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4460A - 면허 대역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비면허 대역을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면허 대역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비면허 대역을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4460A
KR20160134460A KR1020160003869A KR20160003869A KR20160134460A KR 20160134460 A KR20160134460 A KR 20160134460A KR 1020160003869 A KR1020160003869 A KR 1020160003869A KR 20160003869 A KR20160003869 A KR 20160003869A KR 20160134460 A KR20160134460 A KR 20160134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uence
license
signal
channel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3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찬호
고영조
김은경
백승권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EP16792884.5A priority Critical patent/EP3297202A4/en
Priority to PCT/KR2016/004568 priority patent/WO2016182238A1/ko
Priority to CN201910596393.XA priority patent/CN110266462B/zh
Priority to US15/317,098 priority patent/US10314063B2/en
Priority to CN201680001615.3A priority patent/CN106465411A/zh
Publication of KR20160134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4460A/ko
Priority to US16/401,491 priority patent/US10873957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56Frame synchronisation, e.g. packet synchronisation, time division duplex [TDD] switching point detection or subframe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면허 대역에서 운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기는 비면허 대역의 채널을 점유하면, 상기 채널의 점유를 알리기 위한 제1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1 신호 이후에 상기 면허 대역과의 동기를 유지하기 위한 제2 신호를 전송한 후, 데이터를 전송한다.

Description

면허 대역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비면허 대역을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USING UNLICENSED BAND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LICENSED BAND}
본 발명은 면허 대역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비면허 대역을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면허 대역에서 운용되고 있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에서 비면허 대역을 이용하기 위해서 수신 신호의 시간 동기를 맞추고 면허 대역과의 프레임 동기를 유지하기 위한 면허 대역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비면허 대역을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LTE 셀룰러 네트워크는 면허 대역(licensed band)에서만 운용이 되어 왔다. 고용량 및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 수요가 늘어감에 따라 LTE 표준은 기존의 면허 대역에 한정하지 않고 비면허 대역을 수용하여 용량을 증대하는 방안을 채택하였으며, 현재 표준화 시작 단계에 놓여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비면허 대역은 높은 자유도와 타 사업자 또는 타 기기의 방해를 받지 않는 면허대역과 달리, 다른 비면허 대역에서 운용되는 기기들과의 공존(coexistence)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즉 LTE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비면허 대역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같은 비면허 채널상에 있는 타 기기들의 성능을 크게 낮추지 않으면서, 기회가 주어졌을 때 한시적으로 비면허 채널을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의 채널 접근 및 점유 방식이 필요하다.
이러한 공존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LBT(Listen Before Talk) 메커니즘이 사용되고 있다. 채널 접근은 우선 채널 모니터링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비면허 채널을 공유하고 있는 기기들은 해당 비면허 채널의 점유 여부를 감지하여 비면허 채널이 점유되지 않을 때에 비면허 채널을 사용한다. 그리고 비면허 채널을 점유하여 전송을 하는 동안 다른 기기들은 비면허 채널이 점유되어 있는 것을 감지하고 전송을 보류한다.
LTE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비면허 대역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면허 대역에서 운용되는 LTE 프레임과 시간 동기가 맞아야 한다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LTE 셀룰러 네트워크는 비면허 대역의 채널을 점유하는 것과 동시에 면허 대역과의 시간 동기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면허 대역과 비면허 대역은 지연 확산(delay spread)과 같은 채널 특성이 다르다. 따라서 단말이 수신하는 프레임의 시간 동기를 취할 때 최적의 심볼 타이밍이 면허 대역과 비면허 대역이 다르다는 특징이 있다. 기존의 면허 대역은 5ms마다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전송을 통해서 단말의 시간 동기 보정 및 추적이 가능한 구조였다. 하지만 기지국은 비면허 대역에서 5ms마다 시간 동기를 위한 PSS를 전송할 수 없다. 그 이유는 앞서 언급된 LBT 규제, 최대 연속 송신 시간 제한, 그리고 타 기기의 채널 점유 등의 요소가 작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비면허 대역의 비연속성과 예측 불허의 채널 점유 확률 때문에 주기적인 시간 동기를 획득하는 것이 사실상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면허 대역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비면허 대역을 이용하고자 할 때 수신 신호의 시간 동기를 맞추고 면허 대역과의 프레임 동기를 유지할 수 있는 통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면허 대역에서 운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기가 비면허 대역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비면허 대역을 이용한 통신 방법은 상기 비면허 대역의 채널을 점유하는 단계, 상기 채널의 점유를 알리기 위한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신호 이후에 상기 면허 대역과의 동기를 유지하기 위한 제2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점유하는 단계는 상기 비면허 대역의 채널 점유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채널이 유휴 상태인 경우에, 설정된 임의 백오프 구간을 기다리는 단계, 그리고 상기 임의 백오프 구간 이후 상기 채널을 점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면허 대역에서 하나의 무선 프레임은 복수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각 서브프레임은 제1 및 제2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슬롯 및 제2 슬롯은 각각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전송 심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신호는 하나의 전송 심볼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골레이 시퀀스(Golay sequence)를 이용하여 제1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시퀀스에 CP(cyclic prefix)를 추가하여 상기 제2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골레이 시퀀스를 이용하여 초기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초기 시퀀스를 주파수 영역의 시퀀스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주파수 영역의 시퀀스를 주파수 확장된 시퀀스로 맵핑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주파수 확장된 시퀀스를 시간 영역의 시퀀스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시간 영역의 시퀀스로 변환하기 전에 상기 주파수 확장된 시퀀스의 전송 대역폭을 확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송 대역폭을 확장시키는 단계는 상기 주파수 확장된 시퀀스의 일부를 복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기본 단위 시퀀스를 반복하여 상기 제1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면허 대역에서 운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기가 비면허 대역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비면허 대역을 이용한 통신 장치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비면허 대역의 채널을 점유하기 위한 경쟁을 시도하고, 상기 채널을 점유하면 프리엠블을 생성하는 프로세서, 그리고 상기 프리엠블을 전송하는 송수신기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프리엠블은 타 기기에게 채널 점유를 인식시키기 위한 제1 신호 및 상기 면허 대역과의 동기를 맞추기 위한 제2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면허 대역에서 하나의 무선 프레임은 복수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각 서브프레임은 제1 및 제2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슬롯 및 제2 슬롯은 각각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전송 심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신호는 하나의 전송 심볼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골레이 시퀀스(Golay sequence)를 이용하여 제1 시퀀스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시퀀스에 CP(cyclic prefix)를 추가하여 상기 제2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골레이 시퀀스를 이용하여 초기 시퀀스를 생성하고, 상기 초기 시퀀스를 주파수 영역의 시퀀스로 변환한 후, 상기 주파수 영역의 시퀀스를 주파수 확장한 후 시간 영역의 시퀀스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시퀀스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시간 영역의 시퀀스로 변환하기 전에 상기 주파수 확장된 시퀀스의 일부를 복사하여 상기 주파수 확장된 시퀀스의 전송 대역폭을 확장시킬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골레이 시퀀스와 물리적인 셀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초기 시퀀스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골레이 시퀀스와 시스템 방송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초기 시퀀스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기본 단위 시퀀스를 반복하여 상기 제1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면허 대역의 채널 점유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채널이 유휴 상태인 경우에, 설정된 임의 백오프 구간을 기다린 후 상기 채널을 점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기존의 LTE 물리 계층의 규격을 크게 변경하지 않고 면허 대역과의 프레임 동기를 유지하면서 그대로 비면허 대역에서 LTE 물리 계층의 규격을 적용하여 LTE 시스템을 운용할 수 있다.
또한 수신기는 기지국과 단말이 서로 알고 있는 물리적인 셀 식별자(physical cell ID) 기반의 패턴으로 생성된 시퀀스를 시간 동기 추정에 활용하여 수신 신호의 시간 동기를 용이하게 추정할 수 있으며, 획기적으로 낮은 복잡도의 상관기를 사용할 수 있어서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추가로 프리엠블에 약속된 디지털 정보를 전송 할 수 있는 기능까지도 확장이 가능하여 다양한 기능을 한번에 수행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기술들은 무엇보다 현재 진행 중인 비면허 대역에서의 LTE 운용 표준화 기술의 좋은 요소기술이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면허대역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LTE 시스템에서 비면허 대역을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리엠블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신호[w(n)]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FSTF 신호의 전송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FSTF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용 대역폭이 20MHz인 경우 신호[y(n)]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신호[y(n)]의 주파수 스펙트럼 밀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FSTF 신호의 상관 값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면허 대역을 이용한 통신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이동국(mobile station, MS), 진보된 이동국(advanced mobile station, AMS), 고신뢰성 이동국(high reliability mobile station, HR-MS),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MT, MS, AMS, HR-MS, SS, PSS, AT, UE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진보된 기지국(advanced base station, ABS), 고신뢰성 기지국(high reliability base station, HR-BS),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 B, eNodeB),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중계기(relay station, R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중계 노드(relay node, RN),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진보된 중계기(advanced relay station, AR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고신뢰성 중계기(high reliability relay station, HR-RS), 소형 기지국[펨토 기지국(femto BS), 홈 노드B(home node B, HNB), 홈 eNodeB(HeNB), 피코 기지국(pico BS), 메트로 기지국(metro BS), 마이크로 기지국(micro BS) 등]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ABS, 노드B, eNodeB, AP, RAS, BTS, MMR-BS, RS, RN, ARS, HR-RS, 소형 기지국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면허 대역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비면허 대역을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면허대역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면허 대역을 운용하는 대표적인 이동통신시스템인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에서, 하나의 프레임은 10ms의 길이를 가지며 시간 영역에서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0~#9)을 포함한다. 각각의 서브프레임(#0~#9)은 1ms의 길이를 가지며 2개의 슬롯(slot)(S1, S2)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슬롯(S1, S2)은 0.5ms의 길이를 가진다. 슬롯(S1, S2)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전송 심볼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을 포함한다. 자원블록은 주파수 영역에서 다수의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전송 심볼은 다중 접속 방식에 따라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심볼, OFDMA 심볼, SC-FDMA 심볼 등으로 불릴 수 있다.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전송 심볼의 수는 채널 대역폭이나 CP(cyclic prefix)의 길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시스템에서 일반(normal) CP의 경우에는 하나의 슬롯이 7개의 전송 심볼을 포함하나, 확장(extended) CP의 경우에는 하나의 슬롯이 6개의 전송 심볼을 포함한다.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수 또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 슬롯에 포함되는 전송 심볼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LTE 시스템에서 비면허 대역을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LTE 시스템은 데이터 요구량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면허(license) 주파수 대역과 비면허(unlicensed) 주파수 대역을 통합하는 면허 지원 접속(License Assisted Access, LAA)을 지원한다. 즉 LTE 시스템은 사용 주파수를 면허대역에 한정하지 않고 5GHz 비면허 대역을 통해 부족한 주파수를 확보하여 추가적인 용량과 더욱 빠른 데이터 속도를 제공한다.
비면허 대역은 누구나 무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규정한 주파수 대역으로, 독점적 주파수 사용권이 보장되지 않는다. 비면허 대역은 일반적으로 WiFi라 불리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기기들이 사용한다. 따라서 LTE 시스템에서 비면허 대역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동일 대역 내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WLAN 기기와의 간섭 문제를 효과적으로 회피할 방안이 필요하다.
LTE 시스템에서 비면허 대역을 사용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 2에서는 2개의 WLAN 기기(110, 120)와 WLAN 기기(110, 120)와 동일한 비면허 대역을 사용하려는 LTE 기기(이하, "LTE LAA 기기"라 함)(200) 및 면허 대역을 사용하는 LTE 기기(300)를 도시하였다. 여기서, 기기는 기지국을 의미할 수도 있고, 단말을 의미할 수도 있다.
먼저, WLAN 시스템에서 MAC(Medium Access Control)의 기본 접속 메커니즘은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 메커니즘이다. CSMA/CA 메커니즘은 기본적으로 LBT(listen before talk) 접속 메커니즘을 채용하고 있다. 따라서 WLAN 기기(110, 120)는 전송을 시작하기에 앞서, 무선 채널을 센싱(sensing)하는 CCA(Clear Channel Assessment)를 수행할 수 있다. WLAN 기기(110, 120)는 소정의 구간[예를 들어, DIFS(DCF Inter-Frame Space) 구간] 동안 무선 채널이 유휴 상태(idle status)인 것으로 판단 되면, 충돌을 피하기 위해 채널 접속을 위한 지연 시간[예를 들어, WLAN 임의 백오프 구간(random backoff period)]을 설정하여 더 기다린 후 WLAN 프레임 전송을 시작한다. 반면, WLAN 기기(110, 120)는 CCA 센싱 결과, 무선 채널이 점유 상태(busy status)인 것으로 감지되면, WLAN 기기(110, 120)는 전송을 시작하지 않고 무선 채널이 유휴 상태가 될 때까지 대기한다.
이와 같이, WLAN 임의 백오프 구간의 적용으로, WLAN 기기(110, 120)는 서로 다른 시간 동안 대기한 후에 프레임 전송을 시도하므로, 충돌(collision)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LTE LAA 기기(200)는 비면허 대역을 사용하기 위해 접속 메커니즘으로 LBT(listen before talk) 메커니즘을 사용한다. LBT 메커니즘은 신호를 전송(talk)하기 전에 채널의 점유 상태(사용 여부)를 주기적으로 점검(Listen)하는 방법이다. WLAN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LTE LAA 기기(200)는 LBT 결과, 무선 채널이 유휴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채널 접속을 위한 지연 기간[예를 들어, LTE 임의 백오프 구간]을 설정하여 기다린 후, 해당 무선 채널을 통하여 서브프레임 전송을 시작한다. 반면, 무선 채널이 점유 상태인 것으로 감지되면, LTE LAA 기기(200)는 전송을 시작하지 않고 무선 채널이 유휴 상태가 될 때까지 대기한다.
LTE 기기(300)는 허가된 면허 대역을 사용하므로, 전송할 데이터가 발생하면, 도 1과 같은 구조의 LTE 프레임을 바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WLAN 기기(110, 120), LTE LAA 기기(200) 및 LTE 기기(300)가 공존하는 환경에서 LTE LAA 기기(200)가 비면허 대역의 무선 채널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WLAN 기기(110)가 WLAN 프레임을 전송하고 있고, LTE 기기(300)는 비면허 대역의 신호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기에 연속적으로 LTE 서브프레임을 전송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WLAN 기기(110)가 WLAN 프레임을 전송하고 있을 때 WLAN 기기(120)와 LTE LAA 기기(200)는 각각 비면허 대역의 채널이 점유 상태인 것을 판단하고 전송을 보류한다. WLAN 기기(110)의 WLAN 프레임에 대한 전송이 끝나면, WLAN 기기(120)와 LTE LAA 기기(200)는 CCA를 통해서 채널이 유휴 상태에 있다는 것을 감지한다.
WLAN 기기(120)은 DIFS 시간 동안 채널이 유휴 상태인 것이 감지되면, WLAN 임의 백오프 구간을 더 기다린 후에 전송을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LTE LAA 기기(200)도 LBT를 수행하여 채널이 유휴 상태인 것이 감지하면, LTE 임의 백오프 구간을 기다린 후에 전송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WLAN 기기(120)와 LTE LAA 기기(200)는 비면허 대역을 사용하기 위하여 경쟁(contention)을 하게 되는데, 경쟁에서 승리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려면 임의의 지연 시간에 해당하는 q 구간을 먼저 통과한 기기가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q는 시간적인 개념으로서 1us 단위의 카운터가 될 수 있다. WLAN 기기(120)의 경우 q는 DIFS 시간과 WLAN 임의 백오프 구간의 합이 되고, LTE LAA 기기(200)의 경우 q는 LBT 기능에 의한 지연 시간과 LTE 임의 백오프 구간의 합이 된다. 일반적으로 DIFS 시간은 34us로 설정되고, WLAN 임의 백오프 구간은 0을 포함한 9us의 배수로 설정된다. 그리고 LBT 기능에 의한 지연 시간과 LTE 임의 백오프 구간의 합은 N*20us로 설정되며, N은 기본적으로 임의적으로 설정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LTE LAA 기기(200)가 먼저 q 구간을 통과하면, LTE LAA 기기(200)는 프리엠블(preamble)을 전송한 후, 전송할 데이터를 포함하는 LTE 서브프레임을 전송한다. 프리엠블은 다음 서브프레임의 시작점 또는 지정된 시점까지 전송될 수 있다. 프리엠블은 우선적으로 비면허 대역의 채널을 즉시 타 기기의 관점에서 점유 상태로 인식시키기 위해 전송되며 또한 면허 대역의 LTE 서브프레임과 동기를 맞추는 보조 역할을 하기 위해 전송된다. 이때 전송할 데이터가 발생한 WLAN 기기(110, 120)는 LTE LAA 기기(200)에서 전송한 프리엠블로 인해서 채널이 점유 상태인 것을 감지하게 되고, 전송을 보류한다.
이어서, LTE LAA 기기(200)가 전송할 데이터의 크기에 따라서 1개의 LTE 서브프레임의 전송을 완료하고 나면, WLAN 기기(110, 120)는 채널이 유휴 상태인 것을 감지하고, 채널을 점유하기 위한 경쟁을 시작한다.
그리고 WLAN 기기(110)가 먼저 q 구간을 통과하면, WLAN 프레임을 전송하게 된다.
WLAN 기기(110)의 전송이 끝난 후, WLAN 기기(120)와 LTE LAA 기기(200)는 채널이 유휴 상태인 것을 감지하고, 채널을 점유하기 위한 경쟁을 시작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LTE LAA 기기(200)가 q 구간을 먼저 통과하면, LTE LAA 기기(200)는 프리엠블을 전송한 후 전송할 데이터를 포함하는 LTE 서브프레임을 전송한다. 이때 전송할 데이터의 크기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LTE 서브프레임이 연속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WLAN 기기(110, 120) 및 LTE LAA 기기(200)들이 채널을 점유하기 위한 경쟁을 시작하고, 경쟁을 통해서 채널을 점유한 기기가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특히, LTE LAA 기기(200)는 LTE 서브프레임의 경계 지점(boundary)에 관계없이 채널을 점유하기 위한 경쟁을 시작하여 채널을 점유하며, 채널을 점유한 경우 프리엠블을 전송한 후에 LTE 서브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프리엠블은 가변 길이를 가지며, 서브프레임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짧을 수 있다.
이와 같이, LTE LAA 기기(200)는 LBT 기능과 프리엠블을 이용하여 기존의 면허 대역에서 사용하던 물리계층의 LTE 서브프레임을 변경(modification)하지 않고 그대로 활용하여 비면허 대역에서도 전송 할 수 있다. 또한 LTE LAA 기기(200)는 WLAN과 같은 타 기종의 기기와 공존하면서 간섭을 유발하거나 받지 않고 채널을 점유하여 일정기간 동안 사용 할 수 있다.
현재 LBT는 ETSI에서 정의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LTE LAA 기기(200)는 프리엠블을 비면허 대역에서 활용하여, 비면허 대역에서 데이터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리엠블은 LTE 면허 대역과의 시간 동기화를 위해 LTE 면허 대역의 서브프레임 구간의 시작점 또는 끝나는 시점과 같이 서브프레임의 경계까지 전송될 수 있다. 또한 프리엠블은 서브프레임의 경계가 아닌 서브프레임 내 슬롯의 경계 또는 서브프레임 내 특정 심볼의 경계까지 전송될 수도 있다. 비면허 대역과 면허 대역의 서브프레임이 시간적인 동기를 갖추게 되면, 구현 측면이나 스케줄링 측면에서 유리한 점이 있기 때문에 현재 표준화 진행 단계에선 이러한 동기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기본 전제로 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리엠블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신호[w(n)]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프리엠블은 유연(flexible)하게 길이가 가변된다. 프리엠블은 신호[w(n)] 및 FSTF(Fine time Symbol Training Field) 신호[v(n)]를 포함한다.
신호[w(n)]는 적어도 하나의 기본 단위 시퀀스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가변적인 길이를 가진다.
FSTF 신호[v(n)]는 신호[w(n)] 다음에 위치하며, 하나의 전송 심볼의 길이를 가진다. FSTF 신호[v(n)]는 수신단에서 수신 신호의 시간 동기를 맞추고 면허 대역의 LTE 서브프레임과 동기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프리엠블이 서브프레임의 경계가 아닌 서브프레임 내 특정 구간까지 전송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며, 특정 구간은 슬롯이 될 수도 있고, 전송 심볼이 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신호[w(n)]의 기본 단위 시퀀스는 0.521us 정도의 길이로 이루어져 있으며, 실수 값과 허수 값을 가지는 파형을 가진다.
LTE의 디지털 샘플 레이트(digital sample rate)는 30.72MHz인데, 한 샘플을 전송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0.326us[1/(30.72e6)]가 걸리며, 16개의 샘플을 전송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0.521us[=16/(30.72e6)]이다. 즉 프리엠블의 기본 단위 시퀀스는 16개의 샘플 길이에 해당한다.
참고로, LTE OFDM 심볼의 전송 시간은 66.67us[=2048/(30.72e6)]이고, CP의 전송 시간/길이는 4.69us[=144/(30.72e6)]이다. 1개의 LTE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ms[=30720/(30.72e6)]이다. 따라서 프리엠블의 기본 단위 시퀀스가 1920개 연속으로 전송되면 1ms가 된다.
16개의 샘플 길이를 가지는 시간 도메인에서 기본 단위 시퀀스 s(n)은 수학식 1에 의해서 생성된다.
Figure pat00001
수학식 1에서, p는 신호를 정규화(normalize)하기 위한 상수이고, 주파수 도메인의 시퀀스 z(k)와 인덱스 k는 수학식 2와 같이 정의된다.
Figure pat00002
수학식 2는
Figure pat00003
을 의미한다.
수학식 2에서 a-5부터 a5는 복소수(complex number)이며 이진 비트(binary bit)에 의해서 수학식 3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pat00004
이진 비트 b-5부터 b5는 수학식 4와 같이 LTE 규격에서 정의된 기지국의 물리적 셀 식별자(physical cell ID)인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에 의해 결정되어 맵핑이 된다.
Figure pat00007
여기서, B(.)는 이진수로 변환시키는 이항 연산자(binary operator) 함수이다. 예를 들어,
Figure pat00008
=2이고
Figure pat00009
=97이라고 가정하면, 이진수 b-5b-4b-3b-2b- 1b1b2b3b4b5는 110000110으로 결정된다. 따라서 z(k)는 [0 0 0 -1-j -1-j 1+j 1+j 1+j 0 1+j 1+j -1-j -1-j 1+j 0 0]이 된다.
p가 4인 경우, z(k)를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시간 영역으로 변환하게 되면, 기본 단위 시퀀스 s(n)는 수학식 5와 같다.
Figure pat00010
신호[w(n)]는 이러한 기본 단위 시퀀스 s(n)가 반복되어 생성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보면, LTE LAA 기기(200)는 채널을 점유한 후, 적어도 하나의 기본 단위 시퀀스를 지정된 시점까지 전송한 후에, 이어서 OFDM 심볼 타이밍을 위한 FSTF 신호[v(n)]를 전송할 수 있다.
OFDM 심볼 타이밍을 위한 FSTF 신호[v(n)]는 30.72MHz의 샘플링을 기준으로 2192 또는 2208 샘플 길이로 고정되어 있다. 2192 또는 2208 샘플 길이는 2048 샘플 길이와 CP 길이의 합으로 표현된다. 즉 FSTF 신호[v(n)]는 CP의 길이에 따라서 2192 또는 2208 샘플 길이를 가지게 되며, 면허대역의 LTE 서브프레임의 심볼 위치에 따라 길이가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면허대역의 LTE 서브프레임에서, 일반 CP의 경우 하나의 슬롯이 7개의 전송 심볼을 포함하는데, 첫 번째 슬롯과 두 번째 슬롯에서 1번째 심볼의 CP는 160 샘플 길이를 가지며, 첫 번째 슬롯과 두 번째 슬롯에서 2번째부터 7번째 심볼의 CP는 144 샘플 길이를 가진다. 따라서 FSTF 신호[v(n)]가 면허대역의 LTE 서브프레임의 1번째 심볼 위치에서 전송된다면 FSTF 신호[v(n)]는 2208 샘플 길이를 가지게 되며, FSTF 신호[v(n)]가 면허대역의 LTE 서브프레임의 2번째부터 7번째 심볼 중 어느 하나의 심볼 위치에서 전송된다면 2192 샘플 길이를 가지게 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FSTF 신호[v(n)]가 5번째 심볼 위치에서 전송된다면, FSTF 신호[v(n)]는 2192 샘플 길이로 생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FSTF 신호의 전송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FSTF 신호[v(n)]의 전송 위치가 홀수 번째 서브프레임의 3, 6, 9 및 12번째 심볼로 정해지고, 짝수 번째 서브프레임의 1, 4, 7, 10 및 13번째 심볼로 정해져 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홀수 번째 서브프레임의 3번째 심볼의 시작점 이전에 LBT에 의해 해당 채널을 점유하게 되면, 2번째 심볼이 끝나는 시점까지 신호[w(n)]가 전송된 다음에, FSTF 신호[v(n)]는 3번째 심볼의 시작점부터 3번째 심볼이 끝나는 시점까지 전송된다. 홀수 번째 서브프레임의 3번째 심볼의 시작점부터 6번째 심볼의 시작점 이전에 LBT에 의해 해당 채널을 점유하게 되면, 5번째 심볼이 끝나는 시점까지 신호[w(n)]가 전송된 다음에, FSTF 신호[v(n)]는 6번째 심볼의 시작점부터 6번째 심볼이 끝나는 시점까지 전송된다. 홀수 번째 서브프레임의 6번째 심볼의 시작점부터 9번째 심볼의 시작점 이전에 LBT에 의해 해당 채널을 점유하게 되면, 8번째 심볼이 끝나는 시점까지 신호[w(n)]가 전송된 다음에, FSTF 신호[v(n)]는 9번째 심볼의 시작점부터 9번째 심볼이 끝나는 시점까지 전송된다. 홀수 번째 서브프레임의 9번째 심볼의 시작점부터 12번째 심볼의 시작점 이전에 LBT에 의해 해당 채널을 점유하게 되면, 11번째 심볼이 끝나는 시점까지 신호[w(n)]가 전송된 다음에, FSTF 신호[v(n)]는 12번째 심볼의 시작점부터 12번째 심볼이 끝나는 시점까지 전송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FSTF 신호[v(n)]는 한 심볼 구간 동안 전송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FSTF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FSTF 신호[v(n)]는 면허 대역의 LTE 서브프레임과 효율적인 동기 획득을 위해 우선 2048 샘플 길이를 가지는 신호[y(n)]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간적으로 66.67us의 전송 시간을 가진다.
LTE LAA 기기(200)는 1024의 샘플 길이를 가지는 골레이 시퀀스(Golay sequence)를 이용하여 신호[y(n)]를 생성한다. 골레이 시퀀스는 수학식 6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Figure pat00011
수학식 6에서, Dk=[1 8 2 32 4 16 64 128 256 512]로 정의되며, 이때 k= 1, 2, …, 10이다. Dk는 디랙 델타 함수(Dirac delta function)로서 n=0인 경우에 1의 값을 가지고 그 외의 n에 대해 0의 값을 가진다. 또한 Ak(n) 및 Bk(n)은 n<0 및 n≥2k 구간에서 0의 값을 가진다.
Wk의 벡터를 결정하는 요소 bk는 물리적인 셀 식별자(예를 들면,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를 바탕으로 구성된 연접된 양극형(bi-polar) 심볼에 의해 정의된다. 수학식 7과 같이 b1부터 b2까지는
Figure pat00014
를 나타내고, 나머지 b3부터 b10까지는
Figure pat00015
를 나타낸다. 따라서
Figure pat00016
Figure pat00017
를 연접하면 10비트의 변수로 수학식 8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pat00018
Figure pat00019
예를 들어
Figure pat00020
가 2이고
Figure pat00021
가 97이면 연접된 이진 시퀀스는 0110000110이 된다. 연접된 이진 시퀀스를 BPSK 변조를 하면 Wk는 [1 -1 -1 1 1 1 1 -1 1]이 된다.
일 예로서, Dk는 [1 4 2], Wk는=[1 -1 1]이 주어졌을 때, Z8(n)=A3(7-n)는 수학식 9와 같이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k=1, 2, 3이다.
Figure pat00022
LTE LAA 기기(200)는 수학식 6과 Wk=[b1 b2 b3 b4 b5 b6 b7 b8 b9 b10](k=1, 2, …, 10)을 사용하여 초기 시퀀스를 생성한다(S610). LTE LAA 기기(200)는 초기 시퀀스를 생성하기 위해 Z1024(n)=A10(1023-n)을 적용한다.
LTE LAA 기기(200)는 초기 시퀀스 Z1024(n)의 스펙트럼 성형(spectrum shaping)을 적용하기 위해 수학식 10과 같이 초기 시퀀스 Z1024(n)를 주파수 영역의 시퀀스로 변환한다(S620).
Figure pat00023
여기서,
Figure pat00024
이다.
LTE LAA 기기(200)는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된 시퀀스를 수학식 11과 같이 주파수 확장된 시퀀스 Y(k)로 맵핑한다(S630).
Figure pat00025
다음, LTE LAA 기기(200)는 시퀀스 Y(k)에 전송 대역폭 확장을 적용한다. 즉 LTE LAA 기기(200)는 수학식 12와 같이 전송 대역폭이 확장된 시퀀스 Y'(k)를 생성한다(S640). 이때 전송 대역폭의 확장은 유럽의 ETSI 전송 규제에 따른 것이다.
Figure pat00026
즉, 양쪽 대역 가장자리 부분에 32개의 부반송파가 추가되어 수학식 11에 도시된 시퀀스 Y(k)에 비해 총 64개의 부반송파가 추가된다.
마지막으로 LTE LAA 기기(200)는 전송 대역폭이 확장된 시퀀스 Y'(k)를 수학식 13과 같이 시간 영역의 시퀀스로 변환한다(S650).
Figure pat00027
여기서, NCP는 CP의 길이를 나타내며, p는 송신 신호의 전력을 정규화하기 위한 스케일링 인자(scale factor)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용 대역폭이 20MHz인 경우 신호[y(n)]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신호[y(n)]의 주파수 스펙트럼 밀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Dk의 벡터 성분이 [1 8 2 32 4 16 64 128 256 512]로 정해지고, Wk의 벡터 성분이 [1 -1 -1 -1 -1 -1 1 -1 1]로 정해졌을 때, 도 5에서 설명한 방법에 의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시간 영역의 신호[y(n)]가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생성된 신호[y(n)]의 주파수 스펙트럼 밀도(spectrum density)는 도 8과 같다. 즉 신호[y(n)]는 대역폭 20MHz의 80% 이상인 16.32MHz를 차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 스펙트럼의 결과는 유럽의 ETSI 규제를 만족하는 수치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FSTF 신호의 상관 값을 나타낸 도면이다.
FSTF 신호를 수신하는 LTE LAA 기기(예를 들면, 단말)가 신호[y(n)]를 알고 있는 경우 FSTF 신호의 상관 값[v(n)]은 도 9과 같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시간 동기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의 상관 값을 0이라고 가정할 때 상관 값의 최대치는 시간 동기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 대비해 평균 30dB이상의 상관 값을 가진다.
따라서 비면허 대역의 단말은 FSTF 신호의 상관 결과를 바탕으로 정확한 시간 동기(즉, FFT 윈도우 타이밍)를 맞출 수 있는 기준 타이밍 정보를 얻게 된다.
이와 같이, 단말에서 FSTF 신호를 수신하고 시간 동기를 추정하기 위해서 상관기를 필요로 하는데, FSTF 신호를 골레이 시퀀스를 기반으로 생성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골레이 상관기(efficient Golay correlator)를 사용하면 상관기의 복잡도를 크게 낮출 수 있다. 효율적인 골레이 상관기는 앞서 사용된 길이 1024의 골레이 시퀀스의 상관 값을 가지기 위해 덧셈 또는 뺄셈을 1023번 수행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덧셈 또는 뺄셈을 10[=log(1024)]번만 수행해도 되므로, 효율적인 골레이 상관기를 사용하면 덧셈 또는 뺄셈 횟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FSTF 신호의 생성 과정은 20MHz의 주파수 대역폭(30.72MHz 샘플 레이트)을 토대로 설명하였다.
전송 대역폭이 10MHz인 경우 길이 512의 골레이 시퀀스를 사용하여 10MHz의 주파수 대역폭에 맞게 신호[y(n)]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Z512(n)=A9(511-n)은 수학식 14에 적용하여 주파수 영역의 시퀀스로 변환된다.
Figure pat00028
수학식 14에서, Z512(n)=A9(511-n)은 Dk=[1 8 2 32 4 16 64 128 256](k=1, 2, …, 9)와 Wk=[b1 b2 b3 b4 b5 b6 b7 b8 b9](k=1, 2, …, 9)를 수학식 6에 대입해서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된 시퀀스는 수학식 11과 유사한 방법으로 주파수 확장된 시퀀스로 맵핑되고, 주파수 확장된 시퀀스는 수학식 15와 같이 전송 대역폭이 확장된 시퀀스 Y'(k)로 맵핑될 수 있다.
Figure pat00029
즉, 양쪽 대역 가장자리 부분에 각각 16개의 부반송파를 추가하여 주파수 확장된 시퀀스에 비해 총 32개의 부반송파가 추가된다.
마지막으로 전송 대역폭이 확장된 Y'(k)는 수학식 16과 같이 시간 영역의 신호로 변환된다.
Figure pat00030
여기서, 전송 대역폭 10MHz의 경우 NCP는 72 또는 80이 된다.
한편, 전송 대역폭이 5MHz인 경우, Z256(n)=A8(255-n)은 수학식 17과 같이 주파수 영역의 시퀀스로 변환된다.
Figure pat00031
수학식 17에서, Z256(n)=A8(255-n)은 Dk=[1 8 2 32 4 16 64 128](k=1, 2, …, 8)와 Wk=[b1 b2 b3 b4 b5 b6 b7 b8](k=1, 2, …, 8)를 수학식 6에 대입해서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된 시퀀스는 수학식 11과 유사한 방법으로 주파수 확장된 시퀀스로 맵핑되고, 주파수 확장된 시퀀스는 수학식 18과 같이 전송 대역폭이 확장된 시퀀스 Y'(k)로 맵핑될 수 있다.
Figure pat00032
즉, 양쪽 대역 가장자리 부분에 각각 8개의 부반송파가 추가되어 주파수 확장된 시퀀스에 비해 총 16개의 부반송파가 추가되는 결과를 가지게 된다.
마지막으로 전송 대역폭이 확장된 시퀀스 Y'(k)는 수학식 19와 같이 시간 영역의 호로 변환된다.
Figure pat00033
여기서, 전송 대역폭 5MHz의 경우 NCP는 36 또는 40이 된다.
한편, 앞에서 설명한 Wk=[b1 b2 b3 b4 b5 b6 b7 b8 b9 b10](k=1, 2, …, 10)를 기지국의 물리적인 셀 식별자 대신에 10비트의 메시지를 알릴 수 있는 시스템 방송 정보를 전송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면허 대역을 이용한 통신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비면허 대역을 이용한 통신 장치(1100)는 프로세서(1110), 송수신기(1120) 및 메모리(1130)를 포함한다. 비면허 대역을 이용한 통신 장치(1100)는 LTE LAA 기기(200) 내에 구현될 수 있다. LTE LAA 기기(200)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지국일 수도 있고, 단말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1110)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비면허 대역을 점유하기 위해 WLAN 기기들과 경쟁한다. 프로세서(1110)는 LBT를 수행하여 채널이 점유 상태를 확인하고, 채널이 유휴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LTE 임의 백오프 구간을 기다린 후, 해당 채널을 점유하면, 해당 채널에 대해 타 기기가 점유 상태로 인식되도록 하고 면허 대역의 서브프레임과 동기를 맞추기 위해 프리엠블을 생성하여 송수신부(1120)를 통해 프리엠블을 전송한다. 프로세서(1110)는 도 3 내지 도 5를 토대로 설명한 방법으로 프리엠블을 생성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110)는 도 5를 토대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FSTF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 프로세서(1110)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LTE 서브프레임을 생성하고, LTE 서브프레임을 송수신기(1120)를 통해 전송한다.
송수신기(1120)는 프리엠블 및 LTE 서브프레임을 전송한다.
메모리(1130)는 프로세서(1110)에서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instructions)를 저장하고 있거나 저장 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명령어를 로드하여 일시 저장하며, 프로세서(1110)는 메모리(1130)에 저장되어 있거나 로드된 명령어를 실행한다.
프로세서(1110)와 메모리(1130)는 버스(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버스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도시하지 않음)도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입출력 인터페이스에 송수신기(1120)가 연결되며, 입력 장치, 디스플레이, 스피커, 저장 장치 등의 주변 장치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7)

  1. 면허 대역에서 운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기가 비면허 대역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비면허 대역의 채널을 점유하는 단계,
    상기 채널의 점유를 알리기 위한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신호 이후에 상기 면허 대역과의 동기를 유지하기 위한 제2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면허 대역을 이용한 통신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점유하는 단계는
    상기 비면허 대역의 채널 점유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채널이 유휴 상태인 경우에, 설정된 임의 백오프 구간을 기다리는 단계, 그리고
    상기 임의 백오프 구간 이후 상기 채널을 점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면허 대역을 이용한 통신 방법.
  3. 제1항에서,
    상기 면허 대역에서 하나의 무선 프레임은 복수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각 서브프레임은 제1 및 제2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슬롯 및 제2 슬롯은 각각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전송 심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신호는 하나의 전송 심볼의 길이를 가지는 비면허 대역을 이용한 통신 방법.
  4. 제2항에서,
    상기 제2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골레이 시퀀스(Golay sequence)를 이용하여 제1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시퀀스에 CP(cyclic prefix)를 추가하여 상기 제2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면허 대역을 이용한 통신 방법.
  5. 제4항에서,
    상기 제1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골레이 시퀀스를 이용하여 초기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초기 시퀀스를 주파수 영역의 시퀀스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주파수 영역의 시퀀스를 주파수 확장된 시퀀스로 맵핑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주파수 확장된 시퀀스를 시간 영역의 시퀀스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면허 대역을 이용한 통신 방법.
  6. 제5항에서,
    상기 제1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시간 영역의 시퀀스로 변환하기 전에 상기 주파수 확장된 시퀀스의 전송 대역폭을 확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면허 대역을 이용한 통신 방법.
  7. 제6항에서,
    상기 전송 대역폭을 확장시키는 단계는 상기 주파수 확장된 시퀀스의 일부를 복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면허 대역을 이용한 통신 방법.
  8. 제1항에서,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기본 단위 시퀀스를 반복하여 상기 제1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면허 대역을 이용한 통신 방법.
  9. 면허 대역에서 운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기가 비면허 대역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장치로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비면허 대역의 채널을 점유하기 위한 경쟁을 시도하고, 상기 채널을 점유하면 프리엠블을 생성하는 프로세서, 그리고
    상기 프리엠블을 전송하는 송수신기
    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엠블은 타 기기에게 채널 점유를 인식시키기 위한 제1 신호 및 상기 면허 대역과의 동기를 맞추기 위한 제2 신호를 포함하는 비면허 대역을 이용한 통신 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면허 대역에서 하나의 무선 프레임은 복수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각 서브프레임은 제1 및 제2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슬롯 및 제2 슬롯은 각각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전송 심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신호는 하나의 전송 심볼의 길이를 가지는 비면허 대역을 이용한 통신 장치.
  11. 제9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골레이 시퀀스(Golay sequence)를 이용하여 제1 시퀀스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시퀀스에 CP(cyclic prefix)를 추가하여 상기 제2 신호를 생성하는 비면허 대역을 이용한 통신 장치.
  12. 제11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골레이 시퀀스를 이용하여 초기 시퀀스를 생성하고, 상기 초기 시퀀스를 주파수 영역의 시퀀스로 변환한 후, 상기 주파수 영역의 시퀀스를 주파수 확장한 후 시간 영역의 시퀀스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시퀀스를 생성하는 비면허 대역을 이용한 통신 장치.
  13. 제12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시간 영역의 시퀀스로 변환하기 전에 상기 주파수 확장된 시퀀스의 일부를 복사하여 상기 주파수 확장된 시퀀스의 전송 대역폭을 확장시키는 비면허 대역을 이용한 통신 장치.
  14. 제12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골레이 시퀀스와 물리적인 셀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초기 시퀀스를 생성하는 비면허 대역을 이용한 통신 장치.
  15. 제12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골레이 시퀀스와 시스템 방송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초기 시퀀스를 생성하는 비면허 대역을 이용한 통신 장치.
  16. 제9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기본 단위 시퀀스를 반복하여 상기 제1 신호를 생성하는 비면허 대역을 이용한 통신 장치.
  17. 제9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면허 대역의 채널 점유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채널이 유휴 상태인 경우에, 설정된 임의 백오프 구간을 기다린 후 상기 채널을 점유하는 비면허 대역을 이용한 통신 장치.
KR1020160003869A 2015-05-12 2016-01-12 면허 대역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비면허 대역을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장치 KR20160134460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792884.5A EP3297202A4 (en) 2015-05-12 2016-04-29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daptive partial subframe in unlicensed frequency band, method and device for dividing frame structure, an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signal
PCT/KR2016/004568 WO2016182238A1 (ko) 2015-05-12 2016-04-29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서 적응적 부분 서브프레임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프레임 구조를 구분하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CN201910596393.XA CN110266462B (zh) 2015-05-12 2016-04-29 发射机传输方法和由接收机通过未授权带信道执行的方法
US15/317,098 US10314063B2 (en) 2015-05-12 2016-04-29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daptive partial subframe in unlicensed frequency band,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 frame structur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gnal
CN201680001615.3A CN106465411A (zh) 2015-05-12 2016-04-29 用于在未授权频带中发送自适应部分子帧的方法和装置、用于划分帧结构的方法和装置、以及用于发送信号的方法和装置
US16/401,491 US10873957B2 (en) 2015-05-12 2019-05-02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daptive partial subframe in unlicensed frequency band,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 frame structur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66067 2015-05-12
KR1020150066067 2015-05-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460A true KR20160134460A (ko) 2016-11-23

Family

ID=57541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3869A KR20160134460A (ko) 2015-05-12 2016-01-12 면허 대역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비면허 대역을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446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66462B (zh) 发射机传输方法和由接收机通过未授权带信道执行的方法
US20200163128A1 (en) Random access configuration method, network device, and terminal device
EP3354094B1 (en) Methods, apparatuses, and systems for interference-dependent cross-carrier scheduling for license assisted access uplink
US20160353482A1 (en) Reservation coordination in a shared communication medium
US9763267B2 (en) Techniques for using collision avoidance signaling for co-existence with unlicensed networks
CN105230104B (zh) 信道资源的分配方法及通信设备
US11246159B2 (en) Transmission medium shar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KR20170098891A (ko)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장치
US9713170B2 (en) Techniques for using traffic monitoring for co-existence with unlicensed networks
KR20180123531A (ko) 정보 전송 방법 및 디바이스
US11665751B2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network device
CN113747599B (zh) 用户设备、基站及其方法
WO2022021241A1 (zh) 同步信号块的传输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0743295B2 (en) Message sending method, related device, and system
KR102279059B1 (ko)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서 적응적 부분 서브프레임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프레임 구조를 구분하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6171595A1 (en) Controlling access to a radio medium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1110853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symbol
CN110622591A (zh) 一种发现信号的发送方法、检测方法、基站和用户设备
KR20160037768A (ko) 면허 대역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비면허 대역을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장치
KR20160150276A (ko)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무선 통신 셀룰러 시스템에서 초기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60134460A (ko) 면허 대역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비면허 대역을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장치
CN109983795B (zh) 用于促进数据传输的方法和装置
RU2792774C1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сигналов и сет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WO2022012643A1 (en) Synchronisation signals in shared spectrum for cellular networks
US20220400514A1 (en) Controlling transmission medium access in an open spectr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