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7119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7119A
KR20160147119A KR1020150082748A KR20150082748A KR20160147119A KR 20160147119 A KR20160147119 A KR 20160147119A KR 1020150082748 A KR1020150082748 A KR 1020150082748A KR 20150082748 A KR20150082748 A KR 20150082748A KR 20160147119 A KR20160147119 A KR 20160147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
light
light guide
light sourc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2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0174B1 (ko
Inventor
최광욱
유준우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2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0174B1/ko
Priority to US15/048,047 priority patent/US9817182B2/en
Publication of KR20160147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7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91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source relative to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4Light-guides, e.g. fibre-optic bundles, louvered or jalousie light-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8Linear indentations or grooves, e.g. arc-shaped grooves or meandering grooves, extending over the full length or width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88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guide or other optical sheets in the packag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25Diffusing sheet or layer; Prismatic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93Means for protecting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 G02F2201/465Snap -f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광을 생성하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광을 제공받아 상기 표시 패널로 가이드하는 도광판, 상기 광원 및 상기 도광판을 수납하는 수납 부재 및 상기 수납 부재의 측벽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벽 및 상기 도광판의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고정 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들 각각은 상기 도광판의 일측면과 접촉되는 지지부, 상기 수납 부재의 상기 측벽에 각각 이격되도록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부들 및 상기 지지부의 양단과 상기 고정부들 각각을 연결하고, 상기 고정부들과 예각을 형성하는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광판의 유동을 방지하고, 표시 품질을 향상시키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시 장치는 영상을 생성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은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된 광의 투과율을 조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백라이트 유닛은 표시 패널의 측면에서 표시 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엣지형 및 표시 패널의 하부에서 표시 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직하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엣지형의 백라이트 유닛은 광을 생성하는 광원 및 광의 방향을 가이드 하는 도광판을 포함한다. 광원은 도광판의 일 측에 배치되고, 도광판은 광원으로부터 생성된 광을 표시 패널로 가이드 한다.
백라이트 유닛 및 표시 패널은 바텀 샤시 및 탑 샤시에 수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바텀 샤시 및 탑 샤시는 백라이트 유닛 및 표시 패널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광판의 유동을 방지하고, 표시 품질을 향상시키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광을 생성하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광을 제공받아 상기 표시 패널로 가이드하는 도광판, 상기 광원 및 상기 도광판을 수납하는 수납 부재 및 상기 수납 부재의 측벽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벽 및 상기 도광판의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고정 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들 각각은 상기 도광판의 일측면과 접촉되는 지지부, 상기 수납 부재의 상기 측벽에 각각 이격되도록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부들 및 상기 지지부의 양단과 상기 고정부들 각각을 연결하고, 상기 고정부들과 예각을 형성하는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지지부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고정부들 각각이 이격된 거리는 상기 지지부의 양단의 폭보다 짧다.
상기 수납 부재는 상기 측벽들과 결합된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들 중 서로 마주하는 두 측벽들 중 어느 하나의 측벽과 상기 도광판 사이에 상기 광원이 배치되고, 상기 서로 마주하는 두 측벽들 중 다른 하나의 측벽과 상기 도광판 사이에 상기 고정 부재들이 배치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도광판의 상기 일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는다.
상기 고정 부재들 각각은 상기 연결부와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서브 연결부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연결된다.
상기 고정 부재는 금속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납 부재의 상기 측벽을 관통하는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수납 부재에 고정된다.
상기 광원은 상기 도광판의 일측면과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도광판의 일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광원 기판 및 상기 광원 기판 상에 실장되는 복수의 광원 유닛들을 포함한다.
상기 광원 기판 및 상기 도광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 및 상기 도광판 사이의 서리를 유지하는 복수의 스토퍼들을 더 포함한다.
상기 도광판 및 상기 수납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도광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 시트 및 상기 도광판 및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도광판으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광을 확산 및 집광하여 상기 표시 패널로 제공하는 광학 부재를 더 포함한다.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광을 생성하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광을 제공받아 상기 표시 패널로 가이드하는 도광판,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어, 틀 형상을 갖는 몰드 프레임, 상기 광원 및 상기 도광판을 수납하는 수납 부재 및 상기 몰드 프레임의 내측벽들 중 적어도 하나의 내측벽 및 상기 도광판의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고정 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들 각각은 상기 도광판의 일측면과 접촉되는 지지부, 상기 몰드 프레임의 상기 내측벽에 각각 이격되도록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부들, 및 상기 지지부의 양단과 상기 고정부들 각각을 연결하고, 상기 고정부들과 예각을 형성하는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도광판의 유동을 방지하고,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I-I'선의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납 부재 및 도광판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정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개략도인 평면도 및 단면도를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표시 패널(100), 백라이트 유닛(200), 몰드 프레임(300), 수납 부재(400), 복수의 고정 부재들(430) 및 커버 부재(500)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100)은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일 수 있다. 즉, 표시 패널(100)은 백라이트 유닛(200)으로부터 제공받은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들(미도시)을 포함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화소들(미도시)이 배치된 표시 기판(미도시) 및 표시 기판(미도시)과 마주보도록 배치된 대향 기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표시 기판(미도시)과 대향 기판(미도시) 사이에 개재되는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평면 상의 영역은 화소들(미도시)이 배치된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 주변의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한다.
백라이트 유닛(200)은 표시 패널(100)의 후방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100)에 광을 제공한다.
백라이트 유닛(200)은 엣지형의 백라이트 유닛일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200)은 광원(LS), 광학 부재(210), 도광판(220) 및 반사 시트(230)를 포함한다.
광원(LS)은 제2 방향(D2)에서 도광판(220)의 일측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반사 시트(230)는 도광판(220)의 하부에 배치되고, 광학 부재(210)는 도광판(220)의 상부에 배치된다. 표시 패널(100)은 광학 부재(220)의 상부에 배치된다.
광원(LS)은 표시 패널(100)에 제공되기 위한 광을 생성하여 도광판(220)에 제공한다. 광원(LS)은 광원 기판(SUB) 및 광원 기판(SUB) 상에 실장된 복수의 광원 유닛들(LSU)을 포함한다.
광원 기판(SUB)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다. 광원 유닛들(LSU)은 제2 방향(D2)에서 광원 기판(SUB)의 일측면 상에 배치된다. 광원 유닛들(LSU)은 제1 방향(D1)으로 균등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광원 유닛들(LSU)은 광을 생성한다. 광원 유닛들(LSU)에서 생성된 광은 도광판(220)으로 제공된다.
도광판(220)은 광원 유닛들(LSU)로부터 제공 받은 광의 진행 방향을 표시 패널(100)이 배치된 상부 방향으로 향하도록 변경시킨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광판(220)의 하면에는 입사되는 광을 산란시키기 위하여 패턴이나 홈 등이 형성될 수 있고, 상면에도 렌즈 형상이나 홈 등의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도광판(220)은 가시광선 영역에서 광 투과율이 높은 물질을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도광판(220)은 PMMA(Polymethylmethacrylate)를 포함할 수 있다.
도광판(220)의 상부에는 광학 부재(210)가 배치된다. 도광판(220)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가이드된 광은 광학 부재(210)에 의해 확산 및 집광되어 표시 패널(100)에 제공될 수 있다.
도광판(220)의 하부에는 반사 시트(230)가 배치된다. 반사 시트(230)는 도광판(220)의 하부로 방출되는 광을 상부 방향으로 반사시킨다. 반사 시트(230)는 광을 반사하는 물질을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반사 시트(230)는 알루미늄 및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를 포함할 수 있다.
도광판(220)의 상부에 몰드 프레임(300)이 배치된다. 몰드 프레임(300)은 소정의 틀 형상을 갖는다. 몰드 프레임(300)은 도광판(220)의 상면 상에서 가장자리 영역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몰드 프레임(300)은 도광판(220), 광학 부재(210) 및 표시 패널(10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수납 부재(400)는 바닥부(410) 및 바닥부(410)와 연결된 복수의 측벽부들(420)을 포함한다. 수납 부재(400)는 백라이트 유닛(200)을 수납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수납 부재(400)의 측벽부들(420) 중 어느 하나의 내측면 상에 광원(LS)이 배치될 수 있다.
수납 부재(400)의 측벽부들(420) 중 광원(LS)이 배치된 측벽부(420)와 대향되는 측벽부(420)의 내측면 상에 고정 부재(430)가 배치될 수 있다.
고정 부재(430)는 고정 부재(430)가 배치된 측벽부(420)와 이에 대응하는 도광판(220)의 측면 사이에 배치된다. 고정 부재(430)는 도광판(220)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도광판(220)과 광원 유닛(LSU) 사이의 거리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고정 부재(430)에 관하여, 이하 도 2 내지 도 5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커버 부재(500)는 표시 패널(100)의 상부에 배치된다. 커버 부재(500)는 틀 형상을 갖는다. 커버 부재(500)는 표시 패널(100)의 상부에서 표시 패널(100)의 비표시 영역(NDA)을 커버하는 제1 커버부(510), 커버 부재(500)의 측벽을 이루는 제2 커버부(520) 및 제1 커버부(510)의 내측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100)의 표시 영역(DA)을 노출시키는 제1 오픈부(OP1)를 포함한다.
제2 커버부(520)는 제1 커버부(510)의 외측과 연결되어 하부로 연장된다. 즉, 제1 커버부(510) 및 제2 커버부(520)는 서로 수직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커버부(520)는 수납 부재(400)의 외측면들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I-I'선의 단면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납 부재 및 도광판의 평면도이다.
도 2, 도 3a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00)의 비표시 영역(NDA)은 제1 커버부(510) 및 몰드 프레임(300)의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패널(100)의 비표시 영역(NDA)의 상면은 커버 부재(500)의 제1 커버부(510)와 접촉되고, 표시 패널(100)의 비표시 영역(NDA)의 하면은 몰드 프레임(300)과 접촉되어 고정될 수 있다.
몰드 프레임(300)은 광학 부재(220) 및 표시 패널(100)의 테두리 영역을 둘러싸는 틀 형상을 갖는다. 몰드 프레임(300)은 틀 형상 내측에 배치되는 제2 오픈부(OP2)를 포함한다. 몰드 프레임(300)은 도광판(220)의 상면의 가장자리 영역에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도광판(200)이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도광판(220)을 수납 부재(400)의 바닥부(41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몰드 프레임(300)은 제1 영역(310) 및 제2 영역(320)을 포함한다. 제1 영역(310)은 제2 오픈부(OP2)를 향하도록 연장된다. 제1 영역(310)의 단면은 계단식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1 영역(310)은 내측에 복수개의 단차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수평부들 및 외측에 수평부들의 하부로 연장되는 수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몰드 프레임(300)의 틀 형상 내측에 광학 부재(220) 및 표시 패널(100)이 안착될 수 있다. 즉, 제1 영역(310)의 수평부들 각각의 상면에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 영역 및 광학 시트(210)의 가장자리 영역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몰드 프레임(300)의 제1 영역(310)이 복수개의 평면부들을 갖는 계단식 형상을 가짐에 따라, 도광판(220), 몰드 프레임(300) 내측에 안착되는 광학 부재(210), 표시 패널(100) 각각의 사이에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도광판(220) 및 광학 부재(210), 표시 패널(100)은 서로 접촉되지 않고 각각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영역(320)은 제1 영역(310)의 외측과 연결되어 하부로 연장된다. 제2 영역(320)의 내측면은 수납 부재(400)의 측면부들(420)의 외측면들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커버 부재(500)의 제2 커버부(520)는 몰드 프레임(300)의 제1 영역(310) 및 제2 영역(320)의 외측면들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2 커버부들(520)은 제2 커버부(520)의 내측면이 몰드 프레임(300)의 외측면들과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수납 부재(400)의 바닥부(410)는 반사 시트(230)의 하면과 접촉된다. 수납 부재(400)의 측벽부들(420)은 광원 기판(SUB)의 후면 및 광원 기판(SUB)과 마주보는 도광판(220) 일측면을 제외한 도광판(220)의 측면들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광원 기판(SUB)은 수납 부재(400)의 내측면 상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광원 기판(SUB)의 전면에는 광원 유닛들(LSU)이 실장되고, 광원 기판(SUB)의 후면은 도광판(220)의 일측면과 마주보는 측벽부(420)의 내측면과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광원 유닛들(LSU)은 도광판(220)의 일측면을 따라 배치되며, 도광판(220)의 일측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광원 유닛들(LSU)에 의해 제공된 광은 도광판(220)의 일측면을 통하여 도광판(220)으로 입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복수의 스토퍼들(STP)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STP)들은 광원 기판(SUB) 및 도광판(220) 사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스토퍼(STP)는 제1 방향(D1)에서 광원 기판(SUB)의 양단에 배치될 수 있다.
도광판(220)과 광원(LS) 사이의 거리가 짧으면, 광원 (LS)에서 발생된 열에 의하여 도광판(220)의 황변 및 뒤틀림이 발생될 수 있다. 스토퍼(STP)는 도광판의 유동에 의하여, 도광판(220)과 광원 유닛(LSU)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수납 부재(400)의 내부에 수납된 도광판(220)은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원(LS)에서 발생한 열 또는 습기에 의하여 도광판(220)이 팽창 또는 수축되어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이 때, 도광판(220)과 광원(LS)과의 거리가 멀어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광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수납 부재(400)의 측벽부들(420) 중 광원 기판(SUB)이 배치된 측벽부(420)와 대향되는 수납 부재(400)의 측벽부(420)의 내측면에 고정 부재들(430)이 배치된다. 즉, 고정 부재들(430)은 도광판(220)과 수납 부재(400)의 측벽부(420) 사이에 배치된다. 고정 부재(430)는 도광판(220)이 수납 부재(400) 내에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3a는 고정 부재(430)가 광원(LS)과 대향되는 측벽부(420)에만 배치된 모습이 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방향(D1)에서 수납 부재(420)의 양 측벽부들(420)에 고정 부재(430)이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고정 부재들(430)은 수납 부재(400)의 측벽부들(420) 중 광원(LS)이 배치된 측벽부(420)를 제외한 세 측벽부들(420)에 모두 배치될 수 있다. 도 3b에 세 측벽부들(420)에 배치된 고정 부재들(430)이 도시되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정 부재(430)는 강성을 갖는다. 예시적으로, 고정 부재(430)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 부재(430)는 탄성력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430)는 지지부(431), 복수의 연결부들(432) 및 복수의 고정부들(433)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432)의 소정의 영역은 도광판(220)의 측면과 접촉된다. 지지부(432)는 제2 방향(D2)에서 도광판(200)의 측면을 향하여 볼록한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부(432)는 평면 형상을 가지고 있어 지지부(432)의 전면이 도광판(220)의 측면과 접촉될 수 있다.
연결부들(432)은 제1 방향(D1)에서 지지부(432)의 양 단부에 연결된다.
연결부들(432)은 지지부(432)의 하부로 연장되어 연결부들(432)이 각각 대응하는 고정부들(432)과 연결된다. 연결부들(432)은 제1 방향(D1)에서 고정부들(432)의 내측과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연결부들(432) 각각의 상단은 지지부(431)와 연결되고, 연결부들(432) 각각의 하단은 고정부들(433)과 연결된다.
고정부들(431) 각각은 제1 방향(D1)에서 고정 부재(430)의 양단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고정부들(433) 각각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수납 부재(400)의 측벽부(420)에 고정된다.
고정부(431)는 수납 부재(400)의 측벽부(420)를 관통하는 체결 부재(미도시)에 의해 수납 부재(400)의 측벽부(420)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체결 부재(미도시)는 볼트 및 스크류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부(431)는 접착 테이프에 의하여 측벽부(420)와 체결되어 고정되거나, 수납 부재(430)의 측벽부(420) 상에 형성된 체결 홈과 맞물려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들(433) 각각이 이격된 거리(d1)는 제1 방향(D1)에서 지지부(431)의 폭(d2)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431)와 연결된 연결부들(432)은 하부로 연장될수록 내측을 향할 수 있다. 이 때, 고정부들(433)과 연결부들(432)이 이루는 각도(θ)는 90도보다 작은 값(예각)을 갖는다.
고정부들(433)이 연결부들(432)과 예각을 이룸에 따라, 연결부(432)의 상단이 상하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즉, 지지부(431) 및 수납 부재(400)의 측벽부(420) 사이의 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고정 부재(430)가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납 부재(400)의 내부에 수납된 도광판(220)은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원(LS)에서 발생한 열 또는 습기에 의하여 도광판(220)이 팽창 또는 수축되어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이 때, 도광판(220)과 광원(LS)과의 거리가 멀어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광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고정 부재(430)가 탄성력을 가짐에 따라, 도광판(220)을 광원(LS) 방향으로 미는 힘을 지속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고정 부재(430)는 도광판(220) 및 광원(LS) 사이의 거리를 유지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도광판의 유동을 방지하고,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정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정 부재(430)는 복수의 서브 연결부들(434, 435)을 더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고정 부재(430)는 복수의 제1 서브 연결부들(434) 및 복수의 제2 서브 연결부들(435)을 포함한다.
연결부(432)와 제1 및 제2 서브 연결부들(434, 435) 각각은 서로 연결되어 지그재그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1 서브 연결부(434)의 상단은 지지부(431)와 연결된다. 제1 서브 연결부(434)의 하단은 제2 서브 연결부(435)의 상단과 연결되고, 제2 서브 연결부(435)의 하단은 연결부(432)의 상단과 연결된다. 제2 서브 연결부(435)의 하단은 고정부(433)와 연결된다.
연결부(432) 및 제1 서브 연결부(434)는 하부로 연장될수록 고정 부재(430)의 내측을 향하며, 제2 서브 연결부(435)는 하부로 연장될수록 고정 부재(430)의 외측을 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정 부재(430)는 복수의 서브 연결부들(432a~432c)을 포함하고 있어, 하나의 연결부(432)를 갖는 고정 부재(430)보다 높은 탄성력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정 부재(430)는 보다 효율적으로 도광판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된 구성 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의 몰드 프레임(300')의 제2 영역(320')은 수납 부재(400) 안에 수납된다. 즉, 수납 부재(400)의 측벽부들(420)의 내측면들과 제2 영역(320')의 외측면들이 접촉될 수 있다.
제2 영역(320')의 내측면들(320') 중 어느 한 내측면 상에 광원(LS)이 배치되며, 광원(LS)이 배치된 내측면과 대향되는 제2 영역(320')의 내측면에 고정 부재(430)가 배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납 부재(400)의 내부에 수납된 도광판(220)은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원(LS)에서 발생한 열 또는 습기에 의하여 도광판(220)이 팽창 또는 수축되어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이 때, 도광판(220)과 광원(LS)과의 거리가 멀어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광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고정 부재(430)가 탄성력을 가짐에 따라, 도광판(220)을 광원(LS) 방향으로 미는 힘을 지속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고정 부재(430)는 도광판(220) 및 광원(LS) 사이의 거리를 유지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표시 장치(1000)는 도광판의 유동을 방지하고,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0: 표시 장치 100: 표시 패널
DA: 표시 영역 NDA: 비표시 영역
200: 백라이트 유닛 210: 광학 부재
220: 도광판 230: 반사 부재
LSU: 광원 유닛 SUB: 광원 기판
300: 몰드 프레임 400: 수납 부재
410: 바닥부 420: 측면부
430: 고정 부재 500: 커버 부재
510: 제1 커버부 520: 제2 커버부
OP1: 제1 오픈부 OP2: 제2 오픈부
431: 지지부 432: 연결부
433: 고정부 432a: 제1 서브 지지부
432b: 제2 서브 지지부 432c: 제3 서브 지지부
STP: 스토퍼

Claims (12)

  1.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광을 생성하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광을 제공받아 상기 표시 패널로 가이드하는 도광판;
    상기 광원 및 상기 도광판을 수납하는 수납 부재; 및
    상기 수납 부재의 측벽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벽 및 상기 도광판의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고정 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들 각각은,
    상기 도광판의 일측면과 접촉되는 지지부;
    상기 수납 부재의 상기 측벽에 각각 이격되도록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부들; 및
    상기 지지부의 양단과 상기 고정부들 각각을 연결하고, 상기 고정부들과 예각을 형성하는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지지부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순차적으로 연결된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들 각각이 이격된 거리는 상기 지지부의 양단의 폭보다 짧은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부재는 상기 측벽들과 결합된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들 중 서로 마주하는 두 측벽들 중 어느 하나의 측벽과 상기 도광판 사이에 상기 광원이 배치되고,
    상기 서로 마주하는 두 측벽들 중 다른 하나의 측벽과 상기 도광판 사이에 상기 고정 부재들이 배치되는 표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도광판의 상기 일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들 각각은,
    상기 연결부와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서브 연결부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연결된 표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금속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납 부재의 상기 측벽을 관통하는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수납 부재에 고정되는 표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도광판의 일측면과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도광판의 일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광원 기판; 및
    상기 광원 기판 상에 실장되는 복수의 광원 유닛들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기판 및 상기 도광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 및 상기 도광판 사이의 서리를 유지하는 복수의 스토퍼들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 및 상기 수납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도광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 시트; 및
    상기 도광판 및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도광판으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광을 확산 및 집광하여 상기 표시 패널로 제공하는 광학 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광을 생성하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광을 제공받아 상기 표시 패널로 가이드하는 도광판;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어, 틀 형상을 갖는 몰드 프레임;
    상기 광원 및 상기 도광판을 수납하는 수납 부재; 및
    상기 몰드 프레임의 내측벽들 중 적어도 하나의 내측벽 및 상기 도광판의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고정 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들 각각은,
    상기 도광판의 일측면과 접촉되는 지지부;
    상기 몰드 프레임의 상기 내측벽에 각각 이격되도록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부들; 및
    상기 지지부의 양단과 상기 고정부들 각각을 연결하고, 상기 고정부들과 예각을 형성하는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150082748A 2015-06-11 2015-06-11 표시 장치 KR102380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748A KR102380174B1 (ko) 2015-06-11 2015-06-11 표시 장치
US15/048,047 US9817182B2 (en) 2015-06-11 2016-02-19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748A KR102380174B1 (ko) 2015-06-11 2015-06-11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7119A true KR20160147119A (ko) 2016-12-22
KR102380174B1 KR102380174B1 (ko) 2022-03-30

Family

ID=57516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2748A KR102380174B1 (ko) 2015-06-11 2015-06-11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817182B2 (ko)
KR (1) KR1023801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4368A (ko) * 2017-09-22 2019-04-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90058733A (ko) * 2017-11-20 2019-05-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TWI662328B (zh) * 2018-03-06 2019-06-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面板
DE102020216016B3 (de) * 2020-09-01 2022-01-27 Continental Automotive Gmbh Beleuchtungseinheit mit einer Zentriereinrichtung für einen Lichtleit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1971A (ja) * 2003-09-19 2005-04-07 Hitachi Displays Ltd 表示装置
JP2014026838A (ja) * 2012-07-27 2014-02-06 Jst Mfg Co Ltd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
KR20150055815A (ko) * 2013-11-14 2015-05-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6914A (ko) 2002-02-06 2003-08-14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브라운관의 섀도우 마스크 지지구조
KR101644002B1 (ko) 2008-11-27 2016-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1096656B1 (ko) 2009-09-10 2011-12-21 태산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유닛의 도광판 고정체
KR101677993B1 (ko) 2009-12-18 2016-11-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TWI437326B (zh) * 2010-12-30 2014-05-11 Au Optronics Corp 背光模組之導光板定位設計
US8520162B2 (en) * 2011-03-14 2013-08-27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Back 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thereof
CN202067045U (zh) * 2011-05-10 2011-12-07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及其后壳
US8964142B2 (en) * 2012-03-29 2015-02-24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952774B1 (ko) * 2012-05-17 2019-02-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 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486311B1 (ko) 2012-10-05 2015-01-27 주식회사 에이치지엠 도광판의 열팽창을 완충할 수 있는 백라이트 장치
KR102096400B1 (ko) * 2012-10-17 2020-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US9310550B2 (en) * 2013-03-15 2016-04-12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Positioning device for light guide plate and backlight module
US8985801B2 (en) 2013-04-19 2015-03-24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Light guide plate fixing structure and a backlight module using the same
KR102100673B1 (ko) 2013-06-26 2020-04-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도광판의 유동이 방지된 백라이트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소자
CN104390179B (zh) * 2014-11-21 2016-07-06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1971A (ja) * 2003-09-19 2005-04-07 Hitachi Displays Ltd 表示装置
JP2014026838A (ja) * 2012-07-27 2014-02-06 Jst Mfg Co Ltd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
KR20150055815A (ko) * 2013-11-14 2015-05-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363721A1 (en) 2016-12-15
KR102380174B1 (ko) 2022-03-30
US9817182B2 (en) 2017-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9489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160103264A1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841901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256232B1 (ko) 표시장치
KR20100119679A (ko) 액정 표시 장치
US20110261284A1 (en) Liquid crystal display
KR102272319B1 (ko) 곡면 표시 장치
KR102380174B1 (ko) 표시 장치
KR102343720B1 (ko) 표시장치
US20150201763A1 (en) Backlight assembly,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8477264B2 (en) Liquid crystal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270236B1 (ko) 표시장치
US8834008B2 (en) Display module,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television set
KR101604266B1 (ko) 액정표시장치
JP2015026598A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それを含む表示装置
KR20160010774A (ko) 표시장치
US20140218963A1 (en) Backlight module
US1106785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P2728401B1 (en) Display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2370350B1 (ko) 표시 장치
CN113947995B (zh) 一种显示装置
US8870440B2 (en) Back 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2417207B1 (ko) 표시 장치
US20160209579A1 (en) Display apparatus
US9927569B2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