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2115A - 백신접종 부위 이상육 발생 감소를 위한 사료첨가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백신접종 부위 이상육 발생 감소를 위한 사료첨가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2115A
KR20160142115A KR1020150078056A KR20150078056A KR20160142115A KR 20160142115 A KR20160142115 A KR 20160142115A KR 1020150078056 A KR1020150078056 A KR 1020150078056A KR 20150078056 A KR20150078056 A KR 20150078056A KR 20160142115 A KR20160142115 A KR 20160142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idence
vaccination
reducing
feed additiv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8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0172B1 (ko
Inventor
최형규
정은용
Original Assignee
(주)이엘티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엘티사이언스 filed Critical (주)이엘티사이언스
Priority to KR1020150078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0172B1/ko
Publication of KR20160142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1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89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3Enzymes; Proenzyme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6Hydrolases (3)
    • A61K38/48Hydrolases (3) acting on peptide bonds (3.4)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문제점인 백신 접종 부위의 이상육 발생을 감소시켜 양축 농가의 경제적 피해 경감과 백신 접종 기피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백신 접종시 접종 가축의 사료에 첨가하여 급여함으로써 이상육 발생을 현저하게 감소시켜 주는 백신접종 부위 이상육 발생 감소를 위한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백신접종 부위 이상육 발생 감소를 위한 사료첨가제 조성물{Feed additives composition for decreasing discarded meat at vaccination site}
본 발명은 백신접종 부위 이상육 발생 감소를 위한 사료첨가제 조성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동물이 섭취하는 사료에 첨가하여 급여하도록 함으로써, 구제역 백신 접종 동물에 나타나는 부작용인 이상육 발생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여 육가공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켜 수요 감소를 예방하고, 백신 접종을 기피하는 현상을 예방하여 양축 농가들의 소득이 지속될 수 있도록 한 백신접종 부위 이상육 발생 감소를 위한 사료첨가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제역((Foot and mouse disease)은 돼지 및 소 등 발굽이 갈라진 동물에 감염되는 바이러스 질병으로 전파속도가 빠르고 경제적 피해가 매우 크기 때문에 국제수역사무소(OIE)에서는 리스트(List)A 질병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법정 가축전염병으로 지정하여 국가에서 필요한 방역을 책임지고 있다.
2010년 11월 28일 경북 안동에서 구제역이 발생하여 순식간에 동시다발적으로 전국으로 확산되어 정부에서는 국가 재난으로 선포하였고 구제역 조기 종식을 위해 그동안 부작용으로 인해 미뤄왔던 백신접종을 마지막 수단으로 채택하여 전국적으로 백신 접종을 실시하고서야 구제역 발생을 멈출 수 있었다.
2010년에 발생한 구제역으로 인하여 348만 마리의 돼지, 소, 양이 살처분 되었으며 피해액도 2조 7,383억원에 이르러 국가 경제에도 엄청난 타격을 입었다. 이 후 구제역을 효율적으로 예방하기 위하여 소, 돼지, 염소 등 가축에 한하여 전국적으로 구제역 백신을 접종해오고 있으나 구제역 백신의 부작용인 이상육 발생으로 인하여 양축 농가에 커다란 경제적 피해가 가중되고 있다.
현재 구제역 백신은 전 세계적으로 메리알 등 몇몇 회사만이 제조하고 있으며, 따라서 우리나라도 전량 수입하여 사용하고 있다. 구제역 백신은 백신의 특성상 서서히 흡수되고 오랫동안 방어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DOE(Double Oil Emulsion) 제형을 사용하는 관계로 백신 접종 부위에 이상육 발생이 초래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앉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이상육 발생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가 구제역 발생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에 비하여 미약하다는 이유로 무시되어 왔으나 해를 거듭 할수록 양축농가의 경제적 피해가 가중되어 구제역 백신접종 거부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아직도 대부분의 선진국에서는 구제역 예방을 위하여 우리나라처럼 구제역 백신을 접종하기보다는 살처분 정책을 취하고 있어 구제역 백신 접종으로 인해 나타나는 이상육 발생 피해에 대한 연구나 피해 경감 대책이 없는 실정이다.
구제역 백신 접종시 이상육 발생은 소보다는 돼지에서 훨씬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백신 접종 부위 근육에 백신 잔류, 감염, 염증 등으로 인하여 결절 또는 화농 형성 및 육질 변색을 초래하여 육가공시 불가식 부위로 판정되어 폐기처리 하기 때문에 양축가로서는 그만큼 경제적 손실을 입게 된다.
2014년도 박민수 국회의원이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국내 양돈산업에서 구제역 백신 접종 부위 이상육 발생으로 인한 연간 피해액이 1,324억원에 이른다고 추정하고 있다. 또한 한돈협회 발표에 의하면 2012년도 기준 구제역 백신 접종 부위 이상육 발생율이 35.6%로 도축하는 돼지 10마리중 4마리에서 구제역 백신 접종 부위인 목심에서 이상육이 발생되어 이로 인한 경제적 피해(평균적으로 마리당 2만원 정도의 손실)가 너무 크기 때문에 회원 농가들이 구제역 백신 접종을 기피하는 현상이 확산되고 있다는 것이다. 정부에서도 부작용이 있다고 아예 백신 접종을 안 하겠다는 것은 축산인으로서 사명감이 결여되고 소탐대실하는 것이라고 구제역 백신 접종을 독려하고 있으나 양축가 입장에서 보면 백신의 문제점인 부작용으로 인하여 애지중지 키운 돼지의 백신 접종 부위에 이상육이 발생하여 경제적 피해를 보기 때문에 납득할 만한 대책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62235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62236호 특허문헌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72826호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문제점인 백신 접종 부위의 이상육 발생을 감소시켜 양축 농가의 경제적 피해 경감과 백신 접종 기피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백신 접종시 접종 가축의 사료에 첨가하여 급여함으로써 이상육 발생을 현저하게 감소시켜 주는 백신접종 부위 이상육 발생 감소를 위한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안출된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브로멜라인, 아세트아미노펜, 아세트산아연, 유동파라핀 및 구운 왕겨분말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백신 접종 부위 이상육 발생 감소를 위한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구제역 백신 접종시 나타나는 백신 접종 부위 이상육 발생을 감소시킴으로써, 육가공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양축 농가들의 백신 접종의 기피현상을 예방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키며, 이로 인해 양축 농가들의 소득을 지속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백신 접종 부위 이상육 발생 감소를 위한 사료첨가제는 브로멜라인(Bromelain),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 아세트산아연(Zinc acetate), 유동파라핀(Liquid paraffin) 및 구운 왕겨분말(Burned rice hull)로 조성된 복합 조성물로 구성되며, 구제역 백신 접종시 일정기간 사료에 첨가하여 급여함으로써 백신 접종시 나타나는 백신 접종 부위 이상육 발생을 감소시키고 양축 농가들의 구제역 백신 접종 기피현상을 해결할 수 있다.
상기 브로멜라인(Bromelain)은 파인애플 줄기에서 추출한 천연효소로서 1876년도에 최초로 발견되었으며, 1982년도에는 파인애플 주스에서도 발견한 단백질 분해효소이다. 브로멜라인은 소화기내에서 단백질 성분의 분해 촉진뿐만 아니라 염증시 생성되는 삼출물 내 단백질 성분의 분해를 촉진하여 줌으로서 염증증상을 완화시켜 주며 스트레스에 의한 면역기능 저하를 억제하고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촉진하여 면역기능을 강화시켜 주는 작용이 있다. 브로멜라인은 부작용이 없는 천연 효소라는 점 때문에 의약품 분야에서 관절염이나 류마치스 치료제 및 소화제 원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동물약품 분야에서는 젖소의 유방염 예방 및 체세포수 감소제와 사료의 소화율 향상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은 1893년에 폰 메링(Von Mering)에 의하여 처음으로 해열 및 진통작용을 가지는 의약품으로 사용되었고, 그 후에 아세트아닐라이드와 페나세틴의 활성 대사체라는 것이 밝혀진 1949년 이후부터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어 오고 있는 대표적인 경구용 해열 진통제이다. 동물약품 분야에서 역시 가축의 급성질환 발생시 해열 및 진통 목적으로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아세트아미노펜은 아스피린에 비하여 소화기 장애 유발이 훨씬 낮기 때문에 사료첨가제 및 경구용 액상제제로 개발되어 널리 판매되고 있다.
상기 아세트산아연(Zinc acetate)은 아세트산Acetic acid)과 탄산아연(Zinc carbonate) 또는 금속아연(Zinc metal)과의 작용에 의해 생성되는 유기태 아연으로서 황산아연(Zinc sulfate) 등 무기태 아연에 비하여 생체 내에서 흡수이용율이 우수하여 아연공급원으로 인체뿐만 아니라 동물분야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미량광물질의 일종이다.
상기 유동파라핀(Liquid paraffin)은 석유에서 얻은 탄화수소류 혼합물로서 무색, 무취, 무미하여 유효성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조성물 제조시 혼합도 및 균일도를 개선하고 제품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상기 구운 왕겨분말(Burned rice hull)은 왕겨를 소성한 다음 50 내지 100메쉬 크기로 분쇄한 분말로서 침상조직이 파괴되어 가축의 장조직에 상처를 유발하지 않으며 유효성분들과 물리적 화학적 반응을 유발하지 않고 보존성이 우수하며 수분함량이 낮아 조성물의 부형제로 사용하고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백신 접종 부위 이상육 발생 감소를 위한 사료첨가제 조성물은 브로멜라인 2.0~10.0중량%, 아세트아미노펜 5.0~20.0중량%, 아세트산아연 2.0~10.0중량%, 유동파라핀 2.0~10.0중량% 및 구운 왕겨분말 50.0~89.0중량%를 혼합하여 형성된다.
이때, 상기 브로멜라인, 아세트아미노펜, 아세트산아연 중 어느 1종을 포함한 2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주성분인 브로멜라인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2.0 ~ 10.0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로멜라인이 2.0중량% 이하인 경우에는 이상육 발생 감소효과가 미흡하고, 10.0중량% 이상일 때에는 경제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백신 접종 부위 이상육 발생 감소를 위한 사료첨가제 조성물의 주성분 인 아세트아미노펜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5.0 ~20.0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세트아미노펜이 5.0중량% 이하인 경우에는 이상육 발생 감소효과가 미흡하고, 20.0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과량 사용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백신 접종 부위 이상육 발생 감소를 위한 사료첨가제 조성물의 주성분인 아세트산아연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2.0 ~10.0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세트산아연이 2.0중량% 이하인 경우에는 이상육 발생 감소효과가 미흡하고, 10.0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과량 사용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안정제인 유동파라핀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2.0 ~ 10.0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동파라핀이 2.0중량% 이하인 경우에는 조성물의 안정성에 문제를 초래하며, 10.0중량% 이상 시는 과량 사용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부형제(Excpient)인 구운 왕겨분말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50.0 ~ 89.0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운 왕겨분말이 50.0중량% 이하인 경우에는 조성물의 안정성에 문제를 초래하며, 89.0중량% 이상 시는 기호성(Palatability)을 감소시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와 같이 다수의 원료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형성되는 본 발명의 백신 접종 부위 이상육 발생 감소를 위한 사료첨가제 조성물은 다음 실시예 및 실험 예에 의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님을 밝히는 바이다.
다수의 원료를 표 1과 같이 혼합하여 백신 접종 부위 이상육 발생 감소를 위한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제조한다.
성 분 1kg 중
브로멜라인 50g
아세트아미노펜 100g
아세트산아연 43g
유동파라핀 50g
구운 왕겨분말 757g
실시예 1의 백신 접종 부위 이상육 발생 감소를 위한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브로멜라인, 아세트아미노펜, 아세트산아연 및 구운 왕겨분말을 순서대로 각각 혼합기에 투입한 후 유동파라핀을 분사하면서 80rpm 속도로 50분간 혼합하여 백신 접종 부위 이상육 발생 감소를 위한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다수의 원료를 표 2와 같이 혼합하여 백신 접종 부위 이상육 발생 감소를 위한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제조한다.
성 분 1kg 중
아세트아미노펜 100g
아세트산아연 43g
유동파라핀 50g
구운 왕겨분말 757g
실시예 2의 백신 접종 부위 이상육 발생 감소를 위한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아세트아미노펜, 아세트산아연 및 구운 왕겨분말을 순서대로 각각 혼합기에 투입한 후 유동파라핀을 분사하면서 80rpm 속도로 50분간 혼합하여 백신 접종 부위 이상육 발생 감소를 위한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다수의 원료를 표 3과 같이 혼합하여 백신 접종 부위 이상육 발생 감소를 위한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제조한다.
성 분 1kg 중
브로멜라인 50g
아세트산아연 43g
유동파라핀 50g
구운 왕겨분말 757g
실시예 3의 백신 접종 부위 이상육 발생 감소를 위한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브로멜라인, 아세트산아연 및 구운 왕겨분말을 순서대로 각각 혼합기에 투입한 후 유동파라핀을 분사하면서 80rpm 속도로 50분간 혼합하여 백신 접종 부위 이상육 발생 감소를 위한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다수의 원료를 표 4와 같이 혼합하여 백신 접종 부위 이상육 발생 감소를 위한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제조한다.
성 분 1kg 중
브로멜라인 50g
아세트아미노펜 100g
유동파라핀 50g
구운 왕겨분말 757g
실시예 4의 백신 접종 부위 이상육 발생 감소를 위한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브로멜라인, 아세트아미노펜 및 구운 왕겨분말을 순서대로 각각 혼합기에 투입한 후 유동파라핀을 분사하면서 80rpm 속도로 50분간 혼합하여 백신 접종 부위 이상육 발생 감소를 위한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다수의 원료를 표 5와 같이 혼합하여 백신 접종 부위 이상육 발생 감소를 위한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제조한다.
성 분 1kg 중
브로멜라인 50g
아세트아미노펜 100g
아세트산아연 43g
구운 왕겨분말 757g
실시예 5의 백신 접종 부위 이상육 발생 감소를 위한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브로멜라인, 아세트아미노펜, 아세트산아연 및 구운 왕겨분말을 순서대로 각각 혼합기에 투입한 후 80rpm 속도로 50분간 혼합하여 백신 접종 부위 이상육 발생 감소를 위한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종 류 백신접종 부위 이상육 발생 감소를 위한 사료첨가제 조성물
실시 예 1 브로멜라인 + 아세트아미노펜 + 아세트산아연 + 구운 왕겨분말 + 유동파라핀
실시 예 2 아세트아미노펜 + 아세트산아연 + 구운 왕겨분말 + 유동파라핀
실시 예 3 브로멜라인 + 아세트산아연 + 구운 왕겨분말 + 유동파라핀
실시 예 4 브로멜라인 + 아세트아미노펜 + 구운 왕겨분말 + 유동파라핀
실시 예 5 브로멜라인 + 아세트아미노펜 + 아세트산아연 + 구운 왕겨분말
<실험예 1> 이상육 발생 감소효과 시험
1. 시험 방법
150마리의 자돈(다비 3원 교잡종)을 30마리씩 A, B, C, D, E 5개군으로 무작위 편성하여 7주령 및 9주령에 각각 구제역백신(메리알사 제품)을 경부근육에 2mL씩 접종하였다. 주사침은 19게이지로 5마리씩 위생적으로 사용하였다. A군에는 실시예 1 조성물을, B군에는 실시예 2 조성물을, C군에는 실시예 3 조성물을, D군에는 실시예 4 조성물을 각각 사료에 0.1% 비율로 첨가하여 7주령 백신 접종 4일 전부터 9주령 백신 접종 후 2주까지 총 32일간 급여하였고, E군은 무첨가 대조군으로 편성하였다. 모든 시험군 및 대조군은 동일한 조건에서 사육한 후 출하시 육가공장에서 개체별로 경부 근육(백신 접종 부위)에 이상육 발생 유무를 확인하였다.
2. 시험 결과
이상육 발생율은 실시예 1 급여구가 13.3%로서 가장 낮았으며, 무투여군인 대조군은 53.3%로서 가장 높았다. 실시예 2 급여군은 40.0%, 실시예 3 급여군은 26.7%, 실시예 4 급여군은 23.3%의 이상육 발생율을 보였다.
각 실시 예 조성물의 이상육 발생율은 다음의 표 7과 같다.
군편성 사료첨가제 조성물 시험마리수 이상육 발생 마리수 이상육 발생율
A 군 실시 예 1 급여군 30 두 4 두 13.3%
B 군 실시 예 2 급여군 30 두 12 두 40.0%
C 군 실시 예 3 급여군 30 두 8 두 26.7%
D 군 실시 예 4 급여군 30 두 7 두 23.3%
E 군 대조군 30 두 16 두 53.3%
<실험예 2> 안정성 시험
1. 시험 방법
각 실시예 조성물의 안정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조성물 100kg씩을 생산하여 20kg 지대에 5포씩 포장하여 실온에서 12개월간 보관 후 지대 상, 중, 하부위에서 각각 샘플을 채취하여 균일도의 유지상태 및 유효성분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2. 시험 결과
실시예 1 내지 4 조성물은 균일도의 유지상태가 양호하였으며, 각 샘플별 유효성분의 함량도 매우 안정하였으나, 실시예 5는 균일도가 불량하였다. 또한, 유효성분 함량도 실시예 1 내지 4에 비하여 크게 감소하여 안정성이 불량하였다.
각 실시예 조성물의 균일도 유지상태 및 유효성분 함량은 다음의 표 8과 같다.
종류 혼합도 유지상태 브로멜라인 함량 아세트아미노펜 함량 아세트산아연 함량
실시 예 1 양호 98.7% 99.6% 98.4%
실시 예 2 양호 - 97.5% 97.7%
실시 예 3 양호 95.9% - 99.1%
실시 예 4 양호 96.8% 99.3% -
실시 예 5 불량 79.7% 92.9% 89.2
<실험예 3> 분진 채취 시험
1. 시험 방법
각 실시예 조성물의 분진 발생량을 알아보기 위하여 안정성 시험이 완료된 각 조성물 80kg씩을 200kg 드럼믹서기에 투입한 후 상부 덮개를 개방하여 30rpm속도로 10분간 작동하면서 분진 채취기를 이용하여 분진 발생량을 측정하였다.
2. 시험 결과
실시예 1 내지 4 조성물의 분진 발생량은 매우 적었으나, 실시예 5 조성물의 분진 발생량은 29.7mg으로 실시예 1 조성물에 비하여 13.94배나 높았다.
각 실시예 조성물의 분진 발생량은 다음의 표 9와 같다.
종류 채취 전 여과지 무게 채취 후 여과지 무게 분진 채취량
실시 예 1 55.46mg 57.59mg 2.13mg
실시 예 2 55.04mg 59.50mg 4.46mg
실시 예 3 54.95mg 58.12mg 3.17mg
실시 예 4 55.46mg 60.41mg 4.95mg
실시 예 5 54.93mg 84.63mg 29.70mg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백신 접종 부위 이상육 발생 감소를 위한 사료첨가제 조성물은 종래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백신 접종 부위의 이상육 발생을 현저하게 감소시키고, 장기간 보관에도 효능이 감소하지 않으며, 분진 발생량을 감소시켜 동물이 섭취하는 사료에 첨가하여 자연스럽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상육 발생을 최소화하여 육가공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양축 농가의 소득이 지속될 수 있도록 하며, 백신 접종에 따른 기피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은 발명인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백신 접종 부위 이상육 발생 감소를 위한 사료첨가제 조성물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2)

  1. 브로멜라인 2.0~10.0중량%, 아세트아미노펜 5.0~20.0중량%, 아세트산아연 2.0~10.0중량%, 유동파라핀 2.0~10.0중량% 및 구운 왕겨분말 50.0~89.0중량%를 혼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접종 부위 이상육 발생 감소를 위한 사료첨가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멜라인, 아세트아미노펜, 아세트산아연 중 어느 1종을 포함한 2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접종 부위 이상육 발생 감소를 위한 사료첨가제 조성물.
KR1020150078056A 2015-06-02 2015-06-02 백신접종 부위 이상육 발생 감소를 위한 사료첨가제 조성물 KR101720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056A KR101720172B1 (ko) 2015-06-02 2015-06-02 백신접종 부위 이상육 발생 감소를 위한 사료첨가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056A KR101720172B1 (ko) 2015-06-02 2015-06-02 백신접종 부위 이상육 발생 감소를 위한 사료첨가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115A true KR20160142115A (ko) 2016-12-12
KR101720172B1 KR101720172B1 (ko) 2017-03-27

Family

ID=57574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8056A KR101720172B1 (ko) 2015-06-02 2015-06-02 백신접종 부위 이상육 발생 감소를 위한 사료첨가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01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7512A (ko) * 2017-09-07 2019-03-15 (주)이엘티사이언스 경구용 닭 와구모 구제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44410A1 (en) * 2000-02-23 2001-11-22 Daniel Gelber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the effects of diseases and maladies
KR20030023231A (ko) * 2001-09-12 2003-03-19 최형규 축산분뇨의 발효촉진 및 악취제거용 복합조성물
KR20040104169A (ko) * 2003-06-03 2004-12-10 주식회사 성원 축산 동물의 호흡기 질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20080031940A1 (en) * 2006-08-02 2008-02-07 Al Rodriguez Quercetin-containing composition, methods of making, and methods of using
KR100962236B1 (ko) 2008-04-24 2010-06-11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천연약용식물과 난황항체를 이용한 양돈용 사료첨가제 및그 제조방법
KR100962235B1 (ko) 2008-04-24 2010-06-11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천연약용식물을 이용한 양돈용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072826B1 (ko) 2010-04-13 2011-10-14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양돈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44410A1 (en) * 2000-02-23 2001-11-22 Daniel Gelber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the effects of diseases and maladies
KR20030023231A (ko) * 2001-09-12 2003-03-19 최형규 축산분뇨의 발효촉진 및 악취제거용 복합조성물
KR20040104169A (ko) * 2003-06-03 2004-12-10 주식회사 성원 축산 동물의 호흡기 질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20080031940A1 (en) * 2006-08-02 2008-02-07 Al Rodriguez Quercetin-containing composition, methods of making, and methods of using
KR100962236B1 (ko) 2008-04-24 2010-06-11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천연약용식물과 난황항체를 이용한 양돈용 사료첨가제 및그 제조방법
KR100962235B1 (ko) 2008-04-24 2010-06-11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천연약용식물을 이용한 양돈용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072826B1 (ko) 2010-04-13 2011-10-14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양돈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7512A (ko) * 2017-09-07 2019-03-15 (주)이엘티사이언스 경구용 닭 와구모 구제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0172B1 (ko) 201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57697C2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е композиции на основе эфирных масел, полученных из растений,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области медицины и ветеринарии
US9694041B2 (en) Milk yield and/or milk quality improving agent, perinatal disease preventive or therapeutic agent, and reproductivity improving agent for ruminant
CN102988363A (zh) 一种治疗家禽腺胃炎和坏死性肠炎的药物及其制备方法
TW201221066A (en) Lauric acid distillate for animal feed
KR101720172B1 (ko) 백신접종 부위 이상육 발생 감소를 위한 사료첨가제 조성물
CN104664168B (zh) 一种仔猪专用复合维生素微乳液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Ochiogu et al. Serum luteinising hormone, testosterone and total cholesterol levels, libido and testicular histomorphology of male West African Dwarf goats orally or subcutaneously treated with monosodium L-glutamate.
CN107279535B (zh) 一种用于新生仔猪驱虫的饲料添加剂及生产方法
WO2022241968A1 (zh) 一种防治球虫的植物精油及其用途
CN104740545B (zh) 一种提高优良母猪产仔率的中药
CN105685493A (zh) 一种预防猪无名高热的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7883533A (zh) 一种抗球虫病促生长的中药复方及其制备和应用
AU2016204291B2 (en) Agent for improving milk yield and/or milk quality of ruminants, preventive or therapeutic agent for perinatal disease, and agent for improving reproductive efficiency
JP2008283893A (ja) 家禽用コクシジウム感染抑制剤及びそれを用いたコクシジウム感染抑制方法
CN117881291A (zh) 提高饲料摄入量的方法
KR20210112145A (ko) 반추위 산도 유지를 위한 펠렛 형태의 장시간 체류형 완충제 조성물
CN111436541A (zh) 一种中草药成分的乳猪营养饲料
CN114073283A (zh) 毛梾油渣做为饲料添加剂在抗球虫病中的医用用途
CN102370092A (zh) 一种防治牛羊沙门氏菌病的饲料组合物
JP2004065068A (ja) 家畜の下痢の予防・治療剤及び家畜の下痢の予防・治療方法
JP2005021054A (ja) 家畜のストレス軽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