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2739A - 무인비행체 동반한 휴대폰 보조기기와 그 응용 - Google Patents

무인비행체 동반한 휴대폰 보조기기와 그 응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2739A
KR20160132739A KR1020150067045A KR20150067045A KR20160132739A KR 20160132739 A KR20160132739 A KR 20160132739A KR 1020150067045 A KR1020150067045 A KR 1020150067045A KR 20150067045 A KR20150067045 A KR 20150067045A KR 20160132739 A KR20160132739 A KR 20160132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auxiliary
phone
phone system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7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상근
Original Assignee
심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상근 filed Critical 심상근
Priority to KR1020150067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2739A/ko
Publication of KR20160132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27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W4/2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66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on the 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폰이나 그와 유사한 기능을 가진 전자통신기기에 있어서, 사진/동영상 촬영기능을 가진 휴대폰보조기기 즉 보조폰을 드론(drone) 혹은 그와 유사한 RC(Radio control) 비행체에 연결하여 공중촬영을 가능케 하며, 옵션으로서, 위급상황의 경우 그 촬영된 이미지가 실시간으로 119센터 혹은 연고자에게 전송되도록 설정하는바, 그 보조폰은 목에 거는 펜던트나 손목시계 모양으로 디자인함도 좋을 것이며, 그 무게를 최소화하여 상기 드론의 크기와 보조폰의 크기가 8cm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무인비행체 동반한 휴대폰 보조기기와 그 응용 {Auxiliary device for cellular phone having drone, and its applications}
이는 휴대폰 및 그와 유사한 전자통신기기, 그리고 신변보안 관련 분야이다.
본 발명특허출원은 이전에 제출한 발명특허출원 [SOS 기능을 포함한 보조휴대폰과 그 응용 (10-2015-0065779)]의 일부분할특허출원이며, [SOS 기능을 포함한 휴대폰과 그 응용 (10-2015-0065653)], [휴대폰에 부착된 수색용 냄새물체와 그 응용 (10-2015-0049324)], [호신용 냄새물체와 그 응용 (10-2015-0043737)] 및 [개인기록물체 쏘아 올리는 경호기기 (10-2015-0036393)]와 연관이 있는 내용이다.
세태가 메마르고 각박해지면서, 날치기, 폭행 등의 단순범죄들은 물론, 납치 및 유괴, 강간살해와 같이 미궁에 빠지기 쉬운 악성범죄들이 더욱 많이 발생한다. 경호에 관련된 많은 제품들이 시중에 나와있지만 미흡한 상황이다.
기존 휴대폰을 사용하여 119센터에 신고하는 경우, 사진이나 동영상을 찍은 후 라이브러리에서 찾아서 지정한 후 전송하는 등, 여러 단계를 거치는바, 이는 위급상황에서 도움이 전혀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또한 휴대폰으로 119센터에 신고하는 경우, 신고하는 당사자의 위치는 정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통상적으로 50미터 정도의 불확실성이 있을 수 있다.
이에 상기 [SOS 기능을 포함한 휴대폰과 그 응용 (10-2015-0065653)] 및 [SOS 가능을 포함한 보조휴대폰과 그 응용 (10-2015-0065779)] 을 부가적 발명특허들로써 출원을 하였다.
이에 있어서, 습격을 받은 경우나 사고가 난 경우 등 위급상황에서 119센터 등에 사진이나 동영상을 찍어 전송함에 있어서, 다양한 각도와 거리에서 촬영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습격한 자가 촬영을 못하도록 방해하거나 상기 보조휴대폰을 빼앗을 수도 있다. 이러한 점들은 보완이 필요하다.
다른 사안으로서, 휴대폰 시장은 포화상태이며, 획기적으로 도움이 되는 새로운 제품들의 출현이 시장확보에 도움이 될 것이다. 이에 있어서 추세는 더욱 복잡하고 다변화된 기술적 기능들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특히 손목시계 등의 착용 제품(wearable product)들에 있어서 이러한 추세가 대세이다. 본 출원인은 이 방향이 소비자들이 바라는 바와 일치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며, 그 때문에 실제 구매물량이 대체로 저조하다고 생각한다. 본 출원인의 판단으로는, [인간관계], [인간행복] 영역이 더 큰 시장이라고 생각한다. 즉, 가족, 연인, 단짝 등 가까운 사람들과의 사랑과 우애와 친밀감을 증진시키는 방향이 더 바람직하고 옳은 방향이며 소비자들의 기대를 충족시키는 방향이라고 생각한다. 그러한 방향으로 상기 관련 발명특허출원들을 발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믿는다.
위급상황에서 사진이나 동영상을 실시간 전송함에 있어서 그 효율성과 효과를 더욱 높이는 것이 본 발명의 한 목적이다.
또한, 포화되고 정체된 휴대폰 및 그와 유사한 전자통신기기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방향을 설정하여 그에 맞는 제품들을 발명함이 다른 목적이다.
가족, 연인, 친구 간에 친밀감과 사랑을 증진시킴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다.
휴대폰이나 그와 유사한 기능을 가진 전자통신기기에 있어서, 사진/동영상 촬영기능을 가진 휴대폰보조기기(본 발명에서는 보조휴대폰 혹은 보조폰이라고 줄여 부르겠다)를 드론(drone) 혹은 그와 유사한 RC(Radio control) 비행체에 장착하여 공중촬영을 가능케 하며, 옵션으로서, 위급상황의 경우 그 촬영된 이미지가 실시간으로 119센터 혹은 연고자에게 전송되도록 설정하는바, 그 보조폰은 목에 거는 펜던트(pendant)나 손목시계 모양으로 디자인함도 좋을 것이며, 그 무게를 최소화하여 상기 드론의 크기와 보조폰의 크기가 8cm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급 시 119센터에 공중에서 여러 각도와 거리에서 촬영한 이미지가 전송되면 도움을 주거나 적어도 차후 범인 색출에 획기적인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홀로 스스로 기념사진을 찍는 경우, 다양한 각도와 거리에서 촬영이 가능하며 이는 시장성이 매우 높은 기능이다.
그와 같이 찍은 사진을 연인, 단짝, 가족 등에게 바로 손쉽게 전송할 수 있다면 상호 친밀감과 행복도가 상당히 높아질 것이다.
그러한 제품의 수요에 관련되어 휴대폰 시장이 확대되어 고용창출과 경제활성화에 이바지하게 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의거한 휴대폰 기기의 예를 도시한다
도2는 관련된 이전의 발명에 의거한 보조휴대폰의 예를 도시한다.
도3은 원 발명특허출원의 도1을 도시한다.
도4는 본 발명에 의거한 보조휴대폰을 손목시계의 모습으로 디자인한 예를 보여준다.
도5는 촬영한 사진을 휴대폰이 자동적으로 엽서의 형식으로 치환하여 전송하는 새로운 기능을 보여준다.
이 발명에서 휴대폰이라 함은 개인이 휴대하거나 가지고 다닐 수 있는 모든 전자통신기기들을 통칭하여 총체적으로 일컫는다.
도1을 참조하며 설명하자면, 본 발명은 휴대폰본체(1)와 보조폰(2)과 드론(drone)(3)으로 구성되어 있는바, 상기 보조폰(2)은 상기 휴대폰과 전자통신적으로 연계되어 있고, 사진/비디오 촬영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드론(3)에 장착되어 공중촬영을 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 보조폰(2)의 무게를 최소한으로 하여 그 드론(3)의 크기 또한 최소화함이 선호된다. 그 직경은 8cm, 최대 10cm 이하가 되는 것이 선호되며, 도1에 보이듯이 펜던트 모양으로 만들어 목에 걸 수 있을 정도의 작은 크기이며 편리할 것이다.
드론에 카메라 혹은 휴대폰을 장착하여 공중촬영을 하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나, 드론의 크기가 휴대하거나 목에 걸 수 있을 정도로 작지 않다. 이는 카메라와 휴대폰의 무게가 상당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휴대폰본체(1) 대신 보조폰(2)을 장착함으로 그 무게와 크기를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 이는 보조폰/드론(2, 3)이 결합된 제품의 가격을 내리는 데에도 기여할 것이다. 궁극적으로, 도1에 보이듯이, 보조폰(2)과 드론(3)이 한 몸을 이루어 손쉽게 휴대하거나 목에 걸 수 있도록 함이 가장 선호된다.
상기 드론(3)의 비행조정(flight control)에는 별도의 컨트롤러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휴대폰본체(1)에 그 기능을 가미함이 선호된다. 이는 기술적으로 가능하다.
[SOS기능을 포함한 보조휴대폰과 그 응용 (10-2015-0065779)]에서 가르쳐진 기능과 효과는 이 발명에서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즉, 촬영버튼을 누르면 사진이 찍혀 지정된 수신자들에게 자동적으로 전송되는 기능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2는 상기 출원서의 도1을 다시 게재한 것이다.
도3은 상기 [SOS 기능을 포함한 휴대폰과 그 응용 (10-2015-0065653)] 발명특허출원서의 도1을 참조로서 다시 게재한 것이다.
기존 휴대폰의 경우, 사진이나 동영상을 찍은 후 라이브러리에서 찾아서 지정한 후 전송하는 등, 여러 단계를 거치는바, 이는 위급상황에서 도움이 전혀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상기 발명특허출원서에서는 이러한 단계들을 한 단계로 묶어 버튼 하나 혹은 두 개 정도만 누르면 수행되도록 한다.
그 수신자들로서는 연고자/보호자 및 119 (911) 센터들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사설경호업체가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신변보안 기능은 일생 한 번만 사용하게 되어도 생명을 구할 수 있으며, 수사당국이 범인을 찾는 데에도 획기적인 기여를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촬영을 하는 보조폰(2)이 공중에 떠있으므로, 다양한 각도와 거리의 이미지가 가능하며 범죄자가 촬영을 즉시 중단시키는 것이 더 힘들 것이다.
또한, 그 수신자들로는 연인, 단짝들도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자신의 주변을 찍어 전송하여 안부로서 전하거나, 자신의 모습을 스스로 찍어서 인사로서 전송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단추만 누르면 그들과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핫라인(hot line)(4)을 설정함도 방범 호신에 도움이 될 것이다.
백미러(back mirror) 기능을 적절하게 가미하여 손쉽게 후방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함도 좋을 것이다.
도4에 보이듯이, 보조폰(2a)을손목시계 형으로 디자인 할 수도 있다.
보조폰의 기능을 되도록 단순화하여,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한다면 시장성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백미러 기능을 보조폰(2, 2a)에 가미시킴도 좋을 것이다. 범죄는 뒤에서 미행하거나 접근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백미러를 통하여 이따금 후방장면을 파악하는 것이 호신보안에 좋을 것이다.
범죄의 대상이 되거나 그러한 가능성에 처해지는 경우, 들키지 않기 위하여 혹은 주의를 끌지 않기 위하여 소리를 낼 수 없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119센터에 육성으로 신고하기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현장을 보여주는 사진 혹은 동영상을 보내는 것이 더 좋은 경우도 많을 것이다. 특히 사진과 동영상은 범인으로 지목되는 자를 보여줌으로써 차후 수사에 절대적인 도움이 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으로 119센터에 신고하는 경우, 신고하는 당사자의 위치는 정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통상적으로 50미터 정도의 불확실성이 있을 수 있다. 그럼으로 당사자는 자신이 있는 장소를 추리할 수 있는 사진들을 보내는 것이 좋을 것이다. 주변 상점의 간판, 특히 전화번화가 적혀있는 간판의 이미지를 전송하면 큰 도움이 될 것이다.
휴대폰 GPS기능을 활용하여 정확한 위치를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도둑이 침입하였을 때 본 발명에 의거한 보조휴대폰을 동영상 촬영모드로 세팅하고 방안 적절한 곳에 세워놓으면 범행현장이 실시간으로 119센터에 전송될 것이다.
휴대폰 시장은 포화상태이며, 획기적으로 도움이 되는 새로운 모델이 시장확보에 도움이 될 것이다. 도1에 보인 본 발명은 확실한 구매동기를 부여할 것이며, 시장확보 내지 확대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거한 휴대폰은 어린 자녀들이 부모에게 이따금 이미지 혹은 동영상을 전송하여 안심하도록 하는 목적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설경호업체에 보내어 지정된 기간 내지 시간 동안 자신의 상황을 그 사설경호업체가 모니터하며 위급 시 경찰에 연락하는 등 조처를 하도록 하는 목적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연인과 단짝 사이에 손쉽게 상호 사랑 혹은 우정을 나타낼 수 있는 방법으로써 효용성이 높을 것이다.
도5의 경우, 사용자가 사진 혹은 동영상을 찍으면 휴대폰 내에서 자동적으로 그 사진을 사용하여 엽서 혹은 그와 유사한 안부서신을 생성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또한 그 사용자가 특정 수신인에게 곧바로 그 안부서신을 전송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는바, 그 엽서의 수신자들로서는 연인, 단짝, 가족들 등 가장 친밀한 관계를 가진 사람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목에 거는 펜던트(pendant)나 손목시계 모양으로 디자인함도 좋을 것이다. 이 아이디어는 본 발명에 속하지 않는 별개의 발명으로서, 별도로 발명특허출원을 제출할 것이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에서 가르친 [보조폰+드론]을 사용하면, 스스로 사진을 찍는 경우에도 다양한 거리와 각도에서 촬영할 수 있는 점이 획기적으로 편리할 것이다. 이에 대하여 본 출원인의 의견을 개진하자면, 휴대폰 시장은 포화상태이며, 획기적으로 도움이 되는 새로운 제품들의 출현이 시장확보에 도움이 될 것이다. 이에 있어서 추세는 더욱 복잡하고 다변화된 기술적 기능들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특히 손목시계 등의 착용 제품(wearable product)들에 있어서 이러한 추세가 대세이다. 본 출원인은 이 방향이 소비자들이 바라는 바와 일치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며, 그 때문에 실제 구매물량이 대체로 저조하다고 생각한다. 본 출원인의 판단으로는, [인간관계], [인간행복] 영역이 더 큰 시장이라고 생각한다. 즉, 가족, 연인, 단짝 등 가까운 사람들과의 사랑과 우애와 친밀감을 증진시키는 방향이 더 바람직하고 옳은 방향이며 소비자들의 기대를 충족시키는 방향이라고 생각한다.
위에 가르쳐진 방법들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변형된 형태의 발명들을 만드는 것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모든 가능성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이해되어야 하며, 이에 청구항들을 아래에 명기한다.
부호 없음.

Claims (14)

  1. 휴대폰이나 그와 유사한 기능을 가진 전자통신기기에 있어서, 휴대폰본체(1)와 보조폰(2)과 드론(3)으로 구성되어 있는바, 상기 보조폰(2)은 상기 휴대폰과 전자통신적으로 연계되어 있고, 사진/비디오 촬영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드론(3)에 장착되어 공중촬영을 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폰(2)과 드론(3)이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폰(2)과 드론(3)의 크기가 10c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폰(2)과 드론(3)의 크기가 8c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폰(2)이 목에 거는 펜던트 스타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본체(1)의 촬영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사진 혹은 동영상이 찍혀 지정된 수신자들에게 자동적으로 전송되는 기능을 가지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가 119센터 혹은 그와 유사한 기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가 사적 연락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시스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적 연락처가 연고자 내지 보호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시스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적 연락처가 연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시스템.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적 연락처가 단짝친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시스템.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적 연락처가 사설경호업체 혹은 그와 유사한 보안 관련 업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본체(1)가 상기 드론(3)의 컨트롤러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시스템.
  14. 휴대폰이나 그와 유사한 기능을 가진 전자통신기기에 있어서, 휴대폰본체(1)와 보조폰(2)과 드론(3)과 백미러로 구성되어 있는바, 상기 보조폰(2)은 상기 휴대폰과 전자통신적으로 연계되어 있고, 사진/비디오 촬영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드론(3)에 장착되어 공중촬영을 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백미러가 상기 보조폰(2)에 가미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시스템.
KR1020150067045A 2015-05-14 2015-05-14 무인비행체 동반한 휴대폰 보조기기와 그 응용 KR201601327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045A KR20160132739A (ko) 2015-05-14 2015-05-14 무인비행체 동반한 휴대폰 보조기기와 그 응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045A KR20160132739A (ko) 2015-05-14 2015-05-14 무인비행체 동반한 휴대폰 보조기기와 그 응용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5779A Division KR20160132733A (ko) 2015-05-12 2015-05-12 Sos 기능을 포함한 보조휴대폰과 그 응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2739A true KR20160132739A (ko) 2016-11-21

Family

ID=57538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7045A KR20160132739A (ko) 2015-05-14 2015-05-14 무인비행체 동반한 휴대폰 보조기기와 그 응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273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32170A (zh) * 2018-06-27 2018-12-18 广东容祺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无人机的野外遇险求救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32170A (zh) * 2018-06-27 2018-12-18 广东容祺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无人机的野外遇险求救方法
CN109032170B (zh) * 2018-06-27 2021-03-16 广东容祺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无人机的野外遇险求救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36086B2 (en) Wireless image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US20160307436A1 (en) Emergency Safet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AU2014262897B2 (en) Mobile security technology
US7840203B2 (en) Process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transmitting audio/video content from an electronic device to desired recipient(s)
US20150065082A1 (en) Personal safety device, system and a method
US1032109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of information processing
US10176693B2 (en) Security and tracking systems and related methods
US200700427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emergency voice and image e-mail transmitter device
WO2017020511A1 (zh) 视频异常信息提醒方法及装置
US9715805B1 (en) Wireless personal safety device
US20150281568A1 (en) Content acquisition device, portable device, server,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160344918A1 (en) Mobile reverse video capture and display system
US10431065B2 (en) Security and tracking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KR20160132739A (ko) 무인비행체 동반한 휴대폰 보조기기와 그 응용
EP4016409A1 (en) Personal communication drones
KR20160132733A (ko) Sos 기능을 포함한 보조휴대폰과 그 응용
US20170162032A1 (en) Personal security
KR20160132729A (ko) Sos 기능을 포함한 휴대폰과 그 응용
CN105488106B (zh) 箱包控制方法和装置
CN204721558U (zh) 一种蓝牙报警耳机
US20230254400A1 (en) Accessing real-time wearable recording devices and/or body-camera video and audio in two-way communication with the wearer.
KR102517244B1 (ko) 전면과 후면 촬영이 가능한 웨어러블 넥밴드형 카메라 장치
Michael Redefining surveillance: Implications for privacy, security, trust and the law
KR101971929B1 (ko) 스마트폰과 실시간 양방향 통신기능을 갖는 스마트 키퍼 및 그 운용방법
KR102493367B1 (ko) 와이즈 카메라앱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