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0375A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0375A
KR20160140375A KR1020160054921A KR20160054921A KR20160140375A KR 20160140375 A KR20160140375 A KR 20160140375A KR 1020160054921 A KR1020160054921 A KR 1020160054921A KR 20160054921 A KR20160054921 A KR 20160054921A KR 20160140375 A KR20160140375 A KR 20160140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device
user
service
gu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4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9381B1 (ko
Inventor
이계림
부를렉 로난
부를렉 이안
휴고 가엘
최송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6171580.0A priority Critical patent/EP3099081B1/en
Priority to PCT/KR2016/005604 priority patent/WO2016190691A1/en
Priority to US15/166,754 priority patent/US10448100B2/en
Priority to CN201680030475.2A priority patent/CN107743710B/zh
Publication of KR20160140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0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5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graph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4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 H04N21/815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comprising still images, e.g. texture, background image
    • H04N5/4403
    • H04N5/44543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표시부와; GUI(graphic user interface)의 실행을 지시하게 마련된 사용자입력부와;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제1영상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게 처리하며, 상기 제1영상의 표시 중 상기 사용자입력부로부터 상기 GUI의 실행 지시를 수신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윤곽에 대응하는 상기 GUI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게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방송 프로그램을 비롯한 다양한 영상컨텐츠의 영상 및 기 설정된 다양한 부가 서비스의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표시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영상컨텐츠로부터 부가 서비스로 전환될 때에 사용자의 시각적 피로도를 저감시키도록 화면의 표시 방식을 개선한 구조의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처리장치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영상데이터를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한다. 영상처리장치는 처리된 영상데이터를 자체 구비한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영상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패널을 구비한 타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영상으로 표시되도록 이 처리된 영상신호를 해당 디스플레이장치에 출력할 수 있다. 즉, 영상처리장치는 영상데이터를 처리 가능한 장치라면 영상을 표시 가능한 패널을 포함하는 경우 및 패널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모두 포함한다. 전자의 경우를 특히 디스플레이장치라고 지칭하며 그 예시로는 TV가 있고, 후자의 경우의 예시로는 셋탑박스(set-top box)가 있다.
TV, 태블릿, 모바일 폰 등으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장치는 기술의 발전과 사용자의 요구가 증대하는 경향에 따라서, 단순히 영상컨텐츠를 표시하는 것 뿐만 아니라, 그 외에 다양한 부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부가 서비스의 일례로서, 디스플레이장치는 게임의 실행, 웹 페이지의 표시, 설치 지역을 기반으로 한 시각 또는 날씨의 통지, 현재 날짜의 통지, 사진 등의 정지화상의 표시, 텍스트의 표시, 디스플레이장치에 설치된 하드웨어의 활성화 및 사용,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용환경 설정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영상 기반으로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부가 서비스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외부 네트워크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됨으로써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로서 제공되거나, 또는 외부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과 무관하게 클라이언트 기반 서비스로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영상컨텐츠가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상태에서 특정한 트리거 이벤트를 발생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가 영상컨텐츠로부터 부가 서비스로 진입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그런데, 디스플레이장치가 트리거 이벤트에 따라서 부가 서비스로 진입할 때에 영상컨텐츠의 영상으로부터 부가 서비스 영상으로 급격한 전환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급격한 전환은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피로감을 주게 되며, 영상컨텐츠의 영상의 움직임이 큰 경우와 전환되는 영상들이 풀스크린(full-screen)인 경우에 이러한 피로감은 더욱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영상컨텐츠로부터 부가 서비스로 전환할 때에 발생하는 시각적 피로감을 저감시키는 구조 또는 방법이 디스플레이장치에 적용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표시부와; GUI(graphic user interface)의 실행을 지시하게 마련된 사용자입력부와;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제1영상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게 처리하며, 상기 제1영상의 표시 중 상기 사용자입력부로부터 상기 GUI의 실행 지시를 수신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윤곽에 대응하는 상기 GUI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게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영상으로부터 취득한 기 설정된 영상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윤곽에 대응하는 제2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2영상을 상기 GUI의 배경 이미지로 표시되게 처리할 수 있다. 이로써, GUI의 표시 때문에 영상컨텐츠의 제1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동안에도 사용자에 대한 제1영상의 시각적 피드백이 끊이지 않게 함으로써, 제1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시청 경험이 단절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영상에서 GUI로 전환 시에 화면 내용이 급격히 바뀌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시각적 피로도를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영상의 재생에 따라서 변화하는 상기 영상정보를 실시간으로 취득하고, 상기 실시간으로 취득한 영상정보에 의해 상기 제2영상이 변화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로써, 제1영상이 표시되고 있지 않은 동안에도 제2영상의 변화를 통해 제1영상의 재생에 따른 시각적 피드백이 단절되지 않도록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최초 생성하는 상기 제2영상을 그레이스케일 기반으로 조정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상기 제2영상이 기 설정된 컬러 기반으로 변화하도록 상기 제2영상의 RGB 값을 점진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이로써, 제1영상을 특정 컬러 기반으로 구현된 제2영상으로 전환할 때에, 컬러가 급격히 변화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 피로도를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정보는 상기 제1영상의 일 영상프레임에 포함된 각 픽셀의 RGB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프레임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각 분할영역에 포함된 상기 픽셀들의 RGB 값에 대응하게 도출된 휘도값 및 투명도를 상기 각 분할영역에 인가하며, 상기 휘도값에 대응하여 상기 각 분할영역의 가로폭을 조정하고, 상기 각 분할영역에 대해 블러(blur) 필터링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제2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휘도값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기 분할영역의 가로폭의 감축 레벨을 상대적으로 크게 조정하고, 상기 휘도값이 상대적으로 낮은 상기 분할영역의 가로폭의 감축 레벨을 상대적으로 작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분할영역의 상하좌우 4방향 모서리 중에서 좌우 모서리에 대해 상기 블러 필터링을 인가할 수 있다. 이로써, 제1영상으로부터 제2영상으로 전환할 때에 사용자의 시각적 피로도가 덜하도록 부드러운 물결 효과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GUI는 복수의 기 설정된 서비스 각각에 대해 하나 이상을 포함하게 마련되며, 각각의 상기 서비스 별로 마련된 하나 이상의 상기 GUI는, 상호간에 상기 사용자입력부로부터 지시되는 상하좌우 4방향 이동에 대응하여 전환되도록 사전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입력부로부터의 상하방향 이동 지시에 응답하여 서로 상이한 상기 서비스의 상기 GUI 사이를 전환시키고, 상기 사용자입력부로부터의 좌우방향 이동 지시에 응답하여 동일한 상기 서비스 내의 상기 GUI 사이를 전환시킬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상하좌우 4방향의 직관적인 이동 지시만으로 서비스의 전환 및 영상의 표시가 수행될 수 있는 바, 보다 용이하게 부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제1영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1영상의 표시 중 사용자로부터 GUI의 실행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윤곽에 대응하는 상기 GUI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GUI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영상으로부터 취득한 기 설정된 영상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윤곽에 대응하는 제2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영상을 상기 GUI의 배경 이미지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GUI의 표시 때문에 영상컨텐츠의 제1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동안에도 사용자에 대한 제1영상의 시각적 피드백이 끊이지 않게 함으로써, 제1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시청 경험이 단절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영상에서 GUI로 전환 시에 화면 내용이 급격히 바뀌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시각적 피로도를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GUI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영상의 재생에 따라서 변화하는 상기 영상정보를 실시간으로 취득하고, 상기 실시간으로 취득한 영상정보에 의해 상기 제2영상이 변화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제1영상이 표시되고 있지 않은 동안에도 제2영상의 변화를 통해 제1영상의 재생에 따른 시각적 피드백이 단절되지 않도록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GUI를 표시하는 단계는, 최초 생성하는 상기 제2영상을 그레이스케일 기반으로 조정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상기 제2영상이 기 설정된 컬러 기반으로 변화하도록 상기 제2영상의 RGB 값을 점진적으로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제1영상을 특정 컬러 기반으로 구현된 제2영상으로 전환할 때에, 컬러가 급격히 변화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 피로도를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정보는 상기 제1영상의 일 영상프레임에 포함된 각 픽셀의 RGB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프레임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와; 상기 각 분할영역에 포함된 상기 픽셀들의 RGB 값에 대응하게 도출된 휘도값 및 투명도를 상기 각 분할영역에 인가하는 단계와; 상기 휘도값에 대응하여 상기 각 분할영역의 가로폭을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각 분할영역에 대해 블러 필터링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휘도값에 대응하여 상기 각 분할영역의 가로폭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휘도값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기 분할영역의 가로폭의 감축 레벨을 상대적으로 크게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휘도값이 상대적으로 낮은 상기 분할영역의 가로폭의 감축 레벨을 상대적으로 작게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분할영역에 대해 블러 필터링을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분할영역의 상하좌우 4방향 모서리 중에서 좌우 모서리에 대해 상기 블러 필터링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제1영상으로부터 제2영상으로 전환할 때에 사용자의 시각적 피로도가 덜하도록 부드러운 물결 효과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GUI는 복수의 기 설정된 서비스 각각에 대해 하나 이상을 포함하게 마련되며, 각각의 상기 서비스 별로 마련된 하나 이상의 상기 GUI는, 사용자로부터 지시되는 상하좌우 4방향 이동에 대응하여 상호간에 전환되도록 사전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로부터의 상하방향 이동 지시에 응답하여 서로 상이한 상기 서비스의 상기 GUI 사이를 전환시키는 단계와; 사용자로부터의 좌우방향 이동 지시에 응답하여 동일한 상기 서비스 내의 상기 GUI 사이를 전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상하좌우 4방향의 직관적인 이동 지시만으로 서비스의 전환 및 영상의 표시가 수행될 수 있는 바, 보다 용이하게 부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예시도,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서비스 전환 이벤트의 발생 시에 컨텐츠영상으로부터 서비스영상으로 전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도 3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신호처리부의 구성 블록도,
도 5 내지 도 13은 도 3의 디스플레이장치가 부가 서비스의 영상의 배경화면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14는 도 3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서비스영상을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5는 도 3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서비스영상의 배경화면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입력부의 예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입력부의 예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부가 서비스 영상의 컨텐츠 맵핑 원리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부가 서비스의 일 카테고리의 타이틀 화면에서 컨텐츠 화면으로 전환 표시되는 원리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부가 서비스의 두 카테고리 사이에서 서비스영상이 전환 표시되는 원리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부가 서비스의 서비스영상을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22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컨텐츠영상 위에 UI 메뉴가 오버레이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23은 도 22의 디스플레이장치가 UI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24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서비스영상이 컨텐츠영상에 PIP 형태로 표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25는 도 24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서비스영상을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26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표시하는 화면의 예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TV 아이콘의 실행에 응답하여 표시하는 UI의 예시도,
도 28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앱 아이콘의 실행에 응답하여 표시하는 UI의 예시도,
도 29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스피커 아이콘의 실행에 응답하여 표시하는 UI의 예시도,
도 30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스피커의 출력상태를 나타내는 UI를 표시하는 예시도,
도 31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포토 아이콘의 실행에 응답하여 표시하는 UI의 예시도,
도 32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이미지를 표시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33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시계 아이콘의 실행에 응답하여 표시하는 UI의 예시도,
도 34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배경화면 설정 아이콘의 실행에 응답하여 표시하는 UI의 예시도,
도 35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기능 조정을 위해 제공하는 UI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들의 설명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사항들을 참조하는 바,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만일, 실시예에서 제1구성요소, 제2구성요소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있다면, 이러한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바, 이들 구성요소는 용어에 의해 그 의미가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해당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적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구성들에 관해서만 설명하며, 그 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된 장치 또는 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서, 이와 같이 설명이 생략된 구성이 불필요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님을 밝힌다.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와 같은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함을 지정하기 위한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하거나 부가되는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TV로서 구현되지만, 태블릿, 모바일 폰, 멀티미디어 재생기, 전자액자, 디지털 광고판 등 영상을 표시 가능한 제반 전자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주로 한 장소에서 설치되는 형태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자유롭게 휴대하며 사용하는 모바일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은 디스플레이장치(100)와 같이 장치 자체적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별도의 모니터를 구비한 영상처리장치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컨텐츠의 데이터를 처리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영상컨텐츠는, 방송국의 송출장비(10)로부터 RF 방송신호로 전송되거나, 서버(20)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패킷으로 전송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로컬 접속된 멀티미디어 재생기(30)로부터 재생 및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영상컨텐츠는 디지털 데이터로서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저장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자가 어느 한 영상소스(10, 20, 30)로부터의 영상컨텐츠를 선택하도록 사용자입력부(130)를 가지는 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본체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된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가 사용자입력부(130)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자가 사용자입력부(130)를 통해 어느 한 영상소스(10, 20, 30)를 선택하면, 선택된 영상소스(10, 20, 3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컨텐츠를 처리하여 해당 영상컨텐츠의 영상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사용자입력부(130)를 통해 특정 방송채널을 선택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방송국의 송출장비(10)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해당 방송채널로 튜닝하여 방송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제공하는 기능은 영상소스(10, 20, 3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컨텐츠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것 뿐만 아니라, 그 외에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부가 서비스는 영상컨텐츠를 처리하여 영상으로 표시하는 기본적인 서비스 이외에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통칭하는 바, 특정한 서비스의 종류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부가 서비스는 네트워크 기반으로 제공되거나 또는 클라이언트 기반으로 제공될 수 있다.
부가 서비스의 예시로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장치 환경 또는 사용자 환경을 설정하는 서비스,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설치지역 또는 사용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날짜, 시간, 날씨 등을 통지하는 서비스,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가능하거나 또는 로컬 저장된 사진 및 그림 등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서비스, 웹 브라우저를 통해 특정한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서비스 등 다양한 종류 및 형태가 가능하다.
영상컨텐츠의 영상이 표시되는 동안, 사용자가 어느 한 부가 서비스의 영상을 표시하도록 사용자입력부(130)를 통해 지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컨텐츠 대신 부가 서비스의 영상이 표시되도록 동작한다.
도 2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서비스 전환 이벤트의 발생 시에 컨텐츠영상(210)으로부터 서비스영상(220)으로 전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컨텐츠의 데이터를 처리하여 컨텐츠영상(210)을 표시한다. 컨텐츠영상(210)이 표시되어 있을 때에,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부가 서비스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이벤트를 감지한다. 이러한 이벤트의 예를 들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100)가 현재 위치한 지역의 시간대를 통지하는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요청하는 지시를 입력하는 경우가 가능하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이벤트에 따라서, 컨텐츠영상(210)으로부터 서비스영상(220)으로 전환하여 표시한다. 서비스영상(220)은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시간대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컨텐츠영상(210) 및 서비스영상(220)은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영상을 표시 가능한 표시영역 전체에, 풀스크린으로 표시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표시되는 서비스영상(220)을 통해,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컨텐츠영상(210)으로부터 서비스영상(220)으로 전환될 때에,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컨텐츠영상(210) 및 서비스영상(220) 사이에 별도의 시각적인 효과 없이 곧바로 전환을 수행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경우에 사용자가 인지하게 되는 몇 가지 사항이 있다.
사용자는 컨텐츠영상(210)에서 서비스영상(220)으로 바로 전환될 때에, 화면의 급격한 전환 때문에 시각적인 피로감을 느낄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표시화면이 대형일 때, 컨텐츠영상(210) 및 서비스영상(220)이 풀스크린으로 표시될 때, 컨텐츠영상(210)의 모션량이 클 때에, 사용자가 느끼는 시각적 피로감은 증대된다.
또한, 서비스영상(220)이 표시되어 있는 동안에는 컨텐츠영상(210)이 표시되지 않으므로, 사용자 입장에서는 컨텐츠영상(210)의 시청 경험이 단절된다. 즉, 사용자 입장에서 컨텐츠영상(210)의 시각적 피드백이 단절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부가 서비스의 사용을 꺼리는 요인이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제1실시예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제2실시예가 제안되는 바, 제2실시예의 보다 구체적인 내용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성 블록도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앞선 제1실시예와 기본적인 구조가 실질적으로 동일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외부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110)와, 신호수신부(110)에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120)와, 사용자에 의한 입력 동작이 실행되는 사용자입력부(130)와, 데이터/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140)와, 표시부(120)에 영상이 표시되게 영상신호를 처리하고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처리부(150)를 포함한다.
신호수신부(110)는 다양한 영상소스(10, 20, 30, 도 1 참조)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한다. 신호수신부(110)는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기만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반대로 외부에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신호수신부(110)는 복수의 통신규격에 각기 대응하는 통신포트 또는 통신모듈의 집합체에 의해 구현되는 바, 지원 가능한 프로토콜 및 통신 접속 대상이 어느 하나의 종류 또는 형식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신호수신부(110)는 RF 신호를 수신하는 RFIC(미도시),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와이파이 통신모듈(미도시), 유선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이더넷 모듈(미도시), USB 메모리(미도시) 등의 로컬 접속을 위한 USB 포트(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20)는 신호처리부(150)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면, 표시부(120)는 신호처리부(150)로부터 출력되는 튜닝된 방송신호를 방송영상으로 표시한다. 표시부(12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120)는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 구조 이외에, 패널의 구현 방식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정 방식인 경우에, 표시부(120)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미도시)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기판(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입력부(13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입력에 따라서 기 설정된 다양한 제어 커맨드 또는 정보를 신호처리부(150)에 전달한다. 사용자입력부(130)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발생하는 다양한 이벤트를 정보화하여 신호처리부(150)에 전달한다. 사용자입력부(130)는 정보의 입력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 외측에 설치된 키/버튼,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본체와 이격된 별도의 리모트 컨트롤러, 표시부(120)에 일체화된 터치스크린, 그 외에 디스플레이장치(100)와 통신하게 마련된 입력장치 등이 가능하다.
저장부(140)는 신호처리부(150)의 처리 및 제어에 따라서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저장부(140)는 신호처리부(150)에 의해 억세스됨으로써, 데이터의 독취(read), 기록(write), 수정(edit), 삭제(delete), 갱신(update) 등이 수행된다. 저장부(14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시스템 전원의 제공 유무와 무관하게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도록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disc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다.
신호처리부(150)는 신호수신부(110)에 수신되는 데이터/신호에 대해 다양한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신호수신부(110)에 영상신호가 수신되면, 신호처리부(150)는 영상신호에 대해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이러한 프로세스가 수행된 방송신호를 표시부(120)에 출력함으로써 표시부(120)에 영상이 표시되게 한다.
신호처리부(150)가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입력되는 스트림을 영상, 음성, 부가데이터의 각 하위 스트림으로 구분하는 디멀티플렉싱(de-multiplexing), 영상스트림의 영상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decoding),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의 영상스트림을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방식으로 변환하는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영상스트림을 기 설정된 해상도로 조정하는 스케일링(scaling),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150)는 신호 또는 데이터의 종류, 특성에 따라서 다양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신호처리부(150)가 수행 가능한 프로세스를 영상처리 프로세스로 한정할 수 없으며, 또한 신호처리부(150)가 처리 가능한 데이터가 신호수신부(110)에 수신되는 것만으로 한정할 수 없다. 예를 들면, 신호처리부(15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사용자의 발화가 입력되면 기 설정된 음성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해당 발화를 처리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150)는 이러한 여러 기능을 통합시킨 SOC(system-on-chip)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러한 각 프로세스를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개별적인 칩셋(chip-set)들이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된 영상처리보드(미도시)로 구현된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하드웨어적 구성은, 디스플레이장치(100)가 구현되는 형태 및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지원하는 기능에 따라서 세부적으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방송신호를 특정 주파수로 튜닝하기 위한 구성은, 디스플레이장치(100)가 TV라면 필요로 하겠지만, 디스플레이장치(100)가 태블릿이라면 제외될 수도 있다.
이하, 디스플레이장치(100)가 TV인 경우의 신호처리부(150)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4는 신호처리부(150)의 구성 블록도이다. 본 도면의 신호처리부(150)는 제품에서 실제 구현되는 구성 중에서 기본적인 것만을 나타낸 것인 바, 실제 제품에서는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것 이외의 구성을 더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수신부(110)는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특정 주파수로 튜닝하는 튜닝부(tuner)(111)를 포함한다. 그리고, 신호처리부(150)는 튜닝부(111)로부터 전달되는 방송신호를 복수의 서브신호들로 구분 처리하여 출력하는 디먹스(deMUX)(151)와, 디먹스(151)로부터 출력되는 각 서브신호들을 디코딩하는 디코더(decoder)(152)와, 디코딩된 서브신호 중에서 영상신호를 스케일링하여 표시부(120)로 출력하는 스케일러(scaler)(153)와, 신호처리부(150)의 동작을 위한 연산 및 제어를 수행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54)와, 신호 또는 데이터가 신호처리부(150)에서 처리되는 동안에 임시로 저장되는 버퍼(buffer)(155)를 포함한다.
튜닝부(111)는 RF 안테나(미도시)에 방송신호가 수신되면, 지정된 특정 채널의 주파수로 방송신호를 튜닝하여 전송스트림(transport stream)으로 변환한다. 튜닝부(111)는 안테나(미도시)로부터 전달되는 고주파 반송파를 중간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고,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전송스트림을 생성한다. 이를 위해 튜닝부(111)는 A/D 컨버터(미도시)를 가질 수 있는데,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A/D 컨버터(미도시)는 튜닝부(111)가 아닌 디모듈레이터(demodulator)(미도시)에 포함될 수도 있다.
디먹스(151) 또는 디멀티플렉서(demultiplexer)는 기본적으로 멀티플렉서(미도시)와 반대의 역할을 수행한다. 즉, 디먹스(151)는 하나의 입력단을 복수의 출력단과 연결하여, 입력단에 입력되는 스트림을 선택신호에 따라서 각 출력단에 출력하는 분배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하나의 입력단에 대해 네 개의 출력단이 있다면, 디먹스(151)는 0 또는 1의 상태를 가지는 두 개의 선택신호의 상태를 조합함으로써 네 개의 출력단 각각을 선택할 수 있다.
디먹스(151)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적용되는 경우에, 튜닝부(111)로부터 전달되는 전송스트림을 영상스트림, 음성스트림, 부가데이터스트림의 서브신호들로 구분하여 각 출력단으로 출력한다.
디먹스(151)가 전송스트림을 서브신호들로 구분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적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디먹스(151)는 전송스트림 내의 패킷(packet)들에 각기 부여된 식별자인 PID(packet identifier)에 따라서 전송스트림을 각 서브신호들로 구분한다. 전송스트림 내의 채널 별 서브신호를 독립적으로 압축되어 패킷화되어 있으며, 어느 한 채널에 해당하는 패킷에는 동일한 PID가 부여됨으로써 다른 채널의 패킷과 구별되도록 마련된다. 디먹스(151)는 전송스트림에서 PID 별로 패킷들을 분류하여, 동일한 PID를 가지는 서브신호들을 추출한다.
디코더(152)는 디먹스(151)로부터 출력되는 서브신호들을 각기 디코딩한다. 본 도면에서는 디코더(152)가 하나인 것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디코더(152)는 각 서브신호를 개별적으로 디코딩하도록 복수 개의 구성이 마련될 수 있다. 즉, 디코더(152)는 영상신호를 디코딩하는 영상 디코더, 음성신호를 디코딩하는 음성 디코더, 부가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부가데이터 디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디코더(152)에 전달되는 서브신호는 특정 포맷에 의해 인코딩된 상태이므로, 디코더(152)는 서브신호에 대해 해당 인코딩 과정을 역으로 수행함으로써 해당 서브신호의 인코딩 이전 상태를 복원시키는 디코딩 처리를 수행한다. 따라서, 디먹스(151)로부터 출력되는 서브신호가 인코딩되어 있지 않은 무압축 상태라면, 해당 서브신호에 대해서는 디코더(152)에 의한 처리가 수행되지 않고 스케일러(153)로 전달되거나 또는 해당 서브신호가 디코더(152)를 바이패스하여 스케일러(153)로 전달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스케일러(153)는 디코더(152)에 의해 디코딩된 영상신호를 표시부(120)의 해상도 또는 별도 지정된 해상도에 맞게 스케일링한다. 이와 같이 스케일링된 영상신호는 표시부(120)에 영상으로 표시된다.
CPU(154)는 신호처리부(150) 내의 제반 구성들이 동작하기 위한 중심적인 연산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기본적으로 데이터의 해석 및 연산의 중심 역할을 수행한다. CPU(154)는 내부적으로, 처리할 명령어들이 저장되는 프로세서 레지스터(미도시)와, 비교, 판단, 연산을 담당하는 산술논리 연산 유닛(arithmetic logic unit, ALU)(미도시)와, 명령어의 해석과 올바른 실행을 위하여 CPU(154)를 내부적으로 제어하는 컨트롤 유닛(control unit)(미도시)과, 내부 버스(BUS)(미도시)와, 캐시(cache)(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CPU(154)는 디먹스(151), 디코더(152) 및 스케일러(153)와 같은 신호처리부(150)의 각 구성의 동작에 필요한 연산을 수행한다. 다만, 신호처리부(150)의 설계 방식에 따라서, 신호처리부(150)의 구성 중에는 CPU(154)의 데이터 연산 없이 동작하거나 또는 별도의 마이크로 컨트롤러(미도시)에 의해 동작하는 구성도 있을 수 있다.
버퍼(155)는 신호처리부(150)가 방송신호를 처리함에 있어서, 신호처리부(150)의 각 구성이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가 임시로 저장된다. 버퍼(155)는 신호처리과정에서 데이터가 임시로 로딩되는 위치이므로, 시스템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도 데이터의 유지가 필요한 저장부(140, 도 4 참조)와 달리,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다. 본 도면에서는 버퍼(155)의 입출력이 CPU(154)를 통해 수행되는 것으로 표현되었으나, 신호처리부(150)의 각 구성이 CPU(154)를 통하지 않고 버퍼(155)에 접속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 하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수신되는 영상컨텐츠를 처리하여 영상컨텐츠의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표시부(120)에 영상컨텐츠의 영상이 표시되어 있는 동안에 사용자입력부(130)로부터 부가 서비스의 실행 커맨드가 수신되면, 영상컨텐츠의 영상 대신 부가 서비스의 영상을 표시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부가 서비스의 영상의 배경화면을 생성하는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13은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부가 서비스의 영상의 배경화면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영상컨텐츠의 영상신호에 의해 표시되는 영상을 컨텐츠영상으로, 부가 서비스의 영상을 서비스영상으로 각기 지칭한다.
이하 실시예에 따라서 생성되는 배경화면을 포함한 서비스영상이 표시되는 동안에,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컨텐츠영상을 표시하지 않지만 계속 영상컨텐츠의 처리를 수행한다. 표시하지 않는 영상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이유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컨텐츠영상을 표시하는 동안에 부가 서비스의 실행을 지시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컨텐츠영상의 일 영상프레임(310)을 캡쳐(capture)한다. 이러한 처리과정은 기본적으로 CPU(154, 도 4 참조)에 의해 연산 및 실행되지만, 해당 처리과정을 실행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캡쳐된 영상프레임(310)을 비롯한 이하 처리과정에서의 데이터들은 버퍼(155, 도 4 참조)에 저장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컨텐츠영상으로부터 캡쳐한 영상프레임(310)을 M*N의 행렬 형태의 그리드(grid)(320)로 분할한다. 여기서, M 및 N은 기 설정된 수치로서 영상프레임(310)의 해상도에 따라서 다양한 수치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드(320)에 의해 영상프레임(310)은 복수 개의 사각형(330)으로 분할되며, 각 사각형(330)은 복수 개의 픽셀을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각 사각형(350)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 각각의 RGB 값을 추출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장치(100)는 각 영상프레임(340) 전체를 그레이스케일로 변환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앞서 각 사각형(350, 도 7 참조) 별로 추출 및 저장된 RGB 값에 기초하여 휘도값 및 투명도를 산출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산출된 휘도값 및 투명도를 해당 사각형(360)에 반영한다. 도 8은 본 실시예를 간결히 설명하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영역 중 일부 영역만을 나타낸 것임을 밝힌다.
여기서, 각 사각형(360)의 픽셀의 RGB 값에 기초하여 해당 사각형(360)의 휘도값 Br 및 투명도 α를 산출하는 수학식은 다음과 같다.
[수학식 1]
Br=sqrt(r2*0.241+g2*0.691+b2*0.068); (0<Br<255)
α=1-Br/255; (0<α<1)
위 수학식에서, 변수 r, g, b는 각각 사각형(360) 내의 픽셀들의 R 값의 평균값, G 값의 평균값, B 값의 평균값이다. sqrt는 주어진 수치값의 양의 제곱근을 반환하는 함수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각형(361, 362) 별로 산출된 휘도값에 대응하여 각 사각형(361, 362)의 폭을 조정한다. 이 때, 디스플레이장치(100)는 각 사각형(361, 362)의 높이는 조정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아래 수학식에 따라서 각 사각형(361, 362)의 폭 w을 결정한다.
[수학식 2]
w=1-Br/255
w의 최대값을 1이라고 하면, w의 범위는 0<w<1이 된다. 이러한 수학식에 따르면, 휘도값이 높을수록 사각형(361, 362)의 폭이 작아지며 휘도값이 낮을수록 사각형(361, 362)의 폭이 높아진다.
비교를 위해, 상대적으로 낮은 휘도값을 가진 제1사각형(361) 및 상대적으로 높은 휘도값을 가진 제2사각형(362)의 예를 들기로 한다. 폭의 조정 이전에는, 제1사각형(361)의 폭 w1과 제2사각형(362)의 폭 w2는 동일한 값을 나타낸다.
그런데, 위 수학식에 기초하여 제1사각형(361)의 폭이 w1에서 w1'으로 조정되고 제2사각형(362)의 폭이 w2에서 w2'로 조정되면, 폭 w1'는 폭 w2'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값을 나타낸다. 즉, 휘도값이 높을수록 폭의 감소량이 커지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조정 과정을 영상프레임(370) 내의 모든 사각형에 적용하면, 영상프레임(370)의 각 사각형은 동일한 높이를 가지되, 휘도값 별로 상이한 폭을 가지도록 나타난다. 구체적으로는, 휘도값이 상대적으로 낮은 사각형은 상대적으로 넒은 폭을 가지며, 휘도값이 상대적으로 높은 사각형은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가진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프레임(380) 내에서 각 사각형의 세로선에 대해서만 블러(blur) 처리를 적용한다. 사각형의 세로선에 대해서만 블러 처리를 한다는 것은, 사각형의 상하 에지에 대해서는 블러 처리를 하지 않고 사각형의 좌우 에지에 대해서만 블러 처리를 한다는 의미이다.
블러 처리, 즉 블러링(blurring)은 영상의 세밀한 부분을 제거하여 영상을 흐리게 하거나 또는 부드럽게 하는 필터링 기술이다. 여기서 말하는 영상의 세밀한 부분은 픽셀 단위로 볼 때 영상의 변화가 급격히 발생하는 부분을 말하는 바, 즉 영상 내의 오브젝트의 에지 부분을 의미한다. 영상을 주파수 차원으로 보면 오브젝트의 에지 부분은 고주파 성분으로 나타나는 바, 블러링은 이러한 고주파 성분을 필터링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영상 내에서 오브젝트의 에지 부분이 희미하게 된다. 즉, 블러링은 본질적으로 로우패스(low-pass) 필터링이다.
블러링의 방법은 실제 구현 단계에서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적용되는 블러링은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가우시안(Gaussian) 블러가 영상프레임(380)에 적용될 수 있다. 가우시안 블러는 가우시안 함수를 사용하는 영상 블러링 필터의 한 형태이다. 1차원에서 가우시안 함수는 다음 수학식으로 나타난다.
[수학식 3]
Figure pat00001
2차원에서 가우시안 함수는 다음 수학식으로 나타난다.
[수학식 4]
Figure pat00002
x는 수평축에서 원점으로부터 거리, y는 수직축에서 원점으로부터의 거리, σ는 가우시안 분포의 정규편차(standard deviation)이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서비스영상이 표시되는 동안에 이상과 같은 프로세스를 반복하는 바, 해당 프로세스를 백그라운드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영상에 대해 실시간으로 초당 기 설정된 회수만큼 수행한다. 즉,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재생되지만 표시되지 않는 컨텐츠영상에서 실시간으로 영상프레임을 캡쳐하고, 캡쳐된 영상프레임에 대해 상기와 같은 프로세스를 실행함으로써 서비스영상의 배경화면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초당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회수는 설계단계에서 다양한 수치가 적용될 수 있으나, 예를 들면 15fps, 즉 초당 15회가 가능하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프로세스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배경화면(390)이 전체적으로 기 설정된 컬러가 되도록 각 사각형의 RGB 값을 프로세스 단위로 순차적으로 변경한다.
이러한 변경 방법을 검은색의 사각형 하나를 주황색으로 바꾸는 과정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검은색 사각형의 RGB 값은 (0,0,0)이고, 주황색의 RGB 값은 (152,83,44)이므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최초 프로세스에서 RGB 값이 (0,0,0)인 사각형이 있으면, 해당 사각형의 RGB 값이 (152,83,44)가 될 때까지 프로세스를 진행할 때마다 RGB 값을 각각 1씩 목표값에 근접하도록 증가시킨다.
즉, 프로세스가 반복될 때마다 해당 사각형의 RGB 값은 (0,0,0) -> (1,1,1) -> (2,2,2) -> ... -> (44,44,44) -> ... -> (83,83,44) -> ...-> (152,83,44)와 같이 변경되게 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RGB 값 중에서 특정 값이 먼저 도달하면, 해당 값을 그대로 유지하고 나머지 값들을 프로세스 단위로 변경시킨다.
반면, RGB 값이 (255,255,255)인 사각형에 대해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해당 사각형의 RGB 값이 (152,83,44)가 될 때까지 프로세스를 진행할 때마다 RGB 값을 각각 1씩 목표값에 근접하도록 감소시킨다.
그리고,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프로세스가 반복될 때마다 해당 영상프레임에 반영하는 블러 수치를 최초 1부터 정해진 수치, 예를 들면 20까지 1씩 증가시킨다. 블러 수치가 높을수록 블러 효과가 크게 나타나는 바,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프로세스가 반복될 때마다 블러링의 가중치를 증가시킨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프레임 단위의 프로세스가 반복되면 영상프레임 내의 상하로 인접한 사각형들 사이의 경계가 사라지고 하나의 선처럼 나타나게 된다. 이에, 컨텐츠영상이 점점 추상적으로 변화하여 서비스영상의 특정 컬러 기반의 배경화면(400)이 되는 효과가 나타난다.
이러한 배경화면(400)은 서비스영상이 표시되는 동안에 컨텐츠영상의 재생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바, 내부의 선들이 흡사 물결치는 형태로 계속 변화하며 표시된다. 배경화면(400)의 실시간 변화는 컨텐츠영상의 영상프레임의 변화에 대응하므로, 서비스영상이 표시되고 컨텐츠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동안에도 사용자 입장에서는 컨텐츠영상의 시각적 피드백이 끊이지 않고 계속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컨텐츠영상으로부터 서비스영상으로의 전환, 서비스영상으로부터 다시 컨텐츠영상으로의 전환 시에, 영상의 급격한 변화로 인한 시각적 피로도가 절감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서비스영상을 표시하는 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도 14는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서비스영상을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1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컨텐츠 신호를 수신한다. S12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컨텐츠 신호를 처리하여 컨텐츠영상을 재생 및 표시한다.
S13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부가 서비스 실행 지시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한다.
부가 서비스 실행 지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S14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재생되는 컨텐츠영상으로부터 현재 시점의 영상프레임을 취득한다. S15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프레임으로부터 기 설정된 영상정보를 취득한다. S16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정보를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서 변형시켜 배경화면을 생성한다. S17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배경화면을 포함한 서비스영상을 표시한다.
S18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서비스영상이 표시되고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서비스영상이 표시되고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판단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S140 단계로 이행하여 배경화면의 생성 프로세스를 반복한다.
이에, 서비스영상의 배경화면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재생되는 컨텐츠영상의 영상정보에 대응하여 변화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서비스영상의 배경화면을 생성하는 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도 15는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서비스영상의 배경화면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S21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컨텐츠영상으로부터 영상프레임을 캡쳐한다.
S22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프레임을 기 설정된 수의 사각형을 포함하는 그리드로 분할한다.
S23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각 사각형에 포함된 픽셀의 RGB 값에 기초하여 휘도값 및 투명도를 산출한다.
S24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산출한 휘도값 및 투명도를 해당 사각형에 인가한다.
S25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휘도값에 대응하여 각 사각형의 가로폭을 조정한다.
S26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각 사각형의 세로선에 대해 블러링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이상의 프로세스를 서비스영상이 표시되는 동안에 실시간으로 수행한다. 프로세스가 반복됨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기 설정된 컬러의 RGB 값에 근접하도록 각 사각형의 RGB 값을 변경시키고 또한 블러 수치를 기 설정된 값까지 높인다. 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재생되는 컨텐츠영상의 영상정보에 대응하여 변화하는 서비스영상의 배경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컨텐츠영상이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를 포함한다고 하면, 서비스영상의 배경화면은 이러한 오브젝트의 영상정보 중에서 일부, 예를 들면 오브젝트의 윤곽에 대응하는 화면으로 표현된다.
이하, 앞선 실시예에 따라서 생성된 배경화면을 사용하는 부가 서비스의 구현 예시에 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사용자입력부(130, 도 3 참조)를 조작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표시된 커서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표시된 UI가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가 특정 방향을 가장 직관적으로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방법은, 상하좌우 4방향을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원점을 기준으로 커서가 어느 방향으로 진행한다고 할 때, 해당 방향은 2차원적으로 타나낼 수 있으므로 가로축 및 세로축 상에서 표현이 가능하다. 따라서, 가로축에 대응하는 좌우방향 및 세로축에 대응하는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하면, 사용자는 2차원 상의 이동방향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30, 도 4 참조)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상하좌우 4방향의 이동 커맨드를 지시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환경을 제공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입력부(410)의 예시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입력부(410)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리모트 컨트롤러로 구현된다. 사용자입력부(410)는 상하좌우 4방향에 각기 대응하게 마련된 상방향키(411), 하방향키(412), 좌방향키(413), 우방향키(414)를 포함한다. 각각의 방향키(411, 412, 413, 414)는 물리적 또는 기계적으로 상호간에 분리된 버튼으로서, 사용자가 어느 하나를 누르면 해당 버튼에 대응하는 방향으로의 이동 커맨드가 사용자입력부(410)로부터 생성된다.
사용자입력부(410)로부터 생성된 커맨드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입력부(420)의 예시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입력부(420)는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미도시) 등으로 터치 입력하게 마련된 터치패드(421)를 포함한다. 물론, 사용자는 터치패드(421)를 통해 2차원 상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드래그 입력할 수 있지만, 사용자가 가장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는 방향은 가장 직관적인 상하좌우 4방향이다.
또는, 사용자입력부(420)는 자체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센서(미도시)를 내장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자입력부(420)를 흔드는 방향에 대응하는 커맨드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상하좌우 4방향을 가장 직관적으로 인지하고 또한 입력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부가 서비스의 카테고리 별 맵핑은 상하좌우 4방향에 대응하도록 마련하는 것이 사용 편의성 측면에서 좋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부가 서비스 영상의 컨텐츠 맵핑 원리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가 서비스(500)는 예를 들면 현재 시간을 나타내는 CLOCK, 현재 지역 날씨를 나타내는 WEATHER, 현재 날짜를 나타내는 CALENDAR, 사진이나 그림 등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PHOTOS, 디스플레이장치에 설치된 스피커를 활성화시키도록 설정하는 SPEAKER 등의 카테고리를 포함한다. 이러한 카테고리는 본 발명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구현 예시 중 하나를 열거한 것인 바, 카테고리의 종류가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도면에 나타난 각각의 사각형들은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서비스영상들이다. 가로줄은 부가 서비스의 카테고리를 나타내며, 세로줄은 서비스영상의 기능을 나타낸다.
첫 번째 가로줄의 서비스영상(510, 515)은 부가 서비스의 최초 진입을 나타내는 개시 카테고리이며, 두 번째 가로줄의 서비스영상(520, 521, 525)은 CLOCK 카테고리, 세 번째 가로줄의 서비스영상(530, 531, 532, 535)은 WEATHER 카테고리, 네 번째 가로줄의 서비스영상(540, 541, 542, 545)은 CALENDAR 카테고리, 다섯 번째 가로줄의 서비스영상(550, 551)은 PHOTOS 카테고리, 여섯 번째 가로줄의 서비스영상(560, 561)은 SPEAKER 카테고리를 나타낸다.
Settings는 카테고리의 표시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화면(515, 525, 535, 545)이며, Title page는 카테고리의 서비스 진입을 나타내는 타이틀 화면(510, 520, 530, 540, 550, 560)이며, Content는 카테고리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실제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521, 531, 532, 541, 542, 551, 561)이다.
이들 서비스영상에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배경화면이 적용된다. 물론 모든 서비스영상이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된 배경화면을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카테고리 내에서 타이틀 화면(510, 520, 530, 540, 550, 560)과 같은 특정화면만이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된 배경화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각 카테고리의 배경화면은 카테고리 사이의 구별을 위해 서로 상이한 컬러를 기반으로 한다.
또한, 서비스영상 주위의 화살표는, 해당 서비스영상이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동안에 사용자가 상하좌우 4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을 지시했을 때에, 어느 서비스영상으로 전환 표시되는지를 나타낸다. 'Loop to First'는 해당 줄의 가장 처음에 있는 서비스영상으로 전환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Loop to Last'는 해당 줄의 가장 마지막에 있는 서비스영상으로 전환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Loop to Settings'는 해당 가로줄의 설정화면으로 전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부가 서비스에 최초 진입하면 개시 타이틀 화면(510)이 컨텐츠영상으로부터 전환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지시를 하면 부가 서비스 전체에 적용되는 설정을 조정하기 위한 설정화면(515)이 표시되는 반면, 사용자가 하측방향으로 이동지시를 하면 CLOCK 카테고리의 타이틀 화면(520)이 표시된다.
CLOCK 카테고리의 타이틀 화면(520)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우측방향으로 이동지시를 하면 현재 시간을 나타내는 CLOCK 카테고리의 컨텐츠 화면(521)이 표시되는 반면, 사용자가 하측방향으로 이동지시를 하면 WEATHER 카테고리의 타이틀 화면(530)이 표시된다.
디스플레이장치에 컨텐츠영상이 표시되는 동안에 부가 서비스의 실행 지시가 발생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부가 서비스의 개시화면(510)을 최초 표시하고, 이후 사용자의 방향 지시에 따라서 서비스영상을 전환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부가 서비스의 각 카테고리마다 실행 지시가 사전에 마련된 상태에서 어느 한 카테고리의 실행 지시가 발생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해당 카테고리의 타이틀 화면(520, 530, 540, 550, 560)을 최초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9는 부가 서비스의 일 카테고리의 타이틀 화면(530)에서 컨텐츠 화면(531a)으로 전환 표시되는 원리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서 WEATHER 카테고리의 타이틀 화면(530)으로 진입한 상태라면, 디스플레이장치는 두 가지 방법 중 하나에 따라서 날씨정보 영상(531a)으로 전환한다.
한 가지 방법은, 디스플레이장치가 타이틀 화면(530)이 표시된 상태에서 어떠한 사용자 입력이 없더라도, 타이틀 화면(530)의 표시 시점부터 기 설정된 시간 이후에 자동으로 날씨정보 영상(531a)을 표시하는 것이다. 기 설정된 시간은 다양한 수치가 적용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는 타이틀 화면(530)이 표시되고 1초 경과 이후에 날씨정보 영상(531a)을 표시한다.
다른 한 가지 방법은, 디스플레이장치가 사용자의 우측방향 지시에 따라서 날씨정보 영상(531a)을 표시하는 것이다. 앞선 도 18에서의 맵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타이틀 화면(530)의 우측방향에 대응하여 날씨정보 영상(531a)이 맵핑되어 있는 바, 디스플레이장치는 해당 맵에 기초하여 서비스영상을 전환 표시한다.
도 20은 부가 서비스의 두 카테고리 사이에서 서비스영상이 전환 표시되는 원리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의 상하방향 이동지시에 따라서, 부가 서비스 내에서 카테고리 사이를 전환 또는 이동한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의 좌우방향 이동지시에 따라서, 어느 한 카테고리 내에서 타이틀 화면(520), 해당 카테고리 서비스가 제공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화면(521a, 521b) 사이를 전환 또는 이동한다.
카테고리 사이의 전환은 해당 카테고리의 타이틀 화면(520, 530) 사이에서 가능하다. 정보화면 사이에서는 카테고리의 전환이 기본적으로 가능하지 않게 마련될 수 있는데, 이는 사용자가 도 18과 같은 서비스영상의 맵핑 구조를 인지하는 것이 곤란하므로 상하방향 이동지시에 따라서 어느 카테고리의 정보화면이 표시될지 사용자가 예측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다만, 카테고리 사이의 정보화면(521a, 521b, 531a, 531b) 사이의 관련성이 있는 경우에는, 정보화면(521a, 521b, 531a, 531b) 사이에서 카테고리의 전환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CLOCK 카테고리의 제1정보화면(521a)은 'City 1'이란 지역의 시간 정보를 포함하며, WEATHER 카테고리의 제1정보화면(531a)은 'City 1'이란 지역의 날씨 정보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제1정보화면(521a) 및 제1정보화면(531a)은 각기 상이한 카테고리의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지만, 각각의 정보는 모두 동일한 지역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두 화면(521a, 531a) 사이에 지역이라는 관련성이 있으므로, 디스플레이장치는 제1정보화면(521a)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하측방향 이동지시가 있으면 제1정보화면(531a)으로 전환한다.
동일하게, CLOCK 카테고리의 제2정보화면(521b)은 'City 2'이란 지역의 시간 정보를 포함하며, WEATHER 카테고리의 제2정보화면(531b)은 'City 2'이란 지역의 날씨 정보를 포함한다. 제2정보화면(521b) 및 제2정보화면(531b)은 동일한 지역인 'City 2'에 관한 것인 바, 디스플레이장치는 제2정보화면(521b)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하측방향 이동지시가 있으면 제2정보화면(531b)으로 전환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의 상하좌우 4방향 이동지시에 대응하여 부가 서비스의 서비스영상을 전환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부가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하, 제5실시예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가 부가 서비스의 서비스영상을 표시하는 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도 21은 디스플레이장치가 부가 서비스의 서비스영상을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S31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부가 서비스 진행 지시를 수신한다.
S32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이동방향에 대응하는 서비스영상의 맵을 호출한다. 이러한 맵은 앞선 도 18과 같이 상하좌우 4방향의 이동에 따른 서비스영상들 사이의 대응 관계를 규정해 놓은 데이터를 의미한다.
S33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츠영상의 영상정보에 기초하여 배경화면을 생성한다. 배경화면의 생성 방법은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S34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배경화면을 포함하는 서비스영상을 표시한다. 표시되는 서비스영상은 부가 서비스의 진입을 알리는 개시화면이거나, 특정한 서비스 카테고리의 타이틀 화면일 수 있다.
S35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상하좌우 4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의 이동지시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사용자로부터 상하좌우 4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의 이동지시가 수신되는지 판단하면, S36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서비스영상의 맵 상에서 해당 방향에 대응하는 서비스영상을 선택한다.
S37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선택한 서비스영상으로 전환한다.
이상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에게 부가 서비스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직관적인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컨텐츠영상 및 서비스영상이 모두 풀스크린으로 표시되므로, 서비스영상이 표시될 때에는 컨텐츠영상이 표시되지 않는다. 또한,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컨텐츠영상의 영상정보 기반으로 생성되는 영상은 서비스영상의 배경화면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보다 다양한 형태로 설계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600)에서 컨텐츠영상(660) 위에 UI 메뉴(670)가 오버레이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600)는 표시부(620)에 컨텐츠영상(660)을 표시한다. 표시부(620)에 컨텐츠영상(660)이 표시되는 동안에 사용자입력부(630)로부터 UI 메뉴(670)의 표시 지시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장치(600)는 컨텐츠영상(660) 상에 UI 메뉴(670)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한다.
여기서, 컨텐츠영상(660)이 표시부(620)에 풀스크린으로 표시되면, UI 메뉴(670)는 컨텐츠영상(660)의 일부 영역을 가리는 형태로 표시된다.
디스플레이장치(600)는 UI 메뉴(670)를 표시함에 있어서, 컨텐츠영상(660)의 영상정보를 취득하고 이를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서 변형시킴으로써 UI 메뉴(670)의 배경을 생성한다. 이러한 알고리즘은 앞선 실시예들을 응용할 수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컨텐츠영상(660)의 영상정보는, 컨텐츠영상(660) 전체 픽셀영역 중에서 UI 메뉴(670)에 의해 오버레이되는 픽셀영역의 영상정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영상(660)이 계속 표시되는 동안에 UI 메뉴(670)가 함께 표시되며, UI 메뉴(670)의 배경은 컨텐츠영상(660)의 변화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변화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UI 메뉴(670)에 의해 가려지는 컨텐츠영상(660)의 움직임을 UI 메뉴(670)의 배경의 실시간 변화를 통해 인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컨텐츠영상(660)의 영상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화면이 UI 메뉴(670)의 배경으로 사용되지만,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UI 메뉴의 아이콘, 선택 아이템 등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3은 제6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600)가 UI 메뉴(670)를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S41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600)는 컨텐츠영상을 표시한다.
S42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600)는 UI 메뉴의 표시 지시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한다.
UI 메뉴(670)의 표시 지시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하면, S43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600)는 UI 메뉴가 오버레이될 컨텐츠영상의 일 영역을 특정한다.
S44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600)는 특정된 영역의 영상정보에 기초하여 배경화면을 생성한다.
S45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600)는 생성된 배경화면을 포함하는 UI 메뉴를 컨텐츠영상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700)에서 서비스영상(770)이 컨텐츠영상(760)에 PIP 형태로 표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700)는 표시부(720)에 컨텐츠영상(760)이 표시되는 동안에 사용자입력부(730)로부터 부가 서비스 실행 지시가 수신되면, 해당 지시에 따라서 서비스영상(770)을 표시한다.
앞선 실시예의 경우에는 컨텐츠영상 및 서비스영상이 풀스크린으로 표시되므로,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츠영상에서 서비스영상으로 전환시킴으로써 서비스영상을 표시한다.
이에 비해,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장치(700)는 컨텐츠영상(760) 내에 서비스영상(770)을 PIP(picture-in-picture) 방식으로 표시한다. 즉, 디스플레이장치(700)는 컨텐츠영상(760)을 PIP의 메인영상으로 표시하는 한편, 서비스영상(770)을 PIP의 서브영상으로 표시한다.
이 때, 디스플레이장치(700)는 컨텐츠영상(760)의 전체영역 중에서 서비스영상(770)의 표시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을 판단하고, 판단한 영역의 영상정보를 취득한다. 디스플레이장치(700)는 취득한 영상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영상(770)의 배경화면을 생성한다.
도 25는 디스플레이장치(700)가 서비스영상을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S51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700)는 컨텐츠영상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컨텐츠영상은 풀스크린으로 표시된다.
S52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700)는 부가 서비스의 실행 지시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부가 서비스의 실행 지시가 수신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S53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700)는 PIP의 서브영상 위치에 대응하는 컨텐츠영상의 영상정보를 취득한다.
S54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700)는 취득한 영상정보에 기초하여 배경화면을 생성한다. 배경화면의 생성 방법은 앞선 실시예를 응용할 수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S55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700)는 배경화면을 포함하는 서비스영상을 PIP의 서브영상으로 표시하고, 컨텐츠영상을 PIP의 메인영상으로 표시한다.
이하,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배경화면을 포함하는 UI의 구현 예시에 관해 더 설명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표시하는 화면(800)의 예시도이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의 특정 버튼을 누르는 등의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시스템 전원이 턴온되면, UI의 메인화면(800)을 표시한다.
메인화면(800)은 전체적으로 컨텐츠영상의 재생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바, 내부의 선들이 흡사 물결치는 형태로 계속 변화하는 배경화면(810)을 포함한다. 본 배경화면(810)에 관해서는 앞선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배경화면(810)은 이하 설명하는 실시예에서의 메인화면(800) 이외의 UI들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메인화면(800)이 표시되어 있는 동안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로부터 어떠한 입력도 없다고 판단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메인화면(800)으로부터 배경화면(810)만 표시되도록 전환시킬 수 있다. 배경화면(810)만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이 수행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다시 메인화면(800)을 표시한다.
메인화면(800)은 기 설정된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하여, 각 서비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아이콘(820, 830, 840, 850, 860, 870)을 포함한다. 각 아이콘(820, 830, 840, 850, 860, 870)은 메인화면(800) 내에서 하측에 배치될 수 있으나, 아이콘(820, 830, 840, 850, 860, 870)의 위치가 특정 위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아이콘(820, 830, 840, 850, 860, 870)은 대응 서비스를 간단히 요약하는 타이틀의 라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TV 아이콘(820), 앱 아이콘(830), 스피커 아이콘(840), 포토 아이콘(850), 시계 아이콘(860), 그리고 배경화면 설정 아이콘(870)을 포함한다. TV 아이콘(820), 앱 아이콘(830), 스피커 아이콘(840), 포토 아이콘(850), 시계 아이콘(860)은 메인화면(800)의 우측에, 하측 에지를 따라서 일렬로 배치되는 것에 비해, 이들과 서비스의 성격이 상이한 배경화면 설정 아이콘(870)은 메인화면(800)의 좌측 및 하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몇 가지 서비스와, 각 서비스에 대응하는 아이콘(820, 830, 840, 850, 860, 870), 그리고 아이콘(820, 830, 840, 850, 860, 870)의 배치 형태에 관해 설명하지만, 이는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할 수 있는 메인화면(800)의 다양한 형태 중에서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이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구현 형태를 한가지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TV 아이콘(820), 앱 아이콘(830), 스피커 아이콘(840), 포토 아이콘(850), 시계 아이콘(860)은, 메인화면(800)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수직하게 연장된 복수의 라인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영역(821, 831, 841, 851, 861) 내에 각기 배치된다.
각 라인은 다양한 시각적 효과가 반영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라인은 특정 컬러를 포함하되, 메인화면(800)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배경화면(810)에 동화되는 효과가 반영될 수 있다.
각 영역(821, 831, 841, 851, 861)은 해당 영역(821, 831, 841, 851, 861) 내에 있는 아이콘(820, 830, 840, 850, 860)이 선택된 상태를 나타내도록 하이라이트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의 방향 키를 누름에 따라서, 현재 선택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하이라이트가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V 아이콘(820)이 선택된 상태일 때, TV 아이콘(820)은 다른 아이콘들에 비해 크기가 확대되어 표시되는 한편, TV 아이콘(820)을 포함하는 영역(821)이 하이라이트되어 표시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현재 TV 아이콘(820)이 선택된 상태임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하이라이트를 앱 아이콘(830)으로 이동시키면, TV 아이콘(820)은 원래의 크기로 복귀하며, TV 아이콘(820)을 포함하는 영역(821)의 하이라이트는 해제된다. 그리고, 앱 아이콘(830)의 크기가 확대되는 한편, 앱 아이콘(830)을 포함하는 영역(831)이 하이라이트되어 표시된다.
어느 한 아이콘(820, 830, 840, 850, 860, 870)이 선택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엔터 키를 누르는 등의 방법으로 아이콘(820, 830, 840, 850, 860, 870)의 실행을 지시할 수 있다. 아이콘(820, 830, 840, 850, 860, 870)의 실행 지시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장치는 해당 아이콘(820, 830, 840, 850, 860, 870)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실행한다.
이하, 각 아이콘(820, 830, 840, 850, 860, 870)들의 대응 서비스에 관해 간단히 설명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TV 아이콘(820)의 실행에 응답하여, 현재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다양한 영상소스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방송국의 송출장비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튜닝하여 특정 채널의 방송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또는 광학미디어 재생장치와 같은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앱 아이콘(830)의 실행에 응답하여, 현재 디스플레이장치에 설치된 여러 어플리케이션들의 아이템을 실행 가능하게 표시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스피커 아이콘(840)의 실행에 응답하여,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의 설정화면 또는 스피커의 음성출력상태를 나타내는 화면 등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포토 아이콘(850)의 실행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장치가 억세스할 수 있는 포토 이미지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시계 아이콘(860)의 실행에 응답하여, 현재 시간을 나타내는 시계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배경화면 설정 아이콘(870)의 실행에 응답하여, 현재 표시되고 있는 배경화면(810)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UI를 표시한다.
이하, 아이콘(820, 830, 840, 850, 860, 870)이 선택 및 실행될 때에, 디스플레이장치가 각 아이콘(820, 830, 840, 850, 860, 870) 별로 표시하는 UI의 예시들에 대해 설명한다. 메인화면(800)의 우측에 편중되어 표시되는 TV 아이콘(820), 앱 아이콘(830), 스피커 아이콘(840), 포토 아이콘(850), 시계 아이콘(860) 중 어느 하나가 실행되면, 해당 아이콘(820, 830, 840, 850, 860) 별로 마련된 서비스가 제공된다. 이러한 서비스는 여러 가지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한 가지 예를 들면 메인화면(800)이 아이콘(820, 830, 840, 850, 860) 별 서비스의 제공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또는, 각 아이콘(820, 830, 840, 850, 860)을 포함하는 영역(821, 831, 841, 851, 861)이 메인화면(800)의 좌측, 즉 X 방향으로 확장되고, 확장된 영역(821, 831, 841, 851, 861) 내에 대응 아이콘(820, 830, 840, 850, 860) 별 UI가 표시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TV 아이콘의 실행에 응답하여 표시하는 UI의 예시도이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가 TV 아이콘(820, 도 26 참조)을 선택 및 실행시키는 것에 응답하여, 현재 수신되는 있는 컨텐츠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컨텐츠영상(910)을 표시한다. 컨텐츠영상(910)은 디스플레이장치에 수신되는 영상신호 중에서 현재 처리하도록 선택된 영상신호가 무엇인지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츠영상(910)을 표시함에 있어서 영상신호의 설정상태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는 메인화면(800, 도 26 참조)이 표시되기 직전의 영상신호의 설정상태 정보를 취득한다. 설정상태 정보는 컨텐츠영상(910)을 표시하기 위한 처리 정보를 포함하는 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가 수신 가능한 여러 영상신호 중에서 디스플레이장치가 처리하는 영상신호의 식별 정보, 방송신호와 같이 영상신호가 복수의 영상채널을 포함하는 경우에 해당 채널의 식별 정보, 영상의 해상도나 휘도나 음성의 볼륨과 같은 기타 재생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이러한 설정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메인화면(800, 도 26 참조)으로부터 컨텐츠영상(910)으로 전환하여 표시한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앱 아이콘의 실행에 응답하여 표시하는 UI의 예시도이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앱 아이콘(830)의 실행에 응답하여, 메인화면(800) 내에서 앱 아이콘(830)을 포함하는 영역(831)을 확장시킨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는 메인화면(800) 내에서 우측에 편중되게 배치된 TV 아이콘(820) 및 앱 아이콘(830)을 메인화면(800) 내에서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스피커 아이콘(840), 포토 아이콘, 시계 아이콘(860)의 위치는 유지시키는 형태로 영역(831)을 확장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확장된 영역(831) 내에, 현재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사용 가능하게 저장 또는 설치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아이콘(832)을 배치시켜 표시한다. 각 실행 아이콘(832)은 로고와 같이 사용자가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썸네일 이미지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타이틀 정보 또는 간단한 설명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어느 한 실행 아이콘(832)을 선택 및 실행시키는 것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장치는 해당 실행 아이콘(832)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여기서, 디스플레이장치는 복수의 실행 아이콘(832) 중에서 현재 선택된 상태의 실행 아이콘(832)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해당 실행 아이콘(832)을 하이라이트시키거나 또는 해당 실행 아이콘(832)의 크기를 타 실행 아이콘(832)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확장된 영역(831) 내에 실행 아이콘(832)과 함께, 앱 추가 아이콘(833)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앱 추가 아이콘(833)을 실행시키는 것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추가시키기 위한 UI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추가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아이콘(832)을 확장된 영역(831) 내에 추가하여 표시한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스피커 아이콘의 실행에 응답하여 표시하는 UI의 예시도이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스피커 아이콘(840)의 실행에 응답하여, 스피커 아이콘(840)을 포함하는 영역(841)을 확장시킨다. 영역(841)의 확장 형태는 앞선 앱 아이콘(830)의 경우를 응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장치가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외부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음성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장치이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장치가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확장된 영역(841) 상에 외부장치의 접속을 사용자에게 요청하는 메시지(842)를 표시한다.
메시지(842)가 표시되는 동안에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장치가 접속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외부장치가 접속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장치로부터 음성데이터를 수신 및 처리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음성데이터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동안, 음성데이터의 출력상태를 나타내는 UI를 표시한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스피커의 출력상태를 나타내는 UI를 표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스피커가 음성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안에 음성데이터의 출력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UI(920)를 표시한다. UI(920)에서의 출력상태 정보는, 예를 들면 음성데이터의 주파수 별 상태를 나타내는 이퀄라이저 비쥬얼라이제이션(921), 음성데이터의 타이틀 정보(922), 작가, 연주자 또는 가수 정보(923), 현재 재생시점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가 실시간으로 이동하게 마련된 타임 바(924) 등을 포함한다. UI(920)는 이 외에도 여러 가지의 음성데이터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데이터가 재생되는 동안에, UI(920)의 이퀄라이저 비쥬얼라이제이션(921) 및 타임 바(924)의 인디케이터는 재생상태에 따라서 실시간으로 변화한다. 만일 음성데이터의 재생이 일시적으로 중지되면, UI(920)의 이퀄라이저 비쥬얼라이제이션(921) 및 타임 바(924)의 인디케이터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는 성데이터의 재생이 일시적으로 중지되면, 중지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UI(920) 상에 추가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포토 아이콘의 실행에 응답하여 표시하는 UI의 예시도이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포토 아이콘(850)의 실행에 응답하여, 포토 아이콘(850)을 포함하는 영역(851)을 확장시킨다. 영역(851)의 확장 형태는 앞선 앱 아이콘(830)의 경우를 응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장치 또는 외부 메모리가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외부장치 또는 외부 메모리는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되기 위한 이미지들이 저장되어 있는 장치이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이미지들이 저장된 외부 메모리가 접속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확장된 영역(851) 내에 이미지가 저장된 외부 메모리를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시키도록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메시지(852)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메시지(852)가 표시되는 동안에 외부 메모리가 접속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외부 메모리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한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UI를 표시한다.
만일, 디스플레이장치는 접속된 외부 메모리에 이미지가 없다고 판단하면, 확장된 영역(851) 내에 외부 메모리에 이미지가 없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의 유무의 판단은, 디스플레이장치가 표시 가능한 이미지 포맷의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에 따라서 수행될 수 있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이미지를 표시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 메모리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931, 932, 933)들을 버퍼링한다. 여기서, 버퍼링되는 이미지(931, 932, 933)의 개수 또는 데이터량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장치 환경 또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가 버퍼링한 이미지(931, 932, 933)들을 표시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 형태가 가능한 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는 이미지(931, 932, 933)를 슬라이드쇼(slide-show)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슬라이드쇼 UI(930)를 표시하고, 각 이미지(931, 932, 933)를 기 설정된 속도로 UI(930) 내에서 이동시킨다. 슬라이드쇼 방식에 따르면 사용자가 표시되는 이미지(931, 932, 933)를 전환시키는 별도의 입력 없이, 화면 상에서 복수의 이미지(931, 932, 933)를 자동으로 스크롤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는 복수의 이미지(931, 932, 933)를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복수의 이미지(931, 932, 933)를 슬라이드시켜 표시함에 있어서, 중지 없이 균일한 속도로 이미지(931, 932, 933)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장치는 어느 이미지(932)가 중앙으로 이동하면, 해당 이미지(932)가 중앙에 위치하는 시점에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이미지(931, 932, 933)의 이동을 정지시키고, 해당 시간이 경과하면 다시 이미지(931, 932, 933)를 이동시킨다. 이미지(931, 932, 933)가 중앙에 위치하는 시점에서 소정 시간동안 이미지(931, 932, 933)의 이동이 정지하므로, 사용자는 용이하게 이미지(931, 932, 933)를 볼 수 있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시계 아이콘의 실행에 응답하여 표시하는 UI의 예시도이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시계 아이콘(860, 도 26 참조)의 실행에 응답하여, 시간을 나타내는 UI(940)를 표시한다. UI(940)는 현재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면 되는 바, 아날로그 시계나 디지털 시계 등 다양한 형태의 시계를 나타낼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가 현재 시간을 정상적으로 판단하여 UI(940)를 표시한다는 점을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UI(940)의 적어도 일부를 플릭커(flicker)시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장치는 시간을 나타내는 숫자 및 분을 나타내는 숫자 사이의 기호 ":"를 초 단위로 플릭커시켜 표시한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배경화면 설정 아이콘의 실행에 응답하여 표시하는 UI의 예시도이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배경화면 설정 아이콘(870, 도 26 참조)의 실행에 응답하여, 배경화면의 설정을 변경하는 옵션을 제공하는 UI(950)를 표시한다. UI(950)는 Color, Grid, Auto Start의 세 가지 항목을 변경할 수 있게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UI(950)에서 변경할 수 있는 옵션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사상을 실현하는 실제 제품의 구현 형태를 한정하지 않는다.
Color 항목은 컨텐츠영상의 실루엣을 나타내는 커튼 효과의 배경화면의 메인 컬러를 지정할 수 있게 제공된다. Color 항목은 디폴트 값 이외에, 적색, 녹색, 청색, 회색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마련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Color 항목에서 지정된 컬러에 기초하여 UI에서의 배경화면을 표시한다.
Grid 항목은 배경화면의 생성 시에 화면을 분할하는 그리드의 크기를 지정할 수 있게 마련된다.
Auto Start 항목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시스템 전원이 턴온될 때에 표시되는 초기화면을 메인화면(800, 도 26 참조)으로 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Auto Start 항목이 On으로 설정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메인화면을 초기화면으로 설정한다. 반면, Auto Start 항목이 Off로 설정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메인화면을 초기화면으로 설정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시스템 전원이 턴온되면 컨텐츠영상을 최초로 표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커튼 효과가 적용된 배경화면을 가지는 여러 가지 형태의 UI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디스플레이장치가 디스플레이장치의 기능을 조정하기 위해 제공하는 UI의 예시에 관해 설명한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기능 조정을 위해 제공하는 UI의 예시도이다.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 예를 들면 리모트 컨트롤러의 버튼 입력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여러 기능을 조정하도록 제공하는 UI(960)를 컨텐츠영상(970) 위에 표시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UI(960)를 컨텐츠영상(970) 위에 오버레이되도록 표시함에 있어서, 어느 위치에 표시하는지에 관해서는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장치는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영상(970)의 우측으로부터 UI(960)를 슬라이드시켜 표시할 수 있고, 또는 컨텐츠영상(970)의 좌측, 상측, 하측 등으로부터 UI(960)를 슬라이드시킬 수도 있다.
UI(960)는 소정 값의 투명도가 적용됨으로써, UI(960)를 통해 UI(960) 뒤쪽의 컨텐츠영상(970)이 보일 수 있게 마련된다. 여기서, UI(960)는 제1영역(961) 및 제2영역(962)으로 구분되며, 제1영역(961) 및 제2영역(962) 각각의 투명도는 서로 상이하게 마련됨으로써 상호 구별이 용이하게 한다.
제1영역(961) 상에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변경 가능한 기능 항목들이 선택 가능하게 배치되며, 제2영역(962) 상에는 제1영역(961)의 복수의 항목 중 선택된 특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이 배치된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는 제1영역(961) 상에, 영상모드를 선택하기 위한Picture Mode, 음성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Sound Mode, 자동종료시간을 선택하기 위한 Sleep Timer 등의 항목들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의 방향버튼을 누름으로써, 커서가 제1영역(961) 상의 각 항목들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제2영역(962) 상에, 현재 선택된 제1영역(961) 상의 특정 항목에 대해 마련된 복수의 설정값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제1영역(961) 상의 항목 사이를 이동함에 따라서 선택상태의 항목이 변화하며, 항목의 변화에 대응하여 제2영역(962) 상에 표시되는 설정값의 내용도 변화한다.
예를 들어 제1영역(961) 상의 항목 중에서 Picture Mode의 항목을 선택되었을 때에, 디스플레이장치는 제2영역(962) 상에 Picture Mode의 설정값인 Standard, Dynamic, Movie, Natural 등을 표시한다. 이들 설정값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 및 결정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결정된 선택값을 반영하여 기능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 단말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저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600, 700 : 디스플레이장치
110 : 신호수신부
111 : 튜닝부
120, 620, 720 : 표시부
130, 410, 420, 630, 730 : 사용자입력부
140 : 저장부
150 : 신호처리부
151 : 디먹스
152 : 디코더
153 : 스케일러
154 : CPU
155 : 버퍼

Claims (20)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표시부와;
    GUI(graphic user interface)의 실행을 지시하게 마련된 사용자입력부와;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제1영상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게 처리하며, 상기 제1영상의 표시 중 상기 사용자입력부로부터 상기 GUI의 실행 지시를 수신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윤곽에 대응하는 상기 GUI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게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영상으로부터 취득한 기 설정된 영상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윤곽에 대응하는 제2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2영상을 상기 GUI의 배경 이미지로 표시되게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영상의 재생에 따라서 변화하는 상기 영상정보를 실시간으로 취득하고, 상기 실시간으로 취득한 영상정보에 의해 상기 제2영상이 변화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최초 생성하는 상기 제2영상을 그레이스케일 기반으로 조정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상기 제2영상이 기 설정된 컬러 기반으로 변화하도록 상기 제2영상의 RGB 값을 점진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정보는 상기 제1영상의 일 영상프레임에 포함된 각 픽셀의 RGB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프레임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각 분할영역에 포함된 상기 픽셀들의 RGB 값에 대응하게 도출된 휘도값 및 투명도를 상기 각 분할영역에 인가하며, 상기 휘도값에 대응하여 상기 각 분할영역의 가로폭을 조정하고, 상기 각 분할영역에 대해 블러(blur) 필터링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제2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휘도값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기 분할영역의 가로폭의 감축 레벨을 상대적으로 크게 조정하고, 상기 휘도값이 상대적으로 낮은 상기 분할영역의 가로폭의 감축 레벨을 상대적으로 작게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분할영역의 상하좌우 4방향 모서리 중에서 좌우 모서리에 대해 상기 블러 필터링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UI는 복수의 기 설정된 서비스 각각에 대해 하나 이상을 포함하게 마련되며,
    각각의 상기 서비스 별로 마련된 하나 이상의 상기 GUI는, 상호간에 상기 사용자입력부로부터 지시되는 상하좌우 4방향 이동에 대응하여 전환되도록 사전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입력부로부터의 상하방향 이동 지시에 응답하여 서로 상이한 상기 서비스의 상기 GUI 사이를 전환시키고, 상기 사용자입력부로부터의 좌우방향 이동 지시에 응답하여 동일한 상기 서비스 내의 상기 GUI 사이를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제1영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1영상의 표시 중 사용자로부터 GUI의 실행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윤곽에 대응하는 상기 GUI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GUI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영상으로부터 취득한 기 설정된 영상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윤곽에 대응하는 제2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영상을 상기 GUI의 배경 이미지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GUI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영상의 재생에 따라서 변화하는 상기 영상정보를 실시간으로 취득하고, 상기 실시간으로 취득한 영상정보에 의해 상기 제2영상이 변화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GUI를 표시하는 단계는,
    최초 생성하는 상기 제2영상을 그레이스케일 기반으로 조정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상기 제2영상이 기 설정된 컬러 기반으로 변화하도록 상기 제2영상의 RGB 값을 점진적으로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정보는 상기 제1영상의 일 영상프레임에 포함된 각 픽셀의 RGB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프레임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와;
    상기 각 분할영역에 포함된 상기 픽셀들의 RGB 값에 대응하게 도출된 휘도값 및 투명도를 상기 각 분할영역에 인가하는 단계와;
    상기 휘도값에 대응하여 상기 각 분할영역의 가로폭을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각 분할영역에 대해 블러 필터링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값에 대응하여 상기 각 분할영역의 가로폭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휘도값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기 분할영역의 가로폭의 감축 레벨을 상대적으로 크게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휘도값이 상대적으로 낮은 상기 분할영역의 가로폭의 감축 레벨을 상대적으로 작게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각 분할영역에 대해 블러 필터링을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분할영역의 상하좌우 4방향 모서리 중에서 좌우 모서리에 대해 상기 블러 필터링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GUI는 복수의 기 설정된 서비스 각각에 대해 하나 이상을 포함하게 마련되며,
    각각의 상기 서비스 별로 마련된 하나 이상의 상기 GUI는, 사용자로부터 지시되는 상하좌우 4방향 이동에 대응하여 상호간에 전환되도록 사전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상하방향 이동 지시에 응답하여 서로 상이한 상기 서비스의 상기 GUI 사이를 전환시키는 단계와;
    사용자로부터의 좌우방향 이동 지시에 응답하여 동일한 상기 서비스 내의 상기 GUI 사이를 전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60054921A 2015-05-28 2016-05-03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799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71580.0A EP3099081B1 (en) 2015-05-28 2016-05-26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CT/KR2016/005604 WO2016190691A1 (en) 2015-05-28 2016-05-27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5/166,754 US10448100B2 (en) 2015-05-28 2016-05-27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680030475.2A CN107743710B (zh) 2015-05-28 2016-05-27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4965 2015-05-28
KR20150074965 2015-05-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375A true KR20160140375A (ko) 2016-12-07
KR101799381B1 KR101799381B1 (ko) 2017-11-22

Family

ID=57573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4921A KR101799381B1 (ko) 2015-05-28 2016-05-03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99381B1 (ko)
CN (1) CN10774371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8619A1 (ko) * 2017-11-14 2019-05-23 삼성전자(주)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기록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64954A (zh) * 2018-07-28 2019-01-08 北京旺马科技有限公司 应用选择方法、系统、车载终端、手控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09734A1 (en) * 1997-10-10 2002-08-15 Satoshi Umezu GUI processing system for performing an operation of an application which controls testing equipment
KR101674682B1 (ko) * 2009-11-17 2016-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tv의 메뉴 제공 방법
KR20110060650A (ko) * 2009-11-30 2011-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에 접속가능한 tv의 동작 모드 전환 방법
JP2012215852A (ja) * 2011-03-25 2012-11-08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画像処理方法、表示装置
CN102186110B (zh) * 2011-05-11 2012-08-22 深圳市茁壮网络股份有限公司 一种图片的处理方法及机顶盒
CN102215428B (zh) * 2011-06-23 2012-12-26 深圳市茁壮网络股份有限公司 一种图片的处理方法及机顶盒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8619A1 (ko) * 2017-11-14 2019-05-23 삼성전자(주)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기록매체
US11234042B2 (en) 2017-11-14 2022-01-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therefor and recording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743710B (zh) 2020-09-25
CN107743710A (zh) 2018-02-27
KR101799381B1 (ko) 2017-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99081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783245B2 (ja) カスタマイズされたフォーマットに従ってビデオストリームを表示する方法
CN109618206A (zh) 呈现用户界面的方法和显示设备
CN111405338B (zh) 一种智能画质的切换方法及显示设备
CN111899680B (zh) 一种显示设备及其设置方法
CN111510788B (zh) 一种双屏双系统屏幕切换动画的显示方法及显示设备
CN112153446B (zh) 一种显示设备及流媒体视频音画同步方法
CN112449229B (zh) 一种音画同步处理方法及显示设备
CN111176603A (zh) 一种用于显示设备的图像显示方法及显示设备
US20070200953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the Content of a Region of Interest within a Video Image
KR101799381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1432257A (zh) 一种显示设备开启屏幕保护的方法及显示设备
CN110602540B (zh) 显示设备音量控制方法及显示设备
CN109922364B (zh) 一种显示设备
CN112788423A (zh) 一种显示设备及菜单界面的显示方法
CN111954043A (zh) 一种信息栏显示方法及显示设备
CN112783380A (zh) 显示设备和方法
CN113132769A (zh) 显示设备及音画同步方法
CN111078926A (zh) 一种人像缩略图像的确定方法及显示设备
CN112218156B (zh) 一种调节视频动态对比度的方法及显示设备
CN112788387A (zh) 显示设备、方法和存储介质
CN111445427A (zh) 视频图像处理方法以及显示设备
CN113259733A (zh) 一种显示设备
US20100164988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CN112788380B (zh) 显示设备及显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