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7467A - Diesel engine - Google Patents
Diesel eng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47467A KR20160147467A KR1020150084246A KR20150084246A KR20160147467A KR 20160147467 A KR20160147467 A KR 20160147467A KR 1020150084246 A KR1020150084246 A KR 1020150084246A KR 20150084246 A KR20150084246 A KR 20150084246A KR 20160147467 A KR20160147467 A KR 2016014746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haust
 - cylinder
 - valve
 - closing
 - open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9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6
 - MWUXSHHQAYIFBG-UHFFFAOYSA-N nitrogen oxide Inorganic materials O=[N] MWUXSHHQAYIFB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0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6722 reduc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10349 pul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618 particulate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31 catalytic reduc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60 explo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34 recircul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 soot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71 soo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25—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41/0047—Controlling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 F01L13/0015—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3/00—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 F02D13/02—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during engine operation
 - F02D13/0242—Variable control of the exhaust valves only
 - F02D13/0246—Variable control of the exhaust valves only changing valve lift or valve lift and tim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25—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41/0047—Controlling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 F02D41/005—Controlling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according to engine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052—Feedback control of engine parameters, e.g. for control of air/fuel ratio or intake air amou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45—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EGR systems
 - F02M26/46—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EGR systems for deter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gases, e.g. composition
 - F02M26/47—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EGR systems for deter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gases, e.g. composition the characteristics being temperatures, pressures or flow 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젤 엔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기가스를 재순환시키는 디젤 엔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esel eng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esel engine that recirculates exhaust gas.
일반적으로 산업용 차량과 건설 기계에는 가솔린 엔진에 비하여 출력 토크가 크고 연비가 높은 디젤 엔진이 사용된다. 디젤 엔진의 사용량 증가에 따라 디젤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그을음(soot), 가용성 유기분(Soluble Organic Fraction; SOF) 등의 입자상 물질(Particulate Matter; PM)과 질소 산화물(nitrogen oxides; NOx)의 배출량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 대기 오염의 주원인으로 지적되고 있어 이들 물질에 대한 배출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디젤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유해물질을 저감시키기 위해 매연여과장치(Diesel Particulate Filter; DPF), 선택적 환원촉매(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등 후처리 기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시스템 운영 비용 및 연비 향상 측면에서 효율적인 것은 배기가스 재순환(Exhaust Gas Recirculation; 재순환)을 활용한 질소산화물(NOx) 저감 기술이다. 배기가스 재순환 기술은 엔진 연소 단계에서 질소산화물의 생성 자체를 억제시키는 점에서 효율적이다.In general, industrial vehicles and construction machines use diesel engines with higher output torque and higher fuel efficiency than gasoline engines. Particulate matter (PM) and nitrogen oxides (NOx) such as soot, soluble organic fraction (SOF) and the like contained in the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diesel engine as the usage of the diesel engine increases. ) Are increasing. This is pointed out as the main cause of air pollution, and the regulation of emission of these substances is increasing. Diesel particulate filters (DPF) and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have been studied to reduce harmful substances emitted from diesel engines. However, system operation cost and fuel efficiency improvement In terms of efficiency, it is a nitrogen oxide (NOx) reduction technique utilizing exhaust gas recirculation (recirculation). The exhaust gas recirculation technique is effective in suppressing the generation of nitrogen oxides in the combustion stage of the engine.
         도 1은 배기가스 재순환 시스템을 구비하는 엔진 시스템의 일례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배기가스 재순환 시스템을 구비하는 엔진 시스템은 실린더블록(1), 흡기 라인(2), 배기 라인(3), 재순환 유로(4), 재순환 밸브(5), 재순환 유량센서(6), 재순환 쿨러(7)를 포함할 수 있다. 흡기 라인(2)은 실린더블록(1)의 연소실과 연결되고, 연소용 공기는 흡기 라인(2)을 통해 실린더블록(1)의 연소실로 공급될 수 있다. 실린더블록(1)이 복수의 실린더를 포함하는 경우, 흡기 라인(2)은 흡기 매니폴드를 통해 실린더블록(1)과 연결될 수 있다. 배기 라인(3)은 실린더블록(1)의 연소실과 연결되고, 배기가스는 배기 라인(3)을 통해 연소실로부터 배출된다. 실린더블록(1)이 복수의 실린더를 포함하는 경우, 배기 라인(3)은 배기 매니폴드를 통해 실린더블록(1)과 연결될 수 있다. 재순환 유로(4)는 배기 라인(3)으로부터 분기되어 흡기 라인(2)에 합류된다. 실린더블록(1)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일부는 재순환 유로(4)를 통해 다시 흡기 라인(2)으로 재순환된다. 재순환 유로(4)를 통해 재순환된 배기가스는 흡기 라인(2)을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된 신기와 혼합되어 실린더블록(1)의 연소실로 공급된다. 재순환 밸브(5)는 재순환 유로(4) 상에 설치되어 재순환되는 배기가스의 유량을 조절한다. 재순환 쿨러(7)는 재순환 유로(4)에 설치되어 재순환 유로(4)를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낮춘다. 재순환 유량센서(6)는 재순환 유로(4)를 통해 재순환되는 배기가스의 유량을 측정한다. 배기가스 재순환 시스템은 연소실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일부를 연소실로 재순환시켜 연소온도를 낮춤으로써 질소산화물(NOx)의 발생을 감소시킨다.1 is an example of an engine system having an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1, an engine system having an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includes a 
         그런데, 배기가스 재순환 시스템을 구비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엔진에 재순환 유로(4), 재순환 밸브(5), 재순환 유량센서(6), 재순환 쿨러(7) 등을 추가로 설치해야만 한다. 이에 따라 엔진의 레이아웃이 복잡해지고, 협소한 엔진룸으로 인하여 배기가스 재순환 시스템의 설치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도 발생한다. 또한, 부품의 추가로 인하여 제조 및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도 있다. However, in order to provide the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the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재순환 유로 및 재순환 밸브와 같은 배기가스 재순환을 위한 별도의 부재를 추가로 설치하지 않고도 배기가스 재순환을 구현할 수 있는 디젤 엔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o provide a diesel engine capable of realizing exhaust gas recirculation without additionally providing a separate member for exhaust gas recirculation such as a recirculation passage and a recirculation valve do.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어도 둘의 실린더를 포함하는 실린더블록; 상기 적어도 둘의 실린더의 배기 포트들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배기 매니폴드; 및 상기 실린더 내부의 배기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배기 포트를 개방하는 배기 밸브를 포함하고, 엔진의 1사이클 동안, 상기 배기 밸브는 배기 행정시 상기 배기 포트를 1회 개폐시키는 1차 개폐 후, 상기 배기 매니폴드의 압력이 상기 배기 밸브가 속하는 상기 실린더 내부의 압력보다 클 때 상기 배기 포트를 적어도 1회 더 개폐시키는 2차 개폐를 수행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ylinder block including at least two cylinders; An exhaust manifold extending from the exhaust ports of the at least two cylinders, respectively; And an exhaust valve for opening the exhaust port to exhaust exhaust gas inside the cylinder, wherein, during one cycle of the engine, after the exhaust valve is first opened and closed to open and close the exhaust port once during an exhaust stroke, Closing the exhaust port at least once when the pressure of the exhaust manifold is greater than the pressure inside the cylinder to which the exhaust valve belongs.
상기 2차 개폐시, 상기 배기 밸브는 상기 배기 매니폴드와 상기 배기 밸브가 속하는 상기 실린더 내부의 압력차이가 가장 클 때 상기 배기 포트를 최대로 개방시킬 수 있다.The exhaust valve can open the exhaust port to the maximum when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exhaust manifold and the cylinder to which the exhaust valve belongs is greatest.
상기 2차 개폐는, 크랭크각이 430도 내지 450도일 때 또는 상기 크랭크각이 550도 내지 570도일 때 상기 배기 밸브가 최대 리프트량을 가지도록 수행될 수 있다.The secondary opening and closing can be performed so that the exhaust valve has a maximum lift amount when the crank angle is 430 to 450 degrees or when the crank angle is 550 to 570 degre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엔진의 1사이클 동안 배기 밸브가 1차 개폐 후 다시 한번 배기 포트를 개폐시키는 2차 개폐에 의해 배기가스가 연소실로 다시 유입됨으로써, 별도의 배기가스 재순환 유로 및 관련 부품을 구비할 필요 없이 배기가스 재순환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haust gas flows back into the combustion chamber by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of the exhaust port once again after the exhaust valve is first opened and closed for one cycle of the engin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exhaust gas recirculation can be realized without having to provide part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2차 개폐시 배기 매니폴드와 실린더 내부의 압력차이가 가장 클 때 리프트량이 최대가 됨으로써, 충분한 양의 배기가스 재순환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exhaust manifold and the inside of the cylinder during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is greatest, the lift amount is maximized, thereby achieving a sufficient exhaust gas recirculation.
         도 1은 배기가스 재순환 시스템을 구비하는 엔진 시스템의 일례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젤 엔진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젤 엔진에 있어서 1사이클 동안의 배기 밸브의 1차 개폐시의 밸브 리프트 및 2차 개폐시의 밸브 리프트, 배기 매니폴드의 압력 변화, 실린더 내부의 압력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복수의 2차 개폐 사례들에 대한 EGR률 및 성능 저감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1 is an example of an engine system having an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2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diesel eng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lve lift during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of the exhaust valve and the valve lift during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of the exhaust valve during one cycle of the diesel eng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sure change in the exhaust manifold, FIG. 
 4 is a graph showing the EGR rate and the performance reduction rate for the plurality of secondary opening and closing cases shown in FIG.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젤 엔진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젤 엔진은 실린더블록(10), 흡기 라인(20), 흡기 매니폴드(22), 흡기 포트(24), 흡기 밸브(26), 배기 라인(30), 배기 매니폴드(32), 배기 포트(34), 배기 밸브(36), 피스톤(16), 커넥팅로드(18), 크랭크축(40)을 포함할 수 있다.2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diesel eng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 diesel eng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실린더블록(10)에는 적어도 둘의 실린더(12)가 구비된다. 복수의 실린더(12)는 특정한 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젤 엔진은, 예컨대 I형, V형 엔진 등과 같이 다양한 형식의 엔진일 수 있다. 각 실린더(12)에는 피스톤(16)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실린더(12) 내부에는 연소실(14)이 형성된다. 각 실린더(12)의 연소실(14)에는 적어도 하나의 흡기 포트(24) 및 적어도 하나의 배기 포트(34)가 형성된다. 흡기 포트(24)를 통해 공기 또는 공기와 연료의 혼합가스가 연소실(14)로 유입될 수 있고, 배기 포트(34)를 통해 배기가스가 연소실(14)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At least two cylinders (12) are provided in the cylinder block (10). The plurality of 
         흡기 라인(20)은 각 실린더(12)의 흡기 포트(24)들과 각각 연결되는데, 흡기 라인(20)과 복수의 흡기 포트(24)들 사이에는 흡기 매니폴드(22)가 형성된다. 배기 라인(30)은 각 실린더의 배기 포트(34)들과 각각 연결되는데, 배기 라인(30)과 복수의 배기 포트(34)들 사이에는 배기 매니폴드(32)가 형성된다. 흡기 매니폴드(22)는 흡기 라인(20)으로부터 분기되어 각 실린더의 흡기 포트(24)까지 연장될 수 있고, 배기 매니폴드(32)는 각 실린더의 배기 포트(34)들로부터 연장되어 배기 라인(30)에 합류될 수 있다. 흡기 라인(20)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 또는 공기와 연료의 혼합가스는 흡기 라인(20)을 통해 이동한 후 흡기 매니폴드(22)에서 분배되어 각 실린더(12)의 연소실(14)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각 실린더(12)의 연소실(14)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배기 매니폴드(32)를 통해 배기 라인(30)으로 합류될 수 있다. 흡기 밸브(26) 및 배기 밸브(36)는 흡기 포트(24) 및 배기 포트(34)를 각각 개방 및 폐쇄시킨다. 흡기 포트(24) 및 배기 포트(34)가 개방되면 공기 및 배기가스가 연소실(14)로 흡입 및 배출될 수 있고, 흡기 포트(24) 및 배기 포트(34)가 폐쇄되면 공기 및 배기가스는 연소실(14)로 유입되거나 배출될 수 없다.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젤 엔진은 1사이클이 흡입, 압축, 폭발, 배기의 4행정으로 이루어지는 엔진일 수 있다. 각 실린더(12)의 피스톤(16)은 폭발 행정시 발생되는 폭발력에 의해 실린더(12) 내를 상하운동하며, 피스톤(16)의 상하 운동에 의해 피스톤(16)과 커넥팅로드(18)로 연결되는 크랭크축(40)은 회전한다. 이때, 각 실린더(12)의 폭발 타이밍은 서로 다를 수 있다. The diesel eng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engine in which one cycle consists of four strokes of suction, compression, explosion, and exhaust.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젤 엔진에 있어서 1사이클 동안의 배기 밸브 의 1차 개폐시의 밸브 리프트 및 2차 개폐시의 밸브 리프트, 배기 매니폴드의 압력 변화, 실린더 내부의 압력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 매니폴드(32)의 압력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아니라 각 실린더(12)의 배기 행정에 의해 주기적으로 오르내리는데, 이를 배기 맥동 현상이라고 한다. 도 3에서는 크랭크축(40)이 720도 회전하여 1사이클이 진행되는 동안 배기 매니폴드(32)에는 배기 맥동이 6회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젤 엔진이 6개의 실린더를 가지는 6기통 엔진이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서, 일반적으로 배기 매니폴드(32)에는 1사이클 동안 실린더(12)의 개수와 동일한 횟수로 배기 맥동이 발생한다. 예컨대, 4기통 엔진에서는 1사이클 동안 배기 맥동이 4회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는 각 실린더의 점화 순서, 실린더의 배치 형태, 배기 밸브 리프트 타이밍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3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lve lift during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of the exhaust valve and the valve lift during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of the exhaust valve during one cycle of the diesel eng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sure change in the exhaust manifold, FIG. 3, the pressure of the 
         배기 밸브(36)는 엔진의 1사이클 동안 배기 포트(34)를 적어도 2회 개폐시킨다. 배기 밸브(36)가 배기 행정시 배기 포트(34)를 개폐시키는 동작을 1차 개폐로 정의하고, 엔진의 1사이클 동안 1차 개폐 이후 다시 배기 밸브(36)가 배기 포트(34)를 개폐시키는 동작을 2차 개폐로 정의한다. The 
         1차 개폐는 배기 행정시에 수행되고, 1차 개폐에 의해 연소에 의해 발생된 배기가스의 통상적인 배기가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배기 행정시 배기 밸브(36)의 1차 개폐에 의해 배기 포트(34)가 개방되었다가 폐쇄되는데, 배기 포트(34)가 개방되는 동안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배기가스가 배기 포트(34)를 통해 배출된다. The primary opening and closing is performed at the time of the exhaust stroke, and the normal exhaust of the exhaust gas generated by the combustion by the primary opening and closing is performed. In other words, the 
         2차 개폐는 1차 개폐의 완료 후 흡입 행정의 시작부터 압축 행정의 끝 사이에 수행될 수 있는데, 특정 배기 밸브(36)가 속하는 실린더(12)의 압력보다 배기 매니폴드(32)의 압력이 클 때 해당 배기 밸브(36)가 배기 포트(34)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실린더(12)가 구비되고, 배기가스가 배기 매니폴드(32)를 통해 배출되는 엔진에서는 어느 하나의 실린더의 배기 밸브(36)가 닫혀있더라도 다른 실린더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의해 배기 매니폴드(32)에 배기 맥동이 발생한다. 또한, 배기 매니폴드(32)는 각 실린더(12)의 배기 포트(34)와 연결되기 때문에 배기 매니폴드(32)의 압력 변화는 각 실린더(12)의 배기 포트(34)에 그대로 작용한다. 따라서, 배기 매니폴드(32)의 압력이 실린더(12)의 압력보다 클 때 수행되는 2차 개폐에 의해 연소실(14)로부터 배기 매니폴드(32)로 배출된 배기가스의 일부가 다시 연소실(14)로 유입된다. 즉, 2차 개폐시 배기 밸브(36)가 배기 포트(34)를 개방시키면, 배기 매니폴드(32)와 실린더(12) 사이의 압력차이로 인하여 압력이 큰 배기 매니폴드(32)로부터 압력이 작은 실린더(12)로 배기가스가 다시 유입된다. 이와 같은 2차 개폐는 1사이클 동안 적어도 1회 수행되며, 엔진의 특성에 따라서는 2회 이상 수행될 수도 있다.The secondary opening and closing can be performed between the start of the intake stroke and the end of the compression stroke after completion of the primary opening and closing of the 
         한편, 2차 개폐시의 배기 밸브(36)의 리프트량은 1차 개폐시의 배기 밸브(36)의 리프트량보다 더 작은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리프트량은 배기 밸브(36)가 배기 포트(34)를 개방시키기 위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2차 개폐시 연소실(14)로 재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양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리프트량을 증가시키거나 2차 개폐 횟수를 늘림으로써 배기가스 재순환률(EGR률)을 높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ift amount of the 
         또한, 충분한 양의 배기가스 재순환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배기 매니폴드(32)와 배기 밸브(36)가 속하는 실린더(12) 내부의 압력차이가 가장 클 때 리프트량이 최대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배기 매니폴드(32)와 배기 밸브(36)가 속하는 실린더(12) 내부의 압력차이가 가장 클 때 배기 밸브(36)는 배기 포트(34)를 최대로 개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order to cause a sufficient amount of exhaust gas recirculation, it is desirable that the lift amount is maximized when the pressure difference within the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복수의 2차 개폐 사례들에 대한 EGR률 및 성능 저감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에는, 2차 개폐가 서로 다른 크랭크각에서 개별적으로 수행되었을 때의 EGR률 및 성능 저감률이 도시된다. 도 3 및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수의 2차 개폐 사례(case)들은 모두 배기 매니폴드(32)의 압력이 배기 밸브(36)가 속하는 실린더(12) 내부의 압력보다 클 때 수행되었더라도, 배기 매니폴드(32)와 실린더(12) 내부의 압력차이가 가장 클 때 밸브 리프트량이 가장 큰 3번 및 15번 사례가 EGR률은 크면서도 성능저감률은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4 is a graph showing the EGR rate and the performance reduction rate for the plurality of secondary opening and closing cases shown in FIG. FIG. 4 shows the EGR rate and the performance reduction rate when the secondary opening and closing is performed separately at different crank angles. As shown in Figs. 3 and 4, even when the plurality of secondary open / close cases are all performed when the pressure of the 
         배기 매니폴드(32)와 실린더(12) 내부의 압력차이가 가장 큰 시점은 엔진의 특성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컨대, 6기통 엔진의 경우 배기 밸브(36)의 1차 개폐 타이밍과 배기 매니폴드(32)의 체적 및 러너(runner)의 길이에 따라 배기 맥동의 위상차가 발생하지만, 일반적으로 크랭크각이 430도 내지 450도일 때 또는 크랭크각이 550도 내지 570도일 때 최대 리프트량을 가지도록 2차 개폐가 수행되면 큰 EGR률을 얻을 수 있으면서도 성능저감률은 낮출 수 있다.The timing at which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엔진의 1사이클 동안 배기 밸브(36)가 1차 개폐 후 다시 한번 배기 포트(34)를 개폐시키는 2차 개폐에 의해 배기가스가 연소실로 다시 유입됨으로써, 별도의 배기가스 재순환 유로 및 관련 부품을 구비할 필요 없이 배기가스 재순환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NOx의 발생이 감소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haust gas flows back into the combustion chamber by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of th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limi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실린더블록                            12: 실린더
14: 연소실                                16: 피스톤
18: 커넥팅로드                            20: 흡기 라인
22: 흡기 매니폴드                          24: 흡기 포트
26: 흡기 밸브                              30: 배기 라인
32: 배기 매니폴드                          34: 배기 포트
36: 배기 밸브                              40: 크랭크축10: cylinder block 12: cylinder 
 14: combustion chamber 16: piston 
 18: connecting rod 20: intake line 
 22: intake manifold 24: intake port 
 26: intake valve 30: exhaust line 
 32: exhaust manifold 34: exhaust port 
 36: exhaust valve 40: crankshaft
      
Claims (3)
상기 적어도 둘의 실린더의 배기 포트들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배기 매니폴드; 및
상기 실린더 내부의 배기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배기 포트를 개방하는 배기 밸브를 포함하고,
엔진의 1사이클 동안, 상기 배기 밸브는 배기 행정시 상기 배기 포트를 1회 개폐시키는 1차 개폐 후, 상기 배기 매니폴드의 압력이 상기 배기 밸브가 속하는 상기 실린더 내부의 압력보다 클 때 상기 배기 포트를 적어도 1회 더 개폐시키는 2차 개폐를 수행하는 디젤 엔진.A cylinder block including at least two cylinders;
An exhaust manifold extending from the exhaust ports of the at least two cylinders, respectively; And
And an exhaust valve for opening the exhaust port to exhaust exhaust gas inside the cylinder,
The exhaust valv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during one cycle of the engine, when the pressure of the exhaust manifold is greater than a pressure inside the cylinder to which the exhaust valve belongs, the exhaust valve A diesel engine for performing a second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for opening and closing at least one time.
상기 2차 개폐시, 상기 배기 밸브는 상기 배기 매니폴드와 상기 배기 밸브가 속하는 상기 실린더 내부의 압력차이가 가장 클 때 상기 배기 포트를 최대로 개방시키는 디젤 엔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haust valve opens the exhaust port to the maximum when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exhaust manifold and the cylinder to which the exhaust valve belongs is greatest.
상기 2차 개폐는, 크랭크각이 430도 내지 450도일 때 또는 상기 크랭크각이 550도 내지 570도일 때 상기 배기 밸브가 최대 리프트량을 가지도록 수행되는 디젤 엔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ary opening and closing is performed so that the exhaust valve has a maximum lift amount when the crank angle is 430 to 450 degrees or when the crank angle is 550 to 570 degrees.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084246A KR20160147467A (en) | 2015-06-15 | 2015-06-15 | Diesel engi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084246A KR20160147467A (en) | 2015-06-15 | 2015-06-15 | Diesel engin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60147467A true KR20160147467A (en) | 2016-12-23 | 
Family
ID=5773609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084246A Ceased KR20160147467A (en) | 2015-06-15 | 2015-06-15 | Diesel engin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60147467A (en)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20059928A (en) | 2010-12-01 | 2012-06-1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n exhaust gas recirculation apparatus of engine | 
- 
        2015
        
- 2015-06-15 KR KR1020150084246A patent/KR20160147467A/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20059928A (en) | 2010-12-01 | 2012-06-1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n exhaust gas recirculation apparatus of engin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6273051B2 (en) | How to operate a ported uniflow scavenging opposed piston engine | |
| CN103026024B (en) | EGR Structure for Opposed Piston Engines | |
| EP2397681A2 (en) |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 US8453625B2 (en) | Method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 US9388770B2 (en) |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for engine | |
| CN107575276B (en) | Engine system and method and system for engine | |
| CN101680371A (en) |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 EP2368028A1 (en) |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method of operating such engine | |
| CN108087159A (en) | For the gas recirculation system of engine | |
| EP2609315B1 (en) | Method for reducing emissions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 JP2013007353A (en) | Lean burn engine with supercharger | |
| CN103423034B (en) | The method of operation large cross-head reciprocating piston type internal combustion motor and motor | |
| US8100099B2 (en) | Method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 |
| CN207761835U (en) | Gas recirculation system for engine | |
| EP1291507B1 (en) | Two-cycle self-ignition gasoline engine | |
| EP3514361A1 (en) | Multi-cylinder engine, and cylinder head | |
| KR20160147467A (en) | Diesel engine | |
| US20050081836A1 (en) | Four cylinder engine with internal exhaust gas recirculation | |
| RU2510650C2 (en) | Control method of propulsion installation operation | |
| JP3940799B2 (en) | NOx reduction type diesel engine | |
| US20160305373A1 (en) | Multi-cylinder engine | |
| KR100528233B1 (en) | Hi-Pulse Turbo-Charging System for Multi-Cylinder Diesel Engine | |
| CN101943093B (en) | Distribution auxiliary device of engine | |
| KR101405550B1 (en) | Pulse switching Exhaust Gas Recirculation apparatus | |
| JP6032802B2 (en) | EGR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15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6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6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3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108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3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