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2143A - Heating cooker - Google Patents

Heating coo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2143A
KR20160142143A KR1020150078122A KR20150078122A KR20160142143A KR 20160142143 A KR20160142143 A KR 20160142143A KR 1020150078122 A KR1020150078122 A KR 1020150078122A KR 20150078122 A KR20150078122 A KR 20150078122A KR 20160142143 A KR20160142143 A KR 20160142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door
cooking chamber
joint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81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27159B1 (en
Inventor
전세일
이대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8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7159B1/en
Publication of KR20160142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1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1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2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using microwa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1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sealings for doors or transparent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heating cooker. The disclosed heating cooker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cooking room formed therein; an opening and closing door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food inlet in the cooking room and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to be rotatable; and a linking unit configured to fill gaps between the bottom of the cooking room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when the food inlet is opened.

Description

가열 조리기{Heating cooker}[0001] Heating cooker [0002]

본 발명은 가열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의 조리실과 본체의 조리실로부터 이격되어 낮게 배치되는 개폐도어 사이에 이음부를 배치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가열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g cook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ting cooker that improves user convenience by disposing a joint between a cooking chamber of a main body and an opening / closing door spaced apart from a cooking chamber of a main body

일반적으로 가열 조리기는 각종 음식물을 내부에 마련된 조리실에 수납하여 데우거나 익히도록 고안된 오븐, 전자렌지 등과 같은 조리장치이다. 최근 가열 조리기는 사이드 스윙 도어 오픈방식(Side Swing Door Open Type)뿐만 아니라 드롭다운 도어 오픈방식(Drop Down Door Open Type)으로도 많이 제작된다. Generally, a cooking cooker is a cooking device such as an oven, a microwave oven, or the like, which is designed to store various foods and foods in a cooking chamber provided therein for heating or cooking. Recently, the heating cooker is produced not only as a side swing door open type but also as a drop down door open type.

드롭다운 도어 오픈방식의 가열 조리기는 도어 개방시 도어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거리가 비교적 짧아 주위 공간을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개방된 도어가 보조 선반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음식물의 조리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우선 두꺼운 단열장갑을 착용하여 한 손으로 공간이 협소한 조리실로부터 음식물이 담겨있는 조리용기를 조리실 외측으로 끌어당겨 도어 위에 위치시킨 후 두 손으로 안전하게 옮길 수 있다.In the case of a drop-down door open type heating cooker, the distance that the door protrudes forward when the door is opened is relatively short, so that the surrounding space can be utilized. In particular, the opened door can serve as a secondary shelf. Therefore, when the food is cooked, the user first wears thick insulating gloves, pulls the cooking container containing the food from the narrow cooking cavity with one hand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chamber, places it on the door, and can safely carry it with both hands .

이와 같은 종래의 가열조리기의 도어는 외곽 프레임이 금속재나 플라스틱 재로 이루어지고, 외곽 프레임의 내측에는 조리실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내열성 글래스가 설치된다.The door of the conventional heating cooker is made of a metal material or a plastic material and the inside of the frame is provided with a heat resistant glass so that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can be visually confirmed.

그런데, 가열 조리기는 도어를 열어 조리실을 개방하는 경우 도어와 조리실의 바닥면 사이에 소정 단차가 형성되도록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한 손으로 음식물이 담겨있는 조리용기를 도어 측으로 끌어당기는 경우, 조리용기는 전술한 단차로 인해 조리실에서 도어로 이동할 때 도어의 내측면 상에 낙하하게 된다. 이때, 조리용기의 낙하 지점이 주로 글래스의 일부가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에 따라, 조리용기 낙하에 따른 충격으로 글래스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에 대해 개선이 필요하다.However, in the case of opening the cooking chamber by opening the door, the heating cooker is generally manufactured so that a predetermined step is formed between the door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Accordingly, when the user pulls the cooking container containing the food into the door with one hand, the cooking container falls on the inner side of the door when the cooking container moves from the cooking chamber to the door due to the above-mentioned stepped portion. At this time, the dropping point of the cooking vessel is mostly a part of the glass. As a result, the glass may be cracked or damaged due to the impact caused by the fall of the cooking vessel.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본체에 형성된 조리실의 음식물 투입구를 개방하는 경우 개폐도어의 내측면과 조리실의 바닥면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를 메우도록 개폐도어의 개폐동작에 의해 회동하는 이음부가 설치되는 가열 조리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oking utensil for a cooking utensil, comprising: a joint part which is rotated by an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an opening / closing door so as to fill a step formed between an inner surface of the door and a bottom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And to provide a heating cooker to be install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조리실이 형성된 본체; 상기 조리실의 음식물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개폐도어; 및 상기 음식물 투입구 개방시 상기 조리실의 바닥면과 상기 개폐도어의 내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를 메우는 이음부;를 포함하는 가열 조리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oking apparatus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cooking chamber formed therein; An opening / closing door rotatably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main body to open / close a food inlet of the cooking chamber; And a joint that fills a step form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oking cavity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when the food inlet is opened.

상기 이음부는 상기 개폐도어의 상기 음식물 투입구를 개폐하는 동작에 의해 회동할 수 있다.The joint portion can be rotated by opening and closing the food inlet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상기 이음부는 상기 음식물 투입구가 폐쇄되는 제1 위치에서 상기 개폐도어 내측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음식물 투입구가 개방되는 제2 위치에서 회동할 수 있다.The joint portion is elastically supported inside the opening / closing door at a first position where the food stuffing port is closed, and is rotatable at a second position where the first position and the food stuffing port are opened.

상기 이음부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일측이 상기 조리실의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고 타측이 상기 개폐도어의 내측면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joint portion may be disposed at the same height as the bottom surface of the cooking cavity and the other side may be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door.

상기 이음부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일면이 상기 조리실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개폐도어의 내측면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The joint may be disposed such that one side thereof is inclined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at the second position.

상기 이음부는 양 단에 각각 상기 본체에 힌지 가능하게 결합하는 한 쌍의 힌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힌지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본체에 탄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joint includes a pair of hinge shafts hingably coupled to the body at both ends, and at least one of the pair of hinge shafts can be elastically connected to the body by an elastic member.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힌지축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토션 스프링일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may be a torsion spring having one end fixed to the hinge shaft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main body.

상기 이음부는 일면이 만곡 형성될 수 있다.The joint portion may be curved on one side.

상기 이음부는 일면이 볼록 또는 오목한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joint portion may be formed as a convex or concave surface on one side.

상기 이음부는 일면이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joint portion may be formed in a flat surface.

상기 이음부는 일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가이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The joint part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guide protrusions arranged on one surface with a gap therebetween.

또한, 본 발명은 조리실이 형성된 본체; 상기 조리실의 음식물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개폐도어; 및 상기 개폐도어의 개폐동작에 연동하여 회동하도록 상기 조리실의 내부에 탄력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음식물 투입구 개방 시 상기 조리실 바닥면과 상기 조리실의 바닥면보다 낮은 위치에 이격 배치되는 상기 개폐도어의 내측면을 이어주는 일면을 구비하는 이음부;를 포함하는 가열 조리기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oking apparatus, comprising: a body having a cooking chamber; An opening / closing door rotatably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main body to open / close a food inlet of the cooking chamber; And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opening / closing door, which is elastically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so as to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opening / closing door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The above object can be attained by providing a heating cooker including a joining part having a joining face.

상기 이음부는 상기 개폐도어가 상기 음식물 투입구를 개방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음식물 투입구를 폐쇄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회동할 때 상기 개폐도어에 탄력적으로 지지된 상태로 상기 개폐도어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Wherein the joint is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while being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pivots between a first position for opening the food stuffing port and a second position for closing the food stuffing port .

상기 개폐도어는 개방동작에 의해 내측면이 상기 조리실의 바닥면보다 낮은 위치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이음부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개폐도어의 내측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The opening / closing door may be disposed so that an inner side thereof is spaced apart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by an opening operation, and the joint portion is inclined downwardly from the first position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opening / closing door.

상기 이음부의 일면은 만곡 형성되거나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joint may be curved or plana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가열 조리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표시한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한 이음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도시한 이음부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서 표시한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 은 개폐도어의 폐쇄동작에 의해 조리실의 내부에 인입된 이음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개폐도어의 개방동작에 의해 개폐도어의 내측면과 조리실의 바닥면 사이에 형성된 단차를 메우는 이음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일면이 평면으로 이루어진 이음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일면이 평면과 곡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이음부의 다양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기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ting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eating cooker shown in Fig. 1.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shown i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joint shown in Fig.
5 is a side view of the joint shown in Fig.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portion shown in Fig. 4;
7 is a view showing a joint portion which is pulled into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by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8 is a view showing a joint which fills a step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by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joint part having a flat surface on one side.
10 to 12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various examples of joints each having a flat surface and a curved surface.
13 and 14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using a heating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provided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with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to avoid obscur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attached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but the dimensions of some of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기(1)에 대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기(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가열 조리기(1)의 분해 사시도이다. A heating cook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Fig.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ting cook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eating cooker 1 shown in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기(1)는 조리실(110)의 음식물 투입구(170) 개방시 조리실(110)의 바닥면(140)과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를 메움으로써 조리용기(10, 도 13 및 14 참조)에 담신 음식물이 조리실(110)의 바닥면(140)으로부터 임시선반 역할을 하는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 끌어 당겨질 때 발생하는 낙하를 방지하도록 형성된다.1 and 2, a heating cook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ttom surface 140 of the cooking chamber 110 and an opening / closing door 200 13 and 14) by covering the step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240 of the cooking cavity 110 and the inner surface 240 of the cooking chamber 110 so that the food contained in the cooking container 10 To prevent falling that occurs when the inner surface (240) of the frame (240) is pull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기(1)는 본체(100), 개폐도어(200) 및 이음부(300)로 구성될 수 있다.The heating cook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a main body 100, an opening and closing door 200, and a coupling part 300.

본체(100)는 음식물 투입구(170)가 구비된 조리실(110)이 내부에 형성되며 다수의 조작 버튼이 구비되는 컨트롤 패널과 상기 조리실(110) 내부로 마이크로파를 공급하기 위한 마그네트론, 상기 마그네트론에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고압트랜스 등이 실장되는 전장실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 마그네트론과 고압트랜스 등이 실장되는 전장실은 가열 조리기(1)의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도시하지 않는다. 또한 본체(100)는 전면의 하단부에 후술하게 될 개폐도어(200)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한 쌍의 도어 브라켓(160)이 결합하도록 구성된다.The main body 100 includes a control panel having a cooking chamber 110 provided therein with a food inlet 170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perating buttons and a magnetron for supplying a microwave into the cooking chamber 110, And a high-voltage transformer for applying a high-voltage transformer. The electric chamber in which the control panel, the magnetron and the high-voltage transformer are mounted is not shown because it is a general configuration of the heating cooker 1. The main body 100 is constructed such that a pair of door brackets 160 ar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front surface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rotatably connected.

한편, 본체(100)는 내부에 조리실(110)이 마련되도록 공간이 형성되며 전면에 외부와 조리실(110)이 연통하도록 음식물 투입구(170)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음식물은 조리용기(10)에 수납된 채 음식물 투입구(170)를 통하여 조리실(110) 내부의 바닥면(140)에 안착하여 가열됨으로써 데워지거나 익혀지게 될 수 있다. 본체(100)는 후술하게 될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이 접촉하여 음식물 투입구(170)를 폐쇄할 수 있도록 전면이 음식물 투입구(170) 주위에 일정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main body 100 is formed with a space for the cooking chamber 110 to be provided therein and a food inlet 170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so that the outside and the cooking chamber 11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ccordingly, the food may be stored in the cooking vessel 10, heated and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140 of the cooking chamber 110 through the food inlet 170 and heated. The main body 10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has a constant width around the food intake port 170 so that the inner side surface 240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0 to be described later may contact and close the food intake port 170 .

이하, 본체(100)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서 표시한 부분의 확대도이다.Hereinafter,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main body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shown in Fig.

도 3을 참조하면, 본체(100)는 조리실(110)의 바닥면(140)과 본체(100)의 전면이 맞닿아 형성되는 모서리부에 마련되는 회동공간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동공간부(150)는 후술하게 될 이음부(300)가 회동할 수 있도록 조리실(110) 바닥면(140)의 전방 모서리부에 모서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동공간부(150)는 본체(100)의 전면에 연결되는 하면(151), 조리실(110)의 바닥면(140)과 연결되는 후면(152) 및 양 측면(15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회동공간부(150)의 양 측면(153)은 조리실(110)의 양 측면(120)의 일부분을 형성하며, 회동공간부(150)의 하면(151)은 조리실(110)의 바닥면(140)과 대략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음부(300)가 하면에 간섭되지 않고 용이하게 회동할 수 있도록 본체(100)의 전방으로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main body 100 may include a rotation space 150 provided at a corner where the bottom surface 140 of the cooking chamber 110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pecifically, the rotation space 150 may b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rner portion at the front corner of the bottom surface 140 of the cooking chamber 110 so that the joint 300 to be described later can rotate. The rotation space 150 may include a bottom surface 151 connect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nd a rear surface 152 and both sides 153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140 of the cooking chamber 110. [ have. The side surface 153 of the pivoting space 150 forms a part of both sides 120 of the cooking chamber 110 and the lower surface 151 of the pivoting space 150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110 140 but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0 so that the joint 300 can easily rotate without being interfered with the bottom surface.

본체(100)는 이음부(300)의 양 단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힌지축(340)이 수용되도록 회동공간부(150)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힌지축수용홈(154)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ain body 100 may include a hinge shaft receiving groove 154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ivoting space part 150 so as to receive a pair of hinge shafts 340 formed at both ends of the joint part 300 have.

다시 도 1 및 2를 참조하면, 개폐도어(200)는 중앙부분에 개구(220)가 형성되는 도어프레임(210)과 도어프레임(210)의 개구(220)에 장착되는 강화 글래스(230)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개폐도어(200)의 강화 글래스(230)는 도어프레임(210)의 개구(220)에 장착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 전체에 장착될 수 있다.  1 and 2,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0 includes a door frame 210 having an opening 220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a reinforcing glass 230 attached to the opening 220 of the door frame 210 . The reinforcing glass 230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0 is not limited to being mounted on the opening 220 of the door frame 210 but may be mounted on the entire inside surface 240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0.

또한, 개폐도어(200)는 드롭다운 도어 오픈방식(Drop Down Door Open Type)으로 조리실(110)의 음식물 투입구(170)를 개폐하도록 본체(100)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폐도어(200)는 본체(100)의 하단부 전면에 상호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힌지 브라켓(160)에 결합하고 조리실(110)의 음식물 투입구(170)를 폐쇄하거나 조리실(110)의 음식물 투입구(170)를 개방하도록 선택적으로 상하 회동할 수 있다. 이 경우 후술하게 될 이음부(300)는 개폐도어(200)의 개폐동작에 연동하여 회동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0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00 to open and close the food inlet 170 of the cooking chamber 110 by a drop down door open method. Specifically,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0 is coupled to a pair of hinge brackets 16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nd closes the food inlet port 170 of the cooking chamber 110,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rotate up and down so as to open the food inlet 170. In this case, the joint 30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opening / closing door 200.

한편, 개폐도어(200)는 조리실(110)의 음식물 투입구(170)를 개방하는 경우,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이 조리실(110)의 바닥면(140)과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폐도어(200)는 조리실(110)의 음식물 투입구(170)를 개방하기 위하여 하측으로 회동하는 경우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이 조리실(110)의 바닥면(140)보다 낮은 위치에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폐도어(200)는 내측면(240)이 조리실(110)의 바닥면(140)과 일정한 높이 차이의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inner surface 240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0 forms a step with the bottom surface 140 of the cooking chamber 110 when the food inlet 170 of the cooking chamber 110 is opened . More specifically, when the opening / closing door 200 is rotated downward to open the food inlet 170 of the cooking chamber 110, the inner side surface 240 of the opening / closing door 200 is positioned below the bottom surface 140 of the cooking chamber 110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osition. Accordingly,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0 can form a step with a predetermined height difference from the bottom surface 140 of the cooking chamber 110.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이하 이음부(300)를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한 이음부(300)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 도시한 이음부(300)의 측면도이며, 도 6은 도 4에서 표시한 부분의 확대도이다.Hereinafter, the joint 3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joint 300 shown in FIG. 1, FIG. 5 is a side view of the joint 300 shown in FIG. 4, and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portion shown in FIG.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이음부(300)는 단면이 대략 쐐기형상이며 양 단이 회동공간부(150)의 양 측면(153)에 이르도록 길게 연장되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음부(300)는 단면이 대략 쐐기형상을 이루도록 일측부의 두께(t1)가 타측부의 두께(t2)에 비해 두껍게 형성되며 타측부가 뾰족하게 형성된다. 4 to 6, the joint 300 is formed in a bar shape having a substantially wedge-shaped cross section and having both ends extended to both sides 153 of the pivoting space part 150 . The thickness t1 of the one side portion is formed to be thicker than the thickness t2 of the other side portion and the other side portion is formed to be sharp so that the joint portion 300 has a substantially wedge shape.

또한 이음부(300)는 개폐도어(200)가 조리실(110)의 음식물 투입구(170)를 폐쇄하는 경우 조리실(110)의 내부에 인입된 채 고온으로 가열되므로 조리실(110)의 고온에 견디고 성형이 용이한 내열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음부(300)는 전기아연도금강판(EGI, Electrolytic Galvanized Iron), 알루미늄(aluminum),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기아연도금강판은 내식성과 도장성이 우수하며, 알루미늄은 가볍고 내부식성이 우수하며, 스테인레스 스틸은 내부식성이 우수하며 알루미늄에 비해 강도가 높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이음부(300)는 ABS 수지(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PC(polycarbonate), PP(polypropylen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들은 사출성형이 가능하여 비교적 가공하기 쉽고 내충격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다.Since the door 300 is heated to a high temperature while being drawn into the cooking chamber 110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0 closes the food inlet 170 of the cooking chamber 110, the door 300 can withstand the high temperature of the cooking chamber 110, Can be made of an easily heat-resistant material. For example, the joint 30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electrogalvanized steel (EGI), aluminum, stainless steel, or the like. Electro galvanized steel sheet has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nd paintability. Aluminum is light and has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Stainless steel has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nd high strength compared to aluminum. For example, the joint part 300 may be made of an ABS resin such a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PC (polycarbonate), PP (polypropylene) And excellent heat resistance.

이음부(300)는 일측부가 회동공간부(150)에 배치된 채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탄력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음부(300)는 일측부의 양 단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힌지축(340)이 탄성부재에 연결되어 본체(100)의 양 측면, 다시 말하면 회동공간부(150)의 양 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힌지축수용홈(154)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힌지축(340)에는 탄성부재(170)의 일단(172)이 고정되는 삽입홈(341)이 각각 형성되며 본체(100)의 힌지축수용홈(154)에는 탄성부재(170)의 타단(171)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170)는 토션 스프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종류의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탄성부재(170)에 의해 이음부(300)를 조리실(110)의 음식물 투입구(170)가 개방된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므로 이음부(300)는 개폐도어(200)가 조리실(110)의 음식물 투입구(170)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회동하는 동안에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음부(300)도 회동하는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에 접촉한 채 회동할 수 있다.One side of the joint part 300 can be rotatably and elastically coupled to the main body 100 while being disposed in the rotation spatial part 150. More specifically, the joint 300 includes a pair of hinge shafts 340 formed at both ends of the one side portion, which are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s and ar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0, that is, And can be accommodated in the pair of hinge shaft receiving grooves 154 formed. The hinge shaft 340 is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341 to which the one end 172 of the elastic member 170 is fixed and the elastic member 170 is inserted into the hinge shaft receiving groove 154 of the body 100, The other end 171 may be fixed. Here, the elastic member 170 may be a torsion spr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kinds of springs. Since the joint part 300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17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ood intake port 170 of the cooking chamber 110 is opened, the joint part 300 is formed by the opening / closing door 200, The inner side surface 240 of the opening / closing door 200 can be elastically supported while being pivoted to open or close the opening / closing door 170. Accordingly, the coupling part 300 can also be rotated in contact with the inner side surface 240 of the opening / closing door 200 which rotates.

한편, 이음부(300)는 일측부와 타측부를 연결하는 일면(310)이 볼록하게 만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식물이 수납된 조리용기(10)는 만곡된 일면(310)상에서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이음부(300)는 일면(310)이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가이드 돌기(320)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식물의 조리용기(10)가 이음부(300)의 일면(310) 상에서 슬라이딩하여 조리실(110)의 바닥면(140)으로부터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음부(300)의 가이드 돌기(320)는 조리용기(10)의 하면과 직접 접촉하여 마찰력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Meanwhile, the joint part 300 may be formed such that one surface 310 connecting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s convexly curved. Accordingly, the cooking vessel 10 in which the food is housed can slide while moving on the curved surface 310. The joint 300 may be formed to include a guide protrusion 320 whose one surface 310 is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When the food cooking vessel 10 slides on one surface 310 of the joint 300 and moves from the bottom surface 140 of the cooking chamber 110 to the inner side surface 240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0, The guide protrusion 320 of the part 300 directly contacts the lower surface of the cooking container 10 to reduce the frictional force.

이하는 이음부(300)의 동작을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개폐도어(200)의 개폐동작에 의해 이음부(300)가 동작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joint 3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FIG. 7 and 8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joint 300 by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0. Fig.

여기서 제1 위치는 개폐도어(200)가 조리실(110)의 음식물 투입구(170)를 폐쇄하는 위치로, 개폐도어(200)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이음부(300)가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에 접촉한 채 조리실(110)에 인입되어 배치되는 위치이며, 도 7에서 도시된다.The first position is a position where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0 closes the food inlet 170 of the cooking chamber 110 and the joint 300 which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0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0 Is a position in which it is pulled into the cooking chamber 110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240, and is shown in FIG.

또한, 제2 위치는 개폐도어(200)가 조리실(110)의 음식물 투입구(170)를 개방하는 위치로, 개폐도어(200)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이음부(300)가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에 접촉한 채 조리실(110) 밖으로 부분 인출되어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과 조리실(110)의 바닥면(140)을 이어주도록 배치되는 위치이며, 도 8에서 도시된다.The second position is a position where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0 opens the food inlet 170 of the cooking chamber 110 and the joint 300 which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0 is opened A position where the inner side surface 240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0 and the bottom surface 140 of the cooking chamber 1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s drawn out from the cooking chamber 110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inner side surface 240, Respectively.

도 7을 참조하면, 이음부(300)는 개폐도어(200)가 조리실(110)의 음식물 투입구(170)를 폐쇄하는 동작에 따라 제1 위치에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폐도어(200)가 조리실(110)의 음식물 투입구(170)를 폐쇄하는 과정에서, 이음부(300)는 개폐도어(200)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 채 회동하여 조리실(110) 내부에 인입될 수 있다. 즉, 이음부(300)는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회동하는 개폐도어(200)에 밀려서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joint 300 may be set to the first posi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oor 200 to close the food inlet 170 of the cooking chamber 110. Specifically, when the opening / closing door 200 closes the food inlet 170 of the cooking chamber 110, the coupling 300 is rotated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opening / closing door 200 in a resilient manner, As shown in FIG. That is, the joint 300 can be pushed by the opening / closing door 200 that rotates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and can be set to the first position at the second position.

도 8을 참조하면, 이음부(300)는 개폐도어(200)가 조리실(110)의 음식물 투입구(170)를 개방하는 동작에 따라 제2 위치에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폐도어(200)가 본체(100)의 전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조리실(110)의 음식물 투입구(170)를 개방하면, 이음부(300)는 개폐도어(200)를 탄력적으로 지지한 채 회동하여 조리실(110) 외부로 부분 인출될 수 있다. 즉, 이음부(300)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회동하는 개폐도어(200)에 의해 지지된 채 탄성부재(170)가 조리실(110) 외측으로 가하는 힘에 의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joint 300 may be set at the second posi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opening / closing the door 200 to open the food inlet 170 of the cooking chamber 110. Specifically, when the opening / closing door 200 is separated from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0 to open the food inlet port 170 of the cooking chamber 110, the coupling portion 300 rotates while holding the opening / closing door 200 in a resilient manner It can be partially drawn out of the cooking chamber 110. That is, the joint 300 is supported by the opening / closing door 200 which rotates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and the second member 300 i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by the force exerted by the elastic member 170 on the outside of the cooking chamber 110 Position.

개폐도어(200)는 제2 위치에서 내측면(240)이 조리실(110)의 바닥면(140)과 일정한 높이 차이(h)를 이룰 수 있다. 이때,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과 조리실(110)의 바닥면(140)의 높이 차이(h)는 대략 10mm 내지 20mm에 이르게 된다. 또한, 개폐도어(200)는 제2 위치에서 본체(100)의 전면(130)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본체(100)의 전면(130)과 일정한 갭(g)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개폐도어(200)의 전면(130)과의 갭(g)은 대략 10mm에 이르게 된다. 개폐도어(200)과 본체(100)간에 이러한 높이 차이(h)와 갭(g)이 형성된 상태에서 음식물이 수납된 조리용기(10)를 사용자가 조리실(110)의 외부로 당겨서 끌어내는 경우 조리용기(10)는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으로 낙하하여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이 파손되는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0 may have a predetermined height difference h from the bottom surface 140 of the cooking cavity 110 at the second position. At this time, the height difference h between the inner surface 240 of the opening / closing door 200 and the bottom surface 140 of the cooking chamber 110 reaches approximately 10 mm to 20 mm.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0 is spaced apart from the front surface 130 of the main body 100 at the second position so that a certain gap g can be formed with the front surface 130 of the main body 100. At this time, the gap g with the front surface 130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0 reaches approximately 10 mm. When the cooking container 10 in which the food is stored is pulled out by the user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chamber 110 while the height difference h and the gap g are formed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0 and the main body 100, The container 10 may fall on the inner side surface 240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0 and may cause the inner side surface 240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0 to be damaged.

이음부(300)가 제2 위치에 설정되어 조리실(110) 외부로 부분 인출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은 조리실(110)의 바닥면(140)보다 낮은 위치에 이격 배치되므로, 이음부(300)의 일측은 조리실(110)의 바닥면(140)과 동일한 높이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음부(300)의 타측은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에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이음부(300)의 일면(310)이 조리실(110)의 바닥면(140)으로부터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조리실(110)에 위치한 음식물이 담긴 조리용기(10)를 조리실(110)로부터 개폐도어(200)로 당겨 끌어내는 경우, 조리용기(10)는 조리실(110)의 바닥면(140)으로부터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으로 낙하하지 않고 이음부(300)의 일면(310) 상의 가이드 돌기(320)를 따라 슬라이딩하며 완만하게 안착할 수 있다. The inner side surface 240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0 is lower than the bottom surface 140 of the cooking chamber 110 when the joint 300 is set at the second position and partially drawn out of the cooking chamber 110, One side of the joint 300 may be disposed at the same height as the bottom surface 140 of the cooking chamber 110 and the other side of the joint 300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ide 240 of the door 200 As shown in Fig. That is, one side 310 of the coupling part 300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140 of the cooking chamber 110 to the inner side surface 240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0. When the user pulls the cooking vessel 10 containing the food placed in the cooking chamber 110 from the cooking chamber 110 to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0, the cooking vessel 10 moves to the bottom surface 140 of the cooking chamber 110 The door 300 can be smoothly slid along the guide protrusions 320 on one side 310 of the joint 300 without falling from the inner side surface 240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0.

한편, 이음부(300)의 일면(310)에는 가이드 돌기(320)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조리용기(10)는 하면이 이음부(300)의 일면(310)에 직접 접촉한 채로 슬라이딩하면서 조리실(110)의 바닥면(140)으로부터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으로 완만하게 안착할 수 있다.Meanwhile, the guide protrusion 320 may not be formed on one surface 310 of the joint 300. In this case, the cooking vessel 10 is moved from the bottom surface 140 of the cooking chamber 110 to the inner side surface 240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0 while the lower surface thereof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one surface 310 of the joint 300, So that it can be restrained gently.

이하는 이음부(300)의 다양한 형태에 대해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앞선 이음부(300)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various forms of the joint 3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2. Fig. Description of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preceding joint 300 will be omitted.

도 9 는 일면(410)이 평면으로 이루어진 이음부(4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joint part 400 having a plane 410 formed on one side 410 thereof.

도 9를 참조하면, 이음부(400)는 일면(410)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음식물이 수납된 조리용기(10)가 이음부(400)의 일면(410)을 따라 조리실(110)의 바닥면(140)으로부터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이음부(400)의 일면(410)이 볼록하게 만곡되어 형성되는 경우보다 조리실(110)의 바닥면(140)과 이루는 경사각은 크며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과 이루는 경사각은 더 작다. 이에 따라 음식물이 수납된 조리용기(10)는 일면(410)으로부터 완만하게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으로 이동할 수 있다.9, the joint part 400 has a flat surface 410, and the cooking container 10 in which the food is stored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110 along one side 410 of the joint part 400, (140) to the inner surface (240) of the opening / closing door (200). The angle of inclination between the first surface 410 of the coupling part 400 and the bottom surface 140 of the cooking chamber 110 is larger tha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ner surface 240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0, It is smaller. Accordingly, the cooking vessel 10 in which the food is housed can move gently from the one side 410 to the inner side 240 of the opening / closing door 200.

도 10 내지 도 12는 일면이 평면과 곡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이음부의 다양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설명에서는 음식물이 수납된 조리용기(10)가 일면상에서 이동하는 것을 가정을 한다. 10 to 12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various examples of joints each having a flat surface and a curved surfac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cooking vessel 10 containing food is moved on one surface.

도 10을 참조하면, 가이드 돌기(520)를 포함하는 이음부(500)는 일면(510)이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으로부터 조리실(110)의 바닥면(140)을 향하는 방향으로 평면, 오목한 면 및 볼록한 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음부(500)의 일면(510)은 제1 구간(s1)에서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일면(510-s1), 제2 구간(s2)에서 오목한 면으로 이루어지는 일면(510-s2) 및 제3 구간(s3)에서 볼록한 면으로 이루어지는 일면(510-s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10, the joint part 500 including the guide protrusion 520 is formed so that one side 510 of the joint part 500 extends from the inner side surface 240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0 toward the bottom surface 140 of the cooking chamber 110 A concave surface, and a convex surface. Specifically, one surface 510 of the joint 500 has one surface 510-s1 formed in a plane in the first section s1, one surface 510-s2 formed in a concave surface in the second section s2, And one surface 510-s3 formed of a convex surface in the section s3.

이에 따라, 이음부(500)가 제2 위치에 설정되는 경우, 제1 구간(s1)의 일면(510-s1)과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과 이루는 경사각이 도 4에서 도시된 이음부(300)의 일면(310)과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이 이루는 경사각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이음부(500)가 제2 위치에 설정되는 경우, 제3 구간(s3)의 일면(510-s3)과 조리실(110)의 바닥면(140)이 이루는 경사각이 도 9에서 도시된 이음부(400)의 일면(410)과 조리실(110)의 바닥면(140)이 이루는 경사각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이음부(500)는 음식물이 수납된 조리용기(10)가 조리실(110)의 바닥면(140)으로부터 완만하게 제3 구간(s3)의 일면(510-s3)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음부(500)는 음식물이 수납된 조리용기(10)가 제1 구간(s1)의 일면(510-s1)으로부터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으로 낙하 충격을 최소화하여 완만하게 이동하게 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joint 500 is set at the second position, the inclination angle formed between the one side 510-s1 of the first section s1 and the inner side surface 240 of the opening / May be smaller than an inclination angle formed by one surface 310 of the joint 300 and the inner surface 240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0. When the joint portion 500 is set at the second position, the inclination angle formed by the one surface 510-s3 of the third section s3 and the bottom surface 140 of the cooking chamber 110 is the joint shown in Fig. 9 May be smaller than an inclination angle formed by one surface 410 of the cooking chamber 400 and the bottom surface 140 of the cooking chamber 110. Therefore, the joint portion 500 can move the cooking container 10 in which the food is stored from the bottom surface 140 of the cooking chamber 110 to one surface 510-s3 of the third section s3 gently . The joint 500 also minimizes the drop impact of the cooking vessel 10 containing the food from the one surface 510-s1 of the first section s1 to the inner surface 240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0, Can be moved.

도 11을 참조하면, 가이드 돌기(620)를 포함하는 이음부(600)는 일면이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으로부터 조리실(110)의 바닥면(140)을 향하는 방향으로 오목한 면, 평면 및 볼록한 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음부(600)의 일면(610)은 제1 구간(s1)에서 오목한 면으로 이루어지는 일면(610-s1), 제2 구간(s2)에서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일면(610-s2), 제3 구간(s3)에서 볼록한 면으로 이루어지는 일면(610-s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11, a joint part 600 including a guide protrusion 620 is formed on one surface of a concave surface in a direction toward the bottom surface 140 of the cooking chamber 110 from the inner side surface 240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0, , A plane and a convex surface. Specifically, one surface 610 of the joint portion 600 has one surface 610-s1 formed of a concave surface in the first section s1, one surface 610-s2 formed of a plane in the second section s2, And one surface 610-s3 formed of a convex surface in the section s3.

이에 따라, 이음부(600)가 제2 위치에 설정되는 경우, 제1 구간의 일면(610-s1)과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이 이루는 경사각이 도 4에서 도시된 이음부(300)의 일면(310)과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이 이루는 경사각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이음부(600)가 제2 위치에 설정되는 경우 제3 구간(s3)에서 일면(610-s3)과 조리실(110)의 바닥면(140)이 이루는 경사각은 도 9에서 도시된 이음부(400)의 일면(410)과 조리실(110)의 바닥면(140)이 이루는 경사각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이음부(500)는 음식물이 수납된 조리용기(10)가 조리실(110)의 바닥면(140)으로부터 완만하게 제3 구간(s3)의 일면(610-s3)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음부(600)는 음식물이 수납된 조리용기(10)가 제1 구간(s1)의 일면(610-s1)으로부터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으로 낙하 충격을 최소화하여 완만하게 이동하게 할 수 있다. When the joint portion 600 is set to the second position, the inclination angle formed by the first surface 610-s1 of the first section and the inner surface 240 of the opening / May be smaller than an inclination angle formed by one surface 310 of the door 300 and the inner surface 240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0. The inclination angle formed by the one surface 610-s3 and the bottom surface 140 of the cooking chamber 110 in the third section s3 when the joint portion 600 is set to the second position, May be smaller than the inclination angle formed by one surface 410 of the cooking chamber 400 and the bottom surface 140 of the cooking chamber 110. Therefore, the joint part 500 can move the cooking vessel 10 in which the food is stored from the bottom surface 140 of the cooking chamber 110 to one surface 610-s3 of the third section s3 gently . The joint part 600 also minimizes the drop impact from the one surface 610-s1 of the first section s1 to the inner surface 240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0, Can be moved.

도 12를 참조하면, 가이드 돌기(820)를 포함하는 이음부(800)는 일면(810)이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으로부터 조리실(110)의 바닥면(140)을 향하는 방향으로 오목한 면 및 볼록한 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음부(800)는 일면(810)은 제1 구간(s1)에서 오목한 면으로 이루어지는 일면(810-s1), 제2 구간(s2)에서 볼록한 면으로 이루어지는 일면(810-s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12, the joint part 800 including the guide protrusion 820 is formed so that one side 810 of the guide protrusion 820 extends from the inner side surface 240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0 toward the bottom surface 140 of the cooking chamber 110 Concave and convex surfaces. Specifically, the joint 800 includes one surface 810-s1 having a concave surface in the first section s1 and one surface 810-s2 having a convex surface in the second section s2. .

이에 따라, 이음부(800)가 제2 위치에 설정되는 경우, 제1 구간의 일면(810-s1)과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이 이루는 경사각이 도 4에서 도시된 이음부(300)의 일면(310)과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이 이루는 경사각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이음부(800)가 제2 위치에 설정되는 경우, 제2 구간(s2)의 일면(810-s2)과 조리실(110)의 바닥면(140)이 이루는 경사각이 도 9에서 도시된 이음부(400)의 일면(410)과 조리실(110)의 바닥면(140)이 이루는 경사각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이음부(500)는 음식물이 수납된 조리용기(10)가 조리실(110)의 바닥면(140)으로부터 완만하게 제2 구간(s2)의 일면(810-s2)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음부(800)는 음식물이 수납된 조리용기(10)가 제1 구간(s1)의 일면(810-s1)으로부터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으로 낙하 충격을 최소화하여 완만하게 이동하게 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joint portion 800 is set to the second position, the inclination angle formed by the first surface 810-s1 of the first section and the inner surface 240 of the opening / May be smaller than an inclination angle formed by one surface 310 of the door 300 and the inner surface 240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0. When the joint portion 800 is set to the second position, the inclination angle formed between the one surface 810-s2 of the second section s2 and the bottom surface 140 of the cooking chamber 110 is the joint shown in Fig. 9 May be smaller than an inclination angle formed by one surface 410 of the cooking chamber 400 and the bottom surface 140 of the cooking chamber 110. Therefore, the joint portion 500 can move the cooking container 10 in which the food is stored from the bottom surface 140 of the cooking chamber 110 to one surface 810-s2 of the second section s2 smoothly . The joint part 800 also minimizes the drop impact from the one side 810-s1 of the first section s1 to the inner side 240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0, Can be moved.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기(1)의 사용법에 대해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using the heating cook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and 14. Fig.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기(1)의 사용방법을 셜명하는 도면이다.13 and 14 are views for explaining how to use the heating cook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가열 조리기(1)가 조리를 마치면 사용자는 개폐도어(200)를 화살표 방향 즉,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회동하게 한다. 이때 개폐도어(200)는 내측면(240)이 조리실(110)의 바닥면(140)으로부터 낮은 위치에 이격 배치되도록 회동한다. 개폐도어(200)의 회동에 따라 이음부(300)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회동하면서 조리실(110)의 바닥면(140)과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을 이어주도록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 13, when the cooking cooker 1 finishes cooking, the user rotates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0 in the arrow direction, that is,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At this time,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0 rotates so that the inner side surface 240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140 of the cooking chamber 110 at a lower position. The coupling portion 300 is rotat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so as to connect the bottom surface 140 of the cooking chamber 110 and the inner side surface 240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0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0 .

도 14를 참조하면, 개폐도어(200)가 제2 위치에 설정되면 사용자는 두 손에 두꺼운 단열장갑을 착용한 채 우선 한 손으로 음식물이 수납되는 조리용기(10)를 협소한 조리실(110)로부터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으로 끌어당겨 안착하게 한다. 이때, 개폐도어(200)는 임시선반의 역할을 하게 된다. 사용자에 의해 끌어 당겨지는 조리용기(10)는 화살표를 따라 조리실(110)의 바닥면(140)으로부터 이음부(300)의 일면 상을 슬라이딩하여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으로 이동한다. 이때 이음부(300)가 조리실(110)의 바닥면(140)과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을 이어주도록 배치되므로 조리용기(10)는 조리실(110)의 바닥면(140)으로부터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으로 낙하하지 않고 화살표룰 따라 완만하게 경사지게 이동하여 안착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에 가해지는 충격이 방지되므로 개폐도어(200)는 파손이 상당부분 방지될 수 있다.14,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0 is set to the second position, the user wears a thick insulating glove on both hands and, at first, the cooking vessel 10 in which food is stored with one hand is inserted into the narrow cooking chamber 110, To the inner side surface (240) of the opening / closing door (200). At this time,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0 serves as a temporary shelf. The cooking vessel 10 pulled by the user is moved along the arrow from the bottom surface 140 of the cooking chamber 110 to one side of the joint 300 to move to the inner side surface 240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0 do. At this time, since the joint 300 is arranged to connect the bottom surface 140 of the cooking chamber 110 and the inner side surface 240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0, the cooking container 1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bottom surface 140 of the cooking chamber 110, But does not fall on the inner side surface 240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0, but is smoothly inclined and moved along the arrowed line. Accordingly, since the impact applied to the inner side surface 240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0 is prevented,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considerably.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기(1)는 조리실(110)의 음식물 투입구(170)를 개방하는 경우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과 조리실(110)의 바닥면(140)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를 메우도록 개폐도어(200)의 개폐동작에 의해 회동하는 이음부(300)가 설치됨에 따라 음식물이 수납되는 조리용기(10)가 조리실(110)의 바닥면(140)으로부터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으로 낙하하지 않고 완만하게 경사지게 이동하여 안착하므로 파손이 방지므로 가열 조리기(1)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 heating cook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inner side surface 240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110 from being opened when the food inlet port 170 of the cooking chamber 110 is opened, The cooking chamber 10 in which the food is stored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110 so that the cooking chamber 10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opening / closing door 200, Since it does not fall from the door 140 to the inner side surface 240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0 and smoothly slopes and seats to prevent the door from being broken, the durability of the heating cooker 1 can be increas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 가열 조리기 100: 본체
110: 조리실 120: 조리실의 양 측면
130: 본체의 전면 140: 바닥면
150: 회동공간부 160: 도어 브라켓
170: 음식물 투입구 200: 이음부
210: 도어프레임 220: 개구
230: 강화 글래스
300, 400, 500, 600, 800: 이음부
310, 410, 510, 610, 810: 이음부의 일면
320, 420, 520, 620, 820: 가이드 돌기
700: 탄성부재
1: heating cooker 100:
110: a cooking chamber 120: both sides of a cooking chamber
130: front surface of main body 140: bottom surface
150: rotation space part 160: door bracket
170: food inlet 200: joint
210: door frame 220: opening
230: Tempered glass
300, 400, 500, 600, 800:
310, 410, 510, 610, 810: one side of the joint
320, 420, 520, 620, 820: guide projection
700: elastic member

Claims (15)

조리실이 형성된 본체;
상기 조리실의 음식물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개폐도어; 및
상기 음식물 투입구 개방시 상기 조리실의 바닥면과 상기 개폐도어의 내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를 메우는 이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A body formed with a cooking cavity;
An opening / closing door rotatably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main body to open / close a food inlet of the cooking chamber; And
And a joint which fills a step formed between a bottom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and an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 closing door when the food inlet is ope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는 상기 개폐도어의 상기 음식물 투입구를 개폐하는 동작에 의해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joint portion is rotated by an operation of opening / closing the food inlet of the opening / closing do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는 상기 음식물 투입구가 폐쇄되는 제1 위치와 상기 음식물 투입구가 개방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개폐도어에 탄력적으로 지지된 상태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joint portion is pivoted in a state of being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opening / closing door between a first position where the food stuffing port is closed and a second position where the food stuffing port is open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일측이 상기 조리실의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고 타측이 상기 개폐도어의 내측면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joint portion is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bottom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at one side in the second position and at the same height as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at the other sid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일면이 상기 조리실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개폐도어의 내측면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joint portion is disposed such that one side thereof is inclined downwardly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to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opening / closing door at the second posi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는 양 단에 각각 상기 본체에 힌지 가능하게 결합하는 한 쌍의 힌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힌지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본체에 탄력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joint includes a pair of hinge shafts hingedly coupled to the main body at both ends,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air of hinge shafts is elast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by an elastic memb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힌지축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토션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elastic member is a torsion spring having one end fixed to the hinge shaft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main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는 일면이 만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joint portion is curved on one sid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는 일면이 볼록 또는 오목한 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joint portion is formed as a convex or concave surface on one 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는 일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joint portion is formed in a flat surface on one 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는 일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joint portion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guide projec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one surface thereof.
조리실이 형성된 본체;
상기 조리실의 음식물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개폐도어; 및
상기 개폐도어의 개폐동작에 연동하여 회동하도록 상기 조리실의 내부에 탄력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음식물 투입구 개방 시 상기 조리실 바닥면과 상기 조리실의 바닥면보다 낮은 위치에 이격 배치되는 상기 개폐도어의 내측면을 이어주는 일면을 구비하는 이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A body formed with a cooking cavity;
An opening / closing door rotatably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main body to open / close a food inlet of the cooking chamber; And
The door is elastically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so as to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And a joint having one surfac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는 상기 개폐도어가 상기 음식물 투입구를 개방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음식물 투입구를 폐쇄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회동할 때 상기 개폐도어에 탄력적으로 지지된 상태로 상기 개폐도어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joint portion is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opening / closing door while being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opening / closing door when the opening / closing door pivots between a first position for opening the food stuffing port and a second position for closing the food stuffing port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개폐도어의 내측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joint portion is disposed downwardly inclined from the first position toward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opening / closing doo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의 일면은 만곡 형성되거나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one side of the joint is curved or flat.
KR1020150078122A 2015-06-02 2015-06-02 Heating cooker KR1023271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122A KR102327159B1 (en) 2015-06-02 2015-06-02 Heating coo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122A KR102327159B1 (en) 2015-06-02 2015-06-02 Heating cook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143A true KR20160142143A (en) 2016-12-12
KR102327159B1 KR102327159B1 (en) 2021-11-16

Family

ID=57574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8122A KR102327159B1 (en) 2015-06-02 2015-06-02 Heating coo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715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5335A (en) * 2002-09-19 2004-03-2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Sliding apparatus for kettle of gas rice cooker
KR20060015146A (en) * 2004-08-13 2006-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Home bar structure for refrigerator
KR20090001784U (en) * 2007-08-21 2009-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5335A (en) * 2002-09-19 2004-03-2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Sliding apparatus for kettle of gas rice cooker
KR20060015146A (en) * 2004-08-13 2006-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Home bar structure for refrigerator
KR20090001784U (en) * 2007-08-21 2009-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7159B1 (en) 202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0927B1 (en) Oven
EP2716977B1 (en) Cooking oven
US11054143B2 (en) Cooking appliance
EP3535462B1 (en) Home appliance having leveling door handle
US7789082B2 (en) Rack structure of oven
US10429077B2 (en) Domestic oven having a door with two door wings
US10551070B2 (en) Home appliance
US9574778B2 (en) Oven with door having a convex shaped surface
KR20140104514A (en) Cooker
EP2952664A1 (en) A locking member of a hinge latch
KR20160142143A (en) Heating cooker
EP3550101B1 (en) Oven
KR100785129B1 (en) Cooking device
JPH01184332A (en) Cooking apparatus
EP3284888A1 (en) Door hinge for an oven door
KR100863824B1 (en) Oven and door hinge thereof
KR20190120624A (en) Cooking appliance
CN216166845U (en) Box subassembly and cooking utensil
KR20110045939A (en) Cooking appliance
WO2024085840A1 (en) A cooking device comprising a safety bracket
JP5012343B2 (en) Cooker
CN113647805A (en) Box subassembly and cooking utensil
KR100684526B1 (en) Microwave range having a variable cooking room
KR20230016420A (en) Latch and cooking apparatus with the same
TR201801403A2 (en) DOOR USED IN A HOM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