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8247A - 도어 개방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외함 - Google Patents

도어 개방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외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8247A
KR20160148247A KR1020150084985A KR20150084985A KR20160148247A KR 20160148247 A KR20160148247 A KR 20160148247A KR 1020150084985 A KR1020150084985 A KR 1020150084985A KR 20150084985 A KR20150084985 A KR 20150084985A KR 20160148247 A KR20160148247 A KR 20160148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opening
unit
control unit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4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6179B1 (ko
Inventor
조병규
Original Assignee
조병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병규 filed Critical 조병규
Priority to KR1020150084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6179B1/ko
Publication of KR20160148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8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6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6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08Mechanical actuation by opening, e.g. of door, of window, of drawer, of shutter, of curtain, of blin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mechanical vibrations in air or other fluid
    • G08B13/160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mechanical vibrations in air or other fluid using active vibr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6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mechanical vibrations in air or other fluid using active vibr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ultrasonic detection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스터디건을 일정 간격으로 배열시켜 원형 모재의 원하는 위치에서 스폿용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폿 용접기에 관한 것으로, 도어의 일측에 마련되며, 도어가 개방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도어개방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도어개방 감지부; 도어개방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저장되도록 하고, 도어개방 감지신호의 회수 또는 도어개방 시간을 체크하여,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알람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도어개방 감지신호를 시간에 매칭시켜 저장하는 저장부; 및 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알람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이에, 원형 제품의 용접면을 회전시키기 위한 고정지그 및 회전장치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그로 인해 생산단가 및 생산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어 개방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외함{Enclosure having monitoring function for opening door}
본 발명은 도어 개방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외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함에 구비된 도어가 개방될 경우 도어개방정보를 생성시켜 관리하고, 도어개방정보를 이용하여 외함의 보안성을 가지도록 하는 도어 개방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외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상에 설치되는 전기 시설 중 지상변압기를 비롯하여, 가로등 분전함, 교통신호 제어기 등은 경찰관, 제조사 관리자, 유지보수 협력사 관리자, 지자체 담당 관리자, 기술지원 인력 등 다양한 사람들에 의해 관리된다. 통상 경찰관은 교통 체증 등이 발생할 때, 교통신호 제어기의 외함을 개방하고 교통신호를 수동 조작한다. 지상변압기나 가로등 분전함의 관리자는 주기적으로 외함 내부 시설물의 상태를 점검하며, 필요시 유지 보수를 시행한다.
위와 같은 지상 설비의 외함은 허가된 사람 이외의 사람에게 무단으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잠금장치를 구비한다. 그런데, 종래의 지상 설비 외함은 단순히 기계적인 잠금장치에 의해 도어를 개폐하는 구조를 갖고 있었다. 따라서 분실된 열쇠를 습득하거나, 만능키 등의 열쇠를 이용하는 비인가자 등에 의해 지상 설비 외함이 무단 개방될 개연성이 높다.
대개의 경우, 지상 설비 외함 내에는 고전압의 전기 기구물은 물론, 높은 전류가 흐르는 동 부스바 등이 노출된 상태에 있다. 만약, 전기 시설물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사람이 지상 설비 외함을 무단으로 개방한다면, 감전사고에 의한 인명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무단으로 지상 설비를 조작하여 정전사고 등 예기치 않은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불측의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나아가, 지상 설비들은 주기적으로 관리되어야 하며, 이러한 관리 이력은 통상 수기로 일지를 작성하는 것으로 수행되었다. 하지만, 유지보수 담당자가 관리를 소홀히 하거나 허위로 일지를 작성하는 등으로 제때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또한, 다양한 유형의 관리자가 존재하는 경우, 어떤 관리자에 의하여 언제 관리가 실시되었는지, 또한, 어떠한 이유로 지상 설비 외함이 개방되었는지 등이 명확하지 않을 수 있다. 어떤 사고가 발생하거나 지상 설비의 심각한 고장이 발생된 경우, 지상 설비 외함의 관리 이력은 사고나 고장 원인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실마리가 될 것임에도 불구하고, 종래 지상 설비는 이러한 보안 사항에 대한 이력을 정확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부족하였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376279 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231222 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본 발명은 외함에 구비된 도어가 개방될 경우 도어개방정보를 생성시켜 관리하고, 도어개방정보를 이용하여 외함의 보안성을 가지도록 하는 도어 개방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외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개방 회수나 도어개방 사용자정보를 확보하고, 이를 모니터링하여, 이상상황이 발생한 경우로 판단되는 경우 외부로 알람신호를 송출하는 도어 개방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외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외함은 도어의 일측에 마련되며, 도어가 개방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도어개방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도어개방 감지부; 도어개방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저장되도록 하고, 도어개방 감지신호의 회수 또는 도어개방 시간을 체크하여,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알람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도어개방 감지신호를 시간에 매칭시켜 저장하는 저장부; 및 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알람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제어부가 도어개방 회수 또는 도어개방 시간을 외부에서 설정 또는 재설정할 수 있도록 환경설정 메뉴를 제공하고, 제어부에 의해 제공되는 환경설정 메뉴를 화면상에 출력시키고, 환경설정 메뉴에 의해 설정 또는 재설정되는 도어개방 회수 또는 도어개방 시간을 제어부로 출력하는 환경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도어개방 감지부가, 개방되는 도어에 마련되는 포토다이오드 및 도어프레임에서 포토다이오드와 대향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포토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포토커플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도어개방 감지부가, 개방되는 도어에 마련되는 초음파 발생부와, 도어프레임에서 초음파 발생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초음파 수신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외함에 구비된 도어가 개방될 경우 도어개방정보를 생성시켜 관리하고, 도어개방정보를 이용하여 외함의 보안성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지상설비의 도어 개폐이력, 유지 보수 이력, 무단 침입 이력 등 보안 이력을 정확하고 철저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개방 회수나 도어개방 사용자정보를 확보하고, 이를 모니터링하여, 이상상황이 발생한 경우로 판단되는 경우 외부로 알람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외함 관리자가 외부 또는 원격지에 있는 경우에도 실시간으로 이상상황 발생여부를 인지하고 조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개방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개방 모니터링 방법의 실시예 1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개방 모니터링 방법의 실시예 2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개방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된 도어 개방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외함은 도어개방 감지부(110), 제어부(120), 저장부(130), 통신부(140), 스피커(150), 환경설정부(160)로 이루어진다.
도어개방 감지부(110)가 도어의 일측에 마련되며, 도어가 개방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도어개방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도어개방 감지부(110)가 개방되는 도어에 마련되는 포토다이오드 및 도어프레임에서 포토다이오드와 대향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포토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다.
또다른 실시예로 도어개방 감지부(110)가 개방되는 도어에 마련되는 초음파 발생부와, 도어프레임에서 초음파 발생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초음파 수신부로 이루어진다.
위와 같은 방식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가능하다.
제어부(120)가 도어개방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저장되도록 하고, 도어개방 감지신호의 회수 또는 도어개방 시간을 체크하여,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알람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20)가 도어개방 회수 또는 도어개방 시간을 외부에서 설정 또는 재설정할 수 있도록 환경설정 메뉴를 제공한다.
저장부(130)가 제어부(120)의 제어에 응하여 도어개방 감지신호를 시간에 매칭시켜 저장한다.
통신부(140)가 제어부(120)의 제어에 응하여 알람신호를 외부로 송출한다.
환경설정부(160)가 제어부(120)에 의해 제공되는 환경설정 메뉴를 화면상에 출력시키고, 환경설정 메뉴에 의해 설정 또는 재설정되는 도어개방 회수 또는 도어개방 시간을 제어부(120)로 출력한다.
환경설정부(160)가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입력기능 및 출력기능을 한꺼번에 포함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외함에 구비된 도어개방 모니터링 장치의 작동상태에 대해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함의 도어를 닫게 되면, 도어개방 감지부(110)가 도어폐쇄 신호를 제어부(120)로 송출하고, 제어부(120)가 도어가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한다.
그리고 외함의 도어가 개방되면, 도어개방 감지부(1100로부터 제어부(120)로 송출되던 도어폐쇄 신호가 중단되고, 제어부(120)는 외함의 도어가 개방되었음을 인식하게 된다. 이렇게 외함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로 인식되면 제어부(120)가 저장부(130)에 도어가 개방된 현재 시간 및 현재 시간에 도어개방 신호를 링크시켜 저장하고, 이후 도어폐쇄 신호가 입력되면 도어개방 신호에 도어폐쇄 시작시간을 링크시켜 저장한다.
이때 저장부(130)에는 도어개방 유지시간, 도어개방 회수, 도어개방 시점 시간정보 등이 기준 정보로 저장되어 있으며, 제어부(120)가 도어개방 감지부(110)로부터 입력되는 도어개방 신호를 기반으로 하여, 도어개방 유지시간, 도어개방 회수, 도어개방 시점 시간정보 중 하나의 정보와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알람신호를 발생시켜 미리 설정되어 있는 휴대용 단말기 정보를 이용사여 송출함으로써, 관리자들이 이를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관리자 또는 작업자들은 환경설정부(160)를 이용하여 기준 정보를 설정하거나, 재설정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실시예 1_도어개방시간에 따른 보안모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개방 모니터링 방법의 실시예 1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로 도어개방시간에 따른 보안모드에 대해서 첨부 도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20)가 환경설정부(160)를 통해 도어개방 모니터링 모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제어부(120)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보안모드 설정 메뉴항목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S110)하고, 판단 결과 보안모드 설정 메뉴항목이 선택되면 보안모드 설정 메뉴선택용 인터페이스를 제공(S115)한다.
제어부(120)가 보안모드 설정 메뉴선택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개방시간에 따른 보안모드가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S120)하고, 판단 결과 개방시간에 따른 보안모드가 선택되면 도어개방시간 설정 메뉴화면을 제공(S125)하고, 개방시간이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S130)한다.
S130 단계의 판단 결과, 개방시간이 입력되면 입력된 도어개방시간을 기준정보로 저장한 후 도어개방 시간에 따른 보안모드로 전환(S135)하고, 도어가 개방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S140)한다.
S140 단계의 판단 결과, 도어가 개방되면 제어부(120)가 개방시간을 카운트하면서 기준정보와 비교(S145)하고, 비교결과 개방시간 카운트값이 기준정보보다 큰지를 판단(S150)한다.
S150 판단 결과, 카운트값이 기준정보보다 큰 경우 제어부(120)가 도어개방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보다 길어진 것으로 판단, 이상상황 발생으로 인식하고, 알람정보를 생성시켜 통신부(140)를 통해 알람신호를 송출하는 한편 스피커(150)를 통해 사이렌 소리 등과 같은 알람음이 발생되도록 하여, 주변의 많은 사람들이 이를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 2_도어개방회수에 따른 보안모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개방 모니터링 방법의 실시예 2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로 도어개방회수에 따른 보안모드에 대해서 첨부 도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20)가 환경설정부(160)를 통해 도어개방 모니터링 모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제어부(120)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보안모드 설정 메뉴항목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S210)하고, 판단 결과 보안모드 설정 메뉴항목이 선택되면 보안모드 설정 메뉴선택용 인터페이스를 제공(S215)한다.
제어부(120)가 보안모드 설정 메뉴선택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개방회수에 따른 보안모드가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S220)하고, 판단 결과 개방회수에 따른 보안모드가 선택되면 도어개방 회수 설정 메뉴화면을 제공(S225)하고, 개방회수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S230)한다.
S230 단계의 판단 결과, 개방회수가 입력되면 입력된 도어개방 회수를 기준정보로 저장한 후 도어개방 회수에 따른 보안모드로 전환(S235)하고, 도어가 개방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S240)한다.
S240 단계의 판단 결과, 도어가 개방되면 제어부(120)가 개방회수를 카운트하면서 기준정보와 비교(S245)하고, 비교결과 개방회수 카운트값이 기준정보보다 큰지를 판단(S250)한다.
S250 판단 결과, 카운트값이 기준정보보다 큰 경우 제어부(120)가 도어개방회수가 미리 설정된 회수보다 길어진 것으로 판단, 이상상황 발생으로 인식하고, 알람정보를 생성시켜 통신부(140)를 통해 알람신호를 송출하는 한편 스피커(150)를 통해 사이렌 소리 등과 같은 알람음이 발생되도록 하여, 주변의 많은 사람들이 이를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도어개방 모니터링 장치
110 : 도어개방 감지부 120 : 제어부
130 : 저장부 140 : 통신부
150 : 스피커 160 : 환경설정부

Claims (4)

  1. 도어의 일측에 마련되며, 도어가 개방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도어개방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도어개방 감지부;
    상기 도어개방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저장되도록 하고, 상기 도어개방 감지신호의 회수 또는 도어개방 시간을 체크하여,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알람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상기 도어개방 감지신호를 시간에 매칭시켜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알람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도어 개방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외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도어개방 회수 또는 상기 도어개방 시간을 외부에서 설정 또는 재설정할 수 있도록 환경설정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공되는 환경설정 메뉴를 화면상에 출력시키고, 상기 환경설정 메뉴에 의해 설정 또는 재설정되는 상기 도어개방 회수 또는 상기 도어개방 시간을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환경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방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됨 외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개방 감지부가, 개방되는 도어에 마련되는 포토다이오드 및 도어프레임에서 상기 포토다이오드와 대향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포토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포토커플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방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외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개방 감지부가, 개방되는 도어에 마련되는 초음파 발생부와,
    도어프레임에서 상기 초음파 발생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초음파 수신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방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외함.

KR1020150084985A 2015-06-16 2015-06-16 도어 개방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외함 KR101786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4985A KR101786179B1 (ko) 2015-06-16 2015-06-16 도어 개방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외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4985A KR101786179B1 (ko) 2015-06-16 2015-06-16 도어 개방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외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8247A true KR20160148247A (ko) 2016-12-26
KR101786179B1 KR101786179B1 (ko) 2017-10-17

Family

ID=57733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4985A KR101786179B1 (ko) 2015-06-16 2015-06-16 도어 개방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외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61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6743A (ko) * 2020-01-29 2021-08-06 더로드아이앤씨 주식회사 교통신호제어기의 수동 조작부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312581B1 (ko) * 2020-09-25 2021-10-14 주식회사 코리아베스트네트워크 스마트 랙 통합 관리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222B1 (ko) 2012-08-17 2013-02-07 주식회사 엔코아링크 지상 설비 외함의 보안 잠금장치
KR101376279B1 (ko) 2013-10-30 2014-03-20 주식회사 엔코아링크 지상 설비 외함의 전자 보안 잠금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827Y1 (ko) * 2006-03-14 2006-06-14 도대욱 제어함 개폐통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222B1 (ko) 2012-08-17 2013-02-07 주식회사 엔코아링크 지상 설비 외함의 보안 잠금장치
KR101376279B1 (ko) 2013-10-30 2014-03-20 주식회사 엔코아링크 지상 설비 외함의 전자 보안 잠금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6743A (ko) * 2020-01-29 2021-08-06 더로드아이앤씨 주식회사 교통신호제어기의 수동 조작부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312581B1 (ko) * 2020-09-25 2021-10-14 주식회사 코리아베스트네트워크 스마트 랙 통합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6179B1 (ko) 2017-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9834B1 (ko) 스마트 배전반 시스템
US10482758B1 (en) Detecting destruction of an automation system component
CN105023403B (zh) 一种基于工业安全应急指挥集成系统的联动控制方法
CN105159255B (zh) 一种基于工业安全应急指挥集成系统的应急预案控制方法
KR102053619B1 (ko) 산업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KR101635430B1 (ko) 자동제어장치 cctv 감시카메라 스마트 제어시스템
CN104967825A (zh) 一种看门电子狗系统
CN101034976B (zh) Ip连接安全系统中的入侵检测设备
CN107622320A (zh) 用于预测和显示站点安全度量的系统和方法
CN109102686B (zh) 用于在火警系统中在警报敏感度阈值改变期间防止假警报的系统和方法
JP2006163659A (ja) 侵入検知システム
KR101786179B1 (ko) 도어 개방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외함
KR102400956B1 (ko) 전력 설비를 위한 양방향 제어시스템
CN104881940A (zh) 户外变压器机柜防盗系统
CN104766422A (zh) 一种周界入侵监测系统及方法
KR101227537B1 (ko) 중성선 복구 기능이 구비된 분배전반
CN112645173A (zh) 一种电梯监控方法、装置、介质及电子设备
KR101658363B1 (ko) 스마트 argos 감시제어기 및 제어시스템
CN207663552U (zh) 报警器
CN103324181B (zh) 屏柜柜门监控预警系统
US9965944B1 (en) Protective device for alarm systems
CA2845056C (en) Emergency power system environmental alert module
CN105951889A (zh) 一种分体式防盗井盖及其控制方法
CN203299637U (zh) 屏柜柜门监控预警系统
CN107452170A (zh) 家庭防盗的方法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