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3290A - 배터리 팩 및 이를 이용한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및 이를 이용한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3290A
KR20160143290A KR1020150079794A KR20150079794A KR20160143290A KR 20160143290 A KR20160143290 A KR 20160143290A KR 1020150079794 A KR1020150079794 A KR 1020150079794A KR 20150079794 A KR20150079794 A KR 20150079794A KR 20160143290 A KR20160143290 A KR 20160143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voltage
terminal
control switch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9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영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9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3290A/ko
Publication of KR20160143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32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101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10/4257Smart batteries, e.g. electronic circuits inside the housing of the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팩은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와; 충전기와 접속되는 입력단, 외부기기와 접속되는 출력단, 상기 입력단 및 출력단을 상기 배터리와 접속시키기 위한 MCU를 포함하는 보호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보호회로는 상기 배터리에 직접 접속되며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압을 공급받는 배터리 단자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배터리 팩 및 이를 이용한 구동방법{Battery Pack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배터리 팩 및 이를 이용한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터리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 배터리 팩 및 이를 이용한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사용되는 전자기기들, 예컨데 노트북, 휴대폰 및 테블릿 PC 등은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휴대용 전자기기들은 사용한 필요한 전기 에너지를 주로 배터리를 통하여 공급받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기기들은 그 고유의 기능뿐만 아니라, 다른 기능들이 점차 부가되어 하나의 휴대용 전자기기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 따라서, 휴대용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전기 에너지도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더 큰 용량의 기본 배터리가 요구되어 있다.
하지만, 휴대용 전자기기에 부착되는 기본 배터리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무게, 크기 등을 고려하여 그 용량이 한정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대용량의 배터리를 휴대할 수 있도록 외장 배터리가 개발되었다.
외장 배터리는 충방전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베어셀(또는 전지)을 구비하며, 베어셀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로 이용된다. 여기서, 외장 배터리는 하드 케이스를 포함한 완제품의 형태로 발매되기 때문에 내부에 포함된 배터리의 상태를 측정할 수 없고, 이에 따라 배터리의 수명 등을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배터리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 배터리 팩 및 이를 이용한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팩은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와; 충전기와 접속되는 입력단, 외부기기와 접속되는 출력단, 상기 입력단 및 출력단을 상기 배터리와 접속시키기 위한 MCU를 포함하는 보호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보호회로는 상기 배터리에 직접 접속되며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압을 공급받는 배터리 단자를 구비한다.
실시예에 의한, 상기 배터리 단자는 별도의 전자소자를 거치지 않고 상기 배터리의 양극에 직접 접속된다.
실시예에 의한, 상기 배터리 단자는 상기 입력단에 위치되며, 상기 충전기의 커넥터에 포함된 다수의 단자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실시예에 의한, 상기 보호회로는 상기 충전기로부터 상기 입력단으로 공급되는 충전전압을 상기 배터리로 공급하는 충전부와,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출력전압을 다른 크기의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출력단으로 공급하는 DC/DC 변환기와, 상기 충전부 및 DC/DC 변환기와 상기 배터리 사이에 위치되는 충전 제어 스위치 및 방전 제어 스위치와, 상기 충전 제어 스위치 및 방전 제어 스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MCU와, 상기 DC/DC 변환기에 접속되며, 제 1상태로 설정될 때 상기 MCU로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제어 스위치를 구비한다.
실시예에 의한, 상기 제어 스위치가 제 1상태로 설정되면 상기 DC/DC 변환기가 오프되며,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MCU가 상기 방전 제어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설정한다.
실시예에 의한, 상기 제어 스위치가 제 1상태로 설정되는 기간 동안 상기 배터리 단자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의 전압 및 저항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추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충전기의 충전전압에 의하여 충전되며, 충전된 전압을 외부 기기로 공급하는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기 위한 보호회로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양극에 직접 접속되는 배터리 단자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의 전압 및 저항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배터리의 상태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팩 및 이를 이용한 구동방법에 의하면 배터리에 직접 접속되는 배터리 단자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전압 및/또는 저항을 측정하고, 측정된 값을 이용하여 수명을 포함한 배터리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충전기의 커넥터 및 입력단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팩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 1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팩은 배터리(100) 및 보호회로(200)를 구비한다.
배터리(100)는 보호회로(200)를 경유하여 외부 충전기(300)로부터 충전전압을 공급받고, 충전전압에 대응하여 전기 에너지를 저장한다. 또한, 배터리(100)는 저장된 전기 에너지, 즉 방전전압을 보호회로(200)를 경유하여 외부기기(400)(예컨데, 휴대용 전자기기)로 공급한다. 이와 같은 배터리(100)는 전기 에너지를 충전 및 방전하기 위하여 베어셀(11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어셀(110)은 양극/분리막/음극 구조의 전극 조립체가 리듐 전해질에 함침된 상태로 전지 케이스 내부에 밀봉되어 있는 충방전이 가능한 전지셀이다. 이러한, 전극 조립체는 양면에 활물질이 도포되어 있는 긴 시트형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둥굴게 권치한 젤리-롤 구조(권취형)와, 활물질이 양면에 도포된 소정 크기의 양극과 음극 다수 개를 분리막을 개재한 상태로 순차적으로 적층한 스택형(적층형) 구조가 일반적이다.
베어셀(110)로는 전지의 형태에 따라 금속캔의 전지케이스에 전극조립체가 내장되어 있는 원통형 및 각형과,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전기케이스에 전극조립체가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베어셀들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베어셀(110)은 둘 이상의 베어셀들이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보호회로(200)는 MCU(Micro Controller Unit)(210), 충전 제어 스위치(220), 방전 제어 스위치(230), 충전부(240), 입력단(250), DC/DC 변환기(260), 출력단(270) 및 제어 스위치(280)를 구비한다.
MCU(210)는 배터리(100)의 충전 및 방전 동작을 제어하며, 보호회로(200)의 전반적 동작을 제어한다. 이와 같은 MCU(210)는 충전 제어단자(CHG), 방전 제어단자(DCH), 데이터 단자(Data), 전류 측정단자(ID1, ID2) 및 제어단자(CON)를 포함할 수 있다.
MCU(210)는 충전 제어단자(CHG)를 이용하여 충전 제어 스위치(220)를 제어하고, 방전 제어단자(DCH)를 이용하여 방전 제어 스위치(230)를 제어한다.
MCU(210)는 전류 측정단자(ID1, ID2)를 이용하여 센싱저항(SR) 양단을 전압을 측정하고, 측정된 양단전압 및 센싱저항(SR)의 크기를 이용하여 배터리(100)에서 흐르는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MCU(210)는 배터리(100)의 충전 및 방전 상태, 측정된 전류량에 대응하여 보호회로(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MCU(210)는 데이터 단자(Data)를 통하여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입력받는다.
충전 제어 스위치(220) 및 방전 제어 스위치(230)는 충전전류 및 방전전류의 흐름을 제어한다. 충전 제어 스위치(220)는 충전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며, 방전 제어 스위치(230)는 방전 전류의 흐름을 제어한다.
충전 제어 스위치(220)는 제 1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1) 및 제 1기생 다이오드(D1)를 포함한다. 제 1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1)는 충전부(240)로부터 배터리(100)로의 전류 흐름을 제한하도록 접속된다. 즉, MCU(210)는 제 1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1)를 사용하여 충전전류가 흐르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제 1기생 다이오드(D1)는 배터리(100)로부터 DC/DC 변환기(260)로 방전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접속된다.
방전 제어 스위치(230)는 제 2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2) 및 제 2기생 다이오드(D2)를 포함한다. 제 2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2)는 배터리(100)로부터 DC/DC 변환기(260)로의 전류 흐름을 제한하도록 접속된다. 즉, MCU(210)는 제 2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2)를 사용하여 방전전류가 흐르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제 2기생 다이오드(D2)는 충전부(240)로부터 배터리(100)로 충전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접속된다.
충전부(240)는 입력단(25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충전전류(및/또는 전압)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류를 제 2다이오드(D2) 및 충전 제어 스위치(220)를 경유하여 배터리(100)로 공급한다. 충전부(240)에서 출력되는 최대 충전전류는 입력단(250)에 접속되는 충전기(300)의 사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MCU(210)는 입력단(250)으로 입력되는 전압(또는 전류)을 센싱하여 충전기(300)의 사양을 판별하고, 충전기(300)의 사양에 따른 최대 충전전류가 충전부(240)에서 출력되도록 충전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입력단(250)은 충전기(300)의 커넥터와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충전기(30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충전부(240)로 전달한다. 이와 같은 입력단(250)은 충전기(300)의 커넥터, 예컨데 마이크로 유에스비(Micro USB)에 대응하여 5개의 단자(Pin)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단(250)은 양극전압(P+), 음극전압(P-), 데이터를 공급받을 수 있는 단자를 구비한다. 또한, 입력단(250)은 배터리(100)의 전압(B+)을 직접 공급받을 수 있는 배터리 단자를 구비한다.
배터리(100)의 전압(B+)은 별도의 전자소자를 거치지 않고 배터리(100)로부터 직접 공급받는 배터리(100)의 양극전압을 의미한다. 따라서, 배터리(100)의 전압(B+)을 측정하는 경우 배터리(10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입력단(250)에 형성된 배터리 단자를 이용하여 배터리(100)의 전압(B+)을 측정하거나, 배터리(100)의 저항을 측정함으로써 수명을 포함한 배터리(100)의 상태가 확인 가능하다. 또한, 필요시 충전기(300)로부터의 전압을 배터리 단자로 공급함으로써 배터리(100)를 급속 충전할 수도 있다. 즉, 본원 발명은 입력단(250)에 배터리(100)의 양극에 직접 접속된 배터리 단자를 구비하며, 이 배터리 단자를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DC/DC 변환기(260)는 배터리(10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외부기기(400)의 구동을 위한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단(270)으로 전달한다. 일례로, DC/DC 변환기(260)는 배터리(260)로부터 출력되는 4.3V의 전압을 5V로 승압하여 출력단(270)으로 공급할 수 있다.
출력단(270)은 외부기기(400)와 연결되어 DC/DC 변환기(260)로부터의 출력전압을 외부기기(400)로 전달한다. 출력단(270)의 형태는 외부기기(400)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출력단(270)은 USB의 규격에 대응하여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단(250)은 양극전압(P+), 음극전압(P-), 데이터에 대응한 단자를 구비한다.
외부기기(400)는 출력단(270)을 경유하여 출력전압을 공급받는다. 여기서, 외부기기(400)는 휴대폰, 노트북 및 테블린 PC 등을 포함한 휴대용 전자기기들로 설정될 수 있다.
제어 스위치(280)는 DC/DC 변환기(260)와 접속되며, DC/DC 변환기(260)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이와 같은 제어 스위치(280)는 슬라이드 스위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제어 스위치(280)가 제 1상태로 설정되면 제어신호(CS)가 MCU(210)로 공급됨과 동시에 DC/DC 변환기(260)가 오프된다. 제어신호(CS)를 공급받은 MCU(210)는 방전 제어 스위치(230)를 오프 상태로 설정한다. DC/DC 변환기(260)가 오프되면 출력전압이 출력단(270)으로 공급되지 않는다. 제어 스위치(280)가 제 2상태로 설정되면 DC/DC 변환기(260)가 온 상태로 설정되며, MCU(210)로 제어신호(CS)가 공급되지 않는다.
한편, 제어 스위치(280)가 제 1상태로 설정되면 배터리(100)로부터 출력단(270)으로 이어지는 방전 경로가 차단된다. 방전경로가 차단되면 배터리(100)에서 불필요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어 스위치(280)는 소비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사용자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상술한 본원 발명의 배터리 팩은 다양한 기기로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본원 발명의 배터리 팩은 하드 케이스에 삽입되어 외장 하드로 이용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충전기의 커넥터 및 입력단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충전기(300)의 커넥터는 마이크로 유에스비(302)로 설정될 수 있다. 마이크로 유에스비(302)는 홈 내부에 포함된 5개의 단자(304)를 구비하며, 각각의 단자는 표 1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Pin Name Function
1 Vcc (P+) +5V supply voltage
2 D- Data -signal line
3 D+ Data +signal line
4 B+ Battery voltage
5 GND (P-) supply ground
표 1을 참조하면, 1번 단자는 하이전압, 5번 단자는 로우전압(예를 들면, 그라운드)을 공급한다. 즉, 1번 및 5번 단자는 충전전압을 입력단(250)으로 공급하는 단자로 이용된다. 2번 및 3번 단자는 데이터를 입력단(250)으로 공급하는 단자로 이용된다. 4번 단자는 입력단(250)의 배터리 단자와 접속되며, 배터리 단자로부터 배터리 전압(B+)을 공급받는다.
입력단(250)은 제 1단자(254a), 제 2단자(254b), 제 3단자(254c), 배터리 단자(또는 제 4단자)(252) 및 제 5단자(254d)를 구비한다.
제 1단자(254a)는 마이크로 유에스비(302)의 1번 단자와 접속되어 하이전압을 공급받는다. 제 5단자(254d)는 마이크로 유에스비(302)의 5번 단자와 접속되어 로우전압을 공급받는다. 제 2단자(254b) 및 제 3단자(254c)는 마이크로 유에스비(302)의 2번 및 3번 단자에 각각 접속된다.
배터리 단자(252)는 마이크로 유에스비(302)의 4번 단자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배터리 단자(252)는 배터리(100)로부터 직접 공급받는 배터리 전압(B+)을 마이크로 유에스비(302)의 4번 단자로 전달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팩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c를 참조하면, 먼저 배터리(100) 충전시에는 충전기(300)의 커넥터가 입력단(250)에 접속된다. 그리고, MCU(210)에 의하여 충전 제어 스위치(220)가 턴-온 상태로 설정된다.
충전기(300)의 커넥터로 공급되는 충전전압은 입력단(250)을 경유하여 충전부(240)로 공급된다. 충전전압을 공급받은 충전부(240)는 충전전류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류를 도 3a와 같이 제 2다이오드(D2) 및 충전 제어 스위치(220)를 경유하여 배터리(100)로 공급한다. 그러면, 배터리(100)는 충전전류에 대응하여 충전된다. 한편, 동작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배터리(100)의 충전기간 동안 도 3c와 같이 제어 스위치(280)가 제 1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제어 스위치(280)가 제 1상태로 설정되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DC/DC 변환기(260) 및 방전 제어 스위치(230)가 오프되어 불필요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터리(100)의 방전시에는 외부기기(400)가 출력단(270)에 접속된다. 그리고, MCU(210)에 의하여 방전 제어 스위치(230)가 턴-온 상태로 설정된다.
방전 제어 스위치(230)가 턴-온 상태로 설정되면 도 3b와 같이 배터리(100)의 전압이 제 1다이오드(D1) 및 방전 제어 스위치(230)를 경유하여 DC/DC 변환기(260)로 공급된다. DC/DC 변환기(260)는 배터리(10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외부기기(400)의 구동을 위한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단(270)으로 전달한다. 그러면, 출력단(270)에 접속된 외부기기(400)로 DC/DC 변환기(260)의 전압이 공급되고, 이에 따라 외부기기(400)가 충전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참고로, 출력단(270)으로 공급되는 양극전압(P+)은 복수의 전자소자(예를 들면, 다이오드(D1), 방전 제어 스위치(230))를 경유하며 DC/DC 변환기(260)에서 승압된 전압이다. 따라서, 출력단(270)으로 공급되는 양극전압(P+)을 측정한다 하더라도 배터리(100)의 상태를 파악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원 발명에서는 입력단(250)에 형성된 배터리 단자(252)를 이용하여 배터리(100)의 상태를 파악한다.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제어 스위치(280)가 제 1상태로 설정되어 방전 제어 스위치(230) 및 DC/DC 변환기(260)가 오프 상태로 설정된다. 방전 제어 스위치(230) 및 DC/DC 변환기(260)가 오프되면 불필요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후, 입력단(250)에 형성된 배터리 단자(252)를 이용하여 배터리(100)의 전압 및/또는 저항을 측정(예를 들면, 배터리 단자(252)와 제 5단자(254d)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된 전압 및/또는 저항을 이용하여 배터리(100)의 수명을 예측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배터리(100)를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그 내부의 화확적 물리적 노화로 인하여 내부저항값이 증가한다. 따라서, 본원 발명에서는 배터리 단자(252)로부터 추출되는 저항 및 전압값을 이용하여 배터리(100)의 저항값을 판단하고, 판단된 저항값에 대응하여 배터리(100)의 수명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서는 필요에 의하여 배터리 단자(252)로 충전전압을 공급하여 배터리(100)를 급속 충전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서는 입력단(250)에 배터리(100)의 전압(B+)을 직접 공급받는 배터리 단자(252)를 형성하고, 이 배터리 단자(252)를 이용하여 배터리(100)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제어 스위치(280)가 제 1상태로 설정된 후 배터리(100)의 상태가 측정된다고 기재되었지만, 본원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필요에 의해서 제어 스위치(280)가 제 2상태로 설정된 상태에서도 배터리 단자(252)를 이용하여 배터리(100)의 상태가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배터리 110 : 베어셀
200 : 보호회로 210 : MCU
220 : 충전 제어 스위치 230 : 방전 제어 스위치
240 : 충전부 250 : 입력단
260 : DC/DC 변환기 270 : 출력단
280 : 제어 스위치 300 : 충전기
400 : 외부기기

Claims (7)

  1.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와;
    충전기와 접속되는 입력단, 외부기기와 접속되는 출력단, 상기 입력단 및 출력단을 상기 배터리와 접속시키기 위한 MCU를 포함하는 보호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보호회로는 상기 배터리에 직접 접속되며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압을 공급받는 배터리 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단자는 별도의 전자소자를 거치지 않고 상기 배터리의 양극에 직접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단자는 상기 입력단에 위치되며, 상기 충전기의 커넥터에 포함된 다수의 단자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회로는
    상기 충전기로부터 상기 입력단으로 공급되는 충전전압을 상기 배터리로 공급하는 충전부와,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출력전압을 다른 크기의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출력단으로 공급하는 DC/DC 변환기와,
    상기 충전부 및 DC/DC 변환기와 상기 배터리 사이에 위치되는 충전 제어 스위치 및 방전 제어 스위치와,
    상기 충전 제어 스위치 및 방전 제어 스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MCU와,
    상기 DC/DC 변환기에 접속되며, 제 1상태로 설정될 때 상기 MCU로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제어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스위치가 제 1상태로 설정되면 상기 DC/DC 변환기가 오프되며,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MCU가 상기 방전 제어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스위치가 제 1상태로 설정되는 기간 동안 상기 배터리 단자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의 전압 및 저항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7. 충전기의 충전전압에 의하여 충전되며, 충전된 전압을 외부 기기로 공급하는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기 위한 보호회로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양극에 직접 접속되는 배터리 단자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의 전압 및 저항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배터리의 상태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의 구동방법.
KR1020150079794A 2015-06-05 2015-06-05 배터리 팩 및 이를 이용한 구동방법 KR201601432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794A KR20160143290A (ko) 2015-06-05 2015-06-05 배터리 팩 및 이를 이용한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794A KR20160143290A (ko) 2015-06-05 2015-06-05 배터리 팩 및 이를 이용한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3290A true KR20160143290A (ko) 2016-12-14

Family

ID=57575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9794A KR20160143290A (ko) 2015-06-05 2015-06-05 배터리 팩 및 이를 이용한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329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5665B1 (ko) 셀 밸런싱 회로 및 이를 이용한 셀 밸런싱 방법
KR101097262B1 (ko) 배터리 팩, 이의 충전방법
US9537331B2 (en) Battery pack
KR101502230B1 (ko) 배터리 충전 방법 및 배터리 충전 시스템
US10992143B2 (en) Power bank with a plurality of stacked battery modules
TWI481097B (zh) 包括具有各種尺寸或電容的電池組之電池之電池包
KR101975393B1 (ko) 외장 배터리
KR101562015B1 (ko) 병렬 연결된 이차 전지들의 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US9018906B2 (en) Battery pack
US9882411B2 (en) Lithium-ion battery and charge/discharge control method
KR20130066462A (ko) 배터리 팩의 보호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팩
CN113196610A (zh) 用于控制包含不同类型单体的电池组中充电电流的方法和装置
KR101602877B1 (ko) 개별 배터리모듈로부터 제어부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에너지 저장장치
US9768633B2 (en) External battery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60143290A (ko) 배터리 팩 및 이를 이용한 구동방법
KR101973049B1 (ko) 외장 배터리
KR102161289B1 (ko) 외장 배터리
JP2010028920A (ja) 充電池の充電装置
KR20150107031A (ko) 외장 배터리
CN214707197U (zh) 一种可更换电芯的充电宝
CN203951215U (zh) 一种散热架式笔记本多功能移动电源
CN214280983U (zh) 串联电池组的均衡芯片及电池管理系统
JP2013051819A (ja) 充電器
KR200310501Y1 (ko) 대용량 슬림형 전자기기용 배터리 충전 겸용 보조 전원장치
US977419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nductive charging with multiple terminal constell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