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6179A - 조파저항 저감형 선박 - Google Patents

조파저항 저감형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6179A
KR20160146179A KR1020150083074A KR20150083074A KR20160146179A KR 20160146179 A KR20160146179 A KR 20160146179A KR 1020150083074 A KR1020150083074 A KR 1020150083074A KR 20150083074 A KR20150083074 A KR 20150083074A KR 20160146179 A KR20160146179 A KR 20160146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s
ship
hole
hull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3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춘범
김진규
김희택
박문수
안성목
이희동
지용해
최상규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3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6179A/ko
Publication of KR20160146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61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B63B1/40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diminishing wave res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9/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0Hydrodynamic testing; Arrangements in or on ship-testing tanks or water tun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 Y02T70/125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조파저항 저감형 선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선체; 및 상기 선체가 운항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조파저항을 저감하는 조파저항 저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조파저항 저감장치는, 물의 출입이 선택적으로 제어되고, 상기 선체의 측면에 분산 배치되며, 상호 연결되는 관통홀들; 및 선박운항조건에 따라 상기 관통홀들 중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이 걸려 물이 유입되는 유입 관통홀과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이 걸려 물이 배출되는 배출 관통홀을 결정하고, 상기 유입 관통홀과 상기 배출 관통홀에서만 물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파저항 저감형 선박{Ship for wave resistance}
본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파저항 저감형 선박에 관한 것이다.
운항하는 선박은 수면에 파(波)를 만들기 때문에 조파저항(造波抵抗)을 받는다. 조파저항은 선체가 물로부터 받는 저항의 큰 부분을 차지하여 운항 중 큰 에너지 손실을 야기한다. 따라서 선박의 선체분야 연구는 조파저항을 줄일 수 있는 선형을 개발하는데 역점을 두어 왔다.
구상선수(球狀船首, bulbous bow)는 조파저항을 저감시키는 선형 중 대표적인 것으로 최근 대부분 선박에서 채용하고 있다. 수면 아래의 선수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구형으로 돌출하는 형태여서 이를 벌브(bulb)라고도 한다.
구상선수는 선박의 운항 중 선수가 일으키는 파를 상쇄시킬 수 있는 파를 일으켜 선수 쪽에서 생기는 파고를 저감시키는 방식으로 조파저항을 저감시킨다.
통상적으로 구상선수는 선박이 만재상태를 유지하고 설계속도로 운항하는 조건에서 최적의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설계된다. 하지만 대부분 선박은 실제 운항할 때 만재흘수를 유지하지 않거나 설계속도를 유지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즉 화물을 싣지 않거나 소량 적재한 상태로 운항하는 경우, 운송일정이나 연료소모 등을 고려해 저속으로 운항하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선박의 운항조건이 구상선수의 설계조건과 다를 경우, 구상선수는 조파저항을 줄이는데 기여하기보다 오히려 저항의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선박의 운항조건에 따라 조파저항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기 위한 기술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188125호(2006. 7. 20. 공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238909호(2005. 9. 8.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선박운항조건에 따라 능동적으로 조파저항을 저감하는 조파저항 저감장치를 포함하는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 및 상기 선체가 운항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조파저항을 저감하는 조파저항 저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조파저항 저감장치는, 물의 출입이 선택적으로 제어되고, 상기 선체의 측면에 분산 배치되며, 상호 연결되는 관통홀들; 및 선박운항조건에 따라 상기 관통홀들 중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이 걸려 물이 유입되는 유입 관통홀과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이 걸려 물이 배출되는 배출 관통홀을 결정하고, 상기 유입 관통홀과 상기 배출 관통홀에서만 물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파저항 저감형 선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선체의 내부에는 상기 관통홀들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라인이 배치되고, 상기 연결라인에는 상기 관통홀들 각각을 통한 물의 출입을 제어하는 제어밸브들이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밸브들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모의실험을 통해 선박운항조건 별로 조파저항을 저감하기 위해 미리 결정된 관통홀들에 관한 모의실험 데이터에 현 선박운항조건을 대입하고, 상기 현 선박운항조건에 대응하는 관통홀들을 상기 유입 관통홀 및 상기 배출 관통홀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조파저항 저감장치는, 운전자가 선박운항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선박운항조건을 상기 현 선박운항조건으로 인식하여 상기 모의실험 데이터에 대입하고, 상기 입력된 선박운항조건에 대응하는 관통홀들을 상기 유입 관통홀과 상기 배출 관통홀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조파저항 저감장치는, 선박운항조건을 측정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선박운항조건을 상기 현 선박운항조건으로 인식하여 상기 모의실험 데이터에 대입하고, 상기 측정된 선박운항조건에 대응하는 관통홀들을 상기 유입 관통홀과 상기 배출 관통홀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모의실험은 수치해석 또는 모형선 실험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들 중 상기 선체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홀들은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列)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들은 경하 흘수선 이상 만재 흘수선 이하의 범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선박운항조건은 선속 조건 및 흘수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운항조건에 따라 선체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홀들 중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이 걸려 물이 유입되는 유입 관통홀과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이 걸려 물이 배출되는 배출 관통홀을 결정하고, 유입 관통홀과 배출 관통홀에서만 물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선박운항조건에 따라 능동적으로 조파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일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선박의 일부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파저항 저감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이 제1선박운항조건에서 조파저항을 저감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이 제2선박운항조건에서 조파저항을 저감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파저항 저감장치의 제1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파저항 저감장치의 제2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일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선박의 일부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파저항 저감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은 선체(110)와 조파저항 저감장치(130)를 포함한다.
선체(110)에는 구상 선수(111)가 형성될 수 있다. 구상 선수(111)는 통상적으로 선체(110)가 만재 흘수 조건에 운항될 때 조파저항이 저감 되도록 설계된다.
조파저항 저감장치(130)는 선체(110)가 운항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조파저항을 저감시킨다. 선체(110)가 운항하는 과정에서 선박운항조건은 가변될 수 있다. 조파저항 저감장치(130)는 가변하는 선박운항조건에 따라 발생되는 조파저항을 능동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선박운항조건은 선속 조건 및 흘수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파저항 저감장치(130)는 선박(100)이 특정 흘수 조건을 유지하며 운항하는 상황에서 가변하는 선속 조건에 따라 발생되는 조파저항을 능동적으로 저감시킨다.
조파저항 저감장치(130)는, 관통홀들(131)과, 연결라인(132)과, 제어밸브들(133)과, 제어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들(131)은 선체(110)의 측면에 형성된다.
관통홀들(131)은 선체(110)의 좌우측면에 분산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선체(110)의 좌우측면에 분산 배치된 관통홀들(131)은 선체(110)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선체(110)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홀들(131)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선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一列)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관통홀들(131)은 특정 흘수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례로, 선체(110)의 측면에 배치되는 관통홀들(131)은 경하 흘수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관통홀들(131)은 연결라인(132)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연결라인(132)은 선체(1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연결라인(132)은 메인 라인(1321)과 메인 라인(1321)에서 관통홀들(131)로 분기된 서브 라인들(13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결라인(132)에는 관통홀들(131) 각각을 통한 물의 출입을 제어하는 제어밸브들(133)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어밸브들(133)은 각각 서브라인들(1322)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밸브들(133)은 각각 후술하는 제어부(135)에 의해 개폐된다. 제어밸브들(133)에 의해 관통홀들(131)을 통한 물의 출입이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관통홀들(131)에는 관통홀들(131)을 각각 개폐시키는 도어들(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5)는 도어들을 각각 개폐시킴으로써, 관통홀들(131)을 통한 물의 출입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5)는 선박운항조건에 따라 관통홀들(131) 중에서 압력차에 물이 유입되는 유입 관통홀과 물이 배출되는 배출 관통홀을 결정한다.
예컨대 선체(110)가 운항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파도에 의해 관통홀들(131) 중 일부는 물에 잠기고 일부는 물에 잠기지 않는다. 물에 잠기는 관통홀 주변의 압력은 상대적으로 높고 물에 잠기지 않는 관통홀 주변의 압력은 상대적으로 낮다.
제어부(135)는 물에 잠겨 압력이 높은 관통홀들(131) 중 적어도 일부를 물이 유입되는 유입 관통홀로 결정하고, 물에 잠기지 않아 압력이 낮은 관통홀들(131) 중 적어도 일부를 물이 배출되는 배출 관통홀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35)는 결정된 유입 관통홀과 배출 관통홀에서만 물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제어밸브들(133)을 제어한다. 이 경우, 유입 관통홀과 배출 관통홀 사이의 압력차에 의해 유입 관통홀로 물이 유입되고, 유입 관통홀로 유입된 물은 연결라인(132)을 따라 이동하여 배출 관통홀을 통해 배출된다.
물이 유입 관통홀을 통해 유입되고 배출 관통홀을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유입 관통홀 위치에서의 수면이 낮아지고, 배출 관통홀 위치에서의 수면이 높아져 결국 조파저항이 저감된다. 이에 대해 후술한다.
제어부(135)는 모의실험 데이터에 현 선박운항조건을 대입하고, 현 선박운항조건에 대응하는 관통홀들을 유입 관통홀 및 배출 관통홀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모의실험 데이터는 모의실험을 통해 선박운항조건 별로 조파저항을 저감하기 위해 미리 결정된 관통홀들에 관한 데이터이다. 모의실험은 수치해석 또는 모형선 실험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흘수 조건을 유지한 채 선속 조건 별로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에 발생되는 선측파의 형상 데이터를 수치해석으로 도출할 수 있다.
선측파의 형상 데이터를 통해 상대적으로 압력이 높게 걸리는 관통홀과 압력 낮게 걸리는 관통홀이 선별될 수 있다. 그리고 선별된 관통홀들 중에서 조파저항을 저감하기 위해 물의 출입을 허용하는 관통홀이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속 조건 별로 조파저항을 저감하기 위해 물의 출입을 허용하도록 미리 결정된 관통홀들은 모의실험 데이터로 미리 저장된다.
제어부(135)는 모의 실험 데이터에 현 선속 조건을 대입하고, 현 선속 조건에 대응하는 관통홀들을 유입 관통홀과 배출 관통홀로 결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이 제1선박운항조건에서 조파저항을 저감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이 제2선박운항조건에서 조파저항을 저감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선박(100)이 제1선박운항조건에서 운항 중이다. 예컨대, 제1선박운항조건은 경하 흘수 조건, 설계 최대 속도의 90%인 선속 조건일 수 있다.
관통홀들(131)에 대한 물의 출입이 제한된 상태에서 도 4의 실선과 같은 선측파 형상이 나타난다. 이때, 제어부(135)는 미리 저장된 모의실험 데이터를 기초로 제1선박운항조건에서 조파저항을 저감하기 위한 유입 관통홀(1311)과 배출 관통홀(1311)을 결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35)는 유입 관통홀(1311)과 배출 관통홀(1313)에서만 물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유입 관통홀(1311)과 배출 관통홀(1313) 사이의 압력차에 의해 물이 유입 관통홀(1311)로 유입된 후 배출 관통홀(1313)을 통해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유입 관통홀(1311) 위치에서 수위가 낮아지고 배출 관통홀(1313) 위치에서 수위가 높아져 도 3과의 점선과 같은 선측파 형상이 나타난다.
점선으로 된 선측파 형상은 실선으로 된 선측파 형상에 비해 낮은 파고를 가지게 되어 선박(100)은 제1운항조건에서 조파저항이 저감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선박(100)이 제2선박운항조건에서 운항 중이다. 예컨대, 제2선박운항조건은 경하 흘수 조건, 설계 최대 속도의 50%인 선속 조건일 수 있다.
관통홀들(131)에 대한 물의 출입이 제한된 상태에서 도 5의 실선과 같은 선측파 형상이 나타난다. 그리고 제어부(135)는 유입 관통홀(1311)과 배출 관통홀(1313)을 결정하고 이를 통해 물을 출입시킨다. 그 결과 유입 관통홀(1311) 위치에서 수위가 낮아지고 배출 관통홀(1313) 위치에서 수위가 높아져 도 3과의 점선과 같은 선측파 형상이 나타난다.
점선으로 된 선측파 형상은 실선으로 된 선측파 형상에 비해 낮은 파고를 가지게 되어 선박(100)은 제1운항조건에서 조파저항이 저감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파저항 저감장치의 제1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변형례에 따른 조파저항 저감장치(130-1)는 관통홀들(131)과, 제어부(135)와, 입력부(136)를 포함한다.
운전자는 입력부(136)를 통해 선박운항조건을 입력한다.
이후, 제어부(135)는 입력된 선박운항조건을 현 선박운항조건으로 인식하여 모의실험 데이터에 대입한다. 이후, 제어부(135)는 모의실험 데이터에서 입력된 선박운항조건에 대응하는 관통홀들을 유입 관통홀과 배출 관통홀로 결정한다.
이후, 제어부(135)는 결정된 유입 관통홀과 배출 관통홀에서만 물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제어하여 입력된 선박운항조건에서 조파저항을 자동으로 저감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파저항 저감장치의 제2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변형례에 따른 조파저항 저감장치(130-2)는 관통홀들(131)과, 제어부(135)와, 센서(137)를 포함한다.
센서(137)는 선박운항조건을 측정한다. 센서(137)는 선박운항조건에 따라 선속 측정 센서 및 흘수 측정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35)는 측정된 선박운항조건을 현 선박운항조건으로 인식하여 모의실험 데이터에 대입한다. 이후, 제어부(135)는 모의실험 데이터에서 입력된 선박운항조건에 대응하는 관통홀들을 유입 관통홀과 배출 관통홀로 결정한다.
이후, 제어부(135)는 결정된 유입 관통홀과 배출 관통홀에서만 물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제어하여 측정된 선박운항조건에서 조파저항을 자동으로 저감시킨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200)은 선체(210)와 조파저항 저감장치(230)를 포함한다.
조파저항 저감장치(230)는 선체(210)가 운항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조파저항을 저감시킨다. 선박운항조건은 선속 조건 및 흘수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파저항 저감장치(230)는 선박(200)이 운항하는 과정에서 가변하는 흘수 조건 및 선속 조건에 따라 발생되는 조파저항을 능동적으로 저감시킨다.
조파저항 저감장치(230)는 관통홀들(231)과 제어부(235)를 포함한다.
관통홀들(231)은 선체(210)의 측면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선체(210)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홀들(231)은 선체(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열(列)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선박(200)이 세 개의 흘수 조건으로 운항될 계획이라면 관통홀들(231)은 도 8과 같이 선체(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삼열(三列)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관통홀들(231) 중 도 8에서 제일 높이 위치하는 열(列)은 만재 흘수선 상에 위치하고, 제일 낮게 위치하는 열(列)은 경하 흘수선 상에 위치하고, 중간에 위치하는 열(列)은 만재 상태와 경하 상태 사이의 소정 상태의 흘수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다수의 열(列)로 배치되는 관통홀들(231)은 경하 흘수선 이상 만재 흘수선 이하의 범위에 위치할 수 있다.
관통홀들(231)은 선체(2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연결라인(미도시))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연결라인에는 관통홀들(231) 각각을 통한 물의 출입을 제어하는 제어밸브들(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235)는 제어밸브들을 제어하여 관통홀들(231)을 통한 물의 출입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35)는 선박운항조건에 따라 관통홀들(231) 중에서 압력차에 물이 유입되는 유입 관통홀과 물이 배출되는 배출 관통홀을 결정하고, 결정된 유입 관통홀과 배출 관통홀에서만 물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유입 관통홀과 배출 관통홀 사이의 압력차에 의해 유입 관통홀로 물이 유입되고, 유입 관통홀로 유입된 물은 연결라인을 따라 이동하여 배출 관통홀을 통해 배출되면서 조파저항이 저감된다.
제어부(235)는 모의실험 데이터에 현 선박운항조건을 대입하고, 현 선박운항조건에 대응하는 관통홀들(231)을 유입 관통홀 및 배출 관통홀로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가변하는 흘수 조건 및 선속 조건 별로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200)에 발생되는 선측파의 형상 데이터를 수치해석으로 도출할 수 있다.
선측파의 형상 데이터를 통해 상대적으로 압력이 높게 걸리는 관통홀과 압력 낮게 걸리는 관통홀이 선별될 수 있다. 그리고 선별된 관통홀들 중에서 조파저항을 저감하기 위해 물의 출입을 허용하는 관통홀이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흘수 조건 및 선속 조건 별로 조파저항을 저감하기 위해 물의 출입을 허용하도록 미리 결정된 관통홀들은 모의실험 데이터로 미리 저장된다.
제어부(235)는 모의 실험 데이터에 현 흘수 조건 및 선속 조건을 대입하고, 현 흘수 조건 및 선속 조건에 대응하는 관통홀들을 유입 관통홀과 배출 관통홀로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파저항 저감장치(230)는 앞선 실시예의 제1변형례 및 제2변형례에 따른 조파저항 저감장치(도 6의 130-1, 도 7의 130-2)의 입력부(도 6의 136) 또는 센서(도 7의 137)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선박
110 : 선체
130 : 조파저항 저감장치
131 : 관통홀
132 : 연결라인
133 : 제어밸브
135 : 제어부
136 : 입력부
137 : 센서

Claims (9)

  1. 선체; 및
    상기 선체가 운항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조파저항을 저감하는 조파저항 저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조파저항 저감장치는,
    물의 출입이 선택적으로 제어되고, 상기 선체의 측면에 분산 배치되며, 상호 연결되는 관통홀들; 및
    선박운항조건에 따라 상기 관통홀들 중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이 걸려 물이 유입되는 유입 관통홀과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이 걸려 물이 배출되는 배출 관통홀을 결정하고, 상기 유입 관통홀과 상기 배출 관통홀에서만 물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파저항 저감형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의 내부에는 상기 관통홀들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라인이 배치되고,
    상기 연결라인에는 상기 관통홀들 각각을 통한 물의 출입을 제어하는 제어밸브들이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밸브들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조파저항 저감형 선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모의실험을 통해 선박운항조건 별로 조파저항을 저감하기 위해 미리 결정된 관통홀들에 관한 모의실험 데이터에 현 선박운항조건을 대입하고, 상기 현 선박운항조건에 대응하는 관통홀들을 상기 유입 관통홀 및 상기 배출 관통홀로 결정하는, 조파저항 저감형 선박.
  4. 제3항에 있어서,
    운전자가 선박운항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선박운항조건을 상기 현 선박운항조건으로 인식하여 상기 모의실험 데이터에 대입하고, 상기 입력된 선박운항조건에 대응하는 관통홀들을 상기 유입 관통홀과 상기 배출 관통홀로 결정하는, 조파저항 저감형 선박.
  5. 제3항에 있어서,
    선박운항조건을 측정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선박운항조건을 상기 현 선박운항조건으로 인식하여 상기 모의실험 데이터에 대입하고, 상기 측정된 선박운항조건에 대응하는 관통홀들을 상기 유입 관통홀과 상기 배출 관통홀로 결정하는, 조파저항 저감형 선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의실험은 수치해석 또는 모형선 실험으로 수행되는, 조파저항 저감형 선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들 중 상기 선체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홀들은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列)로 배치되는, 조파저항 저감형 선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들은 경하 흘수선 이상 만재 흘수선 이하의 범위에 위치하는, 조파저항 저감형 선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운항조건은 선속 조건 및 흘수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파저항 저감형 선박.
KR1020150083074A 2015-06-12 2015-06-12 조파저항 저감형 선박 KR201601461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074A KR20160146179A (ko) 2015-06-12 2015-06-12 조파저항 저감형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074A KR20160146179A (ko) 2015-06-12 2015-06-12 조파저항 저감형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179A true KR20160146179A (ko) 2016-12-21

Family

ID=57734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3074A KR20160146179A (ko) 2015-06-12 2015-06-12 조파저항 저감형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617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55837A (zh) * 2018-12-05 2019-06-07 中国空气动力研究与发展中心低速空气动力研究所 用于航行器出入水试验的模型半约束发射装置及试验方法
CN110395348A (zh) * 2019-08-23 2019-11-01 上海蕤洋海洋工程技术有限公司 多体船
CN110674980A (zh) * 2019-09-12 2020-01-10 中交疏浚技术装备国家工程研究中心有限公司 工程船实时波浪预测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8909A (ja) 2004-02-25 2005-09-08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船首バルブ付き船舶
JP2006188125A (ja) 2005-01-05 2006-07-20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肥大船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8909A (ja) 2004-02-25 2005-09-08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船首バルブ付き船舶
JP2006188125A (ja) 2005-01-05 2006-07-20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肥大船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55837A (zh) * 2018-12-05 2019-06-07 中国空气动力研究与发展中心低速空气动力研究所 用于航行器出入水试验的模型半约束发射装置及试验方法
CN109855837B (zh) * 2018-12-05 2020-07-07 中国空气动力研究与发展中心低速空气动力研究所 用于航行器出入水试验的模型半约束发射装置及试验方法
CN110395348A (zh) * 2019-08-23 2019-11-01 上海蕤洋海洋工程技术有限公司 多体船
CN110674980A (zh) * 2019-09-12 2020-01-10 中交疏浚技术装备国家工程研究中心有限公司 工程船实时波浪预测方法
CN110674980B (zh) * 2019-09-12 2023-01-03 中交疏浚技术装备国家工程研究中心有限公司 工程船实时波浪预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46179A (ko) 조파저항 저감형 선박
ATE303290T1 (de) Kontrolle für schwimmdock mit variablen auftrieb
CN100489702C (zh) 基于模糊自适应算法的船舶动力定位控制系统
JPH1129089A (ja) バラスト水自動換水システム
KR19990023218A (ko) 마찰 감소 선박을 위한 기포 발생 및 표면 마찰 감소 방법
KR20130021056A (ko) 비대칭 비틀림 유동제어 핀이 부착된 선박의 선미 구조부 형성 방법
CN113232766A (zh) 一种穿梭油轮舒适度上建结构的减振装置及制造方法
JP2000025683A (ja) バブレーヤのrancによる弁開度自動制御方法
KR101526112B1 (ko) 복합 해상환경을 고려한 변동풍 발생장치
De Jong et al. The broaching of a fast rescue craft in following seas
KR20140036460A (ko) 선박의 저항 저감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Richter et al.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for downwind sails
KR101390825B1 (ko) 선박의 저항 저감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JPH1024891A (ja) 船舶の摩擦抵抗低減装置
KR20030083825A (ko) 부양식 독내에서 대형선박을 제조하기 위한 자동 발라스트시스템 및 발라스트 제어방법
Vamråk et al. Robust lateral control of a surface effect ship using H∞ mixed sensitivity synthesis
CN116113575A (zh) 用于操作减小摩擦阻力的船方法
KR20140028409A (ko) 선박의 저항 저감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Orych et al. Hydrodynamic aspects of transom stern optimization
KR20120088206A (ko) 선박의 밸러스트 운용 시스템
Spyrou et al. Patterns of surf-riding and broaching-to captured by advanced hydrodynamic modelling
WO2024108452A1 (zh) 船舶破损稳性试验的主动控制系统
Ashill et al. A review of research at DRA on active and passive control of shock waves
KR102524912B1 (ko) 공기윤활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Melis et al. Velocity Prediction Program for a Hydrofoiling Lake Rac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