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7247A - 행정거리가 짧은 펌프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 Google Patents

행정거리가 짧은 펌프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7247A
KR20160147247A KR1020160169644A KR20160169644A KR20160147247A KR 20160147247 A KR20160147247 A KR 20160147247A KR 1020160169644 A KR1020160169644 A KR 1020160169644A KR 20160169644 A KR20160169644 A KR 20160169644A KR 20160147247 A KR20160147247 A KR 20160147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cylinder
container
contents
stroke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9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도훈
Original Assignee
펌텍코리아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펌텍코리아 (주) filed Critical 펌텍코리아 (주)
Priority to KR1020160169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7247A/ko
Publication of KR20160147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72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3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1Airtight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행정거리가 짧은 펌프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본체 상부에 펌프지지대를 판 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펌프지지대 상에 펌프를 결합하되, 상기 펌프는 종래와 같이 피스톤, 피스톤링, 실린더, 흡입밸브판으로 형성된 펌프를 사용하고, 상기 펌프의 행정거리를 1.5㎜ 내지 2.5㎜로 축소시키는 동시에 펌프의 행정거리와 실린더 내경의 비율을 종래의 1:1 내지 1:3에서 1:5.5 내지 1:13의 비율로 변경하여 형성함으로써 용기본체 내에 내용물 수용공간을 최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펌프의 실린더 상부에 부싱을 결합하되, 상기 부싱의 단부를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하며 상기 부싱과 상하이동부재 사이에 0.3㎜ 내지 1.2㎜의 틈새를 형성하여 상기 상하이동부재가 부싱 내에서 유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 펌프의 행정거리를 짧게 함으로써 화장품 펌핑 방법이 배출판의 중심부를 수직으로 가압해야 하는 것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배출판의 어느 부위를 가압하여도 용이하게 화장료가 배출되도록 하는 행정거리가 짧은 펌프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측에 버튼(11)이 형성된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되는 용기뚜껑(20)으로 이루어진 콤팩트 용기에 있어서, 내용물 수용공간(31)이 형성된 내용기(30)와; 상기 내용기(30) 상부에 결합되어 내용기(30)를 밀폐시키고, 중앙에 실린더(51)가 형성된 펌프지지대(40)와; 상기 펌프지지대(40) 중앙 상부에 설치되어 내용물을 펌핑하며 행정거리가 1.5mm 내지 2.5mm 이고, 상기 행정거리와 실린더(51) 내경의 비율이 1:5 내지 1:13으로 형성된 펌프(50)로 구성되는 행정거리가 짧은 펌프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행정거리가 짧은 펌프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Compact container having a pump with short stroke distance}
본 발명은 행정거리가 짧은 펌프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본체 상부에 펌프지지대를 판 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펌프지지대 상에 펌프를 결합하되, 상기 펌프는 종래와 같이 피스톤, 피스톤링, 실린더, 흡입밸브판으로 형성된 펌프를 사용하고, 상기 펌프의 행정거리를 1.5㎜ 내지 2.5㎜로 축소시키는 동시에 펌프의 행정거리와 실린더 내경의 비율을 종래의 1:1 내지 1:3에서 1:5.5 내지 1:13의 비율로 변경하여 형성함으로써 용기본체 내에 내용물 수용공간을 최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펌프의 실린더 상부에 부싱을 결합하되, 상기 부싱의 단부를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하며 상기 부싱과 상하이동부재 사이에 0.3㎜ 내지 1.2㎜의 틈새를 형성하여 상기 상하이동부재가 부싱 내에서 유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 펌프의 행정거리를 짧게 함으로써 화장품 펌핑 방법이 배출판의 중심부를 수직으로 가압해야 하는 것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배출판의 어느 부위를 가압하여도 용이하게 화장료가 배출되도록 하는 행정거리가 짧은 펌프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에 관한 것이다.
색조화장품이란 용모를 아름답게 변화시켜 피부를 아름답게 연출하려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피부색을 균일하게 하고 결점을 커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베이스 메이크업과 입술, 눈, 손톱 등 부분적으로 입체감을 높이는 포인트 메이크업으로 구분되며, 베이스 메이크업에는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포인트 메이크업에는 립스틱,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파운데이션은 화장료의 형태에 따라 고형 파운데이션, 액상 파운데이션, 겔상 파운데이션으로 구분되며, 고형 파운데이션의 경우 커버력은 높지만 수정 화장 시 뭉치는 단점이 있고, 액상 파운데이션의 경우 밀착감은 좋으나 지속력이 약한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 들어 상당한 지속력을 가지며 또한 피부에 도포 시 밀착감이 좋은 겔상 파운데이션을 선호하는 소비자들이 많아졌다.
이에 따라 겔상 파운데이션에 대한 용기의 개발도 필요하게 되었는데 일반적으로 겔상 파운데이션을 유리 용기나, 튜브 용기에 충전하여 사용 시에 사용자가 손에 덜거나, 짜내어 퍼프나 손을 이용하여 피부에 도포하는 방식으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종래 기술은 사용자가 사용 시마다 손에 화장료를 묻히게 됨으로써 매번 손을 씻어야 하는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고, 상기와 같이 화장료가 묻은 손을 씻음에 따라 화장료가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1424호로 에어리스펌프를 갖는 콤팩트 용기를 개시하였는데, 이 종래 발명은 용기본체 내에 겔 화장료를 충전하고 버튼의 누름에 의해 펌프가 작동하여 겔 화장료가 배출판 위로 배출되게 한 후 퍼프로 찍어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사용 시에 화장료를 손에 묻히지 않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종래에 사용되는 펌프(100)는 실린더(101), 피스톤(102), 피스톤링(103), 흡입밸브판(104), 상하이동부재(105) 및 부싱(106)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펌프(100)가 용기본체 내부 중앙에 설치되되 구조상 용기본체의 바닥면까지 닿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용기본체 내에서 차지하는 부피가 크기 때문에 정작 내용물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범위가 좁아지므로 용기본체 내에 수용된 내용물의 양이 적어서 화장품을 짧은 기간밖에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종래에 화장품에 사용되는 펌프(100)는 행정거리가 3.0㎜ 내지 6.3㎜로 형성되고 펌프(100)의 행정거리와 실린더(101) 내경이 1:1 내지 1:3의 비율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펌프를 용기본체 내부에 설치하였던 종래의 구조에서 펌프를 용기본체 상부에 설치하도록 변경하여 용기본체 내의 내용물 수용공간을 확대시킬 필요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펌프(100)는 피스톤(102)의 중심축과 실린더(101)의 중심축이 일치할 때에만 펌프(100)가 작동되도록 상하이동부재(105)와 부싱(106)과의 간격을 타이트하게 형성하여 상하이동부재(105)가 수직운동 되도록 유도하였으나 사용자가 펌프(100)를 작동할 때 펌프의 정중앙을 누르지 못하면 상하이동부재(105)가 기울어져 상하이동부재(105)가 부싱(106)에 끼게 되어서 작동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펌프(100)의 피스톤(102)의 중심축과 실린더(101)의 중심축이 일치되도록 해야하므로 사용자가 내용물 토출을 위해 배출판을 가압할 때 가압위치가 한정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퍼프를 이용하여 배출판의 중심부를 수직으로 가압해야만 펌핑이 되어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용기본체 상부에 펌프지지대를 판 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펌프지지대 상에 펌프를 결합하되, 상기 펌프는 종래와 같이 피스톤, 피스톤링, 실린더, 흡입밸브판으로 형성된 펌프를 사용하고, 상기 펌프의 행정거리를 1.5㎜ 내지 2.5㎜로 축소시키는 동시에 펌프의 행정거리와 실린더 내경의 비율을 종래의 1:1 내지 1:3에서 1:5.5 내지 1:13의 비율로 변경하여 형성함으로써 용기본체 내에 내용물 수용공간을 최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행정거리가 짧은 펌프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펌프의 실린더 상부에 부싱을 결합하되, 상하이동부재가 삽입되는 상기 부싱의 단부를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하며 상기 부싱과 상하이동부재 사이에 0.3㎜ 내지 1.2㎜의 틈새를 형성하여 상기 상하이동부재가 부싱 내에서 유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 펌프의 행정거리를 짧게 함으로써 화장품 펌핑 방법이 배출판의 중심부를 수직으로 가압해야 하는 것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배출판의 어느 부위를 가압하여도 용이하게 화장료가 배출되도록 하는 행정거리가 짧은 펌프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일측에 버튼(11)이 형성된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되는 용기뚜껑(20)으로 이루어진 콤팩트 용기에 있어서,
내용물 수용공간(31)이 형성된 내용기(30)와;
상기 내용기(30) 상부에 결합되어 내용기(30)를 밀폐시키고, 중앙에 실린더(51)가 형성된 펌프지지대(40)와;
상기 펌프지지대(40) 중앙 상부에 설치되어 내용물을 펌핑하며 행정거리가 1.5mm 내지 2.5mm 이고, 상기 행정거리와 실린더(51) 내경의 비율이 1:5 내지 1:13으로 형성된 펌프(50)로 구성되는 행정거리가 짧은 펌프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펌프(50) 상측에는 다수의 배출공(61)이 형성된 배출판(6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펌프(50)는 펌프지지대(40) 중앙 상측에 형성되며 바닥면에 내용물 흡입공(58)이 형성된 실린더(51)와, 상기 실린더(51) 바닥면에 장착되어 상기 내용물 흡입공(58)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흡입밸브판(52)과, 상기 실린더(51) 상단에 얹혀지도록 상기 실린더(51) 외측으로 결합된 부싱(53)과, 상기 실린더(51) 내측에 형성되는 피스톤(55)과, 상기 피스톤(55) 외측에 끼워지며 상기 실린더(51) 내측면에 밀착되는 피스톤링(56)과, 상기 피스톤(55) 내주면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하는 상하이동부재(57) 및 상기 상하이동부재(57)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5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이동부재(57)의 중앙 하측으로는 상기 피스톤(55)에 결합되는 내측연장돌륜(571)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내측연장돌륜(571)의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피스톤링(56) 외측에 끼워지는 외측연장돌륜(572)이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싱(53)의 중앙에는 상기 상하이동부재(57)의 외측연장돌륜(572)이 관통되는 관통홀(531)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531) 내측으로는 내측수평연장편(532)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531) 외측에는 다수의 탄성부재 수용부(533)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 수용부(533) 외측에는 상기 펌프지지대(40)에 끼워지는 외측수평연장편(53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싱(53)의 내측수평연장편(532)의 내측 단부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싱(53)의 내측수평연장편(532)과 상기 상하이동부재(57)의 외측연장돌륜(572) 사이에는 상기 상하이동부재(57)가 부싱(53) 내에서 유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0.3mm 내지 1.2mm의 틈새(59)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펌프(50)의 상측에는 분배판(70)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배판(70)의 상부면에는 배출되는 내용물이 확산되도록 내용물 확산유로(71)가 형성되며, 외측 테두리에는 한 쌍의 반원돌기(7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배판(70)의 상측에는 링 형태의 버튼부재(80)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튼부재(80)의 일측에는 가압버튼(81)이 상부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압버튼(81)의 반대편 외측에는 축돌기(82)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버튼(81)과 축돌기(82)를 연결하는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위치에는 각각 한 쌍의 반원홈(8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원돌기(72)와 반원홈(83)은 반원 형태로 형성되며, 반원돌기(72)가 반원홈(83)에 끼워지되 상기 반원돌기(72)의 직경은 상기 반원홈(83)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행정거리가 짧은 펌프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는 용기본체 상부에 펌프지지대를 판 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펌프지지대 상에 펌프를 결합하되, 상기 펌프는 종래와 같이 피스톤, 피스톤링, 실린더, 흡입밸브판으로 형성된 펌프를 사용하고, 상기 펌프의 행정거리를 1.5㎜ 내지 2.5㎜로 축소시키는 동시에 펌프의 행정거리와 실린더 내경의 비율을 종래의 1:1 내지 1:3에서 1:5.5 내지 1:13의 비율로 변경하여 형성함으로써 용기본체 내에 내용물 수용공간을 최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행정거리가 짧은 펌프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펌프의 실린더 상부에 부싱을 결합하되, 상하이동부재가 삽입되는 상기 부싱의 단부를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하며 상기 부싱과 상하이동부재 사이에 0.3㎜ 내지 1.2㎜의 틈새를 형성하여 상기 상하이동부재가 부싱 내에서 유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 펌프의 행정거리를 짧게 함으로써 화장품 펌핑 방법이 배출판의 중심부를 수직으로 가압해야 하는 것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배출판의 어느 부위를 가압하여도 용이하게 화장료가 배출되도록 하는 행정거리가 짧은 펌프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에어리스펌프를 갖는 콤팩트 용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행정거리가 짧은 펌프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행정거리가 짧은 펌프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행정거리가 짧은 펌프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행정거리가 짧은 펌프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가 가압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행정거리가 짧은 펌프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의 가압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행정거리가 짧은 펌프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행정거리가 짧은 펌프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행정거리가 짧은 펌프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행정거리가 짧은 펌프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행정거리가 짧은 펌프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가 가압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행정거리가 짧은 펌프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의 가압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정거리가 짧은 펌프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는 도 3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에 버튼(11)이 형성된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되는 용기뚜껑(20)으로 이루어진 콤팩트 용기에 있어서, 내용물 수용공간(31)이 형성된 내용기(30)와; 상기 내용기(30) 상부에 결합되어 내용기(30)를 밀폐시키고, 중앙에 실린더(51)가 형성된 펌프지지대(40)와; 상기 펌프지지대(40) 중앙 상부에 설치되어 내용물을 펌핑하며 행정거리가 1.5mm 내지 2.5mm 이고, 상기 행정거리와 실린더(51) 내경의 비율이 1:5 내지 1:13으로 형성된 펌프(50)로 구성된다.
상기 용기본체(10) 내부에는 내용기(30)를 수용하는 내용기 수용공간(12)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면에는 제1 장착돌기(13)와 상기 제1 장착돌기(13) 상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2, 3 장착돌기(14, 15)가 형성된다. 또한, 버튼(11)과 대응되는 위치의 용기본체(10) 내측면에는 축결합홈(16)이 형성된다.
상기 용기본체(10) 일측에는 버튼(11)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버튼(11)의 상측에는 사용자의 누름동작에 의해 용이하게 후퇴되는 걸림돌기(17)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용기뚜껑(20)은 용기본체(10)를 개폐하며, 용기뚜껑(20)의 일측에는 상기 용기본체(10)의 걸림돌기(17) 대응되는 위치에 돌기 형상의 후크(21)가 형성되어 상기 용기본체(10)의 걸림돌기(17)에 체결된다.
또한, 상기 용기뚜껑(20)의 내측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화장을 할 수 있도록 거울(22)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내용기(30)의 내측에는 내용물을 상부로 밀어올리는 밀판(32)이 형성되며, 상기 밀판(32)은 내용기(30) 내측면에 밀착된다.
상기 내용기(30)는 내용기바닥면(33)과 상기 내용기바닥면(33)으로부터 상부로 연장 형성된 내벽(35)과 상기 내벽(35)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외벽(3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용기(30)의 외벽(36) 외주연에는 장착홈(361)이 형성되어 상기 용기본체(10)의 제1 장착돌기(13)와 결합되며, 외벽(36) 내주연에는 결합홈(36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용기(30)의 내용기바닥면(33)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통홀(34)이 형성된다.
상기 펌프지지대(40)는 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내용기(30) 상부에 결합되어 내용기(30)를 밀폐시킨다.
상기 펌프지지대(40)는 중앙에 실린더(51)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51) 외측으로 펌프(50)의 부싱(53)이 결합되는 부싱결합홈(42)이 형성되며, 부싱결합홈(42) 외측에는 하부연장돌륜(43)이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펌프지지대(40)의 하부연장돌륜(43) 외주연에는 결합돌기(431)가 형성되어 상기 내용기(30)의 결합홈(362)과 결합되며, 상기 결합돌기(431)의 상측에는 장착돌륜(432)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용기본체(10)의 제2, 3 장착돌기(14, 15) 사이에 끼워진다.
상기 펌프(50)는 내용물을 펌핑하며 종래의 펌프와 같이 실린더(51), 흡입밸브판(52), 피스톤(55) 및 피스톤링(56)으로 형성되지만, 상기 펌프(50)는 상기 내용기(30) 내의 내용물 수용공간(31)의 면적을 최대화 시키기 위해 종래의 펌프와 달리 상기 펌프지지대(40) 상부에 설치되며, 행정거리가 1.5mm 내지 2.5mm 이고, 상기 행정거리와 실린더(51) 내경의 비율이 1:5 내지 1:13으로 형성되어 종래의 펌프에 비해 현저하게 행정거리가 짧고 실린더(51) 내경이 큰 펌프(50)로 형성된다.
종래 펌프의 행정거리와 실린더 내경의 비율을 보면 아래 표 1과 같다.
펌프 행정거리(mm) 실리더 내경(mm) 비율 토출량(cc)
6.3 7.2 1:1.143 0.256
5.8 8.4 1:1.448 0.321
5.2 7.6 1:1.462 0.236
4 7.66 1:1.915 0.184
3.0 9.0 1:3 0.191
3.2 9.7 1:3.031 0.236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펌프는 행정거리가 3.0mm 내지 6.3mm로 형성되고, 펌프의 행정거리와 실리더 내경이 1:1 내지 1:3의 비율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종래의 펌프를 상하 길이가 짧고 좌우 길이가 넓은 콤팩트와 같은 용기에 적용하게 되면 상기 종래의 펌프가 용기본체 내에 형성된 내용물 수용공간 내에 내장되어 내용물 수용공간의 면적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행정거리가 짧은 펌프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는 펌프(50)의 행정거리를 1.5mm 내지 2.5mm로 축소시키고, 실린더(51) 내경을 확대시키기 위해 상기 행정거리와 실린더(51) 내경의 비율을 1:5 내지 1:13으로 변경시켜 판 형태의 펌프지지대(40) 상부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내용기(30)의 내용물 수용공간(31)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펌프(50)는 펌프지지대(40) 중앙 상측에 형성되며 바닥면에 내용물 흡입공(58)이 형성된 실린더(51)와, 상기 실린더(51) 바닥면에 장착되어 상기 내용물 흡입공(58)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흡입밸브판(52)과, 상기 실린더(51) 상단에 얹혀지도록 상기 실린더(51) 외측으로 결합된 부싱(53)과, 상기 부싱(53) 상부 또는 펌프지지대(40) 상부에 장착되어 상하이동부재(57)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54)와, 상기 실린더(51) 내측에 형성되는 피스톤(55)과, 상기 피스톤(55) 외측에 끼워지며 상기 실린더(51) 내측면에 밀착되는 피스톤링(56) 및 상기 피스톤(55) 내주면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하는 상하이동부재(57)로 구성된다.
상기 상하이동부재(57)의 중앙 하측으로는 상기 피스톤(55)의 내측에 결합되는 내측연장돌륜(571)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내측연장돌륜(571)의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피스톤링(56) 외측에 끼워지는 외측연장돌륜(572)이 연장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하이동부재(57)의 중앙 상측으로는 분배판(70)이 결합되는 상부연장돌륜(573)이 연장 형성된다.
상기 상하이동부재(57)의 내측연장돌륜(571) 외주연에는 펌핑된 내용물이 통과하는 다수의 슬릿(574, slit: 좁은 틈새)이 형성된다.
상기 부싱(53)의 중앙에는 상기 상하이동부재(57)의 외측연장돌륜(572)이 관통하는 관통홀(531)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531) 내측으로는 내측수평연장편(532)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531) 외측에는 다수의 탄성부재 수용부(533)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 수용부(533) 외측에는 상기 펌프지지대(40)의 부싱결합홈(42)에 끼워지는 외측수평연장편(534)이 형성된다.
상기 부싱(53)의 내측수평연장편(532)의 내측 단부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부싱(53)의 내측수평연장편(532)과 상기 상하이동부재(57)의 외측연장돌륜(572) 사이에는 상기 상하이동부재(57)가 부싱(53) 내에서 유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0.3mm 내지 1.2mm의 틈새(59)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펌프(50)의 피스톤링(56) 상부가 외측으로 벌어져 있고, 피스톤링(56) 상단에 외측으로 밀착돌륜(562)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피스톤링(56)의 상부 외측이 상기 상하이동부재(57)의 외측연장돌륜(572)의 내측에 밀착되어 끼워지며, 상기 피스톤링(56)의 피스톤날개(561)가 실린더(51)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상하이동부재(57)가 한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가압되더라도 상기 피스톤링(56)에 의해 상기 실린더(51) 내부가 밀폐되어 펌프(50)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배출판(60)의 중심부를 수직으로 가압하지 않고 중심부에서 벗어난 부분을 가압하여 상기 상하이동부재(57)가 기울어지더라도 상기 피스톤링(56)이 실린더(51) 내부에서 정상적으로 작동되어 내용물이 용이하게 펌핑되는 것이다.
상기 펌프(50) 상측에는 다수의 배출공(61)이 형성된 배출판(60)이 구비되며, 상기 배출공(61)의 하측에는 내용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외주연 일측이 개방된 배출돌륜(62)이 형성된다.
상기 펌프(50)의 상측에는 분배판(70)이 더 형성된다.
상기 분배판(70)의 상부면에는 배출되는 내용물이 확산되도록 내용물 확산유로(71)가 형성되며, 외측 테두리에는 한 쌍의 반원돌기(72)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상하이동부재(57)의 상부연장돌륜(573)이 끼워지는 결합홀(73)이 형성된다.
상기 분배판(70)의 상측에는 링 형태의 버튼부재(80)가 더 형성된다.
상기 버튼부재(80)의 일측에는 가압버튼(81)이 상부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압버튼(81)의 반대편 외측에는 축돌기(82)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버튼(81)과 축돌기(82)를 연결하는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위치에는 각각 한 쌍의 반원홈(83)이 형성된다.
상기 반원돌기(72)와 반원홈(83)은 반원 형태로 형성되며, 반원돌기(72)가 반원홈(83)에 끼워지게 된다.
상기 반원돌기(72)의 직경은 상기 반원홈(83)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는데, 이는 사용자는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해 가압버튼(81)을 가압할 때 상기 버튼부재(80)가 기울어진 상태로 가압되더라도 버튼부재(80)의 반원홈(83)이 상기 분배판(70)의 반원돌기(72) 상부에서 헛돌면서 가압되는 중심을 바꿈에 따라 상기 분배판(70)이 펌프(50)의 상하이동부재(57)를 수직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행정거리가 짧은 펌프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의 조립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행정거리가 짧은 펌프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에 용기뚜껑(20)이 힌지 결합된 용기본체(10)의 내부에 내용기(30)를 장착한다.
그 다음 상기 내용기(30) 내부에 밀판(32)을 끼워넣고, 내용물을 주입한 후 상기 내용기(30) 상부에 펌프지지대(40)를 결합시키는데, 상기 펌프지지대(40)의 하부연장돌륜(43)이 내용기(30)의 내벽(35)와 외벽(36) 사이에 끼워지는 동시에 상기 하부연장돌륜(43)의 장착돌륜(432)이 상기 용기본체(10)의 제2, 3 장착돌기(14, 15) 사이에 끼워지도록 결합한다.
이 후, 상기 펌프지지대(40)의 상부에 펌프(50)를 설치하고, 상기 펌프(50)의 상하이동부재(57) 상부에 분배판(70)을 결합하며, 상기 분배판(70) 상부에 버튼부재(80)를 장착하되, 상기 분배판(70)의 반원돌기(72)와 버튼부재(80)의 반원홈(83)의 위치를 맞추어 장착하면서 상기 버튼부재(80)의 축돌기(82)를 용기본체(10)의 축결합홈(16)에 끼운다.
마지막으로 상기 분배판(70) 상측면에 배출판(60)을 부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행정거리가 짧은 펌프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의 조립은 완료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조립된 행정거리가 짧은 펌프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의 사용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행정거리가 짧은 펌프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버튼부재(80)의 가압버튼(81)을 가압하던가 또는 배출판(60) 상면을 가압한다.
상기 가압버튼(81) 또는 배출판(60)이 가압되면 버튼부재(80)가 기울어지면서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버튼부재(80) 하측에 장착된 분배판(70)도 함께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분배판(70)의 반원돌기(72)의 직경이 상기 버튼부재(80)의 반원홈(83)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버튼부재(80)가 기울어진 상태로 가압되더라도 버튼부재(80)의 반원홈(83)이 상기 분배판(70)의 반원돌기(72) 상부에서 가압함에 따라 상기 분배판(70)이 펌프(50)의 상하이동부재(57)를 수직으로 가압하게 된다.
상기 상하이동부재(57)의 하측 이동에 의해 상하이동부재(57)의 하측에 결합되어 있는 피스톤(55)과 피스톤링(56)도 함께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실린더(51) 내부의 체적이 줄어들게 된다. 이에 따라 실린더(51) 내부에 압력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압력으로 실린더(51) 내의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려고 함에 따라 토출 압력이 발생하여 흡입밸브판(52)이 상기 실린더(51) 바닥면에 형성된 내용물 흡입공(58)을 폐쇄시킨다.
이와 동시에, 실린더(51) 내에 수용되어 있던 내용물이 피스톤(55)과 피스톤링(56) 사이로 나와 상기 상하이동부재(57)의 슬릿(574)을 통과한 후 상기 분배판(70)의 확산유로(71)을 지나 배출판(60)의 배출공(61)으로 배출된다.
이후, 상기 가압버튼(81)의 가압을 해제하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이동부재(57)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54)의 탄성에 의해 상하이동부재(57)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상하이동부재(57) 하측에 결합되어 있는 피스톤(55)과 피스톤링(56)도 함께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실린더(51) 내부의 체적이 커져 진공압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실린더(51) 내부에 발생된 진공압에 의해 흡입밸브판(52)의 흡입밸브날개(521)가 들리면서 실린더(51)의 바닥면에 형성된 내용물 흡입공(58)이 개방되며, 이로 인해 내용기(30) 내부에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내용물이 상기 내용물 흡입공(58)을 통해 실린더(51) 내부로 유입되는 동시에 상기 내용기(30) 내부에 설치된 밀판(32)이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에서 설명한 것은 행정거리가 짧은 펌프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 용기본체 11: 버튼
12: 내용기 수용공간 13: 제1 장착돌기
14: 제2 장착돌기 15: 제3 장착돌기
16: 축결합홈(16) 17: 걸림돌기
20: 용기뚜껑 21: 후크
22: 거울 30: 내용기
31: 내용물 수용공간 32: 밀판
33: 내용기바닥면 34: 공기유통홀
35: 내벽 36: 외벽
361: 장착홈 362: 결합홈
40: 펌프지지대 42: 부싱결합홈
43: 하부연장돌륜 431: 결합돌기
432: 장착돌륜 50: 펌프
51: 실린더 52: 흡입밸브판
53: 부싱 54: 탄성부재
55: 피스톤 56: 피스톤링
57: 상하이동부재 58: 내용물 흡입공
521: 흡입밸브날개 531: 관통홀
532: 내측수평연장편 533: 탄성부재 수용부
534: 외측수평연장편 561: 피스톤날개
562: 밀착돌륜 571: 내측연장돌륜
572: 외측연장돌륜 573: 상부연장돌륜
574: 슬릿 60: 배출판
61: 배출공 62: 배출돌륜
70: 분배판 71: 확산유로
72: 반원돌기 73: 결합홀
80: 버튼 81: 가압버튼
82: 축돌기 83: 반원홈

Claims (2)

  1. 내용물 수용공간(31)이 형성된 내용기(30)와;
    상기 내용기(30) 상부에 결합되어 내용기(30)를 밀폐시키고, 중앙에 실린더(51)가 형성된 펌프지지대(40)와;
    상기 펌프지지대(40) 중앙에 설치되어 내용물을 펌핑하며 행정거리가 1.5mm 내지 2.5mm 이고, 상기 행정거리와 실린더(51) 내경의 비율이 1:5 내지 1:13으로 형성된 펌프(50)로 구성되되,
    상기 펌프(50)는 펌프지지대(40) 중앙에 형성되며 바닥면에 내용물 흡입공(58)이 형성된 실린더(51)와, 상기 실린더(51) 바닥면에 장착되어 상기 내용물 흡입공(58)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흡입밸브판(52)과, 상기 실린더(51) 상단에 얹혀지도록 상기 실린더(51) 외측으로 결합된 부싱(53)과, 상기 실린더(51) 내측에 형성되는 피스톤(55)과, 상기 피스톤(55) 외측에 끼워지며 상기 실린더(51) 내측면에 밀착되는 피스톤링(56)과, 상기 피스톤(55) 내주면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하는 상하이동부재(57) 및 상기 상하이동부재(57)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5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정거리가 짧은 펌프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50) 상측에는 다수의 배출공(61)이 형성된 배출판(6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정거리가 짧은 펌프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KR1020160169644A 2016-12-13 2016-12-13 행정거리가 짧은 펌프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KR201601472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644A KR20160147247A (ko) 2016-12-13 2016-12-13 행정거리가 짧은 펌프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644A KR20160147247A (ko) 2016-12-13 2016-12-13 행정거리가 짧은 펌프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5479A Division KR101711180B1 (ko) 2014-12-31 2014-12-31 행정거리가 짧은 펌프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7247A true KR20160147247A (ko) 2016-12-22

Family

ID=57724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9644A KR20160147247A (ko) 2016-12-13 2016-12-13 행정거리가 짧은 펌프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724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1180B1 (ko) 행정거리가 짧은 펌프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KR101730441B1 (ko) 행정거리가 짧은 펌프와 링버튼부재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KR101585392B1 (ko) 링버튼부재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KR200481481Y1 (ko) 펌프가 구비된 겔상 파운데이션 용기
JP6514339B2 (ja) リングボタン部材を備えたコンパクト容器
US10857554B2 (en) Compact container including pump having short stroke
EP3305127B1 (en) Cosmetics compact container having discharge plate for evenly discharging cosmetics
KR200479429Y1 (ko) 가압이 편리한 펌프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KR200483309Y1 (ko) 방향성 없이 조립이 가능한 확산분배판을 구비한 콤팩트 용기
KR200480111Y1 (ko) 도포부재가 구비된 겔상 화장료용 펌프용기
EP3443862B1 (en) Compact container having mixing cushion and mixing mesh
KR101784737B1 (ko) 탄성 재질의 내용물용기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101711186B1 (ko) 펌프의 측면에 수평으로 내용물저장용기가 결합된 콤팩트용기
KR20170002211U (ko) 확산분배판에 밀착부와 기밀부가 일체로 형성된 콤팩트 용기
KR20160084348A (ko) 행정거리가 짧은 펌프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KR20160083837A (ko) 행정거리가 짧은 펌프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KR20160002694U (ko) 파우치 용기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KR20160147247A (ko) 행정거리가 짧은 펌프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KR101908053B1 (ko) 도포가 편리한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