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8258A - 과전류 손상으로부터 전기적 모듈러 유닛을 보호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과전류 손상으로부터 전기적 모듈러 유닛을 보호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8258A
KR20160138258A KR1020167030137A KR20167030137A KR20160138258A KR 20160138258 A KR20160138258 A KR 20160138258A KR 1020167030137 A KR1020167030137 A KR 1020167030137A KR 20167030137 A KR20167030137 A KR 20167030137A KR 20160138258 A KR20160138258 A KR 20160138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ypass
inductive component
overcurrent
current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0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7725B1 (ko
Inventor
다니엘 슈미트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60138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8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 component, e.g. fus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02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for non-linear operation
    • H01F38/023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for non-linear operation of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03Constructional details, e.g. physical layout, assembly, wiring or busbar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21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217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에너지를 자기 및 열 에너지로 변환하는 유도성 부품(38) 덕분에 과전류 손상에 대항하여 전기 모듈러 유닛(8)을 보호하는 방법에 관한 것인데, 여기서 우회로(24, 24a-c)가 모듈러 유닛(8)의 정규 동작 동안 유도성 부품(38)을 우회하고, 전류는 우회로(24, 24a-c)를 경유해 흐른다. 전류 회로에 대한 회로 인덕턴스를 스위칭하는 반도체를 상당한 정도록 확장하지 않고서도 서지 전류 사건 시에 전류 스파이크들을 감소시키기 위해, 모듈러 유닛(8)의 무 누전 동작 동안 달성될 수 있는 전류 값을 넘는, 상기 우회로를 통해 흐르는 과전류에 의해 우회로(24, 24a-c)가 개회로화되는 것이 제안되고, 그 결과로 잔류 전류가 우회로(24, 24a-c)를 통해 흐르는 것보다 더 많은 전류가 유도성 부품(38)릉 통해서 흐르게 강제된다.

Description

과전류 손상으로부터 전기적 모듈러 유닛을 보호하기 위한 방법{METHOD FOR PROTECTING AN ELECTRICAL MODULAR UNIT FROM OVERCURRENT DAMAGE}
본 발명은 전기 에너지를 자기 및 열 에너지로 변환하는 유도성 부품(inductive component) 덕분에 과전류 손상에 대항하여 전기 유닛을 보호하는 방법에 관한 것인데, 여기서 우회로(bypass)가 유닛의 정규 동작 동안 유도성 부품을 우회하고, 전류는 우회로를 통해서 흐른다.
전력망에의 재생가능 에너지들의 공급 증가는 고전압 직류 전송(high voltage DC transmission: HVDC)이 점점 더 커지는 중요성을 얻고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앞바다 풍력 발전기지들의 경우에, HVDC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 가능한 낮은 방사를 갖고 저렴한 케이블 접속이 선호된다.  앞바다 풍력 발전기지들이 어떠한 안정적 전력망도 갖지 않으므로, 자기 전류형(self-commutated) HVDC는, 특히, 이것이 조정된 무효 전력이 앞바다에서 쓰일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이룰 수 있다. 더욱이, 자기 전류형 HVDC는 접속 노드에서의 동적 응답을 향상시키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풍력 발전기지 전력망으로부터 HVDC 시스템으로의 및 HVDC 시스템으로부터 대규모 육상 선로들로의 접속의 핵심 구성요소들은 중간 전압 회로와 트랜지스터들, 특히 IGBT들(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s)을 구비한 자기 전류형 HVDC 컨버터에 의해 형성된다.  서로 독립적으로 유효 및 무효 전력을 조정할 수 있는 가능성은 낮은 단락 전력을 갖는 삼상 전력망들에의 자기 전류형 컨버터들의 접속을 용이하게 한다.  블랙 스타트(black start)로서 알려진 전력망 설정이 간략화되기 때문에 개별 네트워크들의 동작이 또한 가능하다.  자기 전류형 HVDC 컨버터들은 변환된 전압을 지원하는 데 사용되는 대형 DC 커패시터들이 장비되어 있다.  삼상 전류로부터 직류로의 전환 또는 그 역으로의 전환은 그 사이에서 교류 전류가 분기해 나가는 보통 두 개의 직렬 접속 IGBT의 스위칭에 의해 달성된다.
자기 전류형 HVDC 컨버터의 스위칭 누전(switching fault)이 있는 경우에, DC 커패시터가 스위치들을 통해 담고 있는 에너지의 갑작스런 방전이 있을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방출되는 에너지는 스위치들의 파괴 및 그에 따른 컨버터의 파괴로 이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에너지 저장소의 방전 결과로서의 손상을 적어도 감소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 kA 범위에서의 과전류에 의한 손상에 대항하여 전기 유닛을 보호하기 위한 방법을 특정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처음에 언급된 유형의 방법에 의해 달성되는데, 여기서 본 발명에 따라 유닛의 방해없는 동작 동안 도달 가능한 값을 넘고 또한 우회로를 통해 흐르는 과전류에 의해 우회로가 개회로화되어, 우회로를 통하여 흐르는 잔류 전류(residual current)보다 더 많은 전류가 유도성 부품을 통하여 흐르도록 강제한다.
본 발명은, 유도성 부품이 예를 들어 전기 에너지의 일부가 자성 및 열 에너지로 변환됨으로써 커패시터의 갑작스런 방전에 의해 초래되는 전류 서지를 버퍼링할 수 있고, 그래서 이것이 전기 유닛을 통한 피크 전류를 감소시킨다는 고찰에 기초한다. 인덕턴스가 통상적으로 이산 성분으로서 회로에 도입되기 때문에, 따라서 이것은 또한 완전히 정상인 스위칭 모드에서 기능하는데, 이는 인덕턴스 값들이 항상 최대 보호 효과 중의 타협점인 것을 의미하는데, 즉 전류는 손상 사건 시에 제한되고 회로 인덕턴스는 여전히 반도체들의 전류 회로(commutation circuit)에 대해 표현되는 것이다.
유도성 부품 또는 RL 조합이 매우 콤팩트한 디자인을 가질 필요가 있다면, 예를 들어, 높은 에너지를 가진 전력 전자 회로에서 사용하기 위한 경우라면, 이후 이것은 전류 회로에 대한 매우 불리한 효과를 갖는데, 그 이유는 이것이 도전체 루프가 현저하게 확장된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매우 대형의 콤팩트하게 설계된 RL 조합들의 기계적 탑재도 또한 복잡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해 제안된 것처럼, 유도성 부품이 전기 유닛의 정규 동작 동안 우회로에 의해 우회된다면, 유도성 부품은 스위치들의 전류 회로에서 어떠한 효과도 가지지 않거나 또는 아주 작은 효과만을 갖는데, 이것은 회로 인덕턴스가 심지어 유도성 부품이 콤팩트 디자인을 가질 때에라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조적으로, 손상 사건에서의 우회로의 개회로화는 유도성 부품을 통한 과전류를 강제하고 또한 그것의 일부를 거기에서 자기 에너지로 변환한다. 그러므로, 유도성 부품은 과전류의 사건에만 이용된다.
특히 커패시터가 방전될 때, 피크 전류들이 몇 밀리초 내에 나타날 수 있는데, 이것은 만일 전기 유닛이 효과적으로 보호되어야 한다면 우회로가 매우 빨리 개회로화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을 달성하기 위해, 우회로는 과전류 자체에 의해 개회로화되는데, 즉 우회로를 통한 과전류 흐름이 우회로의 개회로화 및 그러므로 유도성 부품의 행동을 촉발한다. 그러므로, 우회로를 개회로화하는 데에 전류 센서 및 거기에 접속되는 스위치가 없어도 그렇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류 스파이크를 감소시키기 위해, 과전류 모두가 유도성 부품을 통해 흐르고 또한 보호 자계의 설정에 기여하는 것이 필요하지는 않다. 적어도 과전류의 최대 부분이 유도성 부품을 통하여 흐르고 또한 무효 전류가 우회로를 통해 흐르면 충분하다. 따라서 기계적 스위치에 따른 우회로의 완전한 개회로화는 필요하지 않고, 유도성 부품을 통하여 강제되는 전류의 양은 과전류 사건 시에 우회로의 도전 거동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유도성 부품은 고정 인덕턴스 값을 갖는 수동 전기적 구성요소일 수 있다. 이것은 단순한 도전체 루프, 예를 들어 코일의 경우에 사행 또는 하나 이상의 원형 권선들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정규의, 말하자면 방해없는 동작 동안에, 전류가 유도성 소자를 통해 흐르지만, 과전류의 사건에서보다 작게 흐르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렇게 하면, 우회로 및 인덕턴스가 병렬로 접속되는 것이 가능하고, 우회로 및 유도성 소자를 통해 흐르는 전류량은 우회로의 도전 거동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과전류는, 예로서, 유닛의 방해없는 동작 동안 도달가능한 5 kA의 전류 값을 넘는 전류 값을 의미한다고 이해된다. 편의상, 과전류는 정상 동작 동안의 최대 값의 적어도 두배이다. 과전류는 편의상 적어도 100 kA, 특히 적어도 10 kA이다.
우회로는 비 리액턴스형 저항을 형성할 수 있어서, 우회로 및 인덕턴스가 병렬 접속된 RL 소자들을 갖는 RL 회로를 형성한다. 과전류는 편의상 직접적으로, 예를 들어 가열 또는 또 다른 물리적 공정에 의해 우회로를 개회로화한다. 과전류 손상에 대항하는 전기 유닛용 보호는 절대적일 필요가 없다. 이 보호는 손상이 감소된다면 충분하다. 전기 유닛은 스위치, 특히 IGBT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가지 유리한 실시예에서, 우회로의 전기 도전체는 우회로를 통해 흐르는 과전류가 편의상 10ms 이하의 시간 내에, 특히 2ms 이하의 시간 내에, 도전체의 온도를 적어도 150℃까지, 특히 적어도 300℃까지 상승시킨다. 이러한 경우에, 과전류는 편의상 방해없는 동작 동안 도달 가능한 최대값의 10배가 된다. 방해없는 동작 동안, 도전체의 온도는 이 기하구조에서 100℃를 넘지 않는 값에 도달할 뿐이다.
우회로를 개회로화하는 한가지 방식은 우회로가 과전류에 의해 가열되는 것인데, 이것은 우회로의 비 리액턴스형 저항을 증가시킨다. 비 리액턴스형 저항이 증가함에 따라, 더 많은 전류가 유도성 부품을 통해 흐르도록 강제된다. 그러나, 과열은 우회로를 증발시키는 데까지 진행해서는 안 되는데, 그 이유는 이것은 이온화 및 그에 따른 섬락(flashover) 문제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회로가 심지어 가열 상태에서도 콤팩트하게 남아 있다면 편리하다. 상대적으로 높은 비 리액턴스형 저항은 유지될 수 있고, 섬락은 회피될 수 있다.
우회로를 개회로화하기 위한 추가적 가능성은 고전압 퓨즈가 개회로화되는 것을 수반한다. 이것은 불꽃으로 회로를 개회로화하거나 도전체 브리지를 제거하고 또한 모래로 결과적 공간을 즉각적으로 채운다. 이 해결책은 회로의 높은 신뢰성이라는 이점을 갖지만, 매우 복잡하다.
본 발명은 더 나아가 전기 에너지를 자기 에너지가 되도록 변환시키기 위한 유도성 부품 및 유도성 부품과 병렬로 접속되는 우회로를 포함하는 과전류 버퍼를 갖는 전기 유닛에 대한 것이다.
과전류 손상에 대항하여 전기 유닛을 보호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라, 우회로는 자신을 통해 흐르고 또한 방해없는 동작 동안 도달가능한 전류값을 넘는 과전류 덕분에 개회로화되는 전류 스위칭 과전류 스위치로 형성되어서, 잔류 전류가 우회로를 통해서 흐르는 것보다 더 많은 전류가 유도성 부품을 통해 흐르게 강제되도록 한다.
보호될 전기 소자는 편의상 과전류 버퍼와 직렬로 접속되고 또한 과전류 버퍼와 함께 단락 회로에 배치된다. 전기 유닛은 편의상 과전류 버퍼와 직렬로 접속되는 IGBT와 같은 스위치를 포함한다. 유도성 부품은 편의상 우회로에 의해 단락되는 도전체 루프를 포함한다. 도전체 루프는 권선 형태로 된 하나 이상의 사행 감기들 또는 하나 이상의 원형 감기들을 가질 수 있다.
유리하게는, 우회로는 PTC 서미스터를 포함하는 전기적 도전체를 포함하는데, 이 서미스터의 온도 계수 α 는 예를 들어 구리의 것보다 더 큰데, 특히 적어도 2 배, 더욱 특히 적어도 5 x, 더 좋게는 적어도 10 x가 된다. 이 관계는 약 20℃에서의 온도 계수의 크기와 관련될 수 있다. 그러나, 도전체가 동작 동안 실내 온도보다 주기적으로 더 따뜻하므로, 이는 값들이 50℃의 온도와 관련된다면 특히 유리하다. 또한, 이는 온도 계수 α가 20℃를 넘는 온도로 상승한다면 유리하다. PTC 특성은 우회로 또는 전기적 도전체의 비리액턴스 저항이 온도에 따라 상승하고, 그래서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증가하는 비율의 과전류가 유도성 부품을 통해 흐를 것임이 분명하다는 점을 의미한다.
전기적 도전체를 위한 특히 유리한 소재는 스테인레스 강이다. V2A 스테인레스 강은 상승하는 온도에서의 전기적 도전 거동의 관점에서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의 추가적 유리한 개선에서, 유도성 부품은 루프 스타트및 루프 엔드를 갖는 도전체 루프를 가진 제1 도전체를 갖는데, 여기서 루프 스타트는 우회로를 경유해 간접적으로 접속되고, 루프 엔드는 제2 도전체에 직접적으로 접속된다. 도전체 루프는 인덕턴스를 산출할 수 있다. 우회로가 제2 도전체에게 루프 스타트를 접속하고, 그 결과로서 유도성 부품 또는 적어도 이것의 일부분은 우회된다. 루프 엔드는 제2 도전체에 접속되어서, 루프 엔드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는 유도(induction)를 산출한다. 다음으로 도전체는 적어도 알루미늄, 특히 구리 도전체와 같은 전기적 도전율을 갖는 전기 도전체를 의미한다고 이해된다. 도전체의 기하 구조는 편의상 그 저항이 단지 최소로만, 예를 들어 정규 동작 동안 도달가능한 최대 전류에 의한 제로 전류 상태와 비교하여 2 팩터 이하만큼, 특히 1.2 팩터 이하만큼만 증가된다.
유도성 부품의 인덕턴스는 제2 도전체가 루프 스타트 및 루프 엔드를 갖는 도전체 루프를 또한 갖는다면 증가될 수 있다. 이 상황에서, 2개의 도전체의 루프 스타트들은 편의상 유도성 부품을 우회하기 위해서 우회로를 경유해 서로 접속된다. 2개의 도전체의 2개의 루프 엔드는 편의상 직접적으로 서로 접속되어서, 2개의 루프가 유도성 부품을 형성하도록 한다.
특히 높은 전류 응용의 경우에, 이는 유도성 부품의 전기적 도전체(들)가 모선(busbar)들로서 형성된다면 유리하다. 예를 들어 구리로 만들어진, 특별히 리본 형태의 모선이 특히 적어도 100 m2, 특히 적어도 500 mm2의 큰 도전체 단면적을 갖는다. 유도성 부품이 예를 들어 리본에서의 절개 덕분에 형성된다면, 별도의 유도성 부분 없이 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유도성 부품은 매우 강건한 방식으로 기계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양호하게는 도전체 루프는 모선에 형성되어 이것이 모선의 평면에 놓이도록한다. 이것은 편의상 양쪽 도전체와 양쪽 모선을 가진 경우이다.
단순한 제조법과 조합되는 강건한 설계는 유도성 부품이 웜(worm) 형태로 된 도전체 루프라면 또는 웜들의 형태로 된 다중 도전체 루프를 포함한다면, 양호하게는 각각의 모선에 하나의 웜이 있다면 달성될 수 있다.
높은 전류들에서, 과전류 버퍼 또는 유도성 부품은 큰 기계적 힘들에 좌우된다. 과전류 버퍼에 대한 큰 기계적 강도는 서로의 위에 평평하게 위치가 정해져 있는 평평한 도전체들로서 형상이 이루어지는, 2 개의 모선을 갖는 과전류 버퍼덕분에 확보될 수 있다. 클램핑 버팀대는 2개의 모선을 서로에게 확고하게 접속할 수 있다.
유도성 부품의 형태에 상관없이, 우회로 및 유도성 부품(가능하게는 모선들과 같은 유도성 부품들의 다중 구성요소)이 클램핑 버팀대에 의해 함께 눌리어진다면 유리하다. 누전(fault)의 경우에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한 서로로부터의 이러한 구성요소들의 원치 않는 분리가 저지될 수 있다. 서로에 대한 구성요소들의 압력은 편의상 적어도 10 N/cm2에, 특히 적어도 50 N/cm2이다.
유도성 부품은 모선들의 영역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2 개의 모선 간의 전기적 접속은 편의상 우회로를 경유해 그리고 도전체 구성요소를 경유해 하는 것 둘 모두에 의해 이뤄지는데, 이는 별개의 구성요소이거나 두 개의 모선 중 하나의 부분일 수 있다. 도전체 구성요소는 편의상 유도성 부품의 일부이다.
이는 유도성 부품이 2개의 모선 또는 이것들의 부분들을 가지고, 그 각각이 웜으로서 형성되는 도전체 루프를 가지고, 두 개의 웜이 서로의 위에 그 위치가 정해진다면 마찬가지로 양호한 기계적 강도에 도움이 된다. 두 개의 웜은 클램핑 받침대에서의 압력에 의하여 서로에게 확고하게 기계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편의상, 2개의 웜은 웜 내부에서 직접적으로 서로에게 접속되고, 각각의 경우에 우회로를 경유해 웜의 스타트에서 그러하다. 이것은 기계적으로 강건한 인덕턴스가 단순한 방식으로 산출되도록 허용한다.
우회로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이것이 2개의 모선 사이의 플레이트로서 그 위치가 정해진다면 유리하다. 이 상황에서, 플레이트가 모선들의 두께의 절반 이하이고, 특히 그 두께의 1/4이하이어서 플레이트의 재료가 과전류 사건 시에 신속하게 가열되도록 한다면 이는 편의상의 것이다.
우회로가 2개의 모선 사이의 하나 이상의 스트립들로서 그 위치가 정해지는 것이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플레이트 위에 있는 스트립의 장점은 과전류가 그를 통해 흘러야만 하는 도전체 단면적이, 플레이트의 경우에서보다 스트립의 경우에서 실질적으로 더 작다는 것인데, 이는 우회로가 더 빨리 가열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과전류 사건 시에 2개의 도전체 또는 모선과 관련하여 우회로의 원치 않는움직임을 저지하기 위해서, 우회로가 절연체에 내장되는 것이 제안된다.
과전류 사건 시에 매우 심한 자기력의 경우에서라도 우회로를 제자리에 쉽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기 위해, 우회로가 두 개의 U자형 가지의 각각이 한 모선에 대하여 평평하게 놓여 있는 U 시트로서 형성된다면 유리하다. 우회로는 모선들에 대하여 평평하게 놓인 U자형 가지들 덕분에 클램핑 버팀대에서의 압력에 의하여 매우 확고하게 붙들려 있을 수 있다. 더욱이, 과전류는 인쇄회로기판과 관련하여 더 작은 도전체 단면적을 가진 U자형 만곡부를 통과하도록 강제되어 U자형 만곡부의 고속 가열이 달성될 수 있도록 한다.
절연체는 동일 이점에 기여하도록 2개의 모선 사이에 배열되며, 여기서 우회로는 절연체를 둘러싼다. 절연체는 기계적 수단에 의해 우회로에 대하여 확고하게 눌려질 수 있다.
이미 언급한 대로, 과전류 버퍼가 우회로를 경유하여 서로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또한 표면 압력에 의하여 클램핑 버팀대에서 서로에 대하여 기계적으로 눌려지는 두 개의 모선을 갖는다면 유리하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유닛을 포함하는 컨버터 모듈에서 특히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컨버터 모듈은 편의상 컨버터 모듈을 DC 전력 전송선로에 접속하기 위한 두 개의 DC 공급 선로를 포함한다. DC 공급 선로들은 편의상 에너지 저장소로서 그들 간에 배열되는 커패시터를 갖는다. 직렬로 전기 유닛을 커패시터에 접속하는 것은 커패시터로부터의 전류가 버퍼링되도록 허용하며, 전기 유닛은 보호될 수 있다.
컨버터 모듈은 다수의 컨버터 모듈을 갖는 컨버터 배열의 일부일 수 있는데, 컨버터 모듈들은 2 x 3 직렬로 접속되고, 3개의 직렬 회로의 외부 접속들 각각은 컨버터 배열의 DC 전압 측을 형성한다.
지금까지의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의 설명은 개별 하위 청구항들에서 재현되는 수많은 특징들을 포함하는데, 몇몇 경우들에서는 다중 인용이 되도록 조합되는 방식으로 그렇게 된다. 이런 특징들은 편의상 또한 개별적으로 고려될 수 있고 또한 그러나 유용한 추가 조합들이 되도록 조합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특징들은 각각이 개별적으로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가지고 및 독립 청구항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유닛을 가지는 것 둘 모두에 의한 임의의 적절한 조합으로 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방법 특징들은 명사형들로 표현되는 대응 장치 유닛의 속성으로서 간주되는 것이 또한 의도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속성들, 특징들, 및 이점들과, 또한 이들이 달성되는 방식은 다음의 예시적 실시예들의 설명과 연계하여 보다 구별되게 이해될 것이고, 상기 예시적 실시예들은 도면과 연계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예시적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에 이용되며, 본 발명을 그 가운데 지적된 특징들의 조합으로만 제한하지 않는데, 심지어 기능적 특징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게다가, 이 목적에 적합한 각각의 예시적 실시예의 특징들은 또한 따로 분리되어 명시적으로 고려되고, 예시적 실시예로부터 제거되고,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추가되기 위하여 이것에 도입되고 및/또는 청구항들 중 임의의 것과 조합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도 1은 직렬로 접속되는 다수의 HVDC 전력 모듈을 갖는 자기 전류형 HVDC 컨버터를 보여준다.
도 2는 2개의 스위치, 커패시터, 2개의 과전류 버퍼 및 우회로를 갖는 HVDC 전력 모듈을 보여준다.
도 3은 두 개의 모선과 우회로를 가진 도 2로부터의 과전류 버퍼의 구성도 도해를 보여준다.
도 4는 도입된 유도성 부품와 우회로를 가진 두 개의 모선의 두 개의 엔드를 보여준다.
도 5는 조립된 형태에서의 도 4로부터의 3개의 구성요소를 보여준다.
도 6은 과전류 버퍼를 위한 2 개의 등가 회로를 보여준다
도 7은 대안 형태에서의 우회로를 절연체에서의 스트립으로서 보여준다.
도 8은 U자형 시트의 형태로 된 추가적 우회로를 보여준다.
도 9는 2개의 모선 사이의 도 8로부터의 우회로의 측면도를 보여준다, 및
도 10은 과전류 버퍼를 형성하는 모선들의 S형상의 배열을 보여준다.
도 1은 삼상 전류 입력(4)에서의 삼상 전류를 직류 출력(6)에서의 직류 또는 그역으로 변환하기 위한 자기 전류형 HVDC 컨버터의 형태로 된 컨버터 배열(2)을 보여준다. 컨버터(2)는 직렬로 접속된 컨버터 모듈들로서 형성되는 다의 전기 유닛(8)을 가지고 있어서, 삼상 전류 입력(4)으로부터의 3개의 삼상 전류 위상의 각각이 제각기 체인을 경유해 직류 출력(6)을 위한 2개의 직류 위상에 접속되도록 한다. 외부 접속들이 컨버터 배열(2)의 DC 전압 측을 형성하는, 2 x 3 병렬 접속된 직렬 회로 R1, R2, R3에서의 컨버터 모듈들의 배열은 높은 전류 레벨들을 갖는 높은 전압이 순서대로 정돈되도록 허용한다.
전압의 관점에서 볼 때 서로에게 반대 극성으로 접속되는 두 개의 직렬 회로 R1, R2, R3 사이에, 삼상 전류 입력(4)의 3개의 AC 전압 접속 중 하나를 형성하는 개개의 중간 접속의 위치가 정해지고, 그러므로, 전위를 기준으로 할 때 상위 컨버터 모듈(8)과 도 1의 2개의 직렬 회로 R1, R2, R3 간에 그 위치가 정해진다.
컨버터 배열(2)의 전기 유닛(8)은 동일하게 형성되고 도 2에서 더 상세하게 제시된다. 각각의 컨버터 모듈(8)은 두 개의 스위치(10)를 포함하는데, 이들은 각각이 IGBT로서 형성되고 또한 kA 범위에서의 전류들과 kV 범위에서의 전압들을 스위칭하도록 설계된다. 대안적으로, 단지 하나의 스위치(10) 또는 더 많은 스위치(10)가 있을 수도 있다. 2개의 스위치(10)는, 전위를 기준으로 DC 전압 출력(12) 2개의 극 사이에 직렬로 그 위치가 정해지고, AC 입력(14) 중 어느 한 극은 DC 전압 출력(12)의 한 극에 결합되고, 그 외의 AC 입력(14)은 전위를 기준으로 두 개의 스위치(10) 사이에 그 위치가 정해진다.
DC 전압 출력(12)의 2개의 극 사이에 -입력과 출력은 변환을 위한 전류의 방향에 따라서 이해되도록 의도됨 - 커패시터(16) 및 두 개의 과전류 버퍼들(20)이 접속된다. AC 전압 출력(14)의 2개의 극 사이에 우회로(18)가 접속된다. 우회로(18)는 컨버터 모듈(8)에서의 누전(fault) 사건 시에 AC 전압 출력(14)의 2개의 극을 단락시키기 위해 플런저(plunger)를 발사시키기 위한 기폭 전하(pyrotechnic charge)를 포함한다. 우회로(18)는, 예를 들어 양쪽 스위치들(10)이 동시에 할성화되어서, 커패시터(16)가 내부 단락 상태에 있는 두 개의 스위치(10)를 경유해 방전하도록 하는 것과 같은 누전 상황을 식별하는 모니터(도시 안됨)에 의해서 작동된다. 모니터는 이후 우회로(18)를 작동시켜서 컨버터 모듈(8)이 우회되고 또한 직렬 회로 R1, R2, R3에서 제거되도록 한다. 제어 전자 장치는 컨버터 모듈(8)에서 누전 또는 고장을 식별하고 그에 따라 직렬 회로 R1, R2, R3의 나머지 컨버터 모듈들(8)을 작동시켜서 전류 변환이 정규 동작으로 계속되도록 한다. 대안적으로, 우회로(18)가 DC 전압 출력(12)의 2개의 극 사이에서 스위칭되어서, 커패시터(16)가 바람직하게는 우회로(18)를 통해 방전하도록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도 2의 회로는 다수의 방식 중 한 예에 불과한데, 이 방식들에서 동작 전압은 예를 들어 도 2로부터의 커패시터(16)를 경유하여 그런 것처럼 전기 부품을 경유해 절연 파괴(break down)할 수 있고, 보호 효과가 과전류 버퍼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런 면에서, 본 발명은 도 2에서의 배열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3은 2개의 과전류 버퍼들 중 하나(20)의 구성 측면도를 보여준다. 도시된 두 개의 전기 도전체가 있는데, 이것들은 몇 센티미터의 폭을 갖는 리본 형상의 모선들(22)로서 형성된다. 두 개의 모선(22) 사이에, 추운 상태에서 우회로(24)로서 사용되고 또한 두 개의 모선(22)을 서로 전기적 접속하는 분리기 플레이트가 배치되어 있다. 2개의 모선(22) 및 우회로(24)를 포함하는 패키지가 그 자신의 주위에 형성되는 클램핑 버팀대(26)를 갖고, 상기 클램핑 버팀대는 두 개의 전기적 절연 플레이트(28) 및 힘의 작용 방향을 가리키고 있는 화살표들에 의해 도 3에 표시되어 있다. 클램핑 버팀대(26)는 우회로(24)에 대하여 평평하게 2개의 모선(22)을 누르고, 따라서 기계적으로 안전한 방식으로 서로에 대하여 이들을 붙들어 둔다.
도 3에서의 도해는 도식적으로 과전류 버퍼(20)의 설계를 보여주는데, 여기서 두 개의 모선는 그들 사이에 배열되는 우회로(24)에 의하여 전기적 접속된다. 실제상, 과전류 버퍼는 다른 기하구조드 및 배열들을 가질 수 있다. 특정의 기하구조들 및 배열들이 다음 도면들에서 제시된다.
2개의 모선(22)의 엔드들의 실시예가 도 4에 제시된다. 두 개의 모선(22) 각각은 관련 모선(22)에서의 절개들(32)에 의해 산출되었고 자신들 내에 위치된 웜 형상의 도전체 루프(30)를 갖는다. 도전체가 단속선들로 도시된 선을 따라 추적될 때, 각각의 도전체 루프(30)는 대응하는 방식으로 흐르는 전류 덕분에 유도 효과를 산출하는 원형 감기를 형성한다.
도 4의 좌측상에 도시되는 도전체 루프(30) 아래에 도시된 것은 분리기 또는 우회로(24a)이다. 이 예시적 실시예에서, 이것은 그 중심이 시트에서 윈도 형태로 된 개구부(34)에 제공되게 하는 평탄 스테인레스 강으로 구성된다. 우회로(24a)의 재료는 구리에 대한 것보다 적어도 3배 더 높은 온도 계수 α 를 갖는데, 양쪽 값들은 실내 온도에 관계된다. 특히 우회로(24a)는 V2A 스테인레스 강으로 만들어진다.
도 4의 우측상에 도시되는 도전체 루프(30) 아래에 도시된 것은 두 개의 모선(22)처럼 구리로 만들어지는 도전체 구성요소(36)이다. 도전체 구성요소(36)의 두께는 우회로(24a)의 플레이트의 두께와 필적하는데, 양쪽 경우에 1 mm이다. 도전체 구성요소(36)는 우회로(24a)의 윈도 유사 개구부(34) 내로 맞추어지는데, 적어도 대부분의 경우에는 이를 채운다.
도 4에 도시되는 4개의 구성요소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 5에서 서로의 위에 그 위치가 정해지도록 도시된다. 클램핑 버팀대(26)의 두 개의 플레이트(28)는 명료성을 위해 없는 것으로 하였다. 제일 바닥에는 자신의 도전체 루프(30)를 가지면서 좌측으로부터 뻗어 나오는 모선(22)가 자리잡고 있다. 그 위에 자리잡은 것은 개구부(34) 내로 삽입되는 도전체 구성요소(36)를 가진 강철 시트이다. 다음으로 그 위에 자리잡은 것은 자신의 도전체 루프(30)를 가지며 좌측으로 라우팅되는 모선(22)이다. 이 영역에서의 두 개의 도전체 루프(30) 및 모선(22)는 유도성 부품(38)을 형성한다.
우회로(24a)는 두 개의 도전체 루프(30)의 두 개의 루프 스타트를 서로에게 직접적으로 전기적 접속한다. 이 경우에, 루프 스타트는 모선(22)의 도전체 단면적이 좁아져서 도전체 루프(30)가 되도록 융합되는 지점이다. 루프 엔드, 말하자면 도전체 루프(30)의 웜의 내측 엔드는 이 경우에 도전체 구성요소(36)를 경유해 다른 모선(22)의 루프 엔드에 전기적 접속된다.
추운 상태에서, 말하자면, 실내 온도에서 또는 100℃ 이하의 온도에서, 전류는, 도 5에서 단속선 화살표들을 통해 표시된 대로, 우회로(24a)를 통해서 어느 한 모선(22)로부터 다른 모선으로 흐른다. 전류 방향은 이 경우에 무관하다.
이 상황이, 원리상, 전류 흐름이 도 4에 도시되는 화살표들을 따라 달리기 위한 가능성, 말하자면 좌측 모선(22)의 도전체 루프(30)를 통해, 도전체 구성요소를 통과해 위쪽에서 우측 모선의 웜 루프의 내부 내로 및 거기에서부터 추가로 우측으로 진행하여 한 감기를 이루는 가능성을 갖기는 하지만, 본질적으로 두번의 감기를 갖는 전류 경로는 높은 유도성 저항을 갖는데, 이는 전류가 도 5에 도시된 대로 대부분이 우회로(24a)를 통해 진행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좌측 모선(22)로부터 나와서, 이것은 도 5에서 두 개의 화살표의 가까운 점선 세그먼트들에 의해 표시되었듯이, 우회로(24a)를 통해서 위쪽으로 진행할 것이다. 다음 차례로, 전류 흐름은 상위 우측 모선(22)에서 더욱 우측 방향으로 뻗어나갈 것이다. 감기들의 형태로 흐르는 적은 분량의 전류를 제외하고, 전류의 단연코 가장 많은 부분이 낮은 유도 효과를 갖는 과전류 버퍼(20)를 통해 흐를 것이다.
컨버터 모듈들로서 형성되는 전기 유닛(8)의 정규 동작 동안, 상이한 전류 강도들을 갖는 전류가 과전류 버퍼(20)를 통해 흐를 것이고, 정규 동작 동안 발생하는 최대 전류는 도 5에 도시된 전류 경로를 선택할 것이다. 모선(22) 단면적 및 재료의 선택 및 우회로(24a)의 기하 구조는 우회로(24a)기 전류의 흐름에 대항하여 낮은 비 리액턴스형 저항만을 설정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우회로(24a)의 재료는 전기 도전체 또는 모선들(22)의 것보다 실질적으로 더 큰 비저항을 갖는데, 이것은 과전류 버퍼(20)를 통한 전류 흐름이 결국 소정의 전력 손실에 시달린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우회로(24a)의 가열이라는 결과를 낳는데, 결과적 열은 두 개의 모선(22)에 의해 열이 소산됨에 따라 불균형화되는데, 그러나 이것은 최대 전류에서조차도 도달되는 온도가 너무 낮아서 전력 손실이 도 5에 도시된 전류 경로를 허용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전류가 정규 동작 동안 가능한 최대 전류를 넘어서 상승한다면, 말하자면 전류가 과전류가 되면, 이후 우회로(24a)의 온도는 계속 상승한다. 우회로(24a)의 재료의 온도 계수 α에 따라서, 이후 전력 손실은 전류와의 2승으로 증가할 뿐만 아니라 마찬가지로 상승하는 전기 저항의 결과로서 대응하여 더욱 더 커지는 범위까지 증가한다. 온도 계수 α는 구리의 온도 계수의 10배를 넘는다.
우회로(24a)의 재료의 전기 저항 및 온도 계수 α 및 또한 기하 구조, 특히 과전류 버퍼(20) 또는 우회로(24a)를 통한 전류의 가장 큰 부분이 흐르는 그런 지역들의 도전체 단면적은 최대 가능한 전류에서의 우회로(24a)의 온도가 정규 동작 동안 상당히 작게 남아 있어서 우회로(24a)를 통한 전류 경로가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대로 유지되도록 이후 설정된다.
다른 한편, 예로서, 정규 환경 하에서의 최대 전류보다 50배로 정의된 전류 강도,특히 10배만큼의 정의된 전류 강도로부터 그런 것처럼 과전류 상황에서, 우회로(24a)의 온도는 전기적 도전율이 적어도 전류의 지배적 흐름이 더 이상 우회로(24a)를 통과해 나아가지 않는 그러한 범위까지 상승하도록 의도된다. 과전류의 최대 부분은 도 4에서 단속선들에 의해 보여진 것처럼, 이제 과전류 버퍼(20)의 유도성 부품(38)을 통하여 라우팅된다. 2개의 모선(22) 사이의 경로는 이 경우에 도전체 구성요소(36)에 의해 덮힌다. 우회로(24a)는 이제 개회로화되고, 과전류의 작은 부분이 여전히 우회로(24a)를 통해 흐를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후자가 여전히 소정의 도전율을 보유하기 때문이다. 이 거동은 우회로(24a)가 전류 스위치형 과전류 스위치, 말하자면 자신을 통해 흐르는 전류에 기초하여 스위칭하는 스위치라는 것을 의미한다.
우회로(24a)의 기하 구조는 과전류가 과전류 버퍼(20a)를 통하여 흐르고 또한 정규 환경 하에서의 최대 전류의 50배, 특히 10배만큼의 전류 강도를 가질 때, 우회로(24a)의 온도는 1 ms 내에 적어도 300℃까지 상승하도록 설계된다. 게다가, 우회로(24a)의 전기 저항은 동시에 이것의 최대 정칙값의 적어도 10배까지 상승한다. 이것은 우회로(24a)를 그러한 과전류 상황에서 개회로화되는 전류 스위치형 과전류 스위치로 변화시킨다.
과전류 버퍼(20)에 대한 등가 회로도가 정상 동작에 대해서는 도 6에서 상부 영역에 제시되고, 누전의 경우 말하자면 과전류 동작에 대해서는 하부 영역에 제시된다. 저항 R1은 2개의 모선(22)의 비 리액턴스형 저항을 나타내고, 저항 R2는 우회로(24a)의 비 리액턴스형 저항을 나타낸다. 유도성 부품 L은 유도성 부품(38)의 것, 즉 도전체 구성요소(36)를 가진 2개의 모선(22)의 2개의 도전체 루프(30)의 것이다. 무누전 동작 동안, 전류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흐르고, 우회로(24a)의 저항 R2는 2개의 모선(22)의 것 이외의 추가적 비 리액턴스형 저항을 나타내는데, 이것은 우회로(24a)가 차가운 상태에 있을 때 낮다. 2개의 모선(22)의 저항 R1도 또한 낮다. 유도성 부품(38)의 인덕턴스 L도 마찬가지로 낮은데, 그 이유는 전류가 우회로(24a)를 통한 루프들 없이 적어도 명백하게 지배적으로 흐르고, 병렬로 배열되는 유도성 부품(38)을 통과하지 않기 때문이다.
누전 사건 시에, 우회로(24a)의 저항 R2는 매우 날카롭게 상승하는데, 이는 우회로(24a)을 통한 전류의 흐름이 이제 거의 무의미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저항 R2를 통한 경로는 차단되고 제외된다. 2개의 모선(22)의 저항 R1은 약간 더 높은데, 그 이유는 전류 경로가 연장되고 도전체 루프들(30)에서의 도전체 단면적이 모선들(22)의 남아있는 영역을 통한 것보다 더 작기 때문이다. 하지만, 도 4에 표시된 것처럼, 전류 흐름의 루프 형상 프로필의 결과로서 인덕턴스 L에서의 상당한 증가가 있다. 유도성 부품(38)은 자신의 유도성 저항을 발달시키는데, 이 덕분에 전기 에너지의 일부분이 유도성 부품(38) 주위에서 또는 후자를 통하여 자기 에너지로 변환된다. 이는 전류 스파이크의 전류 강도를 낮추고, 스위치들(10) 및 전기 유닛(8)에 대한 손상이 전체적으로 감소된다. 자기 에너지는 전류가 떨어질 때만, 말하자면 전류 스파이크의 하류시에만 전기 에너지로 되돌려 변환되고, 그러므로 전류 펄스를 넓힌다. 그러나, 전류 펄스의 지속시간이 과전류의 최대 전류 강도보다 실질적으로 덜 결정적이므로, 자기 에너지의 전기 에너지로의 이런 복귀는 더 작은데, 그 이유는 커패시터에서의 사전에 저장된 에너지의 상당 부분이 이미 열 손실(저항형 손실)로 변환되었기 때문이다. 남아있는 자기 에너지는 전기 에너지로 되돌려 변환되고 이후 다시 한번 자기 에너지가 되도록 변환된다. 이런 감쇠형 주기적 진동은 본질적으로 모든 에너지가 열 손실이 되도록 변환될 때까지 지속된다.
도 7은 절연체(42) 내에 내장되는 우회로(24b)에 대한 상이한 배열을 가진 과전류 버퍼(20b)를 보여준다. 하기 설명은 본질적으로 선행 예시적 실시예를 넘어서는 차이점들에만 국한되고, 동일하게 남아 있는 특징들 및 기능들에 관해서는 선행 예시적 실시예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진다.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남아 있는 부분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참조 기호들에 의해 표시될 것이며, 언급되지 않은 특징들은 다시 기술되는 일 없이 선행의 것들로부터 제각기 후속 예시적 실시예들에서 채택된다.
도 7은 도 5와 유사하게 좌측 및 하위의 모선(22) 및 이것의 웜 형상 도전체루프(30)의 중심에 그 위치가 정해지는 도전체 구성요소(36)를 보여준다. 도 4 및 도 5로부터의 스테인레스 강 플레이트 대신에, 모선(22)의 엔드는 전기적 절연 플레이트의 형태로 자신에게 잘 들어맞는 절연체(42)를 가지고, 이 절연체는 다음으로 우회로(24a) 방식으로 개구부(34)를 포함한다. 이 개구부(34)는 우회로(24a)와 비슷하게 절연체(42)와 클램핑 버팀대의 전체 압축을 고려할 때 대략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도전체 구성요소(36)를 포함한다.
우회로(24b)는 절연체(42)에서의 리세스(44)에 삽입되는 금속 스트립으로 축소되었다. 우회로(24b)의 또는 금속 스트립의 두께는 절연체(42)의 두께와 동일하다. 이 구조의 정상에는 이제 도 5로부터의 우측 모선(22)가 설정되는데, 이는 그러나 명료성을 기하기 위해 도 7에 도시되지 않았다.
우회로(24b)를 통한 전류 경로는 도 5의 것과 본질적으로 동일하지만, 우회로(24b)의 도전체 단면적은 우회로(24a)와 비교하여 실질적으로 감소된다. 이것은 우회로(24b)의 재료가 과전류 사건 시에 실질적으로 더 빨리 가열되어, 우회로(24b)가 더 빨리 개회로화되고 과전류는 2개의 도전체 루프(30)를 통하여 강제되는데, 즉 유도 효과(38)가 더 빨리 나타나는 이점을 갖는다. 그에 따라서, 도 6으로부터의 저항 R1은 도 4 또는 도 5로부터의 우회로(24a)의 경우에서보다 정규 동작 동안 다소 더 높다. 증가된 전력 손실은 적절한 냉각 구성 요소에 의해 냉각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다양한 기하 구조의 우회로(24c)를 갖는 추가적 과전류 버퍼(20c)는 도 8에서는 평면도로 도 9에서는 측면도로 보여진다. 우회로(24c)는 스테인레스 강으로 만들어지 U자형 시트로서 형성되고, 이것의 U자 형상은 양쪽 측상에서 절연체(48)의 에지 주위로 안내된다. 우회로(24c)의 2개의 U자형 가지는 각각이 절연체(48)와 모선(22) 사이에 클램핑된다. 클램핑 버팀대(26)의 두 개의 플레이트(28)는 외부상에 배열되고, 이들은 명료성을 위해 도 8에 보여지지 않았다.
이 기하 구조는 우회로(24c)가 클램핑 버팀대(26)에서 확고하게 클램핑된 두 개의 U자형 가지를 가져서, 강한 유도 자계 하에서도 그 위치에서 밀려나지 않는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게다가, 우회로의 U자형 만곡에 의해 형성되는 도전체 단면적은 상대적으로 작아서, 이 기하 구조에도 불구하고, 신속한 스위칭 우회로(46)가 과전류 상황에 대해 달성된다. 게다가, 전력 손실은 상대적으로 쉽게 외부로부터 식혀질 수 있다.
도 10은 도 3과 유사하게 과전류 버퍼(20d)를 보여주지만, 도 8 및 도 9로부터의 우회로(24c)가 이용된다. 그러나, 두 개의 모선(22d)이 U자형 만곡에서 2개의 절연체(50) 주위로 안내되고, 상기 절연체들은 절연체(50)가 적절한 방식으로 기계적으로 고정될 때 상위 모선(22d)이 좌측으로 이동되는 것과 하위 모선(22d)이 우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막는다. 이것은 그 2개의 플레이트(28)를 가진 클램핑 버팀대(26)와 더불어서, 과전류 버퍼(20d)의 매우 강건한 기계적 탑재가 달성되게 허용한다.
도면부호의 목록:
2 컨버터 배열
4 삼상 전류 입력
6 DC 출력
8 전기 유닛
10 스위치
12 DC 전압 출력
14 AC 입력
16 커패시터
18 우회로
20a-d 과전류 버퍼
22 모선
24a-c 우회로
26 클램핑 버팀대
28 플레이트
30 도전체 루프
32 절개부
34 개구부
36 도전체 성분
38 인덕턴스
42 절연체
44 리세스
48 절연체
50 절연체

Claims (15)

  1. 전기 에너지를 자기 및 열 에너지가 되도록 변환하는 유도성 부품(38)에 의해 과전류 손상에 대항하여 전기 유닛(8)을 보호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우회로(24, 24a-c)가 상기 유닛(8)의 정규 동작 동안 상기 유도성 부품(38)을 우회하고, 전류는 상기 우회로(24, 24a-c)를 경유해 흐르고,
    상기 우회로(24, 24a-c)는 자신을 통해 흐르고 또한 상기 유닛(8)의 방해없는 동작 동안 도달가능한 전류값을 넘는 과전류에 의해 개회로화되어서, 잔류 전류가 상기 우회로(24, 24a-c)를 통해서 흐르는 것보다 더 많은 전류가 상기 유도성 부품(38)을 통해 흐르게 강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회로(24, 24a-c)는 상기 과전류에 의해 가열되고, 상기 가열된 상태에서도 정규 동작 동안에 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과전류의 일부를 도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전기 에너지를 자기 에너지로 변환시키기 위한 유도성 부품(38) 및 상기 유도성 부품(38)과 병렬로 접속되는 우회로(24, 24a-c)를 포함하는 과전류 버퍼(20a-d)를 갖는 전기 유닛(8)으로서:
    상기 우회로(24, 24a-c)는 자신을 통해 흐르고 또한 방해없는 동작 동안 도달가능한 전류값을 넘는 과전류에 의해 개회로화되는 전류 스위칭 과전류 스위치로서 형성되어서, 잔류 전류가 상기 우회로(24, 24a-c)를 통해서 흐르는 것보다 더 많은 전류가 상기 유도성 부품(38)을 통해 흐르게 강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유닛(8).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우회로(24, 24a-c)는 PTC 서미스터를 포함하는 전기적 도전체를 갖고, 상기 서미스터의 온도 계수 α는 상기 유도성 부품(38)의 도전체의 것보다 적어도 2 배, 특히 10 x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유닛(8).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성 부품(38)은 루프 스타트 및 루프 엔드를 갖는 도전체 루프(30)를 갖는 제1 도전체를 갖고, 상기 루프 스타트는 상기 우회로(24, 24a-c)를 경유해 간접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루프 엔드는 제2 도전체에 직접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유닛(8).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체는 루프 스타트 및 루프 엔드를 갖는 도전체 루프(30)를 갖고, 상기 두 개의 도전체의 상기 루프 스타트들은 상기 우회로(24, 24a-c)를 경유해 접속되고, 상기 두 개의 도전체의 상기 루프 엔드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유닛(8).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성 부품(38)은 리본으로서 형성되는 모선(22, 22d)을 갖고, 여기서 상기 유도성 부품(38)은 상기 리본 내로의 절개들(32)에 의해 모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유닛(8).
  8.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류 버퍼(20a-d)는 평평한 도전체들로서 형성되는 두 개의 모선(22, 22d)을 갖고, 두 개의 모선들은 서로의 위에 평평하게 그 위치가 정해지고, 상기 유도성 부품(38)을 형성하고, 상기 우회로(24, 24a-c)를 경유해 그리고 상기 유도성 부품(38)의 일부인 도전체에 의해 서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유닛(8).
  9. 제3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성 부품(38)은 두 개의 모선(22, 22d)을 갖고, 두 개의 모선들은 그 각각이 웜(worm)으로서 형성되는 도전체 루프(30)를 갖고, 상기 두 개의 웜이 서로의 위에 그 위치가 정해지고 또한 직접적으로 상기 웜 내부에서 서로에게 접속되고, 각각의 경우에 상기 우회로(24, 24-c)를 경유해 상기 웜의 스타트에서 서로에게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유닛(8).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우회로(24a)는 상기 두 개의 모선(22) 사이에 플레이트로서 그 위치가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유닛(8).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우회로(24b)는 상기 두 개의 모선(22) 사이에 스트립으로서 그 위치가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유닛(8).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우회로(24c)는 U자형 시트로서 형성되고, 두 개의 U자형 가지들 중 각각은 모선(22, 22d)에 대하여 평평하게 놓여있는 전기 유닛(8).
  13.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모선들(22, 22d) 사이에는 절연체(48)가 배열되고, 상기 우회로(24c)는 상기 절연체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유닛(8).
  14. 제3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류 버퍼(20a-d)는 상기 우회로(24, 24a-c)를 경유하여 서로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두 개의 모선((22, 22d)을 갖고, 표면 압력에 의하여 클램핑 버팀대(26)에서 서로에 대하여 기계적으로 눌리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유닛(8).
  15. 제3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기 유닛(8)과, 두 개의 DC 공급 선로와, 상기 DC 공급 선로 사이에 배열되는 커패시터(16)를 갖는 컨버터 모듈로서, 상기 커패시터는 상기 전기 유닛(8)과 직렬로 접속되는 컨버터 모듈.
KR1020167030137A 2014-04-08 2014-04-08 과전류 손상으로부터 전기적 모듈러 유닛을 보호하기 위한 방법 KR1018977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4/057080 WO2015154796A1 (de) 2014-04-08 2014-04-08 Verfahren zum schützen einer elektrischen baueinheit vor einem überstromschad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8258A true KR20160138258A (ko) 2016-12-02
KR101897725B1 KR101897725B1 (ko) 2018-09-12

Family

ID=50588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0137A KR101897725B1 (ko) 2014-04-08 2014-04-08 과전류 손상으로부터 전기적 모듈러 유닛을 보호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30240B2 (ko)
EP (1) EP3105766B1 (ko)
KR (1) KR101897725B1 (ko)
CN (1) CN106165037B (ko)
WO (1) WO20151547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39618B2 (en) * 2014-11-18 2022-02-01 Transportation Ip Holdings, Llc Bus bar and power electronic device with current shaping terminal 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a terminal connector
CN108702083B (zh) * 2016-02-12 2020-09-18 Abb电网瑞士股份公司 用于hvdc功率站的转换器模块
DE102016105662A1 (de) * 2016-03-29 2017-10-05 Wobben Properties Gmbh Verfahren zum Einspeisen elektrischer Leistung in ein elektrisches Versorgungsnetz mit einem Windpark sowie Windpark
DE102021203048A1 (de) * 2021-03-26 2022-09-29 Siemens Mobility GmbH Spiraleinricht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DE102021203996A1 (de) 2021-04-21 2022-10-27 Siemens Mobility GmbH Schaltungsanordnung für einen Stromrichte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62250B (sv) * 1988-10-13 1990-05-21 Asea Brown Boveri Anordning foer oeverstroemsskydd
US5382938A (en) * 1990-10-30 1995-01-17 Asea Brown Boveri Ab PTC element
DE4228297A1 (de) * 1992-08-26 1994-03-03 Siemens Ag Veränderbarer Hochstromwiderstand, insbes. zur Anwendung als Schutzelement in der Leistungsschalttechnik, und Schaltung unter Verwendung des Hochstromwiderstandes
DE4434819C5 (de) * 1994-09-29 2004-05-27 Abb Research Ltd. Vorrichtung zur Strombegrenzung
DE4441280C2 (de) * 1994-11-19 1998-08-27 Asea Brown Boveri Kaltleiter und Vorrichtung zur Strombegrenzung mit mindestens einem Kaltleiter
DE4441279C1 (de) * 1994-11-19 1995-09-21 Abb Management Ag Vorrichtung zur Strombegrenzung
JP2001509357A (ja) * 1996-12-17 2001-07-10 アセア、ブラウン、ボベリ、アクチエボラーグ 対象を過電流から保護するための、過電流低減および電流制限を有する装置及び方法
US5977861A (en) * 1997-03-05 1999-11-02 General Electric Company Current limiting device with grooved electrode structure
US5969928A (en) * 1997-12-03 1999-10-19 Gould Electronics Inc. Shunt for circuit protection device
US6300859B1 (en) * 1999-08-24 2001-10-0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ircuit protection devices
CN100372202C (zh) 2002-01-08 2008-02-27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突波电流抑制电路
US8588875B2 (en) 2010-01-21 2013-11-19 Superpower, Inc. Superconducting fault current-limiter with variable shunt imped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54796A1 (de) 2015-10-15
CN106165037A (zh) 2016-11-23
KR101897725B1 (ko) 2018-09-12
US10530240B2 (en) 2020-01-07
CN106165037B (zh) 2019-03-22
EP3105766B1 (de) 2018-11-14
US20170214312A1 (en) 2017-07-27
EP3105766A1 (de) 201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7725B1 (ko) 과전류 손상으로부터 전기적 모듈러 유닛을 보호하기 위한 방법
US5859772A (en) Parallel connection of controllable semiconductor components
US10354820B2 (en) Device for switching a direct current
US6094129A (en) PTC thermistor and a current limiter device having at least one PTC thermistor
US9208979B2 (en) High voltage DC breaker apparatus
JPH07170656A (ja) 電流回路用保護回路
Sander et al. Characterization of a countercurrent injection-based HVDC circuit breaker
US20160380428A1 (en) Voltage limiter
WO2011116832A1 (en) A hybrid circuit breaker
MXPA00005397A (es) Una red de supresion de ondas de impulso que responde a la tasa de cambio de perturbaciones de energia.
EP2320545B1 (en) Converter with voltage limiting component
US20160164296A1 (en) Module
CN112703675A (zh) 用于断开电流路径的开关设备
US20180115253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al assemblies
EP2849306A1 (en) Voltage source converter
US7245031B2 (en) Generator with integrated powerswitch
WO2018041338A1 (en) Short-circuit protection of a converter cell auxiliary power supply in a modular multi-cell converter
KR102571959B1 (ko) 전력 공급 서비스 네트워크에 통합될 수 있는 전류 제한 장치
US10381897B2 (en) Bus bar with integrated voltage rise time filter
US20220115863A1 (en) Static dc current-limiting switching system
SK9202001A3 (en) Method and device for protecting converters
CN110800078B (zh) 直流断路设备及其控制方法和非暂态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19145044A1 (en) Protection of switching cells for a voltage source converter
CN209822689U (zh) 高能冲击电流限制器、电压换流的变流器模块和电压中间电路变流器
KR20190119110A (ko) Dc 전압 네트워크에 대한 전압을 제한하기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