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1545A - Pet's muzzle - Google Patents

Pet's muzz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1545A
KR20160131545A KR1020150064104A KR20150064104A KR20160131545A KR 20160131545 A KR20160131545 A KR 20160131545A KR 1020150064104 A KR1020150064104 A KR 1020150064104A KR 20150064104 A KR20150064104 A KR 20150064104A KR 20160131545 A KR20160131545 A KR 20160131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
mask
spout
lid portion
upper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41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정하
Original Assignee
황정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정하 filed Critical 황정하
Priority to KR1020150064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1545A/en
Publication of KR20160131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154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t mask capable of preventing skin diseases around dogs mouth. The pet 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upper cover portion (10); a lower cover portion (20); a mouth insertion hole (30); a nose exposing hole (40); and a fixing band (50).

Description

애완동물용 마스크{PET'S MUZZLE}Pet Mask {PET'S MUZZLE}

본 발명은 애완동물용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혐오감을 저감시키면서 애완동물에게는 우수한 착용감을 제공하고, 침흘림으로 인한 비위생적인 환경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 애완동물용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t mask, and more particularly, to a pet mask which provides an excellent fit feeling to a pet while reducing a disgust due to wear of the mask and prevents an unsanitary environment from occurring due to saliva.

일반적으로, 애완동물용 마스크는 애완동물이 주인과 함께 외출하게 될 경우 애완동물이 길에 떨어진 음식물을 섭취하는 것을 방지하고, 길에 지나다니는 사람을 무는 것을 방지하며, 함부로 짖어 주변에 소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Generally, a pet mask prevents a pet from eating food that is on the street when the pet goes out with the owner, prevents people from crossing the street from biting, .

이러한 애완동물용 마스크와 관련된 기술로, "애완동물용 마스크"(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10194, 특허문헌 1)에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애완동물의 주둥이를 감싼 마개부에 홀이 형성되어 애완동물의 코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탄성을 갖는 합성 섬유 재질로 구성된 예가 공개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in a "pet mask" (Korean Utility Model Laid-Open Publication No. 20-2011-0010194, Patent Document 1), with a technique related to such a pet mask, A hole is formed in the hole to expose the nose of the pet to the outside, and an elastic fiber made of a synthetic fiber material is disclosed.

이때, 중앙의 홀 측면에 여러 홀이 형성되어 호흡이 보다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on the side of the central hole to facilitate breathing.

그런데,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의 경우 애완동물이 개와 같이 침을 잘 흘리는 동물일 경우 애완동물이 흘린 침이 주변의 마스크 본체에 묻게 되어 애완동물의 입 주변 부분의 마스크가 항시 젖게 되고 이로 인해 애완동물의 위생이 취약해지게 되며 마스크에 각종 세균이 번식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침에 젖은 마스크에 악취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Patent Document 1, when the pet is an animal that spills out well like a dog, the spilled droplet of the pet is buried in the surrounding mask body, so that the mask around the mouth of the pet is always wet, The hygiene of the animal is weakened, and the possibility that various bacteria may multiply in the mask is increas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 bad smell is generated in the mask which is wet with acupuncture.

또, 마스크를 착용한 애완동물을 견주 외의 사람이 바라볼 때 애완동물이 사납다는 인식을 심어 친숙한 느낌을 받지 못하고 긴장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In addition, when a person wearing a mask looks at a person other than a dog, the pet is perceived to be vil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og does not receive the familiar feeling and becomes nervous.

KR 20-2011-0010194 (2011.10.28)KR 20-2011-0010194 (October 28, 2011)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마스크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마스크의 형상을 마치 오리 주둥이와 같은 형상이 되도록 함으로써 행인이 애완동물을 바라볼 때 친숙하고 재미난 느낌을 받고 긴장하지 않게 하려는 것이다.The mask for p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the conventional art as described above. The shape of the mask is like a duck-like shape so that when a passerby looks at a pet, I do not want to be nervous.

또, 마스크의 바닥 부분에 애완동물이 흘린 침이 배출되는 침배출홀이 형성되어 있어 마스크가 젖어 오염되지 않아 침으로 인한 오염 및 위생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하려는 것이다.In addition, the bottom portion of the mask is provided with a needle discharge hole through which a needle spilled with a pet is discharged, so that the mask is not dirty and contaminated, thereby preventing contamination and hygiene problems due to needle.

또한, 내주면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애완견의 주둥이 피부와 마스크 본체가 면접촉에 의해 밀착되지 않고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주둥이 주변의 피부 질환 발생을 예방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snout skin of the pet dog and the mask body due to the surface contact, thereby preventing skin disease around the snout due to wear of the mask.

더불어, 마스크의 상부 양측은 오목하게 형성함으로써 마스크 착용으로 인해 애완동물의 시야가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려는 것이다.In addition, both sides of the mask are concave so as to prevent the visibility of the pet from being blocked due to wearing of the mask.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마스크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내주면이 애완동물의 주둥이(1) 상부를 감싸도록 이루어져 있고, 애완동물의 주둥이(1) 측으로부터 전면 상측을 향해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신축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상부덮개부(10)와; 일측이 상기 상부덮개부(10)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애완동물의 주둥이(1) 저부를 감싸도록 이루어져 있고, 애완동물이 흘린 침이 하부로 배출되도록 침배출홀(21)이 형성되어 있으며, 바깥쪽 단부가 상기 상부덮개부(10)의 바깥쪽 단부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상부덮개부(10)와 함께 오리 부리의 형상을 취하는 하부덮개부(20)와; 상기 상부덮개부(10)와 하부덮개부(20)에 둘러쌓인 채 애완동물의 주둥이(1)가 삽입되는 주둥이삽입홀(30)과; 상기 주둥이삽입홀(30)의 반대 편에 형성되어 있으며, 애완동물의 코(2)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코노출홀(40)과; 양측 단부가 상기 하부덮개부(20)의 양측에 연결되어 있고, 애완동물의 목 뒷편을 감싸 설치되어 있는 고정밴드(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et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urrounds the upper part of the spout (1) of the pet, and is formed in a rounded shape from the side of the spout (1) An upper lid part 10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elasticity; One end of which is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upper cover 10 and surrounds the bottom of the spout 1 of the pet, and a needle discharge hole 21 is formed so that the needle spilled by the pet is discharged downward A lower lid portion 20 having an outer end portion positioned inside the outer end portion of the upper lid portion 10 so as to form an orifice together with the upper lid portion 10; A spout insertion hole 30 in which the spout 1 of the pet is inserted while being enclosed by the upper lid 10 and the lower lid 20; A nose exposure hole 40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nout insertion hole 30 and exposing a nose portion 2 of the pet to the outside; And a fixing band 50 having opposite end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cover 20 and wrapped around the back of the neck of the pet.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상부덮개부(10)의 내주면과 하부덮개부(20)의 내주면에는 애완동물의 주둥이와 접촉하는 다수 개의 이격돌기(60)가 서로 이격된 채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onfiguration, a plurality of spaced apart projections 60,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spout of the pet, are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lid portion 1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lid portion 20, .

또, 상기 상부덮개부(10)는 정면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애완동물 주둥이(1)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7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lid portion 10 is characterized in that recessed portions 70 are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with respect to the front face, the recessed portions 70 being recessed toward the pet spout 1.

또한, 상기 하부덮개부(20)는 주둥이삽입홀(30)로부터 코노출홀(40)을 향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wer lid portion 20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in the direction from the snout insertion hole 30 toward the nose exposure hole 40.

더불어, 상기 상부덮개부(10)에는 코노출홀(40)과 인접한 부분에 다수 개의 냄새가이드홀(1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odor guide holes 11 are formed in the upper lid 10 adjacent to the nose exposing holes 40.

본 발명에 의해, 마스크의 형상을 마치 오리 주둥이와 같은 형상이 되도록 함으로써 행인이 애완동물을 바라볼 때 친숙하고 재미난 느낌을 받고 긴장하지 않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mask is shaped like a duck spout so that when a passerby looks at a pet, it has a familiar, amusing feeling and is not tense.

또, 마스크의 바닥 부분에 애완동물이 흘린 침이 배출되는 침배출홀이 형성되어 있어 마스크가 젖어 오염되지 않아 침으로 인한 오염 및 위생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In addition, the bottom of the mask is provided with a needle discharge hole through which a needle spilled with a pet is discharged, so that the mask is not dirty and contaminated, thereby preventing contamination and hygiene problems due to needle.

또한, 내주면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애완견의 주둥이 피부와 마스크 본체가 면접촉에 의해 밀착되지 않고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주둥이 주변의 피부 질환 발생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snout skin of the pet dog and the mask body due to surface contact, thereby preventing skin disease around the snout due to wear of the mask.

더불어, 마스크의 상부 양측은 오목하게 형성함으로써 마스크 착용으로 인해 애완동물의 시야가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ask are concav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visibility of the pet from being blocked due to wearing of the mask.

도 1은 종래의 애완견 마스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마스크를 나타낸 착용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마스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마스크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마스크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마스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et dog mask.
2 is a worn state view showing a mask for a pe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sk for a pe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pet 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mask for a pe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photographs showing one embodiment of a mask for a pe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마스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pet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마스크는 크게 상부덮개부(10), 하부덮개부(20)로 구성되며, 일측에는 주둥이삽입홀(30) 타측에는 코노출홀(40)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덮개부(20)를 연결하여 애완동물의 목을 감싸는 고정밴드(50)로 구성되어 있다.
The pet 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comprises an upper lid portion 10 and a lower lid portion 20 and has a nose insertion hole 30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a nose exposure hole 40 formed at the other side thereof, And a fixing band 50 surrounding the neck of the pet by connecting the body 20 to the neck.

상부덮개부(10)는 도 2 내지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주면이 애완동물의 주둥이(1) 상부를 감싸도록 이루어져 있다.As shown in Figs. 2 to 3, the upper lid portion 10 is formed such that its inner peripheral surface surrounds the upper portion of the spout 1 of the pet.

이때, 그 형상이 애완동물의 주둥이(1) 측으로부터 전면 상측을 향해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마치 오리의 부리 윗부분과 같은 형상을 취한다.At this time, the shape is formed in a rounded shape from the side of the mouth of the pet to the upper side of the front face, and takes the same shape as the upper part of the beak of the duck.

상부덮개부(10)에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코노출홀(40)과 인접한 부분에 다수 개의 냄새가이드홀(11)이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a plurality of odor guide holes 11 may be selectively formed in the upper lid portion 10 adjacent to the nose exposure hole 40.

이는 애완동물의 주둥이(1) 길이에 따라 경우에 따라서는 코(2)가 과도하게 안쪽에 위치할 경우 냄새를 맡는 데 있어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애완동물이 주변의 냄새를 보다 쉽게 맡을 수 있도록 냄새가이드홀(11)이 형성되는 것이다.
This is to prevent the difficulty of smelling when the nose (2) is excessively inward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pet's snout (1), which makes it easier for the pet to smell the surrounding So that the odor guide holes 11 can be formed.

하부덮개부(20)는 도 2 내지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측이 상기 상부덮개부(10)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애완동물의 주둥이(1) 저부를 감싸도록 이루어져 있다.As shown in FIGS. 2 to 3, the lower lid part 20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upper lid part 10 at one side thereof and surrounds the bottom of the lid 1 of the pet.

하부덮개부(20)의 형상은 상측을 향해 라운드진 형상을 취해 마치 오리 부리의 아랫 부분과 같은 형상을 취한다.
The shape of the lower lid portion 20 takes a rounded shape toward the upper side and takes the same shape as the lower portion of the duckbill.

상부덮개부(10)와 하부덮개부(20)가 오리 부리와 같은 형상을 취하게 됨에 따라 어린 유아나 개에 대해 혐오감을 갖고 있는 사람들로 하여금 일반 마스크 착용으로 인해 두려움을 갖게 되는 것과 비교하여 친숙한 느낌을 갖게 하여 두려움이나 긴장 등이 발생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As the upper lid portion 10 and the lower lid portion 20 have the shape of a duckbill, it is possible to make people who are disgusted with young infants or dogs afraid of wearing a normal mask,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ccurrence of fear, tension, and the like.

이때, 도 3, 4에 도시된 것처럼 바깥쪽 단부는 상부덮개부(10)의 바깥쪽 단부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3 and 4, the outer end portion is formed to be located inside the outer end portion of the upper lid portion 10.

이는 하부덮개부(20)는 애완동물의 주둥이 아랫부분을 견고하게 감싸주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며, 상부덮개부(10) 역시 애완동물의 주둥이 윗 부분을 견고하게 감싸주되, 전방을 향해 더 돌출된 형상을 취하게 된다.This is because the lower lid part 20 tightly surrounds the lower part of the pet's mouth and the upper lid part 10 also tightly covers the upper part of the pet's mouth, Shape.

이처럼 상부덮개부(10)가 전방을 향해 돌출된 형상을 취함에 따라 애완동물의 코 부분이 햇빛에 노출되는 것을 보다 방지하여 코가 마르는 현상을 저감시키게 된다.
As the upper lid 10 protrudes forward, the nose portion of the pet is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the sunlight, thereby reducing the phenomenon of dry nose.

특히, 하부덮개부(20)에는 침배출홀(21)이 다수 형성되어 있어 애완동물이 흘린 침이 라운드진 형상을 취하는 하부덮개부(20) 내주면 측에 고이지 않고 침배출홀(21)을 통해 배출되어 위생적인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In particular, the lower lid portion 20 is formed with a large number of needle exit holes 21, so that the needles spouted by the pet do not float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ide of the lower lid portion 20, It will be discharged to provide a sanitary environment.

더 나아가, 하부덮개부(20)는 주둥이삽입홀(30)로부터 코노출홀(40)을 향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경사를 따라 하부덮개부(20) 내주면에 고인 침 또는 피부에서 흘리는 땀 등이 경사를 타고 침배출홀(21)을 통해 배출되어 애완동물로 하여금 쾌적한 작용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The lower cover part 20 may be inclined downward in the direction from the snout insertion hole 30 toward the nose exposure hole 40. In this case, Or sweat pouring from the skin are discharged through the needle discharge hole 21 on the inclination, so that the pet animal can provide a comfortable feeling of work.

상부덮개부(10)와 하부덮개(20)로 구성된 마스크의 후방 즉, 애완동물의 주둥이(1)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애완동물의 주둥이(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덮개부(10)와 하부덮개부(20)에 둘러쌓인 주둥이삽입홀(30)이 형성되어 있다.The upper lid part 10 and the lower lid part 10 ar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mask constituted by the upper lid part 10 and the lower lid 20, that i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spout 1 of the pet, A spout insertion hole 30 is formed in the lower lid portion 20.

또, 주둥이삽입홀(30)의 반대 편에 애완동물의 코(2)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코노출홀(40)이 형성되어 있다.A nose exposure hole 40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nout insertion hole 30 so that the nose 2 of the pet animal is exposed to the outside.

이때, 주둥이삽입홀(30) 측에 대응되는 부분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부덮개부(10)가 정면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애완동물 주둥이(1)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70)가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upper lid portion 10 is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with respect to the front face, and is provided with a concave portion (not shown) formed to be concave toward the pet spout 1 70 may be formed.

이러한 오목부(70)는 애완견의 시야가 마스크에 의해 가려지는 것 특히 전방측의 관찰이 용이해지도록 해준다.This concave portion 70 makes it easy to observe the dog's field of view by the mask, particularly on the front side.

또, 오목한 부분이 주둥이(1) 상측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착용시 유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해준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cave portion from being tightly adhered to the upper side of the spout (1), an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clearance when worn.

그런데, 상부덮개부(10)나 하부덮개부(20)가 전체적인 면 접촉에 의해 애완견의 주둥이(1)에 밀착되는 경우 흘린 땀이나 침, 눈물 등에 의해 내부가 축축한 환경이 되기 싶고 이는 각종 피부질환 등을 유발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upper lid portion 10 and the lower lid portion 20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mouth 1 of the dog by the whole surface contact, it is desired that the environment is moistened by sweat, saliva, tears, And the like.

또, 땀이나 침 등에 의해 불편한 느낌 때문에 애완동물은 마스크를 자꾸 벗으려 할 수 있다.In addition, because of the uncomfortable feeling due to perspiration or acupuncture, the pet may try to remove the mask repeatedly.

이러한 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부덮개부(10)의 내주면과 하부덮개부(20)의 내주면에는 애완동물의 주둥이와 접촉하는 다수 개의 이격돌기(60)가 서로 이격된 채 설치될 수 있다.5, a plurality of spaced apart protrusions 60,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spout of a pet animal,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lid portion 1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lid portion 20, Can be installed.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접촉 부분 중간에 공간이 형성되어 침이나, 눈물, 땀의 건조가 이루어지고 원할하게 하부덮개부(20) 측으로 흘러내려 침배출홀(21)을 통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With such a configuration, a space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contact portion to dry saliva, tears, sweat, and smoothly flow down to the lower lid portion 20 and be discharged through the saliva drain hole 21. [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마스크는 상부덮개부(10)와 하부덮개부(20)가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은 신축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The pet 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upper and lower lid portions 10 and 20. Preferably, the upper and lower lid portions 10 and 20 ar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silicone rubber Do.

또, 금형을 통해 일체로 성형됨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 자연스럽게 상부덮개부(10)와 하부덮개부(20) 사이에 신축성을 통한 약간의 벌어짐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의 애완동물이 착용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since it is possible to naturally spread between the upper lid portion 10 and the lower lid portion 20 through stretchability, the pet can be worn by a pet of various sizes. .

한편, 양측 단부가 상기 하부덮개부(20)의 양측에 연결되어 있고, 애완동물의 목 뒷편을 감싸 설치되어 있는 고정밴드(50)는 그 자체가 일체를 이룰 수도 있으며, 버클 등에 의해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both end portions ar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lid portion 20, and the fixing band 50 wrapped around the neck of the pet can be made integral with itself, It can be connected and installed as much as possible.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마스크는 애완견, 애완묘 등 다양한 애완동물에 적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 할 것이다.The pet 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pets such as dogs, pets, and the like.

1 : 주둥이 2 : 코
10 : 상부덮개부 11 : 냄새가이드홀
20 : 하부덮개부 21 : 침배출홀
30 : 주둥이삽입홀 40 : 코노출홀
50 : 고정밴드 60 : 이격돌기
70 : 오목부
1: snout 2: nose
10: upper cover part 11: odor guide hole
20: lower lid part 21: needle discharge hole
30: Snout insertion hole 40: Nose exposure hole
50: fixing band 60:
70:

Claims (5)

애완동물용 마스크에 있어서,
내주면이 애완동물의 주둥이(1) 상부를 감싸도록 이루어져 있고, 애완동물의 주둥이(1) 측으로부터 전면 상측을 향해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신축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상부덮개부(10)와;
일측이 상기 상부덮개부(10)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애완동물의 주둥이(1) 저부를 감싸도록 이루어져 있고, 애완동물이 흘린 침이 하부로 배출되도록 침배출홀(21)이 형성되어 있으며, 바깥쪽 단부가 상기 상부덮개부(10)의 바깥쪽 단부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상부덮개부(10)와 함께 오리 부리의 형상을 취하는 하부덮개부(20)와;
상기 상부덮개부(10)와 하부덮개부(20)에 둘러쌓인 채 애완동물의 주둥이(1)가 삽입되는 주둥이삽입홀(30)과;
상기 주둥이삽입홀(30)의 반대 편에 형성되어 있으며, 애완동물의 코(2)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코노출홀(40)과;
양측 단부가 상기 하부덮개부(20)의 양측에 연결되어 있고, 애완동물의 목 뒷편을 감싸 설치되어 있는 고정밴드(50);를 포함하여 구성된,
애완동물용 마스크.
In a pet mask,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upper part of the spout 1 of the pet and is formed in a rounded shape from the side of the spout 1 of the pet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front surface and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elasticity, )Wow;
One end of which is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upper cover 10 and surrounds the bottom of the spout 1 of the pet, and a needle discharge hole 21 is formed so that the needle spilled by the pet is discharged downward A lower lid portion 20 having an outer end portion positioned inside the outer end portion of the upper lid portion 10 so as to form an orifice together with the upper lid portion 10;
A spout insertion hole 30 in which the spout 1 of the pet is inserted while being enclosed by the upper lid 10 and the lower lid 20;
A nose exposure hole 40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nout insertion hole 30 and exposing a nose portion 2 of the pet to the outside;
And a fixing band (50) having opposite end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lid part (20) and wrapped around the back of the neck of the pet,
Mask for pe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덮개부(10)의 내주면과 하부덮개부(20)의 내주면에는 애완동물의 주둥이와 접촉하는 다수 개의 이격돌기(60)가 서로 이격된 채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마스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spaced apart projections (60) that are in contact with the spout of the pet are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lid portion (1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lid portion (20)
Mask for pet.
제 1항 내지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덮개부(10)는 정면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애완동물 주둥이(1)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7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마스크.
3.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lid portion (10) is formed with recesses (70)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with respect to the front face, the recess portions (70) being concave toward the pet spout (1)
Mask for pet.
제 1항 내지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덮개부(20)는 주둥이삽입홀(30)로부터 코노출홀(40)을 향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마스크.
3.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
Wherein the lower cover part (20)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in the direction from the snout insertion hole (30) toward the nose exposure hole (40)
Mask for pet.
제 1항 내지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덮개부(10)에는 코노출홀(40)과 인접한 부분에 다수 개의 냄새가이드홀(1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마스크.
3.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odor guide holes (11) are formed in the upper lid part (10) adjacent to the nose exposure hole (40)
Mask for pet.
KR1020150064104A 2015-05-07 2015-05-07 Pet's muzzle KR2016013154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104A KR20160131545A (en) 2015-05-07 2015-05-07 Pet's muzz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104A KR20160131545A (en) 2015-05-07 2015-05-07 Pet's muzz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545A true KR20160131545A (en) 2016-11-16

Family

ID=57540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4104A KR20160131545A (en) 2015-05-07 2015-05-07 Pet's muzz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1545A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6034A (en) 2018-02-08 2019-08-19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A mask for companion dog
KR20200042728A (en) 2018-10-16 2020-04-24 현 섭 신 nose cover for pet bath
KR20200002240U (en) 2019-04-04 2020-10-14 이성식 Muzzle device for a companion dog
KR20200133879A (en) 2019-05-20 2020-12-01 주식회사 고스디자인 Muzzle for pet
KR20210004607A (en) * 2019-07-05 2021-01-13 서주은 A dog's necklace with anti-bite function
KR20220006450A (en) * 2020-07-08 2022-01-17 정규민 Muzzle for dog
US11503810B2 (en) 2018-01-17 2022-11-22 Gui Joong PYO Pet dog muzz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0194U (en) 2010-04-22 2011-10-28 김영순 Pet's muzz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0194U (en) 2010-04-22 2011-10-28 김영순 Pet's muzzl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03810B2 (en) 2018-01-17 2022-11-22 Gui Joong PYO Pet dog muzzle
KR20190096034A (en) 2018-02-08 2019-08-19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A mask for companion dog
KR20200042728A (en) 2018-10-16 2020-04-24 현 섭 신 nose cover for pet bath
KR20200002240U (en) 2019-04-04 2020-10-14 이성식 Muzzle device for a companion dog
KR20200133879A (en) 2019-05-20 2020-12-01 주식회사 고스디자인 Muzzle for pet
KR20210004607A (en) * 2019-07-05 2021-01-13 서주은 A dog's necklace with anti-bite function
KR20220006450A (en) * 2020-07-08 2022-01-17 정규민 Muzzle for do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31545A (en) Pet's muzzle
US10172767B2 (en) Teething mitt
KR101242055B1 (en) Outer mask for beauty treatment mask pack
US8181609B2 (en) Protective collar for an animal
JP4597702B2 (en) Lip closure
US11503810B2 (en) Pet dog muzzle
KR102119019B1 (en) Wrist teether
US4233942A (en) Animal ear protectors
WO2017136501A1 (en) Clamshell sensory headgear for a pet
KR20130007379U (en) Medical oral airway instrument
KR20190001686U (en) Dog muzzle
US7310827B2 (en) Splash guard
KR102013764B1 (en) Functional trunk panties
KR101717346B1 (en) Baby Hand Covers
EP2462802A1 (en) Muzzle for dogs
KR20210000986U (en) Protection collar for pets
KR101976272B1 (en) Multidirectional biteable upper part opening type wrist teether
KR200483245Y1 (en) Headband for keeping ears of pet dog open
KR20110047391A (en) animall bath watertight cover
US11446213B2 (en) Teething growth device having wrist band
KR200488154Y1 (en) Pouch for a pet waste bag
KR200360383Y1 (en) Ani dog
KR20190096034A (en) A mask for companion dog
KR101864043B1 (en) Earplug for a pet dog
KR101997663B1 (en) Head band type earmuff of companion anim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