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7201A - 플래시 파노라마를 이용한 웹 기반 가상 야외 답사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플래시 파노라마를 이용한 웹 기반 가상 야외 답사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7201A
KR20160137201A KR1020150071989A KR20150071989A KR20160137201A KR 20160137201 A KR20160137201 A KR 20160137201A KR 1020150071989 A KR1020150071989 A KR 1020150071989A KR 20150071989 A KR20150071989 A KR 20150071989A KR 20160137201 A KR20160137201 A KR 20160137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site
providing server
flash
image
panoram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1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영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71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7201A/ko
Publication of KR20160137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72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04N5/23238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가상 야외 답사 제공 시스템은 플래시 파노라마를 이용하여 가상 야외 답사(Virtual Field Trip)를 수행하도록 하는 웹 사이트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 제공 서버 및 상기 웹 사이트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가상 야외 답사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웹 사이트 제공 서버는 웹 사이트에서 실제 답사 지역의 이미지를 플래시 파노라마 형태로 제공하고, 답사 지역의 지질 정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래시 파노라마 기술을 이용하여 웹 기반으로 가상 야외 답사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실제 야외 답사와 유사한 경험을 제공하여 야외 답사와 관련된 과목의 학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플래시 파노라마를 이용한 웹 기반 가상 야외 답사 제공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servicing web-based virtual field trip using flash panorama}
본 발명은 가상 야외 답사에 관한 것이다.
학습에는 실제-세계(real-world)를 포함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교사는 혹시 존재할지도 모르는 다양한 시각과 생각을 갖고 있는 학생들을 돕기 위해 살아있는 탐구 자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학생들은 읽고 질문에 답하는 것 이외에 다양한 경험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필요에 의해 교과서 밖으로 한 걸음 나아가는 한 방법이 야외 답사(field trip)이다.
야외 답사는 학생들이 학습하고 있는 소재를 더 잘 이해하도록 돕는 구성주의 도구이며 교사의 교육과정에 경험을 증가하게 하며, 형식적, 비형식적 학습의 다리이다. 야외 답사는 학생들 스스로의 능동적인 경험을 통해 지식을 구성해 가는 활동이며, 구성 주의적 학습을 할 수 있는 체험활동으로서 교실에서 학습한 내용의 구체적인 예를 제공하여 교육과정을 촉진시킨다. 또한 야외 답사 활동은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함으로써 탐구기능을 향상시키고 관찰내용을 개념과 연계시켜 학생들의 이해를 강화시켜 준다.
야외 답사는 학생들에게 교실에서 다룰 수 없는 물질과 현상을 직접 관찰하고 경험하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정의적인 측면에서 학습에 대한 관심과 즐거움을 더욱 크게 하며, 과학적 태도에 긍정적인 변화와 협동학습을 원활히 이루어지게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우리 주변의 자연현상을 탐구 대상으로 하는 과학의 학습에는 야외 답사를 통해 실 세계의 모습을 직접적으로 포함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교사들은 현실 세계로부터 충분한 야외 경험을 얻는 기회를 학생들에게 제공해야 한다.
야외 답사의 이러한 많은 장점 때문에 국내에서도 지질학을 중심으로 야외 학습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어 오고 있고, 야외 학습장에 대한 개발도 많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현행 과학 교수-학습 과정에서 학생들이 자연을 직접 관찰하고 체험하여 경험을 갖는 경우는 매우 드물고 실험실에서 모형실험을 하거나, 샘플의 이용, 시뮬레이션, 사진, 비디오 등을 활용하여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방식은 학생들이 자연 현상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초래하며, 이로 인해 자연을 총체적인 시스템으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부분적으로 이해하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
또한 개발된 야외학습장의 부족과 접근의 어려움, 교사 1인이 감당해야 할 많은 학생 수, 많은 학생들 인솔에 대한 교사의 부담감, 원거리로 인한 시간적, 경제적 문제, 야외지도에 대한 위험성, 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놀러가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는 우려, 야외 지질 답사 활동을 위한 훈련과 운영에 대한 어려움, 신체적 부자유, 수송문제 등 여러 가지 어려움 때문에 동아리 활동, 과학반 활동, 캠프활동 등 제한된 범위 내에서만 야외 지질 답사가 행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처럼, 현재 야외답사는 개발된 야외 학습장의 부족과 접근의 어려움, 학급 당 학생 수의 과밀화, 거리와 시간의 문제, 그리고 비용의 문제 등으로 극히 제한된 범위에서만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실제 야외 답사의 이점을 장점으로 살리면서 현실적인 어려움을 보완하기 위한 대안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452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실제로 야외에서 답사하지 않고도 유사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가상 야외 답사(Virtual Field Trip, 이하 'VFT'라 함)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상 야외 답사 제공 시스템은 플래시 파노라마를 이용하여 가상 야외 답사(Virtual Field Trip)를 수행하도록 하는 웹 사이트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 제공 서버 및 상기 웹 사이트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가상 야외 답사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웹 사이트 제공 서버는 웹 사이트에서 실제 답사 지역의 이미지를 플래시 파노라마 형태로 제공하고, 답사 지역의 지질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웹 사이트 제공 서버는 웹 사이트의 초기 화면에 지도를 제공하고, 상기 지도 상에서 단말기로부터 선택된 지역에 대한 플래시 파노라마를 포함하는 가상 야외 답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웹 사이트 제공 서버는 사용자의 학습 수준별로 내용을 달리하여 가상 야외 답사 정보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통하여 학습 수준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웹 사이트 제공 서버는 플래시 파노라마에서 답사 지역의 지질 정보 중에서 해당 지질을 구성하는 암석의 실제 표본 이미지를 제공하고, 암석의 박편을 확대한 이미지를 플래시 콘텐츠로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웹 사이트 제공 서버는 암석의 박편을 확대하여 개방 니콜 상태와 직교 니콜 상태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웹 사이트 제공 서버는 단말기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상기 개방 니콜 상태와 직교 니콜 상태의 이미지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플래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웹 사이트 제공 서버는 암석에 대해 실험을 실시한 것을 촬영한 실험 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웹 사이트 제공 서버는 웹 사이트에서 플래시 파노라마를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줌 인(Zoom in) 및 줌 아웃(Zoom out)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웹 사이트 제공 서버는 플래시 파노라마에서 해당 지역과 관련된 설명이 기록된 판넬(panel)을 근접하여 촬영한 접사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웹 사이트 제공 서버는 플래시 파노라마 이미지에서 장소 이동을 위한 장소 이동 아이콘을 제공하고, 상기 장소 이동 아이콘이 클릭되면 상기 장소 이동 아이콘이 위치한 지역과 연결된 세부 지역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말기와, 웹 사이트를 통해 상기 단말기에 가상 야외 답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가상 야외 답사 제공 시스템에서의 가상 야외 답사 제공 방법에서, 가상 야외 답사를 위해 예정된 지역을 촬영한 실제 답사 지역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파노라마 이미지를 합성하는 단계, 상기 파노라마 이미지를 이용하여 플래시 파노라마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플래시 파노라마에 함께 사용되는, 답사 지역의 지질 정보를 포함하는 플래시용 학습 보조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플래시 파노라마와 상기 플래시용 학습 보조 콘텐츠가 포함된 가상 야외 답사를 위한 웹 사이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웹 사이트 제공 서버는 웹 사이트의 초기 화면에 지도를 제공하고, 상기 지도 상에서 단말기로부터 선택된 지역에 대한 플래시 파노라마를 포함하는 가상 야외 답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웹 사이트 제공 서버는 사용자의 학습 수준별로 내용을 달리하여 가상 야외 답사 정보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통하여 학습 수준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웹 사이트 제공 서버는 플래시 파노라마에서 답사 지역의 지질 정보 중에서 해당 지질을 구성하는 암석의 실제 표본 이미지를 제공하고, 암석의 박편을 확대한 이미지를 플래시 콘텐츠로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웹 사이트 제공 서버는 암석의 박편을 확대하여 개방 니콜 상태와 직교 니콜 상태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웹 사이트 제공 서버는 단말기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상기 개방 니콜 상태와 직교 니콜 상태의 이미지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플래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웹 사이트 제공 서버는 암석에 대해 실험을 실시한 것을 촬영한 실험 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웹 사이트 제공 서버는 웹 사이트에서 플래시 파노라마를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줌 인(Zoom in) 및 줌 아웃(Zoom out)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웹 사이트 제공 서버는 플래시 파노라마에서 해당 지역과 관련된 설명이 기록된 판넬(panel)을 근접하여 촬영한 접사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웹 사이트 제공 서버는 플래시 파노라마 이미지에서 장소 이동을 위한 장소 이동 아이콘을 제공하고, 상기 장소 이동 아이콘이 클릭되면 상기 장소 이동 아이콘이 위치한 지역과 연결된 세부 지역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래시 파노라마 기술을 이용하여 웹 기반으로 가상 야외 답사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실제 야외 답사와 유사한 경험을 제공하여 야외 답사와 관련된 과목의 학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파노라마를 이용한 웹 기반 가상 야외 답사 제공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파노라마를 이용한 웹 기반 가상 야외 답사 제공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야외 답사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단말기 화면예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에서 가상 야외 답사 제공 웹 사이트에 접속한 화면예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가상 야외 답사(Virtual Field Trip, 이하 'VFT'라 함)에 대한 것이다.
VFT는 교육과정 속에 과학기술을 통합한 것으로서, 실제 지질 답사의 컴퓨터 기반 모의실험이며 우수한 웹 기반 교육 통합 활동이다. 또한 답사 활동(field work)의 효과적인 교수 학습을 위해 계획된 자원들이 집합되어 있으며, 이미지를 서로 연관시킨 집합체이다.
VFT를 활용하면 텍스트나 다른 미디어를 지원하고, 언제 어디서든지 답사지를 방문할 수 있으며, 가장 중요한 성질들을 관련지어 의도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VFT를 보다 활동적이며 실제 현실에 가깝게 체험할 수 있도록 하여, 이를 과학 교육에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필요성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학습자들이 3차원 가상공간에서 직접 학습 현장을 자유롭게 탐구하고 체험할 수 있도록 플래시 파노라마(Flash Panorama)를 웹과 접목한 새로운 형태의 VFT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파노라마를 이용한 웹 기반 가상 야외 답사 제공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파노라마를 이용한 웹 기반 가상 야외 답사 제공 시스템은 웹 사이트 제공 서버(100) 및 단말기(200)를 포함한다.
웹 사이트 제공 서버(100)는 웹 기반의 가상 야외 답사(VFT)를 다수의 단말기(200)에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웹 사이트 제공 서버(100)는 플래시 파노라마를 이용하여 가상 야외 답사를 수행하도록 하는 웹 사이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웹 사이트 제공 서버(100)는 웹 사이트에서 실제 답사 지역의 이미지를 플래시 파노라마 형태로 제공하고, 답사 지역의 지질 정보를 제공한다.
단말기(200)는 학생, 교사 등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통신망을 통해 웹 사이트 제공 서버(100)가 제공하는 가상 야외 답사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하면, 가상 야외 답사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웹 사이트 제공 서버(100)는 웹 사이트의 초기 화면에 지도를 제공하고, 지도 상에서 단말기로부터 선택된 지역에 대한 플래시 파노라마를 포함하는 가상 야외 답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웹 사이트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의 학습 수준별로 내용을 달리하여 가상 야외 답사 정보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단말기(200)를 통하여 학습 수준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웹 사이트 제공 서버(100)는 플래시 파노라마에서 답사 지역의 지질 정보 중에서 해당 지질을 구성하는 암석의 실제 표본 이미지를 제공하고, 암석의 박편을 확대한 이미지를 플래시 콘텐츠로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웹 사이트 제공 서버(100)는 암석의 박편을 확대하여 개방 니콜 상태와 직교 니콜 상태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웹 사이트 제공 서버(100)는 단말기(200)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개방 니콜 상태와 직교 니콜 상태의 이미지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플래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웹 사이트 제공 서버(100)는 암석에 대해 실험을 실시한 것을 촬영한 실험 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무암에 대하여 용액 반응을 실험하는 것을 촬영하여 그 동영상을 제공함으로써,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웹 사이트 제공 서버(100)는 웹 사이트에서 플래시 파노라마를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줌 인(Zoom in) 및 줌 아웃(Zoom out)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웹 사이트 제공 서버(100)는 플래시 파노라마에서 해당 지역과 관련된 설명이 기록된 판넬(panel)을 근접하여 촬영한 접사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지질학적 현상의 원리를 설명한 판넬을 플래시 파노라마로만 볼 경우, 해상도가 떨어지는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판넬 접사 이미지를 삽입하여 판넬의 글씨가 깨어지거나 흐려지지 않게 읽을 수 있도록 구현하며, 판넬의 내용을 추가 및 보완한 동영상을 삽입하여 시청각으로 이해도를 높이도록 구현한다.
웹 사이트 제공 서버(100)는 플래시 파노라마 이미지에서 장소 이동을 위한 장소 이동 아이콘을 제공하고, 장소 이동 아이콘이 클릭되면 장소 이동 아이콘이 위치한 지역과 연결된 세부 지역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동일한 웹 사이트라 하더라도, 아이콘을 클릭하여, 시간에 따라 이동하는 모습 또는 여러 관점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플래시 파노라마를 서로 연결하여 관찰와 이동의 자유도를 극대화하여, 구현하여 실제로 답사를 하는 느낌이 들도록 한다. 예를 들어, 장소 이동 아이콘을 이용하여 만장굴을 입구에서부터 내부까지 이동하면서 관찰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파노라마를 이용한 웹 기반 가상 야외 답사 제공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플래시 파노라마를 이용한 웹 기반 가상 야외 답사 제공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VFT 예정 지역의 실제 이미지를 촬영한다(S210). 예를 들어, 파노라마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하여, DSLR 카메라와, 수평 및 수직 회전이 가능한 파노라마 촬영용 전용 플레이트를 준비하여 이미지를 촬영한다.
그리고,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파노라마 이미지를 합성한다(S220).
그리고, 합성된 파노라마 이미지를 이용하여 플래시 파노라마를 제작한다(S230).
그리고, 플래시 파노라마에 함께 사용되는, 답사 지역의 지질 정보를 포함하는 플래시용 학습 보조 콘텐츠를 제작한다(S240).
그리고, 플래시 파노라마와 플래시용 학습 보조 콘텐츠가 포함되는 VFT 웹 페이지를 제작한다(S250).
그리고, 제작된 VFT 웹 페이지를 웹 사이트 제공 서버(200)에 업로드한다(S260).
도 3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야외 답사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단말기 화면예이다.
도 3 내지 도 19의 화면예는 단말기(2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예로서, 단말기(200)는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 PC 등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웹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는 전자기기를 모두 포함한다.
도 3 내지 도 19의 실시예는 가상 야외 답사(VFT)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한 경우의 화면예로서, 예를 들어 "http://cc.kangwon.ac.kr/~scivft"의 도메인을 갖는 웹 사이트에 접속한 화면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야외 답사 제공 웹 사이트에 접속하면 단말기(200)에 나타나는 초기 화면이다.
도 3에서 가상 야외 답사 제공 웹 사이트의 초기 화면에는 우리나라 지도가 표시되고, 사용자가 단말기(200)를 통하여 답사하고자 하는 지역을 선택하게 된다. 즉, 대한민국 전도에 마우스를 올려놓으면, VFT로 개발된 지역의 색이 변하면서 해당 지역명이 표시된다.
도 3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단말기(200)를 통하여 제주도를 선택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수준에 맞는 VFT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중학생(303), 고등학생(305), 예비교사(307) 아이콘을 클릭하면, 각 수준에 맞는 VFT를 제공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주도의 VFT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주도 VFT는 상단에 메뉴(410)가 표시되어 있고, 메뉴(410)는 VFT 안내, 제주도 이야기, VFT 활동지, VFT 수행하기, Q&A 의 메뉴 항목이 있다. 도 4는 VFT 안내 항목의 예이다. 그리고, 제주도 VFT의 상단에 현재 수준인 예비교사 표시(420)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서 VFT 안내 항목은 제주도 VFT 목표, 제주도 VFT 사용법, 관련 교과의 콘텐츠로 구성되어 있다.
VFT 안내는 제주도 VFT의 목표, 순서, 그리고 관련 교과의 부메뉴로 구성되어 있으며, 원활한 인터넷 학습 환경을 위해 플래시 기반으로 제작된다.
‘VFT 목표’에서는 학생들이 제주도 VFT를 통해 도달되기를 바라는 목표들을 제시하고 있으며, ‘VFT 순서’에서는 VFT 수행 순서에 대한 안내와 플래시 파노라마에 삽입되어 있는 다양한 아이콘들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고 있다.
도 8에서 VFT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아이콘과 그 설명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관련교과’에서는 교육과정과 연관되어 있는 교과 및 영역, 그리고 그 내용들을 제시한다.
도 5는 제주도 VFT 메뉴(410)에서 제주도 이야기 항목의 화면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주도 이야기 항목은 제주도의 마그마, 제주도 화산의 특징, 화산의 분화 형태, 현무암질 용암의 종류, 제주도 지형의 특징, 제주도 지질의 특징, 거문오름 용암동굴계의 콘텐츠로 구성되어 있다.
제주도 이야기 메뉴에서는 제주도 VFT 수행을 위한 사전학습을 위한 공간이며, 제주도에서 분출한 마그마의 특징, 제주도의 화산활동 역사 및 특징, 화산의 분화 형태, 현무암질 용암의 종류, 제주도 지형 및 지질의 특징 등 다양한 내용들을 담고 있으며, 이 공간 역시 원활한 인터넷 환경을 위해 플래시 기반으로 제작된다.
학생들은 ‘VFT 수행’에서 플래시 파노라마로 본격적인 제주도 VFT를 시작하기에 앞서 이 공간에서 제주도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과 학생들에게 조금은 생소한 화산지형에 관한 다양한 용어와 개념들을 학습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것들은 VFT 활동지에서 요구하는 관찰과 추리 활동을 위한 배경지식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6은 제주도 VFT 메뉴(410)에서 VFT 활동지 항목의 화면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VFT 활동지 항목은 대포동 주상절리대, 화순 해수욕장, 산방산, 송악산, 수월봉 응회환, 만장굴, 섭지코지, 성산 일출봉, 한라산 백록담과 용암동의 콘텐츠로 구성되어 있다.
‘제주도 VFT 활동지 ’버튼을 클릭하면, hwp 형식의 VFT 활동지 파일을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으며, 학생들은 이 공간에서 각각의 사이트에 대한 활동지를 보면서, 해당 사이트에서 어떠한 활동을 주로 하게 될 것인지를 사전에 파악할 수 있게 되어, VFT 활동에 보다 집중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개발한 VFT 활동지는 학습자의 수준으로 고려하여 세 수준으로 제작된다. 중학생은 주로 관찰을 위주로 제작하였으며, 고등학생, 예비교사로 올라 갈수록 활동지 내 추리의 비중을 늘려가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실제 야외 답사에서도 그대로 활용될 수 있도록 고려해 제작된다.
도 18은 대포동 주상절리대에 대한 중학생, 고등학생용 및 예비교사용 VFT 활동지의 예이다. 도 18에서 (a)는 중학생용 VFT 활동지이고, (b)는 고등학생용 VFT 활동지이고, (c)는 예비교사용 VFT 활동지의 예이다.
중학생용의 활동지는 주상절리에 대한 관찰과 그 특징을 확인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며, 주상절리가 주로 육각기둥 모양으로 형성되는 이유를 도형그리기 활동을 통해 알아보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고등학생용의 활동지는 대포동 주상절리대의 자세한 관찰을 바탕으로 주상절리가 잘 발달할 수 있는 환경에 대해 간단한 추리 활동이 추가되며, 예비교사용은 귀추법 과정에 따라 대포동 주상절리를 자세히 관찰해 보면서 특정한 현상이나 의문점등을 스스로 발견해보고, 그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가설을 직접 제시해보도록 제작된다.
도 7은 제주도 VFT 메뉴(410)에서 VFT 수행하기 항목의 화면예이다.
도 7을 참조하면, VFT 수행하기 메뉴는 실제로 학생들의 제주도 가상 답사 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다. 제주도 지도에는 VFT로 개발된 지역들이 적색의 점(701)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이 점에 마우스를 올려놓으면, 그 장소에서의 세부 답사 위치가 지도의 오른쪽 빈 공간에 나타나게 된다. 지도 위의 점을 클릭하거나, 세부 답사 지역을 클릭하게 되면, 해당 지역의 플래시 파노라마 이미지로 전환된다. 이 공간에서 학생들은 자신이 답사를 하길 원하는 지역을 선택해 제공된 활동지를 바탕으로 제주도 각각의 지역들에 대해 VFT를 수행하게 된다.
플래시 파노라마는 제주도의 화산 지형을 잘 보여줄 수 있는 수월봉, 송악산, 산방산, 화순해수욕장, 대포동 주상절리대, 한라산 백록담, 섭지코지, 성산일출봉, 만장굴을 중심으로 개발되어 있으며, 각각의 지역은 몇 개의 세부 지역들을 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플래시 파노라마 안에는 다양한 콘텐츠를 연결시켜 학생들의 VFT 활동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학생들은 각각의 플래시 파노라마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는 플래시 기반의 아이콘들을 클릭하여 다양한 학습 콘텐츠들을 볼 수 있다.
도 7에서 플래시 파노라마 화면에서, 하단에 마우스를 클릭하여 해당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거나, 줌 인(zoom in) 또는 줌 아웃(zoom out)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도 19는 화순 해수욕장의 플래시 파노라마에 현무암에 대한 암석 표본 채취 및 박편 관찰 콘텐츠가 연결된 예이다. 학생들은 암석의 육안관찰에서부터 편광 현미경상에서 관찰할 수 있는 암석의 조직까지 자신의 수준에 맞춰서 관찰할 수 있다. 암석의 박편관찰은 해당 암석의 실제 박편을 편광현미경을 이용하여 직접 촬영한 이미지로 제작되며, 해당 암석의 조직을 개방니콜 및 직교니콜 상에서 모두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제 편광현미경의 재물대를 돌려보듯이 학습자들이 직접 박편 이미지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15°씩 돌려보면서 암석을 이루고 있는 광물의 소광현상까지 관찰할 수 있다.
도 9는 한라산 백록담에서의 암석에 대한 실제 표본이다.
도 9의 암석의 실제 표본 화면에서 박편 관찰 아이콘(901)을 클릭하면 해당 암석의 실제 박편 사진이 디스플레이되며, 육안 관찰 아이콘(903)을 클릭하면 육안으로 보이는 암석의 사진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10은 도 9에서 박편 관찰 아이콘(901)을 클릭한 화면예이다.
도 10에서 박편 관찰 중에서 개방 니콜 상태의 사진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개방 니콜 아이콘(101)과, 직교 니콜 상태의 사진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직교 니콜 아이콘(103)이 표시된다.
도 11은 개방 니콜 상태의 사진이 도시된 화면예이고, 도 12는 직교 니콜 상태의 사진이 도시된 화면예이다.
도 11 및 도 12에서 '+15°' 아이콘(1101, 1201)과 '-15°' 아이콘(1103, 1203)을 클릭하여 15°씩 시계 방향이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관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암석을 이루고 있는 광물과 그 광물들의 다색성, 간섭색, 소광 현상 등을 관찰할 수 있도록 플래시 기반으로 제작된다.
도 13은 도 9에서 육안 관찰 아이콘(903)을 클릭한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암석의 육안 관찰 사진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예이다.
도 14는 만장굴의 제2 입구 부분에 대한 플래시 파노라마이다.
도 14에서 돋보기 아이콘(1401)과 물음표 아이콘(1403)이 도시되어 있다.
돋보기 아이콘(1401)을 클릭하면 해당 지형지물의 근접촬영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다.
물음표 아이콘(1403)을 클릭하면 VFT 활동지와 관련된 해당 지형 및 지질 현상에 대해 질문을 묻는 창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15는 도 14에서 돋보기 아이콘(1401)을 클릭한 경우의 화면예이다.
도 15에서, 해당 지형 지물을 근접하여 촬영한 이미지가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6은 도 14에서 물음표 아이콘(1403)을 클릭한 경우의 화면예이다.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물음표 아이콘(1403)을 클릭하면 해당 VFT 활동지와 관련된 해당 지형 및 지질 현상에 대한 질문이 표시된다.
도 17은 플래시 파노라마 화면에서 느낌표 아이콘을 클릭한 경우의 화면예이다. 느낌표 아이콘은 플래시 파노라마 화면에서 해당 지형 및 지질 현상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을 필요로 하는 부분에 위치하고 있으며, 클릭되면 보충 자료가 표시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A)에서 가상 야외 답사 제공 웹 사이트에 접속한 화면예이다.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 폰, PDA, 태블릿 PC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도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VFT 제공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VFT를 이용할 수 있다.
이처럼 지질학 관련 단원의 교수-학습에서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VFT 활동을 할 수 있다면, VFT 활동을 하기 위해 더 이상 컴퓨터실로 이동할 필요 없이 교실 책상에 앉아서 가상의 경험을 통해 탐구활동에 필요한 정보를 보다 쉽고 편하게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이점들은 학생들로 하여금 시간과 공간의 제약에서 보다 쉽게 벗어나 실제 자연에 가까운 모습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해주어 지질학적 현상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스마트폰을 통한 VFT의 활용은 실제 야외 답사 활동에서 학생들의 활동을 안내하거나 보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야외 지질 답사의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에서 플래시 파노라마를 이용한 웹 기반 VFT는 가상의 공간에서 학습자들로 하여금, 학습하게 될 지질학적인 자연현상의 모습을, 실제 자연에서 나타나는 형태와 규모를 실제와 거의 유사하게 관찰할 수 있으므로, 해당 현상의 이해를 촉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의 VFT는 그 교육적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웹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홈페이지 안에서 원하는 공간에 비순차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중학생용 활동지는 관찰을 통한 현상의 이해를 중심으로 제작되고, 고등학생용 활동지는 관찰과 추리를 통해 현상의 이해와 설명을 중심으로 제작되고, 예비교사는 귀추적 사고를 통한 관찰에 대해 규칙을 추리하고 가설을 생성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제작된다. 이렇게 사용자의 수준에 따라 중학생, 고등학생, 그리고 예비교사 3개 수준으로 구분하여 개발한 것은 VFT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을 자신의 수준에 맞춰서 답사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0 웹 사이트 제공 서버 200 단말기

Claims (20)

  1. 플래시 파노라마를 이용하여 가상 야외 답사(Virtual Field Trip)를 수행하도록 하는 웹 사이트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 제공 서버; 및
    상기 웹 사이트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가상 야외 답사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웹 사이트 제공 서버는 웹 사이트에서 실제 답사 지역의 이미지를 플래시 파노라마 형태로 제공하고, 답사 지역의 지질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야외 답사 제공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웹 사이트 제공 서버는 웹 사이트의 초기 화면에 지도를 제공하고, 상기 지도 상에서 단말기로부터 선택된 지역에 대한 플래시 파노라마를 포함하는 가상 야외 답사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야외 답사 제공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웹 사이트 제공 서버는 사용자의 학습 수준별로 내용을 달리하여 가상 야외 답사 정보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통하여 학습 수준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야외 답사 제공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웹 사이트 제공 서버는 플래시 파노라마에서 답사 지역의 지질 정보 중에서 해당 지질을 구성하는 암석의 실제 표본 이미지를 제공하고, 암석의 박편을 확대한 이미지를 플래시 콘텐츠로 삽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야외 답사 제공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웹 사이트 제공 서버는 암석의 박편을 확대하여 개방 니콜 상태와 직교 니콜 상태의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야외 답사 제공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웹 사이트 제공 서버는 단말기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상기 개방 니콜 상태와 직교 니콜 상태의 이미지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플래시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야외 답사 제공 시스템.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웹 사이트 제공 서버는 암석에 대해 실험을 실시한 것을 촬영한 실험 동영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야외 답사 제공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웹 사이트 제공 서버는 웹 사이트에서 플래시 파노라마를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줌 인(Zoom in) 및 줌 아웃(Zoom out)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야외 답사 제공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웹 사이트 제공 서버는 플래시 파노라마에서 해당 지역과 관련된 설명이 기록된 판넬(panel)을 근접하여 촬영한 접사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야외 답사 제공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웹 사이트 제공 서버는 플래시 파노라마 이미지에서 장소 이동을 위한 장소 이동 아이콘을 제공하고, 상기 장소 이동 아이콘이 클릭되면 상기 장소 이동 아이콘이 위치한 지역과 연결된 세부 지역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야외 답사 제공 시스템.
  11. 단말기와, 웹 사이트를 통해 상기 단말기에 가상 야외 답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가상 야외 답사 제공 시스템에서의 가상 야외 답사 제공 방법에서,
    가상 야외 답사를 위해 예정된 지역을 촬영한 실제 답사 지역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파노라마 이미지를 합성하는 단계;
    상기 파노라마 이미지를 이용하여 플래시 파노라마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플래시 파노라마에 함께 사용되는, 답사 지역의 지질 정보를 포함하는 플래시용 학습 보조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플래시 파노라마와 상기 플래시용 학습 보조 콘텐츠가 포함된 가상 야외 답사를 위한 웹 사이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야외 답사 제공 방법.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웹 사이트 제공 서버는 상기 웹 사이트의 초기 화면에 지도를 제공하고, 상기 지도 상에서 단말기로부터 선택된 지역에 대한 플래시 파노라마를 포함하는 가상 야외 답사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야외 답사 제공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웹 사이트 제공 서버는 사용자의 학습 수준별로 내용을 달리하여 가상 야외 답사 정보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통하여 학습 수준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야외 답사 제공 방법.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웹 사이트 제공 서버는 플래시 파노라마에서 답사 지역의 지질 정보 중에서 해당 지질을 구성하는 암석의 실제 표본 이미지를 제공하고, 암석의 박편을 확대한 이미지를 플래시 콘텐츠로 삽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야외 답사 제공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웹 사이트 제공 서버는 암석의 박편을 확대하여 개방 니콜 상태와 직교 니콜 상태의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야외 답사 제공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웹 사이트 제공 서버는 단말기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상기 개방 니콜 상태와 직교 니콜 상태의 이미지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플래시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야외 답사 제공 방법.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웹 사이트 제공 서버는 암석에 대해 실험을 실시한 것을 촬영한 실험 동영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야외 답사 제공 방법.
  18.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웹 사이트 제공 서버는 웹 사이트에서 플래시 파노라마를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줌 인(Zoom in) 및 줌 아웃(Zoom out)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야외 답사 제공 방법.
  19.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웹 사이트 제공 서버는 플래시 파노라마에서 해당 지역과 관련된 설명이 기록된 판넬(panel)을 근접하여 촬영한 접사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야외 답사 제공 방법.
  20.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웹 사이트 제공 서버는 플래시 파노라마 이미지에서 장소 이동을 위한 장소 이동 아이콘을 제공하고, 상기 장소 이동 아이콘이 클릭되면 상기 장소 이동 아이콘이 위치한 지역과 연결된 세부 지역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야외 답사 제공 방법.
KR1020150071989A 2015-05-22 2015-05-22 플래시 파노라마를 이용한 웹 기반 가상 야외 답사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372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989A KR20160137201A (ko) 2015-05-22 2015-05-22 플래시 파노라마를 이용한 웹 기반 가상 야외 답사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989A KR20160137201A (ko) 2015-05-22 2015-05-22 플래시 파노라마를 이용한 웹 기반 가상 야외 답사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7201A true KR20160137201A (ko) 2016-11-30

Family

ID=57707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1989A KR20160137201A (ko) 2015-05-22 2015-05-22 플래시 파노라마를 이용한 웹 기반 가상 야외 답사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720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28424A1 (ko) * 2017-01-04 2018-07-12 가이아쓰리디 주식회사 3차원 지리 정보 시스템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1962635B1 (ko) * 2017-09-22 2019-03-27 문지용 위치기반 추억데이터 기록 및 회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28424A1 (ko) * 2017-01-04 2018-07-12 가이아쓰리디 주식회사 3차원 지리 정보 시스템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US11127201B2 (en) 2017-01-04 2021-09-21 Gaia3D Inc. Method for providing 3D GIS web services
KR101962635B1 (ko) * 2017-09-22 2019-03-27 문지용 위치기반 추억데이터 기록 및 회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Azawi et al. Exploring the potential of using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for STEM education
Carrera et al. Teaching with AR as a tool for relief visualization: Usability and motivation study
Resch et al. Web-based 4D visualization of marine geo-data using WebGL
Matuk The learning affordances of augmented reality for museum exhibits on human health
Abend et al. Maps as geomedial action spaces: considering the shift from logocentric to egocentric engagements
Sural Mobile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s in education
Kerski Innovative instruction using field surveys, interactive maps, dashboards, and infographics
Serin Augmented Technologies in the education: AR apps.
Chang et al. Teaching geography with technology—a critical commentary
Craciun et al. Augmented reality in Romanian science education pros and cons
KR20160137201A (ko) 플래시 파노라마를 이용한 웹 기반 가상 야외 답사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luyol et al. Augmented reality: A new direction in education
Putra et al. Construction of Immersive Experiences: Development of Virtual Reality Technology to Facilitate Physical Geography Learning
Mesárošová et al. Augmented reality as an educational tool of M-learning focused on architecture and urban planning
Hirve et al. Data visualisation using augmented reality for education system
Santos et al. Development of handheld augmented reality X-ray for K-12 settings
Bokhove et al. Augmenting mathematics with mobile technology
Hagge The rise and stagnation of Google Earth VR: dashing the hopes of immersive geography classrooms?
Yi A study on English vocabulary learning utilizing augmented reality
Kerski Types of Story Maps
Reponen et al. Mobile interaction with real-time geospatial data by pointing through transparent Earth
Wang et al. User requirements analysis for a mobile augmented reality tool supporting geography fieldwork
Slocum et al. Evaluating the potential of the GeoWall for geographic education
Wang User-centered design of a mobile application using a combination of augmented reality and maps for geo-fieldwork education
Liarokapis et al. Experiencing personalised heritage exhibitions through multimodal mixed reality interfa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