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4170A - 영어 학습 교재 - Google Patents

영어 학습 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4170A
KR20160144170A KR1020150080621A KR20150080621A KR20160144170A KR 20160144170 A KR20160144170 A KR 20160144170A KR 1020150080621 A KR1020150080621 A KR 1020150080621A KR 20150080621 A KR20150080621 A KR 20150080621A KR 20160144170 A KR20160144170 A KR 20160144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lish
pronunciation
hangul
words
pronou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0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승재
Original Assignee
송승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승재 filed Critical 송승재
Priority to KR1020150080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4170A/ko
Publication of KR20160144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41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어 학습 교재에 관한 것으로서, 특정한 영어 발음에 대해 영어 알파벳과 한글을 적절하게 섞어 한글로 표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영어 학습 교재{An English-teaching material}
본 발명은, 영어 학습 교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한 영어 발음에 대해서는 영어 알파벳과 한글을 적절하게 섞어 표기하고 그에 맞게 영어 발음을 훈련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원어민과 거의 동등한 형태로 발음할 수 있어 영어 학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영어 학습 교재에 관한 것이다.
세계화가 되어 가고 있는 현시점에서 영어는 선택이 아닌 필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따라서 근래에 들어서는 유치원에서부터 영어를 학습하기도 한다.
호불호가 갈리기는 하지만 어릴 때일수록 영어의 학습효과가 크다고 알려지고 있기 때문에 영어를 일찍 시작하는 경우가 많다.
한편, 체계적인 과정에 의해 일찍 영어를 학습하는 어린아이들과 달리 성인의 경우, 수 내지 수십 년간 영어를 학습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영어가 상당히 서툴다. 특히, 영어 발음에 있어서 많은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다.
이처럼 오랜 시간을 할애하여 영어 학습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영어 발음이 서툰 까닭은 외래어 한글표기규칙 하에서의 영어 발음에 대한 단순한 한글 표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사람이 'Van'을 원어민처럼 발음하지 못하고 단순히 '밴'이라고 발음하는 것은 외국어로서의 'Van'에 대한 영어 발음인 아닌 'Van'의 외래어 한글표기규칙 하에서의 표기법을 그대로 따라 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한글 표기가 단순히 '밴'이었기 때문에 그대로 발음한 것인데, 이렇게 영어 발음을 해왔기 때문에 영어가 서툴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은 사항들, 즉 영어 발음을 원어민들이 하는 발음대로 제대로 표기하지 않고 단순히 외래어 한글표기규칙에 따라 표기해 왔던 사항들은 대한민국 사람이 영어를 정확하게 발음하는데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종합해보면, 영어단어나 영어 알파벳을 포함하는 특정 영어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가 정확하지 않다면 정확한 발음을 구사하기기 힘들 수밖에 없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기존의 통상적인 방법에서 벗어나 대한민국 사람이 영어 발음을 정확하게 표기하고 그에 맞게 발음을 훈련하도록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신개념의 영어 학습 교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1-0104099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0-0014351호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한 영어 발음에 대해서는 영어 알파벳과 한글을 적절하게 섞어 표기하고 그에 맞게 영어 발음을 훈련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원어민과 거의 동등한 형태로 발음할 수 있어 영어 학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영어 학습 교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특정한 영어 발음에 대해 영어 알파벳과 한글을 적절하게 섞어 한글로 표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학습 교재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한글로 표기한 문자에는 밑줄이 선택적으로 부가될 수 있다.
상기 밑줄은 상기 영어 알파벳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특정한 영어 발음은 V, R, F, Z, th, TH의 영어 발음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어 발음 'V'에 대한 영어단어 중 하나인 'Van'의 한글 표기는 '
Figure pat00001
'이며, 상기 영어 발음 'R'에 대한 영어단어 중 하나인 'Royal'의 한글 표기는 '
Figure pat00002
'이며, 상기 영어 발음 'F'에 대한 영어단어 중 하나인 'Flavor'의 한글 표기는 '
Figure pat00003
'이며, 상기 영어 발음 'Z'에 대한 영어단어 중 하나인 'Exact'의 한글 표기는'
Figure pat00004
'이며, 상기 영어 발음 'th'에 대한 영어단어 중 하나인 'Both'의 한글 표기는 '
Figure pat00005
'이며, 상기 영어 발음 'TH'에 대한 영어단어 중 하나인 'Nothing'의 한글 표기는 '
Figure pat00006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한 영어 발음에 대해서는 영어 알파벳과 한글을 적절하게 섞어 표기하고 그에 맞게 영어 발음을 훈련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원어민과 거의 동등한 형태로 발음할 수 있어 영어 학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어 학습 교재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어 학습 교재의 구성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영어 학습 교재는 특정한 영어 발음에 대해서는 영어 알파벳과 한글을 적절하게 섞어 표기하고 그에 맞게 영어 발음을 훈련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원어민과 거의 동등한 형태로 발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영어 알파벳 중에서 영어의 자음 음소는 모두 26개이다. 이러한 영어의 자음은 파열음, 비음, 설측음, 마찰음, 파찰음의 크게 5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이 5가지의 종류 중에서 마찰음의 경우, 한글에서는 'ㅅ', 'ㅎ' 2가지만 사용되지만 영어에서는 약 10가지 정도가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편, 영어 발음 중에서 대한민국 사람의 경우, 특히 마찰음의 영어 발음이 쉽지 않다.
다시 말해, 대한민국 사람은 구강구조 혹은 언어적인 습관으로 인해 영어 발음 중에서도 마찰음을 발음하기가 힘든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반복적으로 연습할 경우, 대한민국 사람일지라도 영어의 마찰음을 분명하게 발음할 수 있고, 또한 알아들을 수 있다.
한편, 현재까지 영어단어나 문장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영어 마찰음들을 한글로 적을 수 있는 마땅한 방법이 없었다.
따라서 앞서 기술한 것처럼 외래어 한글표기규칙을 도용해서 외래어로 표기하는 정도에 지나지 않았기 때문에 대한민국 사람이 영어를 정확하게 발음하는데 큰 걸림돌로 작용하여 왔다.
결과적으로, 영어 발음을 잘 하기 위해서는 즉, 원어민처럼 발음할 수 있도록 하려면 영어 발음 특히, 마찰음에 대한 영어 발음을 원어민처럼 정확하게 발음할 수 있도록 하는 한글 표기가 필요하며, 이러한 한글 표기가 있어야만 영어 발음이 한글로 정확하게 표기될 수 있고, 또한 대한민국 사람이 정확하게 영어 발음을 할 수 있으며, 나아가 원어민의 영어 발음을 정확하게 알아들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한글의 특성 상 한글의 자음과 모음의 조합만으로는 영어 발음, 특히 마찰음에 대한 영어 발음을 완전히 한글로 표기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불가피하지만 특정한 영어 발음에 대해서는 영어 알파벳과 한글을 적절하게 섞어 표기하고 그에 맞게 영어 발음을 훈련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연구되었다.
예컨대, 특정 영어 발음 중에서 가장 흔히 들을 수 있는 것에 'F', 'R' 영어 발음이 있다.
'F', 'R' 영어 발음은 영어단어, 영어문장을 비롯하여 영어로 된 일상회화나 드라마, 영화 등에서 무수히 많이 나온다.
하지만, 한글의 특성 상 한글의 자음과 모음의 조합만으로는 'F', 'R' 영어 발음을 정확하게 표기할 수 없다. 이는 'F', 'R' 영어 발음이 한글에서는 전혀 사용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데, 앞서 기술한 것처럼 'F', 'R'가 들어간 영어 발음은 무수히 많고 광범위하게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보면, 이렇게 광범위하고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영어 발음을 아직까지 한글로 제대로 표기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은 대한민국 사람이 'F', 'R' 영어 발음을 제대로 발음할 수 없게 만드는 중대한 사안인 것이다.
다시 말해, 'F' 영어 발음이 들어간 단어, 예컨대 'Flavor'를 '플레이버' 혹은 '흘레이버'로 한글 표기하는 것은 분명하게 잘못된 것이다.
마찬가지로, 'R' 영어 발음이 들어간 단어, 예컨대 'Royal'을 '로얄'로 한글 표기하는 것 또한 분명하게 잘못된 것이다.
하지만, 반복적으로 기술한 것처럼 한글의 특성 상 한글의 자음과 모음의 조합만으로는 'F', 'R' 영어 발음을 정확하게 표기할 수 없기 때문에 대안이 필요한 것이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경우, 특정한 영어 발음에 대해서는 완전한 한글이 아닌 영어 알파벳과 한글을 적절하게 섞어 한글로 표기함으로써 마찰음에 대한 영어 발음을 실질적으로 완벽하게 표기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의 반복 훈련을 통해 원어민과 동등한 형태의 발음을 구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이때, 특정한 영어 발음에 대한 한글 표기 시 전부는 아니지만 한글로 표기한 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밑줄이 선택적으로 부가될 수 있다. 이때, 밑줄은 한글이 아닌 영어 알파벳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기술하고 있는 특정한 영어 발음은 V, R, F, Z, th, TH의 영어 발음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V, R, F, Z, th, TH의 영어 발음 역시, 필요에 따라 영어 알파벳과 한글을 적절하게 섞어 표기할 경우, 완벽한 영어 발음을 이끌어낼 수 있다.
위에서 기술한 상기 영어 발음 'V'에 대한 영어단어 중 하나인 'Van'의 한글 표기는 '
Figure pat00007
'이며, 상기 영어 발음 'R'에 대한 영어단어 중 하나인 'Royal'의 한글 표기는 '
Figure pat00008
'이며, 상기 영어 발음 'F'에 대한 영어단어 중 하나인 'Flavor'의 한글 표기는 '
Figure pat00009
'이며, 상기 영어 발음 'Z'에 대한 영어단어 중 하나인 'Exact'의 한글 표기는'
Figure pat00010
'이며, 상기 영어 발음 'th'에 대한 영어단어 중 하나인 'Both'의 한글 표기는 '
Figure pat00011
'이며, 상기 영어 발음 'TH'에 대한 영어단어 중 하나인 'Nothing'의 한글 표기는 '
Figure pat00012
'일 수 있다.
위에 소개한 영어 알파벳 외의 다른 영어 알파벳의 영어 발음들은 한글과 유사한 면이 있다.
따라서 V, R, F, Z, th, TH의 영어 발음에 대하여 영어 알파벳과 한글을 적절하게 섞어 표기할 경우, 이론적이지만 대한민국 사람 모두가 100% 정확하게 표기하고 발음할 수 있다.
한편, 대한민국 사람은 영어단어를 모를 수 있지만 영어 알파벳은 거의 전부 암기하고 있는 것이 작금의 현실이기 때문에 영어 알파벳과 한글을 적절하게 사용하여 문자를 만드는 데에 전혀 문제가 없을 것이라 예상된다.
이하, 특정한 영어 발음, 예컨대, V, R, F, Z, th, TH의 영어 발음에 대한 영어단어의 예와, 그의 한글 표기법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1) V (예: Van)
2) R (예: Royal)
3) F (예: Flavor)
4) Z (예: Exact)
5) th (예: Both)
6) TH (예: Nothing)
첫째, 대한민국 사람이 'Van'을 단순히 '밴'이라고 발음하는 것은 앞서 기술한 것처럼 외국어로서의 'Van'이 아닌 '외래어'로서의 'Van'의 외래어 한글표기규칙 하에서의 표기법을 따르면서 그대로 발음했기 때문이다. 실제, '밴'이라 발음하면 현지인들이 못 알아들을 수도 있다.
하지만, 한글의 특성 상 한글의 자음과 모음의 조합만으로는 'V' 영어 발음을 정확하게 표기할 수는 없다.
따라서 'Van'에 대해서는 기존처럼 '밴'으로 단순 표기하지 말고, 'V'를 사용해서 '
Figure pat00013
'으로 한글 표기한다.
초기에는 다소 어색할 수 있으나 이렇게 'V' 영어 발음이 들어간 단어에 대해 'V'의 영어 알파벳과 한글을 적절하게 섞어 표기할 경우, 점차 그 느낌을 알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정확한 발음 연습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게 되면 사용자는 'Van'이라는 영어단어를 만날 때, 기존처럼 단순히 '밴'이라 생각하지 않고, 머릿속에 '
Figure pat00014
'을 그릴 수 있으며, 이에 따라 'Van'을 정확하게 발음할 수 있다.
둘째, 영어 발음 'R' 관련 예는 'Royal'이 될 수 있다. 참고로, 'Royal'과 'Loyal'의 영어단어가 있다. 이 두 가지 영어단어의 뜻은 서로 다르지만 한글로는 모두 똑같이 '로얄'로 표기되고 발음되고 있기 때문에 'Royal'과 'Loyal'을 정확하게 한글 표기할 수도 없고, 또한 영어 발음할 수도 없다.
대안으로서, 'Royal' 는 '
Figure pat00015
'로 'Loyal' 는 기존처럼 '로이어' 로 표기한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게 되면 대한민국 사람이 비슷한 영어단어들도 정확히 표기 및 발음할 수 있다.
셋째, 영어 발음 'F' 관련 예는 'Flavor'가 될 수 있다. 현재는 '플레이버' 혹은 '흘레이버'로 표기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방식으로 표기하게 되면 정확한 영어 발음을 하기 어렵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Flavor'를 정확하게 표기 및 발음할 수 없다.
이 경우, 'Flavor'를 '
Figure pat00016
'로 표기한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게 되면 대한민국 사람이 비슷한 영어단어들도 정확히 표기 및 발음할 수 있다.
넷째, 영어 발음 'Z' 관련 예는 'Exact'가 될 수 있다. 현재는 '이잭트' 혹은 '이색트'로 표기되고 있는데, 이럴 경우, 'Exact'를 정확하게 표기하고 발음할 수 없다.
이 경우, 'Exact'를 '
Figure pat00017
'로 표기한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게 되면 대한민국 사람이 비슷한 영어단어들도 정확히 표기 및 발음할 수 있다.
다섯째, 영어 발음 'th' 관련 예는 'Both'가 될 수 있다. 현재는 '보쓰' 혹은 '보스'로 표기되고 있는데, 이럴 경우, 'Both'를 정확하게 표기하고 발음할 수 없다.
이 경우, 'Both'를 '
Figure pat00018
'로 표기한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게 되면 대한민국 사람이 비슷한 영어단어들도 정확히 표기 및 발음할 수 있다.
여섯째, 영어 발음 'TH' 관련 예는 'Nothing'이 될 수 있다. 대문자 'TH'는 영문 된소리로 간주할 수 있다.
현재는 '나씽' 혹은 '나띵'로 표기되고 있는데, 이럴 경우, 'Nothing'을 정확하게 표기하고 발음할 수 없다.
이 경우, 'Nothing'을 '
Figure pat00019
'로 표기한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게 되면 대한민국 사람이 비슷한 영어단어들도 정확히 표기 및 발음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한 영어 발음에 대해서는 영어 알파벳과 한글을 적절하게 섞어 표기하고 그에 맞게 영어 발음을 훈련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원어민과 거의 동등한 형태로 발음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없음

Claims (5)

  1. 특정한 영어 발음에 대해 영어 알파벳과 한글을 적절하게 섞어 한글로 표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학습 교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로 표기한 문자에는 밑줄이 선택적으로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학습 교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밑줄은 상기 영어 알파벳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학습 교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영어 발음은 V, R, F, Z, th, TH의 영어 발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학습 교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어 발음 'V'에 대한 영어단어 중 하나인 'Van'의 한글 표기는 '
    Figure pat00020
    '이며,
    상기 영어 발음 'R'에 대한 영어단어 중 하나인 'Royal'의 한글 표기는 '
    Figure pat00021
    '이며,
    상기 영어 발음 'F'에 대한 영어단어 중 하나인 'Flavor'의 한글 표기는 '
    Figure pat00022
    '이며,
    상기 영어 발음 'Z'에 대한 영어단어 중 하나인 'Exact'의 한글 표기는'
    Figure pat00023
    '이며,
    상기 영어 발음 'th'에 대한 영어단어 중 하나인 'Both'의 한글 표기는 '
    Figure pat00024
    '이며,
    상기 영어 발음 'TH'에 대한 영어단어 중 하나인 'Nothing'의 한글 표기는 '
    Figure pat0002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학습 교재.
KR1020150080621A 2015-06-08 2015-06-08 영어 학습 교재 KR201601441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621A KR20160144170A (ko) 2015-06-08 2015-06-08 영어 학습 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621A KR20160144170A (ko) 2015-06-08 2015-06-08 영어 학습 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170A true KR20160144170A (ko) 2016-12-16

Family

ID=57735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0621A KR20160144170A (ko) 2015-06-08 2015-06-08 영어 학습 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41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1263A (ko) * 2019-01-22 2020-07-30 김정자 초보자를 위한 영어 학습 교재 및 이를 이용한 영어 학습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4351U (ko) 1998-12-30 2000-07-25 이구택 토치 스라그 제거 장치
KR20110104099A (ko) 2003-09-22 2011-09-21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지환식 에폭시 수지, 그의 조성물, 에폭시 수지 경화물 및 지환식 에폭시 수지 조성물의 용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4351U (ko) 1998-12-30 2000-07-25 이구택 토치 스라그 제거 장치
KR20110104099A (ko) 2003-09-22 2011-09-21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지환식 에폭시 수지, 그의 조성물, 에폭시 수지 경화물 및 지환식 에폭시 수지 조성물의 용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1263A (ko) * 2019-01-22 2020-07-30 김정자 초보자를 위한 영어 학습 교재 및 이를 이용한 영어 학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ak et al. Pronunciation problems: A case study on English pronunciation errors of low proficient students
Grant Prologue to the myths: What teachers need to know
Beinhoff Perceiving intelligibility and accentedness in non-native speech: A look at proficiency levels
Setter et al. State-of-the-art review article
Simon Laryngeal stop systems in contact: Connecting present-day acquisition findings and historical contact hypotheses
Sokolović-Perović et al. English orthographic forms affect L2 English speech production in native users of a non-alphabetic writing system
Huwari et al. Review of the importance of teaching pronunciation in the Arab society
Sharma Significance of Teaching the Pronunciation of Segmental and Suprasegmental Features of English
Hashemian et al. An analysis of pronunciation errors of Iranian EFL learners
Protopapas From diacritics to the mental lexicon
Chen Chinese learners’ acquisition of English word stress and factors affecting stress assignment
Jahandar et al. A gender-based approach to pronunciation accuracy of advanced EFL learners
KR20160001926U (ko) 영어 발음의 한글 표기
KR20160144170A (ko) 영어 학습 교재
喜多容子 et al. Japanese learners of English and Japanese phonology
Nunes European Portuguese Phonetics: Difficulties for Chinese Speakers–Considerations
Čubrović Low Back Merger in Native and Nonnative Speakers of American English
Weda Problems on English word stress placement made by Indonesian learners of English
Chang et al. L1 influence on phonemic perception: A case study with native English and mandarin learners of German
Jaelani The Lingua Franca Core (LFC) and Its Impact on Pronunciation Teaching Practice in Indonesia
Atkielski Phonetic transcription can be a useful tool for teaching or correcting pronunciation in the ESL/EFL classroom
Beghoul Using the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in teaching English oral production and reception to Algerian learners as a potentially efficient solution to the sound spelling incoherence
Juan-Checa Comparing phonetic difficulties by EFL learners from Spain and Japan.
Ngo Teaching English intonation to Vietnamese students of English: Tonicity and tone
Lai Vietnamese Learners’ Two Biggest Problems with English Pho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