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208U - Sprinkler Hose for Plant Cultivation with Burr Formed Discharge Hole - Google Patents

Sprinkler Hose for Plant Cultivation with Burr Formed Discharge Ho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208U
KR20170000208U KR2020160006883U KR20160006883U KR20170000208U KR 20170000208 U KR20170000208 U KR 20170000208U KR 2020160006883 U KR2020160006883 U KR 2020160006883U KR 20160006883 U KR20160006883 U KR 20160006883U KR 20170000208 U KR20170000208 U KR 2017000020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water
wall
air outlet
plant culti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88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성순
Original Assignee
신성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순 filed Critical 신성순
Priority to KR20201600068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0208U/en
Publication of KR201700002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208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2Watering arrangements located above the soil which make use of perforated pipe-lines or pipe-lines with dispensing fittings, e.g. for drip irri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6Watering arrangements making use of perforated pipe-lines located in the s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20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물재배를 위한 분수 호스에 관한 것으로, 호스(100)의 내부 공간(104)의 물을 호스(100)의 외부 공간으로 분출하기 위하여 상기 호스(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된 분출구(110)의 내벽(112)에 상기 분출구(110)의 내벽(112)으로부터 적어도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분출구 타공시의 잔여물(120)이 다수 개가 분포하도록 분출구가 형성된다. 따라서 호스의 내부 공간에서 분출구로 유입된 물이 타공시 잔여물에 의하여 충돌 및 간섭이 일어나 넓은 범위에서 분산되어 호스의 외부 공간으로 분출되는 효과가 생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untain hose for plant cultivation and is designed to spray water in the inner space 104 of the hose 100 at an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se 100 A jet port is formed in the inner wall 112 of the jet port 110 so as to distribute a plurality of remnants 120 of the jet port formed in at least a horizontal direction extending from the inner wall 112 of the jet port 110. Therefore,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air outlet from the inner space of the hose collides with and interferes with the residual water during the borehole, and is dispersed over a wide range, and is ejected to the outer space of the hose.

Description

타공시 잔여물이 형성된 분출구를 갖는 식물재배용 분수 호스{Sprinkler Hose for Plant Cultivation with Burr Formed Discharge Hole}[0002] Sprinkler Hose for Plant Cultivation with Burr Formed Discharge Hole [0003]

본 고안은 관수 호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식물재배를 위한 분수 호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rrigation hose, particularly to a fractional hose for plant cultivation.

분수 호스는 분출구 직경을 약 0.3mm 내지 1mm 정도로 구성하여 분출구로부터 안개나 보슬비같이 물을 관수하는 호스이다. 관엽 식물과 같이 잎이 큰 식물은 넓은 잎에 물을 고르게 분무시켜주어야 하므로 일반적으로 분수 호스를 이용하여 관수하게 된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51094호에 분수 호스의 하나의 예가 개시되어 있다. 다만, 넓은 공간에 스프링쿨러 등의 장치를 이용하여 관수할 수도 있으나, 이는 실제로 회전움직임을 갖는 회전장치를 포함하기 때문에 호스의 분출구마다 이를 설치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비경제적이다.The fountain hose is a hose that has a jet diameter of about 0.3 mm to 1 mm and is adapted to spray water such as fog or drizzle from the jet outlet. Leafy plants such as foliage need to be sprayed evenly over wide leaves, so they are generally watered with a fractional hose. One example of a fractional hose is disclosed in registration utility model 20-0351094. However, although it is possible to use irrigation using a device such as a sprinkler in a large space, it is practically uneconomical to install the irrigation device at every discharge port of the hose because it includes a rotating device having a rotating motion.

상기 종래의 구성에 따른 분수 호스에 의하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출구를 통하여 호스 내부의 물이 외부로 직선적으로 분출되어 지면으로 낙하하게 된다. 호스의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물이 낙하하여 지면에 도착하기까지 물줄기의 분산 효과가 매우 낮기 때문에 넓은 공간에 분포되어 있는 식물에 골고루 물을 뿌리기 위해서는 분출구의 개수를 증가시키거나 분출구의 직경을 좁게 구성해야 한다.According to the fractional water hose of the conventional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3 (a), the water in the hose is linearly ejec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jection port and falls to the ground. Since the effect of dispersing the water stream is very low until the water ejected from the air outlet of the hose falls and reaches the groun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air outlets or narrow the diameter of the air outlets do.

그런데 분출구의 개수가 증가하는 경우, 일정한 길이를 갖는 호스에서 물이 분출구를 통과하는 수압이 분출구를 따라 물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수압이 약해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식물에 물 공급을 고르게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편, 분출구의 직경을 좁게 구성하는 경우에는 분출된 물이 식물에 도달하는 거리가 짧아 식물 전체에 물을 공급할 수 없거나 분출구가 이물질에 의하여 쉽게 막히는 문제가 있다.However, when the number of air outlets increases, the water pressure passing through the air outlet of the hose having a certain length is inevitably weakened toward the direction in which the water travels along the air outlet.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ater supply to the plant can not be made even. On the other hand, when the diameter of the jet port is narrow, the distance of the jetted water reaching the plant is short so that water can not be supplied to the entire plant or the jet port is easily clogged by foreign matter.

이에 본 고안자는 분수 호스에 있어서, 분출구의 개수를 늘이지 않고 또한 분출구의 직경도 좁히지 않으면서 넓은 범위에 물을 고르게 분사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분수 호스를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ly, the inventor intends to provide a fountain hose of a new structure capable of uniformly spraying water over a wide range without increasing the number of the jet holes and narrowing the diameter of the jet holes.

등록실용신안 제20-0351094호 (2004.05.22 공고)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351094 (published on May 22, 2004)

본 고안의 목적은 식물재배용 분수 호스의 분출구에서 분출되는 물의 분사범위를 확대하기 위하여 분출구 타공시에 잔여물을 의도적으로 형성함으로써 분출구를 통하여 분출되는 물줄기 사이에 충돌 및 간섭을 일으키도록 구성된 타공시 잔여물이 형성된 분출구를 갖는 식물재배용 분수 호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기타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liberately form residues in the spouting hole to expand the spraying range of the water sprayed from the spout of the fountain hose for plant cultivation, And to provide a fountain hose for plant cultivation having a water outlet.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타공시 잔여물이 형성된 분출구를 갖는 식물재배용 분수 호스는 호스(100)의 내부 공간(104)의 물을 호스(100)의 외부 공간으로 분출하기 위하여 상기 호스(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된 분출구(110)의 내벽(112)에 상기 분출구(110)의 내벽(112)으로부터 상기 분출구(110)의 중심부를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분출구 타공시의 잔여물(120)이 다수 개가 분포하도록 분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분출구 타공시의 잔여물(120)은 타공수단에 의하여 호스를 타공하여 분출구를 형성할 때에 호스 기재의 하단부가 완전히 뚫리지 않도록 잔여시킨 잔여물(Burr)로서, 외부로 분출되는 물의 수압에 의하여 끝단이 휘어지거나 떨릴 수 있는 연성 재질로 구성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 fountain hose for plant cultivation having an ejection port formed with a remnant at the time of perfo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ountain hoses for spraying water in the inner space 104 of the hose 100, And a plurality of air outlets 110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inner wall 112 of the air outlets 110 toward the center of the air outlets 110 are formed in the inner walls 112 of the air outlets 110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se 100, The remaining portion 120 of the dispenser dispensing hole is formed such that the lower end of the hose dispenser is not completely pierced when the dispensing port is formed by punching the hose by the punching means Residual residue (Burr) is composed of a ductile material that can be bent or shaken by the water pressure of the water that is ejected to the outside.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출구(110)는 원형 또는 정삼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Preferably, the air outlet 110 may have a circular or equilateral triangle.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분출구 타공시의 잔여물(120)의 적어도 2개 이상은 상기 내벽(112)으로부터 연장된 길이가 상기 분출구(110)의 장폭의 1/5 내지 1/2 사이에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wo or more of the remainders 120 of the jetting port are configured such that the length extending from the inner wall 112 is between 1/5 and 1/2 of the length of the jetting port 110 can do.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분출구 타공시의 잔여물(120)은 상기 호스(100)의 외면(103)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호스(100)의 내면(101)에 인접한 영역에 분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mainder 120 of the dispensing opening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103 of the hose 100 and distribut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inner surface 101 of the hose 100.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에서 상기 분출구 타공시의 잔여물(120)은 상기 호스(100)의 내면(101)과 상기 내벽(112)의 높이의 1/3 사이에 분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Preferab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mainder 120 of the dispenser dispenser may be distributed between the inner surface 101 of the hose 100 and one third of the height of the inner wall 112.

이와 같은 본 고안의 타공시 잔여물이 형성된 분출구를 갖는 식물재배용 분수 호스에 의하면, 호스의 내부 공간에서 분출구로 유입된 물이 타공시 잔여물에 의하여 충돌 및 간섭이 일어나 분산되어 호스의 외부 공간으로 분출되는 효과가 생긴다. 따라서 분출구의 개수를 최소화하면서도 용수의 분사범위를 최대화하여 각각의 분출구에서 분출되는 물줄기의 수압을 고르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분출구를 통하여 분출되는 물 입자의 직경이 작고 고르게 분산되어 식물에 낙하할 때에 식물에 물의 하중에 의한 충격을 주지 않고 식물의 잎에 고르게 관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such a fountain hose for plant cultivation having an ejection port formed with a remnant at the time of perforation,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jet port from the inner space of the hose is collided and interfered by the remainder at the time of perforation, An effect of jetting is generat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spraying range of the water while minimizing the number of the jetting ports, and to maintain the water pressure of the water streams ejected from the respective jetting ports uniformly. In addition, the diameter of the water particles ejected through the jet port is small and evenly dispersed, and when dropped on the plan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lant can be irrigated evenly on the leaves of the plant without impacting by the load of water.

도 1은 본 고안의 두 가지의 실시 예에 따른 타공시 잔여물이 형성된 분출구를 갖는 식물재배용 분수 호스의 분출구 부분을 직사각형으로 절개한 부분 절개도;
도 2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식물재배용 분수 호스의 분출구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단면도(a) 및 평면도(b);
도 3은 종래의 일반적인 호스의 분출구 부분(a)을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호스의 분출구 부분(b)과 비교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식물재배용 분수 호스의 분출구의 실제 사진; 및
도 5는 종래의 일반적인 호스의 분출구를 통하여 분출되는 물줄기(a)와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분수 호스의 분출구를 통하여 분출되는 물줄기(b)를 대비하여 나타낸 실제 사진이다.
FIG. 1 is a partial cutaway view of a fountain hose for plant cultivation having an ejection port formed with a remnant at the time of borehole according to tw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sectional view (a) and a plan view (b) of an enlarged view of a jet port of a fountain hose for plant cultiv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hose blowing port portion (a) compared with the blowing port portion (b) of the hos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actual photograph of the outlet of the fountain hose for plant cultiv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And
FIG. 5 is a photograph showing a water stream (a) ejected through a jet port of a conventional hose and a water stream (b) ejected through an ejection port of a fountain hos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shall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preliminary meaning and should be understood in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ecif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적용되는 호스(100)는 일반적인 연성 고무 재질의 합성수지와 같이, 호스의 내부 공간으로 용수가 채워지면 팽창하여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 다양한 재질로 제조될 수 있고, 식물재배용 분수 호스로서 적절하게 기능하기 위하여 팽창시의 직경은 약 30 내지 50mm 정도가 바람직하다.The hose 10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from various materials such as a synthetic resin material of a general soft rubber material that can be formed into a circular shape in cross section when the water is fill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hose, The diameter at the time of inflation is preferably about 30 to 50 mm.

도 1은 본 고안의 두 가지의 실시 예에 따른 타공시 잔여물이 형성된 분출구를 갖는 식물재배용 분수 호스의 분출구 부분을 직사각형으로 절개한 부분 절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타공시 잔여물이 형성된 분출구를 갖는 식물재배용 분수 호스는 분출구의 내벽을 따라 소정의 개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는 다양한 방식으로 분출구의 내벽에 형성할 수도 있으나, 타공펀치 등의 타공수단을 이용한 분출구의 타공시 타공수단의 말단 타공부에 소정의 형태 변형을 가하여 타공수단이 완전히 호스 기재를 완전히 눌렀을 때에도 호스 기재의 말단부에 일부 뚫리지 않은 잔여물(Burr)이 남도록 형성하는 것이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일 것이다. 실제의 타공시의 잔여물의 형태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a)는 분출구의 형태를 원형으로 타공한 경우 분출구 내벽에 잔여물이 형성된 모습이고, 도 4(b)는 분출구의 형태를 삼각형으로 타공한 경우 분출구 내벽에 잔여물이 형성된 모습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타공시 잔여물은 호스의 두께보다 훨씬 가늘게 형성되어 분출구를 통하여 호스 내부 공간의 물이 외부로 분출되는 수압에 의하여 어느 정도 휘어지거나 떨리게 된다. 이러한 휘어짐과 떨림 현상은 물줄기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효과를 주어 서로 충돌되는 물줄기의 분산 효과를 더 강화시키게 된다.FIG. 1 is a partial cutaway view of a fountain hose for a plant cultivation having an ejection port formed with a remnant at the time of borehole according to tw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fountain hose for plant cultivation having an ejection port formed with a remnant at the time of perfo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edetermined number of protrusions forme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ejection port. The projections may be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jet port in various manners. However, when the jet port is fully pushed into the end tread of the perforating means by the perforation means such as a perforation punch or the like, It may be simple and effective to form such that there remains a partially unburied residue (Burr) at the distal end of the hose base. The form of the remainder of the actual disclosure is shown in FIG. FIG. 4 (a)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remnant is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jet port when the jet port is circularly shaped, and FIG. 4 (b) is a view showing a remnant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jet port when the jet port is triangularly shaped. The remaining pores formed during the piercing are formed to be much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hose so that the water in the inner space of the hose is bent or shaken to some extent by the water pressure externally discharged through the air outlet. This warping and trembling effect has the effect of reversing the direction of the water stream, which further strengthens the dispersing effect of the water stream that collides with each other.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상기 분출구(110)의 형태는 원형 또는 정삼각형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필요에 따라 적절한 형태를 선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분출구를 원형이나 삼각형으로 제작하는 것이 제조가 단순하면서도 잔여물(120)과 함께 형성될 때에 원하는 분출구(110)의 형태를 보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1 again, the shape of the air outlet 110 is circular or equilateral, bu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an appropriate shape may be selected as necessary. However, it is desirable that the jet port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or a triangular shape because it is advantageous in that the shape of the jet port 110 can be preserved when the jet port 110 is formed with the remainder 120 while the manufacturing is simple.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분수 호스는 호스(100)의 내부 공간(104)의 물을 호스(100)의 외부 공간으로 분출하기 위하여 상기 호스(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된 분출구(110)의 내벽(112)에 상기 분출구(110)의 내벽(112)으로부터 적어도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분출구 타공시의 잔여물(120)이 다수 개가 분포하도록 분출구가 형성되어 있다.That is,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ractional h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se 100 in order to jet the water in the inner space 104 of the hose 100 to the outer space of the hose 100 The air outlets are formed in the inner wall 112 of the formed air outlets 110 so as to distribute a plurality of air outlets 120 formed in at least the horizontal direction extending from the inner wall 112 of the air outlets 110.

도 2를 참조하면, 분출구 타공시의 잔여물(120)은 분출구의 내벽(112)에 대하여 분출구의 중심 방향으로 서로 상이한 길이를 갖도록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의미 있는 길이를 갖는 잔여물로서 3개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복수의 다양한 형태의 잔여물들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 plurality of remainders 120 may be formed on the inner wall 112 of the air outlet so as to have different lengths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air outlet. In the drawing, three are shown as residues having a meaningful length,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plurality of various types of residues can be formed.

바람직하게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줄기의 충돌 및 간섭에 의한 분산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분출구 타공시의 잔여물(120)의 적어도 2개 이상은 상기 내벽(112)으로부터 연장된 길이(l)가 상기 분출구(110)의 장폭(L)의 1/5 내지 1/2 사이에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범위에 있는 타공시의 잔여물(120)의 개수는 5개 이하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더 많은 개수의 잔여물의 형성은 분출구를 통한 물의 분출을 막게 되어 효과적인 충돌 및 간섭에 의한 분산 효과를 상쇄시키게 될 것이므로 바람직하지 않을 것이다.Preferably, as shown in Figure 2 (b), at least two or more of the remainder of the dispensing tip dispenser (120) extend from the inner wall (112) in order to increase the dispersion effect due to water collision and interference. (1) is between 1/5 and 1/2 of the length (L) of the jet port (110). However, it is desirable that the number of the remaining disclosures 120 in this range is not more than five. The formation of a greater number of residues would be undesirable as it would prevent the water from spitting through the spout and would counteract the effect of dispersion by effective impact and interference.

또한, 도 2(a)를 참조하면, 분출구 타공시의 잔여물(120)이 호스의 두께보다 매우 가늘게 형성되고, 또한 호스(100)의 외면(103)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호스(100)의 내면(101)에 인접한 영역에 분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분포는 분출구(110) 내에서 물줄기의 충돌 및 간섭이 일어나서 분출구(110) 내에서 분산 효과가 발생하여 호스의 외부 공간으로 물이 넓게 분산되어 분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호스의 내부 공간에서 어떠한 충돌도 없던 물이 잔여물(120)을 거쳐 분출구(110)로 진입하면서 물의 진행 방향이 비틀리면서 분출구(110) 내에서 충돌 및 간섭을 일으키게 되고 이러한 충돌 및 간섭에 의하여 분출구(110)를 벗어나자마자 매우 넓게 분산되어 분출될 수 있다. 도 3(b)에 이러한 물줄기의 충돌 및 간섭 현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종래의 호스의 분출구 구조인 도 3(a)와 비교하여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물의 분산범위가 매우 확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2 (a), the remainder 120 of the dispensing tip seal is formed to be much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hose,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103 of the hose 10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se 100 (101). This distribution is for the purpose of causing a water stream to collide and interfere within the jet port 110 and to cause a dispersion effect in the jet port 110 to disperse and spread the water to the external space of the hose. That is, the water, which has no collision in the inner space of the hose, enters the jetting port 110 through the remainder 120 and collides and interferes in the jetting port 110 while the water advances in the direction of the water. So that it can be dispersed very widely and ejected as soon as it leaves the jet port 110. Fig. 3 (b) schematically shows the collision and interference phenomenon of such water streams. It can be seen that the dispersion range of water ejected from the ejection port is greatly expand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ejection opening structure of the hose shown in FIG. 3 (a).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에서 상기 분출구 타공시의 잔여물(120) 중에서 물줄기의 충돌 및 간섭에 기여할 수 있는 길이의 잔여물은 상기 호스(100)의 내면(101)과 상기 내벽(112)의 높이의 1/3 사이에 분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Preferab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mainder of the length of the remainder of the spout (120) that contributes to the collision and interference of the stream is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inner surface (101) of the hose (100) / RTI > of the < / RTI >

도 5는 종래의 호스와 본 고안에 따른 호스의 분출구에서 물이 분출되는 모습을 대비하여 촬영한 사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분수 호스에서 물의 분사범위가 매우 확장되어 물이 분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호스에서와 같이 분사범위를 확장하기 위하여 호스에 분출구의 개수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고, 분출구의 개수가 줄어들면 긴 호스의 길이를 따라 분포하는 모든 분출구에서 거의 유사한 크기의 수압으로 물이 분출될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식물에 관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분출되는 물은 충돌 영역에서의 충돌에 의하여 충분히 분산되어 분출구를 통과하면서부터 입자가 매우 미세하고 고르게 형성되어 식물에 낙하하면서 식물의 잎에 충격을 주어 잎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IG. 5 is a photograph taken in contrast to a conventional hose and a state in which water is ejected from an air outlet of a ho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it can be seen that the spraying range of water in the fountain ho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greatly expanded, and water is sprayed.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jetting ports in the hose in order to expand the jetting range as in the conventional hoses. If the number of jetting ports is reduced, water is discharged at almost the same water pressure at all jetting ports distributed along the length of the long hose It can be effectively sprayed on the plant. In addition, the jetted water is sufficiently dispersed by the collision in the impact region, and the particles are very fine and uniformly formed while passing through the jetting port,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leaf by impacting the leaf of the plant while falling on the plant .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사항은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본 고안의 내용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며, 다양한 변형실시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not.

100: 호스 101: 호스의 내면
103: 호스의 외면 104: 호스의 내부 공간
110: 분출구 112: 분출구의 내벽
120: 분출구 타공시의 잔여물
100: Hose 101: Inner surface of the hose
103: outer surface of the hose 104: inner space of the hose
110: jet port 112: inner wall of the jet port
120: Remnant of the spout

Claims (3)

호스(100)의 내부 공간(104)의 물을 호스(100)의 외부 공간으로 분출하기 위하여 상기 호스(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된 분출구(110)의 내벽(112)에 상기 분출구(110)의 내벽(112)으로부터 상기 분출구(110)의 중심부를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분출구 타공시의 잔여물(120)이 다수 개가 분포하도록 분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분출구 타공시의 잔여물(120)은 타공수단에 의하여 호스를 타공하여 분출구를 형성할 때에 호스 기재의 하단부가 완전히 뚫리지 않도록 잔여시킨 잔여물(Burr)로서, 외부로 분출되는 물의 수압에 의하여 끝단이 휘어지거나 떨릴 수 있는 연성 재질이고,
상기 분출구 타공시의 잔여물(120)은 상기 호스(100)의 외면(103)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호스(100)의 내면(101)에 인접한 영역에 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시 잔여물이 형성된 분출구를 갖는 식물재배용 분수 호스.
The inner wall 112 of the air outlet 110 formed at an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se 100 is provided in the inner wall 112 of the inner space 104 of the hose 100 so as to eject water into the outer space of the hose 100, An air outlet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a plurality of remainders 120 of the air outlet extending from the inner wall 112 of the air outlet 110 toward the central portion of the air outlet 110 are horizontally distributed,
The remainder (120) of the jetting hole is a residue (Burr) that is left so as to prevent the lower end of the hose base from completely penetrating when the hose is pierced by the perforation means to form the jet port, Is a flexible material capable of bending or shaking,
Wherein the remainder of the dispensing opening is distributed in an area spac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hose and adjacent the inner surface of the hose. Fountain hose for plant cultivation with an outl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출구 타공시의 잔여물(120)의 적어도 2개 이상은 상기 내벽(112)으로부터 연장된 길이가 상기 분출구(110)의 장폭의 1/5 내지 1/2 사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시 잔여물이 형성된 분출구를 갖는 식물재배용 분수 호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two or more of the remainders (120) of the dispenser dispenser are extended from the inner wall (112) to between 1/5 and 1/2 of the length of the dispenser (110) Fountain hose for plant cultivation with an outlet with a residue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출구 타공시의 잔여물(120)은 상기 호스(100)의 내면(101)과 상기 내벽(112)의 높이의 1/3 사이에 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시 잔여물이 형성된 분출구를 갖는 식물재배용 분수 호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mainder of the air outlet opening is distributed between one third of the height of the inner surface (101) of the hose (100) and the inner wall (112) Fountain hose for plant cultivation.
KR2020160006883U 2016-11-28 2016-11-28 Sprinkler Hose for Plant Cultivation with Burr Formed Discharge Hole KR20170000208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883U KR20170000208U (en) 2016-11-28 2016-11-28 Sprinkler Hose for Plant Cultivation with Burr Formed Discharge Ho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883U KR20170000208U (en) 2016-11-28 2016-11-28 Sprinkler Hose for Plant Cultivation with Burr Formed Discharge Hol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4526U Division KR200487293Y1 (en) 2015-07-06 2015-07-06 Sprinkler Hose for Plant Cultivation with Burr Formed Discharge Ho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208U true KR20170000208U (en) 2017-01-16

Family

ID=57963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883U KR20170000208U (en) 2016-11-28 2016-11-28 Sprinkler Hose for Plant Cultivation with Burr Formed Discharge Ho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0208U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1094Y1 (en) 2004-03-03 2004-05-22 신광순 Fountain hose outlet for crop water supp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1094Y1 (en) 2004-03-03 2004-05-22 신광순 Fountain hose outlet for crop water supp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8546Y1 (en) Rotational Ejecting Sprinlker Hose for Plant Cultivation
KR200478547Y1 (en) Rotational Ejecting Irrigation Hose for Agriculture Including Band-Type Water Controller
CA2623056C (en) Multiple discharge orifice spray nozzle
CA2571066A1 (en) Spray nozzle for a dishwasher
KR101665289B1 (en) Spray angle adjustable nozzle for speed sprayer
USRE30003E (en) Low drift spray method
KR101998977B1 (en) Drip Irrigation Hose With Radial Structured Barrier
US20190381521A1 (en) Rotating ejection type oozing hose for plant cultivation
KR200487293Y1 (en) Sprinkler Hose for Plant Cultivation with Burr Formed Discharge Hole
KR20170000208U (en) Sprinkler Hose for Plant Cultivation with Burr Formed Discharge Hole
KR101804680B1 (en) Sprinkler Hose for Plant Cultivation
CN201049322Y (en) Water paint spraying nozzle
US3948444A (en) Low drift spray method
KR200465869Y1 (en) Water dispenser
US11453016B2 (en) Stacked pre-orifices for sprayer nozzles
KR200479367Y1 (en) Irrigation Hose
KR101981495B1 (en) Fog drip
CA3073033C (en) Stacked pre-orifices for sprayer nozzles
US545656A (en) Nozzle for garden-hose
CN202290357U (en) Spiral brine spraying device
RU2794357C1 (en) Sprinkler deflector nozzle
JP7378860B1 (en) watering hose
CN215030156U (en) Spray head
KR20230168372A (en) Water pipe with extended ejection distance
CN217067496U (en) Water curtain type spray head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