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5344A - 립스틱 인출식 화장품 케이스 - Google Patents

립스틱 인출식 화장품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5344A
KR20160145344A KR1020150081788A KR20150081788A KR20160145344A KR 20160145344 A KR20160145344 A KR 20160145344A KR 1020150081788 A KR1020150081788 A KR 1020150081788A KR 20150081788 A KR20150081788 A KR 20150081788A KR 20160145344 A KR20160145344 A KR 20160145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hinge portion
groove
drawing member
lipst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1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9159B1 (ko
Inventor
정현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주)에프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주)에프엠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Priority to KR1020150081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9159B1/ko
Publication of KR20160145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5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9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9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D33/28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lipstick holders or with other toiletry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in combination with other toiletry or cosmetic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3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03Articles enclosed in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the whole being wrap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립스틱 인출식 화장품 케이스로서, 파운데이션 등의 화장품을 수용하는 화장품 케이스에 립스틱을 원터치 방식으로 삽입 및 인출할 수 있는 립스틱 인출식 화장품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립스틱 인출식 화장품 케이스는, 화장품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고, 서로 이격된 제1 힌지부와 제2 힌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1 케이스; 상기 제1 힌지부와 제2 힌지부에 힌지결합되는 제3 힌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홈을 개폐시키는 커버; 상기 제1 힌지부, 제2 힌지부 및 제3 힌지부의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에 삽입되는 인출부재;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인출부재에 의해 원터치 방식으로 인출되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립스틱 인출식 화장품 케이스{Cosmetic case}
본 발명은 립스틱 인출식 화장품 케이스로서, 파운데이션 등의 화장품을 수용하는 화장품 케이스에 립스틱을 원터치 방식으로 삽입 및 인출할 수 있는 립스틱 인출식 화장품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기초화장품과 색조화장품으로 구분된다. 기초화장품에는 압축파우더 또는 리퀴드 파운데이션 등이 있으며, 색조화장품에는 마스카라, 아이섀도우, 립스틱 등이 있다. 이러한 화장품은 기본적인 화장품으로 외출시 휴대하여 사용하며, 외부에서 화장을 하기 위하여 거울, 분첩, 브러쉬 등을 함께 휴대하여 사용된다. 이와 같은 화장품의 편리한 휴대를 위하여 화장품이 수용되는 케이스는 보통 거울, 분첩, 브러쉬 등을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화장품 케이스의 사시도이며, 종래의 화장품케이스(100)는 압축파우더 또는 리퀴드 파운데이션 등과 같은 기초화장품을 수납하는 화장품 수납체(200)와, 화장품 수납체(200)의 상부에 구비되는 분첩(300)과, 화장품 수납체(20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면서 화장품 수납체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커버(400)와, 커버(400)의 내측편에 부착되어 커버를 열었을 때 사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거울(500)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위와 같은 파우더 또는 파운데이션과 함께 립스틱은 화장을 위하여 기본적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이 외에도 다양한 화장품이 필요하기 때문에 외출시 여러 화장품을 휴대하거나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6714호(2009.07.02)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파운데이션 등의 화장품을 수용하는 화장품 케이스에 립스틱을 원터치 방식으로 용이하게 삽입 및 인출하여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한 립스틱 인출식 화장품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립스틱 인출식 화장품 케이스는, 화장품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고, 서로 이격된 제1 힌지부와 제2 힌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1 케이스; 상기 제1 힌지부와 제2 힌지부에 힌지결합되는 제3 힌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홈을 개폐시키는 커버; 상기 제1 힌지부, 제2 힌지부 및 제3 힌지부의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에 삽입되는 인출부재;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인출부재에 의해 원터치 방식으로 인출되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힌지부는 상기 삽입홈의 축방향 양단이 개방 형성되어 상기 제2 케이스가 출입하고,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제3 힌지부와 힌지결합되는 방향으로 개방 형성되며, 상기 인출부재는, 내부에 상기 제2 케이스가 삽입되고 외주면에 요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제1 인출부재와, 상기 제1 인출부재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요철부와 마주하는 다수의 가압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제2 인출부재와, 상기 제2 힌지부의 내부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제2 인출부재를 상기 제1 인출부재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3 힌지부의 내주면에는 내측 둘레를 따라 다수의 성형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다수의 상기 성형부와 성형부 사이에는 제1 활주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성형부에는 제2 활주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인출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활주홈과 제2 활주홈에 각각 삽입 배치되어 상기 제1 인출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활주홈에는 상기 돌출부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벽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제1 활주홈에 삽입되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삽입홈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제1 인출부재를 상기 제1 힌지부 방향으로 밀어낸다.
그리고 상기 제2 케이스의 외주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인출부재의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2 케이스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 걸림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케이스에는 립스틱용 크래용이 돌출되도록 일단이 개방 형성되고, 상기 제1 인출부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2 케이스는 일단이 상기 제1 인출부재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크래용이 수용되어 있는 내부가 밀폐된다.
본 발명에 따른 립스틱 인출식 화장품 케이스는 화장시에 필요한 기본적인 화장품인 파운데이션과 립스틱을 함께 수용하며, 파운데이션 화장품을 수용하는 화장품 케이스에 립스틱을 원터치 방식으로 용이하게 삽입 및 인출하여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하다.
도 1은 종래의 화장품 케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립스틱 인출식 화장품 케이스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립스틱 인출식 화장품 케이스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힌지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출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립스틱 인출식 화장품 케이스의 단면도.
도 8은 립스틱이 인출된 상태의 립스틱 인출식 화장품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파운데이션 등의 화장품을 수용하는 화장품 케이스에 립스틱을 원터치 방식으로 삽입 및 인출할 수 있는 립스틱 인출식 화장품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파운데이션 화장품과 립스틱의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립스틱 인출식 화장품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립스틱을 분리하여 별도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립스틱 인출식 화장품 케이스의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a)는 제3 힌지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기 위하여 제3 힌지부를 별도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b)는 제3 힌지부를 회전부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4(c)는 제3 힌지부를 활주부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로, 제1 케이스의 상부에 커버가 배치되어 수용홈이 닫힌 상태이다. 도 6은 인출부재를 별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7(a)는 도 2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7(b)는 도 2의 C-C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8(a)는 립스틱이 인출된 상태의 립스틱 인출식 화장품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립스틱 인출식 화장품 케이스에서 제1, 제2, 제3 힌지부를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립스틱 인출식 화장품 케이스는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10), 커버(20), 인출부재(30) 및 제2 케이스(40)로 이루어진다.
제1 케이스(10)에는 화장품을 수용하는 수용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1 힌지부(11)와 제2 힌지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홈에는 파운데이션 등의 화장품이 수용되고, 제1 힌지부(11)와 제2 힌지부(12) 사이에는 커버(20)의 제3 힌지부(21)가 힌지결합된다. 그리고 제1 힌지부(11), 제2 힌지부(12) 및 제 3힌지부의 내부를 관통하여 삽입홈(13)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힌지부(11)는 제2 케이스(40)가 출입할 수 있도록 삽입홈(13)의 축방향 양단이 개방 형성되어 있고, 제2 힌지부(12)는 제1 힌지부(11) 방향으로 개방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힌지부(11)와 제2 힌지부(12)에는 각각 제1 록킹부(14)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제1 록킹부(14)는 제1 케이스(10)의 내부로 돌출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커버(20)가 임의로 회전하여 수용홈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1 힌지부(11)와 제2 힌지부(12)에는 각각 지지턱(15)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턱(15)은 제1 케이스(10)에 힌지결합되어 수용홈을 개방시키는 커버(20)의 회전각도를 제한한다. 제1 록킹부(14) 및 지지턱(15)에 대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커버(20)와 함께 후술한다. 그리고 제1 케이스(10)에는 제1 케이스(10)와 커버(20)의 닫힌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제2 록킹부(16)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케이스(10)에는 제1 록킹부(14)와 제2 록킹부(16)가 모두 나타나 있지만, 경우에 따라 제1 록킹부(14)와 제2 록킹부(16) 중 어느 하나의 구성만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커버(20)는 제1 케이스(10)에 힌지결합되어 수용홈을 개폐시킨다. 구체적으로 커버(20)에는 제1 힌지부(11)와 제2 힌지부(12) 사이에 힌지결합되는 제3 힌지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제3 힌지부(21)는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힌지부(11)와 인접하는 활주부(21a)와 제2 힌지부(12)와 인접하는 회전부(21b)로 구분될 수 있다. 제3 힌지부(21) 중 활주부(21a)의 내주면에는 활주부(21a)의 내측 둘레를 따라 다수의 성형부(22)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다수의 성형부(22) 사이에는 제1 활주홈(2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다수의 성형부(22)에는 각각 제2 활주홈(24)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활주홈(23)과 제2 활주홈(24)은 제2 케이스(40)가 삽입되는 삽입홈(13)의 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제1 활주홈(23)과 제2 활주홈(24)은 제3 힌지부(21)의 내주면 내측 둘레를 따라 번갈아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활주홈(24)에는 인출부재(3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제1 힌지부(11)가 힌지결합되는 방향의 일단에 차단벽(2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성형부(22)에는 제2 힌지부(12)가 힌지결합되는 방향의 일단에 제1 경사면(26)과 제2 경사면(27)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경사면(26) 및 제2 경사면(27)은 성형부(22)에서 차단벽(25)과 서로 반대 방향에 형성되어 있다. 도 4(a)에서는 성형부(22)의 좌측단에 제1 경사면(26) 및 제2 경사면(27)이 형성되어 있고, 성형부(22)의 우측단에 차단벽(25)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경사면(26)은 제2 케이스(40)가 삽입홈(13)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제2 인출부재(32)의 이동을 유도하고, 제2 경사면(27)은 제2 케이스(40)가 삽입홈(13)의 외부로 인출되지 않도록 제2 인출부재(32)의 이동을 유도한다.
한편, 제3 힌지부(21)의 회전부(21b)에서는 제2 인출부재(32)가 제1 인출부재(31)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힌지부(21)의 외주면에는 고정돌기(28)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고정돌기(28)는 제1 힌지부(11) 및 제2 힌지부(12)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록킹부(14)에 대응되도록 위치하며, 커버(20)가 제1 케이스(10)의 상부에 위치하여 수용홈이 닫힌 상태에서는 고정돌기(28)가 제1 록킹부(14)에 걸리게 됨으로써 커버(20)가 임의로 회전하여 수용홈이 개방되지 않는다. 이때, 사용자가 커버(20)를 들어올리면 외력에 의해 고정돌기(28)가 제1 록킹부(14)를 넘어가면서 커버(20)가 회전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록킹부(14)는 상부 형상이 완만한 빗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커버(2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고정돌기(28)가 제1 록킹부(14)를 쉽게 넘어갈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반대로 제1 록킹부(14)의 하부 형상은 상부 형상에 비해 급격한 빗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고정돌기(28)가 임의로 제1 록킹부(14)를 지나갈 수 없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지지턱(15)은 커버(20)가 회전하여 수용홈이 개방될 때 커버(20)가 일정 각도로 회전하면 커버(20)와 접촉하여 커버(20)의 회전을 막는다.
인출부재(30)는 삽입홈(13)에 삽입되어 원터치 방식으로 제2 케이스(40)를 삽입 또는 인출시킨다. 이러한 인출부재(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인출부재(31), 제2 인출부재(32) 및 탄성부재(33)로 이루어진다.
제1 인출부재(31)는 내부에 제2 케이스(40)가 삽입될 수 있고, 외주면에 요철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요철부(34)는 제2 인출부재(32)의 가압돌기(38)가 제1 경사면(26) 또는 제2 경사면(27)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가압돌기(38)와 접촉한다. 그리고 제1 인출부재(31)의 외주면에는 제1 활주홈(23)과 제2 활주홈(24)에 각각 삽입 배치되어 제1 인출부재(31)의 이동을 안내하는 다수의 돌출부(35)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 인출부재(31)는 삽입홈(13)의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인출부재(31)의 내주면에는 제2 케이스(4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제1 걸림부(36)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인출부재(31)의 외주면에는 제2 인출부재(32)와의 결합을 위한 제2 걸림부(37)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제2 인출부재(32)는 제1 인출부재(31)의 외주면을 감싸도로 형성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요철부(34)와 마주하는 다수의 가압돌기(38)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인출부재(32)의 내주면에는 제2 걸림부(37)가 삽입되는 결합홈(39)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홈(39)은 제2 인출부재(32)의 내주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결합홈(39)에 제2 걸림부(37)가 삽입됨으로써 제1 인출부재(31)와 제2 인출부재(32)가 삽입홈(13)의 축방향으로 함께 이동한다. 그리고 제2 인출부재(32)는 제3 힌지부(21)의 회전부(21b) 내부에서 제1 인출부재(31)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압돌기(38)가 제1 경사면(26)과 접촉하면 제2 인출부재(32)는 가압돌기(38)가 제1 활주홈(23)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인출부재(31)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가압돌기(38)가 제1 활주홈(23)에 삽입되면 제2 인출부재(32)는 제1 활주홈(23)을 따라 직선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가압돌기(38)가 제2 경사면(27)과 접촉하면 제2 인출부재(32)는 가압돌기(38)가 제2 활주홈(24)과 일직선을 이루도록 제1 인출부재(31)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때, 가압돌기(38)는 제2 경사면(27)에 걸려 제2 활주홈(24)에 삽입되지 못하고, 제1 인출부재(31)와 제2 인출부재(32)는 제2 케이스(40)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삽입홈(13)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탄성부재(33)는 제2 힌지부(12)의 내부에 삽입 배치되어 제2 인출부재(32)를 제1 인출부재(31) 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33)는 코일스프링이 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33)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돌기(38)는 제1 활주홈(23)에 삽입되어 제2 케이스(40)가 삽입홈(13)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제1 인출부재(31)를 제2 힌지부(12) 방향으로 밀어낸다.
제2 케이스(40)는 삽입홈(13)에 삽입되어 인출부재(30)에 의해 원터치 방식으로 인출된다. 즉 제2 케이스(40)는 제1 인출부재(31)의 내부에 삽입되어 제1 인출부재(31)와 함께 삽입홈(13)에 삽입 배치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부재(30)에 의해 삽입홈(13)의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사용자가 제2 케이스(40)를 삽입홈(13)으로부터 용이하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케이스(4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제1 걸림부(36)가 삽입되는 걸림홈(41)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케이스(40)는 삽입홈(13)에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홈(41)에 제1 걸림부(36)가 삽입됨으로써 임의로 삽입홈(13)을 이탈하지 않는다.
이러한 제2 케이스(40)는 립스틱 케이스로서 제1 케이스(10)의 수용홈에 수용되어 있는 파운데이션 화장품과 함께 휴대가 용이하고, 삽입홈(13)으로부터 립스틱 케이스를 원터치 방식으로 인출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케이스(40)에는 내부에 립스틱용 크래용이 수용되어 있지만, 제2 케이스(40)는 삽입홈(13)에 삽입되어 보관되기 때문에 크래용의 수분 이탈방지 및 이물 유입방지를 위한 별도의 덮개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1 인출부재(31)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2 케이스(40)는 크래용이 돌출되기 위하여 개방되어 있는 단부가 제1 인출부재(31)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크래용이 수용되어 있는 제2 케이스(40)의 내부가 밀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경우에 따라 제2 케이스(40) 내부의 밀폐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제1 인출부재(31)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제2 케이스(40)의 단부에 탄성을 갖는 밀착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2 케이스(40)가 제1 인출부재(31)의 내측면에 밀착됨으로써, 제1 인출부재(31)는 실질적으로 제2 케이스(40)의 덮개 역할을 하여 제2 케이스(40) 내부를 밀폐시킨다.
그리고 제2 케이스(40)는 제1 걸림부(36)와 걸림홈(41)에 의한 고정구조에 의해 제1 인출부재(31)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제2 케이스(40)의 개방된 단부는 도면에서 좌측 단부이며,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케이스(10)의 수용홈 및 제2 케이스(40)에 수용되는 화장품은 파운데이션 화장품과 립스틱 외에 다른 화장품이 수용되도록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은 제2 케이스의 원터치 인출 구조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2 케이스(40)가 삽입홈(13)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압돌기(38)는 제2 경사면(27)에 걸려있고, 제2 걸림부(37)와 결합홈(39)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제1 인출부재(31)와 제2 인출부재(32)는 제1 힌지부(11)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케이스(40)를 삽입홈(13) 내부로 누르면 제1 인출부재(31)와 제2 인출부재(32)가 제2 힌지부(12)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탄성부재(33)를 압축시킨다. 이때, 제1 인출부재(31)는 제1 활주홈(23) 및 제2 활주홈(24)에 삽입되어 있는 돌출부(35)에 의해 삽입홈(13)의 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요철부(34)는 가압돌기(38)를 밀어낸다. 이와 같이 요철부(34)에 의해 가압돌기(38)가 밀려나면, 요철부(34)와 가압돌기(38)의 접촉부분의 형상에 의해 제2 인출부재(32)가 제1 인출부재(31)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가압돌기(38)가 제1 경사면(26)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부재(33)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돌기(38)가 제1 경사면(26)을 따라 이동하여 제1 활주홈(23)에 진입하게 되고, 가압돌기(38)가 제1 활주홈(23)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1 인출부재(31)와 제2 인출부재(32)가 제1 힌지부(11)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2 활주홈(24)에 삽입되어 있는 돌출부(35)가 차단벽(25)에 걸려 제1 인출부재(31)와 제2 인출부재(32)가 정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인출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던 제2 케이스(40)가 제1 인출부재(31)와 함께 이동하여 제2 케이스(40)의 일부가 삽입홈(13)의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 이때 제2 케이스(40)는 걸림홈(41)에 제1 걸림부(36)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임의로 삽입홈(13)을 이탈하지 않고, 사용자가 제2 케이스(40)를 외부로 인출시켜 사용할 수 있다.
제2 케이스(40)를 삽입홈(13)에 삽입할 때는 사용자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제1 인출부재(31)와 제2 인출부재(32)가 제2 힌지부(12)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탄성부재(33)를 압축시키고, 요철부(34)와 접촉되어 있는 가압돌기(38)는 제1 활주부(21a)를 이탈하면 요철부(34)에 의해 제2 경사면(27)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되면 가압돌기(38)가 제2 경사면(27)을 따라 이동하여 제2 활주홈(24)과 일직선을 이루도록 배치됨으로써, 가압돌기(38)가 제2 경사면(27)에 걸려 제1 인출부재(31)와 제2 인출부재(32)가 정지한 상태로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립스틱 인출식 화장품 케이스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제1 케이스, 11 : 제1 힌지부, 12 : 제2 힌지부, 13 : 삽입홈, 14 : 제1 록킹부, 15 : 지지턱, 16 : 제2 록킹부,
20 : 커버, 21 : 제3 힌지부, 21a : 활주부, 21b : 회전부, 22 : 성형부, 23 : 제1 활주홈, 24 : 제2 활주홈, 25 : 차단벽, 26 : 제1 경사면, 27 : 제2 경사면, 28 : 고정돌기,
30 : 인출부재, 31 : 제1 인출부재, 32 : 제2 인출부재, 33 : 탄성부재,
34 : 요철부, 35 : 돌출부, 36 : 제1 걸림부, 37 : 제2 걸림부,
38 : 가압돌기, 39 : 결합홈,
40 : 제2 케이스, 41 : 걸림홈,

Claims (5)

  1. 화장품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고, 서로 이격된 제1 힌지부와 제2 힌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1 케이스;
    상기 제1 힌지부와 제2 힌지부에 힌지결합되는 제3 힌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홈을 개폐시키는 커버;
    상기 제1 힌지부, 제2 힌지부 및 제3 힌지부의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에 삽입되는 인출부재;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인출부재에 의해 원터치 방식으로 인출되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립스틱 인출식 화장품 케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부는 상기 삽입홈의 축방향 양단이 개방 형성되어 상기 제2 케이스가 출입하고,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제3 힌지부와 힌지결합되는 방향으로 개방 형성되며,
    상기 인출부재는,
    내부에 상기 제2 케이스가 삽입되고 외주면에 요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제1 인출부재와,
    상기 제1 인출부재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요철부와 마주하는 다수의 가압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제2 인출부재와,
    상기 제2 힌지부의 내부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제2 인출부재를 상기 제1 인출부재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립스틱 인출식 화장품 케이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3 힌지부의 내주면에는 내측 둘레를 따라 다수의 성형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다수의 상기 성형부와 성형부 사이에는 제1 활주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성형부에는 제2 활주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인출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활주홈과 제2 활주홈에 각각 삽입 배치되어 상기 제1 인출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활주홈에는 상기 돌출부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벽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제1 활주홈에 삽입되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삽입홈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제1 인출부재를 상기 제1 힌지부 방향으로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립스틱 인출식 화장품 케이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의 외주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인출부재의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2 케이스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 걸림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립스틱 인출식 화장품 케이스.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에는 립스틱용 크래용이 돌출되도록 일단이 개방 형성되고,
    상기 제1 인출부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2 케이스는 일단이 상기 제1 인출부재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크래용이 수용되어 있는 내부가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립스틱 인출식 화장품 케이스.
KR1020150081788A 2015-06-10 2015-06-10 립스틱 인출식 화장품 케이스 KR101779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788A KR101779159B1 (ko) 2015-06-10 2015-06-10 립스틱 인출식 화장품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788A KR101779159B1 (ko) 2015-06-10 2015-06-10 립스틱 인출식 화장품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5344A true KR20160145344A (ko) 2016-12-20
KR101779159B1 KR101779159B1 (ko) 2017-09-18

Family

ID=57734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1788A KR101779159B1 (ko) 2015-06-10 2015-06-10 립스틱 인출식 화장품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91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24654A (zh) * 2019-04-26 2019-06-25 宁波金雨科技实业有限公司 一种旋转粉底盒
KR20210017669A (ko) * 2019-08-09 2021-02-17 주식회사 탭코리아 다수 개의 스틱형 화장품용기를 수납할 수 있는 화장품케이스
WO2022122620A1 (en) 2020-12-11 2022-06-16 L'oreal Device for packaging and application of a cosmetic produc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714U (ko) 2007-12-29 2009-07-02 조주은 화장품 케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714U (ko) 2007-12-29 2009-07-02 조주은 화장품 케이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24654A (zh) * 2019-04-26 2019-06-25 宁波金雨科技实业有限公司 一种旋转粉底盒
CN109924654B (zh) * 2019-04-26 2024-01-23 宁波金雨科技实业有限公司 一种旋转粉底盒
KR20210017669A (ko) * 2019-08-09 2021-02-17 주식회사 탭코리아 다수 개의 스틱형 화장품용기를 수납할 수 있는 화장품케이스
WO2022122620A1 (en) 2020-12-11 2022-06-16 L'oreal Device for packaging and application of a cosmetic product
FR3117320A1 (fr) 2020-12-11 2022-06-17 L'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application d'un produit cosmétiq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9159B1 (ko) 2017-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4721Y1 (ko) 립스틱 용기
KR200450028Y1 (ko) 콤팩트 용기
KR101779159B1 (ko) 립스틱 인출식 화장품 케이스
KR101536590B1 (ko) 봉상화장품용기가 내장된 콤팩트용기
KR101222088B1 (ko) 자동 슬라이드 개폐형 화장품 용기
JP4564104B1 (ja) 収納容器
KR200444386Y1 (ko) 화장품용기의 브러시기구
EP3607853A1 (en) Automatically opened/closed sealing module and cosmetic case employing sealing module
KR20190116853A (ko) 하부케이스의 회동에 의해 립스틱용기가 인출되는 립스틱 보호케이스
KR102091034B1 (ko) 서랍용기의 자동 인출 또는 인입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170000631U (ko) 화장품 용기
KR101143948B1 (ko) 콤팩트 용기
KR101208870B1 (ko) 화장품 용기
CN111818820A (zh) 化妆品容器
KR101743759B1 (ko) 원터치로 인출되는 립스틱이 내장된 콤팩트 용기
KR101745360B1 (ko) 원터치로 인출되는 듀얼 립스틱 케이스
KR200454356Y1 (ko) 화장품 용기
KR102031206B1 (ko) 립스틱 인출 방지 기능을 갖는 립스틱 용기
KR20190131662A (ko) 립스틱 인출이 편리한 립스틱 보호케이스
KR101377280B1 (ko) 화장용 도포구 및 화장품 용기 조립체
KR200446993Y1 (ko) 화장품 용기
KR101536591B1 (ko) 봉상화장품용기가 내장된 콤팩트용기
JP3169133U (ja) 透明窓を備えた化粧品用容器
KR200369903Y1 (ko) 화장품 용기
KR20210026793A (ko) 자석을 이용한 화장스틱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