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5611A - Installation device of light-weight and high-load for access floor panel for a beam - Google Patents

Installation device of light-weight and high-load for access floor panel for a bea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5611A
KR20160135611A KR1020150069205A KR20150069205A KR20160135611A KR 20160135611 A KR20160135611 A KR 20160135611A KR 1020150069205 A KR1020150069205 A KR 1020150069205A KR 20150069205 A KR20150069205 A KR 20150069205A KR 20160135611 A KR20160135611 A KR 20160135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s
floor panel
parallel
rib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92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82530B1 (en
Inventor
김면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광
Priority to KR1020150069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2530B1/en
Publication of KR20160135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56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2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25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05Flo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58Framework supporting the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device for installing a light-weight high-load access floor panel for a beam element. A floor panel (100) comprises: a rectangular upper plate (110) of a prescribed standard; a middle cross-shaped rib (120) having a prescribed height on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10), and crossing on a middle portion thereof; a plurality of parallel ribs (130) symmetrical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iddle cross-shaped rib (120) in parallel with a beam element (200); and a plurality of perpendicular ribs (140) symmetrical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iddle cross-shaped rib (12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eam element (200). The upper plate (110), the middle cross-shaped rib (120), the parallel ribs (130), and the perpendicular ribs (140)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The parallel ribs (130) and the perpendicular ribs (140) corresponding to each other have different shapes and thicknesses.

Description

보요소용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 플로어 패널 설치장치{INSTALLATION DEVICE OF LIGHT-WEIGHT AND HIGH-LOAD FOR ACCESS FLOOR PANEL FOR A BEAM}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w-weight heavy-duty access floor panel mou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보요소의 상면에 설치되는 이중마루 바닥재인 알루미늄 억세스 플로어 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H-Beam 또는 사각관과 같은 보요소의 상면에 직접 설치하되 최소의 저중량으로 높은 강성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보요소용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 플로어 패널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uminum access floor panel which is a double floor flooring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a beam element and more specifically to a floor panel which is installed directly on the upper surface of a beam element such as an H-beam or a square tube, Weight access floor panel mounting apparatus for a small-size heavy-load type access floor panel mounting apparatus.

고정밀 부품 및 제품 제조 공정에서 거의 모든 작업들은 클린룸에서 진행된다. 클린룸(clean room)은 각종 공정장비가 놓여 지거나 반송수단의 이동을 위한 정밀한 수평 바닥과 플래넘(plenum)을 비롯한 전기배선 등의 은폐, 그리고 습기 차단과 정전기 제어 역할을 겸하는 이중마루 시스템으로 시설된다.In high-precision parts and manufacturing processes, almost all work is done in a clean room. The clean room is a double floor system that functions as a control device for humidity control and static electricity, as well as for covering various kinds of process equipments or for precise horizontal floor for moving the conveying means, concealing electrical wiring including plenum, do.

이러한 이중마루(access floor)구조에 의한 이중마루 시스템은 클린룸 뿐 아니라 전산실, 기계실, 반도체 장비실 및 일반 사무실 등에서 별도의 배관 또는 전선 트레이를 설치하지 않고 패널을 통하여 전선 및 통신선 등의 배선과 주요 장비의 집중공조가 가능하도록 기초 바닥에서 일정 높이로 떨어뜨려 사이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건축 내부 바닥 설치 구조물이다.This double floor system with access floor structure is used not only in the clean room but also in the computer room, the machine room, the semiconductor equipment room, and the general office, without the separate piping or the cable tray, To allow the centralized air conditioning system to be installed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foundation floor.

도 1은 이중마루로 시공된 일반적인 대형 클린룸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설명한 것으로 클린룸(10)은 억세스플로어(20)를 중심으로 클린룸 내부로 청정 공기를 공급하는 팬 필터 유닛(30) 및 플래넘(40)을 수용하는 상부공간(50)과 상기 상부공간(50)으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클린룸 바닥 아래로 배출시키는 플래넘(41)이 배치된 하부공간(51)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억세스플로어(20)의 하부공간(51)에는 클린룸(10) 내부에 설치되는 설비 및 장비(31)를 가동하는데 필요한 동력케이블(60)과 각종 원료를 공급하는 배관류(61), 클린룸(10) 내 설비의 작업을 지원하는 간접 작업 설비 및 장비(62)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러한 여러 가지 설비와 동력케이블(60) 및 배관류(61) 그리고 설비 및 장비(62)를 수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최소의 기둥(70) 위에 격자보 등의 보(80)를 설치하고 그 보(80)위에 억세스플로어(20)를 설치하는 방법으로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The clean room 10 includes a fan filter unit 30 for supplying purified air to the inside of a clean room around the access floor 20, And a lower space 51 in which a plenum 41 for discharging the air supplied from the upper space 50 below the clean room floor is disposed. The lower space 51 of the access floor 20 is provided with a power cable 60 required for operating equipment and equipment 31 installed in the clean room 10 and a piping 61 for supplying various raw materials, And is adapted to accommodate indirect work equipment and equipment 62 that supports the operation of the equipment in the room 10 and which accommodates such various equipment and power cable 60 and piping 61 and equipment and equipment 62 It is general to secure a space by installing a beam 80 such as a grid beam on the minimum column 70 and installing the access floor 20 on the beam 80 for the purpose.

도 2와 도 3은 종래의 일반적인 보요소 위에 억세스플로어를 시공하는 상태의 설명도로서 도 2는 콘크리트 격자보(80) 위에 H-빔(81) 등의 보요소 구조물을 설치하고 그 윗면을 따라 억세스 플로어 패널(21)을 설치한 상태의 예로서 각각의 억세스 플로어 패널(21)의 모서리 부분에는 지지패드(90)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설치한 예이고, 도 3은 기초바닥(71)에 포스트(70)를 세우고 그 위에 사각관(82)과 같은 보요소를 격자형태로 시공한 다음 그 위에 억세스 플로어 패널(21)을 설치하여 억세스 플로어(20)을 형성한 것을 보여주고 있다.2 and 3 illustrate a state in which an access floor is installed on a conventional general beam element. FIG. 2 shows a structure in which a beam element structure such as an H-beam 81 is provided on a concrete grid beam 80, 3 is an example in which the access floor panel 21 is installed to be supported by the support pads 90 at the corners of the respective access floor panels 21 as an example of the state in which the access floor panel 21 is installed. 70, and a beam element such as a square tube 82 is installed on a grid-like structure, and then an access floor panel 21 is installed thereon to form an access floor 20.

상기한 바와같이 H-빔(81)이나 사각관(82)과 같은 보요소는 콘크리트 격자보(80) 또는 포스트(7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며, 격자보와 포스트의 간격과 보요소의 설치방법은 상기의 예에 한정하지 않고 설치 현장의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eam elements such as the H-beam 81 and the square tube 82 ar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crete grid beam 80 or the post 70 and the spacing between the grid beam and the posts and the installation The metho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and may be installed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situation of the installation site.

종래에는 사각형인 바닥패널의 네 모서리에 네개의 지지대를 사용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으며, 바닥패널이 보요소의 상부에 설치되는 경우라도 바닥패널의 네모서리만 지지되도록 하였다. 또한, 보요소 상부에 설치되는 바닥패널의 경우 보요소와 평행한 바닥패널의 2 변이 평소 미소한 간격을 가진 채로 보요소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가 바닥패널의 상부에서 높은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보요소와 평행한 2 변이 아래로 처지면서 보요소에 지지되도록 설계하여 직접 지지되는 부분의 강도 상승은 물론 바닥패널의 지지점이 증가하여 바닥패널의 중앙부에서도 강성이 증가되도록 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Conventionally, a method of using four supports at four corners of a rectangular floor panel has been used, so that only four corners of the floor panel are supported even when the floor panel i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beam element. In the case of a floor panel installed at the upper part of the beam element, two sides of the floor panel parallel to the beam element are installed at the upper part of the beam element with a small interval, and when a high load is applied at the upper part of the floor panel, A method is proposed in which the rigidity of the floor panel is increas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floor panel by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directly supported portion as well as increasing the support points of the floor panel.

그러나, 상기의 방법만으로는 보요소와 평행한 2 변의 강도 증가분에 해당하는 만큼의 설계 강성 변경으로 얻는 중량의 절감효과가 비교적 낮다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However,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the above-described method alone has a relatively low saving effect on the weight obtained by the change of the design stiffness corresponding to the increase in strength of the two sides parallel to the beam element.

또한, 평행하게 설치된 보요소의 상부 면에 바닥패널의 설치시 설치방향을 정확하게 맞추어 설치하여야 하는데 이와 같은 설치방향을 정확히 구분하여 바닥패널의 설치시 또는 설치 후 재설치를 하는 경우 설치방향의 확인이 용이하지 않아 자칫 보요소에 지지되지 않도록 설치될 경우 강도가 매우 취약하여 붕괴될 우려가 매우 높다는 위험성이 지적되고 있다.Also, it is necessary to install the floor pane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rallel beam in a precise manner when installing the floor panel. It is easy to check the installation direction when the floor panel is installed or reinstalled after installation. It is pointed out that there is a danger that the strength is very weak and the possibility of collapse is very high.

또한, 일반적으로 이중마루용 바닥패널의 하부에 클립 또는 나사못으로 직접 부착되어지는 공기흐름 조절용 댐퍼 또는 흡수용 패드를 부착하는 경우 나사못 또는 댐퍼, 패드의 두께(1 ~ 5mm)로 인한 간섭으로 바닥패널을 설치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In general, when a damper or an absorbing pad for adjusting the airflow, which is attached directly to a lower portion of a floor panel for a double floor, is attached with a clip or a screw, interference due to a thickness (1 to 5 mm)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 not be installed.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0874호(공고일. 2015. 01. 12)[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No. 10-1480874 (Published on Jan. 2015)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바닥패널의 구성을 최소의 제품 중량으로 하면서도 높은 강성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보요소용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 플로어 패널 설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w-load, heavy-load type access floor panel installation apparatus for a companion, which is capable of realizing high rigidity while minimizing the weight of the bottom panel structure It has its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사각형인 바닥패널의 평행한 양변 중앙에 추가의 지지점이 발생하여 바닥패널의 중앙부의 강성이 증가하게 되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인 지지력을 갖는 이중마루의 설치가 가능한 보요소용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 플로어 패널 설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a low-floor heavy-load type accessory for a small-sized compartment capable of installing a double floor having a more stable supporting force by allowing an additional supporting point to be generated at the center of both sides of a parallelepiped of a rectangular floor panel, There is provided a floor panel installation apparatus.

또한, 본 발명은, 바닥패널의 하부면에 공기 흐름 조절용 댐퍼 또는 케미컬 미스트 등을 흡수하는 필터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 보요소용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 플로어 패널 설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ow-load, heavy-load type access floor panel installation apparatus for a companion, which facilitates installation of a filter for absorbing airflow control damper or chemical mist or the like on a lower surface of a floor panel.

아울러, 본 발명은, 인접하는 보요소의 사이에 바닥패널을 설치시 자체 강성이 올바르게 작용하는 방향으로 정확하게 설치되도록 안내하여 패널의 오설치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한 보요소용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 플로어 패널 설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w-load, heavy-load type access floor for a small-sized booth for guiding the installation of a floor panel between adjoining beam elements so as to accurately install the floor panel in a direction in which its own rigidity works correctly,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panel mounting apparatu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초바닥에서 일정 높이로 떨어뜨려 사이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며, 일정한 폭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보요소; 상기 보요소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인접하는 보요소와의 사이를 연결하는 바닥패널; 상기 보요소와 바닥패널의 사이에 끼워 설치되는 지지패드를 포함하는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 플로어 패널 설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닥패널은, 일정한 규격의 사각형상으로 된 상판; 상기 상판의 저면에 일정한 높이를 가지며 중앙부에서 교차되도록 형성된 중앙╋자형리브; 상기 중앙╋자형리브의 양측에 각각 대칭으로 설치되며, 상기 보요소와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구비된 복수의 평행방향리브; 및 상기 중앙╋자형리브의 양측에 각각 대칭으로 설치되며, 상기 보요소와 직각의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구비된 복수의 직각방향리브; 가 일체로 구성되되 상호 대응하는 상기 평행방향리브와 직각방향리브는 각각 서로 다른 형상과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beam element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height to form a space therebetween, A floor panel fixedly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eam element and connecting adjacent beam elements; And a support pad sandwiched between the beam element and the floor panel, wherein the floor panel comprises: a top plate in a rectangular shape of a predetermined size; A central rib shap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at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and intersecting at a central portion; A plurality of parallel ribs symmetricall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ribs and installed to be parallel to the ribs; And a plurality of right angle ribs provid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rib-shaped ribs and install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beam elements; The parallel ribs and the rectangular rib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re formed in different shapes and thicknesses, respectivel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평행방향리브는, 각각 대응하는 직각방향리브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ibs in the parallel direction are formed to b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corresponding rectangular direction ribs, respectivel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평행방향리브는 상기 바닥패널의 양측 외곽에 위치하는 평행외측리브; 상기 평행외측리브의 안쪽에 위치하는 평행내측리브;및 복수개의 평행보강리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allel ribs are parallel outer ribs located on both outer sides of the floor panel; A parallel inner rib positioned on the inner side of the parallel outer ribs, and a plurality of parallel reinforcing rib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직각방향리브는 상기 바닥패널의 양측 외곽에 위치하는 직각외측리브; 상기 직각외측리브의 안쪽에 위치하는 직각내측리브;및 복수개의 직각보강리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aid right angle ribs are right angle outer ribs located on both outer sides of said floor panel; A right angle inner rib located inside the right angle outer rib, and a plurality of right angle reinforcing rib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평행외측리브는, 상기 평행내측리브의 높이 대비 1/3 이하의 높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allel outer ribs are formed at a height of 1/3 or less of the height of the parallel inner rib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평행외측리브는 양측 바닥패널시공부와의 연결부에 응력분산을 위한 라운드연결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allel outer rib is provided with a round connection part for stress dispersion at a connection part between the two side floor panel seal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라운드연결부는 라운드 최소 반지름이 10mm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und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such that the minimum radius of the round is larger than 10 mm.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직각보강리브는, 중앙부분의 높이가 양측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며, 비스듬한 경사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tangular reinforcing rib is formed such that the height of the center portion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both sides, and the inclined portion is inclin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패드는 상기 바닥패널의 모서리에 구비된 바닥패널시공부와의 결합상태를 인지하도록 돌출된 복수개의 방향설정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a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rection-setting projections projected to recognize the state of engagement with the bottom panel seam provided at the corner of the bottom pane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패드는 변의 길이가 다른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패드에 대응하는 바닥패널시공부도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ing pads ar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different length from each other, and the bottom panel fac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upporting pads is also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닥패널시공부는 내부에 중앙으로 돌출된 오삽입방지턱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panel seam is provided with an erroneous insertion prevent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cent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닥패널의 저면에는 댐퍼가 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amper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or panel.

본 발명은, 이중마루 시스템을 이루는 알루미늄소재의 바닥패널을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된 보요소에 설치하면서 불필요한 살빼기를 수행하여 적합한 강성을 가지면서도 소재 가격이 비싼 알루미늄소재의 제품당 필요한 소요중량을 최소화하여 제조비용을 줄이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n aluminum floor panel constituting a double floor system is installed on a beam element installed in a parallel direction, and unnecessary weight reduction is performed to minimize the weight required for an aluminum material having a suitable rigidity and high material cos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또한, 본 발명은, 보요소의 강성을 최대한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요구되는 강성의 수준에 최적의 중량으로 바닥패널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aking it possible to manufacture the floor panel with the optimum weight at the level of rigidity required to use the rigidity of the beam element as safely as possible.

또한, 본 발명은, 이중마루 시스템의 바닥패널의 설치시 바닥패널의 설치방향이 바뀌어 강성이 저하됨을 방지하도록 하여 더욱 안정적인 이중바닥의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more stable double floor installation by preventing the rigidity of the floor panel from being changed by changing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floor panel when the floor panel of the dual floor system is installed.

도 1은 이중마루로 시공된 일반적인 대형 클린룸의 개략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콘크리트 격자보위에 설치된 H-빔형 보요소에 억세스플로어를 시공하는 상태의 설명도.
도 3은 종래의 포스트위에 설치된 사각관형 보요소에 억세스플로어를 시공하는 상태의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닥패널의 하부면의 구조적 특성을 보인 사시도.
도 5a)는 도 4의 평면도.
5b)는 도 4의 우측면도
5c)는 도 4의 저면도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요소의 상부에 바닥패널이 설치된 상태도로서, a)는 보요소와 평행한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의 도면이고,
b)는 보요소와 직각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의 도면임.
도 7은 도 4의 A - A선 단면부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소한 틈을 가지도록 설치된 바닥패널의 중앙부에서 하중이 가해질 때 변형이 발생되어지는 양상을 나타낸 것으로,
a)는 하중이 가해지기 전의 상태이고,
b)는 하중이 가해져 변형이 발생하는 상태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브의 형상을 보인 단면도로서,
a)는 도 4의 B - B선 단면도이고,
b)는 도 4의 C - C선 단면도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요소에 직각인 중앙╋자형리브의 형상에 따른 하중 인가시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평행내측리브와 동일한 높이로 균일한 리브높이를 갖는 랜드부가 없는 경우 보요소에 변형을 보이는 예이고,
b)는 도 4의 D - D선 단면도로서 평행내측리브의 지지로 인한 지지점 거리 단축에 의한 강도 증가분을 반영하여 리브의 높이를 낮추고 랜드부를 형성하여 중량을 최적화한 것임.
도 10은 도 4의 E - E선 단면도로서 직각보강리브의 형상을 나타낸 것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패드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패드와 바닥패널시공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정상적인 바른 방향으로 설치된 상태이고,
b)는 잘못 설치되어 오삽입방지턱과 방향설정돌기가 상호 간섭된 상태를 보여주는 것임.
도 13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바닥패널에 댐퍼가 조립된 상태의 저면 사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typical large clean room constructed with a double floor.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H-beam type beam element.
3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state in which an access floor is installed on a square tubular beam element installed on a conventional post.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 lower surface of a floor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A is a plan view of FIG. 4; FIG.
5b are shown on the right side of Fig.
5c is a bottom view of Fig.
FIG. 6 is a view showing a floor panel installed on an upper part of a beam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is a view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eam element,
b) is a view from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eam element.
FIG. 7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4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deformation is generated when a load is applied to a central portion of a floor panel installed with minute ga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state before a load is applied,
b) is a state where a load is applied and deformation occurs.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hape of a ri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 - B in Fig. 4,
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 - C of Fig.
FIG. 9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n a load is applied according to the shape of a central serpentine rib perpendicular to a beam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beam element is deformed when there is no land portion having the same height as the parallel inner rib and having a uniform rib height,
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 - D of Fig. 4, in which the height of the ribs is reduced and the land portion is formed by reflecting the increase in strength due to the shortening of the support point distance due to the support of the parallel inner ribs.
FIG. 10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E - E of FIG. 4, showing the shape of a rectangular reinforcing rib.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pad and the bottom panel seam are coupl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installed in the normal right direction,
b) shows the state where the erroneous insertion preventing jaw and the direction setting protrusion are mutually interfered with each other by mistake.
1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floor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damper is assembl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패널의 하부면의 구조적 특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바닥패널의 형상을 다양한 각도에서 관찰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5a)는 도 4의 평면도이며, 5b)는 도 4의 우측면도이고, 5c)는 도 4의 저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요소의 상부에 바닥패널이 설치된 상태도로서, a)는 보요소와 평행한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의 도면이고, b)는 보요소와 직각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의 도면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loor pan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floor panel viewed from various angles, 4 is a bottom view of FIG. 4, and FIG. 6 is a view showing a floor panel installed on a top of a beam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And Fig. 6B is a view in a state of being view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eam elemen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닥패널(100)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설치된 복수개의 보요소(200)의 상면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으로 설치방향에 따라 지탱하는 강성의 차이가 있도록 하여 반드시 정확한 방향성을 갖도록 설치해야만 요구하는 강성을 얻을 수 있다.The floor pane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a plurality of the beam elements 200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rigidity support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direction, The required rigidity can be obtained only by the installation.

상기 바닥패널(100)이 설치되는 보요소(200)는 H-빔이나 사각관과 같은 구조물로서 상면이 평평한 구조이어야 하며, 기초바닥에서 일정 높이로 떨어뜨려 사이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것으로, 복수개가 일정한 폭을 유지하면서 평행하게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The beam element 200 on which the floor panel 100 is installed is a structure such as an H-beam or a square tube and has a flat upper surface. They are installed parallel to each other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width.

따라서 상기 바닥패널(100)은 나란히 설치된 상기 보요소(20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인접하는 보요소(200')와의 사이를 연결하면서 설치되어 이중마루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floor panel 10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am element 200 installed side by side and connected to the adjacent beam element 200 ', thereby forming a floor.

상기 바닥패널(100)은, 일정한 규격의 사각형상으로 된 상판(110)과 상기 상판의 저면에 일체로 구비된 다수의 리브로 구성된다.The bottom panel 100 includes a top plate 110 having a rectangular shape and a plurality of ribs integrally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plate.

상기 상판(110)의 저면 중앙부에는 가장 큰 높이를 갖는 중앙╋자형리브(120)가 구비되어 상판(110)의 전체적인 강성을 갖도록 하였다.The central plate-shaped rib 120 having the largest height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110 to have the overall rigidity of the upper plate 110.

상기 중앙╋자형리브(120)는 상기 상판(110)의 저면에 일정한 높이를 가지며 중앙부에서 교차되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central ribs 120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110 to have a constant height and intersect at a central portion.

상기 중앙╋자형리브(120)의 상/하방향과 좌/우방향에는 각각 양측에 대칭으로 평행방향리브(130)와 직각방향리브(140)가 복수개씩 구비되어 있다.A plurality of parallel ribs 130 and a plurality of right-angled ribs 140 are symmetricall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rib-shaped ribs 120 in the upward / downward direction and the left / right direction.

상기 평행방향리브(130)는 설치시 보요소(200)와 평행한 상태를 이루는 리브이며, 상기 직각방향리브(140)는 설치시 상기 보요소(200)와 직각의 상태를 이루는 리브를 분류하여 명명한 것이다.The parallel direction ribs 130 are ribs that are parallel to the beam element 200 at the time of installation and the ribs that are perpendicular to the beam element 200 at the time of installation are classified It is named.

따라서, 상기 평행방향리브(130)는 설치방향이 상기 보요소(200)와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구비된 것으로 위치에 따라 다양한 높이를 갖도록 하여 적정의 강성을 갖도록 하며, 재료의 사용을 최소화하도록 가능한 높이를 낮추어 살빼기를 한 것이다.Accordingly, the parallel direction ribs 130 are provided so as to be install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eam elements 200, and have various heights depending on their positions, so as to have appropriate rigidity and to minimize the use of materials It is possible to lower the height possible to lose weight.

한편, 상기 평행방향리브(130)와 직각을 이루는 직각방향리브(140)는 상기 중앙╋자형리브(120)의 양측에 각각 대칭으로 복수개 설치되며, 상기 보요소(200)와 직각의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구비된 것이다.A plurality of rectangular ribs 140 perpendicular to the parallel direction ribs 130 are provid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ribs 120 and are instal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ectangular element ribs. .

복수의 직각방향리브(140)는 양측의 보요소(200)의 사이를 연결하는 구조이므로 바닥패널(100)의 강성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므로 상기 평행방향리브(130)보다는 강한 강성을 갖도록 하여야 한다.Since the plurality of right angle directional ribs 14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etween the beam elements 200 on both sides thereof, it is a very important part that affects the rigidity of the floor panel 100. Therefore, do.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바닥패널(100)을 이루는 일체로 구성된 부분이지만 상호 대응하는 상기 평행방향리브(130)와 직각방향리브(140)는 각각 서로 다른 형상과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allel ribs 130 and the rectangular ribs 140 are integrally formed as the bottom panel 100 but are formed in different shapes and thicknesses, respectively .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평행방향리브(130)는 각각 대응하는 직각방향리브(14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 4, the parallel direction ribs 130 are formed to b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corresponding rectangular directional ribs 140, respectively.

상기 평행방향리브(130)는 상기 바닥패널(100)의 양측 외곽에 위치하는 평행외측리브(131)와 상기 평행외측리브(131)의 안쪽에 위치하는 평행내측리브(132) 및 복수개의 평행보강리브(133)로 구성된다.The parallel direction ribs 130 include parallel outer ribs 131 located on both outer sides of the floor panel 100 and parallel inner ribs 132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parallel outer ribs 131, Rib 133 as shown in Fig.

상기 직각방향리브(140)는 상기 바닥패널(100)의 양측 외곽에 위치하는 직각외측리브(141)와 상기 직각외측리브(141)의 안쪽에 위치하는 직각내측리브(142) 및복수개의 직각보강리브(143)로 구성된다.The right-angle directional ribs 140 include right angle outer ribs 141 located on both outer sides of the floor panel 100, right inner ribs 142 located inside the right angle outer ribs 141, And a rib 143.

도 6a)는 보요소(200)에 직각인 변의 설치형상이고, 도 6b)는 보요소(200)에 평행인 변의 설치형상으로써, 상기 보요소(200)는 H-빔을 사용한 것을 도시하여 방향에 따른 바닥패널(100)의 설치상태를 잘 보여주고 있다.6A) is an installation shape of sides perpendicular to the beam element 200, and FIG. 6B is an installation shape of sides parallel to the beam element 200. The beam element 200 shows the use of H-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loor pane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바닥패널(100)과 보요소(200)의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패드(300)는 통상 3 ~ 4mm의 두께를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바닥패널(100)의 설치 방향을 규정하는 매우 중요한 기능을 갖는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pad 300 installed between the floor panel 100 and the beam element 200 has a thickness of 3 to 4 mm.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as a very important function for defining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vehicle.

상기 보요소(200)의 상면에 접촉되는 바닥패널(100)의 평행방향리브(130)와 직각방향리브(140)는 상호 설치간섭도피부를 형성하도록 한다.The parallel ribs 130 and the rectangular ribs 140 of the floor panel 100 which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beam element 200 form mutual installation interference skin.

즉,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패널(100)의 평행내측리브(132)와 직각외측리브(141)의 설치간섭도피부는 지지패드(300) 또는 바닥패널(100)의 변형시 보요소(200)의 단면 끝단부를 누르지 않도록 직각외측리브(141)와 평행내측리브(132)의 칫수보다 최소 1mm이상 낮아지게 형성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3 ~ 4.5mm 낮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6a), the installation interference between the parallel inner ribs 132 and the right outer ribs 141 of the floor panel 100 may cause the skin to be deformed when the support pad 300 or the floor panel 100 is deformed.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rib 200 at least 1 mm lower than the dimension of the right-angled outer rib 141 and the parallel inner rib 132 so as not to press the end face of the element 200, preferably 3 to 4.5 mm lower.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평행내측리브(132)와 보요소(200)의 사이는 바닥패널(100)의 상면에서 하중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 약 0.5 ~ 1.0mm 정도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틈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중이 작용할 경우 바닥패널(100)이 미소하게 처지면서 보요소(200)의 상부면에 닿아 지지되도록 유도한다.6B, when the load does not ac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anel 100, the spacing between the parallel inner rib 132 and the beam element 200 is about 0.5 to 1.0 mm And when the load acts on the floor panel 100, the floor panel 100 is slightly sagged so as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eam element 200 to be supported.

도 7은 도 4의 A - A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소한 틈을 가지도록 설치된 바닥패널(110)의 중앙부에서 하중이 가해질 때 변형이 발생되어지는 양상을 나타낸 것으로, a)는 하중이 가해지기 전의 상태이고, b)는 하중이 가해진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보요소(200)와 상기 보요소(200)의 상부에 설치된 바닥패널(100)의 특정 부분의 작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4, illustrating deformation when a load is applied at a central portion of a floor panel 110 provided with a minute g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 shows a state in which a load is applied, and explains the operation state of the beam element 200 and a specific part of the floor panel 100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eam element 200 Fig.

즉, 도 7a)는 일반적인 하중의 상태, 즉, 하중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보요소(200)의 상면과 바닥패널(100)의 저면에 형성된 직각내측리브(142)의 사이에 미소한 틈이 형성된 상태이고, 도 7b)는 바닥패널(100)의 상부에서 하중이 가해져 바닥패널(100)에 변형이 발생한 상태로서, 하중(F)가 가해지면 최초 평행내측리브(132)가 보요소(200)의 상면에 접촉하게 되며, 이후 상기 평행내측리브(132)의 끝단부가 받침점이 되어 회전축 역할을 하게 되면서 평행외측리브(131) 부분이 화살표(G)와 같이 들어올려지게 된다.That is, FIG. 7A shows a state in which a minute gap is form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beam element 200 and the right inner rib 142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or panel 100 in a normal load state, 7B is a state in which a load is appli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loor panel 100 to cause a deformation of the floor panel 100. When a load F is applied to the floor panel 100, 200 and then the end of the parallel inner rib 132 serves as a fulcrum to serve as a rotating shaft so that the parallel outer rib 131 is lifted up as indicated by the arrow G. [

이와 같이 바닥패널(100)의 변형이 계속되면 바닥패널의 직각내측리브(142)가 보요소(200)의 끝단부(S)에 닿아 누르게 되는데 상기 끝단부(S)는 작은 굽힘 하중에도 쉽게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When the deformation of the floor panel 100 continues, the rectangular inner rib 142 of the floor panel touches and presses the end portion S of the beam element 200, and the end portion S is easily deformed even with a small bending load.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보요소 상부에 설치되는 바닥패널의 접촉상태와 하중에 대한 변형발생의 양상을 고려하여 요구되는 하중에 최적인 형상과 중량을 가지도록 구성한 것으로 상기 보요소(200)에 평행인 평행방향리브(130)의 외곽 2개의 리브인 평행외측리브(131)와 평행내측리브(132)중 하중 인가시 보요소(200)의 상면에 닿아 지지되는 부분은 평행외측리브(131)보다 평행내측리브(132)가 되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have the shape and weight most appropriate to the required load in consideration of the contact state of the floor panel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eam and the occurrence of de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load, The parallel outer ribs 131 and the parallel inner ribs 132 which are the outer two ribs of the parallel ribs 130 ar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eam element 200 when the load is applied, So as to become the parallel inner rib 132.

즉, 평행내측리브(132)에 의해 지지되는 것은 지지점의 거리가 짧아지게 되는 것이므로 동일 중량으로 보다 높은 강성을 얻게 되며, 평행내측리브(132)가 직접 보요소(200)에 지지되게 되므로 평행외측리브(131)는 인접한 평행내측리브(132)의 높이 대비 1/3 이하에서도 설계하중을 만족하게 된다.That is,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points is shortened, the parallel inner ribs 132 are supported by the parallel inner ribs 132, The rib 131 satisfies the designed load even at 1/3 or less of the height of the adjacent parallel inner ribs 132.

따라서, 상기 평행외측리브(13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를 최소화 되게 형성하여도 무방하고, 평행내측리브(132)보다 1/3정도의 높이를 갖도록 살빼기를 하여도 무방하며, 소재중량의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4, the height of the parallel outer rib 131 may be minimized, and the parallel outer rib 131 may be made to have a height of about 1/3 of the parallel inner rib 132, The weight saving effect can be obtained.

이때, 짧은 시간에 순간적으로 가해지는 충격하중이나 비틀림 응력에 의한 국부파괴를 막기 위하여 상기 평행외측리브(131)는 모서리부분인 바닥패널시공부(150)와 평행내측리브(132)와의 연결부에서 큰 라운드를 갖는 라운드연결부(134)를 형성함으로써 하중의 분산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라운드연결부(134)의 최소 반경은 반지름 10mm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local destruction due to an impact load or a torsional stress momentarily applied in a short time, the parallel outer ribs 131 are formed to be large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bottom panel case 150 and the parallel inner ribs 132, By forming the round connecting part 134 having rounds, the load can be smoothly dispersed. It is preferable that the minimum radius of the round connecting part 134 is 10 mm or more.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브의 형상을 보인 단면도로서, a)는 도 4의 B - B선 단면도이고, b)는 도 4의 C - C선 단면도이다.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hape of a ri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FIG. 8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즉, 보요소(200)에 평행인 중앙╋자형리브(120)의 단면으로, 중앙부에 하중이 집중될 경우 파괴하중 강도의 극대화를 위해 중앙╋자형리브(120)는 평행방향, 직각방향 모두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구성하며, 직각외측리브(141)는 바닥패널(100)의 이동간 적재의 편의를 위해 평행내측리브(132)와 같은 높이로 구성한다.That is, when the load is concentrated at the center of the central rib-shaped rib 120 parallel to the beam element 200, the center rib-shaped ribs 120 are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in both the parallel direction and the right- And the right-angled outer ribs 141 are configured to have the same height as the parallel inner ribs 132 for the purpose of easy loading of the floor panel 100.

또한, 직각외측리브(141)의 강도를 보강하는 인접한 직각내측리브(142)의 높이는 바닥패널 후면에 부착되어 질 수 있는 댐퍼(400) 또는 케미컬 흡수패드의 밀착성을 확보하기 위해 평행내측리브(132)의 요홈부분과 높이가 갖도록 하며, 상기 직각내측리브(142)와 직각외측리브(141)의 사이를 연결하는 부분은 직각외측리브(141)의 파괴강도 향상을 위하여 일부분을 단처리하여 랜드부(121)를 형성한다.The height of the adjacent right-angled inner ribs 142 reinforcing the strength of the right-angled outer ribs 141 may be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parallel inner ribs 132 < RTI ID = 0.0 > And a portion connecting between the right inner corner rib 142 and the right outer corner rib 141 is formed by partially treating the portion of the right outer corner rib 141 in order to improve the breaking strength of the right outer corner rib 141, (121).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요소에 직각인 중앙╋자형리브의 형상에 따른 하중 인가시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평행내측리브와 동일한 높이로 균일한 리브높이를 갖는 경우 보요소에 변형을 보이는 예이고, b)는 도 4의 D - D선 단면도로서 평행내측리브(132)의 지지로 인한 지지점 거리 단축에 의한 강도 증가분을 반영하여 리브의 높이를 낮춰 중량을 최적화하되 지지점 간의 거리를 좁히기 위해 평행내측리브(132)와 높이가 동일한 짧은 구간의 랜드부(121)를 두어 지지력을 향상시킨 것이다.FIG. 9 shows a state when a load is applied according to the shape of a central rib shaped at right angles to a beam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is a rib having the same height as a parallel inner rib and having a uniform rib height 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in Fig. 4, in which the height of the ribs is reduced to reflect the increase in strength due to shortening of the support point distance due to the support of the parallel inner rib 132, A land portion 121 of a short section having the same height as that of the parallel inner rib 132 is provided to narrow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points.

상기 랜드부(121)의 길이는 보요소(200)의 취약부(S)에 리브가 직접 접촉하여 보를 눌러 변형시키지 않도록 보의 상면폭의 1/5 ~ 2/6의 길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ength of the land portion 121 is preferably 1/5 to 2/6 of the width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eam so that the rib is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weak portion S of the beam element 200 to not deform the beam.

도 10은 도 4의 E - E선 단면도로서 직각보강리브의 형상을 나타낸 것으로서, 보요소(200)에 직각인 방향으로 배치되는 직각보강리브(143)의 단면으로 리브의 전체 구간이 동일한 높이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지지부와 가까워 반력이 높은 구간은 낮게 하고 지지부와 멀어져 반력이 낮는 부분은 높게 구성하며, 이 둘 사이의 구간은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144)를 구비하도록 한다.FIG. 10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a line E - E of FIG. 4, showing the shape of a right angle reinforcing rib, in which the entire section of the rib is formed to have the same height as a cross section of a right angle reinforcing rib 143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eam element 200 And a portion where the reaction force is high and a portion where the reaction force is low and the reaction force is low are formed to be high. The section between the two is inclined portion 144 formed to be inclined.

상기 직각보강리브(143)의 최대높이와 최소높이는 바닥패널(100)에 요구되어지는 하중의 정도에 따라 임의로 설정하는 것으로 최대 높이를 이루는 구간의 길이는 지지점과의 거리의 1/4 ~ 1/3수준이 적합하고 직각보강리브(143)의 낮은 높이의 구간은 격자리브 1개의 간격의 5/4 ~ 3/2의 수준이 적합하다.The maximum height and minimum height of the right angle reinforcing ribs 143 are arbitrarily set according to the degree of load required for the floor panel 100. The length of the section having the maximum height is 1/4 to 1 / The three levels are suitable and the low-height section of the right-angled reinforcing rib 143 is suitable for the level of 5/4 to 3/2 of the spacing of the lattice ribs.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패드의 사시도로서, 상기 보요소(200)와 바닥패널(100)의 사이에는 지지패드(300)가 끼워 설치되는 것이다.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support pad 300 is fitted between the beam element 200 and the floor panel 100.

상기 지지패드(300)는 상기 바닥패널(100)의 모서리에 구비된 바닥패널시공부(150)와의 결합상태를 인지하도록 돌출된 복수개의 방향설정돌기(310)가 구비되어 있다.The supporting pad 3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rection setting protrusions 310 protruding to recognize a state of engagement with the floor panel ceiling 150 provided at the corner of the floor panel 100.

또한, 상기 지지패드(300)는 변의 길이가 다른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패드(300)에 대응하는 바닥패널시공부(150)도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The support pad 30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different side length, and the bottom panel seating 150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pad 300 is also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패드와 바닥패널시공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정상적인 바른 방향으로 설치된 상태이고, b)는 잘못 설치되어 오삽입방지턱과 방향설정돌기가 상호 간섭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12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pad and the bottom panel seam are coupl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is installed in a normal right direction, b) And shows mutually interfered states.

상기 바닥패널시공부(150)는 직사각형으로 일측변의 길이가 길게 형성하되 내부에는 중앙으로 돌출된 오삽입방지턱(151)이 구비되도록 하며, 상기 지지패드(300)의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방향설정돌기(310)와의 접촉 여부에 따라 바닥패널(100)의 설치방향이 올바르게 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도록 하였다.The bottom panel ceiling 150 is rectangular and has one side longer than the other, and has an erroneous insertion preventing protrusion 151 protruding from the center thereof. The lower panel ceiling 150 has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pad 300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floor panel 100 is correct according to the contact with the setting protrusion 310.

따라서, 본 발명은 바닥패널시공부(150)와 지지패드(300)의 결합상태에 따라서, 정확한 방향으로 설치가 되었는지를 쉽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닥패널(100)의 설치 방향을 올바르게 설정하여 가장 강력한 강성을 갖도록 설치할 수 있게 한 것이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detect whether the bottom panel ceiling 150 and the supporting pad 300 are installed in the correct direction according to the combined state of the floor panel ceiling 150 and the supporting pad 300, So that it can be installed with strong rigidity.

도 13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바닥패널에 댐퍼가 조립된 상태의 저면 사시도로서, 상기 바닥패널(100)의 저면에는 댐퍼(400)를 용이하게 부가 설치할 수 있다.FIG. 1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floor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damper is assembled. A damper 400 can be easily install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floor panel 100.

즉, 상기 바닥패널(100)의 하부면에는 공기 흐름 조절용 댐퍼 또는 케미컬 미스트 등을 흡수하는 필터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loor panel 100,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of a filter for absorbing the airflow control damper or the chemical mist.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보요소 상부에 설치되는 바닥패널의 중앙╋자형리브의 구성과 보강리브의 구성에 있어 보요소에 평행인 평행방향리브와 보요소에 직각인 직각방향리브 각각의 지지점과의 관계에 따른 최적의 구성요건을 제공하여 요구되는 강도에 최적의 중량과 강도를 가지는 바닥패널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으로써 바닥패널의 내구성을 향상하면서도 리브의 조성에 사용되는 알루미늄소재의 중량이 절감되도록 하여 제조가격이 낮아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ructure of the central rib-shaped ribs of the floor panel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eam element and the ribs in the parallel direction parallel to the beam elements and the rectangular ribs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floor panel having the optimum weight and strength for the required strength by providing the optimal constitutional requirement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with each supporting point, thereby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floor panel and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aluminum material So that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lower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0: 바닥패널
110: 상판
120: 중앙╋자형리브 121: 랜드부
130: 평행방향리브 131: 평행외측리브
132: 평행내측리브 133: 평행보강리브
134: 라운드연결부
140: 직각방향리브 141: 직각외측리브
142: 직각내측리브 143: 직각보강리브
144: 경사부
150: 바닥패널시공부 151: 오삽입방지턱
200: 보요소
300: 지지패드 310: 방향설정돌기
400: 댐퍼
100: floor panel
110: top plate
120: central rib-shaped rib 121: land portion
130: Parallel rib 131: Parallel outer rib
132: parallel inner rib 133: parallel reinforcing rib
134: Round connection
140: right angle direction rib 141: right angle outer rib
142: right angle inner rib 143: right angle reinforcing rib
144:
150: Floor panel poetry 151: O insertion bust
200: beam element
300: support pad 310: direction setting projection
400: damper

Claims (12)

기초바닥에서 일정 높이로 떨어뜨려 사이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며, 일정한 폭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보요소(200);
상기 보요소(20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인접하는 보요소(200')와의 사이를 연결하는 바닥패널(100);
상기 보요소(200)와 바닥패널(100)의 사이에 끼워 설치되는 지지패드(300)를 포함하는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 플로어 패널 설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닥패널(100)은,
일정한 규격의 사각형상으로 된 상판(110);
상기 상판(110)의 저면에 일정한 높이를 가지며 중앙부에서 교차되도록 형성된 중앙╋자형리브(120);
상기 중앙╋자형리브(120)의 양측에 각각 대칭으로 설치되며, 상기 보요소(200)와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구비된 복수의 평행방향리브(130); 및
상기 중앙╋자형리브(120)의 양측에 각각 대칭으로 설치되며, 상기 보요소(200)와 직각의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구비된 복수의 직각방향리브(140);
가 일체로 구성되되 상호 대응하는 상기 평행방향리브(130)와 직각방향리브(140)는 각각 서로 다른 형상과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요소용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 플로어 패널 설치장치.
A plurality of beam elements (200)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height so as to form a space therebetween and arranged in parallel with a predetermined width;
A floor panel 100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am element 200 and connecting the adjacent beam elements 200 ';
And a support pad (300) sandwiched between the beam element (200) and the floor panel (100), the apparatus comprising:
The floor panel (100)
A top plate 110 having a rectangular shape of a predetermined size;
A central serpentine rib 120 formed at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110 and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intersecting at a central portion;
A plurality of parallel direction ribs (130) symmetricall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serpentine ribs (120) and installed to be parallel to the beam elements (200); And
A plurality of right angle ribs 140 symmetricall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ribs 120 and install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ribs 200;
Wherein the parallel direction ribs 130 and the right directional ribs 140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shapes and thicknesses, respectivel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방향리브(130)는,
각각 대응하는 직각방향리브(14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요소용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 플로어 패널 설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ibs 130 in the parallel direction,
And the height of the corresponding right-angle direction ribs (140) i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corresponding right-angle direction ribs (14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방향리브(130)는
상기 바닥패널(100)의 양측 외곽에 위치하는 평행외측리브(131);
상기 평행외측리브(131)의 안쪽에 위치하는 평행내측리브(132);및
복수개의 평행보강리브(13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요소용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 플로어 패널 설치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parallel ribs 130
Parallel outer ribs 131 located on both outer sides of the floor panel 100;
A parallel inner rib 132 located inside the parallel outer rib 131;
And a plurality of parallel reinforcing ribs (13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직각방향리브(140)는
상기 바닥패널(100)의 양측 외곽에 위치하는 직각외측리브(141);
상기 직각외측리브(141)의 안쪽에 위치하는 직각내측리브(142);및
복수개의 직각보강리브(14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요소용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 플로어 패널 설치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right-angle directional ribs 140
Right outer ribs 141 located on both outer sides of the floor panel 100;
A right angled inner rib 142 positioned inside the right angle outer rib 141;
And a plurality of right angle reinforcing ribs (143).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외측리브(131)는,
상기 평행내측리브(132)의 높이 대비 1/3 이하의 높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요소용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 플로어 패널 설치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parallel outer ribs 131,
And the height of the parallel inner ribs (132) is 1/3 or less of the height of the parallel inner ribs (132).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외측리브(131)는
양측 바닥패널시공부(150)와의 연결부에 응력분산을 위한 라운드연결부(13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요소용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 플로어 패널 설치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arallel outer ribs 131
And a round connection part (134) for stress dispersion is provided at a connection part between the floor panel (150) and the floor panel (15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라운드연결부(134)는
라운드 최소 반지름이 10mm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요소용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 플로어 패널 설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round connection part 134
And the minimum radius of the round is larger than 10 mm.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직각보강리브(143)는,
중앙부분의 높이가 양측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며, 비스듬한 경사부(144)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요소용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 플로어 패널 설치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right angle reinforcing rib 143 is formed of a right-
Wherein the height of the central portion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both sides, and the inclined portion (144) is provided at an oblique ang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패드(300)는
상기 바닥패널(100)의 모서리에 구비된 바닥패널시공부(150)와의 결합상태를 인지하도록 돌출된 복수개의 방향설정돌기(31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요소용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 플로어 패널 설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pads 300
And a plurality of direction setting protrusions (310) protruded to recognize a state of engagement with the floor panel ceiling (150) provided at an edge of the floor panel (100). Device.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패드(300)는 변의 길이가 다른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패드(300)에 대응하는 바닥패널시공부(150)도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요소용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 플로어 패널 설치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upporting pad 30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different length and the bottom panel seating 150 corresponding to the supporting pad 300 is also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패널시공부(150)는
내부에 중앙으로 돌출된 오삽입방지턱(15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요소용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 플로어 패널 설치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bottom panel ceiling (150)
And an erroneous insertion preventing jaw (151)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bottom wall (13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패널(100)의 저면에는 댐퍼(400)가 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요소용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 플로어 패널 설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damper (400) is install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floor panel (100).
KR1020150069205A 2015-05-18 2015-05-18 Installation device of light-weight and high-load for access floor panel for a beam KR1017825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205A KR101782530B1 (en) 2015-05-18 2015-05-18 Installation device of light-weight and high-load for access floor panel for a bea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205A KR101782530B1 (en) 2015-05-18 2015-05-18 Installation device of light-weight and high-load for access floor panel for a bea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5611A true KR20160135611A (en) 2016-11-28
KR101782530B1 KR101782530B1 (en) 2017-09-28

Family

ID=57706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9205A KR101782530B1 (en) 2015-05-18 2015-05-18 Installation device of light-weight and high-load for access floor panel for a bea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253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554U (en) * 2018-09-03 2020-03-11 주식회사 해광 Floor panel for access floor
CN111201357A (en) * 2018-09-19 2020-05-26 株式会社海广 Double floor installation device with beam element support pane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2462B1 (en) 2018-09-19 2021-04-21 주식회사 해광 Installation device of double floors with frame supported by beam
KR102564234B1 (en) 2021-09-17 2023-08-08 주식회사 해광 Support structure for supporting lower frame modular raised floor panel and system includ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6057Y1 (en) * 2006-02-07 2006-05-10 주식회사 해광 Supporting panel for a floor in clean room
KR101502328B1 (en) * 2014-03-14 2015-03-13 주식회사 해광 Flat pad for access floor panel of installa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554U (en) * 2018-09-03 2020-03-11 주식회사 해광 Floor panel for access floor
CN111201357A (en) * 2018-09-19 2020-05-26 株式会社海广 Double floor installation device with beam element support panel
CN111201357B (en) * 2018-09-19 2021-08-13 株式会社海广 Double floor installation device with beam element support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2530B1 (en) 2017-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2530B1 (en) Installation device of light-weight and high-load for access floor panel for a beam
KR101314872B1 (en) Double floor with vibration isolator
KR101897231B1 (en) Access floor with seismic isolator
US10508454B2 (en) Exterior-material securing member and building exterior structure
KR101511902B1 (en) Pedestal and floor system of clean room
JP4884928B2 (en) Bus duct support device
KR101519495B1 (en) Installation device of light-weight and high-load for access floor panel and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519603B1 (en) Supporting structure for light-weight and high-load type for access floor panel
KR101519593B1 (en) Light-weight and high-load for access floor panel of constructing floor panel
KR20170135606A (en) Access floor apparatus
CN218758500U (en) floor support
JP2014105509A (en) Floor panel
JP3954865B2 (en) Floor panel support structure
CN111201357B (en) Double floor installation device with beam element support panel
KR102443963B1 (en) Assembly for raised floor
JP6116820B2 (en) Building pillar installation structure
JP2017089307A (en) Dynamic damper and ceiling
JP2014148805A (en) Column installation structure of building
JP6925215B2 (en) Building ceiling and building ceiling construction method
JP2018091073A (en) Connection structure of building unit
JP5745783B2 (en) How to place building units
JP6838887B2 (en) Floor beam structure
JP5300918B2 (en) Panel connecting member
KR101775365B1 (en) Shim for horizontally adjusting wall panel
KR102485501B1 (en) Access floor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4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