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9304A - 마그네틱 코어 냉각용 냉각키트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반응기 - Google Patents

마그네틱 코어 냉각용 냉각키트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반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9304A
KR20160129304A KR1020150061216A KR20150061216A KR20160129304A KR 20160129304 A KR20160129304 A KR 20160129304A KR 1020150061216 A KR1020150061216 A KR 1020150061216A KR 20150061216 A KR20150061216 A KR 20150061216A KR 20160129304 A KR20160129304 A KR 20160129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magnetic core
plasma
reactor body
cooling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1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5028B1 (ko
Inventor
최대규
Original Assignee
최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대규 filed Critical 최대규
Priority to KR1020150061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5028B1/ko
Publication of KR20160129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9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HPLASMA TECHNIQUE; PRODUCTION OF ACCELERATED ELECTRICALLY-CHARGED PARTICLES OR OF NEUTRONS; PRODUCTION OR ACCELERATION OF NEUTRAL MOLECULAR OR ATOMIC BEAMS
    • H05H1/00Generating plasma; Handling plasma
    • H05H1/24Generating plasma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HPLASMA TECHNIQUE; PRODUCTION OF ACCELERATED ELECTRICALLY-CHARGED PARTICLES OR OF NEUTRONS; PRODUCTION OR ACCELERATION OF NEUTRAL MOLECULAR OR ATOMIC BEAMS
    • H05H1/00Generating plasma; Handling plasma
    • H05H1/24Generating plasma
    • H05H1/46Generating plasma using applied electromagnetic fields, e.g. high frequency or microwave energ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HPLASMA TECHNIQUE; PRODUCTION OF ACCELERATED ELECTRICALLY-CHARGED PARTICLES OR OF NEUTRONS; PRODUCTION OR ACCELERATION OF NEUTRAL MOLECULAR OR ATOMIC BEAMS
    • H05H2242/00Auxiliary systems
    • H05H2242/10Coo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lasma Techn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마그네틱 코어 냉각용 냉각키트는 마그네틱 코어를 냉각시키는 냉각 채널, 냉각 채널의 유체 흐름을 감지하는 냉각 오류 발생 감지부, 냉각 오류가 발생되는 경우 플라즈마 반응기를 동작시키지 않는 시스템 제어부, 반응기 몸체 및 마그네틱 코어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감지 센서로 구성된다.
마그네틱 냉각용 냉각키트를 구비한 플라즈마 반응기는, 플라즈마 반응기 몸체; 상기 반응기 몸체의 내부에 형성된 플라즈마 방전실, 상기 플라즈마 방전실에 기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마그네틱 코어 및 일차권선, 상기 반응기 몸체를 냉각시키는 제 1 냉각 채널과 상기 마그네틱 코어를 냉각시키는 제 2 냉각 채널을 포함하는 냉각키트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그네틱 코어 냉각용 냉각키트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반응기{COOLING KIT AND A PLASMA REACTOR HAVING THE SAME MAGNETIC CORE FOR COOLING}
본 발명은 플라즈마 반응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플라즈마 반응기의 효율적인 냉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 방전은 이온, 자유 래디컬, 원자, 분자를 포함하는 활성 가스를 발생하기 위한 가스 여기에 사용되고 있다. 활성 가스는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반도체 제조 공정 예들 들어, 식각, 증착, 세정, 에싱 등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최근, 반도체 장치의 제조를 위한 웨이퍼나 LCD 글라스 기판은 더욱 대형화 되어 가고 있다. 그럼으로 플라즈마 이온 에너지에 대한 제어 능력이 높고, 대면적의 처리 능력을 갖는 확장성이 용이한 플라즈마 소스가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피처리 기판의 대형화에 따라 공정 챔버의 볼륨도 증가되고 있어서 고밀도의 활성 가스를 충분히 원격으로 공급할 수 있는 플라즈마 소스가 요구되고 있다.
원격 플라즈마 발생기(remote plasma generator)는 플라즈마 발생 방식에 따라 다양한 플라즈마 소스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유도 결합 플라즈마 소스(inductively coupled plasma source), 용량 결합 플라즈마 소스(capacitively coupled plasma source), 마이크로웨이브 플라즈마 소스(microwave plasma source) 등이 원격 플라즈마 발생기에 사용되고 있다. 유도 결합 플라즈마 소스의 경우 특히 변압기를 채용한 방식을 변압기 결합 플라즈마 소스(transformer coupled plasma)라 한다. 변압기 결합 플라즈마 소스(transformer coupled plasma source)를 사용한 원격 플라즈마 발생기는 토로이달 구조의 챔버 몸체에 일차 권선 코일을 갖는 마그네틱 코어가 장착된 구조를 갖는다.
유도결합플라즈마 소스의 마그네틱 코어는 페로마그네틱 자성체등으로 이루지는데, 여기에 코일을 감아서 RF전력을 인가하게 되면, 코일에 흐르는 RF전류에 의하여 발생하는 자기장(H: magnetic field strength)의 대부분이 페로마그네틱 자성체로 이루어진 마그네틱코어 내부에 자속밀도(B: magnetic flex density)가 집속되어 유도된다. 이렇게 유도된 자기장은 암페어 법칙(Ampere’law)에 의하여 전기장(E : electric field)을 마그네틱 코어 내측에 자기장과 노말(normal)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일반적인 유도결합플라즈마 방식에서 사용하는 무선주파수안테나에 비하여 플라즈마 발생을 원하는 부분에 큰 세기의 전기장이 유도된다. 따라서 마그네틱 코어를 이용한 무선주파수안테나를 이용하면 일반 유도결합플라즈마의 사용전력보다 낮은 전력에서도 플라즈마 소스가스의 해리 및 이온화율을 높일 수 있는 고밀도 플라즈마를 얻을 수 있다.
그런데, 마그네틱 코어의 발열온도가 큐리점(Curie temperature)을 넘게 되면 페로마그네틱 자성체는 상자성이 되어 자기장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발열로 인하여 투자율이 변화되거나 코어 내부의 전력손실이 증대되며, 나아가서 플라즈마 처리 시 플라즈마가 꺼질 수 있다. 따라서 마그네틱 코어의 온도를 큐리점 이하의 안정적인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온도로 유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의 대면적화 추세에 있어서 높은 밀도의 플라즈마를 대량으로 발생시켜 제공하기 위해서는 플라즈마 반응기의 볼륨도 커질 수밖에 없는데, 플라즈마 반응기 몸체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냉각채널로 마그네틱 코어를 냉각시키는 방법이나 냉각 팬으로 공랭시키는 기존의 방법보다 더욱 효과적인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밀도의 플라즈마를 안정적으로 발생 및 유지할 수 있는 냉각채널을 갖는 플라즈마 반응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마그네틱 코어 냉각용 냉각키트는, 마그네틱 코어를 냉각시키는 냉각 채널; 냉각 채널의 유체 흐름을 감지하는 냉각 오류 발생 감지부; 냉각 오류가 발생되는 경우 플라즈마 반응기를 동작시키지 않는 시스템 제어부; 반응기 몸체 및 마그네틱 코어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감지 센서로 구성된다.
상기 냉각 채널에 흐르는 유체는 액체 또는 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그네틱 코어에 탈부착이 가능한 냉각자켓이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자켓은 소켓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자켓은 플레이트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그네틱 코어 냉각용 냉각키트를 구비한 플라즈마 반응기는, 플라즈마 반응기 몸체; 상기 반응기 몸체의 내부에 형성된 플라즈마 방전실; 상기 플라즈마 방전실에 기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마그네틱 코어 및 일차권선; 상기 반응기 몸체를 냉각시키는 제 1 냉각 채널과 상기 마그네틱 코어를 냉각시키는 제 2 냉각 채널을 포함하는 냉각키트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응기 몸체는 하나 이상의 오버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응기 몸체는 일차 권선을 감을 수 있는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응기 몸체와 상기 마그네틱 코어는 절연체로 매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냉각 채널과 상기 제 2 냉각채널에 흐르는 유체는 액체 또는 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냉각채널과 상기 제 2 냉각채널은 공통 또는 별개의 유체 출입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그네틱 코어에 탈부착이 가능한 냉각자켓이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자켓은 소켓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자켓은 플레이트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마그네틱 코어 냉각용 냉각키트 및 이를 구비한 대면적 플라즈마 반응기에 의하면, 고밀도의 플라즈마를 안정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으며, 플라즈마 반응기가 과열되는 것을 막아 플라즈마 반응기의 플라즈마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플라즈마 반응기가 과열되어 마그네틱 코어의 투자율이 변화되거나 코어 내부의 전력손실이 증대되며, 나아가서 플라즈마 처리 시 플라즈마가 꺼질 수 있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코어용 냉각키트가 장착된 플라즈마 반응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코어용 냉각키트가 장착된 플라즈마 반응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3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코어용 냉각키트가 장착된 플라즈마 반응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코어용 냉각키트가 장착된 플라즈마 반응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5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코어용 냉각키트가 장착된 플라즈마 반응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코어용 냉각키트가 장착된 플라즈마 반응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7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반응기 몸체를 변형한 플라즈마 반응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반응기 몸체를 변형한 플라즈마 반응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변형된 반응기 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변형된 반응기 몸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코어 냉각용 키트가 장착된 플라즈마 반응기 및 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반응기는 플라즈마 방전실을 갖는 반응기 몸체(200)가 구비된다. 플라즈마 방전실에 플라즈마 발생을 위한 기전력이 전달되도록 반응기 몸체(200)에 장착되는 마그네틱 코어(800) 및 일차 권선을 갖는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무선 주파수 입력단은 일차 권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무선 주파수 발생기에서 공급되는 무선 주파수를 받아들인다. 일차 권선에 구동되는 전류는 토로이달형의 원격 유도 결합 플라즈마를 형성하는 플라즈마 방전실의 내측에 전류를 유도하여 결과적으로 플라즈마 방전실 내측이 이차 권선이 된다. 플라즈마 방전실에 플라즈마가 발생될 때 상기 반응기 몸체(200)와 상기 마그네틱 코어(800)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냉각키트가 구비된다. 냉각키트는 냉각 유체가 흐르는 냉각 채널(미도시), 냉각 채널의 유체 흐름을 감지하는 냉각 오류 발생 감지부(미도시), 냉각 오류가 발생되는 경우 플라즈마 반응기(100)를 동작시키지 않는 시스템 제어부(미도시), 반응기 몸체(200) 및 마그네틱 코어(800)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감지 센서(400)로 구성된다. 온도 감지 센서(400)는 반응기 몸체(200)에서 가장 온도가 높게 상승되는 가스 출구에 가깝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 유체가 냉각 유체 입구(500)로 들어가 냉각 유체 출구(510)로 나오는 냉각채널은 반응기 몸체(200)와 마그네틱 코어(800)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공통의 냉각 유체 출입구를 갖는 공통의 채널을 갖거나 반응기 몸체(200)를 냉각시키기 위한 제 1냉각채널, 마그네틱 코어(800)를 냉각시키기 위한 제 2 냉각 채널로 구성되는 각각의 채널을 갖는다.
제 1 냉각채널은 제 1 냉각채널 입구(600)와 제 1 냉각채널 출구(610)로 냉각 유체가 입출입하며 다니는 냉각유체의 통로로 반응기 몸체(200)를 냉각한다. 제 2 냉각채널은 제 2 냉각채널 입구(700)와 제 2 냉각채널 출구(710)로 냉각 유체가 입출입하며 다니는 냉각유체의 통로로 마그네틱 코어(800)를 냉각한다. 냉각 유체는 액체 또는 기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냉각채널과 제 2 냉각채널의 입출구는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 냉각채널 입구(600)와 제 1 냉각채널 출구(610), 제 2 냉각채널 입구(700)와 제 2 냉각채널 출구(710)로 위치가 지정되지 않고 반응기 몸체(200)와 마그네틱 코어(800)을 냉각시킬 수 있는 냉각채널을 형성할 수 있는 입구와 출구면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냉각채널은 일반적으로 반응기 몸체(200)와 마그네틱 코어(800)를 모두 지나가는데, 더욱 효과적으로 열을 흡수하기 위해 마그네틱 코어(800) 외주를 감싸는 형태의 냉각자켓(300)을 구성한다. 상기 냉각자켓(300) 내부로 상술한 바와 같은 제 2 냉각채널이 형성된다. 상기 냉각자켓(300)은 탈착이 가능하며 소켓 타입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플라즈마 방전실 외주를 감싸는 다수개의 마그네틱 코어(800)와 떨어진 마그네틱 코어의 분리된 구획(805)에 끼워지도록 냉각자켓(300)의 내부는 마그네틱 코어의 분리된 구획(805)과 맞아떨어지는 형상의 분리된 구획(305a, 305b)을 갖는다. 이러한 형태적인 특성으로, 기존의 내부에서 과열된 냉각 유체가 원활히 배출되지 않고 정체되는 현상으로 인한 냉각 효율이 저하되거나 코어가 균일하게 냉각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수의 구획(805)으로 분리된 마그네틱 코어(800)와 냉각자켓(300) 내부의 요철이 직접 접촉되는 부위는 절연부재를 구성하여 냉각자켓이 전기전도체일 시 흐르는 와전류를 막는다.
도 3 내지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냉각키트가 장착된 플라즈마 반응기 및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플라즈마 반응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도 3 및 도 4는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네틱 코어(800)의 외주를 감싸는 형태로 4 구획 되었던 냉각자켓(300)이 2 구획된다.
플라즈마 방전실 외주를 감싸는 다수개의 마그네틱 코어(800)와 떨어진 마그네틱 코어의 분리된 구획(805)에 끼워지도록 냉각자켓(300)의 내부는 마그네틱 코어의 분리된 구획(805)과 맞아떨어지는 형상의 분리된 구획(305a, 305b)을 갖는다. 이 때, 냉각 채널이 직접 접촉되도록 형성되는데, 이러한 직접 접촉되는 부위는 절연층을 구성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마그네틱 코어(800)의 플라즈마 발생시 마그네틱 코어(800)의 자성을 잃어버릴 수 있는 큐리온도 이상으로 올라가지 않고 안정적인 플라즈마를 발생할 수 있도록 냉각자켓(300)이 플레이트 타입으로 변형된 것이다. 플레이트 타입의 냉각자켓(300)은 구리판으로 제작되며, 마그네틱 코어(800)에의 접착은 열전도율 향상을 위해 써멀 그리스나 열전도성 접착 테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전기전도체인 냉각자켓(300)에 와전류가 유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절연부재를 중간 매체로 사용한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응기 몸체를 변형한 플라즈마 반응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플라즈마 반응기는 플라즈마 방전실(210)을 갖는 반응기 몸체(200)가 구비된다. 플라즈마 방전실(210)에 플라즈마 발생을 위한 기전력이 전달되도록 반응기 몸체(200)에 장착되는 마그네틱 코어(800) 및 일차 권선(810)을 갖는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무선 주파수 입력단은 일차 권선(8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무선 주파수 발생기에서 공급되는 무선 주파수를 받아들인다. 일차 권선(810)에 구동되는 전류는 토로이달형의 원격 유도 결합 플라즈마를 형성하는 플라즈마 방전실(210)의 내측에 전류를 유도하여 결과적으로 플라즈마 방전실(210) 내측이 이차 권선이 된다. 플라즈마 방전실(210)에 플라즈마가 발생될 때 상기 반응기 몸체(200)와 상기 마그네틱 코어(800)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냉각키트가 구비된다. 냉각키트는 냉각 유체가 흐르는 냉각 채널(미도시), 냉각 채널의 유체 흐름을 감지하는 냉각 오류 발생 감지부(미도시), 냉각 오류가 발생되는 경우 플라즈마 반응기(100)를 동작시키지 않는 시스템 제어부(미도시), 반응기 몸체(200) 및 마그네틱 코어(800)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감지 센서(400)로 구성된다. 온도 감지 센서(400)는 반응기 몸체(200)에서 가장 온도가 높게 상승되는 가스 출구에 가깝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 유체가 냉각 유체 입구(500)로 들어가 냉각 유체 출구(510)로 나오는 냉각채널은 반응기 몸체(200)와 마그네틱 코어(800)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공통의 냉각 유체 출입구를 갖는 공통의 채널을 갖거나 반응기 몸체(200)를 냉각시키기 위한 제 1냉각채널, 마그네틱 코어(800)를 냉각시키기 위한 제 2 냉각 채널로 구성되는 각각의 채널을 갖는다.
제 1 냉각채널은 제 1 냉각채널 입구(600)와 제 1 냉각채널 출구(610)로 냉각 유체가 입출입하며 다니는 냉각유체의 통로로 반응기 몸체(200)를 냉각한다. 제 2 냉각채널은 제 2 냉각채널 입구(700)와 제 2 냉각채널 출구(710)로 냉각 유체가 입출입하며 다니는 냉각유체의 통로로 마그네틱 코어(800)를 냉각한다. 냉각 유체는 액체 또는 기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냉각채널과 제 2 냉각채널의 입출구는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 냉각채널 입구(600)와 제 1 냉각채널 출구(610), 제 2 냉각채널 입구(700)와 제 2 냉각채널 출구(710)로 위치가 지정되지 않고 반응기 몸체(200)와 마그네틱 코어(800)을 냉각시킬 수 있는 냉각채널을 형성할 수 있는 입구와 출구면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냉각채널은 일반적으로 반응기 몸체(200)와 마그네틱 코어(800)를 모두 지나가는데, 더욱 효과적으로 열을 흡수하기 위해 반응기 몸체(200)가 오버행(900)을 갖도록 형성한다. 마그네틱 코어(800)는 응기 몸체(200)의 오버행(900) 사이에 장착한다. 따라서, 반응기 몸체(200)를 따라 흐르는 냉각 채널이 마그네틱 코어(800)와 접촉하는 면이 늘어나 플라즈마 반응시 높아지는 반응기 몸체(200) 및 마그네틱 코어(800)의 온도를 효율적으로 낮출 수 있다. 오버행(900)을 갖도록 형성한 반응기 몸체(200)를 따라 흐르는 냉각채널이 형성된 부위는 반응기 몸체(200) 와 마그네틱 코어(800) 사이에 절연층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반응기 몸체가 변형된 플라즈마 반응기의 단면도이다. 플라즈마 반응기는 플라즈마 방전실(210)을 갖는 반응기 몸체(200)와 플라즈마 방전실(210)에 플라즈마 발생을 위한 기전력이 전달되도록 반응기 몸체(200)에 장착되는 마그네틱 코어(800), 일차 권선(810)이 구성된다. 무선 주파수 입력단은 일차 권선(8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무선 주파수 발생기에서 공급되는 무선 주파수를 받아들인다. 플라즈마 방전실(210)에 플라즈마가 발생될 때 상기 반응기 몸체(200)와 상기 마그네틱 코어(800)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냉각키트가 구비된다. 냉각키트는 냉각 유체가 흐르는 냉각 채널, 냉각 채널의 유체 흐름을 감지하는 냉각 오류 발생 감지부, 냉각 오류가 발생되는 경우 플라즈마 반응기를 동작시키지 않는 시스템 제어부, 반응기 몸체(200) 및 마그네틱 코어(800)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감지 센서(400)로 구성된다. 냉각 유체가 냉각 유체 입구(500)로 들어가 냉각 유체 출구(510)로 나오는 냉각채널은 기존 장비의 냉각 채널을 그대로 사용한다.
반응기 몸체(200)는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구리와 같은 금속물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내화금속으로도 제작 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 반응기 몸체(200)를 석영, 세라믹과 같은 절연물질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며, 의도된 플라즈마 공정이 수행되기에 적합한 다른 물질로도 제작될 수 있다. 반응기 몸체(200)가 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와전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전기적 불연속성을 갖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전기적 절연영역을 포함한다. 절연영역은 석영, 세라믹과 같은 전기적 절연 물질로 제작된다.
반응기 몸체(200)는 토로이달 플라즈마에 적합한 구조를 갖는다. 반응기 몸체의 상부로 가스 입구(미도시)가 개구되어 있으며, 반응기 몸체(200)의 하부에는 활성 가스가 출력되는 가스 출구(미도시)가 구성된다. 가스 출구(미도시)는 특별히 황동 재질로 제작되거나 스테인리스로 구성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반응기 몸체가 오버행을 갖도록 형태를 변형한 것이다.
반응기 몸체(200)의 오버행(900) 사이에 마그네틱 코어(800)가 장착된다. 마그네틱 코어(800)에 감긴 일차 권선(810)이 반응기 몸체(200)의 볼록한 부분으로 인해 나눠지므로 일차 권선(810)이 연결되는 홈(910)을 구성하여 절연되는 것을 방지한다. 냉각 유체는 냉각 유체 입구(500)로 들어가 냉각 유체 출구(510)로 나오는 냉각 채널을 따라 플라즈마 발생시 반응기 몸체(200) 및 마그네틱 코어(800)를 냉각시킨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마그네틱 코어 냉각용 냉각키트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반응기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럼으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플라즈마 반응기
200: 반응기 몸체 210: 플라즈마 방전실
300: 냉각자켓 305: 분리된 구획
400: 온도감지센서 500: 냉각유체입구
510: 냉각유체출구 600: 제 1냉각채널 입구
610: 제 1냉각채널 출구 700: 제 2냉각채널 입구
710: 제 2냉각채널 출구 800: 마그네틱코어
805: 마그네틱코어의 분리된 구획 810: 일차권선
900: 오버행 910: 홈

Claims (14)

  1. 마그네틱 코어를 냉각시키는 냉각 채널;
    냉각 채널의 유체 흐름을 감지하는 냉각 오류 발생 감지부;
    상기 냉각 오류 발생 감지부의 신호에 따라
    냉각 오류가 발생되는 경우 플라즈마 반응기를 동작시키지 않는 시스템 제어부;
    반응기 몸체 및 마그네틱 코어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감지 센서로 구성되는 마그네틱 코어 냉각용 냉각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채널에 흐르는 유체는 액체 또는 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코어 냉각용 냉각키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채널은 마그네틱 코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덮이는 냉각자켓의 내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코어 냉각용 냉각키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자켓은 소켓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코어 냉각용 냉각키트.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자켓은 플레이트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코어 냉각용 냉각키트.
  6. 플라즈마 반응기 몸체;
    상기 반응기 몸체의 내부에 형성된 플라즈마 방전실;
    상기 플라즈마 방전실에 기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마그네틱 코어 및 일차권선:
    상기 반응기 몸체를 냉각시키는 제 1 냉각 채널과 상기 마그네틱 코어를 냉각시키는 제 2 냉각 채널을 포함하는 냉각키트를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코어 냉각용 냉각키트를 구비한 플라즈마 반응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 몸체는 하나 이상의 오버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코어 냉각용 냉각키트를 구비한 플라즈마 반응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 몸체는 일차 권선을 감을 수 있는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코어 냉각용 냉각키트를 구비한 플라즈마 반응기.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 몸체와 상기 마그네틱 코어는 절연체로 매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코어 냉각용 냉각키트를 구비한 플라즈마 반응기.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냉각 채널과 상기 제 2 냉각채널에 흐르는 유체는 액체 또는 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코어 냉각용 냉각키트를 구비한 플라즈마 반응기.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냉각채널과 상기 제 2 냉각채널은 공통 또는 별개의 유체 출입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코어 냉각용 냉각키트를 구비한 플라즈마 반응기.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코어에 탈부착이 가능한 냉각자켓이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코어 냉각용 냉각키트를 구비한 플라즈마 반응기.
  13.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자켓은 소켓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코어 냉각용 냉각키트를 구비한 플라즈마 반응기.
  14.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자켓은 플레이트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코어 냉각용 냉각키트를 구비한 플라즈마 반응기.


KR1020150061216A 2015-04-30 2015-04-30 마그네틱 코어 냉각용 냉각키트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반응기 KR102125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216A KR102125028B1 (ko) 2015-04-30 2015-04-30 마그네틱 코어 냉각용 냉각키트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반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216A KR102125028B1 (ko) 2015-04-30 2015-04-30 마그네틱 코어 냉각용 냉각키트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반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304A true KR20160129304A (ko) 2016-11-09
KR102125028B1 KR102125028B1 (ko) 2020-06-19

Family

ID=57529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1216A KR102125028B1 (ko) 2015-04-30 2015-04-30 마그네틱 코어 냉각용 냉각키트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반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502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024B1 (ko) * 2017-11-06 2019-02-20 주식회사 뉴파워 프라즈마 원격 플라즈마 생성기
WO2019241405A1 (en) * 2018-06-14 2019-12-19 Mks Instruments, Inc. Radical output monitor for a remote plasma source and method of use
KR20200048983A (ko) * 2018-10-31 2020-05-08 주식회사 뉴파워 프라즈마 이중 밸브 타입 리모트 플라즈마 발생 장치
KR20200048982A (ko) * 2018-10-31 2020-05-08 주식회사 뉴파워 프라즈마 다중 온도 제어형 플라즈마 반응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4867A (ko) * 1999-05-05 2001-02-26 조셉 제이. 스위니 기판 처리챔버용 안테나 코일 조립체
KR20020048415A (ko) * 1999-09-29 2002-06-22 유로피안 커뮤니티 (이씨) 대영역 플라즈마 소스에서의 균일하게 가스를 분배하기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20070104103A (ko) * 2006-04-21 2007-10-25 주식회사 뉴파워 프라즈마 플라즈마 프로세싱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09614A (ko) * 2008-07-19 2010-01-28 주식회사 뉴파워 프라즈마 코어 내장실을 갖는 플라즈마 반응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4867A (ko) * 1999-05-05 2001-02-26 조셉 제이. 스위니 기판 처리챔버용 안테나 코일 조립체
KR20020048415A (ko) * 1999-09-29 2002-06-22 유로피안 커뮤니티 (이씨) 대영역 플라즈마 소스에서의 균일하게 가스를 분배하기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20070104103A (ko) * 2006-04-21 2007-10-25 주식회사 뉴파워 프라즈마 플라즈마 프로세싱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09614A (ko) * 2008-07-19 2010-01-28 주식회사 뉴파워 프라즈마 코어 내장실을 갖는 플라즈마 반응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024B1 (ko) * 2017-11-06 2019-02-20 주식회사 뉴파워 프라즈마 원격 플라즈마 생성기
WO2019241405A1 (en) * 2018-06-14 2019-12-19 Mks Instruments, Inc. Radical output monitor for a remote plasma source and method of use
CN112335342A (zh) * 2018-06-14 2021-02-05 Mks仪器公司 用于远程等离子源的自由基输出监控器和使用方法
US11114287B2 (en) 2018-06-14 2021-09-07 Mks Instruments, Inc. Radical output monitor for a remote plasma source and method of use
JP2021530076A (ja) * 2018-06-14 2021-11-04 エムケーエス インストゥルメンツ,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リモートプラズマ源用のラジカル出力モニタ及びその使用方法
KR20200048983A (ko) * 2018-10-31 2020-05-08 주식회사 뉴파워 프라즈마 이중 밸브 타입 리모트 플라즈마 발생 장치
KR20200048982A (ko) * 2018-10-31 2020-05-08 주식회사 뉴파워 프라즈마 다중 온도 제어형 플라즈마 반응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5028B1 (ko) 2020-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50509B2 (en) Inductive plasma source with metallic shower head using b-field concentrator
TWI701703B (zh) 用於供應電漿產物之裝置
US20170236693A1 (en) Rotatable substrate support having radio frequency applicator
US9960011B2 (en) Plasma generation apparatus and plasma generation method
KR102204118B1 (ko) 패러데이 쉴드에 결합된 온도 제어 요소를 이용한 온도 제어
TW201143552A (en) Plasma source design
KR102125028B1 (ko) 마그네틱 코어 냉각용 냉각키트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반응기
KR101314667B1 (ko) 자속 채널 결합 플라즈마 반응기
KR101232198B1 (ko) 플라스마 발생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20073884A (ko) 유도 결합 플라즈마 공정 장치
KR101705925B1 (ko) 플라즈마 발생 장치 및 플라즈마 발생 방법
JP2016018727A (ja) プラズマ処理装置
KR102467297B1 (ko) 마그네틱 코어 방열패드
KR100743842B1 (ko) 자속 채널에 결합된 플라즈마 챔버를 구비한 플라즈마반응기
KR102384274B1 (ko) 냉각구조를 개선한 플라즈마 반응기
KR101446159B1 (ko) 플라즈마 발생 장치 및 플라즈마 발생 방법
KR100772447B1 (ko) 내장 마그네틱 코어를 갖는 유도 결합 플라즈마 소스
JP2003017476A (ja) 半導体製造装置用の冷却装置と同冷却装置を備えたプラズマエッチング装置
KR20180010804A (ko) 플라즈마 상태 측정 센서가 구비된 일체형 연결부를 갖는 플라즈마 챔버 및 플라즈마 상태 측정 센서가 구비된 어댑터
KR20170035139A (ko) 차폐 구조의 점화전극
KR101437861B1 (ko) 자속 채널에 결합된 플라즈마 챔버를 구비한 고효율플라즈마 반응기
KR20180024770A (ko) 연결블럭을 이용하여 결합된 플라즈마 챔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