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4139A - 클라우드 기반 비디오 데이터 인제스팅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기반 비디오 데이터 인제스팅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4139A
KR20160134139A KR1020150067655A KR20150067655A KR20160134139A KR 20160134139 A KR20160134139 A KR 20160134139A KR 1020150067655 A KR1020150067655 A KR 1020150067655A KR 20150067655 A KR20150067655 A KR 20150067655A KR 20160134139 A KR20160134139 A KR 20160134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pload
uploading
control command
inge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7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세윤
최진수
조숙희
김휘용
임성창
김종호
이대열
김진웅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67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4139A/ko
Publication of KR20160134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41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server load, available bandwidth, upstream requests
    • H04N21/2408Monitoring of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client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04N21/2743Video hosting of uploaded data from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7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for transmitting client requests to a VOD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45Monitor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its availability, bandwid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라우드 기반 비디오 데이터 인제스팅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클라우드 기반 비디오 데이터 인제스팅 장치는 데이터 계층화부, 업로드부, 적응적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원본 비디오의 파일을 계층화 및 분할하여 생성된 다수의 저용량 비디오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클라우드 상의 공유 저장에 업로드 하여 인제스팅 시간을 단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클라우드 기반 비디오 데이터 인제스팅 장치 및 그 방법{Cloud network based video data inges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영상 콘텐츠 편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클라우드 상의 컴퓨팅 자원을 이용하여 비디오 콘텐츠 제작 작업에 있어 시간적 병목 현상을 발생 시키는 이유 중 하나인 인제스팅 작업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클라우드 상에 존재하는 컴퓨팅 자원을 이용하여 비디오 데이터를 이용한 비디오 콘텐츠 제작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원본 비디오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클라우드 내부의 공유 스토리지로 업로드 전송, 즉 인제스팅 과정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종래의 방식에 따르면 이러한 인제스팅 프로세스가 완료된 후에야 업로드 된 파일을 대상으로 비디오 콘텐츠의 편집작업이 가능하게 되므로, 작업에 사용할 원본 미디어의 데이터 크기가 클수록, 인제스팅에 필요한 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대용량의 미디어 데이터를 편집하기 위해선 인제스팅이 완료될 때까지의 긴 시간 동안 편집을 할 수 없어 시간적 병목현상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인제스팅이 완료되기 전에는 미디어 편집작업을 진행 할 수가 없어 시간적 병목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해결하기 위해 원본 비디오 데이터를 그대로 업로드 전송하는 종래의 방식 대신, 원본 비디오 데이터를 계층화 및 분할하여 생성한 다수의 저해상도 비디오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클라우드 상의 공유 저장소에 업로드 하여 인제스팅 시간을 단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클라우드 기반 비디오 데이터 인제스팅 장치는 원본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계층화하고, 상기 계층화된 데이터를 분할하는 데이터 계층화부; 상기 분할된 데이터를 클라우드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업로드 하는 업로드부; 및 상기 분할된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순서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한 순서로 업로드 하거나 일부만을 업로드 한 후 상기 업로드의 결과를 상기 클라우드 네트워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여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의 결과를 분석하여 생성한 업로드 제어명령에 따라 필요한 데이터를 업로드 하도록 상기 업로드부를 제어하는 적응적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계층화부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규칙에 따라 공간적 또는 시간적으로 계층화하고 원본 데이터를 분할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직접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요청이 있는 경우 요청된 계층으로 계층화하여 원본 데이터를 분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계층화부는, 시간적으로 계층화하는 경우 전면 변환검출 기법을 사용하여 불규칙적으로 원본 데이터를 분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응적 제어부는, 업로드 순서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작은 데이터 크기를 가지는 시간적 또는 공간적 계층의 데이터부터 계층별로 순차적으로 업로드하거나 또는 가장 작은 데이터 크기를 가지는 시간적 또는 공간적 계층의 데이터만 업로드하고 상기 업로드 제어명령에 따라 필요한 데이터를 업로드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응적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순서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한 순서로 업로드 하거나 일부만을 업로드 한 후 상기 피드백 된 업로드 제어명령에 따라 필요한 데이터를 업로드 하도록 제어하는 업로드 제어부; 및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업로드로 인하여 변경된 상태를 상기 클라우드 네트워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여 모니터링 하거나 각 계층의 단위 구간의 데이터 업로드가 완료될 때마다 변경된 상태를 상기 클라우드 네트워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여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의 결과를 분석하여 업로드 제어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업로드 제어명령을 상기 업로드 제어부에 피드백 하는 업로드 제어명령 생성부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클라우드 기반 비디오 데이터 인제스팅 방법은 원본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계층화하고, 상기 계층화된 데이터를 분할하는 단계; 상기 분할된 데이터를 클라우드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업로드 하는 단계; 및 상기 분할된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순서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한 순서로 업로드 하거나 일부만을 업로드 한 후 상기 업로드의 결과를 상기 클라우드 네트워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여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의 결과를 분석하여 생성한 업로드 제어명령에 따라 필요한 데이터를 업로드 하도록 상기 업로드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계층화된 데이터를 분할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규칙에 따라 공간적 또는 시간적으로 계층화하고 원본 데이터를 분할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직접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요청이 있는 경우 요청된 계층으로 계층화하여 원본 데이터를 분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계층화된 데이터를 분할하는 단계는, 시간적으로 계층화하는 경우 전면 변환검출 기법을 사용하여 불규칙적으로 원본 데이터를 분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계층화된 데이터를 분할하는 단계는, 업로드 순서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작은 데이터 크기를 가지는 시간적 또는 공간적 계층의 데이터부터 계층별로 순차적으로 업로드하거나 또는 가장 작은 데이터 크기를 가지는 시간적 또는 공간적 계층의 데이터만 업로드하고 상기 업로드 제어명령에 따라 필요한 데이터를 업로드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업로드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순서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한 순서로 업로드 하거나 일부만을 업로드 한 후 상기 모니터링의 결과 값에 따라 필요한 데이터를 업로드 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업로드로 인하여 변경된 상태를 상기 클라우드 네트워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여 모니터링 하거나 각 계층의 단위 구간의 데이터 업로드가 완료될 때마다 변경된 상태를 상기 클라우드 네트워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여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의 결과 값을 분석하여 상기 업로드 제어부에 피드백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정보 제공장치와 비디오 데이터 인제스팅 장치, 클라우드 네트워크 시스템, 다수의 편집장치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디오 데이터 인제스팅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적응적 제어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디오 데이터 인제스팅 장치와 클라우드 네트워크 시스템, 다수의 편집장치간 데이터 또는 신호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디오 데이터 인제스팅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 비디오 데이터 인제스팅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정보 제공장치(10)와 비디오 데이터 인제스팅 장치(1000), 클라우드 네트워크 시스템(2000), 다수의 편집장치(20)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비디오 데이터 인제스팅 장치(1000)는 다수의 정보 제공장치(10)와 연결되어 원본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정보 제공장치(10)는 원본 비디오 데이터를 수집 또는 저장하고, 저장된 원본 비디오 데이터를 유/무선 연결을 통해 송신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장치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비디오 데이터 인제스팅 장치(1000)는 원본 비디오 데이터를 계층화 및 분할하여 저용량의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데이터를 클라우드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업로드 할 수 있다.
여기서 인제스팅(ingesting)은 클라우드 상의 자원을 이용한 비디오 콘텐츠 편집 작업을 하기 위해, 해당 클라우드 네트워크 시스템 내부의 공유 저장소로 원본 비디오 데이터를 외부에서 업로드(upload)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미디어의 포맷이 클라우드 상의 제작 장치에서 지원하지 않는 포맷인 경우 포맷의 변환이 인제스팅 시에 함께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디오 데이터 인제스팅 장치(1000)의 계층화 및 분할의 방법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수의 편집장치(20)는 클라우드 네트워크 시스템으로부터 작은 데이터 크기로 분할된 데이터를 전송 받아 비디오 편집작업을 각각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디오 데이터 인제스팅 장치(1000)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비디오 데이터 인제스팅 장치(1000)는 데이터 계층화부(100), 업로드부(200), 적응적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계층화부(100)는 원본 비디오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계층화하고, 상기 계층화된 데이터를 분할할 수 있다.
여기서 계층화란 비디오를 공간적/시간적 해상도를 서브 샘플링 한 원본 비디오보다 낮은 해상도를 갖는 여러 개의 계층으로 변환하는 것을 의미하며, 하위 계층은 상대적으로 더 낮은 공간적/시간적 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계층화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규칙에 따라 공간적 또는 시간적으로 계층화하여 원본 데이터를 분할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직접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요청이 있는 경우 요청된 계층으로 계층화하여 원본 데이터를 분할할 수 있으며, 시간적으로 계층화하는 경우 장면 변환검출 기법을 사용하여 불규칙적으로 원본 데이터를 분할할 수 있다.
공간적 계층화란 계층이 하나 증가할 때마다 가로 해상도와 세로 해상도가 각각 일정한 비율로 줄어들게 하여 계층을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공간적으로 계층화 하는 경우 가로 해상도와 세로 해상도는 1/2씩 줄어 들을 수 있으나, 반드시 줄어드는 수치가 1/2씩 경우만으로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또한 총 계층의 개수와 각 계층별 해상도 변화는 사용자가 설정 또는 시스템에서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시간적 계층화는 공간적 저해상도로 갈 수록 시간적 해상도 (FPS : Frame Per Second)가 줄어들게 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항상 계층의 개수가 증가할 수록 시간적 해상도가 줄어드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시간적 해상도 계층의 개수와 각 계층의 시간 해상도는 사용자가 설정 또는 시스템에서 미리 지정할 수 도 있으며, 이때 인접한 계층간에 시간해상도가 변하지 않는 경우도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시간적 계층화를 아예 사용하지 않는 계층화도 가능하며, 한 공간 계층에서 다수의 시간적 계층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층화의 예를 들면, 가로 해상도 3840, 세로 해상도 2160, 시간 해상도 60 FPS(Frame Per Second), 재생시간이 60분인 원본 데이터를 표1과 같이 계층화할 수 있으며, 계층화에 따라 원본 데이터를 다수의 파일로 분할할 수 있다.
클라우드 환경에서 비디오 콘텐츠를 제작할 때는 인제스팅 과정에서 원본 비디오를 전송해야 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많은 네트워크 데이터 사용량이 발생할 수 있며, 다음과정인 편집과정에서 프록시 편집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편집에 필요한 수준의 저해상도 비디오를 편집기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방식으로 작업이 진행되므로 클라우드 네트워크 시스템과 편집장치(20,21.22..)간의 네트워크 데이터 사용량은 인제스팅 장치(1000)와 클라우드 네트워크 시스템 간의 데이터 사용량에 비해 매우 적게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최 하위 계층으로 비디오가 아닌 각 구간 별로 대표 이미지(key Frame)를 보내는 방식도 가능하며, 이 경우 규칙적인 시간으로 대표 이미지를 추출 하는 것이 아닌, 장면변환 검출 기법을 이용하여 대표 이미지를 추출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층화 및 분할은 아래의 표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가로 해상도 세로 해상도 시간 해상도
(FPS)
분할된 데이터의 재생시간 분할된
파일 개수
원본대비
상대적
데이터량
1 240 135 7.5 5분 12개 1/1024
2 480 270 15 60초 60개 1/256
3 960 540 30 30초 120개 1/32
4 1920 1080 60 5초 720개 1/4
5 3840 2160 60 1초 3600개 1
원본 3840 2160 60 - 1개 -
위의 표 1를 참조하면 가로해상도 240, 세로 해상도 135로 공간적으로 계층화를 하면, 그 기준에 따라 60FPS 원본 비디오 데이터를 5분짜리 파일 12개로 분할할 수 있다.
여기서 분할하는 방법은 표 1과 같이 각 계층별 원본 비디오 데이터를 분할한 데이터의 크기가 각각 동일하도록 나눌 수 있으며 업로드 제어부(200)는 분할된 데이터를 계층별로 데이터 크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업로드하거나 수신한 업로드 제어명령에 따라 업로드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업로드부(200)는 데이터 계층화부(100)에서 분할된 데이터를 클라우드 네트워크 시스템의 내부 저장소, 즉 도 4를 참조하면 공유 스토리지로 업로드 할 수 있다.
업로드의 형식과 방법은 특정한 형식과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분할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형식과 방법이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응적 제어부(300)은 분할된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순서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한 순서로 업로드 하거나 일부만을 업로드 한 후 업로드의 결과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의 결과를 분석하여 생성한 업로드 제어명령에 따라 필요한 데이터를 업로드 하도록 상기 업로드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적응적 제어부(300)에서 업로드를 제어하여 수행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을 수 있다.
제1 방법으로는 낮은 공간적/시간적 해상도의 계층부터 순차적으로 업로드를 수행할 수 있다.
제2 방법으로는 가장 낮은 공간적/시간적 해상도의 계층만 우선적으로 수행하고 업로드 제어명령을 대기하며, 이후에는 업로드 제어명령에 따라 추가적인 업로드 수행할 수 있다.
제2 방법을 사용하는 실시 예에 따르면 3840x2160 60FPS 비디오 100시간을 원본데이터로 편집 작업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계층화를 표 1의 내용과 같이 적용하는 경우, 가장 낮은 계층을 전송하는 경우 원본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보다 1/1024 데이터만 우선 전송할 수 있다.
추가적 요청 및 통상 프록시 편집이 완료된 후에는 편집 작업에 필요한 원본 데이터의 인제스팅 요청에 따라 필요한 계층만을 전송하여 네트워트 데이터량을 감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 따르면 비디오 제작시에는 통상 최종 편집 목표 분량 대비 100배 정도의 원본 데이터를 획득하고 인제스팅 한 후에 편집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프록시 편집 작업 후에는 최종 생성할 비디오 목표 분량과 대비하여 1~5배 정도의 분량으로 감소한다.
예를 들어 3840x2160 60FPS 영상 1시간 분량을 최종 편집 목표로 하는 경우, 종래의 인제스팅 방법을 사용할 때에는 100시간의 3840x2160 60FPS 영상을 인제스팅 해야 하나, 상기 실시 예의 인제스팅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표 1의 계층을 적용하였을 때 240x130 7.5 FPS 100시간을 인제스팅 (종래 방법 보다 데이터량을 1/1024로 줄이는 효과) 할 수 있으며, 프록시 편집 결과에 따라 1~5시간의 3840x2160 60FPS 영상을 업로드를 할 수 있다.
이때 프록시 편집에 필요한 데이터량은 원본 해상도 데이터에 비해 무시할 수 있으므로, 제안 방법은 인제스팅 데이터량을 1/100배~1/20배 정도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제3 방법으로는 임시로 요청된 계층을 우선적으로 수행하고 업로드 제어명령을 대기하며 이후에는 업로드 제어명령에 따라 추가적인 업로드 수행할 수 있다.
제3 방법을 사용하는 실시 예에 따르면 편집자가 프록시 편집을 진행하던 중에 특정 비디오 구간에 대해 프록시 작업 해상도보다 고해상도로 작업이 필요할 경우에는 해당 구간의 고해상도 계층의 인제스팅을 요청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4 방법으로는 상기 제1~3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이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계층별로 분할된 데이터의 업로드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적응적 제어부(300)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적응적 제어부(300)는 업로드 제어부(310), 업로드 결과모니터링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업로드 제어부(310)는 미리 설정된 순서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한 순서로 업로드 하거나 일부만을 업로드 한 후 상기 피드백 된 업로드 제어명령에 따라 필요한 데이터를 업로드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요청은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 받은 정보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업로드 제어부(310)은 업로드 순서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작은 데이터 크기를 가지는 시간적 또는 공간적 계층의 데이터부터 계층별로 순차적으로 업로드하거나 또는 가장 작은 데이터 크기를 가지는 시간적 또는 공간적 계층의 데이터만 업로드하고 상기 업로드 제어명령에 따라 필요한 데이터를 업로드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업로드 제어명령 생성부(320)는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업로드로 인하여 변경된 상태를 모니터링 하거나 각 계층의 단위 구간의 데이터 업로드가 완료될 때마다 변경된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의 결과를 분석하여 업로드 제어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업로드 제어명령을 상기 업로드 제어부에 피드백 할 수 있다.
여기서 모니터링의 결과란 업로드 제어명령 생성부(320)에서 업로드로 인하여 변경상태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변경된 상태란 데이터의 업로드 진행, 수신불량률, 업로드 된 계층 등 업로드 진행에 따른 업로드 상태, 즉 업로드 결과로 인한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모니터링 하여 이전 수집한 상태의 정보와 차이가 나는 부분을 변경된 상태의 정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된 상태의 정보를 분석하여 업로드 제어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방법 중 하나를 통해 업로드 모니터링부(310)는 모니터링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제1 방법으로는 클라우드 네트워크 시스템의 계층화된 미디어 업로드 상태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을 통해 갱신된 정보로 모니터링의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제2 방법으로는 클라우드 네트워크 시스템 각 계층의 단위 구간 파일에 대한 업로드가 완료될 때마다 변경상태 정보를 갱신함으로써 모니터링의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제3 방법으로는 제1 또는 제2 방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모니터링 함으로써 모니터링의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디오 데이터 인제스팅 장치(1000)와 클라우드 네트워크 시스템, 다수의 편집장치간 데이터 또는 신호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비디오 데이터 인제스팅 장치(1000)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 제공장치들로부터 비디오 데이터를 획득 할 수 있다.
획득한 비디오를 원본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계층화하고, 상기 계층화된 데이터를 분할하고 분할된 데이터를 계층별로 데이터 크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클라우드 네트워크 시스템에 업로드 하거나 수신한 업로드 제어명령에 따라 클라우드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의 업로드를 제어할 수 있다.
업로드 된 데이터는 클라우드 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된 공유 스토리지에 저장될 수 있고, 공유 프로세서를 통해 편집 작업에 대한 연산 기능을 적어도 하나의 편집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네트워크 시스템은 업로드 결과에 대한 상태 정보를 편집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이를 비디오 데이터 인제스팅 장치(1000)에 송신할 수 있다.
비디오 데이터 인제스팅 장치(1000)는 클라우드 네트워크 시스템으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 받아 이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업로드 제어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업로드 제어명령으로 하여금 업로드를 제어함으로 써 적응적으로 데이터의 업로드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디오 데이터 인제스팅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원본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계층화하고, 상기 계층화된 데이터를 분할한다(51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원본 데이터를 공간적, 시간적으로 계층화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규칙에 따라 공간적 또는 시간적으로 계층화하여 원본 데이터를 분할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직접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요청이 있는 경우 요청된 계층으로 계층화하여 원본 데이터를 분할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시간적으로 계층화하는 경우에는 장면 변환검출 기법을 사용하여 불규칙적으로 원본 데이터를 분할할 수 있다.
분할된 비디오 데이터를 업로드 한다(52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업로드 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작은 데이터 크기를 가지는 시간적 또는 공간적 계층의 데이터부터 계층별로 순차적으로 업로드 하거나 또는 가장 작은 데이터 크기를 가지는 시간적 또는 공간적 계층의 데이터만 업로드하고 업로드 제어명령을 수신하기 전까지 대기하고 수신한 업로드 제어명령에 따라 업로드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업로드를 수행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을 수 있다.
제1 방법으로는 낮은 공간적/시간적 해상도의 계층부터 순차적으로 업로드를 수행할 수 있다.
제2 방법으로는 가장 낮은 공간적/시간적 해상도의 계층만 우선적으로 수행하고 업로드 제어명령을 대기하며, 이후에는 업로드 제어명령에 따라 추가적인 업로드 수행할 수 있다.
제3 방법으로는 임시로 요청된 계층을 우선적으로 수행하고 업로드 제어명령을 대기하며 이후에는 업로드 제어명령에 따라 추가적인 업로드 수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4 방법으로는 상기 제1~3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이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계층별로 분할된 데이터의 업로드를 수행할 수 있다.
업로드에 따라 변경된 상태를 모니터링 한다(53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클라우드 네트워크시스템부터 수신한 업로드 결과에 따라 변경된 상태를 모니터링 하거나 각 계층의 단위 구간의 데이터 업로드가 완료될 때마다 상기 클라우드 네트워크시스템부터 수신한 업로드 결과에 따라 변경된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방법 중 하나를 통해 모니터링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방법으로는 클라우드 네트워크 시스템의 계층화된 미디어 업로드 상태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을 통해 갱신된 정보로 모니터링의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제2 방법으로는 클라우드 네트워크 시스템 각 계층의 단위 구간 파일에 대한 업로드가 완료될 때마다 변경상태 정보를 갱신함으로써 모니터링의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제3 방법으로는 제1 또는 제2 방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모니터링 함으로써 모니터링의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모니터링 결과를 분석하여 업로드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피드백 한다(54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업로드 제어명령은 업로드의 순서 및 업로드 할 데이터 파일의 선택 등의 정보를 포함하여 업로드를 제어하는 명령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업로드 제어명령을 피드백 받아 업로드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는 편집작업에 필요한 모든 파일의 업로드가 완료 될 때까지 반복 될 수 있다.
업로드 제어명령에 따라 분할된 데이터를 업로드 한다(550).
피드백 받은 업로드 제어명령에 따라 필요한 데이터를 업로드 할 수 있으며, 이는 요구되는 모든 데이터가 업로드 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정보 제공장치 20 : 편집 장치
100 : 데이터 계층화부 200 : 업로드부
300 : 적응적 제어부부 310 : 업로드 제어명령 생성부
330 : 업로드 제어명령 생성부 1000 : 비디오 데이터 인제스팅 장치

Claims (10)

  1. 원본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계층화하고, 상기 계층화된 데이터를 분할하는 데이터 계층화부;
    상기 분할된 데이터를 클라우드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업로드 하는 업로드부; 및
    상기 분할된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순서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한 순서로 업로드 하거나 일부만을 업로드 한 후 상기 업로드의 결과를 상기 클라우드 네트워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여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의 결과를 분석하여 생성한 업로드 제어명령에 따라 필요한 데이터를 업로드 하도록 상기 업로드부를 제어하는 적응적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 비디오 데이터 인제스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계층화부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규칙에 따라 공간적 또는 시간적으로 계층화하고 원본 데이터를 분할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직접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요청이 있는 경우 요청된 계층으로 계층화하여 원본 데이터를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 비디오 데이터 인제스팅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계층화부는,
    시간적으로 계층화하는 경우 전면 변환검출 기법을 사용하여 불규칙적으로 원본 데이터를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 비디오 데이터 인제스팅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적 제어부는,
    업로드 순서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작은 데이터 크기를 가지는 시간적 또는 공간적 계층의 데이터부터 계층별로 순차적으로 업로드하거나 또는 가장 작은 데이터 크기를 가지는 시간적 또는 공간적 계층의 데이터만 업로드하고 상기 업로드 제어명령에 따라 필요한 데이터를 업로드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 비디오 데이터 인제스팅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적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순서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한 순서로 업로드 하거나 일부만을 업로드 한 후 상기 피드백 된 업로드 제어명령에 따라 필요한 데이터를 업로드 하도록 제어하는 업로드 제어부; 및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업로드로 인하여 변경된 상태를 상기 클라우드 네트워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여 모니터링 하거나 각 계층의 단위 구간의 데이터 업로드가 완료될 때마다 변경된 상태를 상기 클라우드 네트워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여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의 결과를 분석하여 업로드 제어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업로드 제어명령을 상기 업로드 제어부에 피드백 하는 업로드 제어명령 생성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 비디오 데이터 인제스팅 장치.
  6. 원본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계층화하고, 상기 계층화된 데이터를 분할하는 단계;
    상기 분할된 데이터를 클라우드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업로드 하는 단계; 및
    상기 분할된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순서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한 순서로 업로드 하거나 일부만을 업로드 한 후 상기 업로드의 결과를 상기 클라우드 네트워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여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의 결과를 분석하여 생성한 업로드 제어명령에 따라 필요한 데이터를 업로드 하도록 상기 업로드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 비디오 데이터 인제스팅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화된 데이터를 분할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규칙에 따라 공간적 또는 시간적으로 계층화하고 원본 데이터를 분할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직접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요청이 있는 경우 요청된 계층으로 계층화하여 원본 데이터를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 비디오 데이터 인제스팅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화된 데이터를 분할하는 단계는,
    시간적으로 계층화하는 경우 전면 변환검출 기법을 사용하여 불규칙적으로 원본 데이터를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 비디오 데이터 인제스팅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화된 데이터를 분할하는 단계는,
    업로드 순서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작은 데이터 크기를 가지는 시간적 또는 공간적 계층의 데이터부터 계층별로 순차적으로 업로드하거나 또는 가장 작은 데이터 크기를 가지는 시간적 또는 공간적 계층의 데이터만 업로드하고 상기 업로드 제어명령에 따라 필요한 데이터를 업로드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 비디오 데이터 인제스팅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업로드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순서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한 순서로 업로드 하거나 일부만을 업로드 한 후 상기 모니터링의 결과 값에 따라 필요한 데이터를 업로드 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업로드로 인하여 변경된 상태를 상기 클라우드 네트워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여 모니터링 하거나 각 계층의 단위 구간의 데이터 업로드가 완료될 때마다 변경된 상태를 상기 클라우드 네트워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여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의 결과 값을 분석하여 상기 업로드 제어부에 피드백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 비디오 데이터 인제스팅 방법.
KR1020150067655A 2015-05-14 2015-05-14 클라우드 기반 비디오 데이터 인제스팅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1341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655A KR20160134139A (ko) 2015-05-14 2015-05-14 클라우드 기반 비디오 데이터 인제스팅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655A KR20160134139A (ko) 2015-05-14 2015-05-14 클라우드 기반 비디오 데이터 인제스팅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139A true KR20160134139A (ko) 2016-11-23

Family

ID=57541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7655A KR20160134139A (ko) 2015-05-14 2015-05-14 클라우드 기반 비디오 데이터 인제스팅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413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505516A (ja) * 2020-01-22 2023-02-09 天窓智庫文化伝播(蘇州)有限公司 インターネットベースのビデオ素材リソース管理方法及び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505516A (ja) * 2020-01-22 2023-02-09 天窓智庫文化伝播(蘇州)有限公司 インターネットベースのビデオ素材リソース管理方法及び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989885B (zh) 视频文件转码系统、分割方法、转码方法及装置
US11303941B2 (en) Media distribution and management platform
JP6867162B2 (ja) 異なる符号化パラメータを用いて符号化された複数の符号化物のストリーミング
US20230254357A1 (en) Fast encoding of live streaming media content
US8818172B2 (en) Multi-user remote video editing
JP5897134B2 (ja) モバイルマルチメディアリアルタイムトランスコーディングシステム、装置、記憶媒体、および方法
EP3100245B1 (en) Selection and display of adaptive rate streams in video security system
US20140219634A1 (en) Video preview creation based on environment
EP3244621B1 (en) Video encoding method, system and server
US201602491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ustomized viewing experience
US2017036659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device media broadcasting or recording with active control
US11290777B2 (en) High-speed parallel engine for processing file-based high-resolution images
US11792245B2 (en) Network resource oriented data communication
US9304965B2 (en) Schedu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load balancing when performing multiple transcoding operations
US8520147B1 (en) System for segmented video data processing
KR20160134139A (ko) 클라우드 기반 비디오 데이터 인제스팅 장치 및 그 방법
JP2015510355A (ja) コンピュータにより実行される方法及び記憶媒体
GB2552376A (en) Method and device for efficiently generating, based on a video flow, a plurality of video streams required by modules of a video surveillance system
EP3996374A1 (en) Media processing method
KR20150091669A (ko) 클라우드 기반 비디오 콘텐츠 제작 장치 및 방법
CN105302645A (zh) 一种任务分发方法及装置
DE112014000242T5 (de) Skalierbare digitale Videoaufzeichnungen auf Netzwerkbasis über eine Architektur auf Shard-Basis
KR20180041784A (ko)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인코딩/트랜스코딩 방법 및 장치
US9253484B2 (en) Key frame aligned transcoding using statistics file
CN105338381A (zh) 一种命令发送方法及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