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7595A - 제어 계측 대상 사물 통합 연동형 범용 아이오티(IoT) 모듈 - Google Patents

제어 계측 대상 사물 통합 연동형 범용 아이오티(IoT)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7595A
KR20160147595A KR1020150084586A KR20150084586A KR20160147595A KR 20160147595 A KR20160147595 A KR 20160147595A KR 1020150084586 A KR1020150084586 A KR 1020150084586A KR 20150084586 A KR20150084586 A KR 20150084586A KR 20160147595 A KR20160147595 A KR 20160147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t
controlled
control
module
gen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4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주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엑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엑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엑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50084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7595A/ko
Publication of KR20160147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75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04L29/1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1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어 계측 대상이 되는 사물을 원격 제어하는 관리자 단말기와 네트워킹(networking)된 게이트웨이와 접속하는 인터페이스와, 사물과 접속하는 인터페이스를 각기 구비한 인터페이스부, 상기 관리자 단말기와 상기 사물을 상기 각 인터페이스를 사용해 네트워크 연결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접속된 각 사물의 아이디(ID)와 통신 인터페이스 종류 정보를 등록 구비하여, 사물과 관리자 단말기 간의 네트워킹시 사물의 아이디(ID)를 기반으로 제어 계측 대상 사물을 인식하고 해당 통신 인터페이스 종류를 식별해 다수의 사물과 관리자 단말기 간의 제어 계측 정보를 통합 중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계측 대상 사물 통합 연동형 범용 아이오티(IoT) 모듈에 관한 것으로, 범용적인 모듈로 전기를 쓰는 모든 엔드 디바이스(End device : 조명, 센서류, 콘센트, 기타 등등)의 전력계측과 전력제어가 가능하고, 제어 계측 대상의 사물들이 새롭게 추가되더라도 재설계 없이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개발비용 감소와 개발기간 단축의 장점을 지닌다.

Description

제어 계측 대상 사물 통합 연동형 범용 아이오티(IoT) 모듈{General IoT Module united in things}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기반 제어계측 시스템에 사용되는 아이오티(IoT)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사물인터넷 기반 제어계측 시스템은 제어 계측 대상이 되는 각 사물 별로 아이오티(IoT) 모듈이 구비되어, 그 아이오티(IoT) 모듈을 통해 게이트웨이와 접속되는 관리자 단말기 간에 네트워킹되어, 원격에 위치한 특정 사물을 제어 계측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일반적인 제어계측 시스템의 예로, 선행문헌 등록특허 제10-0990131호, 발명의 명칭 :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에서는 다음의 사항이 기재되어 있다.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콘센트나 멀티 탭 등의 사용시에 전력소비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전원플러그를 콘센트나 멀티 탭 등으로부터 분리시켜야 한다. 이는 전력소비장치들의 전원 스위치가 오프(off)된 상태이더라도 콘센트나 멀티 탭의 소켓에 인가된 전류가 전력소비장치들의 플러그를 통해 전력소비장치로 시간당
대략 5W 정도의 미세 전력이 인가되어 전력손실이 크게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대기전력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력소비장치의 전원 플러그를 연결하는 콘센트나 멀티 탭에 주전원 차단을 위한 온/오프 스위치를 별도로 구비하여 전력소비장치의 전원을 오프한 후에 별도로 콘센트나 멀티 탭의 스위치를 오프함으로써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전력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기존의 다른 방법으로는 전류측정장치와 전자제어장치 및 동작 감지센서 등의 전자장치를 멀티탭 등에 장착하여 직접 멀티 탭에 설치된 온/오프 스위치를 수동으로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자동으로 전력소비장치의 온/오프 상태를 감지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제어 멀티 탭 등이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이, 통상의 사물인터넷 기반 제어계측 시스템은 제어 계측 대상이 되는 각 사물 별로 아이오티(IoT) 모듈이 구비되어, 그 아이오티(IoT) 모듈을 통해 게이트웨이와 접속되는 관리자 단말기 간에 네트워킹되어, 원격에 위치한 특정 사물을 제어 계측한다.
이러한 통상의 사물인터넷 기반 제어계측 시스템에 사용되는 기존의 아이오티(IoT) 모듈은 전기를 쓰는 모든 엔드 디바이스(End device : 조명, 센서류, 콘센트, 기타 등등)에 각기 탑재되어 해당 엔드 디바이스의 전력계측과 전력제어를 수행한다.
특히, 기존의 아이오티(IoT) 모듈은 특정의 제어계측의 대상과만 통신할 수 있도록 회로가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는 제어 계측 대상의 사물이 추가 될 때, 그 추가된 사물들에 맞게 아이오티(IoT) 모듈을 재 설계 및 개발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범용적인 아이오티(IoT) 모듈로 전기를 쓰는 모든 엔드 디바이스(End device : 조명, 센서류, 콘센트, 기타 등등)의 전력제어와 소비전력량을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 계측 대상 사물 통합 연동형 범용 아이오티(IoT)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제어 계측 대상의 사물들이 새롭게 추가되더라도 재설계 없이 사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 계측 대상 사물 통합 연동형 범용 아이오티(IoT)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 계측 대상 사물 통합 연동형 범용 아이오티(IoT) 모듈은,
제어 계측 대상이 되는 사물을 원격 제어하는 관리자 단말기와 네트워킹(networking)된 게이트웨이와 각종 사물 간의 범용 접속 인터페이스부, 상기 관리자 단말기와 사물을 상기 범용 접속 인터페이스부를 사용해 네트워크 연결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각종 사물의 등록된 통신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특정 사물의 접속시 접속된 사물의 아이디(ID)와 통신 인터페이스 종류를 설정하여, 상기 설정된 사물의 아이디(ID)와 통신 인터페이스 종류를 기반으로 해당 사물과 관리자 단말기 간의 제어 계측 정보를 중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범용 접속 인터페이스부는 인터페이스를 위한 결선 구성만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범용 아이오티(IoT) 모듈은 상기 사물과 접속하는 인터페이스 중 해당 인터페이스에서만 사용하는 고유의 전용 구성요소를 가진 인터페이스가 있는 경우, 해당 인터페이스에서만 사용하는 고유의 전용 구성요소만으로 된 회로 보드를 별도로 분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유닛은 새롭게 접속 추가되는 제어 계측 대상이 되는 사물이 있는 경우, 상기 외부 서버나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추가된 사물의 아이디와 통신 인터페이스 종류 정보를 업로드받아 설정 등록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범용 아이오티(IoT) 모듈은 제어 계측 대상 사물의 케이스(Case) 내부 공간에 시공되고, 해당 사물의 전기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요소(element)와의 전기적 연결 구성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범용 아이오티(IoT) 모듈은 제어 계측 대상 사물의 관리함의 밀폐된 케이스(Case)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해당 관리함의 전기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요소(element)와의 전기적 연결 구성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범용적인 모듈로 전기를 쓰는 모든 엔드 디바이스(End device : 조명, 센서류, 콘센트, 기타 등등)의 전력계측과 전력제어가 가능하다. 즉, 엔드 디바이스(End device)의 소비전력량을 측정할 수 있는 각각의 전력계측 및 제어장치를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각각의 전력계측 및 제어장치로부터 측정된 소비전력량을 통합하여 관리함과 동시에, 전력계측 및 제어장치의 사용/차단 상태를 웹서버나 스마트폰 등 원격지에서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현을 통해서, 원가절감, 공간절감, 설치의 간편성, 에너지절감(=소모전력 감소), 사용자 편의성 효과를 달성할 수가 있다.
또한, 기존의 아이오티(IoT) 모듈은 특정의 제어계측의 대상과만 통신할 수 있도록 회로가 설계되어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제어 계측 대상의 사물이 추가 될 때, 그 추가된 사물들에 맞게 아이오티(IoT) 모듈을 재 설계 및 개발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렇게 재 설계 및 개발시에는 개발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과 개발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에 비해서, 본 발명은 제어 계측 대상의 사물들이 새롭게 추가되더라도 재설계 없이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개발비용 감소와 개발기간 단축의 장점을 지닌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계측 대상 사물 통합 연동형 범용 아이오티(IoT) 모듈이 적용된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계측 대상 사물 통합 연동형 범용 아이오티(IoT) 모듈의 동작을 순서대로 설명한 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계측 대상 사물 통합 연동형 범용 아이오티(IoT) 모듈이 적용된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관리자 단말기(101, 102)(예: 컴퓨터 서버나 또는, 모바일 단말기(스마트폰, 태블릿 PC)), 게이트웨이(103), 제어 계측 대상 사물 통합 연동형 범용 아이오티(IoT) 모듈(104) 및, 사물(105 : 105-1~105-3)(제어 계측 대상이 되는 사물(기기/장비/전자제품), 예: 전기콘센트 / 조명 / 센서 / 에어컨 / 보일러)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범용적인 모듈로 전기를 쓰는 모든 엔드 디바이스(End device : 조명, 센서류, 콘센트, 기타 등등)의 전력계측과 전력제어가 가능하다. 즉, 엔드 디바이스(End device)의 소비전력량을 측정할 수 있는 각각의 전력계측 및 제어장치를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각각의 전력계측 및 제어장치로부터 측정된 소비전력량을 통합하여 관리함과 동시에, 전력계측 및 제어장치의 사용/차단 상태를 웹서버나 스마트폰 등 원격지에서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전체 시스템에서 제어 계측 대상 사물 통합 연동형 범용 아이오티(IoT) 모듈의 특정 특징(기능의 개선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범용 아이오티(IoT) 모듈(104)은 제어 계측 대상이 되는 사물을 원격 제어하는 관리자 단말기(101, 102)와 네트워킹(networking)된 게이트웨이(103)와 각종 사물 간의 범용 접속 인터페이스부(미도시), 상기 관리자 단말기(101, 102)와 사물(105 : 105-1~105-3)을 상기 범용 접속 인터페이스부를 사용해 네트워크 연결하고, 각종 사물(105 : 105-1~105-3)의 등록된 통신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특정 사물의 접속시 접속된 사물의 아이디(ID)와 통신 인터페이스 종류를 설정하여, 상기 설정된 사물의 아이디(ID)와 통신 인터페이스 종류를 기반으로 해당 사물과 관리자 단말기(101, 102) 간의 제어 계측 정보를 중계하는 제어 유닛(미도시)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는 제어 계측 대상이 되는 사물을 원격 제어하는 관리자 단말기(101, 102)와 네트워킹(networking)된 게이트웨이(103)와 각종 사물 간의 범용 접속 인터페이스부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범용 아이오티(IoT) 모듈(104)은 제어유닛(MCU : 마이컴 또는, 프로세서(processor))이 탑재가 된다. 이 제어유닛(MCU)와 제어, 계측의 대상 사물 간에는 명령과 데이터(data)를 송. 수신하는데, 이 둘 간의 통신 인터페이스(Interface(버스(BUS), 방식, 프로토콜))는 다양한 종류가 될 수가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Interface)의 구체적인 종류로 다음과 같다. 첫째, 유선의 경우 GPIO(Digital Input, Digital Output), DAC(Analog Output), ADC(Analog Input), I2C, RS232, SPI PWM, Wifi,Bluetooth 기타 등등이 될 수가 있다. 둘째, 무선의 경우 IRDA, Zigbee, WiFi, Bluetooth, Z-wave, SUN, Insteon, BLE, UWB, 기타 등등 … 이 될 수 있다. 이 때, 인터페이스부에는 위의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위한 결선(PCB 패턴)만 설계를 하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서 일부 인터페이스(interface)의 경우에는 그 인터페이스(interface)에서만 사용하는 부품이 필요할 수도 있는데, 이럴 경우에는 그 부품을 모듈에 탑재(실장)하지 않고, 사물에 탑재하게 하거나, 해당부품만으로 구성된 피씨비 보드(PCB Board)(또는, 회로 보드(Board)-이 부분은 도 1에 도시하지 않았음.)를 별도로 설계 및 개발을 한다. 이렇게 설계함으로써, 범용 아이오티 모듈(IoT)이 범용의 특징을 가지면서도, 범용 아이오티 모듈의 원가상승(재료비증가)이 되지 않도록 설계를 한다. 이를 위해,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사물과 접속하는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위한 결선 구성만으로 된 것이거나 또는, 상기 범용 아이오티(IoT) 모듈(104)은 상기 사물과 접속하는 인터페이스 중 해당 인터페이스에서만 사용하는 고유의 전용 구성요소를 가진 인터페이스가 있는 경우, 해당 인터페이스에서만 사용하는 고유의 전용 구성요소만으로 된 회로 보드를 별도로 분리 구성한다.
제어 유닛은 관리자 단말기(101, 102)와 사물(105 : 105-1~105-3)을 상기 범용 접속 인터페이스부를 사용해 네트워크 연결하고, 각종 사물(105 : 105-1~105-3)의 등록된 통신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특정 사물의 접속시 접속된 사물의 아이디(ID)와 통신 인터페이스 종류를 설정하여, 상기 설정된 사물의 아이디(ID)와 통신 인터페이스 종류를 기반으로 해당 사물과 관리자 단말기(101, 102) 간의 제어 계측 정보를 중계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유닛은 접속된 관리자 단말기(101, 102)의 사물 원격 제어시, 원격 제어되는 사물의 아이디(ID)를 기반으로 제어 계측 대상 사물을 인식하여 해당 통신 인터페이스에 맞게 해당 사물과 인터페이스되도록 한다. 또는, 사물의 계측 정보 수신시, 사물의 아이디(ID)를 기반으로 제어 계측 대상 사물을 인식하여 해당 사물의 통신 인터페이스 종류에 맞게 해당 사물과 인터페이스되도록 한다. 즉, 기존의 아이오티(IoT) 모듈은 특정의 제어계측의 대상과만 통신할 수 있도록 회로가 설계되어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제어 계측 대상의 사물이 추가 될 때, 그 추가된 사물들에 맞게 아이오티(IoT) 모듈을 재 설계 및 개발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렇게 재 설계 및 개발시에는 개발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과 개발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에 비해서, 본 발명의 첫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제어 계측 대상의 사물들이 새롭게 추가되더라도 재설계 없이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개발비용 감소와 개발기간 단축의 장점을 지닌 '범용'특징의 아이오티(IoT) 모듈이다. 새롭게 접속 추가되는 제어 계측 대상이 되는 사물이 있는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은 관리자 단말기(101, 102)(예: 컴퓨터 서버나 또는, 모바일 단말기 앱)로부터 추가된 사물의 아이디와 통신 인터페이스 종류 정보를 업로드받아 설정하고, 상기 추가된 사물과 관리자 단말기(101, 102) 간의 네트워킹시 상기 사물의 아이디(ID)를 기반으로 해당 제어 계측 대상 사물을 인식하고 해당되는 통신 인터페이스 종류에 맞게 추가된 사물과 관리자 단말기(101, 102) 간의 제어 계측 정보를 중계한다. 본 발명만의 둘째 특징을 서술하면 아래와 같다. 기존에는 아이오티(IoT) 모듈이라는 제품의 상용화를 위해서 별도의 외장 케이스(Case)(기구/외장)가 필요했다. 이 케이스(Case) 제작을 위해서 "기구설계, 금형설계, 금형제작" 과정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많은 개발비가 소요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 문제점(많은 개발비 소요)을 해결한다. 첫째 방법, 제어, 계측 대상이 콘센트일 경우 기존 콘센트의 케이스(Case)를 그대로 사용한다. 대신에 기존콘센트의 전기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부분만 본 발명인 아이오티(IoT) 모듈로 교체를 한다. 구체적인 방법은 기존의 콘센트 케이스(Case) 내부에 있는 공간에 아이오티(IoT) 모듈을 넣어서 시공함으로써, 도 1과 같은 시스템을 구성할 수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범용 아이오티(IoT) 모듈(104)은 제어 계측 대상 사물의 케이스(Case) 내부 공간에 시공되고, 해당 사물의 전기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요소(element)와의 전기적 연결 구성을 가진다. 둘째 방법, 단자함, 배전함 등의 밀폐된 케이스(CASE)(공간)에 설치할 경우 각종 건물에는 기존에 설치된 단자함, 배전함 등의 케이스(CASE)가 존재한다. 이 케이스(Case) 내의 여유공간에 케이스(case)가 없는 아이오티(IoT) 모듈을 넣어서 위의 도 1과 같은 시스템을 구성할 수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범용 아이오티(IoT) 모듈(104)은 제어 계측 대상 사물의 관리함의 밀폐된 케이스(Case)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해당 관리함의 전기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요소(element)와의 전기적 연결 구성을 가진다. 셋째 방법, 본 발명품인 아이오티(IoT) 모듈은 범용이기 때문에, 제어, 계측 대상이 달라지더라도, 동일한 디멘션(Dimension)(가로, 세로, 높이)의 아이오티(IoT) 모듈이 사용된다. 따라서, 아이오티(IoT) 모듈을 위한 별도의 케이스(Case)를 개발하지 않고, 이 디멘션(Dimension)에 맞는 기성품 케이스(Case)를 사용하면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계측 대상 사물 통합 연동형 범용 아이오티(IoT) 모듈의 동작을 순서대로 설명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어 계측 대상 사물 통합 연동형 범용 아이오티(IoT) 모듈은 먼저, 각종 사물의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등록 구비한다.
그런 다음, 각종 사물의 등록된 통신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특정 사물의 접속시 접속된 사물의 아이디(ID)와 통신 인터페이스 종류를 설정하여(이 경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사물의 아이디와 통신 인터페이스 종류 정보를 전송받아 설정할 수 있음), 상기 설정된 사물의 아이디(ID)와 통신 인터페이스 종류를 기반으로 해당 사물과 관리자 단말기 간의 제어 계측 정보를 중계한다(S201).
예를 들어, 관리자 단말기의 사물 원격 제어시, 원격 제어되는 사물의 아이디(ID)를 기반으로 제어 계측 대상 사물을 인식하여 해당 통신 인터페이스 종류에 맞게 해당 사물과 인터페이스되도록 한다(S202~S203).
또는, 사물의 계측 정보 수신시, 사물의 아이디(ID)를 기반으로 제어 계측 대상 사물을 인식하여 해당 사물의 통신 인터페이스 종류에 맞게 해당 사물과 인터페이스되도록 한다(S204~S205).
즉, 기존의 아이오티(IoT) 모듈은 특정의 제어계측의 대상과만 통신할 수 있도록 회로가 설계되어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제어 계측 대상의 사물이 추가 될 때, 그 추가된 사물들에 맞게 아이오티(IoT) 모듈을 재 설계 및 개발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렇게 재 설계 및 개발시에는 개발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과 개발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에 비해서, 본 발명은 제어 계측 대상의 사물들이 새롭게 추가되더라도 재설계 없이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새롭게 접속 추가되는 제어 계측 대상이 되는 사물이 있는 경우, 관리자 단말기(예: 컴퓨터 서버나 또는, 모바일 단말기 앱)로부터 추가된 사물의 아이디와 통신 인터페이스 종류 정보를 업로드받아 설정 등록하여 구비하고, 상기 추가된 사물과 관리자 단말기 간의 네트워킹시 상기 사물의 아이디(ID)를 기반으로 해당 제어 계측 대상 사물을 인식하고 해당되는 통신 인터페이스 종류를 식별해 추가된 사물과 관리자 단말기 간의 제어 계측 정보를 중계한다(S206~S207).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범용적인 모듈로 전기를 쓰는 모든 엔드 디바이스(End device : 조명, 센서류, 콘센트, 기타 등등)의 전력계측과 전력제어가 가능하다. 즉, 엔드 디바이스(End device)의 소비전력량을 측정할 수 있는 각각의 전력계측 및 제어장치를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각각의 전력계측 및 제어장치로부터 측정된 소비전력량을 통합하여 관리함과 동시에, 전력계측 및 제어장치의 사용/차단 상태를 웹서버나 스마트폰 등 원격지에서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아이오티(IoT) 모듈은 특정의 제어계측의 대상과만 통신할 수 있도록 회로가 설계되어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제어 계측 대상의 사물이 추가 될 때, 그 추가된 사물들에 맞게 아이오티(IoT) 모듈을 재 설계 및 개발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렇게 재 설계 및 개발시에는 개발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과 개발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에 비해서, 본 발명은 제어 계측 대상의 사물들이 새롭게 추가되더라도 재설계 없이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개발비용 감소와 개발기간 단축의 장점을 지닌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컴퓨터 서버 102 : 모바일 단말기
103 : 게이트웨이
104 : 제어 계측 대상 사물 통합 연동형 범용 아이오티(IoT) 모듈
105 : 사물

Claims (6)

  1. 제어 계측 대상이 되는 사물을 원격 제어하는 관리자 단말기와 네트워킹(networking)된 게이트웨이와 각종 사물 간의 범용 접속 인터페이스부;
    상기 관리자 단말기와 사물을 상기 범용 접속 인터페이스부를 사용해 네트워크 연결하는 제어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각종 사물의 등록된 통신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특정 사물의 접속시 접속된 사물의 아이디(ID)와 통신 인터페이스 종류를 설정하여, 상기 설정된 사물의 아이디(ID)와 통신 인터페이스 종류를 기반으로 해당 사물과 관리자 단말기 간의 제어 계측 정보를 중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계측 대상 사물 통합 연동형 범용 아이오티(IoT)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범용 접속 인터페이스부는,
    인터페이스를 위한 결선 구성만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계측 대상 사물 통합 연동형 범용 아이오티(IoT)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범용 아이오티(IoT) 모듈은,
    상기 사물과 접속하는 인터페이스 중 해당 인터페이스에서만 사용하는 고유의 전용 구성요소를 가진 인터페이스가 있는 경우, 해당 인터페이스에서만 사용하는 고유의 전용 구성요소만으로 된 회로 보드를 별도로 분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계측 대상 사물 통합 연동형 범용 아이오티(IoT)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새롭게 접속 추가되는 제어 계측 대상이 되는 사물이 있는 경우, 상기 외부 서버나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추가된 사물의 아이디와 통신 인터페이스 종류 정보를 업로드받아 설정 등록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계측 대상 사물 통합 연동형 범용 아이오티(IoT) 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범용 아이오티(IoT) 모듈은,
    제어 계측 대상 사물의 케이스(Case) 내부 공간에 시공되고, 해당 사물의 전기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요소(element)와의 전기적 연결 구성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계측 대상 사물 통합 연동형 범용 아이오티(IoT) 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범용 아이오티(IoT) 모듈은,
    제어 계측 대상 사물의 관리함의 밀폐된 케이스(Case)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해당 관리함의 전기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요소(element)와의 전기적 연결 구성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계측 대상 사물 통합 연동형 범용 아이오티(IoT) 모듈.
KR1020150084586A 2015-06-15 2015-06-15 제어 계측 대상 사물 통합 연동형 범용 아이오티(IoT) 모듈 KR201601475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4586A KR20160147595A (ko) 2015-06-15 2015-06-15 제어 계측 대상 사물 통합 연동형 범용 아이오티(IoT)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4586A KR20160147595A (ko) 2015-06-15 2015-06-15 제어 계측 대상 사물 통합 연동형 범용 아이오티(IoT)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7595A true KR20160147595A (ko) 2016-12-23

Family

ID=57736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4586A KR20160147595A (ko) 2015-06-15 2015-06-15 제어 계측 대상 사물 통합 연동형 범용 아이오티(IoT)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7595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92861A (zh) * 2017-12-13 2018-05-29 深圳绿米联创科技有限公司 实现设备联动的配置方法、设备联动控制方法及装置
KR20180082789A (ko) 2017-01-11 2018-07-19 문희열 다중 통신망을 이용한 IoT 네트워크 시스템
WO2018221949A1 (ko) * 2017-06-01 2018-12-06 주식회사 빛컨 탈부착 가능한 하드웨어 모듈을 이용한 적응성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KR20190046168A (ko) 2017-10-25 2019-05-07 문희열 다기종 통신 모듈을 제어가능한 리모컨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
KR101982578B1 (ko) 2018-02-23 2019-05-27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종 엔드디바이스의 신호처리가 가능한 멀티커넥트 게이트웨이 시스템
KR102196037B1 (ko) 2019-08-21 2020-12-29 (주)에어릭스 지능형 통합 관리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2789A (ko) 2017-01-11 2018-07-19 문희열 다중 통신망을 이용한 IoT 네트워크 시스템
WO2018221949A1 (ko) * 2017-06-01 2018-12-06 주식회사 빛컨 탈부착 가능한 하드웨어 모듈을 이용한 적응성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US10715602B2 (en) 2017-06-01 2020-07-14 Vitcon Co., Ltd. Adaptive internet-of-things service system using detachable/attachable hardware module
KR20190046168A (ko) 2017-10-25 2019-05-07 문희열 다기종 통신 모듈을 제어가능한 리모컨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
CN108092861A (zh) * 2017-12-13 2018-05-29 深圳绿米联创科技有限公司 实现设备联动的配置方法、设备联动控制方法及装置
KR101982578B1 (ko) 2018-02-23 2019-05-27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종 엔드디바이스의 신호처리가 가능한 멀티커넥트 게이트웨이 시스템
KR102196037B1 (ko) 2019-08-21 2020-12-29 (주)에어릭스 지능형 통합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47595A (ko) 제어 계측 대상 사물 통합 연동형 범용 아이오티(IoT) 모듈
US7623043B2 (en) Method and system for metering consumption of energy
US9634738B2 (en) Hybrid power line/wireless appliance automation system, device, and power monitoring method utilizing the same
JP6246186B2 (ja) プログラム可能な電気制御装置
US20090167494A1 (en) Intelligent Power Cord Device ( iCord)
US8415826B2 (en) Power outlet apparatus with multiple sockets detection, and detection method thereof
US9280505B2 (en) System on a module for smart grid nodes
CN103208763A (zh) 有wlan能力的暗装式电安装设备
JP2018510597A (ja) 電力供給を制御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40026005A (ko) 모듈형 온습도 센서
KR20120135761A (ko) 분전반을 이용한 통합 감시?제어 시스템
KR101902465B1 (ko) 모듈화된 가로등 제어기
CN107078479B (zh) 安装在住宅的墙壁中的电连接点和包括至少一个这样的连接点的电气设施
CN108429097A (zh) 一种智能空调插座
CN208299149U (zh) 一种智能空调插座
WO2018129578A1 (en) Intelligent power distribution system
US9343861B2 (en) Communication module adaptor
CN205281145U (zh) 一种用于智能家居的控制装置
US10862277B1 (en) Electric power distribution panel
EP3070800B1 (en) Electrical system for installation in a building
CN205247614U (zh) 一种基于红外转发的控制系统
NL2020174B1 (en) Control device for an electrical load and cover plate
KR20190052442A (ko) Iot 기반의 스마트 조명 모듈
KR101865152B1 (ko) 원격 제어 및 계측 기반의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EP3610610B1 (en) Modular multifunctional home automation device adapted to be inserted as an element in an electrical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