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0364A - 실내 환경에서의 위치 확인 방법 및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실내 환경에서의 위치 확인 방법 및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0364A
KR20160140364A KR1020160042937A KR20160042937A KR20160140364A KR 20160140364 A KR20160140364 A KR 20160140364A KR 1020160042937 A KR1020160042937 A KR 1020160042937A KR 20160042937 A KR20160042937 A KR 20160042937A KR 20160140364 A KR20160140364 A KR 20160140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marker
fixed marker
indoor environmen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2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우쉬 패트와리
가우라브 미시라
루피카 스리바스타바
알록나스 데
딥나즈 프랍하카르 파트카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5/131,685 priority Critical patent/US10001544B2/en
Publication of KR20160140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03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6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orientation information, e.g. comp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6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with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e.g. for direction or speed deter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실시예들은 실내 환경 위치 확인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실내 환경의 가시성 지도(visibility map)를 획득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상기 가시성 지도는 상기 실내 환경에서 복수의 고정 마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전자 장치가 제1 고정 마커 쪽을 가리키도록 배치되면, 상기 전자 장치에서 자북(magnetic north)에 대한 상기 제1 고정 마커의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제2 고정 마커 쪽을 가리키도록 배치되면, 상기 전자 장치에서 상기 자북에 대한 상기 제2 고정 마커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결정된 제1 고정 마커의 방향 및 상기 제2 고정 마커의 방향을 기반으로 교차점을 연산하고, 실내 환경에서의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또한 전자 장치의 복수의 위치들에 대하여 실내 환경에서 객체(예, 제1 고정 마커, 제2 고정 마커)의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객체의 결정된 방향의 교차점을 연산하여 실내 환경에서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내 환경에서의 위치 확인 방법 및 전자장치{METHOD AND ELECTRONIC DEVICE IDENTIFYING INDOOR POSITION}
본 발명은 실내 측위(indoor positioning)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고정 마커들(static markers)의 결정된 방향들의 교차점에 대한 연산을 기초로 실내 환경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둘러싸인 공간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기술은 무선 신호 강도, 무선 주파수(RF) 신호 강도, 보행자 추적 시스템 및/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정보의 다양한 소스들을 이용할 수 있다. 기존 시스템에 있어서, 보행자 추측 항법(dead reckoning) 기술은 걸음걸이, 보폭, 및 사용자 정보의 방향을 지속적으로 산출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방위 정보(heading information)를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의 산출된 움직임을 기초로 하여, 위치는 각 걸음 후에 바닥 지도(floor map) 상에 업데이트된다. 다른 기존의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위치 측정을 주기적으로 정정하기 위하여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ity) 신호 또는 RF 신호가 사용된다. 사용자의 산출된 위치 추정을 토대로, 각 걸음 후에 위치가 바닥 지도 상에 업데이트된다.
다른 기존의 시스템에 있어서, 위치 추적 시스템은 알려진 Wi-Fi 송신기 또는 다른 비규제 RF 송신기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높은 정확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반드시 정기적으로 유지되고 업데이트되어야 한다. 어떤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가 수동으로 업데이트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것은 고가의 트래킹 장비, 위치들을 조사하기 위한 숙련된 현장 인력, 그리고 정기적인 업데이트 작업을 요구한다. 이러한 접근법들은 신호 환경의 변화 또는 신호 조건들의 변경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는다.
또 다른 기존의 시스템에 있어서, 위치 추적 시스템은 실내 신호 강도 모델링을 위한 광선 추적 확산 모델(ray tracing propagation model), SEIF 접근법(Sparse Extended Information Filter approach), 그리고 보행자 추측 항법(dead reckoning)에 기초한 그 밖의 접근법들을 이용하며, 이는 모양, 레이아웃, 및 때때로 위치의 요소들에 대한 사전 정보를 요구한다. 이러한 접근법은 인증된 출처가 제공할 수 있는 기존의 지도들 및 모양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 유효하게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종종 휴대 장치의 제약 내에서 동작하기에는 연산 복잡도가 너무 높다.
상술한 정보는 단지 독자가 본 발명을 이해하는 것을 돕기 위한 배경 정보로서 제공된다. 출원인은 전술한 어떤 것도 본 출원에 대한 종래 기술로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 대하여 어떠한 판단도, 어떠한 주장도 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주요 목적은 복수의 고정 마커들의 결정된 방향들의 교차점을 연산하여 실내 환경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고정 마커들의 결정된 방향들의 교차점을 연산하여 실내 환경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전자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실내 환경에서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실내 환경 위치 확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실내 환경의 가시성 지도(visibility map)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시성 지도는 상기 실내 환경에서 제1 고정 마커 및 제2 고정 마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상기 제1 고정 마커 및 상기 제2 고정 마커 쪽으로 가리킬 때, 자북(magnetic north)에 대한 상기 제1 고정 마커 및 상기 제2 고정 마커의 방향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고정 마커 및 상기 제2 고정 마커의 상기 결정된 방향들의 교차점을 연산하여 상기 실내 환경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실내 환경의 가시성 지도(visibility map)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가시성 지도는 상기 실내 환경에서 제1 고정 마커 및 제2 고정 마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상기 제1 고정 마커 및 상기 제2 고정 마커 쪽으로 가리킬 때, 자북(magnetic north)에 대한 상기 제1 고정 마커 및 상기 제2 고정 마커의 방향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고정 마커 및 상기 제2 고정 마커의 상기 결정된 방향들의 교차점을 연산하여 상기 실내 환경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저장 매체 상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는 실행될 때, 실내 환경의 가시성 지도(visibility map)를 획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가시성 지도는 상기 실내 환경에서 제1 고정 마커 및 제2 고정 마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는 실행될 때,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상기 제1 고정 마커 및 상기 제2 고정 마커 쪽으로 가리킬 때, 자북(magnetic north)에 대한 상기 제1 고정 마커 및 상기 제2 고정 마커의 방향들을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는 실행될 때, 상기 제1 고정 마커 및 상기 제2 고정 마커의 상기 결정된 방향들의 교차점을 연산하여 상기 실내 환경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상기 측면들 및 그 밖의 측면들은 다음의 설명 및 첨부 도면과 함께 고려될 때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다음의 설명들은 바람직한 실시예들과 그들의 수많은 특정 세부 사항들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는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을 위한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그 범위 내에서 수많은 변경들과 수정들이 만들어질 수 있고,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그러한 변경들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장치를 사용하는 실내 환경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실내 환경 내에서 상기 확인된 사용자의 위치 정보는 스마트 홈 제어 시스템에 유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자장치를 이용하여 객체 쪽을 직접 가리킴으로써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상기 객체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추가적인 기반 시설(예컨대, WI-FI 라우터)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실내 환경을 위한 신호 강도(예컨대, 자기장)의 열지도(heat map)를 생성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지구 자기장을 제외한 자기장의 효과가 없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정확하고 일관된 방식으로 전자장치 및 객체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에 도시되며, 도면 전체를 통틀어 같은 참조 문자들은 여러 도면들에서 대응하는 부분들을 나타낸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도면을 참조하는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여기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따른, 실내 환경에서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시스템의 상위 레벨 개요를 일반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여기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도시한다.
도 3은 여기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따른, 실내 환경에서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여기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따른, 실내 환경에서 전자장치의 위치를 확인하는 예시도이다.
도 5는 여기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따른, 실내 환경에서 전자장치의 위치를 확인하는 다른 예시도이다.
도 6은 여기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따른, 실내 환경에서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예시도이다.
도 7은 여기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따른, 실내 환경에서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다른 예시도이다.
도 8은 여기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따른, 실내 환경 위치 확인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팅 환경을 도시한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및 그 다양한 특징들과 유익한 세부사항들은 첨부된 도면들에서 도시되고 다음의 설명에서 세부적으로 설명되는 비제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잘 알려진 구성요소 및 처리 기술들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을 불필요하게 흐리지 않기 위하여 생략된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이 새로운 실시예를 형성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다른 실시예들과 조합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에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상호 배타적일 필요가 없다. 여기에 사용되는 용어 “또는”은 별도로 지시하지 않는 한, 비배타적인 또는(non-exclusive or)을 나타낸다. 본 문헌에 사용되는 예들은 단지 실시예들이 실행될 수 있는 방법들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고 더욱이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문헌의 실시예들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의도된 것이다. 따라서 그 예들은 본 문헌의 실시예들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여기에서 사용되는 주요 용어들과 개념들에 대한 정의를 제공하는 것이 유용할 것이다. 별도로 정의되지 않았다면, 여기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과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가시성 지도(visibility map)는 실내 환경의 가시선(line of sight) 내에 특정 영역 또는 모든 영역들을 나타낸다. 가시성 지도는 지도 상에서 채색된 영역 또는 강조된(highlighted) 영역의 형식으로 2차원 지도 또는 3차원 지도 상에 표현될 수 있다. 몇몇 경우들에서, 3차원 공간에서의 가시성 지도는 적어도 실내 환경의 가시선에 의하여 제한된 3차원 구조로서 표현될 수 있다.
전자 장치라는 용어와 휴대 장치라는 용어는 상세한 설명 전체를 통틀어 서로 바꿔서 사용될 수 있다.
실내 환경이라는 용어와 둘러싸인 공간이라는 용어는 상세한 설명 전체를 통틀어 서로 바꿔서 사용될 수 있다.
첨부된 양태들 또는 청구항들에 있어서, “제1 고정 마커”, “제2 고정 마커”, 및 “제3 고정 마커”라는 용어는 단지 라벨로서 사용될 뿐이며, 그들 객체들에 대하여 수에 관한 요건을 부여하기 위하여 의도된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위치 및 제2 위치는 단지 설명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실내 환경 위치 확인 방법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실내 환경의 가시성 지도(visibility map)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가시성 지도는 상기 실내 환경에서 제1 고정 마커 및 제2 고정 마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상기 제1 고정 마커 및 상기 제2 고정 마커를 향해 각각 가리킬 때, 자북(magnetic north)에 대하여 상기 제1 고정 마커 및 상기 제2 고정 마커의 방향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고정 마커 및 상기 제2 고정 마커의 상기 결정된 방향들의 교차점을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실내 환경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제1 위치 및 상기 사용자의 제2 위치에 대하여 상기 실내 환경에서 객체의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객체의 상기 결정된 방향의 교차점을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실내 환경에서 상기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객체는 상기 실내 환경에서 지표면으로부터 상기 객체의 수직 배치를 고려하여 위치가 확인될 수 있다.
종래의 시스템과 달리, 상기 제안된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상기 실내 환경에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실내 환경 내에서 상기 확인된 사용자의 위치 정보는 스마트 홈 제어 시스템에 유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객체 쪽을 직접 가리킴으로써 비용 효율이 높고 신속한 방식으로 상기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제안된 방법은 추가적인 기반 시설(예컨대, Wi-Fi 라우터)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또는 상기 실내 환경을 위한 신호 강도(예컨대, 자기장)의 열지도(heat map)를 생성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상기 제안된 방법은 지구 자기장을 제외한 자기장의 효과가 없을 수 있다. 이는 정확하고 일관된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 및 상기 객체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제, 도면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된다. 여기서, 참조 번호들은 도면을 통틀어 대응하는 특징들을 나타낸다.
도 1은 여기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따른, 실내 환경에서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시스템(100)의 상위 레벨 개요를 일반적으로 도시한다. 시스템(100)은 사용자(102), 전자 장치(104), 및 사용자 주변에 위치한 객체들(106a-106c)의 집합을 포함한다(이하, 객체는 106a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사용자 주변에 적어도 하나의 객체(106a)가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장치(104)는 예를 들면,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스마트 폰, 스마트 시계, UMPC(ultra mobile personal computer), 스마트 밴드, 스마트 안경, 스마트 반지,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매핑 장치(mapping unit), 랩탑(laptop), 또는 그 밖의 유사한 종류의 전자 장치가 될 수 있다. 객체(106a)는 예를 들면,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스마트 TV, 스마트 냉장고, 스마트 에어컨, 스마트 조명, 스마트 오븐 등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객체들(106a-106c)은 서로 통신하기 위한 홈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통하여 함께 연결될 수 있다. 실내 환경은 빌딩들에서의 방, 또는 그 밖의 둘러싸인 공간이 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4)는 실내 환경의 가시성 지도(visibility map)를 획득할 수 있다. 가시성 지도는 실내 환경에서 복수의 고정 마커들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마커는 예를 들면,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벽들의 교차 모서리, 문의 모서리, 방의 구석, 기둥들 등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 마커는 QR(Quick Response) 코드, 바코드 등을 포함하는 방의 내부에 미리 설치된 외부 마커가 될 수 있다. 고정 마커는 실내 환경 내부의 임의의 위치로부터 사용자에게 보일 수 있다. 고정 마커는 구조 모델의 형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구조 모델은 설계 파일, 도면 파일, 또는 실내 환경의 내부 배치를 묘사하는 다른 종류의 전자적 표현이 될 수 있다. 실내 환경의 가시성 지도를 획득한 후, 전자 장치(104)는 사용자(102)가 전자 장치(104)를 고정 마커들 쪽으로 각각 가리킬 때, 자북(magnetic north)에 대하여 고정 마커들의 방향들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된 기준 자세(posture) 또는 기준 방향을 기반으로 고정 마커쪽으로 전자장치가 배치되는 경우 전자장치는 고정 마커를 가리키는 동작임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기준 자세 또는 기준 방향(예, 전자장치 디스플레이의 상단 중앙부가 천장 방향으로 배치된 자세, 전자장치 디스플레이가 지표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된 자세)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장치가 기준 방향으로 배치된 후 사용자 입력을 통해 상기 전자장치가 배치 완료되었음을 확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는 고정 마커의 수만큼, 각각의 고정 마커에 대응하여 전자장치가 기준 방향으로 배치되었음을 확인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자장치는 자북 기준으로 전자장치가 배치된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자북에 대하여 고정 마커들의 방향들을 결정한 것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4)는 고정 마커들의 결정된 방향들의 교차점을 연산할 수 있다. 고정 마커들의 결정된 방향들의 교차점을 연산한 후, 전자 장치(104)는 실내 환경에서 사용자(102)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4)는 기준 방향이 마그네틱(나침반) 방향에 대응하도록 지정(설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전자장치(104)가 나침반 방향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각각의 고정 마커에 대응되는 고정 마커의 방향을 입력 또는 지정 받아 계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104)가 나침반 방향에 대응하여 배치된 상태에서, 각각의 고정 마커에 대한 방향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전자장치(104)는 입력된 각각의 고정 마커에 대한 방향을 기반으로 전자장치(104)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장치(104)는 사용자의 설정된 위치에 대하여 실내 환경에서 객체(106a)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102)의 위치들에 대하여 실내 환경에서 객체(106a)의 방향을 결정한 것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4)는 객체(106a)의 결정된 방향의 교차점을 연산할 수 있다. 객체(106a)의 결정된 방향의 교차점을 연산한 후, 전자 장치(104)는 실내 환경에서 객체(106a)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객체(106a)는 실내 환경에서 지표면으로부터 객체(106a)의 수직 배치를 고려함으로써 그 위치가 확인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처음에, 스마트 시계(smart watch)는 건물의 방의 가시성 지도를 획득할 수 있다. 가시성 지도는 건물의 방의 제1 구석 및 제2 구석을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시계는 자북에 대한 제1 구석의 방향에 대응하여 제1 구석 쪽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시계는 자북에 대한 제2 구석의 방향에 대응하여 제2 구석 쪽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제1 구석 및 제2 구석의 결정된 방향을 기준으로, 스마트 시계는 제1 구석 및 제2 구석의 결정된 방향의 교차점을 연산할 수 있다. 연산된 교차점을 토대로, 스마트 시계는 건물의 방에서 사용자(102)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시스템(100)의 제한된 개요를 도시한다. 그러나 거기에 다른 실시예들이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더욱이, 시스템(100)은 상호 간에 통신하는 다른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과 마찬가지로 임의의 수의 전자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성요소들은 제어기나 프로세서에서 구동되는 프로세스, 객체, 실행 가능한 프로세스, 실행 스레드(thread),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전자 장치(104) 상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및 전자 장치(104) 그 자체 양자 모두는 구성요소가 될 수 있다.
도 2는 여기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4)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4)는 고정 마커 검출부(202), 센싱부(204), 방향 결정부(206), 및 위치 확인부(208)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마커 검출부(202)는 실내 환경의 가시성 지도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시성 지도는 실내 환경에서 고정 마커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 환경에서 가시성 지도를 획득한 후, 방향 결정부(206)는 사용자에 의해 센싱부(204)가 제1 고정 마커 및 제2 고정 마커 쪽으로 각각 가리킬 때, 다양한 기술들(예컨대, 센서 융합 기술 등)을 이용하여 자북에 대한 고정 마커들의 방향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204)는 예를 들면,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가속도계(accelerometer), 자이로스코프(gyroscope), 자력계(magnetometer) 등이 될 수 있다. 센싱부(204)가 제1 고정 마커 및 제2 고정 마커를 가리키는 과정은 전자장치(104)가 설정된 기준 자세(posture) 또는 기준 방향을 기반으로 제1 고정 마커 및 제2 고정 마커쪽으로 향하게 맞추는 과정일 수 있다.
고정 마커들의 방향들을 결정한 것을 기초로 하여, 위치 확인부(208)는 고정 마커들의 결정된 방향들의 교차점을 연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 마커들의 결정된 방향들의 교차점을 연산한 후, 위치 확인부(208)는 실내 환경에서 사용자(102)의 위치 확인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방향 결정부(206)는 사용자(102)의 위치들에 대하여 실내 환경에서 객체(106a)의 방향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102)의 위치들에 대하여 실내 환경에서 객체(106a)의 방향을 결정한 것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4)는 객체(106a)의 결정된 방향들의 교차점을 연산할 수 있다. 객체(106a)의 결정된 방향들의 교차점을 연산한 후, 위치 확인부(208)는 실내 환경에서 객체(106a)의 위치를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객체(106a)는 실내 환경에서 지표면으로부터 객체(106a)의 수직 배치를 고려하여 그 위치가 확인될 수 있다.
도 2는 전자 장치(104)의 한정된 개요를 보인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더욱이, 전자 장치(104)는 시스템(100)의 다른 구성요소들과 함께 상호 간에 통신하는 임의의 수의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여기에 개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실내 환경에서 객체(104)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302 단계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실내 환경의 가시성 지도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전자장치는 고정 마커 검출부(202)가 실내 환경의 가시성 지도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가시성 지도는 실내 환경에서 고정 마커들을 포함할 수 있다.
304 단계에서, 본 발명의 전자장치는 자북에 대하여 고정 마커들의 방향들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전자장치는 방향 결정부(206)가 임의의 기존 기술을 이용하여 자북에 대하여 고정 마커들의 방향들을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304 단계에서, 본 발명의 전자장치는 설정된 기준 자세(posture) 또는 기준 방향을 기반으로 고정 마커쪽으로 배치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장치가 상기 설정된 기준 자세 또는 기준 방향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전자장치가 고정 마커를 가리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상기 전자장치가 기준 자세 또는 기준 방향으로 배치된 경우 사용자 입력을 통해 상기 전자장치가 배치 완료되었음을 확인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상기 전자장치가 고정 마커의 수만큼, 각각의 고정 마커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장치가 배치 완료되었음을 확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전자장치는 상기 배치 완료된 전자장치에 대응하여 고정 마커들의 방향들을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304 단계에서, 본 발명의 전자장치는 기준 방향이 마그네틱(나침반) 방향에 대응하도록 지정(설정)할 수도 있다. 전자장치가 나침반 방향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각각의 고정 마커에 대응되는 고정 마커의 방향을 입력 또는 지정 받아 계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가 나침반 방향에 대응하여 배치된 상태에서, 각각의 고정 마커에 대한 방향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전자장치는 입력된 각각의 고정 마커에 대한 방향을 기반으로 전자장치의 위치를 확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전자장치는 나침반 방향에 대응하여 배치된 상태에서 각각의 고정 마커들의 방향들을 결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306 단계에서, 본 발명의 전자장치는 고정 마커들의 결정된 방향들의 교차점을 연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전자장치는 위치 확인부(208)가 고정 마커들의 결정된 방향들의 교차점을 연산하도록 할 수 있다.
308 단계에서, 본 발명의 전자장치는 실내 환경에서 전자장치(104)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전자장치는 위치 확인부(208)를 통해 실내 환경에서 전자장치(104)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310 단계에서, 본 발명의 전자장치는 실내 환경에서 객체(106a)의 방향들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전자장치는 방향 결정부(206)가 전자장치(104)의 복수의 위치들에 대하여 실내 환경에서 객체(106a)의 방향들을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312 단계에서, 본 발명의 전자장치는 객체(106a)의 결정된 방향들의 교차점을 연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전자장치는 위치 확인부(208)가 객체(106a)의 결정된 방향들의 교차점을 연산하도록 할 수 있다. 314 단계에서, 본 발명의 전자장치는 실내 환경에서 객체(106a)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전자장치는 위치 확인부(208)가 실내 환경에서 객체(106a)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316 단계에서, 본 발명의 전자장치는 3차원 공간에서 객체(106a)의 배치 높이를 추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전자장치는 위치 확인부(208)가 3차원 공간에서 객체(106a)의 배치 높이를 추정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장치에서 다양한 동작, 행위, 블록, 단계 등은 제공되는 순서대로, 또는 다른 순서대로,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더욱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일부 동작, 행위, 블록, 단계 등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생략되거나, 추가되거나, 수정되거나, 건너뛸 수 있다.
도 4는 여기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따른, 실내 환경에서 전자장치(104)의 위치를 확인하는 예시도이다. 초기에, 전자 장치(104)는 실내 환경의 가시성 지도를 획득할 수 있다. 가시성 지도는 실내 환경에서 제1 고정 마커(402) 및 제2 고정 마커(40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고정 마커들(402, 404)은 실내 환경에서 원형의 회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전자장치(104)는 자북(여기서, 자북은 NS로 지시된다)에 대한 제1 고정 마커(402)의 방향을 결정하기 위하여 제1 고정 마커(402) 쪽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제 1 각도(θ1)(451)는 사용자에 의해 제1 고정 마커(402)를 가리키는 방향과 자북(NS) 방향을 기반으로 형성되는 각도일 수 있다. 전자장치(104)는 자북에 대한 제2 고정 마커(404)의 방향을 결정하기 위하여 제2 고정 마커(404) 쪽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제 2 각도(θ2)(453)는 사용자에 의해 제2 고정 마커(404)를 가리키는 방향과 자북(NS) 방향을 기반으로 형성되는 각도일 수 있다. 제1 고정 마커(402) 및 제2 고정 마커(404)의 결정된 방향들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4)는 제1 고정 마커(402) 및 제2 고정 마커(404)의 결정된 방향들의 교차점을 연산할 수 있다. 제1 고정 마커(402) 및 제2 고정 마커(404)의 결정된 방향들의 연산된 교차점을 기초로, 전자 장치(104)는 실내 환경에서 전자장치(104)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여기서, 전자장치의 위치 확인은 흰색의 원형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5는 여기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따른, 실내 환경에서 전자장치(104)의 위치를 확인하는 다른 예시도이다. 초기에, 전자 장치(104)는 실내 환경의 가시성 지도를 획득할 수 있다. 가시성 지도는 실내 환경에서 제1 고정 마커(502), 제2 고정 마커(504), 및 제3 고정 마커(50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제2 및 제3 고정 마커들(502, 504, 508)은 원 형의 회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전자장치(104)는 자북(여기서, 자북은 NS로 지시된다)에 대한 제1 고정 마커(502)의 방향을 결정하기 위하여 제1 고정 마커(502) 쪽으로 배치될 수 있다.도 5에 도시된 제 1 각도(θ1)(551)는 사용자에 의해 제1 고정 마커(502)를 가리키는 방향과 자북(NS) 방향을 기반으로 형성되는 각도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4)는 자북에 대한 제2 고정 마커(504)의 방향을 결정하기 위하여 제2 고정 마커(504) 쪽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제 2 각도(θ2)(553)는 사용자에 의해 제2 고정 마커(504)를 가리키는 방향과 자북(NS) 방향을 기반으로 형성되는 각도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4)는 자북에 대한 제3 고정 마커(508)의 방향을 결정하기 위하여 제3 고정 마커(508) 쪽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제 3 각도(θ3)(555)는 사용자에 의해 제3 고정 마커(508)를 가리키는 방향과 자북(NS) 방향을 기반으로 형성되는 각도일 수 있다. 제1 고정 마커(502), 제2 고정 마커(504), 및 제3 고정 마커(508)의 결정된 방향들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4)는 제1 고정 마커(502), 제2 고정 마커(504), 및 제3 고정 마커(508)의 결정된 방향들을 기반으로 교차점을 연산할 수 있다. 제1 고정 마커(502), 제2 고정 마커(504), 및 제3 고정 마커(508)의 결정된 방향들의 연산된 교차점을 기초로, 전자 장치(104)는 실내 환경에서 사용자(102)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두 개보다 많은 고정 마커들을 포함시킴으로써, 사용자 위치 확인은 보다 정확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여기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따른, 실내 환경에서 객체(106a)의 위치를 확인하는 예시도이다. 초기에, 전자장치(104)를 소지한 사용자(102)는 제1 위치(610)에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102)는 도 4에서 설명된 바와 동일한 절차로 위치가 확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실내 환경에 포함된 제1 고정 마커(602)와 제2 고정 마커(604)를 기반으로 전자장치(104)의 위치(예, 전자장치(104)를 소지한 사용자(102)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102)의 위치가 확인된 후, 사용자(102)의 제1 위치(610)에 대하여 실내 환경에서 객체(106a)의 방향을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자(102)는 전자 장치(104)를 객체(106a) 쪽으로 가리킬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제 1 각도(θ1)(651)는 사용자에 의해 객체(106a)를 가리키는 방향과 자북(NS) 방향을 기반으로 형성되는 각도일 수 있다.
이제, 사용자(102)는 제2 위치(620)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102)는 도 4에서 설명된 바와 동일한 절차로 위치가 확인될 수 있다. 사용자(102) 위치가 확인된 후, 사용자(102)는 전자 장치(104)를 객체(106a) 쪽으로 가리킬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제 2 각도(θ2)(653)는 사용자에 의해 객체(106a)를 가리키는 방향과 자북(NS) 방향을 기반으로 형성되는 각도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4)는 사용자(102)의 제2 위치(620)에 대하여 실내 환경에서 객체(106a)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102)의 제2 위치(620)에서 결정된 객체(106a)의 방향과 사용자(102)의 제1 위치(610)에서 결정된 객체(106a)의 방향을 기초로, 전자 장치(104)는 객체(106a)의 결정된 방향에 대응하여 교차점을 연산할 수 있다. 객체(106a)의 결정된 방향의 교차점을 연산한 후, 전자 장치(104)는 실내 환경에서 객체(106a)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여기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따른, 실내 환경에서 객체(106a)의 위치를 확인하는 다른 예시도이다. 초기에, 사용자 위치 확인 프로세스는 도 4와 함께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높이(U)는 전자 장치(104)에 입력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102)는 전자 장치(104)를 객체(106a) 쪽으로 가리킬 수 있다. 전자 장치(104)는 사용자 및 객체(106a)의 위치에 대한 각도를 결정할 수 있다. 결정된 각도(θ)를 기초로, 전자 장치(104)는 기존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102) 및 객체(106a) 사이의 거리를 컴퓨터 연산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4)는 H = U + Dsinθ을 구하여 지표면으로부터 객체(106a)의 높이를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H는 객체(106a)의 높이일 수 있다. 지표면으로부터 객체의 수직 높이를 고려하면서, 전자 장치(104)는 3차원 방식으로 실내 환경에서 객체(106a)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여기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따른, 실내 환경 위치 확인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환경을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환경(802)은 제어부(804) 및 산술논리 연산부(ALU; Arithmetic Logic Unit, 806)를 구비하는 처리 장치(808), 메모리(810), 스토리지(812), 복수의 네트워크 장치들(816), 및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81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 장치(808)는 알고리즘의 명령을 처리하는 것을 담당할 수 있다. 처리 장치(808)는 명령의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제어부로부터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더욱이, 명령의 실행에 포함된 임의의 논리적 및 산술적 동작들이 산술논리 연산부(806)의 도움으로 연산될 수 있다.
전반적인 컴퓨터 환경(802)은 동종의 및/또는 이종의 코어들, 다른 종류의 다중 CPU들, 특정 미디어 및 다른 가속기로 구성될 수 있다. 처리 장치(808)는 알고리즘의 명령을 처리하는 것을 담당할 수 있다. 더욱이, 복수의 처리 장치(808)는 단일 클립 또는 다중 클립 상에 위치될 수 있다.
구현을 위하여 요구되는 명령 및 코드를 포함하는 알고리즘은 메모리(810) 또는 스토리지(812) 또는 양자 모두에 저장될 수 있다. 실행한 때에, 명령은 대응하는 메모리(810) 및/또는 스토리지(812)로부터 인출될 수 있고, 처리 장치(808)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임의의 하드웨어 구현의 경우에, 다양한 네트워크 장치(816) 또는 외부 입출력 장치(814)는 네트워크 장치 및 입출력 장치를 통한 구현을 지원하기 위하여 컴퓨팅 환경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들은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네트워크 관리 기능들을 수행하고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장치에서 구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장치, 또는 하드웨어 장치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이 될 수 있는 블록들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 대하여 전술한 설명은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의 일반적인 본질을 충분히 나타낼 것이며, 타인들은 현재 지식을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응용들에 대하여 일반적 개념을 벗어나지 않고 그러한 특정 실시예들을 손쉽게 수정하고 및/또는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그러한 적용 및 수정은 개시된 실시예들의 균등물의 의미 및 범위 내에 있으며, 의도된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일 뿐,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님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설명되었지만,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그러한 실시예들이 개시된 실시예들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수정되어 실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시스템 102 : 사용자
104 : 전자장치
106a, 106b, 106c : 객체

Claims (15)

  1. 실내 환경에서 제1 고정 마커 및 제2 고정 마커를 포함하는 가시성 지도(visibility map)를 획득하는 동작;
    전자 장치가 상기 제 1 고정 마커 쪽을 가리키도록 배치되면, 상기 전자 장치에서 자북(magnetic north)에 대한 상기 제1 고정 마커의 방향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고정 마커 쪽을 가리키도록 배치되면, 상기 전자 장치에서 상기 자북에 대한 상기 제2 고정 마커의 방향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결정된 제1 고정 마커의 방향 및 상기 결정된 제2 고정 마커의 방향을 기반으로 교차점을 연산하여 상기 실내 환경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를 확인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실내 환경 위치 확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각각 제 1 위치 및 제2 위치에서 상기 실내 환경 내의 객체를 가리키는 방향들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객체의 상기 결정된 방향들의 교차점을 연산하여 상기 실내 환경에서 상기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위치 확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마커 및 상기 제2 고정 마커의 방향을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장치의 설정된 기준 자세 또는 기준 방향을 기반으로 상기 전자 장치를 배치하는 동작; 및
    상기 기준 자세 또는 기준 방향을 기반으로 배치된 상기 전자 장치를 상기 제1 고정 마커 및 상기 제2 고정 마커 쪽으로 가리키도록 배치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실내 환경 위치 확인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고정 마커 및 상기 제2 고정 마커 쪽으로 가리키도록 배치 완료된 경우 사용자 입력에 의해 배치 완료되었음을 확인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실내 환경 위치 확인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는 상기 실내 환경에서 지표면으로부터 상기 객체의 수직 배치를 고려하여 위치가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위치 확인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배치된 상기 객체를 가리키는 동작에 의해 상기 객체의 수직 배치를 확인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실내 환경 위치 확인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자북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동작;
    상기 자북에 대응하여 배치된 전자 장치를 기반으로 상기 제1 고정 마커 및 상기 제2 고정 마커의 방향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결정된 제1 고정 마커 및 제2 고정 마커의 방향을 기반으로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를 확인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실내 환경 위치 확인 방법.
  8. 실내 환경에서 제 1 고정 마커 및 제 2 고정 마커를 포함하는 가시성 지도(visibility map)를 획득하기 위한 고정 마커 검출부;
    상기 제 1 고정 마커 및 상기 제 2 고정 마커가 위치한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방향 결정부;
    상기 고정 마커 검출부를 통해 상기 제1 고정 마커 및 제2 고정 마커를 포함하는 가시성 지도를 획득하고, 전자장치가 상기 제1 고정 마커를 가리키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방향 결정부를 통해 자북(magnetic north)에 대한 제 1 고정 마커의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제2 고정 마커를 가리키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방향 결정부를 통해 자북에 대한 상기 제 2 고정 마커의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 1 고정 마커의 방향 및 상기 결정된 제 2 고정 마커의 방향을 기반으로 교차점을 연산하여 상기 실내 환경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각각 제 1 위치 및 제2 위치에서 상기 제 1 고정 마커를 가리키는 방향과 상기 제 2 고정 마커를 가리키는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제1 고정 마커를 가리키는 방향과 상기 제2 고정 마커를 가리키는 방향을 기반으로 상기 방향들의 교차점을 연산하여 상기 제1 고정 마커와 상기 제2 고정 마커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장치의 설정된 기준 자세 또는 기준 방향을 기반으로 상기 전자 장치를 배치하고, 상기 기준 자세 또는 기준 방향을 기반으로 배치된 상기 전자 장치를 상기 제1 고정 마커 및 상기 제2 고정 마커 쪽으로 가리키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제1 고정 마커 및 상기 제2 고정 마커 쪽으로 가리키도록 배치 완료된 경우 사용자 입력에 의해 배치 완료되었음을 확인한느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는 상기 실내 환경에서 지표면으로부터 상기 객체의 수직 배치를 고려하여 위치가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결정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수직 배치된 객체를 가리키는 경우 상기 객체의 수직 배치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자북에 대응하여 배치되었음을 확인하고, 상기 자북에 대응하여 배치된 전자 장치를 기반으로 상기 제1 고정 마커 및 상기 제2 고정 마커의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1 고정 마커 및 제2 고정 마커의 방향을 기반으로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5. 전자 장치의 위치 확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실내 환경에서 제1 고정 마커 및 제2 고정 마커를 포함하는 가시성 지도(visibility map)를 획득하는 동작;
    자북(magnetic north)에 대한 사용자가 가리키는 상기 제1 고정 마커의 방향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자북에 대한 사용자가 가리키는 상기 제2 고정 마커의 방향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결정된 제1 고정 마커의 방향과 상기 결정된 제2 고정 마커의 방향을 기반으로 교차점을 연산하여 상기 실내 환경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확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60042937A 2015-05-27 2016-04-07 실내 환경에서의 위치 확인 방법 및 전자장치 KR201601403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131,685 US10001544B2 (en) 2015-05-27 2016-04-18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identifying indoor lo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2661CH2015 2015-05-27
IN2661/CHE/2015 2015-05-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364A true KR20160140364A (ko) 2016-12-07

Family

ID=57573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2937A KR20160140364A (ko) 2015-05-27 2016-04-07 실내 환경에서의 위치 확인 방법 및 전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03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135B1 (ko) * 2018-12-31 2020-03-3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내 측위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135B1 (ko) * 2018-12-31 2020-03-3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내 측위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1544B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identifying indoor location
US10168159B2 (en) Magnetometer arrays for inertial navigation, mapping, and drift compensation
Cotera et al. Indoor robot positioning using an enhanced trilateration algorithm
US10086955B2 (en) Pattern-based camera pose estimation system
US10415978B2 (en) Landmark location determination
US10451403B2 (en) Structure-based camera pose estimation system
EP3098569B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code for providing navigation information in relation to augmented reality guidance
TWI661210B (zh) 座標系統制定方法、裝置及資料結構產品
KR102328673B1 (ko) 로케이션 기반 스마트홈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20170116735A1 (en) Optimized camera pose estimation system
KR101527212B1 (ko) 자기장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3205226A (ja) 位置補正システム、位置補正方法、位置情報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KR20210046217A (ko) 복수 영역 검출을 이용한 객체 탐지 방법 및 그 장치
US1037890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road stacking based upon error statistics
US1100284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static object
CN107766476B (zh) 基于楼块数据的众包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1402215B2 (en) Indoor positioning method for a moving apparatus using first and second two-dimensional maps of z-axis areas
US9612121B2 (en) Locating position within enclosure
US2019031321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Kamalam et al. Augmented reality-centered position navigation for wearable devices with machine learning techniques
KR20160140364A (ko) 실내 환경에서의 위치 확인 방법 및 전자장치
CN109073761A (zh) 使用真实世界地图和传感器数据确定经改进的用户位置的系统和方法
WO2015040733A1 (ja) 測位システム、測位方法、および測位プログラム
KR101733681B1 (ko) 모바일 단말기, 이를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79215A (ko) 지자기 센서 기반 이동체의 위치 인식 시스템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