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9480A - 감압 센서를 이용한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증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감압 센서를 이용한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증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9480A
KR20160149480A KR1020150086518A KR20150086518A KR20160149480A KR 20160149480 A KR20160149480 A KR 20160149480A KR 1020150086518 A KR1020150086518 A KR 1020150086518A KR 20150086518 A KR20150086518 A KR 20150086518A KR 20160149480 A KR20160149480 A KR 20160149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pressure
user authentication
touch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6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광수
남춘성
박주화
박지섭
최창규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86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9480A/ko
Publication of KR20160149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94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5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force exerted on the touch surface without providing the touch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사용자를 인증하거나 또는 잠금을 설정 또는 해제하는 장치와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유형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기기의 사용자 인증 장치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일부 면적에 대응하여 구비되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를 측정하는 감압 센서부; 상기 감압 센서부에서 일정한 크기 이상의 압력이 측정된 시간 정보와 상기 압력이 측정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감압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감압 센서부에서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압력을 가지는 멀티 터치 입력를 인식하는 사용자 감압 신호 획득부; 및 상기 사용자 감압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멀티 터치 입력의 서로 다른 상기 위치 정보와 상기 압력의 차이 정보에 따른 사용자 인증 패턴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사용자 인증 패턴을 미리 정해진 인증 패턴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감압 센서를 이용한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증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User Authentication Using Pressure Sensor on Device}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사용자를 인증하거나 또는 잠금을 설정 또는 해제하는 장치와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을 비롯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스마트 기기에서 사용자 인증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의 비밀 번호를 입력하는 방식, 터치스크린 상에 배열된 객체들을 연결하거나 이동시키는 등의 방법으로 다양한 패턴을 입력하는 방식, 또는 사용자의 지문과 같은 생체 정보를 인식하는 방식 등 다양한 인증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 사용자 인증 방법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식은 터치스크린에 사용자가 특정 비밀 번호를 터치하여 입력하거나, 특정 패턴을 입력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외부의 관찰자가 사용자의 비밀번호 입력을 관찰하거나 터치스크린에 남겨진 흔적을 통하여 사용자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는 보안상의 취약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다양한 패턴 입력 방법의 조합으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지만, 이들 방법들은 보안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복잡한 입력을 요구하는 한계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2013-0023165호 (2013.03.0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마트 기기의 터치스크린에 감압 센서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따른 감압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감압 센서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사용자 인증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유형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기기의 사용자 인증 장치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일부 면적에 대응하여 구비되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를 측정하는 감압 센서부; 상기 감압 센서부에서 일정한 크기 이상의 압력이 측정된 시간 정보와 상기 압력이 측정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감압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감압 센서부에서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압력을 가지는 멀티 터치 입력를 인식하는 사용자 감압 신호 획득부; 및 상기 사용자 감압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멀티 터치 입력의 서로 다른 상기 위치 정보와 상기 압력의 차이 정보에 따른 사용자 인증 패턴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사용자 인증 패턴을 미리 정해진 인증 패턴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유형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기기의 사용자 인증 방법은, 상기 터치스크린의 일부 면적에 대응하여 구비된 감압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감압 센서부에서 일정한 크기 이상의 압력이 측정된 시간 정보와 상기 압력이 측정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감압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감압 센서부에서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압력을 가지는 멀티 터치 입력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감압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멀티 터치 입력의 서로 다른 상기 위치 정보와 상기 압력의 차이 정보에 따른 사용자 인증 패턴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사용자 인증 패턴을 미리 정해진 인증 패턴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유형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기와 결합하여 제2항에 따른 사용자 인증 방법을 수행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증 장치 및 그 방법은 기존의 터치스크린 상의 2차원적 사용자의 터치 입력 정보에 더하여, 감압 센서를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감압 정보를 더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감압 정보를 활용하여 보다 다양한 방식의 사용자 인증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감압 정보는 외부의 관찰자가 용이하게 취득하기 어려우므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증 방법은 기존의 터치스크린을 통한 사용자 인증 방법과 비교하였을 때 보다 보안성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스마트 디바이스 입력장치 비교에 관한 참고도이다.
도 2는 잠금 해제(Lock off) 방식의 예(물리적 버튼 방식 포함)에 관한 참고도이다.
도 3은 리듬을 통한 강약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4는 잠금 설정(Lock On) 방식 (Physical key and soft key)에 관한 참고도이다.
도 5는 홈버튼 잠금 설정(Lock On) 방식 (soft key or physical key)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6은 멀티포스를 발생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7은 물리버튼 잠금 해제(Lock off) 방식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8은 사용자가 잠금해제를 위한 방법을 정하는 과정(Setup lock off)를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도 9는 설정된 잠금 해제(Lock off)를 사용자 입력데이터에 의해 실행되는 과정(Lock off process)을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도 10은 사용자가 잠금을 설정하는 과정(Setup lock on)을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도 11은 설정된 lock on을 실행하는 과정(Lock on)에 관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의 터치스크린에 감압 센서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따른 감압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감압 센서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사용자 인증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을 제안한다.
여기서 사용자 인증이라 함은 스마트 기기에서 사용자가 기기나 기기에서 동작하는 시스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등을 사용하거나 특정 파일,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에 접근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인증을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자 인증은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기 위하여 스마트 기기의 잠금을 해제하거나 기기를 잠그는 동작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기기의 잠금 해제 또는 잠금에 대한 설명 부분은 사용자 인증에 대하여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동작으로 잠금 설정이나 잠금 해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기기의 사용자 인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의 일부 면적에 대응하여 구비되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를 측정하는 감압 센서부; 상기 감압 센서부에서 일정한 크기 이상의 압력이 측정된 시간 정보와 상기 압력이 측정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감압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감압 센서부에서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압력을 가지는 멀티 터치 입력를 인식하는 사용자 감압 신호 획득부; 및 상기 사용자 감압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멀티 터치 입력의 서로 다른 상기 위치 정보와 상기 압력의 차이 정보에 따른 사용자 인증 패턴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사용자 인증 패턴을 미리 정해진 인증 패턴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증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기기의 사용자 인증 장치는 감압 센서부, 사용자 감압 신호 획득부, 사용자 인증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감압 센서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일부 면적에 대응하여 구비되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를 측정한다.
사용자 감압 신호 획득부는 상기 감압 센서부에서 일정한 크기 이상의 압력이 측정된 시간 정보와 상기 압력이 측정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감압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감압 센서부에서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압력을 가지는 멀티 터치 입력를 인식한다.
사용자 인증부는 상기 사용자 감압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멀티 터치 입력의 서로 다른 상기 위치 정보와 상기 압력의 차이 정보에 따른 사용자 인증 패턴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사용자 인증 패턴을 미리 정해진 인증 패턴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기기의 사용자 인증 방법은, 상기 터치스크린의 일부 면적에 대응하여 구비된 감압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감압 센서부에서 일정한 크기 이상의 압력이 측정된 시간 정보와 상기 압력이 측정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감압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감압 센서부에서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압력을 가지는 멀티 터치 입력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감압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멀티 터치 입력의 서로 다른 상기 위치 정보와 상기 압력의 차이 정보에 따른 사용자 인증 패턴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사용자 인증 패턴을 미리 정해진 인증 패턴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기기의 사용자 인증 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기기의 사용자 인증 장치가 동작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기와 결합하여 제2항에 따른 사용자 인증 방법을 수행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사용자 감압 신호 획득부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멀티 터치를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부는 상기 서로 다른 멀티 터치의 압력 차이 정보에 따른 사용자 인증 패턴을 추출하여 인증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또한 감압 센서부가 소프트 키와 피지컬 키에 동시에 구비되어 소프트 키와 피지컬 키 각각에 대한 멀티 터치의 압력 차이에 따른 사용자 인증 패턴을 추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증 방법은 기존의 터치스크린 상의 2차원적 사용자의 터치 입력 정보에 더하여, 감압 센서를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감압 정보를 더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감압 정보를 활용하여 보다 다양한 방식의 사용자 인증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감압 정보는 외부의 관찰자가 용이하게 취득하기 어려우므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증 방법은 기존의 터치스크린을 통한 사용자 인증 방법과 비교하였을 때 보다 보안성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스마트 기기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는 수단으로는, 별도로 구비된 물리적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구현된 소프트 버튼을 누르거나 또는 터치스크린 상에 사용자가 임의의 위치에 터치를 함으로써 해당 위치에 대한 입력을 수행하는 방법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증 방법은 위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모든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하여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필수구성요소에서는 감압 센서를 터치스크린에 구비하고,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터치하는 위치와 시간과 감압 정도에 따른 패턴을 파악하여 사용자 인증 패턴을 입력받는 구성을 개시하였다. 그러나 유사한 방식으로 물리적 버튼에 감압 센서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물리적 버튼을 터치하는 위치와 시간과 감압 정도에 따른 패턴을 파악하여 사용자 인증 패턴을 입력받는 방식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감압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사용자 감압 신호는 미리 정해진 2차원 상의 위치 별 시간에 따른 감압량에 따른 신호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와 같은 사용자 감압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와 시간과 감압량의 3가지 정보의 조합에 따른 다양한 사용자 인증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인증 패턴은 특정 지점을 시간에 따라 일정한 정도의 차이를 가지고 감압하는 것에 따라 획득되는 리듬을 나타내는 신호가 될 수도 있고, 또는 시간에 따라 위치를 이동하면서 감압의 정도를 달리하는 보다 복잡화된 인증 패턴이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기기의 사용자 인증 장치와 그 방법의 동작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 디바이스의 스크린과 홈키(Physical key)에서 수집가능한 Force정보(힘 - gram으로 표시)를 이용한 잠금 설정 방법(Lock on) 혹은 잠금 해제 방법(Lock off)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디바이스는 홈 버튼(홈키 ?? Physical key)를 쓰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Soft key)와 같은 버튼(입력장치)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 도 1에서 왼쪽의 Physical key를 사용하는 스마트 기기와 오른쪽의 soft key를 사용하는 스마트 기기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잠금 설정(Lock On)과 잠금 해제(Lock Off) 각각에 대하여 기존의 방식과 본 발명이 제안하는 방식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다.
먼저 Lock Off의 경우를 살펴본다.
Lock off 방식의 존 방식은 도 2의 (a) 내지 (c)와 같이 3가지 입력방식 (터치스크린 및 물리적 버튼)을 따른다.
도 2에서와 같이 기존 (c)와 같은 경우에는 아무런 암호가 적용되지 않는 방식으로 Lock 활성화 하는 방법이고, (a)와 (b)와 같은 경우 암호가 설정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방식이 노출이 되면 (육안으로 확인 가능) 보안을 보장할 수 없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Lock Off 방식은 힘을 측정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Screen) 및 물리적인 키(home key or physical key)를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의 Force(힘)을 적용함을 가정으로 한다. 위의 노출 및 보안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로 인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1), 2) 요소를 추가하여 육안으로 식별하더라도 보안을 보장할 수 있다.
1) Force (누르는 힘 세기) : 터치화면 및 홈버튼 (분류 : 강, 중, 약 혹은 강, 약)
2) Time (누르는 시간) : 터치화면 및 홈버튼 (분류 : 2초내 5초내 등 시간제한)
이에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방식을 기존의 도 2의 (a) 내지 (c)에 적용한 동작 방식을 설명한다.
먼저 위 도 2에서 (a)와 같은 경우 각 터치가 이루어지는 지점에 설정된 힘(Force) 및 시간을 설정하여 이를 적용하면 된다. 예를 들어 (a)의 첫번째 부분에 힘 및 시간을 사용자가 설정하여 이를 적용한 방법이다. 예를 들면 스마트 기기의 spot에 터치되는 지점에 Force(힘)을 가미하여 개인적인 암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박자와 같이(피아노를 칠 때 건반의 강약/누르는 시간) 리듬을 생성하는 방식이다. 같은 방법으로 도 2에서 (b)는 버튼 및 길(루트)에 설정된 힘과 시간을 설정하여 보안을 적용한 방안이다. 또한, 도 2의 (c)에서는 한 방향에 대해서만 Lock off를 해야하기 때문에 물리적인 키(physical key or home key)에 힘과 시간을 적용하여 기존에 적용되지 않았던 리듬(힘의 강약에대한 순서)를 적용할 수 있는 방식을 보인다. 또한, 물리적인 키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screen을 통해 도 2의 (c)와 같은 방식으로 Lock off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도 3은 리듬을 통한 강약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기존 방식과 발명의 Lock Off 방식을 비교하면 아래 표 1과 같다.
기존 방식 본 발명 효과
도 2. (a) Touch (Spot) - Screen Touch & Force or Time (Spot) - screen Rhythmic
도 2. (b) Touch (Spot) - Screen Touch & Force or Time (Spot & line) - screen Rhythmic
도 2. (c) Touch (Spot) - home key Touch & Force or Time (Spot) - home key Rhythmic
도 3. Touch (Spot) - Screen Touch & Force or Time (Spot) - Screen Rhythmic
다음으로 Lock On의 경우를 살펴본다.
기존 방식에 있어서, 스마트 디바이스의 입력 방식이 물리적 키와 스크린에서 받는 터치 정보로 적용되기 때문에 Lock On에 대한 방법도 2가지 방법으로 기존에 제안되고 있다.
도 4와 같이 기존의 방식은 버튼 자체를 누르거나 혹은 화면의 정해진 공간을 여러 번 (설정된 횟수) 터치할 경우 Lock on 되는 방식이다. 하지만 현재의 스마트폰 크기의 증가로 인해 한 손으로 스마트폰을 다루는 경우(Physical key) 이를 조작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을 통한 Lock on은 스마트 디바이스에 꽉찬 앱 혹은 위젯으로 인하여 터치할 공간이 생성될 수 없는 혹은 어려운 상황일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이에 대한 대체 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홈버튼 (Soft key 혹은 Physical key)을 이용하여 일정한 힘을 통해 Lock On 여부를 주는 방식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Lock Off의 경우와 같이 아래 1), 2)와 같은 시간과 힘의 요소를 이용한다.
1) Force (누르는 힘 세기) : 터치화면 및 홈버튼 (분류 : 강, 중, 약 혹은 강, 약)
2) Time (누르는 시간) : 터치화면 및 홈버튼 (분류 : 2초내 5초내 등 시간제한)
홈버튼에 기존에 사용되는 기능들을 살펴보면 아래 표 2와 같다.
홈버튼 기능
Soft key 홈화면 이동(touch), 앱구동 상태이동(touch + time)
Physical key 홈화면 이동(touch), 앱구동(2 touch) 상태이동, 음성 서비스(예 시리, 큐보이스등) (touch + time)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홈버튼 기능에 시간과 힘을 추가로 이용하여 Lock On을 지정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홈버튼 기능 설정 방법은 아래 표 3과 같이 설정할 수 있다.
홈 버튼(Soft key) 홈 버튼(Physical key)
도 5 홈화면 이동 - touch

앱구동 이동 - touch & time

Lock on - touch & force & time => rhythm
홈 화면 이동(1) - touch

앱구동 이동(2) - touch

음성서비스 - touch & time

Lock on - touch & force & time & rhythm
본 발명에서 힘과 시간을 이용한 Lock on 방식은 기존의 홈버튼을 기준으로 soft key인 경우 힘과 시간을 설정하여 마치 리듬(Rhythm)과 같이 Lock on을 설정한다. Physical key인 경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음성서비스를 위한 siri나 다른 기능이 추가된 방식이다. 물리적인 키는 키를 2번누르는 것에 대한 것을 추가하여 나타난다. 따라서 Lock on을 위해서는 홈버튼의 soft key 방식과 같이 적용하고 음성서비스와 같은 서비스에 time을 추가하여 적용하여 이를 구별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시간 및 압력값 측정을 패턴과 일치시켜 이를 Lock on, Lock Off에 사용함에 있어서, 멀티터치를 이용한 멀티포스를 발생하여 이를 보완하는 방안으로 진행한다. 하나의 버튼이 아닌 2개이상의 멀티버튼으로도 가능하게 확장하며, Lock off 같은 경우에는 기존의 패턴 및 knock off와 비교해서 멀티터치를 이용한다.
도 6은 멀티포스를 발생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먼저 Lock off의 경우를 살펴보면, 먼저 lock off와 같은 경우 도 6과 같이 화면에 패턴 혹은 Knock on을 실행할 경우에 두 지점에 대한 멀티터치시 각 손가락에 가해지는 힘이 다르다. 이를 이용하여 위에서 제시한 각 과정에서 이를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각 힘은 세밀하게 미리 정해진 정도, 예를 들면 50g씩(사람이 무게를 느끼는 최소한의 단위) 차이를 두고 각 손가락에 힘을 배분하여 등록할 수 있고 혹은 싱글 터치 (기존방식)과 같이 힘을 가하여 이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물리적인 버튼과도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고, 혹은 물리버튼과도 혼용하여 두 지점에 대한 멀티 포스를 적용할 수 있다. 도 7은 물리버튼 Lock off 방식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따라서 이를 적용하여 방법을 분류하면 위에서 말한 싱글터치 방식과 비교하면, 즉 Lock Off 방식 비교 (기존 vs 발명)하면 다음 표 4와 같다.
기준점 기존 발명 효과
도 2. (a) Touch (Spot) - Screen Touch(Multi or single) & Force or Time (Spot) - screen Rhythmic
도 2. (b) Touch (Spot) - Screen Touch(Multi or single) & Force or Time (Spot & line) - screen Rhythmic
도 2. (c) Touch (Spot) - home key Touch(Multi or single) & Force or Time (Spot) - home key & physical key Rhythmic
도 3. Touch (Spot) - Screen Touch(Multi or single) & Force or Time (Spot) - Screen Rhythmic
다음으로 Lock On의 경우를 살펴보면, Lock on 방식은 위에서 제시한 방법과 같지만, 포스를 측정할 수 있는 soft key + soft key 를 이용한 압력의 강약을 제시한 방법과 soft key + physical key , physical + physical key의 조합으로 압력의 강약을 제시한 방법을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lock on 방식이 존재할 수 있고, 본 발명의 홈버튼 기능 설정 방법은 아래 표 5와 같다.
홈 버튼(Soft key) 홈 버튼(Physical key)
도 5 홈화면 이동 - touch

앱구동 이동 - touch & time

Lock on - touch & force & time => rhythm
홈 화면 이동(1) - touch

앱구동 이동(2) - touch

음성서비스 - touch & time

Lock on - touch & force & time & rhythm
Lock on Soft key + Soft key 조합 : 동시에 다수의 지점(home key + 화면, 화면만, home key+ 다른 소프트키, 2개이상의 소프트키 등) 을 지정후 힘의 분배에 따른 lock on

Soft key + physical key 조합 : soft key(홈키 및 다른 키 와 화면) + physical key(볼륨, 홈키, 전원키 등) 힘의 분배에 따른 lock on

Physical key + physical key 조합 : physical key(볼륨, 홈키, 전원키 등) 힘의 분배에 따른 lock on
도 8은 사용자가 잠금해제를 위한 방법을 정하는 과정(Setup lock off)를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여기서 상기 과정은 아래 1) 내지 5)와 같다.
1) Select a key method : 잠금 해제 방법을 위에서 설명한 도 8에 맞게 크게 Soft key 방식과 Physical 방식으로 선택하여 설정
2) Input a key :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Time(시간), Force(힘, 각 멀티 포인트의 각 지점의 힘의 값을 따로 지정), Touch Area(터치되는 곳), # of touch (터치 횟수), Multipoint(터치되는 지점들 수)를 통해서 데이터 입력값을 선택
3) Matching key & data : key와 data를 합쳐서 Lock off 할 데이터를 페어링(pairing)
4) Saved lock off : 각 방식에 따라 노크온(Knock on), 패턴(Pattern), 리듬(Rhythmic), 버튼(Buttons)과 같은 방식으로 Lock off를 설정 또한 조합도 가능
5) Setup lock off : 각 방식에 맞게 lock off 방식을 설정하고 대기
도 9는 설정된 Lock off를 사용자 입력데이터에 의해 실행되는 과정(Lock off process)을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여기서 상기 과정은 아래 1) 내지 5)와 같다.
1) Waiting Input : 사용자가 정해놓은 특정 key와 data를 받을 준비
2) Selecting key : key 방식이 노출되어 있는 경우 선택하고 혹은 노출되지 않는 경우 특정한 키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이 값을 사용하여 사용할 key 방식을 선택
3) Input lock off data : 사용자 입력 (위와 같음)
4) Check lock off data : key와 data를 가지고 입력된 방식을 구별하여 lock off 가능한지 검사
5) Lock off : Lock off 실행
도 10은 사용자가 잠금을 설정하는 과정(Setup lock on)을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상기 과정은 아래 1) 내지 5)와 같다.
1) Select a key method : key를 설정하는 과정 특별히 home button(soft & physical)로 설정하되 타 버튼들(physical 중에서 파워나 add-on 버튼도 설정가능)도 사용함
2) Input a key : 사용자가 lock on을 위해 입력하는 값
3) Matching key & data : key와 data를 페어링하는 과정
4) Saved lock on : 각 방식에 따라 노크온(Knock on), 패턴(Pattern), 리듬(Rhythmic), 버튼(Buttons)과 같은 방식으로 Lock off를 설정 또한 조합도 가능
5) Setup lock on : lock on 설정하고 대기
도 11은 설정된 lock on을 실행하는 과정(Lock on)에 관한 참고도이다. 상기 과정은 아래 1) 내지 4)와 같다.
1) Waiting input : lock on에 필요한 사용자 입력 데이터 대기단계
2) Input a key : 설정된 key 및 data를 전송 받는 단계
3) Check lock on data : key 방식과 input data를 매칭하여 검사하는 단계
4) Lock on : Lock on 실행단계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USB 메모리, CD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기록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상세한 설명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기기의 사용자 인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의 일부 면적에 대응하여 구비되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를 측정하는 감압 센서부;
    상기 감압 센서부에서 일정한 크기 이상의 압력이 측정된 시간 정보와 상기 압력이 측정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감압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감압 센서부에서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압력을 가지는 멀티 터치 입력를 인식하는 사용자 감압 신호 획득부; 및
    상기 사용자 감압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멀티 터치 입력의 서로 다른 상기 위치 정보와 상기 압력의 차이 정보에 따른 사용자 인증 패턴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사용자 인증 패턴을 미리 정해진 인증 패턴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증 장치.
  2.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기기의 사용자 인증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의 일부 면적에 대응하여 구비된 감압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감압 센서부에서 일정한 크기 이상의 압력이 측정된 시간 정보와 상기 압력이 측정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감압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감압 센서부에서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압력을 가지는 멀티 터치 입력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감압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멀티 터치 입력의 서로 다른 상기 위치 정보와 상기 압력의 차이 정보에 따른 사용자 인증 패턴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사용자 인증 패턴을 미리 정해진 인증 패턴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증 방법.
  3.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기와 결합하여 제2항에 따른 사용자 인증 방법을 수행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50086518A 2015-06-18 2015-06-18 감압 센서를 이용한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증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1494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518A KR20160149480A (ko) 2015-06-18 2015-06-18 감압 센서를 이용한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증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518A KR20160149480A (ko) 2015-06-18 2015-06-18 감압 센서를 이용한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증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9480A true KR20160149480A (ko) 2016-12-28

Family

ID=57724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6518A KR20160149480A (ko) 2015-06-18 2015-06-18 감압 센서를 이용한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증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94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02473A (zh) * 2019-02-27 2019-06-1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图案生成方法、图案生成装置及移动终端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3165A (ko) 2011-08-25 2013-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장치를 잠금 해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3165A (ko) 2011-08-25 2013-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장치를 잠금 해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02473A (zh) * 2019-02-27 2019-06-1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图案生成方法、图案生成装置及移动终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7568B1 (ko) 지문 인식 기반 인증 방법 및 장치
EP3100194B1 (en) Dynamic keyboard and touchscreen biometrics
EP2874088B1 (en) Multi-factor authentication
KR101860096B1 (ko) 패스워드 검증 장치 및 방법
EP3304395B1 (en) Encoding methods and systems
KR20120067331A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US20130229367A1 (en) Dynamic Patterns for Mobile Device Authentication
TWI530886B (zh) 具有操作於向量模式下的指紋感測器的電子設備
CN103365581A (zh) 一种基于解锁密码对用户设备进行触摸解锁的方法和设备
US20160210452A1 (en) Multi-gesture security code entry
WO2017097207A1 (zh) 一种操作指令输入方法、后台设备及终端
KR102442779B1 (ko)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장치
KR101392113B1 (ko) 지문 잠금 시스템
KR20160149480A (ko) 감압 센서를 이용한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증 장치 및 그 방법
CN105653993A (zh) 一种密码输入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10223519B2 (en) Beat assisted temporal pressure password
CN105550549A (zh) 一种验证处理方法及验证处理装置
US20210397692A1 (en) Indication for multi-factor authentication
JP2015184717A (ja) 認証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269085B1 (ko) 통합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프로그램에 로그인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130117371A (ko) 손가락 두드리기를 이용한 스크린 잠금 해제 및 비밀 작업 수행 방법
KR101303843B1 (ko) 제스처를 이용한 암호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7107340A1 (zh) 输入方法、装置及终端
JP5618437B1 (ja) 個人認証方法
KR101742150B1 (ko) 드래그 입력 기반의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