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2767A - 임플란트 전달을 위해 플러싱 시스템들을 이용하는 전해 분리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전달을 위해 플러싱 시스템들을 이용하는 전해 분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2767A
KR20160132767A KR1020160055084A KR20160055084A KR20160132767A KR 20160132767 A KR20160132767 A KR 20160132767A KR 1020160055084 A KR1020160055084 A KR 1020160055084A KR 20160055084 A KR20160055084 A KR 20160055084A KR 20160132767 A KR20160132767 A KR 20160132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catheter
core member
junction
lum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5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빈센트 드비노
매드허 카담
Original Assignee
코비디엔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비디엔 엘피 filed Critical 코비디엔 엘피
Publication of KR20160132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27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027Type of occlusion
    • A61B17/12031Type of occlusion complete occl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099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 A61B17/12109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in a blood vess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099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 A61B17/12109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in a blood vessel
    • A61B17/12113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in a blood vessel within an aneury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131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 A61B17/12136Ballo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131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 A61B17/1214Coils or wires
    • A61B17/12145Coils or wires having a pre-set deployed three-dimensional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131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 A61B17/12168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having a mesh structure
    • A61B17/1217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having a mesh structure having a pre-set deployed three-dimensional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1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1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 A61F2/011Instruments for their placement or remov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099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 A61B17/12109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in a blood vessel
    • A61B17/12113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in a blood vessel within an aneurysm
    • A61B17/12118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in a blood vessel within an aneurysm for positioning in conjunction with a st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131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 A61B17/1214Coils or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67Material properties shape memory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2017/1205Introduc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2017/1205Introduction devices
    • A61B2017/12054Details concerning the detachment of the occluding device from the introduction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2017/1205Introduction devices
    • A61B2017/12054Details concerning the detachment of the occluding device from the introduction device
    • A61B2017/12063Details concerning the detachment of the occluding device from the introduction device electrolytically detach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61B2090/3966Radiopaque markers visible in an X-ray im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58Additional features; Implant or prostheses propert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250/0071Additional features; Implant or prostheses propert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reakable or frangi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전달 어셈블리로부터의 의료 디바이스의 분리는 전해이고 분리 절차들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체의 투입으로 플러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한 성능들을 제공하는 디바이스는 내강을 갖는 카테터; 내강을 통해 연장되는 코어 부재; 전해 분리 접합에 의해 코어 부재에 부착되는 임플란트로서, 분리 접합은 내강 내 전극에 방사상으로 인접하는, 상기 임플란트; 및 내강을 통해 카테터의 원위 단부 영역과 유체 연통하는 펌프로서, 리턴 전극 및 분리 접합 사이에 유체의 흐름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임플란트는 타겟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전극은 분리 접합에 방사상으로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전압 퍼텐셜이 유체가 카테터의 내강을 통해 분리 접합 및 전극 사이에서 플러싱되는 동안 인가된다.

Description

임플란트 전달을 위해 플러싱 시스템들을 이용하는 전해 분리{ELECTROLYTIC DETACHMENT WITH FLUSH SYSTEM FOR IMPLANT DELIVERY}
본 기술은 전달 시스템에 의한 임플란트 가능한 디바이스들의 전달에 관한 것이다.
의료 디바이스들의 이식 및 동맥들, 정맥들, 나팔관들 또는 혈관 기형들과 같은 체강들의 폐색을 위한 혈관내 기술들의 사용이 이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혈관 동맥류의 폐색은 카테터를 통해 혈관내 전달 와이어의 도움으로 도입되는, 낭상내 임플란트와 같은, 임플란트 가능한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단 치료 부위로 이동된다면, 낭상내 임플란트는 동맥류를 폐색하기 위해 동맥류 공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전달 와이어로부터의 임플란트의 절단이 문제가 될 수 있다. 한편으로, 디바이스는 카테터의 미세 보어를 통해 그것의 목적지로 유도되도록 가능한 한 작은 프로파일로서 형성할 수 있어야 하는 반면, 다른 한편으로 그것은 임플란트의 신뢰 가능한 절단을 초래해야 한다. 임플란트의 신뢰 가능한 절단 없이, 전달 와이어 및 카테터의 회수는 폐색될 공동으로부터 임플란트의 의도치 않은 제거 및 그에 따라 공동 또는 혈관의 벽의 상처 및/또는 파열을 야기할 수 있다.
삽입 수단으로부터 임플란트들의 절단을 위한 종래의 기계적 방법들은 신뢰 가능하다. 그러나, 임플란트 및 전달 수단 사이에서의 연결의 필요한 경직성은 임플란트의 도입을 지연시킬 수 있다. 더욱이, 그것의 경직성으로 이한 연결의 저 부하 운반 용량은 폐색 임플란트로부터 삽입 수단의 너무 이른 분리의 뚜렷한 위험을 수반한다. 게다가, 전달 와이어 및 임플란트의 기계적 분리의 경우에, 기계 에너지가 송신되어야 하며(예로서, 전달 와이어의 회전에 의해), 이것은 임플란트가 정확한 위치 밖으로 벗어나게 할 수 있다.
임플란트의 종래의 전해 절단은 전달 와이어 및 임플란트 사이에서의 연결에서 전달 와이어의 단부 상에서 전해 부식 가능한 설계를 사용하는 것을 수반한다. 이러한 디바이스는 전기혈전술을 위한 애노드로서 작용하는 임플란트에 인가된 전압을 명쾌하게 이용한다. 그러나, 전달 와이어로의 임플란트의 연결은 전해 부식 가능한 영역의 요건들에 의해 제한된다. 예를 들면, 이용될 수 있는 유일한 재료들은 전달 와이어를 통해 폐색 와이어의 신뢰 가능한 유도를 가능하게 하기에 충분히 높은 정도의 힘을 가진 것들이다. 궁극적인 전해 절단의 포인트를 형성하기 위한 재료들의 선택은 결과적으로 극히 제한된다.
임플란트들의 전해 절단을 위한 종래의 디바이스들의 경우에, 임플란트 및 전달 와이어는 일체형으로 생성되지 않으며, 대신에 서로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생성된다. 이러한 설계는 임플란트에 연결된 전달 와이어의 원위 부분에서 와이어 말단의 전해, 부식성절단을 용이하게 하면서 전달 와이어의 근위 구역에서 충분한 힘을 보장하기 위해 수반된 연삭 동작에서 그것의 단부를 향해 전달 와이어가 테이퍼링되어야 한다는 내재된 단점을 가진다. 연결 포인트의 충분한 힘을 보장하기 위해, 전달 와이어의 단부의 부식 가능한 구역은 그것이 높은 굽힘 부하를 겪기 때문에 특정한 최소 값 미만의 직경을 갖지 않아야 한다. 낭상내 임플란트 및 전달 와이어 사이에서의 연결 포인트를 표현한 부식 가능한 와이어는 결과적으로 극히 단단하며 전해 부식성절단을 위해 비교적 긴 시간을 요구할 수 있다.
임플란트 가능한 의료 디바이스의 전해 절단은 전달 와이어 및 의료 디바이스 사이에서의 연결에서 상기 전달 와이어의 단부 상에서 전해 부식 가능한 설계를 사용하는 것을 수반할 수 있다.
본 기술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임플란트를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내강을 갖는 카테터; 내강을 통해 연장되는 코어 부재; 전해 분리 접합에 의해 코어 부재에 부착되는 임플란트로서, 분리 접합은 내강 내 전극에 방사상으로 인접하는, 상기 임플란트; 및 내강을 통해 카테터의 원위 단부 영역과 유체 연통하는 펌프로서, 리턴 전극 및 분리 접합 사이에 유체의 흐름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펌프를 포함한다.
전극은 카테터의 내측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전극은 카테터의 내측 표면을 따라 환상형으로 연장되는 링을 형성할 수 있다. 코어 부재는 카테터의 중심축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안정화 부재는 코어 부재에 접촉하고 카테터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내강 내로 방사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리턴 전극 및 분리 접합은 전력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분리 접합은 전해 부식 가능할 수 있다. 분리 접합은 코어 부재의 재료 또는 임플란트의 재료보다 전해 부식에 더 민감한 재료일 수 있다. 리턴 전극은 카테터를 따라 연장된 도전성 리턴 경로 부재의 원위 단부상에 배치될 수 있다. 코어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은 그것의 외측 표면상에서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분리 접합에 근접한, 코어 부재의 근접 부분이 분리 접합의 단면 치수보다 큰 단면 치수를 가질 수 있다.
본 기술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임플란트를 전달하는 방법은, 타겟 위치에 임플란트를 위치시키는 단계로서, 임플란트는 분리 접합을 갖는 코어 부재에 부착되는, 상기 임플란트를 위치시키는 단계; 카테터의 리턴 전극이 분리 접합에 방사상으로 인접하도록 카테터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전해 분리 접합 및 리턴 전극에 걸쳐 전압 퍼텐셜을 인가하는 단계 및, 전압 퍼텐셜을 인가하는 동안, 카테터의 내강을 통해 분리 접합 및 리턴 전극 사이 유체를 플러싱(flushing)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압 퍼텐셜을 인가하는 단계는 코어 부재를 통해 분리 접합에 제1 전하를 인가하는 단계, 및 리턴 전극에, 제1 전하와 반대인, 제2 전하를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리턴 전극을 위치시키는 단계는 분리 접합 주위에 방사상으로 리턴 전극을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임플란트를 위치시키는 단계는 카테터의 내강을 통해 임플란트를 전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리턴 전극을 위치시키는 단계는 코어 부재를 따라 카테터를 전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압 퍼텐셜을 인가하는 단계는 분리 접합이 부식될 때까지 전압 퍼텐셜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압은 임플란트가 코어 부재와 분리될 때까지 인가될 수 있다. 유체는 임플란트가 코어 부재로부터 분리될 때까지 플러싱될 수 있다.
본 기술의 부가적인 특징들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의 설명에서 제시될 것이며, 부분적으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거나, 또는 본 기술의 실시에 의해 학습될 수 있다. 본 기술의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들뿐만 아니라 기록된 설명 및 그것의 청구항들에서 특히 언급된 구조에 의해 실현되며 달성될 것이다.
앞서 말한 일반적인 설명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 양쪽 모두는 대표적이며 설명적이고 청구된 대로 본 기술의 추가 설명을 제공하도록 의도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기술의 추가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포함되며 본 설명에 통합되며 그 부분을 구성하는, 첨부한 도면들은 본 기술의 양상들을 예시하며, 명세서와 함께, 본 기술의 원리들을 설명하도록 작용한다.
도 1a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라, 전달 시스템의 개요를 제공하는 투시도를 도시한다.
도 1b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라, 환자에 대한 전달 시스템의 개요를 제공하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1c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라, 전달 시스템의 개요를 제공하는 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편조 볼 임플란트의 투시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분기 동맥류 내에 배치된 편조 볼 임플란트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달 시스템의 원위 단부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달 시스템의 원위 단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a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달 카테터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6b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달 카테터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c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달 카테터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d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달 카테터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분기 동맥류 내 임플란트 배치 스테이지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분기 동맥류 내 임플란트 배치 스테이지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분기 동맥류 내 임플란트 배치 스테이지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분기 동맥류 내 임플란트 배치 스테이지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특정 세부사항들이 본 개시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본 기술은 이들 특정 세부사항들의 일부 없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이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다른 인스턴스들에서, 잘-알려진 구조들 및 기술들은 본 개시를 모호하게 하지 않도록 상세히 도시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달 어셈블리로부터 의료 디바이스의 분리는 전해 부식 활동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피처들을 강화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는 인식이 여기에 개시된다. 따라서,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달 메커니즘의 전해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분리 구역들을 제공하여, 분리 프로세스를 보다 빠르고 보다 신뢰 가능하게 한다.
의료 디바이스는 체강들 또는 혈관들에서 임플란트될 수 있다. 의료 디바이스 외에, 전달 시스템은 전압 소스, 캐소드, 및 카테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의료 디바이스는 세로 방향으로 카테터에서 미끄러질 수 있다. 전달 와이어는 의료 디바이스에 맞물릴 수 있으며 애노드로서 작용하도록 적응될 수 있고, 따라서 전달 와이어의 부분은 체액과 접촉하는 동안, 의료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부분들이 전달 와이어로부터 해제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포인트들에서 전해 부식되도록 설계된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1a는 임플란트(20) 및 핸들(42)을 포함한 전달 시스템(10)의 개요를 보여준다. 도시된 핸들(42)은 그것의 원위 단부에서 임플란트(20)에 맞물리는 전달 와이어(44)로의 근위 액세스를 제공한다. 카테터/푸셔 사프트(12)는 간단한 압출(예로서, PTFE, FEP, PEEK, 등)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종래의 카테터 구성 기술들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라이너, 편조 지지대 및 외부 재킷(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로딩 시스(loading sheath) 또는 전달 카테터(100)는 통상적으로 푸셔(12)의 샤프트 위에 제공된다.
전원 공급 장치(46)는 전달 와이어(44)의 근위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전원 공급 장치(46)는 또한 핸들(42)의 근위 부분에 또는 환자에 결합될 수 있다. 전류는 전원 공급 장치(46)로부터, 임플란트(20)에서 또는 그 가까이에서의 분리 구역으로 및 카테터샤프트(100)(및/또는 분리 구역 가까이에서 연장된 또 다른 구조)를 통해 리턴 경로로 흐를 수 있다. 전원 공급 장치(46)는, 직류 전원 공급 장치, 교류 전원 공급 장치, 또는 직류 및 교류 사이에서 스위칭 가능한 전원 공급 장치일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류 전원 공급 장치의 양의 단자는, 전달 와이어(44)의 근위 부분에 결합될 수 있으며, 직류 전원 공급 장치의 음의 단자는 핸들(42)의 근위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전원 공급 장치(46)는 여기에 추가로 논의될 바와 같이, 전해질로서 사용될 수 있는, 혈류와 같은 유체 매체에서 어셈블리의 사용 동안 전해 프로세스를 개시하기 위해 전달 시스템(10)을 통해 전류를 제공할 수 있다. 교류 또는 직류 전원 공급 장치와 같은, 전원 공급 장치는 부가적으로 전기혈전술 프로세스를 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원 공급 장치(46)는 의학적으로 유용한 전기 전류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전기 발전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 장치(46)는 강도, 진폭, 지속 기간, 주파수, 듀티 사이클, 극성 등과 같은, 발전기에 의해 출력되는 에너지의 다양한 파라미터들을 제거하도록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공급 장치(46)는 약 12 볼트 내지 약 28볼트의 전압 및 약 1 mA 내지 약 2mA의 전류를 제공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원(150)은 전달 카테터(100)를 통한 유체의 투입을 위해 펌프(160)와 관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유체원(150)의 유체는 염분이 함유될 수 있거나 환자로의 투입을 위해 적합한 다른 살균 용액일 수 있다. 유체원(150)의 유체는 전해질 용액일 수 있다. 유체는 염분을 포함할 수 있다. 유체는 약물(예로서, 헤파린)과 주입될 수 있다. 유체는 그 안에 전기 전도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유체는 유체원(150)으로부터 펌프(160) 내로 이동되고 전달 카테터(100)의 내강에 제공될 수 있다. 펌프(160)는 투입 펌프, 가압된 컨테이너, 및/또는 중력-기반 투입 메커니즘일 수 있다. 적절한 경로들 및 인터페이스들이 유체원(150), 펌프(160), 및 카테터(100)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구역으로부터의 전류는 환자로, 및 그 다음에 접지로 또는 전원 공급 장치(46)로 흐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공급 장치(46)의 종단은 임플란트(20)에서 또는 그 가까이에서의 분리 구역으로부터 접지로 또는 전원 공급 장치(46)로의 전도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환자의 피부의 표면상의 영역(47)에서 환자에 연결될 수 있다. 임플란트(20)에서 또는 그 가까이에서의 분리 구역에서의 제1 전하는 반대 전하가 분리 구역에서 또는 그 가까이에서 의 유체 흐름(170)에서 유도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10)에 의해 전달된 임플란트(20)는 편조 볼 임플란트일 수 있다. 편조 볼 임플란트(20)는 압축되지 않은/제한되지 않은 상태에서 개방 볼륨(일반적으로, 둥근, 구형, 난형, 심장-모양 등)을 정의하는, 니티놀과 같은, 완충재를 포함한 관형 편조 스톡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임플란트의 크기는 동맥류(2)를 채우도록 선택될 수 있으며, 따라서 편조 볼 임플란트(20)의 근위 단부(53)는 그것이 구성되는 편조의 표면을 따라 분지 혈관들(8)로 혈류를 향하게 하도록 돕는다. 볼의 원위 단부(56)는 돔-형일 수 있다. 편조 볼 임플란트(20)는 적어도 동맥류(2)의 목(9)에서의 흐름에 의해 영향을 받는 단일 층 또는 두 개의 층들(26, 28)(각각, 내부 및 외부 층)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예로서, Pt 와이어) 또는 밴드(도시되지 않음)의 하나 이상의 턴들이 임플란트(20)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원위 방사선 불투과성 특징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된 시스템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몇몇 대표적인 임플란트들은 그 전체가 여기에서 참조로서 통합되는, 2013년 5월 16일에 공개된, 미국 공개 번호 제2013/0123830호에서 개시된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임플란트(20)는 그것의 근위 단부(53)에서 허브(50)를 포함할 수 있다. 허브(50)는 임플란트(20)의 나머지에 단단히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허브(50)는 임플란트(20)의 층들(26, 28)의 편조된 필라멘트들을 꽉 잡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임플란트(20)는 트렁크 관(6) 및 수출관들(8)에 의해 형성된, 혈관 분기(4)에서 동맥류 낭(2) 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임플란트(20)는 트렁크 관(6)(예로서, 뇌저 동맥)을 통한 액세스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전달 시스템을 갖고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마이크로카테터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임플란트(20)를 전달하기 위해, 푸셔 슬리브(12)는 임플란트(20)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맥류 낭(2)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위치된다. 최종적으로, 푸셔 슬리브(12)는 전달 카테터(100)로 회수된다.
임플란트(20)가 여기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편조 볼 임플란트일 수 있지만, 임플란트(20)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임의의 다른 형태 또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임플란트(20)는 혈관 폐색 코일, 원통형, 튜브-형 스텐트, 또는 필터일 수 있다. 다른 유형들의 임플란트들 및 치료 디바이스들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본 기술은 그것의 전달 및 분리를 위해 임의의 이러한 임플란트 또는 치료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어진 임플란트는, 여기에서 추가로 개시되는 바와 같이, 전달 시스템에 의한 맞물림 및 해제를 위해 허브(50)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전해 분리 부재들은 일반적으로 일정한 직경을 가진 단일 와이어이다. 분리 와이어들은 끌어당겨지고 결정성 구조로 인해 높은 내부식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분리 와이어들이 사용될 때, 그것들은 작은 미립자를 남겨두며 이들 미립자는 MRI 영상을 방해할 수 있으며 또한 미립자가 원위 혈관으로 흐른다면 이차 뇌졸증을 야기할 수 있다. 분리 시간은 제한된 영역으로 부식을 집중시킴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시스템(10)은 전달 와이어(31)(예로서, 코어 부재 등), 임플란트 와이어(33), 및 전달 와이어(31) 및 임플란트 와이어(33) 사이에서의 분리 구역(30)을 포함한다. 분리 구역(30)은 전달 와이어(31)의 원위 단부(40) 및 임플란트 와이어(33)의 근위 단부(43)의 연결을 나타낼 수 있다(도 8 및 도 10 참조). 분리 구역(30)에 걸쳐 전달 와이어(31) 및 임플란트 와이어(33)를 연결하는 유형들 및 방법들이 여기에서 추가로 논의된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달 와이어(31)의 부분들은 비도전성 재료로 코팅될 수 있다. 근위 절연 층(34)은 전달 와이어(31)의 외부 표면의 적어도 일 부분 위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근위 절연 층(34)은 전달 와이어(31)의 외부 표면을 원주방향으로 둘러쌀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원위 절연 층(32)은 임플란트 와이어(33)의 외부 표면의 적어도 일 부분 위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위 절연 층(32)은 임플란트 와이어(33)의 외부 표면을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며 접촉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근위 및 원위 절연 층들(34, 32)은 전달 와이어(31) 및 임플란트 와이어(33) 사이에서 분리 구역(30)을 노출된 채로 둔다. 혈액과 같은, 체액과 접촉할 때, 유체는 전류가 코팅되지 않은 분리 구역(30)에 집중되도록 허용하는 전해질로서 작용한다. 근위 및 원위 절연 층들(34, 32)은 유체로의 전달 와이어(31) 및 임플란트 와이어(33)의 노출을 방지한다. 따라서, 푸셔 와이어(44)를 따라 전도된 전기 에너지는 분리 구역(30)에서 집중되며, 그에 의해 분리 구역(30)에서 떨어져 부식시키기 위해 요구된 시간을 감소시킨다. 근위 및 원위 절연 층들(34, 32)은 전달 와이어(31) 및/또는 임플란트 와이어(33)에 대하여 오버-몰딩되고, 공동-압출되고, 분무되거나, 또는 딥-코팅될 수 있다.
근위 및 원위 절연 층들(34, 32)은 폴리이미드, 폴리프로필렌, 폴리올레핀들, 그것의 조합들 등과 같은 전기적으로 비도전성 또는 절연성 폴리머일 수 있다. 레이저 절제는 구성요소를 통해 부식시키기 위해 요구된 시간을 최소화한 제어된 길이로 코팅을 선택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0.0005”만큼 작으며 0.1” 이상만큼 큰 길이들이 제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분리 구역(30)의 길이들은 30초 미만의 분리 시간들을 달성하기 위해 충분한 노출을 제공하도록 0.005” 이상 및/또는 0.010” 미만일 수 있다.
전달 와이어(31), 임플란트 와이어(33), 및/또는 분리 구역(30)의 적어도 일 부분은 탄소, 금, 백금, 탄탈, 그것의 조합들 등과 같은, 도전성 재료로 코팅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금속 코팅들은 알려진 도금 기술들을 사용하여 도포될 수 있다.
전달 와이어(31), 임플란트 와이어(33), 및/또는 분리 구역(30)의 구성요소들은 다음의 재료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세라믹 재료들, 플라스틱들, 비금속들 또는 그것의 합금들, 및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스틸. 전해 부식 가능한 포인트들을 형성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재료 조합들 중 일부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형 AISI 301, 304, 316, 또는 그것의 서브 그룹들의, 스테인리스 스틸들; Ti 또는 TiNi 합금들; Co-계 합금들; 귀금속들; 또는 Pt, Pt 금속들, Pt 합금들, Au 합금들, 또는 Sn 합금들과 같은, 귀금속 합금들. 뿐만 아니라, 의료 디바이스를 형성하기 위해 이용된 세라믹 재료들 및 플라스틱 재료들은 전기적으로 도전성일 수 있다.
전해 부식 가능한 연결들의 다른 피처들 및 논의는 미국 특허 출원 공개 번호 제2012/0010648호 및 미국 특허 번호들(제7,323,000호 및 제8,048,104호)의 논의 및 개시를 포함하여, 본 양수인의 다른 출원들에서 제공되며, 그 각각의 전체는 참조로서 여기에 통합된다.
전달 와이어의 전해 비-부식 가능한 섹션들은 다음의 재료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귀금속들 또는 귀금속 합금들, 내부식성 세라믹 재료들, 내부식성 플라스틱들, 및/또는 백금 금속 합금들. 전해 비-부식 가능한 섹션들의 및 전해 부식 가능한 플랜지들의 형성을 위한 상기 언급된 재료들의 사용은 미리 결정된 포인트들에서 플랜지들의 특정 전해 부식을 보장한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해 부식 가능한 분리 구역은 또한 에칭 또는 다른 방법들에 의해 사전-부식될 수 있다. 따라서, 주어진 단면 프로파일의 구조(들)는 코너들의 존재를 감소시키고, 리세스 깊이를 증가시키며, 및/또는 그 외 부식도를 강화하기 위해 수정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우수한 구조적 설계들은 부식 가능한 포인트들의 사전-부식 없이 여기에 개시된 교시들을 통해 원하는 부식 성능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은 보다 큰 또는 보다 작은 전기화학적 저항을 제공하기 위해 재료의 부분 코팅을 갖는 부식 가능한 분리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부식 가능한 포인트들을 가진 실시예들에서, 포인트들의 전기화학적 저항은 단계적 또는 우선적 전기화학적 저항을 달성하기 위해 변경될 수 있다. 스테인리스 스틸의 맞춤들 상에서 Zn, Sn, 또는 이러한 금속들의 합금들의 코팅들은 특히 만족스러운 것으로 발견되어 왔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 절연 층(32)은 전달 와이어(31) 및 임플란트 와이어(33)의 길이를 따라 전도된 전기 전하로부터 임플란트(20)를 전기적으로 분리시킨다. 원위 절연 층(32)의 근위 단부는 허브(50)에 또는 그것의 근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원위 절연 층(32)의 원위 단부는 허브(50)에 또는 그것의 원위에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임플란트 와이어(33)의 근위 단부는 허브(50)의 근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임플란트 와이어(33)의 원위 단부는 허브(50) 내에 또는 그것의 원위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마커 코일(36)이 근위 절연 층(34)의 외부 표면 주위에서 나선형으로 감긴다. 마커 코일(36)은 백금, 금, 팔라듐, 이리듐 및 그것의 합금들과 같은, 방사선 불투과성 재료일 수 있다. 절연 층(38)은 마커 코일(36)의 외부 표면 주위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층(38)은 마커 코일(36)의 전체 길이에 걸쳐 및 마커 코일(36)을 넘어 원위로 연장될 수 있으며, 따라서 마커 코일(36)의 모든 부분은 절연 층(38)에 의해 커버된다. 절연 층(38)의 원위 단부는 근위 절연 층(34)을 접촉하며 및/또는 그것에 부착될 수 있다. 절연 층(38)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과 같은, 절연성 생체 적합 폴리머 재료일 수 있다. 절연 층(38)은 전달 와이어의 대응 부분에 걸쳐 수축 포장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셔 와이어(44)는 전달 와이어(31)에 일체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푸셔 와이어(44)에 인가된 전기 전하는 푸셔 와이어(44), 전달 와이어(31), 및 분리 구역(30)을 통해 전도될 수 있다. 더욱이, 푸셔 와이어(44)에 인가된 축방향력은 전달 와이어(31) 및 임플란트(20)의 축방향 움직임을 야기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5를 계속해서 참조하면서, 이제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면, 본 기술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대표적인 전달 카테터의 다양한 뷰들이 예시된다. 보다 특히, 도 6a는 전달 카테터(100)의 측면도를 묘사하고, 도 6b는 전달 카테터(100)의 단면도를 묘사하고, 도 6c는 전달 카테터(100)의 단면도를 묘사하며, 도 6d는 전달 카테터(100)의 단면도를 묘사한다. 전달 카테터(100)는 도 1a 및 도 3의 전달 카테터(100)에 대한 몇몇 점들에서 유사할 수 있으며 그러므로 이를 참조하여 가장 잘 이해될 수 있고, 유사한 부호들은 상세히 다시 설명되지 않은 유사한 요소들 또는 구성요소들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도 1a 및 도 3의 전달 카테터(100)에 유사하게, 예를 들어, 전달 카테터(100)는 푸셔 와이어(12) 및/또는 임플란트(20)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카테터(100)는 중심축(126)을 따라 그리고 그 주위에 연장되고 원위 단부(112)에서 종단하는 몸체(110)를 갖는 일반적으로 관형인 부재로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달 카테터(100)는 일반적으로 경추 해부학적 구조에서 그리고 뇌와 연관된 뇌 혈관들 내로 핸들(42)을 너머 종래 가이드와이어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일반적으로 이용 가능한 수 개의 표준, "마이크로카테터" 설계들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전달 카테터(100)는 적어도 125 cm 길이인 길이를 가지고, 보다 특히 약 125 cm 내지 약 175 cm 길이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전달 카테터(100)는 약 155 cm 길이이다. 전달 카테터의 내측 내강(36)은 일반적으로 약 0.01 인치 내지 약 0.098 인치(0.25 mm-2.49 mm)의 내측 직경을 가진다. 다른 설계들 및 치수들이 고려된다. 전달 카테터들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는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마이크로카테터는 Covidien LP로부터 입수 가능한, REBARTM 보강된 마이크로 카테터(Reinforced Micro Catheter) 및 Covidien LP로부터 입수 가능한, MARKSMANTM 카테터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달 카테터(100)의 몸체(110)는 폴리비닐피로리돈(PVP) 또는 몇몇 다른 플라스틱 코팅물과 같은 친수성 물질로 카테터의 내측 표면 또는 인접한 표면상에 선택적으로 라이닝될 수 있는, 다양한 열가소성 수지, 예로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또는 TEFLON?),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FEP; 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PEEK)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부가적으로, 어느 하나의 표면은 원하는 결과들에 따라, 상이한 물질들의 다양한 조합들로 코팅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 전달 카테터(100)는 근위 단부(41), 원위 단부(112), 및 전달 카테터(100)의 근위 포트(44)로부터 연장된 내측 내강(124)을 가질 수 있다. 전달 카테터(100)의 근위 포트(44)는 지혈 밸브를 갖는 어댑터(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다. 전달 카테터(100)는 일반적으로 대퇴 동맥 액세스 부위 및 경동맥 또는 척추 동맥의 경부 영역 사이를 브리징하기 위해 구성되고 일반적으로 이용 가능한 수 개의 표준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전달 카테터(100)는 적어도 85 cm 길이일 수 있고, 보다 특히 약 95 cm 내지 약 105 cm 길이일 수 있다. 종래 및 이용 가능한 설계들에 덧붙여, 가이드 카테터(13)의 내측 내강(43)은 일반적으로 약 0.038 인치 내지 0.090 인치(0.88 mm-2.29 mm)인 내측 직경을 가지고, 보다 특히 약 0.052 인치 내지 약 0.065 인치(1.32 mm-1.65 mm)일 수 있다. 다른 설계들 및 치수들이 고려된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 투입 유체가 전달 카테터(100)의 원위 단부 영역과의 유체 연통을 제공하기 위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 포트(60)에 제공될 수 있다. 투입은 펌프, 주사기, 또는 다른 유체 제어 메커니즘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투입 포트(60)는 전달 카테터(100)의 내강(124)의 원위 단부 영역과의 유체 연통에 제공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극(120)은 전달 카테터(100)의 원위 단부 영역에서 제공된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120)은 중심축(126) 주위에서 전체적으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환상형 링을 형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전극(120)은 전체적으로 원주 방향이 아니게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120)은 중심축(126)의 하나의 방사상 측면상에 전체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추가 예에 의해, 전극(120)은 중심축(126) 주위에 복수의 별개의, 비접경 섹션들을 제공할 수 있다. 전극(120)의 이러한 섹션들은 서로 전기 통신할 수 있거나 개별적으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120)은 몸체(110)의 원위 섹션(114)에 의해 전달 카테터(100)의 원위 단부(112)로부터 변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전극(120)의 원위 부분은 전달 카테터(100)의 원위 단부(112)로 연장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전극(120)은 원위 단부(112)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120)의 내측 표면은 몸체(110)의 내측 표면(118)과 플러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전극(120)의 내측 표면은 몸체(110)의 내측 표면(118)에 대해 보다 더 방사상 안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예를 들어, "단차"를 제공함). 대안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전극(120)의 내측 표면은 몸체(110)의 내측 표면(118)에 대해 보다 덜 방사상 안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예를 들어, 몸체 내로 리세싱됨).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120)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절연을 제공하기 위해 몸체(110)의 외측 섹션(116)에 의해 방사상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전극(120)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일 수 있다. 전극(120)은 몸체(110)의 벽에 내장되는 와이어 또는 코일일 수 있다.
전극(120)은 하나 이상의 링들, 하나 이상의 코일들 또는 다른 적합한 도전성 구조들을 포함할 수 있고, 전기 활동을 위해 구성되고 노출되는 내측 표면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전극(120)은 고정된 내측 직경 또는 크기, 또는 방사상으로 확장 가능한 내측 직경 또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전극(120)을 "페인팅된" 전극일 수 있다. 전극은 백금, 백금 합금(예로서, 92% 백금 및 8% 텅스텐, 90% 백금 및 10% 이리듐), 금, 코발트-크롬, 스테인리스 스틸(예로서, 304 또는 316), 및 그것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6b 및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120)은 도전성 연결 라인(122)을 통해 전원(46)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라인(122)은 전달 카테터(100)의 몸체(110)를 따라 근위로 또는 그 내에서 근위 단부(41)로 연장될 수 있다. 연결 라인(122)은 몸체(110) 내에서 연장된 하나보다 많은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연결 라인(122)은 몸체(110)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또는 그 내에 나선형 코일을 형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연결 라인(122)은 몸체(110)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또는 그 내에 편조된, 직물, 또는 격자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6d를 계속해서 참조하면서, 이제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기술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대표적인 방법의 다양한 스테이지들이 예시된다. 보다 특히, 도 7은 동맥류(2) 가까이에서의 전달 카테터(100)를 예시하고, 도 8은 동맥류(2) 내에 삽입되는 임플란트(20)를 예시하고, 도 9는 진행 중인 분리의 스테이지를 예시하며, 도 10은 푸셔 와이어(12)로부터 임플란트(20)의 분리 후 스테이지를 예시한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카테터(100)는 타겟 임플란트 부위(예를 들어, 동맥류(2))의 부근에 그것의 원위 단부(112)를 배치시키도록 전진된다. 여기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및 단계들 외에, 다른 구성요소들 및 스테이지들이 또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달 카테터(100)는 공지될 기술들에 따라, 가이드 와이어 및/또는 가이드 카테터에 의해 타겟 임플란트 부위로 유도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20)가 타겟 임플란트 부위에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20)는 완전히 전개된 상태로 동맥류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도 8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20)가 타겟 임플란트 부위로 이동되는 스테이지는 푸셔 와이어 및 전달 카테터(100)의 축방향 정렬에 대응할 수 있다. 특히, 분리 구역(30)은 임플란트가 전달 카테터(100)의 밖으로 전진되고 타겟 임플란트 부위에 배치될 때 전극(120)과 정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임플란트(20)는 타겟 임플란트 부위에 배치될 수 있고, 전달 카테터(100)는 그 다음에 푸셔 와이어(12)가 임플란트(20)를 안정되게 유지하면서 전극(120)을 분리 구역(30)과 적절히 정렬시키기 위해 푸셔 와이어(12)에 대해 전진되거나 리트랙트될 수 있다. 전극(120)의 분리 구역(30)과의 정렬은 가시화를 제공하는 구성요소들에 의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달 와이어(100)의 방사선 마커는 전극(120)의 분리 구역(30)과의 적절한 정렬(예를 들어, 축방향 정렬)에 대응하는 구성에 있으면서 푸셔 와이어(12) 및/또는 임플란트(20)의 방사선 마커와 정렬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셔 와이어(12)로부터의 임플란트(20)의 전해 분리가 달성될 수 있다. 분리 구역(30) 및 전극(120) 중 하나 또는 양자는 전기 에너지를 인가하기 위해 가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리 구역(30) 및 전극(120)은 반대 극성의 전기 에너지로 가압되고 분리 구역(30) 및 전극(120) 사이 방사상 갭을 통해 전기 전류를 전달할 수 있다. 이것은 전달 와이어(31)에 의해 분리 구역(30)에 연결되는 전류원(예를 들어 전력원(46))을 활성화함으로써 그리고/또는 전달 와이어(126)에 의해 전극(120)에 연결되는 전류원을 활성화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추가 예에 의해, 분리 구역(30) 및 전극(120) 중 하나가 가압되는 동안, 다른 것은 반대 극성으로 가압되거나 접지된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동안, 분리 구역(30) 및 전극(120)은 각각 다기능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은 치료가 진행됨에 따라 적절한 시기에 상이한 지점들에서 활성 전극 또는 접지 전극 중 어느 하나로서 작용할 수 있다. 추가 예에 의해, 각각은 치료가 진행됨에 따라 적절한 시기에 상이한 지점들에서 캐소드 또는 애노드로서 작용할 수 있다. 원한다면, 전압 차가 형성되는 시간의 기간 동안, 분리 구역(30) 및 전극들(120) 사이 갭에 걸쳐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전류를 생성하기 위해, 극성이 한 번 또는 반복적으로 스위칭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흐름(170)은 푸셔 와이어(12)로부터의 임플란트(20)의 전해 분리 동안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펌프(160)에 의한 유체원(150)으로부터의 유체의 투입은 전달 카테터(100)를 통해 분리 구역(30) 및 전극(120) 사이 갭에 제공될 수 있다. 유체 흐름(170)은 내강(124)으로부터 전달 카테터(100)의 원위 단부(112)에 원위인 영역에 원위로 지향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유체 흐름(170)은 전달 카테터(100)의 원위 단부(112)에 원위인 영역으로부터 내강(124) 내로 근위로 지향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유체 흐름(170)은 갭 내에 형성되는 임의의 기포들을 배기할 수 있다. 기포들의 형성은 또한 갭의 유전 특성들을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포들은 유전 물질로서 작용하고 분리 구역(30)을 전극(120)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태는 바람직하지 않게 높은 항복 전압을 갖는 유전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유체 흐름(170)은 깨끗한 전도 경로를 유지하기 위해 갭 내 유체 구성을 다시 채울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유체 흐름(170)은 분리 구역(30) 및 전극(120) 사이 갭으로부터 잔해물을 배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리 구역(30)의 부분들이 갭 내로 방출됨에 따라, 잔해물들이 형성되거나 잔해물은 분리 구역(30)으로부터 전극(120)까지 단락 회로를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갭에 걸쳐 브리지를 생성하고 분리 구역(30)의 전해 분리의 비율을 감소시킨다. 유체 흐름(170)은 분리 구역(30) 및 전극(120) 사이에 전기 전류를 위한 깨끗한 경로를 유지하기 위해 잔해물을 제거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유체 흐름(170)은 전해 분리 동작의 부분 또는 모든 전해 분리 동작 동안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 흐름(170)은 분리 구역(30) 및 전달 카테터(100) 사이 전압 차의 초기 인가 전, 그 동안, 또는 그 후 시작될 수 있다. 추가 예에 의해, 유체 흐름(170)은 전압 차의 종료 전, 그 동안, 또는 그 후 중단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유체 흐름(170)은 전해 분리 프로세스 동안 존재하는 상태들에 기초하여 간헐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 흐름(170)은 전력원(46)이 임계치 초과 및/또는 미만의 전압 및/또는 전류를 출력할 때 그리고/또는 단지 그 때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원(46)의 제어기가 분리 구역(30) 및 전극(120) 사이 전류 흐름의 증가(예를 들어, 단락 회로) 또는 감소(예를 들어, 개방 회로)를 감지한다면, 유체 흐름(170)은 전류 흐름이 효율적인 전해 부식을 나타내는, 원하는 값 또는 값들의 범위로 정규화될 때까지 제어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유체의 흐름은 프로세스의 스테이지 또는 전체에 걸쳐 연속적일 수 있다. 흐름은 잔해물을 제거하고 혈전 형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프로세스의 부분들 동안 증가될 비율을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구역(30)의 완전한 부식은 푸셔 와이어(12)와 전체적으로 분리된 임플란트(20)를 야기한다. 분리 시, 유체 흐름(170)은 중단될 수 있고, 푸셔 와이어(12) 및 전달 카테터(10)는 타겟 임플란트에서 떠나서 그리고 환자의 밖으로 끌어당겨질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수의과 또는 인간 의학에서 및 보다 특히, 비파열 뇌동맥류 및 후천적 또는 선척적동정맥 혈관 기형들 및/또는 누공의혈관내 치료를 위해 및/또는 종양들의 색전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 논의된 장치 및 방법들은 임의의 특정한 혈관들 내에서 폐색 디바이스의 배치 및 사용에 제한되지 않지만, 임의의 수의 상이한 유형들의 혈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몇몇 양상들에서 혈관들은 동맥들 또는 정맥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혈관들은 흉부위 혈관들(예로서, 목 이상에서의 혈관들), 흉내 혈관들(예로서, 흉부에서의 혈관들), 흉부아래 혈관들(예로서, 복부 영역 이하에서의 혈관들), 측흉 혈관들(예로서, 어깨 영역 이상에서의 혈관들과 같은 흉부의 측면들에 대한 혈관들), 또는 다른 유형들의 혈관들 및/또는 그것의 분지들일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여기에 개시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들은 흉부위 혈관들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흉부위 혈관들은 두개내 혈관들, 뇌동맥들, 및/또는 그것의 분지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여기에 개시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들은 흉내 혈관들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흉내 혈관들은 대동맥 또는 그것의 분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여기에 개시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들은 흉부아래 혈관들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여기에 개시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들은 측흉 혈관들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앞서 말한 설명은 이 기술분야의 숙련자가 여기에 개시된 다양한 구성들을 실시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기술은 특히 다양한 도면들 및 구성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이것들은 단지 예시 목적들을 위한 것이며 본 기술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서 취해져서는 안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기술을 구현하기 위한 많은 다른 방식들이 있을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된 다양한 기능들 및 요소들은 본 기술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도시된 것들과 상이하게 분할될 수 있다. 이들 구성들에 대한 다양한 수정들은 이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쉽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서 정의된 일반적 원리들은 다른 구성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많은 변화들 및 수정들이, 본 기술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이 기술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본 기술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다.
“양상”과 같은 구절은 이러한 양상이 본 기술에 필수적이거나 또는 이러한 양상이 본 기술의 모든 구성들에 적용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양상에 관한 개시는 모든 구성들, 또는 하나 이상의 구성들에 적용할 수 있다. 양상은 개시의 하나 이상의 예들을 제공할 수 있다. “양상”과 같은 구절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을 나타낼 수 있으며 그 역 또한 마찬가지이다. “실시예”와 같은 구절은 이러한 실시예가 본 기술에 필수적이거나 또는 이러한 실시예가 본 기술의 모든 구성들에 적용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실시예에 관한 개시는 모든 실시예들, 또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는 개시의 하나 이상의 예들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와 같은 구절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을 나타낼 수 있으며 그 역 또한 마찬가지이다. “구성”과 같은 구절은 이러한 구성이 본 기술에 필수적이거나 또는 이러한 구성이 본 기술의 모든 구성들에 적용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구성에 관한 개시는 모든 구성들, 또는 하나 이상의 구성들에 적용할 수 있다. 구성은 개시의 하나 이상의 예들을 제공할 수 있다. “구성”과 같은 구절은 하나 이상의 구성들을 나타낼 수 있으며 그 역 또한 마찬가지이다.
개시된 프로세스들에서 단계들의 특정 순서 또는 계층은 대표적인 접근법들의 예시임이 이해된다. 설계 선호들에 기초하여, 프로세스들에서의 단계들의 특정 순서 또는 계층은 재배열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단계들의 일부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첨부한 방법 청구항들은 샘플 순서로 다양한 단계들의 요소들을 제공하며, 제공된 특정 순서 또는 계층에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아이템들 중 임의의 것을 분리하기 위해 용어(“및” 또는 “또는”)를 갖고, 일련의 아이템들에 앞선 구절(“~ 중 적어도 하나”)은 리스트의 각각의 멤버(즉, 각각의 아이템)라기보다는, 전체로서 리스트를 수정한다. 구절(“~ 중 적어도 하나”)은 나열된 각각의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을 요구하지 않으며; 오히려, 구절은 아이템들의 임의의 것 중 적어도 하나, 및/또는 아이템들의 임의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 및/또는 아이템들의 각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를 허용한다. 예로서, 구절들(“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각각은 단지 A, 단지 B, 또는 단지 C; A, B, 및 C의 임의의 조합; 및/또는 A, B, 및 C의 각각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낸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상부”, “하부”, “전방”, “후방” 등과 같은 용어들은 기준의 일반적인 중력 프레임보다는, 기준의 임의의 프레임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부 표면, 하부 표면, 전방 표면, 및 후방 표면은 기준의 중력 프레임에서, 위쪽으로, 아래쪽으로, 대각선으로, 또는 수평으로 연장될 수 있다.
더욱이, 용어(“포함하다”, “갖다” 등)가 설명 또는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정도로, 이러한 용어는 “포함하다”가 청구항에서 전이어로서 이용될 때 해석되는 바와 같이 용어(“포함하다”)에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이도록 의도된다.
단어(“대표적인”)는 여기에서 “예, 인스턴스, 또는 예시로서 역할을 하는”을 의미하도록 사용된다. “대표적인”으로서 여기에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는 다른 실시예들에 비해 선호되거나 또는 유리한 것으로 반드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형에서의 요소에 대한 참조는 구체적으로 서술되지 않는다면 “유일한”을 의미하기보다는, “하나 이상”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남성을 가리키는 대명사들(예로서, 그의)은 여성 및 중성(예로서, 그녀의 및 그것의)을 포함하며 그 역 또한 마찬가지이다. 용어(“몇몇”)는 하나 이상을 나타낸다. 밑줄이 그어진 및/또는 이탤릭체 주제들 및 부제들은 단지 편리함을 위해 사용되고, 본 기술을 제한하지 않으며, 본 기술의 설명의 해석과 관련되어 나타내어지지 않는다. 이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 알려지거나 또는 나중에 알려지게 되는 본 개시 전체에 걸쳐 설명된 다양한 구성들의 요소들에 대한 모든 구조적 및 기능적 등가물들은 여기에서 참조로서 명확하게 통합되며 본 기술에 의해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게다가, 여기에서 개시된 어떤 것도 이러한 개시가 상기 설명에서 명확히 열거되는지에 관계없이 대중에게 전용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본 기술의 특정한 양상들 및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지만, 이것들은 단지 예로서 제공되며, 본 기술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실제로, 여기에 개시된 신규 방법들 및 시스템들은 그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다른 형태들로 구체화될 수 있다. 첨부한 청구항들 및 그것들의 등가물들은 본 기술의 범위 및 사상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형태들 또는 수정들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19)

  1. 임플란트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내강을 갖는 카테터;
    상기 내강을 통해 연장되는 코어 부재;
    전해 분리 접합(electrolytic detachment junction)에 의해 상기 코어 부재에 부착되는 임플란트로서, 상기 분리 접합은 상기 내강 내 전극에 방사상으로 인접하는, 상기 임플란트;
    상기 내강을 통해 상기 카테터의 원위 단부 영역과 유체 연통하는 펌프로서, 리턴 전극 및 상기 분리 접합 사이에 유체의 흐름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펌프를 포함하는, 임플란트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턴 전극은 상기 카테터의 내측 표면에 부착되는, 임플란트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상기 카테터의 내측 표면을 따라 환상형으로 연장되는 링을 형성하는, 임플란트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어 부재는 상기 카테터의 중심축을 따라 배치되는, 임플란트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어 부재에 접촉하고 상기 카테터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상기 내강 내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안정화 부재를 더 포함하는, 임플란트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턴 전극 및 상기 분리 접합은 전력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임플란트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 접합은 전해 부식 가능한, 임플란트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 접합은 상기 코어 부재의 재료 또는 상기 임플란트의 재료보다 전해 부식에 더 민감한 재료인, 임플란트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턴 전극은 상기 카테터를 따라 연장되는 도전성 리턴 경로 부재의 원위 단부상에 배치되는, 임플란트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어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은 그것의 외측 표면상에서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임플란트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 접합에 근접한, 상기 코어 부재의 근접 부분은 상기 분리 접합의 단면 치수보다 큰 단면 치수를 갖는, 임플란트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12. 임플란트를 전달하는 방법으로서,
    타겟 위치에 상기 임플란트를 위치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임플란트는 분리 접합을 갖는 코어 부재에 부착되는, 상기 임플란트를 위치시키는 단계;
    카테터의 리턴 전극이 상기 분리 접합에 방사상으로 인접하도록 상기 카테터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전해 분리 접합 및 상기 리턴 전극에 걸쳐 전압 퍼텐셜을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전압 퍼텐셜을 인가하는 동안, 상기 카테터의 상기 내강을 통해 상기 분리 접합 및 상기 리턴 전극 사이 유체를 플러싱(flushing)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임플란트를 전달하는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전압 퍼텐셜을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코어 부재를 통해 상기 분리 접합에 제1 전하를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리턴 전극에, 상기 제1 전하와 반대인, 제2 전하를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임플란트를 전달하는 방법.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리턴 전극을 위치시키는 단계는 상기 분리 접합 주위에 방사상으로 상기 리턴 전극을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임플란트를 전달하는 방법.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를 위치시키는 단계는 상기 카테터의 내강을 통해 상기 임플란트를 전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임플란트를 전달하는 방법.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리턴 전극을 위치시키는 단계는 상기 코어 부재를 따라 상기 카테터를 전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임플란트를 전달하는 방법.
  17.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전압 퍼텐셜을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분리 접합이 부식될 때까지 상기 전압 퍼텐셜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임플란트를 전달하는 방법.
  18.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전압은 상기 임플란트가 상기 코어 부재와 분리될 때까지 인가되는, 임플란트를 전달하는 방법.
  19.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상기 임플란트가 상기 코어 부재로부터 분리될 때까지 플러싱되는, 임플란트를 전달하는 방법.
KR1020160055084A 2015-05-11 2016-05-04 임플란트 전달을 위해 플러싱 시스템들을 이용하는 전해 분리 KR201601327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708,688 2015-05-11
US14/708,688 US20160331377A1 (en) 2015-05-11 2015-05-11 Electrolytic detachment with flush system for implant deliver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2767A true KR20160132767A (ko) 2016-11-21

Family

ID=55953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5084A KR20160132767A (ko) 2015-05-11 2016-05-04 임플란트 전달을 위해 플러싱 시스템들을 이용하는 전해 분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60331377A1 (ko)
EP (1) EP3092957A1 (ko)
JP (1) JP2016209590A (ko)
KR (1) KR20160132767A (ko)
CN (1) CN106137293A (ko)
CA (1) CA29285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28037B2 (en) * 2016-06-27 2020-11-10 Covidien Lp Electrolytic detachment with fluid electrical connection
CN106539608A (zh) * 2017-01-11 2017-03-29 仇汉诚 一种血管支架
CN108339195B (zh) * 2017-01-22 2020-06-26 北京市神经外科研究所 一种用于电血栓形成的装置和方法
US11051824B2 (en) * 2017-09-28 2021-07-06 Microvention, Inc. Embolic delivery
US10709463B2 (en) 2017-12-11 2020-07-14 Covidien Lp Electrically enhanced retrieval of material from vessel lumens
US11058444B2 (en) 2017-12-11 2021-07-13 Covidien Lp Electrically enhanced retrieval of material from vessel lumens
FR3079404B1 (fr) * 2018-03-29 2020-03-06 Electroducer Ensemble de remplacement d’une valve cardiaque avec assistance de stimulation par voie arterielle ou veineuse peripherique
US10874411B2 (en) 2018-06-22 2020-12-29 Covidien Lp Electrically enhanced retrieval of material from vessel lumens
CN109770985A (zh) * 2018-07-12 2019-05-21 上海沃比医疗科技有限公司 植入物、植入物输送系统及其医疗组件
US11612430B2 (en) 2019-03-19 2023-03-28 Covidien Lp Electrically enhanced retrieval of material from vessel lumens
US11523838B2 (en) 2019-06-12 2022-12-13 Covidien Lp Retrieval of material from corporeal lumens
US11191558B2 (en) 2019-06-12 2021-12-07 Covidien Lp Retrieval of material from corporeal lumens
US11395668B2 (en) 2019-12-12 2022-07-26 Covidien Lp Electrically enhanced retrieval of material from vessel lumens
US11974752B2 (en) 2019-12-12 2024-05-07 Covidien Lp Electrically enhanced retrieval of material from vessel lumens
US11963713B2 (en) 2021-06-02 2024-04-23 Covidien Lp Medical treatment system
US11944374B2 (en) 2021-08-30 2024-04-02 Covidien Lp Electrical signals for retrieval of material from vessel lumen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9779A (en) * 1995-04-28 2000-05-09 Target Therapeutics, Inc. Delivery catheter for electrolytically detachable implant
US6156061A (en) * 1997-08-29 2000-12-05 Target Therapeutics, Inc. Fast-detaching electrically insulated implant
DE10010840A1 (de) 1999-10-30 2001-09-20 Dendron Gmbh Vorrichtung zur Implantation von Occlusionswendeln
US8048104B2 (en) 2000-10-30 2011-11-01 Dendron Gmbh Device for the implantation of occlusion spirals
US20040002732A1 (en) * 2002-06-27 2004-01-01 Clifford Teoh Stretch-resistant vaso-occlusive assembly with multiple detaching points
US7744583B2 (en) * 2003-02-03 2010-06-29 Boston Scientific Scimed Systems and methods of de-endothelialization
US20050021023A1 (en) * 2003-07-23 2005-01-27 Scimed Life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ally determining position and detachment of an implantable device
US7608089B2 (en) * 2004-12-22 2009-10-27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Vaso-occlusive device having pivotable coupling
EP2444010B1 (en) * 2007-05-18 2017-03-01 Stryker European Holdings I, LLC Medical implant detachment systems
WO2009132045A2 (en) 2008-04-21 2009-10-29 Nfocus Neuromedical, Inc. Braid-ball embolic devices and delivery systems
US20090306701A1 (en) * 2008-06-10 2009-12-10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Vascular access sheath with integrated return electrode
WO2010083167A2 (en) * 2009-01-13 2010-07-22 Silk Road Medical,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erforming neurointerventional procedures
WO2013166475A1 (en) * 2012-05-04 2013-11-07 Interventco Llc Device and method for filling of aneurysm or body cav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928583A1 (en) 2016-11-11
EP3092957A1 (en) 2016-11-16
CN106137293A (zh) 2016-11-23
JP2016209590A (ja) 2016-12-15
US20160331377A1 (en) 2016-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32767A (ko) 임플란트 전달을 위해 플러싱 시스템들을 이용하는 전해 분리
KR101788972B1 (ko) 임플란트 전달 시스템들을 위한 전해 분리
US20210007753A1 (en) Electrolytic detachment with fluid electrical connection
EP3809990B1 (en) Electrically enhanced retrieval of material from vessel lumens
AU2015207971B2 (en) Electrolytic detachment elements for implant delivery systems
CN108065981B (zh) 可膨胀体装置和使用方法
US10874401B2 (en) Electrolytic and mechanical detachment for implant delivery systems
US20210000477A1 (en) Electrolytic detachment for implantable devices
EP4059451B1 (en) Medical treat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