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2206A - 도서검색장치 및 검색방법 - Google Patents

도서검색장치 및 검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2206A
KR20160132206A KR1020150063662A KR20150063662A KR20160132206A KR 20160132206 A KR20160132206 A KR 20160132206A KR 1020150063662 A KR1020150063662 A KR 1020150063662A KR 20150063662 A KR20150063662 A KR 20150063662A KR 20160132206 A KR20160132206 A KR 20160132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information
book information
search
sear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3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환
Original Assignee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63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2206A/ko
Publication of KR20160132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22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30722
    • G06F17/30011

Landscapes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서검색장치는 검색어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정보를 전송받고, 출력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검색어 정보를 이용하여 제1도서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제1도서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제1분류번호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도서정보를 추출하는 검색부 및 상기 제1도서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도서정보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도서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서검색장치 및 검색방법{APPARATUS OF SEARCHING BOOK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도서검색장치 및 검색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서의 분류기호를 이용하여 검색을 수행하는 도서검색장치 및 검색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컴퓨터의 발달과 더불어 초고속 정보 통신망 또한 그 양과 질적 측면에서 매우 빠르게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힘입어 대부분의 사람들은 컴퓨터로 인터넷을 통해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얻고 있는 상태이다.
오늘날 인터넷 등 통신망의 급격한 발전과 더불어 통신망을 통한 정보 검색이 매우 일반화되고 있다. 정보 검색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가장 일반적인 검색 서비스 방식은 키워드 방식이다.
정보 검색 시스템에서는 웹사이트 검색, 문서 검색, 논문 검색, 지식 검색, 사전 검색, 뉴스 검색, 지도 검색 등 많은 종류의 콘텐츠에 대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즉,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를 포함하는 웹사이트, 문서, 논문, 지식 등을 제공한다.
또한,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온라인 서점이 성행하면서 도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도서를 검색하거나 구매할 수 있는 도서 검색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도서 검색 시스템은 도서명, 저자, 주제, 출판사, 출간일, ISBN(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 국제표준 도서번호) 등과 같은 분류 항목을 이용하여 도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도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도서 검색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도서 관련 데이터를 여러 가지 목적에 맞도록 분류하고 상호 중복되지 않도록 축적, 보관한 후 사용자가 필요한 도서 정보를 언제라도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도1은 종래의 도서 검색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도서 검색 결과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가 도서 검색에 대한 질의(query)로 '사진'을 입력할 경우, 도시한 바와 같이 도서명(101)에 해당 질의를 포함하는 도서 목록을 결과 페이지 상단에 제공한다.
이때, 상기 도서 목록은 사용자가 입력한 질의가 문서(도서 관련 데이터) 내에서 출현하는 질의 출현빈도(이하, '쿼리-문서 유사도'라 칭함)를 측정한 후 상기 쿼리-문서 유사도가 높은 순으로 정렬하거나, 도서별 판매도를 고려한 인기도 순으로 정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종래의 도서 검색 시스템은 사용자가 입력한 질의에 대하여 상기 쿼리-문서 유사도 또는 도서 인기도만을 고려하여 도서 데이터를 검색 결과로 제공하므로 사용자 질의가 의도하는 주제와는 무관한 도서 데이터를 제공하는 문제가 있다. 도1의 도서 검색 결과와 같이 종래의 도서 검색 방식에 의하면 '사진'이라는 주제와 무관한 '한국사'에 관련된 서적이 페이지 상단에 정렬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의도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 검색 결과에 대한 신뢰도가 저하되고,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만큼의 검색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대하여, 도서 검색에 대한 검색 결과로서 사용자의 질의 의도에 적합한 정제된 정보를 제공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검색의 정확도를 높이고, 한번의 검색으로 유사도서의 검색결과를 함께 보여주는 도서검색장치 및 검색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서검색장치는 검색어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정보를 전송받고, 출력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검색어 정보를 이용하여 제1도서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제1도서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제1분류번호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도서정보를 추출하는 검색부 및 상기 제1도서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도서정보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도서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검색부는 상기 제1분류번호와 소정의 범위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분류번호를 생성하고, 각각의 제2분류번호와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도서정보를 추출한다.
여기서, 상기 제1도서정보와 상기 제2도서정보는 도서명 및 저자명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검색부는 상기 검색어 정보를 이용하여 제1도서정보를 검색하는 제1검색모듈 및 상기 제1도서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제1분류번호와 소정범위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분류번호를 생성하고, 각각의 제2분류번호와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도서정보를 검색하는 제2검색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외부단말기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분류번호 및 상기 제2분류번호는 DDC(Dewey Decimal Classification)분류번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서검색시스템은 도서검색장치, 검색어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도서검색장치에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서관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도서검색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서관 서버에 상기 검색어 정보를 전송하여 제1도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도서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제1분류번호와 소정범위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분류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서관 서버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서관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분류번호를 전송받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분류번호 각각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도서정보를 상기 도서검색장치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제1도서정보와 상기 제2도서정보는 도서명 및 저자명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서검색방법은 도서검색장치에 의해서 수행되는 도서검색방법으로서, 검색어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검색어 정보와 매칭되는 제1도서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제1도서정보에 포함된 제1분류번호와 소정의 범위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분류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분류번호 각각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도서정보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서검색방법은 상기 제1도서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도서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서검색방법은 도서검색장치에 의해서 수행되는 도서검색방법으로서, 검색어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검색어 정보를 상기 도서검색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복수 개의 도서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도서관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검색어 정보에 따른 검색결과인 제1도서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1도서정보와 도서관명을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도서관과 대응되는 제1도서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1도서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1분류번호와 소정의 범위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분류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분류번호를 상기 선택된 도서관의 서버로 전송하여 대응되는 제2도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서검색방법은 상기 제2도서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서검색장치 및 검색방법에 의하면, 원하는 도서정보와 유사한 도서에 대한 정보도 한꺼번에 검색이 가능하고, 여러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도서정보를 손쉽게 열람할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도서 검색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도서 검색 결과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서검색장치의 기능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색부의 상세블록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서검색장치의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서검색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서검색시스템의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서검색방법의 순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서검색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서검색장치의 기능블록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서검색장치(10)는 검색어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정보를 전송받고, 출력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100), 검색어 정보를 이용하여 제1도서정보를 검색하고, 제1도서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제1분류번호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도서정보를 추출하는 검색부(200) 및 제1도서정보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도서정보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도서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300)를 포함한다.
통신부(100)는 도서검색장치(10)로 입력되는 각종 정보를 장치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서검색장치(10)에 입력되는 검색어는 검색하고자 하는 도서의 주제, 내용, 저자 등과 관련된 텍스트 정보일 수 있다. 통신부(100)는 도서검색장치(10)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외부단말기나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검색부(200)는 검색어 정보를 입력받아 제1도서정보를 검색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도서정보는 도서명, 저자명 및 도서관 청구기호를 포함한다. 도서관 청구기호는 별치기호, 분류번호, 저자기호, 권연차기호 및 복본기호를 포함할 수 있다. 검색부(200)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도서관 청구기호에 대해서 간략하게 살펴본다.
예를 들어, 도서관 청구기호 "P020.01한17ㄷV.25C.2"에서 "P"는 별치기호이고 자료의 성격이나 형태상 일반도서와 구별하여 관리하는 자료에 부여하는 기호이다. 자주 쓰이는 별치기호는 어느 도서관을 가더라도 유사하지만 각 도서관의 특성에 따라 전혀 예상할 수 없는 별치기호도 있다.
"020.01"는 분류번호이다. 분류번호는 DDC나 KDC등의 주제분류법을 이용하여 분류될 수 있다. 여기서 DDC(Dwey Decimal Clasification), 듀이 십진 분류표는 자료에서 다루어진 주제(내용)을 기호화한 것으로 자료 검색시에 사용된다. DDC를 구체적으로 말하면 학문주제분류표이기 때문에 모든 학문체계를 10개의 주류와 1개의 류마다 다시 10개의 강목, 1개의 강마다 다시 10개의 요목으로 분류하였다.
가령, 분류번호 "161"는 귀납법(철학이라는 주류, 논리학이라는 강목아래 3번째 요목이 1이면 귀납법을 의미함)을 의미하는 분류번호이다. 소수점 이하는 세목으로서, DDC분류번호는 분류의 대상이 되는 학문이 많이 발달되어 있을수록 길어지고 학문의 계층구조에 기반하여 분류번호가 생성되기 때문에 DDC의 보조테이블을 이용하여 시대, 지역 등을 분류번호에 나타낼 수 있다.
"한17ㄷ"는 저자기호이다. 저자기호는 단순히 같은 주제의 도서들을 구분해줄 뿐만 아니라 저자의 성씨와 도서명의 첫문자로 알수 있게 하는 기호이다. 위 예에서는 "한"이라는 성을 가진 사람이 저자이고, 이름을 리재철저자기호표 또는 Cutter-Sanborn 저자기호표를 사용하여 숫자로 표현한 것이다. 또한 동명이인이 있는 경우를 구별하기 위해 서명의 첫문자 "ㄷ"를 추가로 삽입한다.
"V.25"는 권책표시이고, C.2는 2번째 복사본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서검색장치(10)에서 검색어를 이용하여 제1도서정보를 검색하는 경우에 위와 같은 청구기호가 검색될 수 있으나 반드시 위와 같은 청구기호 형식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형식에 의한 청구기호 일 수 있다.
다시 검색부(200)를 설명하면, 검색부(200)는 검색어 정보가 입력되면, 검색어를 통해서 검색된 도서의 제1도서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제1분류번호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도서정보를 추출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색부의 상세블록도이다.
도3과 같이 검색부(200)는 제1검색모듈(210)과 제2검색모듈(220)을 포함한다. 제1검색모듈(210)은 검색어 정보를 이용하여 제1도서정보를 검색하고, 제2검색모듈(220)은 제1도서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제1분류번호와 소정범위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분류번호를 생성하고, 각각의 제2분류번호와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도서정보를 추출한다.
제1검색모듈(210)을 통해서 위와 같이 검색된 제1도서정보에는 도서명, 저자명 및 청구기호가 포함될 수 있다. 제1검색모듈에 의해서만 검색이 완료되는 경우에는 제1도서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청구기호 중 제1분류번호를 추출하고, 제2검색모듈로 전송한다. 제2검색모듈(220)은 제1분류번호를 중심으로 소정범위내에 있는 다른 도서의 도서정보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분류번호를 생성하고, 각각의 제2분류번호와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도서정보를 검색한다. 제2도서정보에는 제1도서정보와 마찬가지로 도서명, 저자명 및 청구기호가 포함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예를 통해서 "P020.01한17ㄷV.25C.2"를 제1도서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청구기호로 설정하면, 분류번호인 "020.01"(제1분류번호)과 소정범위내에 있는 분류번호인 "020.00, 020.01, 020.10, 020.20, 021.00" 등과 같이 제1분류번호와 인접한 분류번호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분류번호를 생성한다. 제2분류번호를 생성하는데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서 미리 정해질 수도 있으며, 제1분류번호와 인접한 소정개수의 도서를 나열하는 방식으로 정해질 수도 있다.
제2분류번호가 생성되면 제2검색모듈(2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서검색장치(10)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제2분류번호와 매칭되는 제2도서정보를 출력하고, 통신부(100)를 통해서 사용자의 단말기 등 외부장치에 전송한다.
데이터베이스(300)는 다수의 도서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도서정보는 도서명, 저자명, 청구기호 뿐만 아니라 도서정보와 매칭되어 소장도서관정보, 서점정보, 대출가능여부 또는 재고도서수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서검색장치의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100)를 통해서 수신한 검색어 정보는 제1검색모듈(210)로 전송되고, 제1검색모듈(210)은 검색어와 매칭되는 제1도서정보를 데이터베이스(300)에서 검색한다. 한편, 제1도서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청구기호의 제1분류번호를 제2검색모듈(220)로 전달하고, 제2검색모듈(220)은 제1분류번호와 소정범위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분류번호를 생성한다. 제2분류번호와 매칭되는 제2도서정보를 데이터베이스(300)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제2도서정보와 제1검색모듈에서 검색된 제1도서정보를 통신부(100)를 통해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서검색장치(10)를 통해서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 등을 통해 입력한 검색어 정보만을 가지고 제1도서정보와 제2도서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자신이 찾는 도서에 관한 정보를 보다 폭넓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른 도서검색시스템에 대해서 도5를 통해 설명한다.
앞선 실시예와 중복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서검색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서검색시스템은 도서검색장치(10), 검색어 정보를 입력받아 도서검색장치(10)에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20),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서관 서버(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서검색장치(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서관 서버(30)에 검색어 정보를 전송하여 제1도서정보를 수신하고, 제1도서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제1분류번호와 소정범위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분류번호를 생성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서관 서버(30)로 전송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서관 서버(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분류번호를 전송받아 각각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도서정보를 도서검색장치(10)로 전송한다.
도서검색장치(10)는 외부장치들과 유무선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통신부(100), 검색어 정보를 이용하여 제1도서정보를 검색하고, 제2분류번호를 이용하여 제2도서정보를 검색하는 검색부(200)를 포함한다. 더불어 복수의 도서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고, 도서검색장치(10)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어 도서검색장치(10)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는 스마트폰, 테블릿 PC, 노트북, 사무용 컴퓨터 등 일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서관 서버(제1도서관 서버, 제2도서관 서버 등)(30)는 유무선 네트워크로 접속가능한 국회도서관, 시립도서관, 각 대학의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는 도서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도서관 서버(30)는 모두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서검색시스템은 도서검색장치(10)의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되어 있지 않거나 저장되어 있더라도 보다 상세한 도서정보를 입수하기 위해서 외부의 도서관 서버(30)를 활용한다는 점에서 앞선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서검색시스템의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서검색시스템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를 통해서 검색어 정보를 입력한다. 입력된 검색어 정보는 도서검색장치(10)의 통신부(100)를 통해서 검색부(200)의 제1검색모듈(210)로 전송되고, 제1검색모듈(210)은 연결되어 있는 각 도서관 서버(30)에서 검색어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을 수행한다. 각 도서관 서버(30)에서 검색된 정보인 도서관별 제1도서정보를 다시 제1검색모듈(210)이 수신하고, 도서검색장치(10)는 도서관별 제1도서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검색을 원하는 도서관을 선택한 정보인 도서관 선택정보를 수신한다. 도서검색장치(10)는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도서관의 제1도서정보 중 청구기호에 포함되어 있는 선택된 도서관의 제1분류번호를 제2검색모듈(220)로 전송한다. 제2검색모듈(220)은 제1분류번호와 소정범위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분류번호를 생성하고, 제2분류번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도서관 서버(30)에서 제2도서정보를 검색하고, 수신한다. 도서검색장치(10)는 통신부(100)를 통해서 제1도서정보와 제2도서정보를 사용자 단말(20)로 전송하고, 사용자는 원하는 도서정보를 얻는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른 도서검색방법에 대해 도7과 도8을 통해 설명한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서검색방법의 순서도이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서검색방법은 도서검색장치에 의해서 수행되고, 검색어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00), 검색어 정보와 매칭되는 제1도서정보를 검색하는 단계(S200), 제1도서정보에 포함된 제1분류번호와 소정의 범위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분류번호를 추출하는 단계(S30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분류번호 각각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도서정보를 검색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검색어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00)는 사용자가 검색을 원하는 도서의 주제나 내용, 저자 등에 관한 정보인 검색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된 검색어 정보와 매칭되는 제1도서정보를 검색하는 단계(S200)는 검색어와 가장 유사하다고 판단되는 도서정보인 제1도서정보를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 중에서 검색한다. 제1도서정보는 1개의 도서에 관한 정보일 수도 있으며, 검색어와 관련도가 높은 다수의 도서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제1도서정보에 포함된 제1분류번호와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분류번호를 생성하는 단계(S300)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1분류번호와 유사한 분류번호를 갖고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류번호인 제2분류번호를 추출하는 단계이다. 소정의 범위는 사용자에 의해서 미리 정해진 형식일 수 있으며, 제1분류번호와 유사한 정해진 개수(예를 들어 가장 유사한 10개의 분류번호)의 분류번호 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분류번호 각각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도서정보를 검색하는 단계(S400)는 제1분류번호와 유사한 분류번호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분류번호를 포함하는 제2도서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다.
이후 제1도서정보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도서정보는 도서검색장치로부터 출력된다(S500).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서검색방법은 도서검색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복수 개의 도서관 서버가 포함되어 있는 시스템에서의 도서검색방법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서검색방법의 순서도이다.
앞서 실시예와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서검색방법은 도서검색장치에 의해서 수행되며, 검색어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000), 검색어 정보를 도서검색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복수 개의 도서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2000), 복수 개의 도서관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검색어 정보에 따른 검색결과인 제1도서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3000), 제1도서정보와 도서관명을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S4000),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도서관과 대응되는 제1도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5000), 제1도서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제1분류번호와 소정의 범위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분류번호를 추출하는 단계(S600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분류번호를 선택된 도서관의 서버로 전송하여 대응되는 제2도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70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서검색방법은 제2도서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출력하는 단계(S8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검색어 정보를 도서검색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복수 개의 도서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2000)는 도서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도서관 서버로 검색어 정보를 전송함으로서, 검색을 도서관 내에 소장되어 있는 도서의 정보를 검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검색어 쿼리(query)를 도서관 서버로 전송한다.
복수 개의 도서관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검색어 정보에 따른 검색결과인 제1도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3000)는 각 도서관 서버에서 검색어 정보를 토대로 검색된 제1도서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이다.
검색된 제1도서정보와 도서관명을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S4000)는 사용자가 원하는 도서정보와 소장하고 있는 도서관명을 함께 전송하는 단계이다. 제1도서정보에는 각 도서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체계에 따른 청구기호가 포함되어 있으며, 복수 개의 도서관별로 동일할 수도 있으나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도서관과 대응되는 제1도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5000)는 사용자에게 제공된 도서관명에 의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도서관명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도서관과 그에 대응되는 제1도서정보를 수신한다.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도서관이 복수 개인 경우에는 복수 개의 제1도서정보를 입력받게 되고, 각각의 제1도서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제1분류번호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제2분류번호를 생성한다.
이하 제2분류번호를 생성하고, 제2분류번호와 대응하는 제2도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2도서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앞선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10 도서검색장치 20 사용자 단말
30 도서관 서버 100 통신부
200 검색부 210 제1검색모듈
220 제2검색모듈 300 데이터베이스

Claims (13)

  1. 검색어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정보를 전송받고, 출력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검색어 정보를 이용하여 제1도서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제1도서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제1분류번호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도서정보를 추출하는 검색부; 및
    상기 제1도서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도서정보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도서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검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부는 상기 제1분류번호와 소정의 범위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분류번호를 생성하고, 각각의 제2분류번호와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도서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검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서정보와 상기 제2도서정보는 도서명 및 저자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검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부는 상기 검색어 정보를 이용하여 제1도서정보를 검색하는 제1검색모듈; 및
    상기 제1도서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제1분류번호와 소정범위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분류번호를 생성하고, 각각의 제2분류번호와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도서정보를 검색하는 제2검색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검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외부단말기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검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류번호 및 상기 제2분류번호는 DDC(Dewey Decimal Classification)분류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검색장치.
  7. 제1항의 도서검색장치;
    검색어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도서검색장치에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서관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도서검색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서관 서버에 상기 검색어 정보를 전송하여 제1도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도서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제1분류번호와 소정범위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분류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서관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검색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서관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분류번호를 전송받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분류번호 각각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도서정보를 상기 도서검색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검색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서정보와 상기 제2도서정보는 도서명 및 저자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검색 시스템.
  10. 제1항의 도서검색장치에 의해서 수행되는 도서검색방법으로서,
    검색어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검색어 정보와 매칭되는 제1도서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제1도서정보에 포함된 제1분류번호와 소정의 범위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분류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분류번호 각각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도서정보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검색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서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도서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검색방법.
  12. 제1항의 도서검색장치에 의해서 수행되는 도서검색방법으로서,
    검색어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검색어 정보를 상기 도서검색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복수 개의 도서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도서관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검색어 정보에 따른 검색결과인 제1도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도서정보와 도서관명을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도서관과 대응되는 제1도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도서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1분류번호와 소정의 범위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분류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분류번호를 상기 선택된 도서관의 서버로 전송하여 대응되는 제2도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검색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서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검색방법.
KR1020150063662A 2015-05-07 2015-05-07 도서검색장치 및 검색방법 KR201601322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662A KR20160132206A (ko) 2015-05-07 2015-05-07 도서검색장치 및 검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662A KR20160132206A (ko) 2015-05-07 2015-05-07 도서검색장치 및 검색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2206A true KR20160132206A (ko) 2016-11-17

Family

ID=57542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3662A KR20160132206A (ko) 2015-05-07 2015-05-07 도서검색장치 및 검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220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02382B (zh) 链接实体方法和系统
CN109614504B (zh) 一种互联网电子书的管理系统及方法
US8965872B2 (en) Identifying query formulation suggestions for low-match queries
US20160034514A1 (en) Providing search results based on an identified user interest and relevance matching
CN111046221A (zh) 歌曲推荐方法、装置、终端设备以及存储介质
CN107861753B (zh) App生成索引、检索方法和系统及可读存储介质
US20210117834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notes b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rrelation calculation
US10089399B2 (en) Search tool enhancement using dynamic tagging
US2016016258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information using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150130214A (ko) 텍스트를 포함하는 문서 분류 및 분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문서 분류 및 분석 장치
US20160299951A1 (en) Processing a search query and retrieving targeted records from a networked database system
CN114141384A (zh) 用于检索医学数据的方法、设备和介质
JP2017117021A (ja) キーワード抽出装置、コンテンツ生成システム、キーワード抽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08130501A1 (en) Unstructured and semistructured document processing and searching and generation of value-based information
KR101866411B1 (ko) 문서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문서 추천 정보 제공 장치
KR20190109628A (ko) 개인화된 기사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08065417A (ja) 連想語群検索装置、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マッチ型広告システム
WO2018223993A1 (zh) 一种应用软件搜索方法、装置及服务器
CN110647504A (zh) 司法文书的检索方法及装置
KR20160132206A (ko) 도서검색장치 및 검색방법
KR101440385B1 (ko) 인디케이터를 이용한 정보 관리 장치
Carter et al. Dig: a task-based approach to product search
US201403654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 over the web
JP6534454B2 (ja) 情報検索方法及び情報検索装置並びに情報検索システム
Manna et al. Information retrieval-based question answering system on foods and recip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