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135A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user-friendly exhibition in the iot environment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user-friendly exhibition in the iot environ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135A
KR20170000135A KR1020150088944A KR20150088944A KR20170000135A KR 20170000135 A KR20170000135 A KR 20170000135A KR 1020150088944 A KR1020150088944 A KR 1020150088944A KR 20150088944 A KR20150088944 A KR 20150088944A KR 20170000135 A KR20170000135 A KR 20170000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works
terminal
exhibi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89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22200B1 (en
Inventor
김영규
김인환
Original Assignee
주성건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건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성건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8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2200B1/en
Publication of KR20170000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1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2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method for providing an exhibition work in an IoT environment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of: allowing a user to receiv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esent in an exhibition center, through a smart phone; outputting a plurality of works including a stamp in a display of the smart phone or outputting descriptions with respect to the works a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generating the outputted works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scriptions with respect to the works by an electronic catalog; and displaying the generated electronic catalog and transmitting the electronic catalog by a file or outputting the electronic catalog through a printer.

Description

IoT환경에서 고객 중심의 전시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USER-FRIENDLY EXHIBITION IN THE IOT ENVIRONMENT}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USER-FRIENDLY EXHIBITION IN THE IOT ENVIRONMENT [0002]

아래의 설명은 IoT 기반의 고객 중심의 전시장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following descrip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oT based customer centered exhibition hall service.

종래에 전시관, 미술관, 또는 박람회 등의 장소에서 사용자가 전시된 작품 또는 사업 결과물을 관람하기 위해서는 작품 등에 대한 설명서를 읽거나, 카탈로그를 가지고 다니며 정보를 습득하였다. 그리고 전시관은 큐레이터 또는 가이드의 직접 안내 또는 중앙 및 각 전시관별 안내방송이 제공해 왔다. 그런데, 이는 원하는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가이드 시작 시점을 정확하게 맞추어 미술관 및 각 전시장을 방문해야 하는 불편함과 함께 원거리에서 이용할 경우 청취 및 내용의 정확한 이해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view a work or a business result displayed at a place such as a pavilion, a museum, or a fair, the user has read the manual about the work, or carried the catalog and acquired the information. The exhibition hall has been provided with direct guidance of the curator or guide or announcement by the center and each exhibition hall. However,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inconvenient to visit museums and exhibition halls precisely adjusting the starting point of the guide in order to acquire the desired information, and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contents and listening when used at a distance.

또한 인터넷을 통하여 미술관의 홈페이지에 접속, 전시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나 이는 일반적으로 인터넷이 가능한 PC와 인터넷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가 구비되어 있는 한정적인 조건 하에서만 이용이 가능하며 또한 전시장에서 작품을 직접 관람하면서 작품과 관련 전시 정보간의 일대일 매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정보를 열람하는 것이 곤란한 점이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access the museum's homepage through the internet and view the exhibition information, but it can be used only under limited conditions, which generally includes a PC for Internet access and a network for internet communication, It is difficult to read information in real time through a one-to-one match between the work and related exhibition information.

이에 따라 작품 중심, 전시 중심의 관람 서비스로부터 소통 중심 고객 중심의 관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 technique for providing a viewing service centered on a communication center from an exhibition-oriented viewing service.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24524호는 전시시설물에 대한 정보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습니다.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6-0024524 discloses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exhibition facilities.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스마트 기기에 작품 및 작품에 대한 설명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의 관람 서비스를 제공한다.A display art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provides a user-centered viewing service by outputting descriptions of works and works to a smart device.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고유의 전자 카탈로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자 카탈로그 및 스탬프를 파일로 전송하거나 프린트로 출력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The exhibition art supply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provides a method of generating a user's own electronic catalog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electronic catalog and stamp to a file or outputting it as a print.

일 실시예에 따르면, IoT 환경에서 전시 작품을 제공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스마트 폰을 통하여 전시장에 존재하는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스마트 폰의 디스플레이에 스탬프가 포함된 복수의 작품을 출력하거나 상기 작품에 대한 설명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작품 및 상기 작품에 대한 설명과 관련된 정보들을 전자 카탈로그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전자 카탈로그를 표시하되, 상기 전자 카탈로그를 파일로 전송하거나 프린트로 출력하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method of providing a display work in an IoT environment includes: recei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exists in an exhibition hall through a smartphone; Outputting a plurality of works including a stamp on a display of the smartphone upon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outputting a description of the work; Genera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output work and the description of the work as an electronic catalog; And displaying the generated electronic catalog, wherein the electronic catalog is provided as a file or a printout.

일측에 따르면,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스마트 폰으로부터 상기 전시장에 부착된 NFC를 태깅(Tagging)하여 수신되거나, 상기 스마트 폰으로부터 상기 전시장에 존재하는 비콘(Beacon)에 근접시킴으로써 식별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being received by tagging the NFC attached to the exhibition hall from the smartphone or being identified from the smart phone by proximity to a beacon present in the exhibition hall have.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스마트 폰의 디스플레이에 스탬프가 포함된 복수의 작품을 출력하거나 상기 작품에 대한 설명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전시장에 부착된 복수의 NFC 태그를 태깅(Tagging)함에 따라 상기 작품의 정보 또는 상기 전시장의 식별 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복수의 작품들에 대하여 단일의 그룹으로 생성하고 1장의 사진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outputting a plurality of works including a stamp to the display of the smartphone upon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outputting a description of the work may include a plurality of NFC tags attached to the exhibition hall Extracting the information of the work o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xhibition hall according to tagging, and then generating a single group of the plurality of works and providing the same as a single photograph.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스마트 폰의 디스플레이에 스탬프가 포함된 복수의 작품을 출력하거나 상기 작품에 대한 설명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전시장에 존재하는 비콘을 통하여 기설정된 범위 이내에 상기 스마트 폰이 감지되면, 수신된 비콘 정보와 연관된 작품에 대한 동영상 설명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outputting a plurality of works including a stamp to the display of the smartphone upon receipt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outputting a description of the work may include the steps of: And if the smartphone is detected within the range, providing a video description of the work associated with the received beacon information.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스탬프가 포함된 복수의 작품을 출력하거나 상기 작품에 대한 설명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비콘을 통하여 기설정된 범위 이내에 상기 단말이 감지되면, 수신된 비콘 정보와 연관된 카메라에서 자동으로 사진을 찍어 상기 단말로 전송하거나, 상기 단말로 네트워크 카메라와 연결되어 원하는 사진을 찍을 수 있는 IoT 환경에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사진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outputting a plurality of works including a stamp to the display of the terminal upon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outputting a description of the work may include: If it is detected, automatically taking a picture from the camera associated with the received beacon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it to the terminal, or automatically or manually providing a photograph in an IoT environment in which th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network camera and can take a desired picture can do.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출력된 작품 및 상기 작품에 대한 설명과 관련된 정보들을 전자 카탈로그로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카탈로그를 생성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고유의 카탈로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genera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output work and the description of the work as an electronic catalog may include providing an interface for generating the electronic catalog, And generating the user-specific catalog based on the generated catalog.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출력된 작품 및 상기 작품에 대한 설명과 관련된 정보들을 전자 카탈로그로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카탈로그에 포함되는 작품들의 개수, 상기 작품들의 사이즈, 상기 작품들의 배치 조절, 이미 제작된 카탈로그로부터 어느 하나의 작품을 다른 작품으로 대체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고유의 카탈로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generating information on the output work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scription of the work as electronic catalogs includes the steps of: determining the number of works included in the catalog, the size of the works, Providing an interface for replacing any one work with another work from the catalog and generating the user's own catalog based on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interface.

일 실시예에 따르면, IoT 환경에서 전시 작품을 제공하는 시스템은, 사용자가 스마트 폰을 통하여 전시장에 존재하는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스마트 폰의 디스플레이에 스탬프가 포함된 복수의 작품을 출력하거나 상기 작품에 대한 설명을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출력된 작품 및 상기 작품에 대한 설명과 관련된 정보들을 전자 카탈로그로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전자 카탈로그를 표시하되, 상기 전자 카탈로그를 파일로 전송하거나 프린트로 출력하도록 제공하는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system for providing a display work in an IoT environment includes: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exists in an exhibition hall through a smartphone; An output unit outputting a plurality of works including a stamp on a display of the smartphone upon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outputting a description of the work; A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output work and the description of the work in an electronic catalog; And a providing unit displaying the generated electronic catalog, wherein the providing unit provides the electronic catalog as a file or a printout.

일측에 따르면,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스마트 폰으로부터 상기 전시장에 부착된 NFC를 태깅(Tagging)하여 수신되거나, 상기 스마트 폰으로부터 상기 전시장에 존재하는 비콘(Beacon)에 근접시킴으로써 식별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received by tagging the NFC attached to the exhibition hall from the smartphone, or may be identified from the smart phone by approximating the beacon existing in the exhibition hall.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전시장에 부착된 복수의 NFC 태그를 태깅(Tagging)함에 따라 상기 작품의 정보 또는 상기 전시장의 식별 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복수의 작품들에 대하여 단일의 그룹으로 생성하고 1장의 사진으로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 unit extracts the information of the work o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xhibition hall by tagging a plurality of NFC tags attached to the exhibition site, And can be provided as a single picture.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전시장에 존재하는 비콘을 통하여 기설정된 범위 이내에 상기 스마트 폰이 감지되면, 수신된 비콘 정보와 연관된 작품에 대한 동영상 설명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martphone is detec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rough a beacon existing in the exhibition hall, the output unit may provide a video description of the work associated with the received beacon information.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생성부는, 상기 전자 카탈로그를 생성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고유의 카탈로그를 생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generating unit may provide an interface for generating the electronic catalog, and may generate the user's own catalog based on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interface.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생성부는, 상기 카탈로그에 포함되는 작품들의 개수, 상기 작품들의 사이즈, 상기 작품들의 배치 조절, 이미 제작된 카탈로그로부터 어느 하나의 작품을 다른 작품으로 대체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고유의 카탈로그를 생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neration unit may provide an interface such that the number of works included in the catalog, the size of the works, the arrangement of the works, , And may generate the user's own catalog based on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interface.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스마트 기기를 통하여 NFC 태그 또는 비콘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수신된 정보와 관련된 작품에 대하여 한장의 사진으로 출력하고, 작품에 대한 설명 동영상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의 관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exhibition art present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receives NFC tags or beacon information through a smart device, outputs a piece of artwork related to the received information, and provides the artwork as a description animation of the artwork, Can be provided.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전자 카탈로그를 생성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고유의 전자 카탈로그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전자 카탈로그 및 스탬프를 파일로 전송하거나 프린트로 출력할 수 있다.
The exhibition art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can generate an electronic catalog specific to a user by providing an interface for generating an electronic catalog, and can transmit the generated electronic catalog and stamp to a file or print it out.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의 개괄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에서 작품 정보와 스탬프를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에서 작품과 관련된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에서 홀로그램 영상 및 기념 촬영을 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에서 관람 지도 및 운동량을 측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에서 SNS에 실시간으로 업로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에서 전자 카탈로그를 생성하고 스탬프를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의 전시 작품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utline operation of a display art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art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view for explaining providing work information and a stamp in the exhibition work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providing a moving picture related to a work in the exhibition work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hologram image and a commemorative photographing in the exhibition art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how to measure a viewing map and a momentum in the exhibition art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uploading to the SNS in real time in the exhibition art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how an electronic catalog is generated and a stamp is output in the exhibition art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display work in a display work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의 개괄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utline operation of a display art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100)과 사용자 단말(110)은 네트워크(120)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또는 더 적은 컴포넌트들, 커넥션들 및 상호 작용들을 포함할 수 있다. The exhibition work providing system 100 and the user terminal 110 can send and receive data through the network 120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network can include more or fewer components, Interactions. ≪ / RTI >

네트워크(120)는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들, 컴퓨터들, 서버들, 각종 장치들 간의 통신 링크들을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매체일 수 있다. 네트워크(120)는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100)과 사용자 단말(110)이 서로 통신하기 위하여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Internet Protocol) 프로토콜 스위트(suite of protocols)를 사용하는 네트워크들 및 게이트웨이들의 월드와이드 컬렉션을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네트워크(120)는 인트라넷, LAN(local area network) 또는 WAN(wide area network)을 포함하거나 또는 그 일부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네트워크(120)는 인터넷의 일부일 수 있다.The network 120 may be a medium used to provide communication links between data processing systems, computers, servers, and various devices. The network 120 is a network of networks and gateways that use the TCP / IP suite of protocols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exhibit work providing system 100 and the user terminal 110, You can represent collections. In some instances, the network 120 may include or be part of an intranet, a local area network (LAN), or a wide area network (WAN). In some instances, the network 120 may be part of the Internet.

사용자 단말(110)은 PC, 노트북,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 등으로,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100)과 관련된 웹/모바일 사이트의 접속 또는 서비스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실행이 가능한 모든 단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10)은 웹/모바일 사이트 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제어 하에 서비스 화면 구성, 데이터 입력, 데이터 송수신, 데이터 저장 등 서비스 전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10 may be connected to a web / mobile site related to the exhibition work providing system 100 or a service dedicated application (e.g., a mobile phone) Can be installed and executed. 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110 can perform service-wide operations such as service screen configuration, data input,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nd data storage under the control of a web / mobile site or a dedicated application.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100)은 전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시 작품 플랫폼 상에 구현될 수 있으며, 전시 서비스를 이용하는 클라이언트(client)인 사용자 단말(110)을 대상으로 전시장의 작품 및 작품에 대한 설명을 제공받을 수 있다.The exhibition work providing system 100 may be implemented on a display work platform providing an exhibition service, and a description of works and works of the exhibition hall may be provided to a user terminal 110, which is a client using a display service Can receive.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100)은 전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시 작품 제공 서버(미도시)의 플랫폼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시 작품 제공 서버와 별개의 시스템으로 구축되어 전시 작품 제공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전시장의 작품 작품에 대한 설명을 제공받는 형태로 구현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그리고,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100)은 적어도 일부의 구성 요소가 사용자 단말(110) 상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되거나, 혹은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The exhibition work providing system 100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of being included in a platform of a exhibition work providing server (not shown) for providing exhibition servic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nstructed as a separate system from the exhibition work providing server,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description of the work of the exhibition space through the linkage with the work providing server. In addition, the exhibition work providing system 100 may be implemented in an application form in which at least some components are installed on the user terminal 110, or in a form included in a platform that provides a service in a client-server environment It is also possible.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art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실시예에 따른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200)은 프로세서(210), 버스(2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 메모리(240) 및 데이터베이스(25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40)는 운영체제(241) 및 서비스 제공 루틴(24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수신부(211), 출력부(212), 생성부(213) 및 제공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200)은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The exhibition art supply system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processor 210, a bus 220, a network interface 230, a memory 240, and a database 250. The memory 240 may include an operating system 241 and a service providing routine 242. The processor 210 may include a receiving unit 211, an output unit 212, a generating unit 213, and a providing unit 214. In other embodiments, the exhibit offering system 200 may include more components than the components of FIG. However, there is no need to clearly illustrate most prior art components.

메모리(24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40)에는 운영체제(241)와 서비스 제공 루틴(242)을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 미도시)을 이용하여 메모리(24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메모리(240)에 로딩될 수도 있다.The memory 240 may b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may include a permanent mass storage device such as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read only memory (ROM), and a disk drive. Also, the memory 240 may store program codes for the operating system 241 and the service providing routine 242. [ These software components may be loaded from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eparate from the memory 240 using a drive mechanism (not shown). Such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not shown) such as a floppy drive, a disk, a tape, a DVD / CD-ROM drive, or a memory card. In other embodiments, the software components may be loaded into the memory 240 via the network interface 230 rather than from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버스(220)는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200)의 구성요소들간의 통신 및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버스(220)는 고속 시리얼 버스(high-speed serial bus), 병렬 버스(parallel bus), SAN(Storage Area Network) 및/또는 다른 적절한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bus 220 may enable communication and data transfer between components of the exhibit offering system 200. The bus 220 may be configured using a high-speed serial bus, a parallel bus, a Storage Area Network (SAN), and / or other suitable communication technology.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는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200)을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컴퓨터 하드웨어 구성요소일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는, 이더넷 카드와 같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광학 송수신기,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 혹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의 다른 예들은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들 및 USB 내의 블루투스(Bluetooth), 3G 및 WiFi 등을 포함하는 무선기기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컴퓨팅 디바이스는, 서버, 모바일 폰, 혹은 다른 네트워크화된 컴퓨팅 디바이스와 같은 외부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를 사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는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300)을 무선 또는 유선 커넥션을 통해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시킬 수 있다.The network interface 230 may be a computer hardware component for connecting the exhibit offering system 200 to a computer network. The network interface 230 may be a network interface card such as an Ethernet card, an optical transceiver, a radio frequency transceiver, or any other type of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Other examples of such network interfaces may be mobile computing devices and wireless devices including Bluetooth, 3G and WiFi within USB. In some instances, the computing device may use the network interface 230 to wirelessly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server, mobile phone, or other networked computing device. The network interface 230 may connect the exhibit art presentation system 300 to the computer network via a wireless or wired connection.

데이터베이스(250)는 전시장 내의 작품에 대한 정보 등을 관리하기 위하여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저장 및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50)는 NFC 에 작품 및 전시장의 정보, 비콘에 작품에 대한 설명을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이동 경로, 전자 카탈로그에 포함되는 작품, 이동경로, 설명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도 2에서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200)의 내부에 데이터베이스(250)를 구축하여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스템 구현 방식이나 환경 등에 따라 생략될 수 있고 혹은 전체 또는 일부의 데이터베이스가 별개의 다른 시스템 상에 구축된 외부 데이터베이스로서 존재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The database 250 may store and maintain all information necessary for managing information on works in the exhibition hall. The database 250 may store the description of the work in the NFC, the information of the exhibition space, and the beacon, and may store the movement path of the user, the work included in the electronic catalog, the travel path, and the description. Although the database 250 is shown as being built in the exhibit work providing system 200 in FIG. 2,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omitted depending on the system implementation method or environment, It is also possible to exist as an external database built on a separate, separate system.

프로세서(21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200)의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4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에 의해, 그리고 버스(220)를 통해 프로세서(210)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수신부(211), 출력부(212), 생성부(213) 및 제공부(214)를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는 메모리(24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The processor 210 may be configured to process instructions of a computer program by performing basic arithmetic, logic, and input / output operations of the exhibit work system 200. The instructions may be provided by the memory 240 or the network interface 230 and to the processor 210 via the bus 220. The processor 210 may be configured to execute program codes for the receiving unit 211, the output unit 212, the generating unit 213, and the providing unit 214. [ Such program code may be stored in a recording device such as memory 240. [

수신부(211)는 사용자가 스마트 폰을 통하여 전시장에 존재하는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The receiving unit 211 can receiv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exists in the exhibition hall through the smartphone.

출력부(212)는 식별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스마트 폰의 디스플레이에 스탬프가 포함된 복수의 작품을 출력하거나 작품에 대한 설명을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12)는 전시장에 포함된 복수의 NFC 태그를 태깅(Tagging)함에 따라 작품의 정보 또는 전시장의 식별 정보를 추출한 후, 복수의 작품들에 대하여 단일의 그룹으로 생성하고 1장의 사진으로 제공할 수 있다. 출력부(212)는 전시장에 존재하는 비콘을 통하여 기설정된 범위 이내에 스마트 폰이 감지되면, 수신된 비콘 정보와 연관된 작품에 대한 동영상 설명을 제공할 수 있다. 출력부(212)는 비콘을 통하여 기설정된 범위 이내에 상기 단말이 감지되면, 수신된 비콘 정보와 연관된 카메라에서 자동으로 사진을 찍어 상기 단말로 전송하거나, 상기 단말로 네트워크 카메라와 연결되어 원하는 사진을 찍을 수 있는 IoT 환경에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사진을 제공할 수 있다. Upon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output unit 212 may output a plurality of works including a stamp on a display of a smartphone or output a description of the work. The output unit 212 extracts the information of the work 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xhibition hall by tagging a plurality of NFC tags included in the exhibition hall, and then generates a single group for a plurality of works and provides them as one picture can do. The output unit 212 may provide a video description of the work associated with the received beacon information if the smartphone is detec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rough a beacon present in the exhibition hall. When the terminal is detected within a preset range through the beacon, the output unit 212 automatically takes a picture from the camera associated with the received beacon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terminal, or connects the terminal to the network camera to take a desired picture You can provide pictures automatically or manually in an IoT environment.

생성부(213)는 출력된 작품 작품에 대한 설명과 관련된 정보들을 전자 카탈로그로 생성할 수 있다. 생성부(213)는 전자 카탈로그를 생성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고유의 카탈로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부(213)는 카탈로그에 포함되는 작품들의 개수, 작품들의 사이즈, 작품들의 배치 조절, 이미 제작된 카탈로그로부터 어느 하나의 작품을 다른 작품으로 대체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고유의 카탈로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generating unit 213 may generate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scription of the output work, as an electronic catalog. The generating unit 213 provides an interface for generating an electronic catalog, and can generate a user's own catalog based on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interface. The generation unit 213 provides an interface for allowing the number of works included in the catalog, the size of the works, the arrangement of the works, the ability to replace one work with another from the already-produced catalog, It is possible to create a catalog unique to the user based on the information.

제공부(214)는 생성된 전자 카탈로그를 표시하되, 전자 카탈로그를 파일로 전송하거나 프린트로 출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The providing unit 214 may display the generated electronic catalog, and may provide the electronic catalog to a file or print out.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에서 작품 정보와 스팸프를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 is a view for explaining providing work information and spam in the exhibition art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IoT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사용자 중심의 전시 작품을 제공할 수 있다. 사물 인터넷(IoT)은 모든 사물(예를 들면, IoT 장치)이 인터넷에 연결되어 외부에서 사물을 제어할 수 있는 기술로서, 단방향 통신을 통하여 사람의 조작으로 가전제품, 전자기기뿐만 아니라 헬스케어, 원격 검침, 스마트 폰, 스마트 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물을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사물 인터넷은 센서를 통하여 유형 사물과 주위 환경으로부터 정보를 바탕으로 사물간 대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The exhibition presenting system can provide user-oriented exhibition works to the users in the IoT environment. Internet (IoT) is a technology that allows all objects (for example, IoT devices) to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to control things from the outside. It is a one-way communication that enables people to operate not only household appliances and electronic devices but also healthcare, You can share information by networking objects in various fields such as remote meter reading, smart phone, and smart car. The object Internet can be used for conversation between objects based on information from typed objects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rough sensors.

사물 인터넷에서 사물끼리 통신을 하기 위하여 사물끼리 통신을 주고 받을 수 있는 통로, 사물끼리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언어가 필요한데, 예를 들면,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IoT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 기술을 활용하여 사물간 온도, 습도, 위치 등과 같은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Objects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on the Internet, it is necessary to use a common language for object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For example, sensing technology,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and network infrastructure, IoT service interface technology And can use this technology to exchange information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location, etc. between objects

사용자는 전시장(350)에서 사용자 단말(330), 예를 들면, 스마트 폰을 통하여 전시장에 부착된 작품(310)과 관련된 NFC 태그(320)를 태깅할 수 있다.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330)로부터 NFC태그(320)가 태깅됨에 따라 태깅된 작품(310)에 대하여 스마트 폰(330)에 스탬프가 찍힌 작품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NFC 태그에는 작품의 정보 또는 전시장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330)로부터 NFC 태그(320)가 태깅됨에 따라 작품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The user may tag the NFC tag 320 associated with the work 310 attached to the exhibition site through the user terminal 330, e.g., a smartphone, at the exhibition site 350. The exhibited work providing system may display a work stamped on the smartphone 330 for the tagged work 310 as the NFC tag 320 is tagged from the user terminal 330. [ At this time, the NFC tag may include information of the work 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xhibition hall, and the NFC tag 320 can be displayed as the tag is tagged from the user terminal 330.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스마트 폰(330)을 통하여 NFC 태그(320)된 복수의 작품들에 대하여 단일의 그룹으로 생성하고 1장의 사진(340)으로 스마트 폰(330)에 표시할 수 있다. The exhibition work providing system can generate a single group of a plurality of works that are NFC tags 320 through the smartphone 330 of the user and display the same on the smartphone 330 with one photo 340.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에서 작품과 관련된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providing a moving picture related to a work in the exhibition work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전시장에 존재하는 비콘(Beacon)을 통하여 기설정된 범위 이내에 사용자 단말이 감지됨에 따라 비콘 정보와 연관된 작품에 대한 동영상 설명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As the user terminal is detec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rough a beacon existing in the exhibition hall, the exhibition art providing system can provide a moving picture description of the work related to the beac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예를 들면, 사용자는 전시장에서 작품(420)에 대한 설명을 보거나 듣기 위하여 전시장에 존재하는 비콘에 스마트 폰(430)을 근접시킬 수 있다. 이때, 비콘은 예를 들면, 30cm~100cm 이내에 존재하는 스마트 폰을 감지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의 작품에 대하여 작품 근처에 비콘이 존재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설명을 획득하고자 하는 작품에 존재하는 비콘에 근접시킴에 따라 원하는 작품에 대한 설명을 획득할 수 있다. 또는, 비콘에 작품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스마트 폰(430)이 감지되었을 경우, 각각의 비콘에 저장되어 있는 작품을 추출하여 해당하는 작품에 대한 설명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수신된 비콘 정보에 기초하여 스마트 폰(430)에 설명을 제공할 수 있으며, 텍스트 위주의 설명, 동영상 설명 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비콘으로부터 스마트 폰(430)이 감지되면, 비콘 정보와 연관된 작품에 대한 동영상 설명(440)을 스마트 폰에 제공하게 된다. For example, a user can bring the smartphone 430 close to a beacon in the exhibition hall to view or hear the description of the work 420 on the exhibition site. At this time, the beacon can detect a smartphone existing within 30 cm to 100 cm, for example. More specifically, for each piece of work, a beacon may be present near the piece of work, and a description of the desired piece of work may be obtained by approximating the beacon existing in the piece of work for which the user intends to acquire the description. Alternatively, when the smartphone 430 is detected by storing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work in the beacon, the work stored in each beacon may be extracted and a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work may be provided. At this time, the exhibition art providing system can provide a description to the smart phone 430 based on the received beacon information, and can output the text-oriented description, moving picture description, and the like. When the smartphone 430 is detected from the beacon, the exhibited work providing system provides the smartphone with a description 440 of the work related to the beacon information.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에서 홀로그램 영상 및 기념 촬영을 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hologram image and a commemorative photographing in the exhibition art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가 보고 듣고 느낀 것을 기록으로 남기고 싶은 것 또는 작가에게 궁금한 점에 대하여 홀로그램 영상을 제공할 수 있고, 홀로그램 영상에 대하여 스마트 폰으로 사진으로 전송할 수 있다. The exhibition work providing system can provide a hologram image to the user who wants to record what he / she has seen, heard, and felt or a question to the artist, and can transmit the hologram image as a photo on a smart phone.

전시장에는 프로젝터(510), 네트워크 카메라(520), 위치 감지 센서(530)가 존재할 수 있으며, 사용자(540)가 전시장에 위치할 경우, 위치 감세 센서로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고, 네트워크 카메라(520)의 프로젝터(510)에서 작가의 홀로그램 영상을 띄우고, 카메라로 사진을 찍어 찍은 사진을 스마트 폰(55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가 홀로그램 영상을 볼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으며, 홀로그램 영상에 대하여 찍힌 사진을 스마트 폰(550)으로도 볼 수 있도록 전송할 수 있다. When the user 540 is located at the exhibition site, the location of the user is recognized by the location reduction sensor, and the network camera 520 (520) The projector 5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play the artist's holographic image and transmit the photograph taken by the camera to the smart phone 550. [ The exhibition work providing system can provide the user with a hologram image to be viewed, and can transmit the photograph taken on the hologram image to the smartphone 550 as well.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에서 관람 지도 및 운동량을 측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how to measure a viewing map and a momentum in the exhibition art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가 작품을 다 보고 왔는지 잘 모르는 경우를 대비하여 실내 위치 측위 기술(LBS)을 이용하여 전시장 관람지도를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치 측위 기술은 AP, Wi-Fi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이 움직인 이동 경로를 파악할 수 있다. In case the user does not know whether or not the user has finished the work, the exhibit providing system can use the indoor location positioning technique (LBS) to create the exhibition map. For example, the location positioning technique can determine the movement path of the user terminal using AP and Wi-Fi.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620)에 사용자가 전시장 내에서 이동한 경로(610)에 대하여 관람 지도로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움직인 이동 경로(610)에 대하여 운동량을 측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스마트 폰(620)에 제공된 관람 지도를 통하여 사용자가 이동한 이동 경로(610)를 파악할 수 있고, 운동 시간, 이동 거리, 칼로리 소비 등이 표시될 수 있다. The exhibition work providing system can provide the user terminal 620 with a viewing map of the route 610 that the user has traveled in the exhibition hall and can measure the momentum with respect to the moving route 610 have. The user can grasp the movement path 610 through which the user has moved through the viewing map provided on the smartphone 620, and can display the exercise time, the moving distance, the calorie consumption, and the like.

또한, 예를 들면,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이동 경로에 대하여 1m 이동 시 1원을 기부할 수 있고, 기부 프로그램과 연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전시장에서 1.3km를 이동함에 따라 네팔 지진 피해 복구를 위한 유니세프에 기부할 수 있다. 스마트 폰에 연동된 기부 프로그램은 기부 참여자, 기부 목표 금액, 현재 기부 금액. 응원 글 달기 등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for example, the exhibited work providing system can donate 1 won when moving 1m with respect to the moving route of the user, and can link with the donation program. As the user moves 1.3 km from the exhibition site, he can donate to UNICEF to recover from the earthquake in Nepal. The donation program linked to the smartphone is the donation participant, the donation target amount, and the present donation amount. And support writing.

도 7을 참고하면,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에서 SNS에 실시간으로 업로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스마트 폰으로 전송된 사진을 실시간으로 SNS(710)에 자동으로 업로드할 수 있다. NFC를 통하여 태깅함으로써 인식된 스탬프가 포함된 복수의 작품들, 복수의 작품들에 대하여 제공된 1장의 사진, 홀로그램 영상 및 기념 촬영, 이동 경로에 대하여 SNS에 업로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it is possible to upload to the SNS in real time in the exhibition art providing system. For example, the exhibited work providing system can automatically upload a photo transmitted to the smart phone to the SNS 710 in real time. A plurality of works including stamps recognized by tagging through NFC, one photograph provided for a plurality of works, a hologram image, a memorial photograph, and a movement route can be uploaded to the SNS.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업로드된 사진을 통하여 더 많은 관객 작가가 소통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고, SNS에 의한 바이럴 마케팅 효과로 더 많은 고객이 전시장에 올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The exhibition art supply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provide more audience artists with communication through uploaded photographs, and can induce more customers to come to the exhibition hall due to viral marketing effect by SNS.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에서 전자 카탈로그를 생성하고 스탬프를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how an electronic catalog is generated and a stamp is output in the exhibition art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출력된 작품 및 작품에 대한 설명과 관련된 정보들에 대하여 전자 카탈로그(810)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전자 카탈로그를 스마트 폰(830)에 표시하되, 전자 카탈로그(810)를 파일로 전송하거나 무선 통신을 통하여 프린트(840)로 출력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전자 카탈로그를 생성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고유의 카탈로그를 생성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The exhibition work providing system can generate the electronic catalog 810 for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scription of the output work and the work. The generated electronic catalog can be displayed on the smartphone 830, and the electronic catalog 810 can be provided as a file or output to the printer 840 via wireless communication. At this time, the exhibition art providing system can provide an interface for generating an electronic catalog, and can provide a user's own catalog to be gener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interface.

예를 들면,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카탈로그에 포함되는 작품들의 개수, 작품들의 사이즈, 작품들의 배치 조절, 이미 제작된 카탈로그로부터 어느 하나의 작품을 다른 작품으로 대체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고유의 카탈로그를 생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exhibition work providing system can provide an interface so that the number of works included in the catalog, the size of the works, the arrangement of works, The user can create a catalog unique to the user based on th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terface.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가 보고, 듣고, 걷고, 찍은 것을 전자 카탈로그에 표시 후 파일로 전송하거나 프린트로 출력할 수 있고, 사용자 고유의 카탈로그(810) 및 스탬프(820)를 제작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시장을 방문한 학생들은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이 제공하는 전자 카탈로그를 통하여 파일 또는 프린트로 출력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시 후 과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한,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전자 카탈로그 및 스탬프 출력을 유료 서비스로 제공할 수 있다. The exhibit work providing system can display, view, listen to, walk on, and take a picture on the electronic catalog, transmit it to a file or output it as a print, and provide it to produce a user's own catalog 810 and a stamp 820 . For example, students who visited the exhibition hall can print out the file or print through the electronic catalog provided by the exhibit providing system, so that the post-exhibition task can be solved. In addition, the exhibit offering system can provide electronic catalog and stamp output as a paid service.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의 전시 작품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display work in a display work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단계(910)에서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스마트 폰을 통하여 전시장에 존재하는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식별 정보란, 스마트 폰으로부터 전시장에 부착된 NFC를 태깅하여 수신되거나, 스마트 폰으로부터 전시장에 존재하는 비콘에 근접시킴으로써 식별될 수 있다. In step 910, the exhibition art presentation system may receive identification information existing on the exhibition hall through the smart phone. At this tim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n be identified by tagging the NFC attached to the exhibition hall from the smart phone, or by approaching to the beacon existing in the exhibition hall from the smart phone.

단계(920)에서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스탬프가 포함된 복수의 작품을 출력하거나 작품에 대한 설명을 출력할 수 있다.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전시장에 부착된 복수의 NFC 태그를 태깅함에 따라 작품의 정보 또는 전시장의 식별 정보를 추출한 후, 복수의 작품들에 대하여 단일의 그룹으로 생성하고, 1장의 사진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전시장에 존재하는 비콘을 통하여 기설정된 범위 이내에 스마트 폰이 감지되면, 수신된 비콘 정보와 연관된 작품에 대한 동영상 설명을 제공할 수 있다. In step 920, the exhibition art presentation system may output a plurality of works including stamps or output a description of the works. The exhibition work providing system extracts the information of the works o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xhibition hall by tagging a plurality of NFC tags attached to the exhibition hall, and then generates a single group for a plurality of works and provides them as one photograph . In addition, if the smartphone is detec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rough a beacon existing in the exhibition area, the exhibition art supply system can provide a video description of the work associated with the received beacon information.

단계(930)에서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출력된 작품 및 작품에 대한 설명과 관련된 정보들을 전자 카탈로그로 생성할 수 있다.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전자 카탈로그를 생성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고유의 카탈로그를 생성할 수 있다.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카탈로그에 포함되는 작품들의 개수, 작품들의 사이즈, 작품들의 배치 조절, 이미 제작된 카탈로그로부터 어느 하나의 작품을 다른 작품으로 대체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고유의 카탈로그를 생성할 수 있다. In step 930, the exhibition art supply system may generate electronic catalogs of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scription of the output work and the work. The exhibition work providing system provides an interface for generating an electronic catalog, and can create a user's own catalog based on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interface. The exhibition work providing system provides an interface for allowing the number of works to be included in the catalog, the size of the works, the arrangement of the works, the ability to replace one work with another from the already produced catalog, You can create your own catalog based on the information.

단계(940)에서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은 전자 카탈로그를 표시하되, 파일로 전송하거나 프린트로 출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In step 940, the exhibit art presentation system may display an electronic catalog, which may be provided as a file or as a printout.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apparatu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hardware component, a software component, and /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components and software components. For example, the apparatu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within a computer system, such as,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a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The processing device may also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the software. For ease of understanding, the processing apparatus may be described as being used singly,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processing apparatus may have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 / As shown in FIG. For example, the processing unit may compris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also possible, such as a parallel processor.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foregoing, and may be configured to configure the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to process it collectively or collectively Device can be commanded. The software and / or data may be in the form of any type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a, or device , Or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ied in a transmitted signal wave.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The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on one or mor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a.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to be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s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For exampl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ques described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s, and / or that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s, structures, devices, circuits, Lt; / RTI > or equivalents, even if it is replaced or replac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13)

IoT 환경에서 전시 작품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단말을 통하여 전시장에 존재하는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스탬프가 포함된 복수의 작품을 출력하거나 상기 작품에 대한 설명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작품 및 상기 작품에 대한 설명과 관련된 정보들을 전자 카탈로그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전자 카탈로그를 표시하되, 상기 전자 카탈로그를 파일로 전송하거나 프린트로 출력하도록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IoT 환경에서 전시 작품 제공 방법.
In a method for providing exhibition works in an IoT environment,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user recei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esent in an exhibition hall through a terminal;
Outputting a plurality of works including a stamp on a display of the terminal upon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outputting a description of the work;
Genera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output work and the description of the work as an electronic catalog; And
Displaying the generated electronic catalog, and providing the electronic catalog as a file or output to a print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전시장에 부착된 NFC를 태깅(Tagging)하여 수신되거나,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전시장에 존재하는 비콘(Beacon)에 근접시킴으로써 식별되는 것
을 포함하는 IoT 환경에서 전시 작품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NFC attached to the exhibition hall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by tagging or is approached from the terminal by approaching a beacon existing in the exhibition hall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스탬프가 포함된 복수의 작품을 출력하거나 상기 작품에 대한 설명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전시장에 부착된 복수의 NFC 태그를 태깅(Tagging)함에 따라 상기 작품의 정보 또는 상기 전시장의 식별 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복수의 작품들에 대하여 단일의 그룹으로 생성하고 1장의 사진으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IoT 환경에서 전시 작품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utputting a plurality of works including a stamp on a display of the terminal upon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outputting a description of the work,
Extracting information of the work 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xhibition hall by tagging a plurality of NFC tags attached to the exhibition hall, creating a single group for the plurality of works and providing the same as one pictur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스탬프가 포함된 복수의 작품을 출력하거나 상기 작품에 대한 설명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전시장에 존재하는 비콘을 통하여 기설정된 범위 이내에 상기 단말이 감지되면, 수신된 비콘 정보와 연관된 작품에 대한 동영상 설명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IoT 환경에서 전시 작품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utputting a plurality of works including a stamp on a display of the terminal upon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outputting a description of the work,
If the terminal is detec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rough a beacon existing in the exhibition hall, providing a video description of the work associated with the received beacon informatio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스탬프가 포함된 복수의 작품을 출력하거나 상기 작품에 대한 설명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비콘을 통하여 기설정된 범위 이내에 상기 단말이 감지되면, 수신된 비콘 정보와 연관된 카메라에서 자동으로 사진을 찍어 상기 단말로 전송하거나, 상기 단말로 네트워크 카메라와 연결되어 원하는 사진을 찍을 수 있는 IoT 환경에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사진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IoT 환경에서 전시 작품 제공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Outputting a plurality of works including a stamp on a display of the terminal upon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outputting a description of the work,
When the terminal is detec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rough the beacon, the camera associated with the received beacon information automatically takes a picture and transmits it to the terminal. Alternatively, the terminal may be connected to a network camera to take a desired picture, Steps to provide photos automatically or manually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된 작품 및 상기 작품에 대한 설명과 관련된 정보들을 전자 카탈로그로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카탈로그를 생성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고유의 카탈로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IoT 환경에서 전시 작품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genera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output work and the description of the work as an electronic catalog comprises:
Providing an interface for generating the electronic catalog, and creating the user's own catalog based 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interfac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된 작품 및 상기 작품에 대한 설명과 관련된 정보들을 전자 카탈로그로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카탈로그에 포함되는 작품들의 개수, 상기 작품들의 사이즈, 상기 작품들의 배치 조절, 이미 제작된 카탈로그로부터 어느 하나의 작품을 다른 작품으로 대체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고유의 카탈로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IoT 환경에서 전시 작품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tep of genera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output work and the description of the work as an electronic catalog comprises:
A size of the works, a layout adjustment of the works, an interface to allow one work to be replaced with another work from an already-produced catalog, Creating the user's own catalog based on the informatio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IoT 환경에서 전시 작품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단말을 통하여 전시장에 존재하는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스탬프가 포함된 복수의 작품을 출력하거나 상기 작품에 대한 설명을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출력된 작품 및 상기 작품에 대한 설명과 관련된 정보들을 전자 카탈로그로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전자 카탈로그를 표시하되, 상기 전자 카탈로그를 파일로 전송하거나 프린트로 출력하도록 제공하는 제공부
를 포함하는 IoT 환경에서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
In a system for providing exhibition works in an IoT environment,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esent in the exhibition hall through a terminal;
An output unit outputting a plurality of works including a stamp on a display of the terminal upon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outputting a description of the work;
A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output work and the description of the work in an electronic catalog; And
And displaying the generated electronic catalog, wherein the electronic catalog is provided as a file,
In the IoT environmen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전시장에 부착된 NFC를 태깅(Tagging)하여 수신되거나,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전시장에 존재하는 비콘(Beacon)에 근접시킴으로써 식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환경에서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An NFC attached to the exhibition hall from the terminal is received by being tagged or identified by being in proximity to a beacon existing in the exhibition hall from the terminal
Wherein said display system compris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전시장에 부착된 복수의 NFC 태그를 태깅(Tagging)함에 따라 상기 작품의 정보 또는 상기 전시장의 식별 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복수의 작품들에 대하여 단일의 그룹으로 생성하고 1장의 사진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환경에서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output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NFC tags attached to the exhibition hall are tagged, information of the works 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xhibition hall is extracted, and the plurality of works are created as a single group and provided as one photograph
Wherein said display system compris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전시장에 존재하는 비콘을 통하여 기설정된 범위 이내에 상기 단말이 감지되면, 수신된 비콘 정보와 연관된 작품에 대한 동영상 설명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환경에서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output unit includes:
If the terminal is detec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rough a beacon present in the exhibition hall, a video description of the work associated with the received beacon information is provided
Wherein said display system compris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상기 전자 카탈로그를 생성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고유의 카탈로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환경에서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generation unit comprises:
Providing an interface for generating the electronic catalog, and generating the user's own catalog based on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interface
Wherein said display system comprise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상기 카탈로그에 포함되는 작품들의 개수, 상기 작품들의 사이즈, 상기 작품들의 배치 조절, 이미 제작된 카탈로그로부터 어느 하나의 작품을 다른 작품으로 대체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고유의 카탈로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환경에서 전시 작품 제공 시스템.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generation unit comprises:
A size of the works, a layout adjustment of the works, an interface to allow one work to be replaced with another work from an already-produced catalog, Creating a user-specific catalog based on the information
Wherein said display system comprises:
KR1020150088944A 2015-06-23 2015-06-23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user-friendly exhibition in the iot environment KR1023222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944A KR102322200B1 (en) 2015-06-23 2015-06-23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user-friendly exhibition in the iot environ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944A KR102322200B1 (en) 2015-06-23 2015-06-23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user-friendly exhibition in the iot environ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135A true KR20170000135A (en) 2017-01-02
KR102322200B1 KR102322200B1 (en) 2021-11-09

Family

ID=57810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8944A KR102322200B1 (en) 2015-06-23 2015-06-23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user-friendly exhibition in the iot environ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220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852B1 (en) * 2018-06-28 2019-05-30 (주)인아웃에스씨 System for providing exhibition service based on exhibition space analysis considering visitor's viewpoi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074B1 (en) * 2013-07-10 2014-03-13 임동주 System and method to provide ubiquitous exhibition and convention service based on mileage
KR20140085620A (en) * 2012-12-21 2014-07-08 (주)젠트정보기술 Information offering system based on nfc of display room
KR20140137680A (en) * 2013-05-23 2014-12-03 주식회사 이상네트웍스 Exhibition ticket issuing and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smart termin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5620A (en) * 2012-12-21 2014-07-08 (주)젠트정보기술 Information offering system based on nfc of display room
KR20140137680A (en) * 2013-05-23 2014-12-03 주식회사 이상네트웍스 Exhibition ticket issuing and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smart terminal
KR101373074B1 (en) * 2013-07-10 2014-03-13 임동주 System and method to provide ubiquitous exhibition and convention service based on milea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852B1 (en) * 2018-06-28 2019-05-30 (주)인아웃에스씨 System for providing exhibition service based on exhibition space analysis considering visitor's viewpoi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2200B1 (en) 202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3279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xhibition service based on audience's activity in the iot environment
Gast Building applications with IBeacon: proximity and location services with bluetooth low energy
TW201428236A (en) Position system and method
CN103455789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6478286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screen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WO2014196178A1 (en) Guidance method and guidance system
US20150015609A1 (en) Method of augmented reality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JP6455040B2 (en) Store attracting support system, server device, program and method
US20160212591A1 (en) Exhibition guide apparatus, exhibition display apparatus, mobile terminal, and exhibition guide method
US1065245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9607094B2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method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Broschart et al. Architecture: augmented reality in architecture and urban planning
US11095874B1 (en) Stereoscopic viewer
TW201701660A (en) Content distribution system, content distribution device, and content distribution method
KR20170000135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user-friendly exhibition in the iot environment
KR102118462B1 (en) Method and system for filtering image using point of interest
Villarrubia et al. Hybrid indoor location system for museum tourist routes in augmented reality
JP6535776B2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display device
KR20200062158A (en) Method and system for filtering image using point of interest
JP2017102854A (en) Program, user terminal, record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N109672798A (e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and storage media
KR2020002915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for route guidance
KR20180117379A (en) Device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album, server for the same and method for the same
JP6320610B1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information display system,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information display program
Ortakci et al. Rfid based 3d indoor navigation system integrated with smart pho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