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2683A - 모션 인식 및 특수 효과 제어기술을 이용한 체감형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션 인식 및 특수 효과 제어기술을 이용한 체감형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2683A
KR20160132683A KR1020150065535A KR20150065535A KR20160132683A KR 20160132683 A KR20160132683 A KR 20160132683A KR 1020150065535 A KR1020150065535 A KR 1020150065535A KR 20150065535 A KR20150065535 A KR 20150065535A KR 20160132683 A KR20160132683 A KR 20160132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ion
special effect
information
stereoscopic
mo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5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4233B1 (ko
Inventor
김광진
Original Assignee
(주)젠트정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젠트정보기술 filed Critical (주)젠트정보기술
Priority to KR1020150065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4233B1/ko
Publication of KR20160132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2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4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4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06K9/0033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션 인식 및 특수 효과 제어기술을 이용한 체감형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키보드와 마우스 없이 인체의 손동작 만으로 특수 효과 장치를 제어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에 입체 영상을 투영하는 입체 프로젝터; 상기 스크린 전방 소정 거리 상에 위치한 객체의 모션을 감지하여 촬영하는 적외선 카메라; 상기 스크린과 객체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촬영된 객체의 모션 영상에 대응되도록 미리 설정된 특수 효과를 상기 공간으로 제공하는 효과 장치; 및 상기 적외선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객체의 모션 영상으로부터 상기 객체의 모션 정보를 추출하고, 게임 컨텐츠와의 인터랙션을 위하여 상기 모션 정보가 미리 설정된 게임 컨텐츠 명령과 특수 효과 명령에 대응되는 입체 모션 정보 또는 특수 효과 정보에 대응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된 입체 모션 정보 또는 특수 효과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입체 프로젝터 또는 효과 장치를 동작시키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모션 인식 및 특수 효과 제어기술을 이용한 체감형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모션 인식 및 특수 효과 제어기술을 이용한 체감형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REALISTIC GAME CONTENT PROVIDING SYSTEM USING MOTION RECOGNITION AND SPECIAL EFFECT CONTROL TECHNIQU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션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4D 효과와 특수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모션 인식 및 특수 효과 제어기술을 이용한 체감형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영상 미디어의 발전으로 인해 3차원 입체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로 인해 3차원 입체 콘텐츠 생성에 대한 많은 기술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3차원 입체 콘텐츠 제작 기술은 기존의 2차원 평면 영상과는 달리 사람이 보고 느끼는 실제 영상과 유사하여 시각정보의 질적 수준을 한층 높여주는 새로운 개념의 실감형 영상미디어로서 차세대 디지털 영상 문화를 주도하고 있다. 이러한 3차원 입체 콘텐츠 제작 기술은 차세대 영상 가시화 분야 개발의 핵심기술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다.
일반적인 3차원 입체 콘텐츠 제작은 미리 알려진 3차원 모델 정보 또는 2차원 실사 영상에 대해 양안에 해당하는 일정한 시차 정보를 가진 두 대의 카메라 영상을 획득하여 양안 영상을 정합함으로써 3차원 입체 영상을 생성 표현한다.
하지만, 입체 콘텐츠 생성 표현에 대한 많은 시도들이 되고 있지만, 정작 입체 콘텐츠 생성 표현과 함께 사용자들의 참여를 높일 수 있는 4차원 효과를 구현하는 새로운 시도들은 부족한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88590호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모션제어 장치 및 방법'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70750호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체감 게임장치 및 광원의 입력검출방법'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키보드와 마우스 없이 인체의 손동작 만으로 특수 효과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모션 인식 및 특수 효과 제어기술을 이용한 체감형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션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4D 효과와 특수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모션 인식 및 특수 효과 제어기술을 이용한 체감형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션 인식 및 특수 효과 제어기술을 이용한 체감형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에 입체 영상을 투영하는 입체 프로젝터; 상기 스크린 전방 소정 거리 상에 위치한 객체의 모션을 감지하여 촬영하는 적외선 카메라; 상기 스크린과 객체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촬영된 객체의 모션 영상에 대응되도록 미리 설정된 특수 효과를 상기 공간으로 제공하는 효과 장치; 및 상기 적외선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객체의 모션 영상으로부터 상기 객체의 모션 정보를 추출하고, 게임 컨텐츠와의 인터랙션을 위하여 상기 모션 정보가 미리 설정된 게임 컨텐츠 명령과 특수 효과 명령에 대응되는 입체 모션 정보 또는 특수 효과 정보에 대응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된 입체 모션 정보 또는 특수 효과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입체 프로젝터 또는 효과 장치를 동작시키는 마이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컴은 객체의 모션 영상에 대한 검출 영역을 설정하는 검출 영역 설정부; 객체의 모션 영상에 대한 입체 모션 정보와 특수 모션 정보를 미리 설정하는 모션 종류 설정부; 상기 게임 콘텐츠와 인터랙션되도록 상기 입체 모션 정보에 매칭되는 게임 콘텐츠 명령을 저장하는 게임 컨텐츠 명령 저장부; 상기 특수 효과 정보에 매칭되는 특수 효과 명령을 저장하는 특수 효과 명령 저장부; 상기 검출 영역을 기초로 상기 촬영된 객체의 모션 영상에서 상기 객체의 모션 정보를 검출하는 모션 검출부; 상기 검출된 모션 정보가 입체 모션 정보 또는 특수 모션 정보에 해당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모션 종류 판단부; 상기 검출된 모션 정보가 입체 모션 정보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검출된 모션 정보에 대응되는 게임 콘텐츠 명령을 추출하여 게임 컨텐츠 명령 추출부; 상기 검출된 모션 정보가 특수 모션 정보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검출된 모션 정보에 대응되는 특수 효과 명령을 추출하는 특수 효과 명령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게임 컨텐츠 명령 또는 특수 효과 명령을 이용하여 상기 입체 프로젝터 또는 효과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출 영역 설정부는 상기 객체의 모션 영상에서 모션 정보의 추출을 위한 좌표 범위를 설정하는 범위 설정부; 및 상기 객체의 모션 영상에서 모션 정보의 추출을 위한 감지 레벨을 설정하는 레벨 설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모션 인식 및 특수 효과 제어기술을 이용한 체감형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상기 촬영된 객체의 모션 영상을 객체의 모션 기준 정보에 대한 위치 정보로 변환하는 모션 영상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션 검출부는 상기 위치 정보와, 상기 설정된 좌표 범위 및 감지 레벨을 이용하여 상기 객체의 모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객체의 모션 기준 정보는 인체의 손의 길이, 폭, 손가락 팁의 위치, 손바닥의 위치, 손바닥의 방향, 손바닥에 의하여 가상으로 연장 형성된 구의 중심, 구의 반경, 손바닥의 회전축, 회전 매트릭스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체 모션 정보는 인체의 손가락을 이용한 도형 그리기 동작, 좌우 흔들기 동작, 상하 터치 동작, 수평 터치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수 효과 정보는 인체의 주먹쥐기 동작, 손가락 모으기 동작, 손가락 벌리기 동작, 손바닥 터치하기 동작, 손가락 펴기 동작, 구부리기 동작, 손바닥 뒤집기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수 효과는 안개, 바람, 조명, 음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효과 장치는 포그 머신, 윈드 머신, 조명등, 음향 출력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인식 및 특수 효과 제어기술을 이용한 체감형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모션 인식 장치와 특수 효과 장치를 게임 컨텐츠와 인터랙션시키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극대화된 생동감과 사실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모션 인식 기술과 이를 기초로 하는 상황별 특수 효과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체감형 모션 게임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인식 및 특수 효과 제어기술을 이용한 체감형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인식 및 특수 효과 제어기술을 이용한 체감형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모션 인식 및 특수 효과 제어기술을 이용한 체감형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여 체감형 게임 컨텐츠를 구현하는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마이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a 내지 5c는 본 모션 인식 및 특수 효과 제어기술을 이용한 체감형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모션 인식 기술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모션 인식 및 특수 효과 제어기술을 이용한 체감형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실제로 구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인식 및 특수 효과 제어기술을 이용한 체감형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인식 및 특수 효과 제어기술을 이용한 체감형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모션 인식 및 특수 효과 제어기술을 이용한 체감형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여 체감형 게임 컨텐츠를 구현하는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마이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5a 내지 5c는 본 모션 인식 및 특수 효과 제어기술을 이용한 체감형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모션 인식 기술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모션 인식 및 특수 효과 제어기술을 이용한 체감형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실제로 구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인식 및 특수 효과 제어기술을 이용한 체감형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모션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4D 효과와 함께 특수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서, 스크린(100), 입체 프로젝터(110), 적외선 카메라(120), 효과 장치(200) 및 마이컴(130)을 포함한다.
상기 스크린(100)은 입체 프로젝터(110)의 영상을 투영할 수 있도록 입체 프로젝터(110)로부터 영상을 제공받아 해당 영상을 맺히도록 한다.
상기 입체 프로젝터(110)는 스크린(100)의 후방에 설치되어 스크린(100)에 입체 영상을 투영한다. 이러한 입체 프로젝터(110)는 2대의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스크린(100)에 3차원 입체 영상을 투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적외선 카메라(120)는 스크린(100) 전방 소정 거리(예를 들면, 30cm 내지 1m) 상에 위치한 객체의 모션(즉, 사용자의 손 동작)을 감지하여 촬영하도록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적외선 카메라(120)는 일반 카메라(예를 들어, USB CCD 카메라 등)의 렌즈 앞에 적외선 투과 필터(IR Filter)를 장착한 카메라로서, 스크린(110)의 전방 소정 거리에 형성된 감지 구역(S) 상에 객체의 손(이하, 사용자의 손이라 함)이 위치되는 때 사용자의 손에서 반사되는 적외선 빛을 촬영하여 마이컴(130)으로 전송한다. 상기 마이컴(130)에서는 적외선 카메라(120)에서 전송된 사용자 손의 모션 영상 신호를 영상 처리를 통해 사용자의 손 영역의 3차원 좌표(x, y, z) 값을 계산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감지 구역(S)은 적외선 빛의 양을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적외선 LED(IR-LEDs)가 일정 간격(예를 들어, 2cm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적외선 LED 어레이(IR-LEDs Array)를 이용하여 스크린(100) 전방에 생성된 영역으로서, 사용자의 손을 통해 터치되는 영역 들을 총칭하는 의미이다.
또한, 상기 적외선 카메라(120)는 밴드 패스 필터(Band pass filter)의 사용 없이 화면 자체를 얻어오게 되면 입체 프로젝터(110)에서 영사되는 모든 영상을 다 받아올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밴드 패스 필터(Band pass filter)를 이용하여 스크린(100)에서 나오는 영상을 차단하고 적외선 빛을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적외선 카메라(120)는 2 개의 IR 카메라와 3 개의 IR LED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데, 이때 IR 카메라에는 2대의 CMOS(상보성 금속산화막반도체) 적외선 인식 모듈을 적재하여 깊이 인식을 수행하고, IR-LED를 IR 카메라를 위한 광원으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적외선 카메라(120)를 이용하여 기존 카메라보다 획기적으로 원가와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고, 직접 터치 입력을 하지 않아도 원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편의성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효과 장치(200)는 스크린(100)과 사용자 사이의 공간(예를 들면, 스크린(100) 전방의 천장(10), 벽면(30) 또는 바닥(20))에 구비되어 적외선 카메라(120)에 의하여 촬영된 객체의 모션 영상에 대응되도록 미리 설정된 특수 효과를 스크린(100)과 사용자 사이의 공간으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특수 효과는 안개, 바람, 조명, 음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특수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효과 장치는 포그 머신(fog machine), 윈드 머신(wind machine), 조명등, 음향 출력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포그 머신 또는 윈드 머신은 연기 발생 장치 또는 송풍 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조명등 또는 음향 출력 장치는 엘이디 램프 또는 스피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수 효과의 일 예로서 안개, 바람, 조명, 음향 효과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물, 후각, 진동 효과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효과 장치의 일 예로서 포그 머신, 윈드 머신, 조명등, 음향 출력 장치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물 효과, 후각 효과, 진동 효과 등을 제공하는 수단 또는 장치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효과 장치(200)는 후각 효과 제공 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게임 콘텐츠를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동안 연속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경우, 소정 시간 경과후에 자동으로 해당 공간으로 피톤 치드나 방향제 등을 제공하여 쾌적한 게임 환경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효과 장치(200)는 마이컴(130)으로부터의 동작 제어 명령 신호를 전송받아 특수 효과를 작동시킬 시점, 효과의 세기, 지속 시간 등에 관한 정보를 각각 저장하고 있다.
상기 마이컴(130)은 적외선 카메라(120)에 의하여 촬영된 사용자 손의 모션 영상 신호인 객체의 모션 영상으로부터 객체의 모션 정보를 추출하고, 게임 컨텐츠와의 인터랙션을 위하여 모션 정보가 미리 설정된 게임 컨텐츠 명령과 특수 효과 명령에 대응되는 입체 모션 정보 또는 특수 효과 정보에 대응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된 입체 모션 정보 또는 특수 효과 정보를 기초로 입체 프로젝터(110) 또는 효과 장치(200)를 동작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우선 상기 마이컴(130)은 적외선 카메라(120)로부터 획득한 객체의 모션 영상 신호를 영상 처리하여 모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모션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손 영역의 3차원 위치 좌표값을 추출한다. 그런 다음, 상기 마이컴(130)은 사용자의 손 영역의 위치 좌표값을 게임 콘텐츠와의 인터랙션을 위하여 모션 정보가 입체 모션 정보 또는 특수 효과 정보에 대응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마이컴(130)은 판단 결과 모션 정보가 입체 모션 정보 또는 특수 효과 정보에 해당되는 경우, 입체 모션 정보 또는 특수 효과 정보에 대응되도록 미리 설정된 게임 컨텐츠 명령 또는 특수 효과 명령에 대한 제어 신호를 입체 프로젝터(110) 또는 효과 장치(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3차원 위치 좌표 값은, 손바닥 길이방향으로 중심을 관통하는 x축과, 손바닥 상하방향으로 중심을 관통하는 y축과, 손바닥의 좌우 방향으로 중심을 관통하는 z축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마이컴(130)은 적외선 카메라(120)로부터 획득한 사용자의 모션 정보를 영상 처리하여 손바닥 또는 손가락이 x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x값(rolling), 손바닥이 y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y값(yawing), 손바닥이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z값(pinching)으로 구성된 사용자의 손 영역의 3차원 위치 좌표값을 추출한다.
또한, 상기 마이컴(130)은 x값, y값, z값을 이용하여 인체의 손의 길이, 폭, 손가락 팁의 위치, 손바닥의 위치, 손바닥의 방향, 손바닥에 의하여 가상으로 연장 형성된 구의 중심, 구의 반경, 손바닥의 회전축, 회전 매트릭스 등을 산출하여 객체의 모션 기준 정보로 저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마이컴(130)은 객체의 모션 기준 정보와 실제로 적외선 카메라(120)에 의하여 감지된 후 산출된 사용자의 손 영역의 위치 정보(즉, 모션 정보)를 비교하여 모션 정보가 입체 모션 정보 또는 특수 효과 정보에 해당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이컴(130)은 객체의 모션 정보가 입체 모션 정보에 해당되는 경우, 모션 정보에 포함된 3차원 위치 좌표값을 이용하여 게임 컨텐츠와의 인터랙션을 수행하기 위한 게임 컨텐츠 명령을 입체 프로젝터(110)에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마이컴(130)은 객체의 모션 정보가 특수 효과 정보에 해당되는 경우, 모션 정보에 포함된 3차원 위치 좌표값을 이용하여 효과 장치를 통한 특수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특수 효과 명령을 효과 장치(200)에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마이컴(1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 영역 설정부(1310), 모션 종류 설정부(1320), 게임 컨텐츠 명령 저장부(1330), 특수 효과 명령 저장부(1335), 모션 검출부(1340), 모션 종류 판단부(1350), 게임 컨텐츠 명령 추출부(1360), 특수 효과 명령 추출부(1370), 모션 영상 처리부(1380) 및 제어부(1390)를 포함한다.
상기 검출 영역 설정부(1310)는 사용자 손의 모션 영상에 대한 검출 영역을 설정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검출 영역 설정부(1310)는 사용자 손의 모션 영상에서 모션 정보의 추출을 위한 좌표 범위를 설정하는 범위 설정부(1311)와, 사용자 손의 모션 영상에서 모션 정보의 추출을 위한 감지 레벨을 설정하는 레벨 설정부(131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검출 영역 설정부(1310)는 적외선 카메라(120)로부터 촬영된 사용자 손의 모션 영상을 입력받아 x축, y축, z축 별로 최대 검출 좌표를 설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적외선 카메라(120)로부터 촬영된 사용자 손의 모션 영상 중 검출된 모션의 좌표를 각각 설정하여 각각의 모션 인식 영역에 대한 사용자 손의 동작 인식을 담당하도록 할 수 있고, 적외선 카메라(120)로부터 촬영된 사용자 손의 모션 영상 중 모션을 감지하기 위해 데이터 감지 레벨을 설정하여 불필요한 잡음을 제거함으로써, 더욱 디테일한 모션 감지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모션 종류 설정부(1320)는 사용자 손의 모션 영상에 대한 입체 모션 정보와 특수 모션 정보를 미리 설정한다. 이때, 상기 입체 모션 정보는 인체의 손가락을 이용한 도형 그리기 동작, 좌우 흔들기 동작, 상하 터치 동작, 수평 터치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입체 모션 정보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circle), 좌우 흔들기(swipe), 키 터치(key tap), 화면 터치(screen tap) 동작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수 효과 정보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손의 주먹쥐기 동작, 손가락 모으기 동작, 손가락 벌리기 동작, 손바닥 터치하기 동작, 손가락 펴기 동작, 구부리기 동작, 손바닥 뒤집기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임 컨텐츠 명령 저장부(1330)는 게임 콘텐츠와 인터랙션되도록 하기 위하여 입체 모션 정보에 매칭되는 게임 콘텐츠 명령을 저장한다. 즉, 상기 게임 컨텐츠 명령 저장부(1330)는 입체 모션 정보에 대응되도록 각각의 입체 모션 정보와 게임 컨텐츠 명령어를 매핑하여 저장하고 있다.
상기 특수 효과 명령 저장부(1335)는 특수 효과 정보에 매칭되는 특수 효과 명령을 저장한다. 즉, 상기 특수 효과 명령 저장부(1335)는 특수 효과 정보에 대응되도록 각각의 모션 정보와 특수 효과 명령어를 매핑하여 저장하고 있다.
상기 모션 검출부(1340)는 검출 영역 설정부(1310)에 의하여 설정된 검출 영역을 기초로 적외선 카메라(120)에 의하여 촬영된 사용자 손의 모션 영상에서 사용자 손의 모션 정보를 검출한다. 또한, 상기 모션 검출부(1340)는 모션 영상 처리부(1380)에 의하여 변환된 위치 정보와, 검출 영역 설정부(1310)에 의하여 설정된 좌표 범위 및 감지 레벨을 이용하여 객체의 모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모션 종류 판단부(1350)는 모션 검출부(1340)에 의하여 검출된 모션 정보가 입체 모션 정보 또는 특수 모션 정보에 해당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게임 컨텐츠 명령 추출부(1360)는 모션 검출부(1340)에 의하여 검출된 모션 정보가 입체 모션 정보에 해당되는 경우 모션 검출부(1340)에 의하여 검출된 모션 정보에 대응되는 게임 콘텐츠 명령을 게임 컨텐츠 명령 저장부(1330)로부터 추출한다.
상기 특수 효과 명령 추출부(1370)는 모션 검출부(1340)에 의하여 검출된 모션 정보가 특수 모션 정보에 해당되는 경우 모션 검출부(1340)에 의하여 검출된 모션 정보에 대응되는 특수 효과 명령을 특수 효과 명령 저장부(1335)로부터 추출한다.
상기 모션 영상 처리부(1380)는 적외선 카메라(120)에 의하여 촬영된 사용자 손의 모션 영상을 객체의 모션 기준 정보에 대한 위치 정보로 변환한다. 즉, 상기 모션 영상 처리부(1380)는 적외선 카메라(120)에 의하여 촬영된 사용자 손의 모션 영상을 입력받아 해당 포인트별 모션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다시 말해, 상기 모션 영상 처리부(1380)는 인간의 시각 기능과 같이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특정 객체(인간 등)의 모션의 패턴이나 형태를 통해서 객체(인간 등)를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의 위치 정보(좌표 신호)로 변환한다. 이때, 상기 객체의 모션 기준 정보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의 손의 길이(Length), 폭(Width), 방향(Direction), 손가락 팁의 위치(Tip Position), 손가락 팁의 속도(Tip Velocity), 손바닥의 위치(Palm Position), 손바닥의 속도(Palm Velocity), 손바닥의 방향(Direction), 손바닥에 의하여 가상으로 연장 형성된 구의 중심(Sphere Center), 구의 반경(Sphere Radius), 손바닥의 회전축(Rotation Axis), 회전각(Rotation Angle), 회전 매트릭스(Rotation Matrix)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모션 영상 처리부(1380)는 적외선 카메라(120)로부터 획득한 사용자 손의 모션 정보를 영상 처리하여 손바닥 또는 손가락이 x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x값, 손바닥이 y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y값, 손바닥이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z값을 포함하는 위치 정보로 추출한 후, 해당 위치 정보를 객체의 모션 기준 정보와의 비교를 위하여 객체의 모션 기준 정보에 대응되는 값으로 변환한다.
예를 들면, 상기 모션 영상 처리부(1380)는 적외선 카메라(120)에 반응하는 120 프레임/fps 속도의 전송 추적 데이터 좌표(Vector3)를 일정한 모션 패턴으로 나눈 다음, 예외 처리를 수행하고, 게임 콘텐츠 또는 효과 장치(200)의 동작이나 상황에 연결되도록 위치 정보로 변환한다.
상기 제어부(1390)는 마이컴(130)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되, 게임 컨텐츠 명령 추출부(1360) 또는 특수 효과 명령 추출부(1370)에 의하여 추출된 게임 컨텐츠 명령 또는 특수 효과 명령을 이용하여 입체 프로젝터(110) 또는 효과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모션 인식 및 특수 효과 제어기술을 이용한 체감형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가상 공간에서 필요한 4D 효과와 제어를 위해서 모션 인식 기술을 사용하고, 스위치, 버튼 등의 물리적 장치가 아닌 인체의 손 동작 만으로 특수 효과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NUI(Natural User Interface) 시스템으로서, 도 6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동작을 게임 콘텐츠와의 인터랙션을 위하여 물리적인 기기에 전달해주는데 사용되는 각각의 장치를 통하여 교육, 게임, 쇼 엔터테인먼트 등의 실감 미디어 산업이나 6축 모션 베이스 등을 활용한 스포츠 시뮬레이션, 가상현실 체험관의 특수효과 장치제어 분야 등과 같은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이 가능한 체감형 콘텐츠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인식 및 특수 효과 제어기술을 이용한 체감형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모션 인식 장치와 특수 효과 장치를 게임 컨텐츠와 인터랙션시키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극대화된 생동감과 사실감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모션 인식 기술과 이를 기초로 하는 상황별 특수 효과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체감형 모션 게임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모션 인식 및 특수 효과 제어기술을 이용한 체감형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천장 20: 바닥
30: 벽면 100: 스크린
110: 입체 프로젝터 120: 적외선 카메라
130: 마이컴 200: 효과 장치
1310: 검출 영역 설정부 1311: 범위 설정부
1312: 레벨 설정부 1320: 모션 종류 설정부
1330: 게임 컨텐츠 명령 저장부 1335: 특수 효과 명령 저장부
1340: 모션 검출부 1350: 모션 종류 판단부
1360: 게임 컨텐츠 명령 추출부 1370: 특수 효과 명령 추출부
1380: 모션 영상 처리부 1390: 제어부

Claims (9)

  1.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에 입체 영상을 투영하는 입체 프로젝터;
    상기 스크린 전방 소정 거리 상에 위치한 객체의 모션을 감지하여 촬영하는 적외선 카메라;
    상기 스크린과 객체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촬영된 객체의 모션 영상에 대응되도록 미리 설정된 특수 효과를 상기 공간으로 제공하는 효과 장치; 및
    상기 적외선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객체의 모션 영상으로부터 상기 객체의 모션 정보를 추출하고, 게임 컨텐츠와의 인터랙션을 위하여 상기 모션 정보가 미리 설정된 게임 컨텐츠 명령과 특수 효과 명령에 대응되는 입체 모션 정보 또는 특수 효과 정보에 대응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된 입체 모션 정보 또는 특수 효과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입체 프로젝터 또는 효과 장치를 동작시키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인식 및 특수 효과 제어기술을 이용한 체감형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객체의 모션 영상에 대한 검출 영역을 설정하는 검출 영역 설정부;
    객체의 모션 영상에 대한 입체 모션 정보와 특수 모션 정보를 미리 설정하는 모션 종류 설정부;
    상기 게임 콘텐츠와 인터랙션되도록 상기 입체 모션 정보에 매칭되는 게임 콘텐츠 명령을 저장하는 게임 컨텐츠 명령 저장부;
    상기 특수 효과 정보에 매칭되는 특수 효과 명령을 저장하는 특수 효과 명령 저장부;
    상기 검출 영역을 기초로 상기 촬영된 객체의 모션 영상에서 상기 객체의 모션 정보를 검출하는 모션 검출부;
    상기 검출된 모션 정보가 입체 모션 정보 또는 특수 모션 정보에 해당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모션 종류 판단부;
    상기 검출된 모션 정보가 입체 모션 정보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검출된 모션 정보에 대응되는 게임 콘텐츠 명령을 추출하여 게임 컨텐츠 명령 추출부;
    상기 검출된 모션 정보가 특수 모션 정보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검출된 모션 정보에 대응되는 특수 효과 명령을 추출하는 특수 효과 명령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게임 컨텐츠 명령 또는 특수 효과 명령을 이용하여 상기 입체 프로젝터 또는 효과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인식 및 특수 효과 제어기술을 이용한 체감형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검출 영역 설정부는
    상기 객체의 모션 영상에서 모션 정보의 추출을 위한 좌표 범위를 설정하는 범위 설정부; 및
    상기 객체의 모션 영상에서 모션 정보의 추출을 위한 감지 레벨을 설정하는 레벨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인식 및 특수 효과 제어기술을 이용한 체감형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촬영된 객체의 모션 영상을 객체의 모션 기준 정보에 대한 위치 정보로 변환하는 모션 영상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인식 및 특수 효과 제어기술을 이용한 체감형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모션 검출부는 상기 위치 정보와, 상기 설정된 좌표 범위 및 감지 레벨을 이용하여 상기 객체의 모션 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인식 및 특수 효과 제어기술을 이용한 체감형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객체의 모션 기준 정보는 인체의 손의 길이, 폭, 손가락 팁의 위치, 손바닥의 위치, 손바닥의 방향, 손바닥에 의하여 가상으로 연장 형성된 구의 중심, 구의 반경, 손바닥의 회전축, 회전 매트릭스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인식 및 특수 효과 제어기술을 이용한 체감형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입체 모션 정보는 인체의 손가락을 이용한 도형 그리기 동작, 좌우 흔들기 동작, 상하 터치 동작, 수평 터치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인식 및 특수 효과 제어기술을 이용한 체감형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특수 효과 정보는 인체의 주먹쥐기 동작, 손가락 모으기 동작, 손가락 벌리기 동작, 손바닥 터치하기 동작, 손가락 펴기 동작, 구부리기 동작, 손바닥 뒤집기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인식 및 특수 효과 제어기술을 이용한 체감형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특수 효과는 안개, 바람, 조명, 음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효과 장치는 포그 머신, 윈드 머신, 조명등, 음향 출력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인식 및 특수 효과 제어기술을 이용한 체감형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1020150065535A 2015-05-11 2015-05-11 모션 인식 및 특수 효과 제어기술을 이용한 체감형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101794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535A KR101794233B1 (ko) 2015-05-11 2015-05-11 모션 인식 및 특수 효과 제어기술을 이용한 체감형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535A KR101794233B1 (ko) 2015-05-11 2015-05-11 모션 인식 및 특수 효과 제어기술을 이용한 체감형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2683A true KR20160132683A (ko) 2016-11-21
KR101794233B1 KR101794233B1 (ko) 2017-11-07

Family

ID=57537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5535A KR101794233B1 (ko) 2015-05-11 2015-05-11 모션 인식 및 특수 효과 제어기술을 이용한 체감형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423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60739A (zh) * 2018-11-13 2019-04-19 深圳艺达文化传媒有限公司 短视频特定效果的叠加方法及相关产品
KR20190061654A (ko) 2017-11-28 2019-06-05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현실에서 제한된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는 인터랙션 시스템
KR20190072277A (ko) * 2017-12-15 2019-06-25 주식회사 디자인에이포인트 제스처 인식 모듈을 이용한 부동산 모델하우스 가상공간에 대한 이동 및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00008227A (ko) * 2018-07-16 2020-01-28 (주)젠트정보기술 제스처 기반 nui를 이용한 조명효과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11988655A (zh) * 2019-05-22 2020-11-24 西安诺瓦星云科技股份有限公司 节目播放方法及装置和节目播放系统
KR20210021720A (ko) * 2019-08-19 2021-03-0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인터랙션 인터페이스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20210024793A (ko) * 2019-08-26 2021-03-08 주식회사 익센트릭게임그루 가상현실 영상처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2412B1 (ko) * 2022-03-15 2024-04-30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감정 정보를 인식하는 비전기반 인공지능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0750A (ko) 2003-02-04 2004-08-11 디게이트 주식회사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체감 게임장치 및 광원의입력검출방법
KR101288590B1 (ko) 2013-02-15 2013-07-22 (주) 엔텍코아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모션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0576A (ja) * 2006-08-02 2008-02-21 Sharp Corp 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を備えた映像表示装置
KR101131097B1 (ko) * 2011-09-21 2012-04-02 주식회사 미래엔에스 지리정보를 이용한 4d 기반의 체험형 패러글라이딩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0750A (ko) 2003-02-04 2004-08-11 디게이트 주식회사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체감 게임장치 및 광원의입력검출방법
KR101288590B1 (ko) 2013-02-15 2013-07-22 (주) 엔텍코아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모션제어 장치 및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654A (ko) 2017-11-28 2019-06-05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현실에서 제한된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는 인터랙션 시스템
KR20190072277A (ko) * 2017-12-15 2019-06-25 주식회사 디자인에이포인트 제스처 인식 모듈을 이용한 부동산 모델하우스 가상공간에 대한 이동 및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00008227A (ko) * 2018-07-16 2020-01-28 (주)젠트정보기술 제스처 기반 nui를 이용한 조명효과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9660739A (zh) * 2018-11-13 2019-04-19 深圳艺达文化传媒有限公司 短视频特定效果的叠加方法及相关产品
CN111988655A (zh) * 2019-05-22 2020-11-24 西安诺瓦星云科技股份有限公司 节目播放方法及装置和节目播放系统
KR20210021720A (ko) * 2019-08-19 2021-03-0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인터랙션 인터페이스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11656687B2 (en) 2019-08-19 2023-05-2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Method for controlling interaction interface and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KR20210024793A (ko) * 2019-08-26 2021-03-08 주식회사 익센트릭게임그루 가상현실 영상처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4233B1 (ko) 201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4233B1 (ko) 모션 인식 및 특수 효과 제어기술을 이용한 체감형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
US10564731B2 (en) Processing of gesture-based user interactions using volumetric zones
US10831278B2 (en) Display with built in 3D sensing capability and gesture control of tv
US993385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ng with virtual objects using sensory feedback
CN103793060B (zh) 一种用户交互系统和方法
CN102163077B (zh) 使用碰撞体来捕捉屏幕对象
US20170178411A1 (en) Mobile tele-immersive gameplay
LaViola et al. 3D spatial interaction: applications for art, design, and science
IL308490A (en) Virtual user input controls in a mixed reality environment
Khundam First person movement control with palm normal and hand gesture interaction in virtual reality
GB2553607A (en) Virtual reality
US20120196660A1 (en) Method and system for vision-based interaction in a virtual environment
TW201539305A (zh) 使用姿勢控制基於計算的裝置
TWI528224B (zh) 三維動態操控方法及裝置
JP6425416B2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および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制御プログラム
Kosmalla et al. Exploring rock climbing in mixed reality environments
KR20140043522A (ko) 투명 양면형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8012062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7086542A (ja) 画像変更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2153476A (ja) アニメーション制作システム
KR20120114767A (ko) 사물 투척형 게임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11559A (ko) 단일의 모션센서를 이용한 다중 플레이어 게임 제공 방법
Lee et al. Research on detecting face and hands for motion-based game using web camera
Wu et al. Interface design for somatosensory interaction
JP6955725B2 (ja) アニメーション制作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