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5139A - Signaling Method for Rescue Using Mobile Terminal Installed with Voice Recognition Application Program - Google Patents

Signaling Method for Rescue Using Mobile Terminal Installed with Voice Recognition Application Progra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5139A
KR20160135139A KR1020157035409A KR20157035409A KR20160135139A KR 20160135139 A KR20160135139 A KR 20160135139A KR 1020157035409 A KR1020157035409 A KR 1020157035409A KR 20157035409 A KR20157035409 A KR 20157035409A KR 20160135139 A KR20160135139 A KR 20160135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voice
app
time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54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희석
임형주
노태영
진세훈
Original Assignee
(주)파워보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워보이스 filed Critical (주)파워보이스
Publication of KR20160135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513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4/2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H04W4/00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controlling an operation mode according to history or models of usage information, e.g. activity schedule or time of day
    • Y02B60/5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음성인식 앱이 설치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구조 요청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가, 현재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구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 현재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구간 내에 있는 경우에, 휴대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소정의 앱을 활성화시키고, 앱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 주변에서 감지되는 음성에 기초하여 위급 상황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통해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등하교시간, 출퇴근 시간 등을 음성인식 앱의 활성화 시간대로 사전에 설정하고, 기 설정된 시간 대에만 앱이 자동적으로 활성화되도록 함으로써 위급 상황에 처한 사용자의 별도 조작 없이도 위급상황을 외부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기 설정된 시간 구간 이외의 시간에는 앱의 활성화를 종료시키는 타임 아웃 기능을 활용함으로써 불필요한 시간대의 앱 활성화로 인한 휴대폰의 배터리 소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A structure request method using a portable terminal in which a voice recognition app is installed is disclosed.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bil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urrent time is within a preset time interval and activates a predetermined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current time is within a preset time interval, And determining whether an emergency exists based on the voice detected in the vicinity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t an activation time zone of a voice recognition app in advance, such as a time for commuting to and from school, a commute time and the like, and automatically activate an application only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timeout function for ending activation of an app at a time other than a preset time interval, battery consumption of the mobile phone due to activation of an app in an unnecessary time period can be prevented.

Description

음성인식 앱이 설치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구조 요청 방법{Signaling Method for Rescue Using Mobile Terminal Installed with Voice Recognition Application Program}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having a voice recognition application installed therein,

본 발명은 음성인식 앱이 설치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구조 요청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등하교 시간, 출퇴근 시간 등을 음성인식 앱의 활성화 시간대로 사전에 설정하고, 기 설정된 시간대에만 앱이 자동적으로 활성화되도록 함으로써, 위급상황에 처한 사용자의 별도 조작 없이도 위급상황을 외부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음성인식 앱이 설치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구조 요청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requesting a structure using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voice recognition app,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requesting a structure using a mobile terminal in which a voice recognition application is installed, To a structure requesting method using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voice recognition app which allows an emergency situ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of a user in an emergency.

단순 범죄를 포함한 상해, 폭행 등의 각종 범죄의 증가로 인해, 여성, 노약자, 미성년자들은 야간에 안심하고 길을 걷거나 택시를 타기가 두려운 실정이다.Due to the increase of crimes such as simple crime, injury and assault, women, elderly people and minors are afraid to walk on the road or take a taxi at night.

한편,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휴대전화, 스마트폰 등의 통신 단말기에 긴급구조 요청을 위한 버튼을 구비하여 긴급구조 버튼을 클릭에 따라 긴급구조를 요청할 수 있는 기술이나 동영상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을 경비업체 등에 전송할 수 있는 기술들이 개발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conventionally, a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cellular phone or a smart phone has a button for requesting an emergency rescue so that a technique or a video capable of requesting an emergency rescue by clicking an emergency rescue button is photographed,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that can transfer images to security companies.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하면, 긴급구조 버튼의 클릭이나 카메라 촬영을 범죄자가 눈치채는 경우에는 오히려 더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there is a problem that when a criminal perceives a click of an emergency rescue button or a camera shooting, it may cause a more dangerous situation.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1232115호에서는 안심귀가 정보관리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s a technique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0-1232115 discloses a method for managing security-based e-mail information and an apparatus therefor.

한편, 등록특허 제10-1232115호에서의 안심귀가 정보관리방법은 위급자의 위치정보와 외부 음성 정보를 통해 위급자를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사용자의 개별적인 입력조작이 필요하여 이를 범죄자가 알 수 있는 경우 더 위급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는 종래의 문제점을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urity management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in Patent No. 10-1232115 ha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protect the emergency person throug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mergency person and the external voice information, while it requires the individual input operation of the user, The conventional problem that can lead to an emergency can not be solv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등하교 시간, 출퇴근 시간 등을 음성인식 앱의 활성화 시간대로 사전에 설정하고, 기 설정된 시간대에만 앱이 자동적으로 활성화되도록 함으로써, 위급상황에 처한 사용자의 별도 조작 없이도 위급상황을 외부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음성인식 앱이 설치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구조 요청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oice recognition apparatus and a voice recognition apparatus which can set an activation time of a voice recognition app in advance, And a voice recognition application for transmitting the voice recognition application to the outsi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 앱이 설치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구조 요청 방법은, (a) 휴대 단말기가, 현재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구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현재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구간 내에 있는 경우에, 상기 휴대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소정의 앱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앱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 주변에서 감지되는 음성에 기초하여 위급 상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requesting a structure using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voice recognition applicatio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determining whether a current time is within a preset time interval; (b) activating a predetermined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current time is within a predetermined time period; And (c) determining whether the portable terminal is in an emergency state based on a voice detected in the vicinity of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application is activated.

바람직하게는, 상기 (c) 단계 이후, 상기 (d) 단계 이전에, 상기 휴대 단말기가, 현재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구간 밖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상기 앱의 활성화 상태를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erminating the activated state of the application when the portable terminal determines that the current time is out of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fter the step (c) and before the step (d) .

또한, (d)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휴대 단말기 주변에서 감지되는 음성에 기초하여 위급 상황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외부 단말기로 위급상황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D) when the portable terminal determines that the portable terminal is in an emergency based on the voice detected in the vicinity of the portable terminal, transmitting the emergency information to the external terminal.

본 발명에 따르면, 등하교시간, 출퇴근 시간 등을 음성인식 앱의 활성화 시간대로 사전에 설정하고, 기 설정된 시간 대에만 앱이 자동적으로 활성화되도록 함으로써 위급 상황에 처한 사용자의 별도 조작 없이도 위급상황을 외부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t an activation time zone of a voice recognition app in advance, such as a time for commuting to and from school, a commute time and the like, and automatically activate an application only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기 설정된 시간 구간 이외의 시간에는 앱의 활성화를 종료시키는 타임 아웃 기능을 활용함으로써 불필요한 시간대의 앱 활성화로 인한 휴대폰의 배터리 소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timeout function for ending activation of an app at a time other than a preset time interval, battery consumption of the mobile phone due to activation of an app in an unnecessary time period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앱이 설치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구조 요청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앱이 설치된 휴대 단말기의 내부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앱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앱이 설치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구조 요청 방법에서의 위급상황 요청 데이터 흐름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앱이 설치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구조 요청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tructure requesting system using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voice recognition ap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voice recognition ap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voice recognition ap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of an emergency situation request data in a structure request method using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voice recognition ap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executing a structure request method using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voice recognition ap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is to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among the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앱이 설치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구조 요청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앱이 설치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구조 요청 시스템은 휴대 단말기(110), GPS 위성(112), 어플 제공서버(114), 중계 서버(116) 및 수신 단말기(118)를 포함한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tructure requesting system using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voice recognition ap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a structure request system using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voice recognitio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rtable terminal 110, a GPS satellite 112, an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114, a relay server 116 And a receiving terminal 118.

휴대 단말기(110)는 스마트 폰 등의 무선 통신 단말기로서, 어플 제공서버(114)로부터 타임 아웃 기능을 활용한 모바일 음성인식 어플리이션 프로그램(이하 '타임 아웃 음성앱'이라 함)을 다운받아 실행시킬 수 있으며, GPS 위성(112)과 통신으로 연결되어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1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110 is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nd downloads and executes a mobile voice recognition application progra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imeout voice application") utilizing a timeout function from the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114 And is communicatively coupled to the GPS satellite 112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10 in real time.

타임 아웃 음성앱은 앱 스토어 또는 안드로이드 마켓 등에서 제공되는 모바일 앱이며, 휴대 단말기(110)는 이를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고 바탕화면에 바로가기 아이콘을 설치할 수 있다.The timeout voice application is a mobile application provided in an app store or an Android market, and the portable terminal 110 can download and install a shortcut icon on the desktop.

타임 아웃 음성앱은 본 발명의 출원인이 개발 및 제공하는 앱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에만 자동 활성화되며, 활성화된 상태에서 주변의 음성인식을 통해 위급상황을 인지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The time-out voice application is an application developed and provid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ime-out voice application is automatically activated only for a preset period of time by a user, and has a function of recognizing an emergency by recognizing surrounding speech in an activated state.

일반적으로 모바일 앱은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에서 제공되는 화면 아이콘을 터치함에 따라 활성화되거나, 상시적으로 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나, 본 발명에서의 타임 아웃 음성앱은 터치나 명령에 의한 활성화 상태 또는 상시적인 활성화 상태에 있는 것이 아니라 타이머를 통해 기설정된 시간 동안에만 앱이 활성화되고 그 외 시간에는 비활성화 상태에 놓이게 된다. Generally, the mobile app is activated or always activated by touching a screen icon provid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but the timeout voice app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ctivated or touched by touch or command Instead of being in the active state, the app will only be active for a preset time through the timer, and will be inactive for the rest of the time.

이를 통해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소모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게 되며, 필요한 시간 대마다 일일히 앱을 활성화시켜야 하는 사용자의 단순 반복 행위를 방지할 수 있게 되고, 특히 위급상황에서 활성화되어야 하는 앱의 특성 및 위급상황 발생의 빈도가 많지 않다는 점을 고려하면 배터리 소모 및 앱 활성화 시기는 매우 중요한 문제가 된다. Accordingly, battery consump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minimized,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imple repetitive behavior of a user who needs to activate an application for every necessary time period. In particular, Taking into account that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the situation is not so large, battery consumption and time of application activation are very important.

중계 서버(116)는 휴대 단말기(110)와 수신 단말기(118) 사이의 통신 중계 기능을 수행하며, 중계 서버(116)는 데이터를 제어하고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 휴대 단말기(11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입출력 제어부, 수신 단말기(118)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입출력 제어부, 사전 등록된 수신 단말기 정보를 관리하는 단말 관리부, 응급구조요청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부, 휴대 단말기(110)의 앱정보를 관리하는 앱 관리부를 포함한다. 한편, 여기서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를 포함한다.The relay server 116 performs a communication relay function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110 and the receiving terminal 118. The relay server 116 includes a data processing unit for controlling and processing data, An input / output control unit performing input / output control with respect to the receiving terminal 118, an input / output control unit performing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the receiving terminal 118, a terminal management unit managing the pre-registered receiving terminal information, a data managing unit managing the emergency structure request data, And an application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the application. Here, the data includes voice data.

수신 단말기(118)는 중계 서버(116)를 매개로 휴대 단말기(110)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며, 수신 단말기(118)는 통신이 가능한 유무선 통신기기 및 휴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기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The receiving terminal 118 may be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110 via the relay server 116 and the receiving terminal 118 may be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on and a portable portable terminal device .

한편, 수신 단말기(118)는 휴대 단말기(110)의 타임 아웃 음성앱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10) 사용자의 위급 상황 여부를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도록 휴대 단말기(110)로부터 음성인식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Meanwhile, the receiving terminal 118 receives the voice recognition data from the portable terminal 110 so as to check in real time whether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110 is in an emergency state in a state in which the timeout voice app of the portable terminal 110 is activated .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수신 단말기(118)는 보호자의 휴대폰 등의 보호자 단말(118a), 방범 및 방제 통합관리 센터인 관제센타의 관제센타 단말기(118b), 긴급 구조 본부의 119 단말기(118c) 및 해당 경찰서(또는 파출소) 단말(118d)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In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terminal 118 includes a guardian terminal 118a such as a protector's mobile phone, a control center terminal 118b of a control center, which is a crime prevention and control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a 119 terminal 118c of an emergency rescue headquarters, And the corresponding police station (or police station) terminal 118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앱이 설치된 휴대 단말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앱이 설치된 휴대 단말기(110)는 제어부(210), GPS부(2120, 타이머(214), 저장부(216), 표시부(218), 통신부(220), 음성인식부(222) 및 오디오(224)를 포함한다.2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voice recognition ap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he portable terminal 110 having the voice recognition ap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210, a GPS unit 2120, a timer 214, a storage unit 216, a display unit 218, a communication unit 220, a voice recognition unit 222, and an audio 224.

통신부(212)는 제어부(210)의 제어 하에 이동통신망의 기지국과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데이터 및 음성통신을 수행한다.The communication unit 212 forms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base st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10 to perform data and voice communication.

또한, 통신부(220)는 통신채널을 이용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타 단말기, 예컨대 수신 단말기(118)와 송수신할 수 있으며, 특히 통신부(220)는 생성된 위치 데이터 및 위급상황 발생에 따른 음성인식 데이터를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수신 단말기(118)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20 can transmit and receive user data to and from other terminals, for example, the receiving terminal 118 using the communication channel. Particularly, the communication unit 220 transmits the generated position data and voice recognition data To the receiving terminal 118 using the communication channel.

데이터 처리부(214)는 오디오/비디오 처리부 등으로부터 전달되는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숫자/문자 데이터, 통신부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 등의 처리를 담당한다.The data processing unit 214 is responsible for processing audio and video data transmitted from an audio / video processing unit, numeric / character data input from a user, and data transmitted from a communication unit.

이러한 데이터 처리부(214)는 통신부(212)를 통해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부를 포함한다.The data processing unit 214 includes a transmitting unit for encoding and modulating a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12, and a receiving unit for demodulating and decoding the received signal.

GPS부(216)은 GPS 안테나 및 GPS 측위 프로그램이 내장된 연산부를 포함하며, GPS 안테나는 GPS 위성으로부터 특정 주파수, 예컨대 1575.42MHz 또는 15754.2MHz의 위성신호를 수신하여 연산부로 전달한다.The GPS unit 216 includes a GPS antenna and an operation unit having a GPS positioning program built therein. The GPS antenna receives a satellite signal of a specific frequency, e.g., 1575.42 MHz or 15754.2 MHz, from the GPS satellite and transmits the satellite signal to the operation unit.

이에 연산부는 위성신호를 이용하여 GPS 위성(112) 및 휴대 단말기(110) 간의 거리를 산출하며, 이를 기초로 휴대 단말기(110)의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The computing unit calcul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GPS satellite 112 and the portable terminal 110 using the satellite signal, and determines the lo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10 based on the calculated distance.

GPS부(216)은 휴대 단말기(110)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다른 방법으로 휴대 단말기(110)의 위치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GPS부(216)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The GPS unit 216 is for 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10. When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10 is measured by another metho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PS unit 216 may not be provided There will be.

오디오/비디오 처리부(218)는 제어부(21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거나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데이터 및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제어부(21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오디오/비디오 처리부(218)는 마이크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외부로부터 다운로드한 비디오 데이터 및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출력한다.The audio / video processing unit 218 has a function of reproducing the audio / video data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210, transmitting audio data such as voice input from a microphone, and video data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module to the control unit 210 And the audio / video processing unit 218 outputs audio data such as voice received from a microphone, video data downloaded from the outside, and an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module.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비디오 처리부(218)는 휴대 단말기(110)로부터 활성된 타임 아웃 음성앱(228)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주변의 음성을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이를 통신부(212)를 통해 수신 단말기(118)로 전송한다.In particular, the audio / video processing unit 218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cesses the surrounding voice in real time when the activated timeout voice app 228 is activa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10, 212 to the receiving terminal 118.

한편, 휴대 단말기(110)의 입력부(미도시)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한다.An input unit (not shown) of the portable terminal 110 includes a plurality of input keys and function keys for receiving numeric or character information and setting various functions.

표시부(220)는 휴대 단말기(110)의 각종 메뉴 화면을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기능 설정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며,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220)는 GPS부(216)을 통해 수신되는 휴대 단말기(110)의 이동경로가 매핑된 약도 데이터를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display unit 220 displays various kinds of menu screens of the portable terminal 110, user data inputted by the user, function setting information or various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user. In particular, the display unit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avigation unit 210 may display the map data on which the movement path of the portable terminal 110 received through the GPS unit 216 is mapped.

저장부(2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및 타임 아웃 음성앱을 비롯하여,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는 사용자 데이터 및 통신시 송수신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하며, 소정의 응용 프로그램 실행중에 발생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버퍼(Buffer)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222 stores user data generated by a user,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in a communication, and the like, as well as an application program and a timeout voice application necessary for a functional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ne or more buffers for temporarily storing user data generated during execution.

타이머(224)는 현재의 시간을 체크하고, 표시부(220)에 표시하며, 제어부(210)의 실행 명령에 따라 타임 아웃 음성앱(228)을 실행시키기 위한 시간을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timer 224 checks the current time,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220, and sets a time for executing the timeout voice app 228 according to an execution command of the controller 210. [

한편, 타이머(224)에 의해 설정된 시간 동안 타임 아웃 음성앱(228)이 활성화되며, 활성된 타임 아웃 음성앱(228)에 의해 음성인식부(226)에서는 휴대 단말기(110)의 주변 음성을 습득하게 되고, 타임 아웃 음성앱(228)에 의해 습득된 음성을 분석하여 위급 상황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timeout voice app 228 is activated for the time set by the timer 224, and the voice recognition unit 226 acquires the peripheral voice of the portable terminal 110 by the activated timeout voice app 228 And analyzes the voice acquired by the timeout voice app 228 to determine whether it is an emergency situation.

제어부(210)는 휴대 단말기(110)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 단말기(11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며, 데이터 처리부(214)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1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10 and the signal flow between the internal blocks of the portable terminal 110 and may include a function of the data processor 214.

제어부(210)는 타임 아웃 음성앱(228)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GPS부(216)를 활성화하여 일정주기로 GPS 위성으로부터 위성신호를 수신함으로써 휴대 단말기(110)의 위치를 연속해서 측위하고, 지도 이미지에 측위된 위치를 매핑하여 위치 데이터를 생성한다.The controller 210 activates the GPS unit 216 to receive the satellite signals from the GPS satellites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continuously position the portable terminal 110, And generates the position data by mapping the positions positioned on the image.

또한, 제어부(210)는 통신부(212)를 통해 생성된 위치 데이터를 수신 단말기(118)로 전송한다. 한편, 이와 같은 위치 데이터의 전송은 위급 상황을 인지한 경우에만 행해질 수 있고 실시간으로 위치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Also, the control unit 210 transmits the position data genera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12 to the receiving terminal 118. On the other hand, the transmission of the position data may be performed only in the case of recognizing the emergency, and the position data may be transmitted in real tim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앱의 구성도이다. 도 3에서와 같이, 타임 아웃 음성앱(228)은 휴대폰 운영 체제 및 미들웨어 기능과 연동하여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응급 구조요청에 필요한 휴대폰 번호, 현재시간, 위치정보, 및 사진(동영상)촬영 데이터를 생성한다.3 is a block diagram of a speech recognition ap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timeout voice application 228 is an application driven in cooperation with a mobile phone operating system and a middleware function, and generates a mobile phone number, current time, position information, and photograph do.

구조 요청의 프로세스 구조상 사진 촬영 데이터는 기본데이터(휴대 단말기 번호, 현재시간, 위치정보 등)에 이어 순차적으로 전송되지만 중계 서버(112)나 수신 단말기(118)에는 동일한 휴대 단말기(11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거나 화면에 표시된다.The photographing data in the process structure of the structure request is sequentially transmitted following the basic data (portable terminal number, current time, location information, etc.), but the relay server 112 and the receiving terminal 118 are connected to the same database of the portable terminal 110 Stored or displayed on the screen.

한편, 타임 아웃 음성앱(228)은 휴대 단말기의 기본정보(310), 위치정보(312), 위급상황 발생데이터(314a), 타임 아웃 설정 데이터(314b), 서버 접속코드(316) 및 데이터 메모리(318)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timeout voice application 228 includes basic information 310 of the portabl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312, emergency occurrence data 314a, timeout setting data 314b, a server access code 316, (318).

휴대 단말기의 기본정보(310)는 휴대 단말기의 고유번호와 소유자 정보를 포함하며, 위치정보(312)는 GPS부(216)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한편, 타임 아웃 설정 데이터(314b)는 제어부(210)의 실행에 의해 설정되어 타임 아웃 음성앱(228)을 활성화시키는 시간 데이터를 의미한다.The basic information 310 of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unique number and owner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312 can be acquired through the GPS unit 216. [ On the other hand, the timeout setting data 314b is time data that is set by the execution of the control unit 210 and activates the timeout voice app 228. [

위급상황 발생 데이터(314a)는 타임 아웃 음성앱(228)이 설정된 상태에서 음성인식부(226)에 의해 외부의 음성을 분석하여 위급상황에서 발생되는 음성으로 판단되는 경우 위급상황이 발생했음을 중계 서버(116)나 수신 단말기(118)로 알릴 수 있는 데이터를 의미한다.The emergency occurrence data 314a analyzes the external voice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226 in a state where the timeout voice app 228 is set,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oice is generated in an emergency situation, Which can be notified to the receiving terminal 116 or the receiving terminal 118.

한편, 도 3에서의 서버 접속코드(316)는 중계 서버(116)와의 통신 접속을 위한 코드를 의미한다.Meanwhile, the server connection code 316 in FIG. 3 means a code for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relay server 116.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앱이 설치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구조 요청 방법에서의 위급상황 요청 데이터 흐름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휴대 단말기(410)의 타임 아웃 음성앱(228)으로부터 응급 구조요청을 하는 데이터가 중계 서버(420)의 데이터 처리 프로세스를 거쳐 완성한 “구조요청 데이터”를 수신 단말기(430, 440)에 전송하는 흐름도에 관한 것이다.4 is a flowchart of emergency call request data in a structure request method using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voice recognition ap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the structure request data that the data requesting the emergency rescue from the timeout voice application 228 of the portable terminal 410 has passed through the data processing process of the relay server 420 to the receiving terminals 430, 440). ≪ / RTI >

도 4를 참조하면, 응급 구조요청자가 자신의 휴대 단말기(410)에 설치된 앱을 통해 기 설정된 시간에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생성되는 휴대 단말기 번호, 현재시간, 위치정보, 위급상황 발생 데이터를 앱에서 지정한 인터넷 접속코드에 의거하여 중계 서버(420)에 전송한다.Referring to FIG. 4, the emergency rescue requester transmits the portable terminal number, the current time,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emergency occurrence data generated by running the application at a predetermined time through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410 And transmits it to the relay server 420 based on the Internet access code.

중계 서버(420)에서는 휴대 단말기(110)로부터 응급 구조요청으로 전송받은 데이터, 앱 데이터부에 저장되어 있는 구조 요청자 정보 및 단말 데이터부의 정보를 조합하여“구조요청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데이터관리시스템에서 정한 배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인터넷접속코드에 의거하여 지정된 수신 단말기(430, 440)에 “구조요청 데이터”를 송신한다.The relay server 420 generates "structure request data" by combining the data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10 in response to the emergency rescue request, the rescue requester information stored in the app data section, and the terminal data section, Stores it in the database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set by the system, and transmits " structure request data " to the designated receiving terminals 430 and 440 based on the Internet access code.

한편, 수신 단말기(430,440)를 소지하고 있는 보호자 등은 중계 서버(420)로부터 수신 단말기(430,440)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를 확인하고 그에 따른 조치를 취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 guardian or the like holding the receiving terminals 430 and 440 confirms data received from the relay server 420 through the receiving terminals 430 and 440, and takes measures accordingly.

한편, 수신 단말기(430, 440)가 경찰서나 119 본부에 설치된 단말기인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410)의 위치 정보에 따라 인접지역의 파출서나 지역 119와 통신하여 현장으로 바로 출동하도록 명령이 내려질 수도 있을 것이다.If the receiving terminals 430 and 440 are installed in the police station or the headquarters of the 119, the mobile terminal 410 may be instructed to communicate directly to the field by communicating with the local area 119 or the area 119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410 There will b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앱이 설치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구조 요청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410)의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S510), 사용자는 타임 아웃 음성앱(228)을 활성화시킬 시간 구간을 타이머(224)를 매개로 하여 설정한다.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executing a structure request method using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voice recognition ap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2 and 5, in a state where the portable terminal 410 is powered on (S510), the user sets a time interval for activating the timeout voice app 228 through a timer 224.

휴대 단말기(410)는 현재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구간 내에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고(S512), 기 설정된 시간 구간 내에 있는 경우에는 타임 아웃 음성앱(228)을 활성화시킨다(S514).The portable terminal 410 checks whether the current time is within a preset time interval (S512). If the current time is within a preset time interval, the portable terminal 410 activates the timeout voice app 228 (S514).

현재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구간 밖에 있는 경우에는 타임 아웃 음성앱(228)을 활성화하지 않으며, 이미 활성화된 경우에는 활성화 상태를 종료시킨다(S522).If the current time is outside the predetermined time period, the timeout voice app 228 is not activated. If the current time is already activated, the activation state is terminated (S522).

여기서, 기 설정된 시간 구간(타임 아웃, 활성화 구간)은 타임 아웃 음성앱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활성화 설정 시간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규칙적인 시간 구간 뿐만 아니라 불규칙적인 시간 구간으로도 모두 설정이 가능하다.Here, the preset time interval (timeout, activation interval) means an activation setting time for activating the timeout voice app, and it is possible to set not only a regular time interval but also an irregular time interval.

본 발명은 기 설정된 시간 구간(타임 아웃, 활성화 구간) 내에서만 타임 아웃 음성앱이 활성화되고, 그 외의 시간에는 타임 아웃 음성앱이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에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imeout voice app is activated only within a predetermined time period (timeout, activation period), and the timeout voice app is not activated at other times.

즉, 이러한 설정 방식은 상시적으로 활성화되어 있는 앱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소모를 막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시간대에서 매일 또는 매시간마다 앱을 활성화시키도록 명령(일반적으로 아이콘 터치에 의한 활성화)하는 행위를 대신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is setting method can prevent battery consump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by the application which is always activated. Further, it is possible to substitute for an instruction (generally, activation by an icon touch) to activate the app every day or every hour in the periodically repeated time zone.

또한, 불규칙적인 시간대에는 미리 앱 활성화 시간 구간을 설정함으로써, 타임 아웃 음성앱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사용자가 별도로 앱을 종료시킬 필요없이 자동적으로 앱의 실행이 종료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여 휴대 단말기의 불필요한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ctivate the time-out voice app by setting the interval of the application activation time in advance in an irregular time zone, and to automatically end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without the user having to terminate the application separately, Battery consumption can be reduced.

위급상황의 발생은 빈번하게 이루어지지는 것이 아니므로, 앱을 상시적으로 활성화시킬 필요가 없고, 그렇다고 앱을 활성화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는 위급상황이 발생했을 때 사후조치가 어렵다는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타임 아웃 음성앱을 제안하게 된 것이다.Considering that emergency situations do not happen frequently, it is not necessary to activate the app all the time and it is difficult to follow the emergency situation when the app is not activated, Suggests a timeout voice app.

구체적으로,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주기적인 외출을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학생의 경우는 등하교 시간이 주기적으로 동일 시간인 경우가 많고, 직장인의 경우도 회사 등의 출퇴근 시간대가 동일 시간인 경우인 경우가 대부분으로서, 이런 주기적인 동일 시간대에 앱 활성화 시간 구간(타임 아웃)을 설정하게 되면 항상 그 시간 대에는 타임 아웃 음성앱이 자동적으로 활성화되고, 앱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위급상황시 긴급 대처가 가능하게 된다.Specifically, in general, a user may go out periodically. In case of a student, it is often the case that the time for commuting to and from school is periodically the same. In the case of an office worker, (Timeout) is set at the same time period, the timeout voice app is automatically activated at that time, and the emergency response is possible in case of an emergency while the app is activated .

한편, 타입아웃 음성앱(228)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10)는 주변의 음성을 음성인식부(226)를 통해 습득하고 이를 타임 아웃 음성앱(228)을 통해 분석하여 위급 상황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516).Meanwhile, when the type-out voice application 228 is activated, the mobile terminal 110 learns the surrounding voice through the voice recognition unit 226 and analyzes it through the time-out voice application 228, (S516).

타임 아웃 음성앱(228)에 의해 습득된 음성이 위급상황으로 판단된 경우 휴대 단말기(110)는 수신 단말기(118)로 위급상황 데이터를 송신한다(S520).When the voice acquired by the timeout voice application 228 is determined to be an emergency, the portable terminal 110 transmits the emergency status data to the receiving terminal 118 (S520).

한편, 타임 아웃 음성앱(228)에 의해 습득된 음성이 위급상황이 아닌 단순 소음이나 일반적인 수준의 음성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수신 단말기(118)로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고 필터링되도록 하며, 앱 활성화 시간 구간(타임 아웃)의 종료 여부를 체크한다(S518).On the other hand, when the voice acquired by the timeout voice application 228 is determined to be a simple noise or a general level of voice rather than an emergency situation, it is filtered without transmitting data to the receiving terminal 118, (Timeout) is checked (S518).

휴대 단말기(110)가 현재 시간이 타임 아웃 음성앱(228)의 활성화 시간 구간 밖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해당 앱을 종료하고 비활성상태로 복귀한다(S522).If the mobile terminal 110 determines that the current time is outside the activation time interval of the timeout voice app 228, the application is terminated and the mobile terminal 110 returns to the inactive state (S522).

한편, 아직 현재 시간이 타임 아웃 음성앱(228)의 활성화 시간 구간 내에 있는 경우에는 계속해서 타임 아웃 음성앱(228)을 활성화된 상태로 유지하고(S514), 다시 위급상황 여부를 체크하며(S516) 이전과 동일한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current time is within the activation time period of the timeout voice app 228, the timeout voice app 228 is kept activated (S514), and the emergency situation is again checked (S516 ) Repeat the same process as before.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보안 산업 분야에서의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인정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recognized as being industrially applicable in the security industry field.

Claims (3)

(a) 휴대 단말기가, 현재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구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현재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구간 내에 있는 경우에, 상기 휴대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소정의 앱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앱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 주변에서 감지되는 음성에 기초하여 위급 상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성인식 앱이 설치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구조 요청 방법.
(a) determining whether the portable terminal is within a preset time interval;
(b) activating a predetermined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current time is within a predetermined time period; And
(c) determining whether the portable terminal is in an emergency state based on a voice detected in the vicinity of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application is activated;
And a voice recognition application including the voice recognition applic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 상기 (d) 단계 이전에,
상기 휴대 단말기가, 현재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구간 밖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상기 앱의 활성화 상태를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성인식 앱이 설치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구조 요청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fter the step (c), before the step (d)
Further comprising terminating the activated state of the application when the portable terminal determines that the current time is out of a preset time interval.
제1항에 있어서,
(d)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휴대 단말기 주변에서 감지되는 음성에 기초하여 위급 상황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외부 단말기로 위급상황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성인식 앱이 설치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구조 요청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d) transmitting the emergency information to the external terminal when the portable terminal determines that the emergency is based on the voice detected in the vicinity of the portable terminal, Structure request method.
KR1020157035409A 2015-04-16 2015-10-30 Signaling Method for Rescue Using Mobile Terminal Installed with Voice Recognition Application Program KR20160135139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53524 2015-04-16
KR1020150053524 2015-04-16
PCT/KR2015/011541 WO2016167429A1 (en) 2015-04-16 2015-10-30 Method for requesting rescue using portable terminal having voice recognition app installed thereo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9074A Division KR20170042799A (en) 2015-04-16 2015-10-30 Signaling Method for Rescue Using Mobile Terminal Installed with Voice Recognition Application Progra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5139A true KR20160135139A (en) 2016-11-25

Family

ID=5712605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9074A KR20170042799A (en) 2015-04-16 2015-10-30 Signaling Method for Rescue Using Mobile Terminal Installed with Voice Recognition Application Program
KR1020157035409A KR20160135139A (en) 2015-04-16 2015-10-30 Signaling Method for Rescue Using Mobile Terminal Installed with Voice Recognition Application Program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9074A KR20170042799A (en) 2015-04-16 2015-10-30 Signaling Method for Rescue Using Mobile Terminal Installed with Voice Recognition Application Program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20170042799A (en)
WO (1) WO2016167429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1312A1 (en) * 2018-05-16 2019-11-21 ㈜예람 Fire management system having fire information providing function including lifesaving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5312A (en) * 2005-04-04 2006-10-11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The emergency warning apparatus and method which uses a speech recognition function
KR101281872B1 (en) * 2012-05-15 2013-07-03 황태연 System and method for recognizing and alarming danger of individual using smart device
KR20140070356A (en) * 2012-11-29 2014-06-10 이영이 Apparatus for protecting crime
KR20140085988A (en) * 2012-12-28 2014-07-08 양성규 A preventing method of sexual violence using an appl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67429A1 (en) 2016-10-20
KR20170042799A (en) 2017-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51141B2 (en) Headset computer with handsfree emergency response
US20160071399A1 (en) Personal security system
CA3083733C (en) Methods and systems for evaluating compliance of communication of a dispatcher
US1009622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cident notification
CN109104689B (en) Safety warning method and terminal
KR20110083027A (en) Method and system of self-calling and emergency report using time setting of mobile device,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CN108305448A (en) A kind of method and device of community's correction personnel's early warning
KR101525330B1 (en) Smart watch and health management using smart watch
KR20150027459A (en) Content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JP738415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terminal device, terminal device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KR20160135139A (en) Signaling Method for Rescue Using Mobile Terminal Installed with Voice Recognition Application Program
CN109040457B (en) Screen brightness adjust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US1082432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ing query status information on a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170101683A (en) Electronic Device for Using Traffic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US20190208051A1 (en) Context detection with accelerated ai training and adaptive device engagement
CN113920638B (en) Queuing and calling method and device based on wearable equipment
CN113194404A (en) Low-power-consumption positioning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101618809B1 (en) Safety street light communication device, safety service system using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safety service method using the safety service system
KR102229101B1 (en) System for notifying emergency and method thereof
US10204506B2 (en) SOS signal transmitt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JP2006201888A (en) Rescue contact terminal device and rescue contact system
KR20150105683A (en) Transmission system of recorded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section set
Ahmed et al. Design of Advance and Robust Vehicle Security System with Accident Monitoring
KR20160016197A (en) Method and apparutus for controlling emergency call
KR101167222B1 (en) Emergency alarm method and mobile device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