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5986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5986A
KR20160145986A KR1020150082439A KR20150082439A KR20160145986A KR 20160145986 A KR20160145986 A KR 20160145986A KR 1020150082439 A KR1020150082439 A KR 1020150082439A KR 20150082439 A KR20150082439 A KR 20150082439A KR 20160145986 A KR20160145986 A KR 20160145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terminal
position information
location
lo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2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2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5986A/ko
Publication of KR20160145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59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76/00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단말이 긴급 호 발생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이때, 위치 정보 측정 능력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 수신 모드를 제 1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긴급 호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 긴급 호 연결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 수신 모드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위치 정보 수신 모드 설정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 수신 모드를 제 2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위치 정보 측정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 2 모드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위치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모드는 유저에 의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모드이고, 제 2 모드는 단말이 지원하는 위치 정보 수신 모드 중 위치 측정 능력이 가장 높은 모드일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Th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of position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긴급 호(Emergency Call) 발생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E-UMTS(Enhanced-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이라 불리기도 한다. UMTS 및 E-UMTS의 기술 규격(technical specification)의 상세한 내용은 각각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의 Release 7과 Release 8을 참조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E-UMTS는 크게 단말(User Equipment, UE)과 셀(eNB), 네트워크(E-UTRAN)의 종단에 위치하여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접속 게이트웨이(Access Gateway, 이하 AG)로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eNB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위해 다중 데이터 스트림을 동시 송신할 수 있다. eNB 간에는 사용자 트래픽 또는 제어 트래픽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AG는 사용자 트래픽 처리를 담당하는 부분과 제어용 트래픽을 처리하는 부분으로 나누어 질 수도 있다. 이때, 새로운 사용자 트래픽 처리를 위한 AG와 제어용 트래픽을 처리하는 AG 사이에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AG는 TA(Tracking Area) 단위로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하며, 상기 TA는 복수의 셀들로 구성된다. 단말은 특정 TA에서 다른 TA로 이동할 경우, AG에게 자신이 위치한 TA가 변경되었음을 알려준다. CN(Core Network)은 AG와 UE의 사용자 등록 등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E-UTRAN과 CN을 구분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의 네트워크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특히 E-UTRAN시스템은 기존 UTRAN 시스템에서 진화한 시스템이다. E-UTRAN은 셀(eNB)들로 구성되며, 셀들은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다. 셀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과 연결되며,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EPC(Evolved Packet Core)에 연결된다. EPC에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S-GW(Serving-Gateway) 및 PDNGW(Packet Data Network-Gateway)로 구성된다. MME는 단말의 접속 정보나 단말의 능력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단말의 이동성 관리에 주로 사용된다. S-GW는 E-UTRAN을 종단점으로 갖는 게이트웨이이며, PDN-GW는 PDN(Packet Data Network)을 종단점으로 갖는 게이트웨이이다.
한편, 단말은 긴급 호가 발생하면 외부 디바이스로 위치 정보를 송신하여 현재 단말의 위치를 알릴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호 발생시 단말이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호 발생하는 경우, 단말이 지연 시간없이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위치에 대한 정확성을 향상시키도록 위치 정보 측정 방법을 제어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호 발생시 단말이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위치 정보 측정 능력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 수신 모드를 제 1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긴급 호(Emergency Call)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 긴급 호 연결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 수신 모드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위치 정보 수신 모드 설정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 수신 모드를 제 2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위치 정보 측정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제 2 모드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위치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모드는 유저에 의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모드이고, 제 2 모드는 단말이 지원하는 위치 정보 수신 모드 중 위치 측정 능력이 가장 높은 모드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호 발생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외부 디바이스로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신 모듈,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측정 모듈, 유저에 의한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는 센서 모듈 및 상기 수신 모듈, 상기 송신 모듈, 상기 위치 정보 측정 모듈 및 상기 센서 모듈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는 위치 정보 측정 능력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 수신 모드를 제 1 모드로 설정하고, 긴급 호(Emergency Call) 연결을 요청하고, 긴급 호 연결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 수신 모드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수신 모듈을 이용하여 수신하고, 위치 정보 수신 모드 설정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 수신 모드를 제 2 모드로 설정하고, 위치 정보 측정 요청 신호를 수신 모듈을 이용하여 수신하고, 제 2 모드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 측정 모듈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위치 정보를 송신 모듈을 이용하여 송신하되, 제 1 모드는 센서 모듈에 의해 디텍트되는 상기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설정된 모드이고, 제 2 모드는 단말이 지원하는 위치 정보 수신 모드 중 위치 측정 능력이 가장 높은 모드일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긴급호 발생시 단말이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 장치에 대해서 다음 사항들은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위치 정보 수신 모드는 GNSS 독자 모드(standalone mode), GNSS 단말 보조 모드(UE-assisted mode) 및 GNSS 단말 중심 모드(UE-based mode)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2 모드는 GNSS 단말 중심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위치 측정 능력은 위치 측정 오차 범위 및 위치 측정 시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긴급 호 연결을 요청하기 전 제 1 모드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를 측정하고 있는 경우, 위치 정보 측정 요청 신호 수신되면 위치 정보 측정을 중단하고, 제 2 모드에 기초하여 새로운 위치 정보 측정을 수행하고, 새롭게 측정된 위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호 발생시 단말이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호 발생하는 경우, 단말은 위치 정보 획득의 지연 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호 발생하는 경우, 단말은 위치 정보에 대한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E-UMTS의 네트워크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E-UTRAN의 네트워크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3GPP 무선 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3GPP 무선 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긴급 호 발생시 단말이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긴급 호 발생시 단말이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위치 능력(positioning capability) 정보를 교환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위치 정보 교환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위치 정보 수신 모드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시간을 줄이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위치 정보 수신 모드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5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 장치 및 기지국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액세스 시스템들인 IEEE 802 시스템, 3GPP 시스템, 3GPP LTE 및 LTE-A(LTE-Advanced)시스템 및 3GPP2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액세스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명세서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3GPP 무선 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제어평면(Control Plane)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는 3GPP 무선 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사용자평면(U-Plane, User-Plane)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특히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은 수직적으로 물리계층(Physical Layer), 데이터링크 계층 (Data Link Layer) 및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으로 이루어지며, 수평적으로는 데이터 정보 전송을 위한 사용자 평면(User Plane)과 제어 신호(Signaling)의 전달을 위한 제어 평면(Control Plane)으로 구분된다.
또한, 도 3 및 4의 프로토콜 계층들은 통신 시스템에서 널리 알려진 개방형 시스템간 상호 접속(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 기준 모델에 기반한 것으로, 하위 3개 계층을 L1(제 1 계층), L2(제 2 계층), L3(제 3 계층)로 구분될 수 있다. 제어 평면은 단말과 네트워크가 호를 관리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제어 메시지들이 전송되는 통로를 의미한다. 사용자 평면은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생성된 데이터,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 또는 인터넷 패킷 데이터 등이 전송되는 통로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무선 프로토콜의 제어 평면과 사용자 평면의 각 계층을 설명한다.
제 1 계층인 물리 계층은 물리 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하여 상위 계층에게 정보 전송 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한다. 물리계층은 상위에 있는 매체 접속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계층과는 전송 채널(Transport Channel)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송 채널을 통해 MAC 계층과 물리 계층 사이에 데이터가 이동한다. 송신 측과 수신 측의 물리 계층 사이는 물리 채널을 통해 데이터가 이동한다. 상기 물리 채널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으로 변조되며, 시간과 주파수를 무선 자원으로 활용한다.
제 2 계층의 MAC 계층은 논리 채널(Logical Channel)을 통해 상위 계층인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계층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 2 계층의 RLC 계층은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지원한다. RLC 계층의 기능이 MAC 내부의 기능 블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RLC 계층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제 2 계층의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은 IPv4나 IPv6와 같은 IP 패킷 전송 시에 대역폭이 좁은 무선 인터페이스에서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불필요한 제어 정보를 줄여주는 헤더 압축(Header Compression) 기능을 수행한다. 제 3 계층의 최하부에 위치한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계층은 제어 평면에서만 정의되며,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RB)들의 구성(Configuration), 재구성 (Re-configuration) 및 해제(Release)와 관련되어 논리 채널, 전송 채널 및 물리 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무선 베어러는 단말과 EUTRAN 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제 2 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RRC 계층은 단말과 네트워크 간에 RRC 메시지를 서로 교환한다.
이하 단말의 RRC 상태와 RRC 연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RRC 상태란 단말의 RRC가 E-UTRAN의 RRC와 논리적 연결(logical connection)이 되어 있는지 여부를 말하며, 연결되어 있는 경우는 RRC 연결 상태(RRC_CONNECTED),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RRC 휴지 상태(RRC_IDLE)라고 부른다.
E-UTRAN은 RRC 연결 상태의 단말의 존재를 셀 단위에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반면에 E-UTRAN은 RRC 휴지 상태의 단말을 셀 단위에서 파악할 수 없으며, 셀 보다 더 큰 지역 단위인 TA 단위로 CN이 관리한다. 즉, RRC 휴지 상태의 단말이 셀로부터 음성이나 데이터와 같은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RRC 연결 상태로 상태 천이하여야 한다. 특히 사용자가 단말의 전원을 맨 처음 켰을 때, 단말은 먼저 적절한 셀을 탐색한 후 해당 셀에서 RRC 휴지 상태에 머무른다. RRC 휴지 상태에 머물러 있던 단말은 RRC 연결을 맺을 필요가 있는 경우에야 비로소 E-UTRAN의 RRC과 RRC 연결 설정 (RRC connection establishment) 과정을 수행하여 RRC 연결 상태로 천이한다. 여기서 RRC 연결을 맺을 필요가 있는 경우란 사용자의 통화 시도 등의 이유로 상향 데이터 전송이 필요하다거나, E-UTRAN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해야 하는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셀 선택 절차는 단말이 RRC 휴지 상태로 머물러 있을 셀을 현재 결정하지 못한 상태에서 수행하는 것이므로, 가능한 신속하게 셀을 선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일정 기준 이상의 무선 신호 품질을 제공하는 셀이라면, 비록 이 셀이 단말에게 가장 좋은 무선 신호 품질을 제공하는 셀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즉 Suitable 셀이 아닌 Acceptable 셀인 경우에도, 단말의 셀 선택 절차에서 선택될 수 있다. 한편, 단말이 무선 채널의 품질 악화 또는 단말-네트워크간 설정 불일치 등의 이유로 정상적인 통신을 할 수 없을 경우, 단말은 현재의 통신 링크에 장애가 있다고 판단하고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시작할 수 있다.
3GPP 표준 문서 TS 36.331에서는 상기 정상적인 통신을 할 수 없을 경우의 예로서 단말의 물리 계층의 무선 품질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단말이 하향 통신 링크 품질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 MAC 부계층에서 임의 접근(Random Access) 절차가 계속적으로 실패하거나 RLC 부계층에서 상향 데이터 전송이 계속해서 실패하여 상향 링크 전송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 핸드오버를 실패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또는 단말이 수신한 메시지가 무결성 검사(integrity check)를 통과하지 못한 경우 등을 들고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RRC 연결 상태에서 특정 조건에 기초하여 상향 링크 동기화 상태가 비동기화 상태로 전환되어 상향 링크 자원이 해제된 후, 상향 링크 자원을 복구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하며, 이와 관련해서는 후술한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을 참조하면, LPP(Location Position Protocol) 모델에서 위치 서버는 측위를 위한 보조 데이터(assistance data)를 단말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즉, 위치 서버는 OTDOA/A-GNSS 방식을 이용할 수 있도록 단말에게 보조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위치 서버가 측위를 위한 보조 데이터(assistance data)를 단말로 전송하기 전에, 단말에게 위치 정보를 요청하면, 단말은 위치 서버로 다시 보조 데이터 요청을 전송하는 과정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LPP 모델에서는, 단말(UE)이 측위를 위해 기지국(eNode B) 및 위성의 기준신호(Reference Signal)(파일럿 신호 또는 프리앰블 등 다양하게 지칭될 수 있음)를 이용할 수 있으며, 기준신호로부터의 측정정보(measurement) 또는 측위 정보(location information)를 위치 서버로 전송하고, 최종적인 위치 결정은 상기 위치 서버에서 이루어진다.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 및 위치 서버 간의 측위 정보 및 송수신 방식을 규격화한 것이 LPP 규격이고, LPP 규격은 측위 정보에 대한 IE 및 시그널링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LPP 규격의 특징적인 점은 제어 평면(control plane) 및 사용자 평면(user plane)에서의 측위 정보 전송을 동시에 지원한다는 점이다. 사용자 평면에서의 측위 정보 전송이 가능함에 따라 새로운 측위 방식이 유연하게 추가될 수 있다. LPP 기술은 크게 A-GNSS 방식(혹은 A-GPS 방식), OTDOA 방식, 그리고 E-CID 방식으로 3가지 정도가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기술에 기초하여 단말이 긴급 호 발생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서술한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긴급 호 발생시 단말이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E-UTRA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은 긴급 호(Emergency Call)가 발생하면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긴급 서비스 제공자에게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네트워크는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일정 시간 내에 긴급 서비스 제공자에게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는 긴급 호 상황임을 고려하여 가능한 빠르게 단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이때, 일 예로, 네트워크가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기준 시간은 각각의 국가에서 제공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마다 다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Unite State는 네트워크의 응답 시간을 5초 이내에 완료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E-UTRA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서버는 긴급 호가 발생한 단말에 대한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긴급 서비스 제공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의 위치 정보는 경도 및 위도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위치 서버는 LCS(Location Service) 서버일 수 있다.
이때, 도 6을 참조하면, E-UTRAN 무선 시스템에서 긴급 호가 발생하면 단말은 긴급 접속(emergency attach)를 수행하거나 긴급 베어러(Emergency Bearer)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단말에 일반적인 접속(normal attach)이 수행되어 있는 경우, 단말은 바로 긴급 PDN(Packet Data Network)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단말은 LPP를 지원할 수 있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상술한 바와 같이 긴급 접속이 수행되거나 긴급 PDN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 E-UTRAN 무선 통신 시스템의 MME는 위치 서버를 선택하고, 선택된 위치 서버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위치 서버로 단말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절차는 EPC Network Induced Location Request(EPC-NI-LR)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위치 서버는 Enhanced-Service Mobile Location Centre(E-SMLC)일 수 있다. 또한, 위치 서버는 세션이 유지되는 동안 변경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MME가 위치 서버로 단말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경우, MME는 위치 서버로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에는 요청되는 위치 정보의 타입, 요청되는 위치 정보의 QoS, 서빙 셀의 아이디 및 LPP를 지원하는 단말의 능력(capability)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위치 서버는 상술한 정보가 포함된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위치 서버는 상술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의 위치에 대한 정확도가 보장되면 응답 메시지를 MME로 송신할 수 있다. 그러나, 위치 서버가 위치에 대한 정확도가 보장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단말을 통해 위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해서는 도 7에서 후술한다.
또한, 일 예로, 위치 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해서도 위치에 대한 정확도가 보장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단말이 현재 속해 있는 셀 아이디를 이용하여 단말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즉, 위치 서버는 긴급 호가 발생한 단말에 대한 위치 정보로서 정확도를 향상 시키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시도할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하지 않는다. 위치 서버가 단말의 위치에 대한 정확도가 보장되어 응답 메시지를 MME로 송신하고 나면 위치 서버는 긴급 서비스 제공자에게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긴급 호 발생시 단말이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위치 서버는 단말의 위치에 대한 정확도가 보장되지 않으면 네트워크로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도 7을 참조하면 위치 서버는 MME로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MME는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기지국으로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기지국은 단말로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단말이 Idle 상태이면 MME는 기지국 및 단말과의 신호 연결을 형성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한 후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MME가 기지국으로 위치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 MME는 S1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NAS 메시지로서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는 MME와 위치 서버에 대한 관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말로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위치를 측위하고 위치 정보를 계산하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단말이 Idle 상태이면 MME, 기지국 및 단말과의 신호 연결을 형성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한 후 위치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위치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를 수신하면 MME로 위치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그 후, MME는 위치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를 위치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위치 서버는 수신한 메시지를 이용하여 긴급 호가 발생한 단말의 위치 정보에 정확성을 보장 받을 수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위치 능력(positioning capability) 정보를 교환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위치 능력(positioning capability)는 특정한 위치 측정 방법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보다 상세하게는, 위치 측정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바와 같이, 위치 서버가 단말로 보조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보조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위치 측정 방법이 다를 수 있다. 즉, 위치 능력은 다양한 위치 측정 방법 중 어느 위치 측정 방법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이러한 위치 능력은 LPP 프로토콜에 정의되어 타겟 디바이스 및 서버 사이에서 교환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타겟 디바이스는 긴급 호가 발생한 단말일 수 있으며, 서버는 위치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타겟 디바이스와 서버 사이에서 위치 능력에 대한 정보는 요청에 의해 교환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타겟 디바이스와 서버 사이에서 위치 능력에 대한 정보는 특정한 요청 없이도 교환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일 예로, 도 8을 참조하면 서버는 LP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위치 능력에 요청 메시지(LPP Request Capabilities)를 타겟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타겟 디바이스는 위치 능력에 대한 메시지(LPP Provide Capabilities)를 서버에 송신할 수 있다. 즉, 타겟 디바이스와 서버는 위치 능력에 대한 정보를 교환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9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위치 정보 교환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위치 정보(Location Information)은 단말의 실제 위치에 대한 추정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위치 정보는 단말의 위치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들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위치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타겟 디바이스 및 서버 사이에 교환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위치 정보는 요청에 의해 교환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위치 정보는 요청 메시지 없이도 교환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도 9를 참조하면 서버는 타겟 디바이스에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LPP Request Location Information)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메시지에는 필요한 위치 정보에 대한 타입 정보 또는 관련된 QoS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타겟 디바이스는 응답으로 서버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메시지(LPP Provide Location Information)을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메시지는 요청 메시지에서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여 송신될 수 있다. 또한, 타겟 디바이스는 서버가 요청하지 않은 타입의 위치 정보도 추가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단말은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GNSS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시스템으로서 GPS, Galileo, GLONASS, SBAS, QZSS 및 BDS 등이 있을 수 있다. 단말은 각각의 GNSS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거나 복수 개의 GNSS 시스템을 결합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단말은 산골 등과 같이 장애물이 있는 지역에서 성능을 향상 시키기 위해 복수 개의 GNSS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단말은 안정성을 향상 시키기 위해 복수 개의 GNSS을 이용할 수 있다. 단말은 중복되는 정보로서 위치 측정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면 복수 개의 GNSS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단말은 위치 정보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 시키기 위해 복수 개의 GNSS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즉, 단말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GNSS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단말은 GNSS 및 E-UTRAN 시스템을 연동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이 GNSS 및 E-UTRAN을 연동하여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경우, 단말은 위치 정보 획득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때, 위치 정보 획득 시간이 줄어든바, 단말은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단말은 위치 측정의 정확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은 위치 측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메시지 등을 E-UTRAN을 통해 획득함과 동시에 위치 정보 측정 모듈을 동작할 수 있는바, SNR을 낮출 수 있고, 미리 획득한 위치 측정에 필요한 정보를 통해 정확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위치 정보 측정 모듈은 GNSS 리시버(receiver)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단말이 E-UTRAN을 통해 수신하는 정보로서 위치 측정에 필요한 정보는 기준 시간 정보, 이용 가능한 위성 리스트 정보, 위성 신호의 도플러 효과 정보 및 코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상술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 획득 시간을 줄이거나 정확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단말이 GNSS만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모드는 GNSS 독자 모드(Standalone mode)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단말이 GNSS 및 E-UTRAN을 연동하여 이용하는 모드인 네트워크 보조형 GNSS 모드(Network-Assisted GNSS mode)가 있을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 보조형 GNSS 모드는 단말이 측정하는 GNSS 측정 정보를 위치 서버로 전송하고, 위치 서버가 E-UTRAN 등을 통해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를 계산하는 모드인 GNSS 단말-보조 모드(UE-assist mode)와 단말이 GNSS 측정 정보 및 E-UTRAN을 통해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직접 위치를 계산하는 GNSS 단말-중심 모드(UE-based mode)가 있을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단말 중심 모드는 위치 정보 획득 시간이 가장 빠르고 정확할 수 있다. 즉, 단말이 위치 서버로 별도의 정보를 송신하여 위치를 계산하는 GNSS 단말-보조 모드보다 직접 위치를 계산하는 GNSS 단말-중심 모드가 위치 정보 획득 시간이 빠르고 정확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단말이 GNSS와 E-UTRAN을 연동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단말은 위치 정보에 대한 타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위치 정보에 대한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GNSS 독자 모드, GNSS 단말-보조 모드 및 GNSS 단말-중심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상술한 E-UTRAN은 GERAN 또는 UTRAN일 수 있다. 즉, 네트워크로서 GNSS와 연동될 수 있는 네트워크가 이용될 수 있으며, E-UTRAN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구성과 관련하여, 도 10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호 발생시 단말이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위치 측정 방법을 설정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의 사용자는 어느 시점이든 단말의 메뉴를 통해 현재 사용을 원하는 GNSS 위치 능력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폰에서는 환경 설정의 GPS 위성 사용 체크 시에 GPS 도우미 사용(네트워크를 사용하여 GPS 보조 데이터 수신)을 선택할 수 있다. GPS 도우미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GPS는 GPS는 독자 모드(Standalone mode)로 설정이 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네트워크 보조형 GPS (ue-based or ue-assisted) 모드가 설정이 된다.
GNSS의 경우에도 비슷하게 메뉴에서 설정이 될 수 있다. 이렇게 설정된 값은 위치 정보 측정 모듈에 저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은 긴급 사항 발생으로 인해 사용자에 의하여 긴급 호 연결이 요청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단말은 긴급 호 연결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긴급 호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이 attach가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긴급 접속을 수행하고, 이미 일반 접속이 수행되어 있는 경우에는 긴급 PDN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MME는 긴급 접속 및 긴급 PDN 연결을 디텍트하면 위치 서버로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그 후,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요청 절차(network induced location request procedure)가 시작될 수 있다. 이때, 위치 서버는 LPP protocol을 사용하여 현재 단말이 지원하는 위치 능력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위치 능력 정보 요청 메시지(LPP Request Capabilities)를 단말로 보낸다. 이때, 단말은 위치 서버가 원하는 위치 능력 정보를 응답 메시지(LPP Provide Capabilities)에 포함하여 위치 서버로 보내준다.
일 예로, 위치 서버에 의해 지원되는 GNSS 리스트에 대한 위치 능력 정보가 요청된 경우, 지원되는 GNSS 필드안에서 각각의 GNSS마다 사용자에 의해 현재 설정된 GNSS 모드 정보(standalone, UE-based, UE-assisted)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위치 서버는 단말에서 지원하는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위치 측정에 대한 보조 데이터를 포함한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단말은 수신한 보조 데이터를 위치 정보 측정 모듈로 전달하여 위치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위치 서버는 보조 데이터를 모두 보낸 후에 LPP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LPP Request Location Information)를 단말에게 보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에는 위치 정보에 대한 타입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요구되는 QoS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위치 정보에 대한 타입 정보는 location Estimate Required, location Measurements Required, location Estimate Preferred 및 location Measurements Preferred로 위치 서버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위치 서버는 위치 측위에 있어서, 위치를 추정하는 경우 및 위치를 측정하는 경우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의 타입을 결정하고, 이러한 정보를 단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이때, location Estimate Required 타입은 위치 서버가 단말로 위치 추정 정보를 요청하고, 단말이 위치 추정 정보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 단말은 위치 서버로 에러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location Measurements Required 타입은 위치 서버가 단말로 위치 측정 정보를 요청하고, 단말이 위치 측정 정보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 단말은 위치 서버로 에러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location Estimate Preferred 타입은 위치 서버가 단말로 위치 추정 정보를 요청하되, 단말이 위치 추정 정보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에도 다른 대체할 수 있는 측정 정보를 위치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location Measurements Preferred 타입은 위치 서버가 단말로 위치 측정 정보를 요청하되, 단말이 위치 측정 정보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에도 다른 대체할 수 있는 측정 정보를 위치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은 위치 정보에 대한 타입 정보는 단말에 설정된 GNSS 모드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에서 지원된 GNSS가 현재 GNSS 독자 모드만을 지원하고 있는 경우, 위치 서버는 위치 정보에 대한 타입 정보를 location Measurement Required를 제외한 3가지 type중에 하나로만 선택할 수 있다. 즉, 단말은 GNSS 독자 모드에서는 location Measurement Required의 타입을 지원할 수 없을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위치 서버가 location Measurement Required로 설정된 위치 정보에 대한 타입 정보를 단말에게 송신하면 단말은 GNSS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지 못하고 위치 서버로 에러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단말은 상술한 메시지들을 오류없이 수신한 후 단말의 위치 정보 측정 모듈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 및 위치 정보 계산을 위한 측위 값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GNSS의 동작 모드는 GNSS 독자 모드, GNSS 단말-보조 모드 및 GNSS 단말 중심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상술한 GNSS 동작 모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임의로 정의된 값이며, 이러한 값들은 위치 서버로부터 받은 위치 정보에 대한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그 후, 단말은 측정된 값을 위치 정보 측정 모듈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위치 서버로 LPP를 이용하여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단말은 위치 정보 제공 메시지(Provide Location Information)을 통해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 또는 GNSS에 의해 측정된 값을 보낼 수 있다. 이때, 위치 서버는 수신된 위치 정보 측위값들을 사용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그 후, 위치 서버는 획득한 위치 정보를 MME에게 전달할 수 있다. 그 후, MME는 획득한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긴급 서비스 제공자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단말은 GMLC(Gateway Mobile Location Centre)를 통해 긴급 서비스 제공자에게 단말의 위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그 후, 긴급 호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즉, 긴급 호가 발생하면 위치 서버는 단말을 통해 획득한 위치 정보 측위값을 통해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네트워크로 송신하고, 네트워크는 수신된 위치 정보를 긴급 서비스 제공자에게 전달하여 긴급 호 절차를 진행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위치 정보 수신 모드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아, 긴급 호가 발생하는 경우,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긴급 서비스 제공자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이때, 긴급 호 발생시에는 단말 사용자가 긴급 사항이 발생한 경우인바, 단말의 위치 정보 획득을 다른 동작에 의한 위치 정보 획득 방법보다 신속하게 정확하게 획득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이때, 도 10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위치 서버는 단말의 GNSS 위치 능력에 따라 단말에 현재 설정된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긴급 호 발생 유무와 관련 없이, 위치 서버에서 현재 단말의 각각의 GNSS에 대한 위치 능력을 알기 위해 단말에게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응답을 통해 단말 내부에서 현재 지원되고 있는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를 위치 서버로 보낼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에서 지원되는 동작 모드는 현재 단말에서 메뉴 등을 통해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된 부분일 수 있다.
일 예로, GNSS 위치 능력에 기초하여 단말이 지원하는 GNSS ID가 GPS, SBAS, QZSS, Galileo, GLONASS, BDS일 수 있다. 이때, 단말은 메뉴에 의해서 현재 단말에 의해서 지원되도록 설정된 GNSS ID는 GPS만이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GNSS ID로서, GPS, SBAS, QZSS, Galileo, GLONASS, BDS를 지원할 수 있지만, 사용자에 의한 설정을 통해 위치 서버로 위치 능력에 대한 정보를 보내는 경우, GPS만을 지원한다고 설정하고 위치 능력 정보를 보내게 될 수 있다. 위치 서버는 단말에 의해 보내어지는 위치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보조 데이터 및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의 필드를 설정하여 보내기 때문에 긴급 호인 경우나 보통의 호의 경우 메뉴에 의해 설정된 GNSS ID인 GPS에 대해서만 필드를 설정하여 단말 위치 정보를 측정하도록 요청이 될 수 있다.
즉, 단말이 많은 GNSS ID를 지원하는 경우라도 실제 하나의 GNSS ID를 사용하여 단말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때문에 최적의 GNSS를 사용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현재의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역시 GNSS의 동작 모드 설정에 의한 위치 능력 정보가 위치 서버로 전달되므로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의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의 위치 정보 측위값에 대한 정확도가 감소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단말은 상위 어플리케이션 또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GNSS의 동작 모드를 GNSS 독자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위치 서버의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단말이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경우, 단말은 GNSS 독자 모드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때문에 시간이 지연될 수 있다.
즉, 단말은 현재 단말에 설정된 GNSS의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위치 서버에 요청에 의한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때문에 단말이 지원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GNSS 모드를 설정하지 못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1을 참조하면, 단말은 GNSS 독자 모드, GNSS 단말-보조 모드 및 GNSS 단말-중심 모드 모두를 지원할 수 있지만 단말은 상위 어플리케이션 또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 등에 의해 GNSS 단말-보조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긴급 호가 발생하고, 위치 서버의 요청에 의해 단말은 GNSS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를 위치 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즉, 단말은 GNSS 동작 모드로 GNSS 단말-보조 모드에 대한 정보를 위치 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그 후, 위치 서버는 단말로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위치 서버는 단말의 동작 모드가 GNSS 단말-보조 모드만을 지원된다고 판단하고, location Measurements Required 타입의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를 단말에게 보낼 수 있다. 단말은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GNSS 단말-보조 모드는 GNSS 단말-중심 모드보다 위치 정보에 대한 정확도가 낮을 수 있다. 즉, 단말의 보조를 통해 위치 서버가 위치 값을 계산하는 경우가 단말이 직접 위치 값을 계산하는 경우보다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이 원래 지원 가능한 단말 중심 모드로 동작하게 되면 약 50 ~ 150 meter의 정확성을 가지고 단말 위치 정보를 측정할 수 있지만 단말에서의 설정에 의하여 단말-중심 모드만 지원되므로 100 ~ 300 meter의 정확성을 가지고 단말 위치 정보가 측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단말의 현재 동작 모드가 GNSS 독자 모드인 경우, 단말은 위치 서버의 요청 및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의 타입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를 GNSS 독자 모드에 기초하여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GNSS 독자 모드는 보조 데이터를 이용하지 않는바, 위치 정보 획득에 상당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며, 이러한 위치 정보 획득 시간 지연이나 정확성 감소는 긴급 호에 의한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긴급 서비스 제공자에게 늦게 전송하거나 정확성이 감소된 위치 정보를 주게 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현재 동작 중인 모드가 아닌 단말이 지원할 수 있는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13에서 후술한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시간을 줄이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단말이 위치 정보를 위치 서버로 제공하는 경우, 단말은 긴급 호 이전에 내부에서 지도 앱 등과 같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서 GNSS가 동작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있을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도 12을 참조하면, 단말은 위치 정보 측정 모듈에 의해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있는 동안 긴급 호에 의해 단말의 위치 정보 측정 모듈이 위치 정보를 획득하게 되는 경우, 위치 정보 측정 모듈은 GNSS가 동작 중인지를 확인하게 되고, GNSS 동작이 완료가 될 때까지 긴급 호에 의한 위치 정보 획득을 중지하여 기다리게 된다. 이때, 단말은 내부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GNSS 동작이 완료되면 긴급 호에 대한 위치 정보 획득을 시작하게 된다. 그러나, 긴급 호로서 위치 정보를 가능한 빨리 획득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바, 상술한 GNSS 동작을 중지시킬 필요성이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13에서 후술한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위치 정보 수신 모드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단말이 GNSS 시스템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단말은 위치 정보를 이용해야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에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단말은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단말은 위치 능력에 따라 동작 모드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이때, 일 예로, 단말은 긴급 호가 발생하기 전에 위치 능력에 기초하여 설정된 동작 모드로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있을 수 있다. 이때, 긴급 호가 발생할 수 있다. 단말은 긴급 호가 수행되면 위치 정보 측정 모듈에게 알려줄 수 있다. 긴급 호가 발생하면 단말은 MME와 연결을 수행하고 MME는 위치 서버로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게되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위치 서버는 LP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현재 단말이 지원하는 위치 능력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단말로 메시지를 송신하게 된다. 단말은 LP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위치 능력 정보를 위치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단말은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된 위치 능력에 따른 동작 모드가 아닌 단말이 지원할 수 있는 위치 능력 정보를 위치 서버로 송신하게 된다. 이는, 긴급 호가 발생하는 경우라면 긴급하게 정보를 송신할 필요성이 있는바, 단말은 현재 설정된 위치 능력 정보가 아닌 단말 자체에서 지원할 수 있는 위치 능력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긴급 호 상황에서 가장 적합한 위치 능력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긴급 호가 발생한 경우, 위치 서버는 GNSS 지원 리스트에 대한 각각의 위치 능력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메시지에 대한 필드에는 각각의 GNSS마다 단말이 지원하는 위치 능력에 따른 모든 동작 모드 정보(GNSS 독자 모드, GNSS 단말-보조 모드 및 GNSS 단말-중심 모드)가 포함될 수 있다. 즉, 긴급 호가 발생하는 경우라면, 단말은 현재 동작하는 동작 모드가 아닌 단말이 지원할 수 있는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를 위치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그 후, 단말은 위치 서버와의 메시지를 교환하여 보조 데이터 및 위치 정보에 대한 타입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이때, 단말은 긴급 호 발생 전에 설정된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 중일 수 있다. 이때, 단말은 긴급 호에 의한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 GNSS 동작을 중지 시킬 수 있다. 즉, 긴급 호의 경우에는 긴급한 상황일 수 있는바, 단말은 다른 어플리케이션 등에 의해 위치 정보 측정 모듈이 이용되고 있더라도, 이를 중지시키고 긴급 호에 대한 위치 정보 획득을 최우선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단말은 내부 모듈에게 GNSS에 대한 에러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그 후, 단말은 긴급 호에 대한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위치 서버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말은 위치 정보 수신 모드를 제 1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S1410) 이때, 일 예로, 위치 정보 수신 모드는 상술한 GNSS 독자 모드, GNSS 단말-보조 모드 및 GNSS 단말-중심 모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단말은 상위 어플리케이션 또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 등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 수신 모드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단말은 위치 정보 수신 모드가 설정되면 위치 정보 측정 모듈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은 긴급 호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S1420) 일 예로, 단말은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긴급 호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긴급 호가 연결되는 경우, 긴급 서비스 제공자에게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은 긴급 호 연결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 수신 모드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1430) 긴급 호 연결이 수행된 경우, MME는 위치 서버로 위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위치 서버는 위치 정보에 대한 정확성이 담보되지 않으면 단말로 위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위치 서버는 위치 정보 수신 모드 설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은 위치 정보 수신 모드 설정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 수신 모드를 제 2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S1440) 이때, 단말은 현재 설정된 위치 정보 수신 모드가 아닌 단말이 지원하는 위치 능력에 따른 위치 정보 수신 모드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 수신 모드를 제 2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 2 모드는 단말이 지원하는 위치 정보 수신 모드 중 최적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모드일 수 있다. 일 예로, 위치에 대한 정확성이 높고, 위치 측정의 지연 시간이 짧은 경우가 최적의 위치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제 2 모드는 GNSS 단말-중심 모드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GNSS 단말-중심 모드는 단말이 위치를 직접 계산하는바 GNSS 단말-보조 모드보다 정확도가 높을 수 있다. 또한, GNSS 단말-중심 모드는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바, GNSS 독자모드보다 위치 측정의 지연 시간이 짧을 수 있다. 즉, 단말은 최적의 위치 정보 수신 모드로서 GNSS 단말-중심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각각의 GNSS 중 가장 최적의 GNSS를 선택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단말은 위치 정보 측정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1450) 단말은 설정된 제 2 모드에 기초하여 위치 서버로부터 보조 데이터 및 위치 정보에 대한 타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은 제 2 모드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위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S1460) 이때, 일 예로, 단말은 긴급 호가 설정되기 전에 상위 어플리케이션 또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있을 수 있다. 이때, 단말은 긴급 호에 대한 위치 정보 수신을 우선시할 필요성이 있는바, 기존에 동작하고 있는 위치 정보 획득을 중단하고, 긴급 호에 대한 위치 정보를 우선적으로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그 후, 단말은 측정된 위치 정보를 위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5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 장치 및 기지국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단말(100)은 외부 디바이스로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모듈(110),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130),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위치 정보 측정 모듈(140), 유저에 의한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는 센서 모듈(150) 및 상술한 모듈들을 제어하는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외부 디바이스는 기지국 또는 위치 서버일 수 있다. 즉, 외부 디바이스는 단말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 또는 장치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은 E-UTRAN, GERAN 및 UTRAN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기지국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100)의 프로세서(120)는 위치 정보 측정 능력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 수신 모드를 제 1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그 후, 단말(100)의 프로세서(120)는 일정한 요건하에 긴급 호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단말(100)의 프로세서는 긴급 호 연결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 수신 모드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 모듈(130)을 이용하여 수신하고, 위치 정보 수신 모드 설정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 수신 모드를 제 2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그 후, 단말(100)의 프로세서(120)는 위치 정보 측정 요청 신호를 수신 모듈(130)을 이용하여 수신하고, 제 2 모드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 측정 모듈(140)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그 후, 단말(100)의 프로세서(120)는 측정된 위치 정보를 송신 모듈(110)을 이용하여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제 1 모드는 센서 모듈에 의해 디텍트되는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설정된 모드일 수 있으며, 제 2모드는 단말(100)이 지원하는 위치 정보 수신 모드 중 위치 측정 능력이 가장 높은 모드일 수 있다. 이때, 위치 정보 수신 모드는 GNSS 독자 모드(standalone mode), GNSS 단말 보조 모드(UE-assisted mode) 및 GNSS 단말 중심 모드(UE-based mode)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제 2 모드는 GNSS 단말 중심 모드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일 예로, 위치 측정 능력은 위치 측정 오차 범위 및 위치 측정 시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단말(100)의 프로세서(120)는 위치 정보 측정 모듈(140)을 이용하여 긴급 호 연결을 요청하기 전 제 1 모드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를 측정하고 있을 수 있다. 이때, 단말(100)의 프로세서(120)는 수신 모듈(130)을 이용하여 상술한 위치 정보 측정 요청 신호 수신하면 위치 정보 측정을 중단할 수 있다. 그 후, 단말(100)의 프로세서(120)는 제 2 모드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 측정 모듈(140)을 이용하여 새로운 위치 정보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단말(100)의 프로세서(120)는 새롭게 측정된 위치 정보를 송신 모듈(110)을 이용하여 송신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명세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 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100 : 단말 장치
110 : 송신 모듈
120 : 프로세서
130 : 수신 모듈
140 : 위치 정보 측정 모듈
150 : 센서 모듈

Claims (10)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긴급 호(Emergency Call) 발생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위치 정보 측정 능력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 수신 모드를 제 1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긴급 호(Emergency Call)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긴급 호 연결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 수신 모드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 수신 모드 설정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정보 수신 모드를 제 2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위치 정보 측정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모드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위치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모드는 유저에 의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모드이고,
    상기 제 2 모드는 상기 단말이 지원하는 상기 위치 정보 수신 모드 중 위치 측정 능력이 가장 높은 모드인,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수신 모드는 GNSS 독자 모드(standalone mode), GNSS 단말 보조 모드(UE-assisted mode) 및 GNSS 단말 중심 모드(UE-based mode)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는,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모드는 상기 GNSS 단말 중심 모드로 설정되는,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측정 능력은 위치 측정 오차 범위 및 위치 측정 시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호 연결을 요청하기 전 상기 제 1 모드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를 측정하고 있는 경우, 상기 위치 정보 측정 요청 신호 수신되면 상기 위치 정보 측정을 중단하고,
    상기 제 2 모드에 기초하여 새로운 위치 정보 측정을 수행하고, 상기 새롭게 측정된 위치 정보를 송신하는,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호(Emergency Call) 발생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외부 디바이스로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신 모듈;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측정 모듈;
    유저에 의한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는 센서 모듈; 및
    상기 수신 모듈, 상기 송신 모듈, 상기 위치 정보 측정 모듈 및 상기 센서 모듈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위치 정보 측정 능력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 수신 모드를 제 1 모드로 설정하고,
    긴급 호(Emergency Call) 연결을 요청하고,
    상기 긴급 호 연결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정보 수신 모드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수신 모듈을 이용하여 수신하고,
    상기 위치 정보 수신 모드 설정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정보 수신 모드를 제 2 모드로 설정하고,
    위치 정보 측정 요청 신호를 상기 수신 모듈을 이용하여 수신하고,
    상기 제 2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정보 측정 모듈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위치 정보를 상기 송신 모듈을 이용하여 송신하되,
    상기 제 1 모드는 상기 센서 모듈에 의해 디텍트되는 상기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설정된 모드이고,
    상기 제 2모드는 상기 단말이 지원하는 위치 정보 수신 모드 중 위치 측정 능력이 가장 높은 모드인,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수신 모드는 GNSS 독자 모드(standalone mode), GNSS 단말 보조 모드(UE-assisted mode) 및 GNSS 단말 중심 모드(UE-based mode)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는,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모드를 상기 GNSS 단말 중심 모드로 설정되는,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측정 능력은 위치 측정 오차 범위 및 위치 측정 시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긴급 호 연결을 요청하기 전 상기 제 1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정보 측정 모듈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측정하고 있는 경우, 상기 위치 정보 측정 요청 신호 수신되면 상기 위치 정보 측정을 중단하고,
    상기 제 2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정보 측정 모듈을 이용하여 새로운 위치 정보 측정을 수행하고,
    상기 새롭게 측정된 위치 정보를 상기 송신 모듈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 장치.
KR1020150082439A 2015-06-11 2015-06-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601459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439A KR20160145986A (ko) 2015-06-11 2015-06-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439A KR20160145986A (ko) 2015-06-11 2015-06-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5986A true KR20160145986A (ko) 2016-12-21

Family

ID=57734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2439A KR20160145986A (ko) 2015-06-11 2015-06-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598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25696A1 (en) * 2020-05-04 2021-11-11 Qualcomm Incorporated Sidelink-assisted position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25696A1 (en) * 2020-05-04 2021-11-11 Qualcomm Incorporated Sidelink-assisted position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7044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upporting control plane location in a fifth generation wireless network
US10660109B2 (en) Systems and methods to support multiple configurations for positioning reference signals in a wireless network
US20210029573A1 (en) Methods for Reference Determination in Inter-RAT TDOA
US11405863B2 (en) Systems and methods to enable combined periodic and triggered location of a mobile device
CN109792584B (zh) 传输定位辅助数据的方法和设备
US906630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supported network information for positioning
CA3102909C (en) Providing otdoa prs assistance data
US9525965B2 (en) Localization configuration to make location information available in user equipment
US20160105831A1 (e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Enabling Continuation of Ongoing Positioning Measurements at Handover
US107754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hybrid mode positioning sche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849371B2 (en) System and methods for low latency positioning using fast uplink signaling
WO2013109064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20230033454A1 (en) Ue-based and ue-assisted positioning with downlink and uplink measurements for ue in idle or inactive mode
KR2016014598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JP2024502311A (ja) 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測位に関する能力の記憶
WO2024083356A1 (en) Providing and supporting location services via direct device-to-device connections
CN115885194A (zh) 找不到服务小区时的辅助全球导航卫星系统算法增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