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1076A - 육각형의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수 처리용 나권형 역삼투막 여과 유닛 - Google Patents

육각형의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수 처리용 나권형 역삼투막 여과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1076A
KR20160141076A KR1020150074289A KR20150074289A KR20160141076A KR 20160141076 A KR20160141076 A KR 20160141076A KR 1020150074289 A KR1020150074289 A KR 1020150074289A KR 20150074289 A KR20150074289 A KR 20150074289A KR 20160141076 A KR20160141076 A KR 20160141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membrane
water
water treatment
filtr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4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화
박성일
Original Assignee
블루그린링크(주)
박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블루그린링크(주), 박성일 filed Critical 블루그린링크(주)
Priority to KR1020150074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1076A/ko
Publication of KR20160141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10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10Spiral-wound membran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20By influencing the flow
    • B01D2321/2008By influencing the flow statically
    • B01D2321/2016Static mixers; Turbulence genera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Nano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을 여과하는 멤브레인 및 상기 멤브레인에 적층되고, 물이 통과될 수 있도록 육각형의 스페이서셀들이 서로 연결되어 그물망을 형성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수 처리용 여과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 처리용 여과 유닛은 멤브레인 표면에 불순물이 쌓여 발생되는 농도 분극화 현상을 전체 면적에 균일하게 최소화하여 생물막 오염(biofilm pollution)을 비롯한 수처리시의 여과 효율 저하 문제를 개선하고, 오염도에 따른 투입 에너지 소모량을 줄어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며, 스페이서셀의 제조에 소요되는 원재료 양을 최소화하여 경제적이다.

Description

육각형의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수 처리용 나권형 역삼투막 여과 유닛{REVERSE OSMOSIS MEMBRANE UNIT FOR WATER TREATMENT COMPRISING THE SPACER GEOMETRY}
본 발명은 육각형의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수 처리용 나권형 역삼투막 여과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환경분야, 하수 처리 분야, 정수기의 필터 분야 등에서 이물질이 포함된 물로부터 순수한 물(水)을 분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수 처리용 나권형 역삼투막 여과 유닛 내부의 스페이서에 관한 것이다.
수(水) 처리 기술은 인류가 물을 음용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기술로서, 수 처리 기술의 핵심은 불순물을 제거하는 여과 유닛이며, 이는 분리 성능에 따라 정밀여과막(Microfiltration), 한외여과막(Ultrafiltration), 나노여과막(Nanofiltration), 역삼투막(Reverse Osmosis)으로 분류된다.
일반적으로 정밀여과막과 한외여과막의 경우 여과 유닛으로 평판 형태의 평판형 분리막 모듈(Plate & Frame Type Module)을 사용하고, 나노여과막과 역삼투막의 경우는 나권형 분리막 모듈(Spiral-Wound Module)을 사용한다.
여과 유닛은 멤브레인과 스페이서가 교대로 적층 되어 있는데, 멤브레인은 실질적으로 불순물을 거르는 역할을 하고, 이때 멤브레인의 표면에 지속적으로 불순물(용질) 쌓여 농도 분극화(Concentration Polarization)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멤브레인의 농도 분극화 현상은 멤브레인의 오염을 초래하고, 물을 흐름을 막아 여과 효율을 떨어뜨린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멤브레인 층 사이에 스페이서를 삽입한다. 스페이서는 그물 모양의 망 구조를 가진 형태로서, 멤브레인 사이에 통과하는 물에 난류(turbulence)를 일으켜 농도 분극화 현상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스페이서를 통하여 농도 분극화 현상을 줄이려는 연구가 진행되어 왔고, 최근에는 평판형 분리막 모듈 내 스페이서의 유체 역학적 형태에 따른 난류 형성과 그에 따른 농도 분극화 거동의 변화에 대하여 검토한 선행연구가 있었다. 그 연구결과에 따르면 사각형의 그물망 모양을 가진 스페이서의 배열 각도와 스페이서의 절단 단면의 형태에 따라 난류 발생과 그로 인한 농도 분극화 현상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한국공업화학회지 제22권 제6호 2011년 12월, 703-710쪽).
이러한 사각형의 그물망 모양을 가진 스페이서는 그 배열 각도와 절단 단면의 형태를 다양하게 변형한다고 하더라도 스페이서 전체에 걸쳐 고르게 난류가 형성되지는 않았다. 구체적으로, 물이 유입되는 입구 또는 출구 방향에 위치한 스페이서의 일부 면적에서는 난류가 높게 일어나는 반면, 스페이서의 중앙 부분에서는 난류 발생이 낮다. 스페이서의 중앙 부분은 난류 발생이 원활하지 않고 흐름 초입부터 후단까지 빠른 흐름이 생성되지 못하여 멤브레인 오염을 초래하게 되고, 이는 스페이서의 교체 주기를 줄이지 못한다. 또한, 사각형의 그물망 형태를 가진 스페이서는 공간 구성상 원재료 투입량이 많아 경제적 효율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평판형 분리막 모듈 내 스페이서 형태에 따른 농도 분극에 관한 수치해석(한국공업화학회지 제22권 제6호 20011년 12월, 703-710쪽)
본 발명은 유입되는 물에 난류 발생을 촉진하여 농도 분극화를 최소화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수 처리용 여과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멤브레인과 마주하는 스페이서의 전체 면적에 균일하게 난류 발생을 향상시켜 농도 분극화를 최소화하고, 원재료의 투입량이 적은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수 처리용 여과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 처리용 여과 유닛은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을 여과하는 멤브레인 및 상기 멤브레인에 적층되고, 물이 통과될 수 있도록 육각형의 스페이서 셀들이 서로 연결되어 그물망을 형성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한다.
상기 스페이서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 폴리아닐린(Polyaniline), 폴리피롤(Polypyrrol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티오펜(Polythiophene), 폴리설퍼니트리드(Polysulfur-nitride), 폴리비닐디플루오라이드(Polyvinyl-Difluoride),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을 재질로 할 수 있다.
상기 멤브레인은 폴리아미드(Polyimid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비닐리딘 플루오르(Polyvinylidene Fluoride), 폴리술폰(Polysulfone), 셀룰로스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알루미나(Alumina), 지르코니아(Zirconia), 스테인레스, 니켈, 팔라듐, 은, 금, 백금을 재질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육각형의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수 처리용 여과 유닛은 멤브레인과 스페이서의 전체 면적에 균일하게 난류 발생을 향상시키고, 농도 분극화를 최소화한다. 따라서, 멤브레인 오염을 저감하여 교체 주기를 줄일 수 있고 여과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기체 분리와는 달리 수처리 분야에서 생물막 오염(biofilm pollution)은 궁극적으로 수처리 효율을 낮추는 문제점으로 부각되고 있는데 본 발명의 육각형의 스페이서가 난류 강도를 증가시키고 흐름 초입부터 후단까지 내부 흐름을 빠르게 하여 농도 분극화를 최소화함에 따라 생물막 오염의 저감을 통하여 수처리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여과 공정적인 측면에서는 수 처리용 여과 유닛에 처리 대상인 물을 유입시키기 위해서는 펌프를 사용하는데, 오염도가 적은 멤브레인의 경우 펌프 압력을 높일 필요가 없으므로 에너지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육각형의 스페이서를 통하여 난류 강도가 증가하고 농도 분극이 감소하면 펌프의 에너지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아울러 생물막(biofilm)이 잘 생성되지 않음에 따라 주기적인 역세척 횟수를 줄이고 여과 주기를 늘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같은 표면적을 구성하는데 가장 적은 양의 재료로 공간을 구성할 수 있는 다각형인 육각형으로 스페이서를 구성함에 따라, 종래 사각형의 스페이서 보다 같은 표면적을 만드는데 투여되는 원재료의 양을 40%까지 절감할 수 있게 되어 경제적인 효율성이 높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 처리용 여과 유닛을 일부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페이서를 분리하여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 사각형의 스페이서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전산유체역학 데이터 이미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육각형 스페이서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전산유체역학 데이터 이미지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 처리용 여과 유닛을 일부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 하면, 본 발명의 수 처리용 여과 유닛(100)은 멤브레인(110), 스페이서(120), 커버 시트(130), 튜브(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멤브레인(110)은 불순물이 포함된 물로부터 순수한 물을 분리한다. 멤브레인(110)은 액체나 기체 상태의 용해되지 않는 입자를 분리하는 여과뿐만 아니라, 액체에 용해된 용존 물질이나 혼합기체의 분리까지도 가능한 것을 포함한다. 멤브레인(110)은 반투과 성질을 이용하여 어떤 물질에서 성질이 다른 물질을 분리 혹은 전달하는 것을 포함한다.
멤브레인(110)은 폴리아미드(Polyimid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비닐리딘 플루오르(Polyvinylidene Fluoride), 폴리술폰(Polysulfone), 셀룰로스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의 고분자막, 알루미나(Alumina), 지르코니아(Zirconia)의 세라믹막, 스테인리스, 니켈, 팔라듐, 은, 금, 백금의 금속막을 포함한다.
멤브레인(110)의 공경(Pore) 및 두께는 막의 성질에 따라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멤브레인(110)은 공경이 0.025 ~ 20μm이고 두께가 0.1 ~ 100μm인 정밀여과막, 공경이 0.01 ~ 0.001μm이고 두께가 0.01 ~ 50μm인 한외여과막, 공경이 0.005 ~ 0.001μm이고 두께가 0.005 ~ 0.01μm인 나노필터막, 공경이 0.001 ~ 0.0001μm이고 두께가 0.005 ~ 0.001μm인 역삼투막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멤브레인은 평면에 얇은 두께를 가진 부직포(Non-woven fabric)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일부가 규칙적으로 접힌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페이서만을 분리하여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스페이서(120)는 그물망과 같은 형태를 가지되, 물이 통과될 수 있도록 육각형의 면 내부에 홀이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육각형의 스페이서셀들이 서로 연결된 형태로 그물망을 형성한다.
이러한 형상의 스페이서(120)는 멤브레인(110)과 마주하여 적층되고, 멤브레인(110)의 표면에 지속되어 쌓이는 불순물에 난류 발생을 높여, 농도 분극화 현상을 최소화한다. 스페이서(120)와 멤브레인(110)은 복수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스페이서(120)와 멤브레인(110)은 교대로 적층될 수 있다.
스페이서(120)를 이루는 스페이서셀들은 내각이 모두 120˚로 균일한 정육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아울러 여섯 개의 내각을 일부 다르게 구성하여 육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를 절단한 단면의 형태는 원형, 타원형, 십자형, 사각형, 육각형일 수 있다.
스페이서(120)의 재질은 고분자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스페이서(120)의 재질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 폴리아닐린(Polyaniline), 폴리피롤(Polypyrrol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티오펜(Polythiophene), 폴리설퍼니트리드(Polysulfur-nitride), 폴리비닐디플루오라이드(Polyvinyl-Difluoride),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을 포함한다.
또한, 스페이서(120)는 상기 재질에 이종(異種)의 고분자 물질이 혼합되거나 바깥 표면이 코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이종의 고분자 물질은 아크릴섬유,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스티렌(ABS), 셀룰로스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플루오로폴리머(Fluoropolymer), 라텍스(Latex),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부틸렌 텔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terephthalat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를 포함한다. 스페이서(120)의 표면은 전도성(Conductivity) 금속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도성 금속물질은 리튬, 바륨, 칼슘, 나트륨, 마그네슘, 알루미늄, 아연, 철, 니켈, 주석, 백금, 금, 구리, 은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멤브레인(110)과 스페이서(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층으로 형성될 수 있고, 멤브레인(110)과 스페이서(120)는 교대로 적층될 수 있다. 멤브레인(110)과 스페이서(120)의 적층 방식은 두께에 맞추어 불규칙적으로 또는 규칙적으로 적층될 수 있으나, 외부로 유입되는 물의 흐름에 난류 발생을 효과적으로 일으키기 위해서는 멤브레인(110)과 스페이서(120)가 규칙적으로 교대하여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멤브레인(110)과 스페이서(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권형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이 통과하는 방향(Y)을 축으로 하여 롤 형상으로 감싸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커버 시트(130)는 교대로 적층된 멤브레인(110)과 스페이서(120)의 외면을 감싼다. 커버 시트(130)는 외부의 유체가 멤브레인(110)과 스페이서(120)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즉, 커버 시트(130)의 내측과 외측은 유체가 서로 통과가 되지 않는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멤브레인(110)과 스페이서(120)에 감압 효율을 향상시킨다.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은 멤브레인(110)과 스페이서(120)를 통해 여과된 후, 여과된 물은 튜브(140)에 유입된다. 튜브(140)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방향(Y)과 대응되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멤브레인(110)과 스페이서셀(120)과 마주하는 외면에는 복수의 천공(H)이 형성될 수 있다. 천공(H)은 외면에 적층된 멤브레인(110)과 스페이서(120)와 마주하는 위치에 홀이 형성된 것으로서, 멤브레인(110)과 스페이서(120)의 면적에 따라 천공(H)의 수와 직경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본 발명의 수 처리용 여과 유닛(100)은 이상에서 설명한 멤브레인(110), 스페이서(120), 커버 시트(130), 튜브(140) 이외에 필터에 사용될 수 있는 부속품들이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멤브레인(110) 및 스페이서(120)와 함께 여과되는 물의 흐름을 조절하는 투수층(Permeate Collection Sheet)이 추가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수 처리용 여과 유닛(100)은 산업용 수(水) 처리 장치, 생활하수 처리 장치와 같은 대규모의 장치에 도입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규모 가정용 정수기 필터에도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실시예의 제조>
스페이서는 정육각형의 그물망 형태로 그 단면은 원형 형태로 제작하였다. 스페이서 층의 두께는 0.3cm로 각각 제작하였고, 그 소재는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였다.
스페이서를 역삼투막인 멤브레인과 교대로 수차례 적층하였고, 이를 튜브의 외면에 나권형으로 촘촘하게 감았다. 마지막으로 커버 시트를 적층한 후, 접착함으로써 나권형의 수 처리용 여과 유닛의 실시예를 제조하였다.
<비교예의 제조>
비교예는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조하되, 스페이서가 정사각형의 그물망 형태를 갖도록 제작하였다.
<실험예-난류 측정>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스페이서를 통과할 때, 발생되는 난류 위치와 속도(Velocity)를 파악하기 위해, 전산유체역학 기법(Computational Fluid Dynamics) 소프트웨어인 CFX 15.0을 사용하였다.
도 3은 균일한 압력으로 물이 종래 사각형의 스페이서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비교예의 전산유체역학 데이터 이미지이고, 도 4는 비교예와 동일한 균일한 압력으로 물이 본 발명의 육각형의 스페이서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전산유체역학 데이터 이미지이다.
도 3 및 도 4의 데이터 이미지의 색깔은 유속이 빠른 위치에 따라, 붉은색, 노란색, 녹색, 파란색 순으로 표시된다. 본 실험예에 사용된 물은 25℃의 순수한 물에 용질로서 분자량이 67000인 단백질 성분의 BSA(Bovine Serum Albumin)을 혼합한 용액을 사용하였으며, 혼합용액의 확산계수는 6.3 X 10-11 m2/s 이다.
비교예의 사각형 스페이서셀의 경우, 스페이서셀의 골격이 존재하는 부분을 따라 노란색에 가까운 색이 나타났으며, 유속이 대체로 균일하나 입구 말단 일부분에서는 유속이 빠른 적색이 나타나는 것도 확인되었다.
실시예의 육각형 스페이서셀의 경우, 스페이서셀의 골격이 존재하는 부분을 따라, 모든 스페이서셀에 걸쳐 붉은색과 노란색이 규칙적인 형태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실시예의 육각형 형상을 가진 스페이서가 비교예의 사각형의 스페이서 보다 유속이 높고, 난류 발생 효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의 육각형 스페이서는 전체적인 위치에서 규칙적으로 균일한 난류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육각형의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수 처리용 여과 유닛은 멤브레인과 스페이서의 전체 면적에 균일하게 난류 발생을 향상시키고, 농도 분극화를 최소화시킴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육각형의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수 처리용 여과 유닛은 멤브레인 오염을 저감하여 교체 주기를 줄일 수 있고 수처리 분야에서 처리 효율을 저하시키는 생물막 오염(Biofilm pollution)의 문제점을 저감시켜 수처리 여과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여과 공정적인 측면에서는 수 처리용 여과 유닛에 처리 대상인 물을 유입시키기 위해서는 펌프를 사용하는데, 오염도가 적은 멤브레인의 경우 펌프 압력을 높일 필요가 없으므로 에너지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 외에도 본 발명에서는 같은 표면적을 구성하는데 가장 적은 양의 재료로 공간을 구성할 수 있는 다각형인 육각형으로 스페이서를 구성함에 따라, 종래 사각형의 스페이서 보다 같은 표면적을 만드는데 투여되는 원재료의 양을 40%까지 절감할 수 있게 되어 경제적인 효율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수 처리용 여과 유닛
110: 멤브레인 120: 스페이서
130: 커버 시트 140: 튜브
H: 천공

Claims (3)

  1.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을 여과하는 멤브레인; 및
    상기 멤브레인에 적층되고, 물이 통과될 수 있도록 육각형의 스페이서셀들이 서로 연결되어 그물망을 형성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수 처리용 여과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 폴리아닐린(Polyaniline), 폴리피롤(Polypyrrol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티오펜(Polythiophene), 폴리설퍼니트리드(Polysulfur-nitride), 폴리비닐디플루오라이드(Polyvinyl-Difluoride),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 처리용 여과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은 폴리아미드(Polyimid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비닐리딘 플루오르(Polyvinylidene Fluoride), 폴리술폰(Polysulfone), 셀룰로스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알루미나(Alumina), 지르코니아(Zirconia), 스테인레스, 니켈, 팔라듐, 은, 금, 백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 처리용 여과 유닛.
KR1020150074289A 2015-05-27 2015-05-27 육각형의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수 처리용 나권형 역삼투막 여과 유닛 KR201601410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4289A KR20160141076A (ko) 2015-05-27 2015-05-27 육각형의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수 처리용 나권형 역삼투막 여과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4289A KR20160141076A (ko) 2015-05-27 2015-05-27 육각형의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수 처리용 나권형 역삼투막 여과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1076A true KR20160141076A (ko) 2016-12-08

Family

ID=57577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4289A KR20160141076A (ko) 2015-05-27 2015-05-27 육각형의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수 처리용 나권형 역삼투막 여과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107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91752A (zh) * 2016-12-21 2019-08-30 高技术与膜工业公司 包含弯曲通道的切向流分离元件
KR20210045642A (ko) * 2019-10-17 2021-04-2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일체형 스페이서,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장치 및 스페이서의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평판형 분리막 모듈 내 스페이서 형태에 따른 농도 분극에 관한 수치해석(한국공업화학회지 제22권 제6호 20011년 12월, 703-710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91752A (zh) * 2016-12-21 2019-08-30 高技术与膜工业公司 包含弯曲通道的切向流分离元件
KR20210045642A (ko) * 2019-10-17 2021-04-2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일체형 스페이서,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장치 및 스페이서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57559B1 (en) Reverse osmosis filter module
JP6242887B2 (ja) 低エネルギーフィードスペーサを用いる膜ろ過
KR101513250B1 (ko) 중앙 배플과 이를 포함하는 가압식 중공사 분리막 모듈 및 이의 세정방법
US20150376034A1 (en) Multi-stage reverse osmosis membrane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2005329405A (ja) 多孔質複層中空糸の製造方法
CN108698858A (zh) 经由正向渗透处理废水的方法和系统
JP2006007224A (ja) 多孔質複層中空糸および該多孔質複層中空糸を備えた濾過モジュール
KR20160141076A (ko) 육각형의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수 처리용 나권형 역삼투막 여과 유닛
WO2016027302A1 (ja) 逆浸透膜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KR101465698B1 (ko) 전도성 스페이서를 포함한 나권형 수처리 필터
Zhang et al. Effects of tannic acid on membrane fouling and membrane cleaning in forward osmosis
US20140175003A1 (en) Filtration module including hollow fiber supports
KR101414944B1 (ko) 중공사막 모듈의 중공사막 다발 배치구조
CN115487681A (zh) 一种应用于卷式膜的静态混流隔网
Ghotbi et al. Numerical investigation of UF membrane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using double porosity approach
CN218653892U (zh) 过滤模组及净水装置
CN212651633U (zh) 一种短膜袋的管网式反渗透膜过滤装置
CN108479398B (zh) 一种高拉伸性能的过滤结构
JP2000262867A (ja) 逆浸透膜分離装置および水の分離方法
JP6149489B2 (ja) 逆浸透膜装置の運転方法
CN212440798U (zh) 一种高通量聚合膜结构
CN218653890U (zh) 过滤模组及净水装置
KR101361156B1 (ko) 적층형 디스크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여과기
CN108686513B (zh) 一种多功能柱型净化过滤装置
CN112156654A (zh) 一种开放式双通道反渗透膜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