 사용자의 요청이나 생산품의 특성에 따라 주문제작이 가능하며, 외부 바닥 측면에 이동가능한 이동용 고리가 구비되어 있어 차량에 적재하여 원하는 장소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고 설치면적에 제한이 없어 공간활용도가 높은 이동 가능한 다용도 항온 항습 고상발효배양실에 관한 것이다.
미생물을 사용하여 항생제, 의료용 효소, 특수 생리활성물질을 생산함에 있어서 대부분은 액상 심부발효법(SSF, Submerged State Fermentation)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액상 발효배양법은 고도의 정제된 물질을 순수하게 얻을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장치설비 비용이 고가이고 장비운전에 숙달된 전문인력이 필요하며, 유지, 관리, 보수에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반면, 고상발효법(SSF, Solid State Fermentation)은 전통발효식품이나 사료첨가제 등의 제조에 사용되며, 상대적으로 설비비가 저렴하고 특별한 장비없이도 발효제품의 효율적인 대량생산이 용이하므로, 발효산업 현장에서 선호되고 있다.
고상발효에서는 흐르는 물 없이 젖은 상태의 기질 상에서 미생물이 성장하게 되며, 고체 매트릭스 내에 존재하는 수분을 이용하고 충분한 산소전달이 용이하다. 액체배양법의 탱크배양과는 달리 수분함량이 매우 낮기 때문에 미생물은 공기중의 산소와 충분히 접촉하게 된다.
근래에는 전분계 원료로부터 단백질이 강화된 사료의 생산, 여러 가지 폐자원으로부터 단세포단백질(SCP) 생산, 카사바 및 사탕무로부터 알코올 생산, 효소, 유기산, 바이오가스, 항생제, 계면활성제, 버섯배양, 치즈 등과 같은 발효유제품 생산 등에 고상발효를 적용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특히, 고상발효는 기질의 단위질량당 수분 함량이 적기 때문에 발효조의 부피가 작게 되며, 통기와 교반이 용이하다.
그러나, 일반적인 고상발효법에 의하면 잡균에 의한 오염 가능성이 높고, 정확한 온도 및 습도의 제어가 어려워 숙련된 인력의 경험에 의존하고 있다. 또한, 고체 덩어리에서의 물질전달 장벽 때문에 탱크배양에 비해 배양속도가 느리고, 열전달이 용이하지 않으며 적합한 온도센서가 없어 연속조작시에 온도조절의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존의 고상발효장치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고상발효의 장점을 극대화하면서도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고상발효장치에 대한 기술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외부의 온도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 외부로부터 잡균 등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사계절 내내 연중 생산이 가능하며, 오염 가능성을 배제하고 룸 내부의 공기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적절한 온습도를 보유하는 신선하고 청정한 공기로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개조 및 확장이 용이하고, 사용자의 요청이나 생산품의 특성에 따라 주문제작이 가능하며, 차량에 적재하여 원하는 장소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고 설치면적에 제한이 없어 공간활용도가 높은 이동 가능한 다용도 항온 항습 고상발효배양실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가능한 다용도 항온 항습 고상발효배양실은 단열 벽체로 둘러싸인 룸; 상기 룸 내의 공기를 여과시키는 필터 조립체와, 상기 필터 조립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 조립체를 거쳐 여과된 공기를 가압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에 의해 가압된 공기를 다시 상기 룸 방향으로 토출시키는 토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룸의 일측에 구비되는 자동제어 공조실; 및 상기 룸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구비되어 습도를 조절하는 초음파 가습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 조립체는 외벽에 구비되어 상기 룸의 내부로 노출되는 프리 필터(Pre-Filter)와, 상기 필터 조립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프리 필터를 거친 공기를 2차적으로 여과시키는 헤파 필터(HEPA Filt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가능한 다용도 항온 항습 고상발효배양실은 상기 룸의 천정 중 상기 공조실의 토출구가 상기 룸 방향으로 연장된 면적 상에 설치되며, 일측 단부가 상기 공조실의 토출구와 연통되고 타측 단부는 폐쇄되며, 상기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공기를 상기 룸 내부로 주입하는 펀칭 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룸의 내부에는 자외선 살균램프가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가능한 다용도 항온 항습 고상발효배양실은 상기 룸의 바닥 벽체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구비되는 이동용 고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우레탄 패널과 같은 단열 벽체로 룸 공간을 형성하고, 룸의 일측에는 적절한 온도의 청정공기를 제공하는 공조실을 설치하며, 공조실에 프리 필터와 헤파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 조립체를 장착하고 출입구에 에어커튼을 장착함으로써, 외부의 온도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 외부로부터 잡균 등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온도 및 습도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 패널을 장착하여 사계절 내내 연중 생산이 가능하고, 내부식성 스테인리스 재질로 바닥을 형성하여 잡균번식이 어렵고 청소와 살균이 용이한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공조실의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청정공기를 펀칭 덕트를 통해 룸 내부로 주입하고, 룸 내부에서 순환 및 대류된 공기는 공조실의 프리 필터와 헤파 필터를 거쳐 다시 송풍기를 통해 토출구로 토출됨으로써, 오염 가능성을 배제하고 룸 내부의 공기를 적절한 온습도를 보유하는 신선하고 청정한 공기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립식 구조로 모듈화하여 필요에 따라 개조 및 확장이 용이하고, 사용자의 요청이나 생산품의 특성에 따라 주문제작이 가능하며, 외부 바닥 측면에 이동가능한 이동용 고리가 구비되어 있어 차량에 적재하여 원하는 장소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고 설치면적에 제한이 없어 공간활용도가 높은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가능한 다용도 항온 항습 고상발효배양실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가능한 다용도 항온 항습 고상발효배양실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부분절개 단면도,
도 5는 도 1 중 공조실의 정면도,
도 6은 도 5의 좌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가능한 다용도 항온 항습 고상발효배양실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가능한 다용도 항온 항습 고상발효배양실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부분절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 중 공조실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좌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가능한 다용도 항온 항습 고상발효배양실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룸(5)과 실외기 적재함(40) 및 공조실(100)을 포함한다.
룸(5)은 벽체(10)에 의해 둘러싸여서 공간이 구획된다. 룸(5) 내부에는 고체배양을 위한 시료들이 수용된다. 룸(5)을 구성하는 벽체(10)에는 오버랩 도어(12), 에어커튼(14), 컨트롤 패널(16), 가습기(18), 환기 댐퍼(미도시), 환기팬(20) 및 이동용 고리(22) 등이 구비된다. 또한, 룸(5) 내부에는 펀칭 덕트(30)가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자외선 살균램프(24)가 구비된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벽체(10)에는 작업자의 키를 고려한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투시창이 구비됨으로써, 작업자가 룸(5) 내부에 들어가지 않고도 현 상황의 체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벽체(10)는 단열 성능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례로 우레탄 패널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벽체(10) 중 바닥 부분은 우레탄 에폭시 도장으로 마감될 수 있고, 전기 온돌매트 또는 스텐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내부식성 스테인리스 재질로 바닥을 형성할 경우 잡균번식이 어렵고 청소와 살균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며, 히터를 내장할 수 있다.
오버랩 도어(12)는 벽체(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작업자 또는 대차가 출입할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오버랩 도어(12)의 하단에는 대차출입을 위해 경사면을 갖는 대차출입용 깔판이 구비될 수 있다.
에어커튼(14)은 오버랩 도어(12)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압축공기를 분출시키고, 하부에 구비된 흡입구와의 사이에 공기유막을 형성함으로써, 룸(5)의 외부와 내부를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에어커튼(14)은 온도와 습도가 조절된 공기의 분류에 의해 다른 공기의 흐름을 차단 및 분리함으로써, 오버랩 도어(12)의 개폐시 외부 공기가 룸(5)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내부 공기가 룸(5)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컨트롤 패널(16)은 벽체(10)의 외부면, 즉 룸(5)의 외부에 구비되어 작업자가 룸(5)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적절히 조절하거나, 룸(5)의 온도와 습도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룸(5)의 내부에는 온도측정센서와 습도측정센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온도측정센서와 습도측정센서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컨트롤 패널(16)에 연결된다. 컨트롤 패널(16)은 온도와 습도의 자동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여 사계절 연중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며, 온/습도 자동경보 알림시스템과 원격제어시스템의 구현도 가능하다.
가습기(18)는 벽체(10)의 내부면, 즉 룸(5)의 내부에 구비되어 룸(5) 내부의 습도를 조절한다. 일례로 초음파 가습기 물 속에 초음파로 진동되는 로드(rod)가 담겨져 있어, 전원이 공급되면 액 중에 캐비테이션(cavitation)이 발생되어 로드의 표면에 분류형의 안개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미세한 수적이 공기중에 공급됨으로써 가습을 수행한다. 가습기(18)는 컨트롤 패널(16)에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습도측정센서로부터 측정된 습도에 따라 컨트롤 패널(16)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여 룸(5)의 습도를 조절하게 된다.
환기 댐퍼(미도시)와 환기팬(20)은 벽체(10)에 적어도 하나 구비되어, 룸(5)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동용 고리(22)는 바닥 벽체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구비되어,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이동용 고리(22)에 삽입한 후 차량에 적재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가능한 다용도 항온 항습 고상발효배양실 자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가능한 다용도 항온 항습 고상발효배양실은 모듈(module)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지게차 등의 적재수단과 차량만 있으면 언제든지 원하는 장소로 이동이 가능하고, 설치면적에 제한을 받지 않아 공간 활용성이 매우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조립식 구조로 모듈화하여 필요에 따라 개조 및 확장이 용이하고, 사용자의 요청이나 생산품의 특성에 따라 주문제작이 가능하다.
자외선 살균램프(24)는 룸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구비되어, 룸(5) 내부의 살균작용을 수행한다. 자외선 살균램프(24)는 대략 250~260 nm 부근의 자외선을 발광하여 룸(5) 내부의 유해균과 미생물을 사멸시킨다. 자외선의 살균작용은 자외선의 파장과 조사조도 및 조사시간의 함수이다. 자외선을 조사한 경우 세균의 생존수는 유효조사조도와 조사시간에 대하여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며, 아래 수식으로 표현된다.
S = P / P0 = exp(-Et/Q)
여기서, S : 세균의 생존율, P와 P0 : 자외선 조사 후와 조사 전 세균수, E : 유효조사조도, t : 조사시간, Q : S를 1/e ≒ 36.8%로 감소시키는 데 필요한 조사량(유효조사조도와 조사시간)
상기 수학식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세균의 살균효과는 유효조사조도와 조사시간의 곱(조사량)에 따라 정해진다.
펀칭 덕트(30)는 룸(5)의 내부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펀칭 덕트(30)는 룸(5)의 천정 부분에 구비되며, 도 2와 같이 룸(5)의 천정 중 공조실(30)의 토출구(122)가 룸 방향으로 연장된 면적 상에 설치되거나 룸(5)의 천정 전체를 덮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펀칭 덕트(30)는 폭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고 두께가 얇은 판상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펀칭 덕트(30)의 폭은 공조실(100)의 토출구(122)의 폭에 부합하도록, 길이는 룸(5)의 천정 일측에서 타측 단부에 이르도록, 두께는 토출구(122)의 상하 폭에 부합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펀칭 덕트(30)의 일측 단부(도 2에서 좌측 단부)는 공조실(100)의 토출구(122)와 연통되고, 타측 단부(도 2에서 우측 단부)는 폐쇄된다.
펀칭 덕트(30) 내부의 공기는 일측 단부(토출구(122)가 위치한 곳)로부터 타측 단부(벽체(10)가 위치한 곳) 방향으로 이동(도 2의 화살표 참조)하면서 룸(5) 내부로 연속적으로 토출(도 4의 룸(5) 내부상의 화살표 참조)된다. 이때, 펀칭 덕트(30) 내부의 공기는 펀칭 덕트(30)의 외부로 흘러가지만, 반대로 펀칭 덕트(30) 외부의 공기는 펀칭 덕트(3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없도록 설계되어 있다.
토출구(122)로 토출된 공기는 펀칭 덕트(30)로부터 룸(5)으로 주입되고, 룸(5) 내부로 주입되어 대류 및 순환된 공기는 공조실(100)의 프리 필터(112)와 헤파 필터(114)를 거쳐 다시 송풍기(120)에 의해 토출구(122) 방향으로 분사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순환하게 된다. 이러한 공기순환 및 대류과정을 통해 룸(5) 내부의 공기를 적절한 온습도를 보유하는 신선하고 청정한 공기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공조실(100)은 룸(5)의 일측에 구비된다. 공조실(100)은 증발기(Evaporator), 재열기(Reheater), 프리 필터(Pre-filter)(112), 헤파 필터(HEPA Filter)(114), 송풍기(Blower)(120), 및 토출구(122)를 구비한다.
프리 필터(112)와 헤파 필터(114)를 포함한 필터 조립체(110)는 공조실(100)의 하부에 구비되고, 송풍기(120)와 토출구(122)는 공조실(100)의 상부에 구비된다.
프리 필터(112)는 필터 조립체(110)의 외벽에 구비되어, 룸(5) 내부를 순환한 공기 중에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고체 입자를 1차적으로 여과한다. 프리 필터(112)는 세척 및 교체가 가능하도록 착탈 가능하도록 부착된다.
헤파 필터(114)는 필터 조립체(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프리 필터(112)를 거친 공기를 2차적으로 여과한다.
공기 중의 고체 입자의 분포는 대략 0.001μm~500μm로 눈에 보이는 것부터 보이지 않는 것까지 다양한데, 이 가운데 10μm 이하의 직경을 가진 것을 미세먼지라 한다. 헤파 필터(114)는 0.3μm의 입자를 1회 통과시켰을 때 99.97% 이상 제거가능하다.
헤파 필터(114)는 불규칙하게 배열된 섬유들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공기 중의 입자는 이들 섬유에 의해 차단되면서 정전기적 힘으로 섬유에 붙잡힌다. 본 발명에 따른 헤파 필터(114)는 오염인자를 제거하고 공기량을 조절하도록 댐퍼와 조합하여 한 개의 유닛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헤파 필터와 이를 지지하는 홀딩 프레임은 완전기밀이 유지되도록 하고, 교환이 용이하며 보온 및 흡음이 가능하도록 내부 마감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룸(5) 내부의 공기 질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울파 필터(ULPA, Ultra-Low Penetration Air)가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울파 필터는 0.12μm 이상의 입자를 99.999%까지 제거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5 - 룸 10 - 벽체
12 - 오버랩 도어 14 - 에어커튼
16 - 컨트롤 패널 18 - 가습기
20 - 환기팬 22 - 이동용 고리
30 - 펀칭 덕트 100 - 공조실
112 - 프리 필터 114 - 헤파 필터
120 - 송풍기 122 - 토출구

Claims (5)

  1. 단열 벽체로 둘러싸인 룸;
    상기 룸 내의 공기를 여과시키는 필터 조립체와, 상기 필터 조립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 조립체를 거쳐 여과된 공기를 가압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에 의해 가압된 공기를 다시 상기 룸 방향으로 토출시키는 토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룸의 일측에 구비되는 자동제어 공조실; 및
    상기 룸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구비되어 습도를 조절하는 가습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다용도 항온 항습 고상발효배양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조립체는
    외벽에 구비되어 상기 룸의 내부로 노출되는 프리 필터(Pre-Filter)와,
    상기 필터 조립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프리 필터를 거친 공기를 2차적으로 여과시키는 헤파 필터(HEPA Filt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다용도 항온 항습 고상발효배양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룸의 천정 중 상기 공조실의 토출구가 상기 룸 방향으로 연장된 면적 상에 설치되며, 일측 단부가 상기 공조실의 토출구와 연통되고 타측 단부는 폐쇄되며, 상기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공기를 상기 룸 내부로 주입하는 펀칭 덕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다용도 항온 항습 고상발효배양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룸의 내부에는 자외선 살균램프가 적어도 하나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다용도 항온 항습 고상발효배양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룸의 바닥 벽체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구비되는 이동용 고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다용도 항온 항습 고상발효배양실.

KR1020150089518A 2015-06-24 2015-06-24 이동 가능한 다용도 항온 항습 고상발효배양실 KR201700005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518A KR20170000533A (ko) 2015-06-24 2015-06-24 이동 가능한 다용도 항온 항습 고상발효배양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518A KR20170000533A (ko) 2015-06-24 2015-06-24 이동 가능한 다용도 항온 항습 고상발효배양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533A true KR20170000533A (ko) 2017-01-03

Family

ID=57797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9518A KR20170000533A (ko) 2015-06-24 2015-06-24 이동 가능한 다용도 항온 항습 고상발효배양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053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28271A (zh) * 2018-11-28 2019-04-16 王航 以光线驱照监测清理冷暖混合双控过滤阀的食品发酵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28271A (zh) * 2018-11-28 2019-04-16 王航 以光线驱照监测清理冷暖混合双控过滤阀的食品发酵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87295B1 (en) Forced evaporative humidifier for nanosteam
CA2548699A1 (en) Air quality device
CN205351534U (zh) 一种立柜式多功能家用空调器
CN105794681A (zh) 一种密闭式通风饲养舍
KR200207824Y1 (ko) 무균 자동화 버섯재배장치
EP1566103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verting ethylene in ethane and freshness keeping apparatus for fresh agricultural product
CN107812227A (zh) 一种教室智能消毒装置
KR102329659B1 (ko) 옷장용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49960A (ko) 광을 이용한 공기조화장치 및 이를 구비한 온실
CN209105981U (zh) 蛇房
KR102158618B1 (ko) 힐링을 제공하는 공기 청정기
KR101565067B1 (ko) 가습 기능을 갖는 전열교환식 공기순환장치
JP2007198652A (ja) 空調家具
KR20170000533A (ko) 이동 가능한 다용도 항온 항습 고상발효배양실
WO2021220784A1 (ja) インキュベータ
JP2020526733A (ja) 空気処理システム
CN109126910A (zh) 多功能室内环境实验舱
DK3221647T3 (en) DEVICE INCLUDING A SURFACE AND A VENTILATION SYSTEM AND METHOD OF AIR CONDITIONING AIR CONDITIONING
JP5057294B2 (ja) 動物飼育室
JP7330611B2 (ja) 試料保管装置及び試料保管システム
JP4944230B2 (ja) イオン発生装置を備えた電気機器
CN208821436U (zh) 一种多功能动物护理病房系统
KR20130035761A (ko) 가이아 스톤을 이용한 버섯재배용 수질정화 물공급시스템
KR20160130678A (ko) 농작물 재배 자동제어 시스템
CN206556141U (zh) 一种办公室净化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