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8832A - Cake holder and Packing box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ake holder and Packing box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8832A
KR20160128832A KR1020150060846A KR20150060846A KR20160128832A KR 20160128832 A KR20160128832 A KR 20160128832A KR 1020150060846 A KR1020150060846 A KR 1020150060846A KR 20150060846 A KR20150060846 A KR 20150060846A KR 20160128832 A KR20160128832 A KR 20160128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sheet
cake
weight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08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명대
조남준
Original Assignee
(주)페이퍼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페이퍼월드 filed Critical (주)페이퍼월드
Priority to KR1020150060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8832A/en
Priority to PCT/KR2015/008312 priority patent/WO2016175391A1/en
Publication of KR20160128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883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akery products, e.g. bis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ke holder which enables the convenient use thereof and lowers the danger of wounds, and a packaging box having the same. The cake holder comprises: a seat which has a mounting surface; and first protruding parts which are integrated with the seat, protrude from the mounting surface at a certain height, and are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formed between first and second radiuses having different lengths in the center of the mounting surface.

Description

케이크 고정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상자{Cake holder and Packing box includ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ke holder and a packing box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케이크 고정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ke fixing mechanism and a packaging box including the same.

일반적으로, 각종 축하행사용이나 일반 취식용으로 이용되는 케이크는 전시 및 운반의 안전성을 위해 받침대에 안착되어 보관하게 된다. Generally, cakes used for various celebrations and general use are placed on a pedestal for the safety of exhibition and transportation.

받침대는 상면에 케이크가 안착되는 판지,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된 판상의 부재로서, 이 받침대에는 안착된 케이크가 미끄러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케이크 고정구가 설치되어 있다.The pedestal is a plate-like member made of cardboard, aluminum or plastic material on which the cake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The pedestal is provided with a cake fixture for preventing the cake which is seated from sliding or being separated.

케이크 고정구는 플라스틱, 금속 등의 소재로 제작되어 받침대의 중앙 영역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장착된다. 그리고 케이크 유동방지용 고정구는 받침대의 상면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부분에 케이크를 결합시킴으로써 케이크를 고정시키게 된다.The cake fixture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plastic or metal, and is mounted in such a manner that it is inserted into a groove formed in the central area of the pedestal. The fixture for preventing the cake flow fixes the cake by joining the cake to the portion vertically project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edestal.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케이크 고정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상자에는 플라스틱 등의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져 케이크 커팅 시 걸리적거리거나 손을 다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cake fixing device and a packaging box containing the same have a problem in that they are made of a hard material such as plastic, which makes the cake cut or the hand hur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이 편리하고 부상위험을 낮춘 케이크 고정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상자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ke fixing apparatus and a packaging box including the same. However, these problems are exemplary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안착면을 갖는 시트와, 상기 시트와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착면에서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며 상기 안착면의 중심에서 길이가 다른 제1반경과 제2반경 사이에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으로 구비되는 제1돌출부를 포함하는 케이크 고정기구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at comprising: a seat having a seating surface; a seat which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at and protrudes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seating surface and has a first radius and a second radius different in length from the center of the seating surface There is provided a cake fixing mechanism including a first protrusion provided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상기 시트 및 상기 제1돌출부는 석회석과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한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The sheet and the first protrusion may be made of a material including limestone and a thermoplastic resin.

상기 시트는 석회석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열가소성 수지 60 내지 10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heet may comprise 60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rmoplastic resin per 100 parts by weight of limestone powder.

상기 시트는 내측 일부가 꺾여 상기 제1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The inner portion of the sheet may be folded to form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상기 제1돌출부의 연장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소정의 높이보다 높은 제2높이로 상기 안착면에서 돌출되는 제2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고정할 수 있다. And a second protrusion disposed on an extension of the first protrusion and projecting from the seating surface at a second height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height.

상기 안착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돌출부의 내측에 구비되며, 그림이나 문자가 기재된 이미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image portion disposed on the seating surface, the image portion being provided inside the first projection and having a picture or character.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를 수납할 수 있는 박스와, 상기 받침대에 고정되는 전술한 케이크 고정기구를 포함하는 포장박스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ackaging box including a pedestal, a box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pedestal, and the above-described cake fixing mechanism fixed to the pedestal.

상기 받침대는 상기 케이크 고정기구가 고정되는 면의 반대편 면에 형성된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edestal may include a receiving portion formed on a side opposite to a side where the cake fixing mechanism is fixed.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이 편리하고 부상위험을 낮춘 케이크 고정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상자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cake fixing device that is easy to use and low in injury risk and a packaging box including the same can be realized. Of cour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ffec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고정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박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고정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박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III-III선을 따라 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고정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박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고정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박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고정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박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고정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박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ake fixing device and a packaging box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ake fixing mechanism and a packaging box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the line III-III in Figs. 1 and 2.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ake fixing apparatus and a packaging box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ake fixing mechanism and a packaging box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ake fixing device and a packaging box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cake fixing mechanism and a packaging box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user. Also,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The terms first, second, A, B,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고정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상자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다른 케이크 고정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상자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 및 도 2의 III-III선을 따라 취한 단면을 개략적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a cake fixing apparatus and a packaging box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ake fixing mechanism and a part of a packaging box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ction taken along the line III-III in Figs. 1 and 2.

먼저 케이크 고정기구에 대해 설명하면, 케이크 고정기구는 시트(110) 및 제1돌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the cake fixing mechanism, the cake fixing mechanism may include the sheet 110 and the first protrusion 120.

시트(110)는 안착면과, 안착면의 반대편에 접촉면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트(110)는 매우 얇은 두께를 가지며, 안착면과 접촉면으로 양면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트(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의 얇은 판재일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라 시트(110)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얇은 판재일 수 있다. 안착면은 포장용품인 케이크가 안착되는 면일 수 있다. The seat 110 may include a seating surface and a contact surface opposite the seating surface. Specifically, the sheet 110 has a very thin thickness, and can be formed on both sides with the seating surface. For example, the sheet 110 may be a rectangular sheet-like sheet material as shown. Of course, the sheet 110 may be a circular or polygonal thin plate. The seating surface may be a surface on which the cake as the packaging article is seated.

제1돌출부(120)는 시트(110)의 안착면에서 소정의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높이는 2mm~10mm 사이일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소정의 높이는 케이크 사이즈에 따라 적절한 수준으로 변경될 수 있다. The first protrusion 120 may protrude from the seating surface of the seat 110 at a predetermined height. For example, the predetermined height may be between 2 mm and 10 m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determined height may be changed to an appropriate level according to the cake size.

그리고 제1돌출부(120)는 안착면 또는 받침대(10)의 중심에서 제1반경(D1)과 제2반경(D2) 사이에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시트(110)는 일반적으로 받침대(10)의 중앙부에 접착되기 때문에 안착면의 중심과 받침대(10)의 중심을 일치하거나 근접할 수 있다. And the first protrusion 120 may be provided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between the first radius D1 and the second radius D2 at the center of the seating surface or pedestal 10. [ Here, since the seat 110 is generally adhered to the center of the pedestal 10, the center of the pedestal 10 can be aligned with or close to the center of the seating surface.

그리고 제1반경(D1)은 제2반경(D2)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반경(D1)은 후술할 받침대(10)의 반폭의 대략 5~20%일 수 있다. 그리고 제2반경(D2)은 후술할 받침대(10)의 반폭의 대략 20~50%일 수 있다. And the first radius D1 may be smaller than the second radius D2. For example, the first radius D1 may be approximately 5 to 20% of the half width of the pedestal 10 described below. And the second radius D2 may be approximately 20-50% of the half width of the pedestal 10 described below.

보다 구체적으로 케이크의 크기가 1호인 경우 받침대(10)의 크기는 대략 가로 및 세로의 크기는 21cm x 21cm일 수 있다. 여기서 받침대(10)의 반폭은 10.5cm 이므로, 제1반경(D1)은 대략 1.05cm보다 크거나 같고 2.1cm 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그리고 제2반경(D2)은 대략 2.1cm보다 크거나 같고 5.25cm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이러한 것은 예시적인 것이며, 제1반경(D1) 및 제2반경(D2)은 변경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size of the cake is one, the size of the pedestal 10 may be approximately 21 cm x 21 cm in width and height. Here, since the half width of the pedestal 10 is 10.5 cm, the first radius D1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about 1.05 cm and less than or equal to 2.1 cm. And the second radius D2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about 2.1 cm and less than or equal to 5.25 cm. These are exemplary, and the first radius D1 and the second radius D2 may be changed.

제1돌출부(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반경(D1)과 제2반경(D2) 사이에 구비될 수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돌출부(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1돌출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protrusion 120 may be provided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between the first radius D1 and the second radius D2 as described above. Specifically, the first protrusions 120 may be formed continuously as shown in FIG. Or the first protrusion 120 may be discontinuously formed as shown in Fig.

예를 들어, 제1반경(D1)이 그리는 가상의 원과, 제2반경(D2)이 그리는 가상의 원 사이에서 제1돌출부(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을 이루도록 연속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제1돌출부(120)는 원형뿐만 아니라 도6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트모양 또는 별 모양 등 특정한 형상을 이룰 수도 있고, 삼각형 모양 등 다각형 형상을 이룰 수도 있다. For example, between the imaginary circle drawn by the first radius D1 and the imaginary circle drawn by the second radius D2, the first protrusions 120 are continuously arranged to be circular as shown in Fig. . Of course, the first protrusion 120 may have a specific shape such as a heart shape or a star shape as shown in FIG. 6 as well as a circular shape, or may have a polygonal shape such as a triangle shape.

따라서 제1돌출부(120)는 포장용품인 케이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뿐만 아니라 하트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인해 구매자의 심미감 및 기분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the first protrusion 120 can not only stably support the cake as the packaging material but also improve the aesthetics and mood of the buyer due to various shapes such as the heart.

한편, 제1돌출부(120)는 안착면에서 멀어질수록 그 폭이 좁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제1돌출부(120)는 단부가 뾰족한 형상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돌출부(120)는 그 단면의 형상이 삼각형일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On the other hand, the width of the first protrusion 120 may be narrower as the distance from the seating surface increases.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3, the first protrusion 120 may have a sharp-pointed end. More specifically,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protrusion 120 may be triangula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그리고 제1돌출부(120)는 시트(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나중에 한다. The first protrusion 12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heet 110. A detailed explanation will be given later.

한편, 시트(110)는 통상 포장에 사용되는 제지나 플라스틱 소재와는 달리, 펄프를 포함하지 않는 광물성 제제로서, 구체적으로는 석회석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열가소성 수지 60 내지 10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시트(110)는 석회석과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한 물질로 만들어진 돌종이에 해당하고, 불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heet 110 is a mineral formulation that does not contain pulp, unlike paper or plastic materials usually used for packaging. Specifically, the sheet 110 may include 60 to 100 parts by weight of a thermoplastic resin per 100 parts by weight of limestone powder . That is, the sheet 110 corresponds to a stone paper made of a material containing limestone and a thermoplastic resin, and may be formed opaque.

석회석 분말은 입경이 너무 작으면 통기성이 부족하고, 입경이 20nm 이상으로 너무 크면 시트(110)의 표면 거칠기가 지나치게 증가하게 되므로, 평균 입경이 5 내지 20nm, 혹은 5 내지 10nm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입경 범위를 벗어나는 괴상의 석회석의 경우에는 사용에 앞서 상기한 입경범위 조건을 충족하도록 통상의 방법에 따른 분쇄공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If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limestone powder is too small, the air permeability is insufficient. If the particle diameter is too large to be 20 nm or more,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sheet 110 is excessively increased, so that it is preferable that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is 5 to 20 nm or 5 to 10 nm . Accordingly, in the case of massive limestone exceeding the above-mentioned particle diameter range, it may be preferable to carry out a pulverization process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so as to satisfy the particle diameter range condition before use.

석회석 분말은 시트(110)의 총 중량에 대하여 50 내지 6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석회석의 함량이 60중량%를 초과할 경우 상대적으로 열가소성 수지의 함량이 감소하여 가공성이 저하되고, 그 결과로 시트(110)를 구부릴 때, 안착면과 제1돌출부(120)를 연결하는 부분이 절단될 우려가 있다.The limestone powder may preferabl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50 to 6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heet 110. When the content of the limestone exceeds 60% by weight, the content of the thermoplastic resin relatively decreases and the workability decreases. As a result, when the sheet 110 is bent, a portion connecting the seating surface and the first projection 120 There is a risk of cutting.

또, 석회석 분말의 함량이 많아지게 되면서 인쇄 시 잉크의 박리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제품 신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석회석 분말의 함량이 50중량% 미만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여 시트(110)의 내열성 및 기계적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그 결과 시트(110)는 온도 변화 등 주변 환경에 의해 변형되기 쉽고, 포장제품을 지지하는 지지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In addition, as the content of the limestone powder increases, the peeling of the ink frequently occurs during printing, which may lower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ent of the limestone powder is less than 50% by weight, the content of the thermoplastic resin relatively increases, and the heat resistance and mechanical strength of the sheet 110 may be lowered. As a result, the sheet 110 is easily deformed by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uch as a temperature change, and there is a fear that the supporting force for supporting the packaged product is lowered.

열가소성 수지로는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수지의 혼합물, 폴리프로필렌 수지-고무 혼합물, 또는 폴리우레탄 등일 수 있으며, 이들 중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The thermoplastic resin may be a polyethylene resin, a polypropylene resin, a mixture of a polypropylene-polyethylene resin, a polypropylene resin-rubber mixture, or a polyurethane, and either one of them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may be used.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에틸렌 수지를 사용할 경우,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는 1,000atm 및 200℃ 이상의 고온 및 고압 조건하에서 제조된 고압 폴리에틸렌 중 밀도가 0.91 내지 0.93g/cm이고, 용융흐름지수가 0.1내지 20g/10분인 저밀도 폴리에틸렌, 혹은 상기한 물성적 요건을 충족하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이 가공성 및 기계적 특성의 개선 효과 면에서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When a polyethylene resin is used as the thermoplastic resin, it is preferable that the polyethylene resin is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More specifically, the polyethylene resin is a low-density polyethylene having a density of 0.91 to 0.93 g / cm 3 and a melt flow index of 0.1 to 20 g / 10 min in a high-pressure polyethylene produced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conditions of 1,000 atm and 200 ° C or higher,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meeting the sexual requirements may be more desirable in terms of improving process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사용할 경우, 상기 폴리프로필렌수지로는 용융흐름지수가 0.5 내지 20g/10분인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가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용융흐름지수가 0.5g/10분 미만이면, 수지 흐름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20g/10분을 초과하면 기계적 물성이 열화될 우려가 있다. When a polypropylene resin is used as the thermoplastic resin, a polypropylene homopolymer or a copolymer having a melt flow index of 0.5 to 20 g / 10 min may be preferable as the polypropylene resin. If the melt flow index of the polypropylene resin is less than 0.5 g / 10 min, the resin flowability may be deteriorated. If the melt flow index exceeds 20 g / 10 min, the mechanical properties may deteriorate.

또,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가 사용될 경우, 그 공 단량체의 함량이 0.1 내지 70중량%인 것이 수지 가공성 및 기계적 특성 면에서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공단량체로는 프로필렌 이외의 α-올레핀, 특히 에틸렌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 상기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는 랜덤 공중합체 또는 블럭 공중합체일 수 있다.When a polypropylene copolymer is used as the thermoplastic resin, the content of the comonomer is preferably from 0.1 to 70% by weight in view of resin process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As the comonomer, an? -Olefin other than propylene, Ethylene may be preferred. The polypropylene copolymer may be a random copolymer or a block copolymer.

또,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폴리에틸렌 수지의 혼합물이 사용될 경우, 폴리프로필렌 수지-폴리에틸렌 수지의 혼합비는 중량비로 95:5 내지 50:50인 것이 기계적 물성 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When a mixture of the polypropylene resin and the polyethylene resin is used, the mixing ratio of the polypropylene resin to the polyethylene resin is preferably 95: 5 to 50:50 by weight, from the viewpoint of mechanical properties.

또,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프로필렌 수지-고무 혼합물가 사용될 경우, 상기 고무로는 수소화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Hydrogenated Styrene-Butadiene Rubber, HSBR),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tyrene-(ethyl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SEBS) 또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터폴리머(EPDM)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When a polypropylene resin-rubber mixture is used as the thermoplastic resin, the rubber may include a hydrogenated styrene-butadiene rubber (HSBR), a styrene- (ethylene / butadiene) -styrene block copolymer, (ethylene / butadiene) -Styrene Block Copolymer (SEBS), ethylene-propylene-diene terpolymer (EPDM), and the like, alone or in a mixture of two or more.

수소화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HSBR) 및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BS)의 경우, 둘 모두 스티렌 함량이 5 내지 30중량%이고, 비중이 0.85 내지 0.97이며, 그 용융흐름지수가 1 내지 20g/10분인 것이 가공성 및 기계적 특성의 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hydrogenated styrene-butadiene rubber (HSBR) and styrene- (ethylene / butadiene) -styrene block copolymer (SEBS) both have a styrene content of 5 to 30% by weight, a specific gravity of 0.85 to 0.97, And an index of 1 to 20 g / 10 min may be preferable in terms of process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또,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고무혼합물에 있어서, 상기 고무와 폴리프로필렌 수지와의 혼합비는 폴리프로필렌 수지:고무가 중량비로 95:5 내지 70:30인 것이 기계적 물성 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In the polypropylene resin-rubber mixture, the mixing ratio of the rubber and the polypropylene resin may be preferably from 95: 5 to 70:30 by weight, in view of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olypropylene resin and rubber.

상기와 같은 다양한 열가소성 수지 중에서도 시트(110)의 가공성, 내수성, 투명성, 그리고 신장성 또는 완충성 등의 기계적 물성 등을 고려할 때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가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Of the various thermoplastic resins as described above, a low-density polyethylene resin may be more preferable in consideration of processability, water resistance, transparency, and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elongation or buffering property of the sheet 110.

또, 상기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는 석회석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60 내지 10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가공성 및 석회석 분말과의 접착성 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의 함량이 10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석회석 분말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낮아지고, 그 결과 본체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열가소성 수지의 함량이 60중량부 미만일 경우 가공성 및 성형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The thermoplastic resin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60 to 10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limestone powder in terms of processability and adhesion with limestone powder. When the content of the thermoplastic resin is more than 100 parts by weight, the content of the limestone powder is relatively lowered. As a result,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body may be deteriorated. When the content of the thermoplastic resin is less than 60 parts by weight, There is a concern.

한편, 시트(110)는 상기한 석회석 분말 및 열가소성 수지와 함께, 지방산 이미드계 화합물, 페놀계 화합물, 퀴나졸린계 화합물, 및 탄소수 7 내지 30의 방향족 탄화수소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석회석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40중량부의 함량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heet 110 may contain, together with the limestone powder and the thermoplastic resin,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fatty acid imide compound, a phenol compound, a quinazoline compound, and an aromatic hydrocarbon compound having 7 to 30 carbon atoms The additive may further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0.1 to 4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limestone powder.

상기 첨가제 중 지방산 이미드계 화합물은 본체 제조를 위한 조성물 내에서 윤활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탄소수 12 내지 24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 아미드계 화합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테아르산아미드(stearic acidamide), 올레산아미드(oleic acid amide or 9-octadecenamide), 베헤닉산아미드(behenic acid amide), 에루신산아미드(eurcic acid amide or 13-docosenamide), 또는 팔미트산 아미드(palmitic acid amide)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이중에서도 올레산아미드(C 18 H 35 NO), 에루신산아미드(C 22 H 43 NO),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본체의 가공성 및 기계적 물성 개선효과 면에서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The fatty acid imide-based compound in the additive serves as a lubricant in the composition for body production, and may be a saturated or unsaturated fatty acid amide-based compound having 12 to 24 carbon atoms.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stearic acid amide, oleic acid amide or 9-octadecenamide, behenic acid amide, eurcic acid amide or 13-docosenamide, or palmitic acid Palmitic acid amide, and the like, alone or in a mixture of two or more of them may be used. Of these, oleic acid amide (C 18 H 35 NO), erucic acid amide (C 22 H 43 NO), or a mixture thereof may be more preferable in terms of improving process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main body.

상기 지방산 이미드계 화합물은 석회석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방산 이미드계 화합물의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이면 지방산 이미드계 화합물 사용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오히려 가공성 및 성형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The fatty acid imide compound is preferably contained in an amount of 0.1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limestone powder. If the content of the fatty acid imide compound is less than 0.1 part by weight, the effect of using the fatty acid imide compound is insignificant, and if it exceeds 10 parts by weight, the processability and formability may be deteriorated.

또, 상기 첨가제 중 페놀계 화합물은 안정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2,4-디-t-부틸페놀 또는 3,5-디-t-부틸페놀 등과 같이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로 모노 또는 디- 치환된 폐놀계 화합물일 수 있으며, 이들 중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The phenolic compound in the additive acts as a stabilizer. Specifically, the phenol compound may be mono-substituted with an alkyl group having 1 to 4 carbon atoms such as 2,4-di-t-butylphenol or 3,5-di- Or a di-substituted phenolic compound, and either one of them alo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may be used.

상기 페놀계 화합물은 석회석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폐놀계 화합물의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이면 폐놀계 화합물 사용에 따른 안정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가공성 및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The phenolic compound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1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limestone powder. When the content of the phenolic compound is less than 0.1 parts by weight, the stabilizing effect of using the phenolic compound is insignificant. When the content of the phenolic compound exceeds 10 parts by weight, the process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may deteriorate.

또, 상기 첨가제 중 퀴나졸린계 화합물은 항균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E)-4-벤질리덴-3-페닐-3,4-디히드로나프토[2,3-h]퀴나졸린-2(1H),7,12-트리온((E)-4-Benzylidene-3-phenyl-3,4-dihydronaphtho[2,3-h] quinazoline-2(1H),7,12-trione) 등일 수 있다. 상기 퀴나졸린계 화합물은 석회석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퀴나졸린계 화합물의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이면 퀴나졸린계 화합물 사용에 따른 항균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사용량 대비 항균 효과의 개선 정도가 미미하다.The quinazoline-based compound as the additive acts as an antimicrobial agent. Specifically, (E) -4-benzylidene-3-phenyl-3,4-dihydronaphtho [2,3-h] quinazoline- 2 (1H), 7,12-trione (E) -4-Benzylidene-3-phenyl-3,4-dihydronaphtho [2,3- . The quinazoline-based compound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0.1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limestone powder. When the content of the quinazoline compound is less than 0.1 parts by weight, the antibacterial effect of the quinazoline compound is insignificant. When the amount of the quinazoline compound is more than 10 parts by weight, the degree of improvement of the antibacterial effect is insignificant.

또, 상기 방향족 탄화수소계 화합물은 네오펜틸 벤젠 등과 같은 탄소수 3 내지 10의 알킬기로 치환된 벤젠계 화합물일 수 있으며, 석회석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본체의 가공성, 성형성 및 기계적 물성 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The aromatic hydrocarbon compound may be a benzene compound substituted with an alkyl group having 3 to 10 carbon atoms, such as neopentylbenzene, and may be used in an amount of 0.1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limestone powder. And mechanical properties.

상기한 첨가제 외에도, 시트(110)는 가공성, 성형성 및 기계적 물성개선을 위하여 탄소수 10 내지 60의 지방족 탄화수소계 화합물을 석회석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중량부의 함량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above additives, the sheet 110 may further contain 0.1 to 1 part by weight of an aliphatic hydrocarbon compound having 10 to 60 carbon atoms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limestone component in order to improve workability, mold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계 화합물은 구체적으로는 도데칸(dodecane,C12H26), 트리데칸(tridecane, C13H28), n-테트라데칸(n-tetradecane, C14H30), n-헥사데칸(n-hexadecane, C16H34), n-헵타데칸(n-heptadecane, C17H36), n-옥타데칸(n-octadecae, C18H38), n-노나데칸(n-nonadecane, C19H40), n-헤네이코산(n-heneicosane, C21H44), n-도코산(n-docosane, C22H46), 테트라코산(tetracosane, C 24H50), n-노나코산(n-nonacosane, C29H60), n-펜타트리아콘탄(n-pentatriacontane, C35H72), n-테트라콘탄(n-tetracontane, C40H82), 또는 테트라펜타콘탄(tetrapentacontane, C54H110) 등일 수 있으며, 이들 중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Specific examples of the aliphatic hydrocarbon compound include dodecane (C12H26), tridecane (C13H28), n-tetradecane (C14H30), n-hexadecane N-heptadecane, C17H36, n-octadecae, C18H38, n-nonadecane, C19H40, n-heneicosane, C21H44, n- N-nonacosane (C29H60), n-pentatriacontane (C35H72), n-tetracontane (C22H46), tetracosane (n-tetracontane, C40H82), or tetrapentacontane (C54H110), and either one of them or a mixture of two or more of them may be used.

또, 시트(110)는 아크릴산 공중합체 소듐염(acrylic acid copolymer sodium salt) 등과 같은 분산제, 증점제, 소포제 등의 통상의 첨가제를 석회석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중량부의 함량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heet 110 may further contain additives such as a dispersing agent such as acrylic acid copolymer sodium salt, a thickener, and a defoaming agent in an amount of 0.1 to 1 part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limestone component have.

시트(110)는 석회석 분말과 열가소성 수지, 그리고 선택적으로 첨가제를 혼합 후 가교 결합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가교 결합은 통상 열가소성 수지의 가교 결합법에 따라 실시될 수 있다.The sheet 110 may be prepared by mixing limestone powder and a thermoplastic resin, and optionally additives, followed by crosslinking. The crosslinking may be carried out usually according to the crosslinking method of the thermoplastic resin.

구체적으로는 평균입경 5 내지 20nm의 석회석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열가소성 수지로서 저밀도 폴리에틸렌(밀도: 0.91 내지 0.93g/cm, 용융흐름지수: 0.1 내지 20g/10분) 80중량부, 첨가제로서, 올레산아미드 2중량부, 에루신산아미드 2중량부, 2,4-디-t-부틸페놀 2중량부, 3,5-디-t-부틸페놀 2중량부, (E)-4-벤질리덴-3-페닐-3,4-디히드로나프토[2,3-h]퀴나졸린-2(1H),7,12-트리온 2중량부 및 네오펜틸 벤젠 2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한 본체 형성용 조성물을 기판의 일면에 도포한 후 건조 및 가열하여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가교결합을 유도함으로써 필름 상의 시트(110)를 형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80 parts by weight of low-density polyethylene (density: 0.91 to 0.93 g / cm, melt flow index: 0.1 to 20 g / 10 min) as a thermoplastic resin was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limestone powder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5 to 20 nm, Amide 2 parts by weight, erucic acid amide 2 parts by weight, 2,4-di-t-butylphenol 2 parts by weight, 3,5-di-t-butylphenol 2 parts by weight, (E) 2 parts by weight of 3-phenyl-3,4-dihydronaphtho [2,3-h] quinazolin-2 (1H), 7,12-trione and 2 parts by weight of neopentylbenzene The film-like sheet 110 can be formed by applying the composition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followed by drying and heating to induce crosslinking of the thermoplastic resin.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시트(110)에 대하여 적절한 형상으로의 성형 공정이 실시될 수 있으며, 또, 컬러 코팅 및 방수성 제공을 위해 시트(110)의 적어도 일면에 통상의 코팅층 형성방법에 따라 폴리우레탄 코팅층(미도시)을 형성하는 공정이 더 실시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시트(110)의 일면 및 타면 중 적어도 일면은 폴리우레탄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orming process of the sheet 11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can be carried out in a suitable shape. In additi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heet 110 may be subjected to a conventional coating layer forming method A step of forming a polyurethane coating layer (not shown) may be further performed. Accordingly, at least one of the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sheet 110 may further include a polyurethane coating layer.

시트(110)는 펄프(PULP)로 만들어지지 않으므로 삼림자원의 보호로 연결되는 것은 물론 소각 처리시에 이산화탄소(CO2)의 배출량이 적다. 나아가 종래의 펄프 종이는 표백제를 사용하였으나, 석회석이 백색도가 높기 때문에, 시트(110)의 생산 공정에서 표백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표백제 사용으로 발생할 수 있는 수질오염을 막을 수 있다.Since the sheet 110 is not made of pulp (PULP), it is not only connected to the protection of forest resources but also has a small amount of emission of carbon dioxide (CO2) during the incineration process. Furthermore, conventional pulp paper uses a bleaching agent, but it is not necessary to use a bleaching agent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sheet 110 because limestone has high whiteness. The use of bleach can prevent water pollution that can occur.

시트(110) 제조 공정이 환경 친화적이며, 비목재(TREE-FREE), 무표백친환경 방수 합성지로 우수한 인쇄 및 가공 적성과 방수성, 높은 내구성, 열 가공성 등 수지계 고정부재의 장점을 동시에 지닌다.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sheet 110 is eco-friendly, and has advantages of resin-based fixing members such as TREE-FREE, non-bleached environmentally friendly waterproof synthetic paper, excellent printing and processing ability, waterproofness, high durability and heat processability.

한편, 시트(110)는 내부의 일부가 꺾여 제1돌출부(120)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트(110)는 프레스 공정을 통해 내부가 꺾일 수 있다. 그리고 시트(110)의 꺾인 부분은 안착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1돌출부(120)가 될 수 있다. 또는, 시트(110)의 원료를 형틀에 넣고 굳혀 제1돌출부(120)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시트(110)와 제1돌출부(1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part of the inside of the sheet 110 may be folded to form the first protrusion 120. Specifically, the inside of the sheet 110 may be broken through a pressing process. The folded portion of the sheet 110 can protrude outward from the seating surface and become a first protrusion 120. [ Alternatively, the raw material of the sheet 110 may be put into a mold and hardened to form the first protrusion 120. That is, the sheet 110 and the first protrusion 120 may be integrally formed.

따라서 제1돌출부(120)는 전술한 시트(11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케이크 등의 포장용품에 의해 형상이 변화되지 않는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제1돌출부(120)는 사용자가 손으로 눌렀을 때 종래의 플라스틱 재질보다 용이하게 형상이 변경되어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다. 특히, 제1돌출부(120)는 뾰족한 형상에도 불구하고 사용자 등의 외부 힘에 의해 형상이 용이하게 변형되거나 잘라져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제1돌출부(120)는 플라스틱에 비해 케이크 커팅용 나이프로 용이하게 잘라져, 케이크 커팅 시 이물감 없이 용이하게 자를 수 있다. Therefore, since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120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above-mentioned sheet 110, rigidity that does not change its shape can be maintained by packaging articles such as a cake. Moreover, the first protrusion 120 can be shaped more easily than a conventional plastic material when the user presses it by hand, thereby protecting the user. Particularly, the first protrusion 120 can be easily deformed or cut by the external force of the user even though the protrusion 120 has a sharp shape, thereby protecting the user. In addition, the first protrusion 120 is easily cut by the knife for cutting a cake as compared with plastic, and can be easily cut without a foreign object at the time of cutting the cake.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고정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고정기구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고정기구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ake fixing mechanis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ke fix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cake fix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o duplicat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돌출부(120)는 복수의 라인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돌출부(120)는 안착면의 중심에 가까운 부분과, 안착면의 중심에 먼 부분으로 구비되어 두 개의 라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돌출부(120)는 세 개의 라인 등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first protrusions 120 may be arranged in a plurality of lines. For example, the first protrusion 120 may be composed of a portion close to the center of the seating surface and a portion distant from the center of the seating surface, and may be composed of two line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protrusion 12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three lines or the like.

이때, 복수의 제1돌출부(120)는 내측에 위치한 부분과 외측에 위치한 부분의 높이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제1돌출부(120) 중 외측에 위치한 것의 높이가 높을 수 있다. 물론 그 반대도 가능하다.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120 may have different heights of the inner and outer portions. For example, the height of the outer one of the two first protrusions 120 may be high. The opposite is also possible.

또한, 복수의 제1돌출부(120)는 제1반경(D1)이 그리는 가상의 원과, 제2반경(D2)이 그리는 가상의 원 사이에서 상호 인접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제1돌출부(120)는 상호 이격될 수 있고, 일부만 이격될 수도 있다.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120 may be adjacent to each other between a virtual circle drawn by the first radius D1 and a virtual circle drawn by the second radius D2.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12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r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크 고정기구는 복수의 제1돌출부(120)를 포함하여 포장용품을 보다 견고히 지지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ke fixing mechanism can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120 to more firmly support the packaging article.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고정기구 및 포장상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고정기구 및 포장상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고정기구 및 포장상자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ake fixing mechanism and a packaging box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ake fixing mechanism and the packaging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cake fixing mechanism and the packaging box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duplicate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고정기구는 안착면에서 제1돌출부(120)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되 제1돌출부(120)보다 높은 제2돌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돌출부(130)의 높이는 전술한 소정의 높이 범위를 벗어나지 않되 제1돌출부(110)보다 높을 수 있다. The cake fix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second protrusion 130 protruding from the seating surfac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protrusion 120 and higher than the first protrusion 120. [ Here, the height of the second protrusion 130 may be higher than the first protrusion 110 without deviating from the predetermined height range.

그리고 제2돌출부(130)는 제1반경(D1)과 제2반경(D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돌출부(130)는 제1돌출부(120)의 연장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And the second protrusion 1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radius D1 and the second radius D2.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protrusion 130 may be disposed on an extension of the first protrusion 120.

예를 들어, 제1돌출부(120)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진 경우, 제2돌출부(130)는 제1돌출부(1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돌출부(120)가 불연속적으로 이루어진 경우, 제2돌출부(130)는 제1돌출부(120) 상에 배치되거나, 제1돌출부(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돌출부(130)는 제1돌출부(120)의 연장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돌출부(130)는 복수로 이루어지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first protrusion 120 is continuous, the second protrusion 130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protrusion 120. As another example, when the first protrusion 120 is discontinuously formed, the second protrusion 130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protrusion 120 or disposed between the first protrusions 120. At this time, the second protrusion 130 may be disposed on an extension of the first protrusion 120. In addition, the second protrusions 130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may b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제2돌출부(130)의 형상은 고깔 형상일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2돌출부(130)는 제1돌출부(120)와 유사한 형상으로 높이가 다를 수도 있다. The shape of the second protrusion 130 may be conical. The second protrusion 130 may have a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protrusion 120 and may have a different height.

이러한 제2돌출부(130)는 제1돌출부(120)와 마찬가지로 시트(110)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2돌출부(130)는 전술한 시트(11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케이크 등의 포장용품에 의해 형상이 변화되지 않는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제2돌출부(130)는 사용자가 손으로 눌렀을 때 종래의 플라스틱 재질보다 용이하게 형상이 변경되어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다. The second protrusion 13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heet 110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protrusion 120. Therefore, since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130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above-described sheet 110, rigidity that does not change its shape can be maintained by packaging articles such as a cake. Moreover, the second protrusion 130 can be shaped more easily than the conventional plastic material when the user presses it by hand, thereby protecting the user.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고정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고정기구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구와 동일하거나 유사히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ake fixing mechanis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ake fix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fixing sta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크 고정기구는 안착면 상에 배치되고 제1돌출부(120)의 내측에 구비되며, 그림이나 문자가 기재된 이미지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부(140)는 생일축하 문구, 기념문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이미지부(140)는 제조사의 상표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미지부(140)는 다양한 이미지 및 문구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ke fixing mechanism may further include an image portion 140 disposed on the seating surface and provided inside the first projection 120, and having a picture or character described therein. Here, the image unit 140 may include birthday greetings, memorial texts, and the like. Or the image portion 140 may include a manufacturer's trademark or the lik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mage unit 140 may include various images and phrases.

이미지부(140)는 그림이나 문자를 안착면 상에 인쇄하여 형성하거나, 별도로 인쇄되어 안착면 상에 부착될 수도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시트(110)지가 볼록하거나 오목하게 형성되어 이미지부(140)를 이룰 수도 있다.The image unit 140 may be formed by printing pictures or characters on the seating surface, or may be printed separately and attached on the seating surfa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heet 110 may be convex or concave to form the image portion 140.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크 고정기구는 축하 문구, 상표 등 다양한 이미지를 포함하여, 구매자 및 소비자에게 심미감, 분위기 상승 등 다양한 감정을 제공할 수 있으며, 출처표시도 명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ke fixing mechanism can provide a variety of emotions such as aesthetics, atmosphere, and the like to the buyer and the consumer, including various images such as a greeting card, a trademark, and the like.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고정기구 및 포장상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고정기구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고정기구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7 and 8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cake fixing device and a packaging box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ke fix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cake fix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o duplicat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포장상자는 납작한 플레이트 형상의 받침대(10)와, 받침대(10)를 수납하는 박스(20)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ackaging box may include a flat plate-shaped pedestal 10 and a box 20 for accommodating the pedestal 10.

박스(20)는 종이 재질로 이루어져, 접혀서 직육면체 형상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박스(20)는 전면 또는 후면이 개폐가능하여, 박스(20) 및 포장용품을 수납할 수 있다.The box 20 is made of a paper material and can be folded into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he box 20 can be opened or closed on the front or rear side, and can house the box 20 and the packaging article.

받침대(10)는 대략 사각 플레이트 형상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받침대(10)의 상면에는 전술한 케이크 고정기구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케이크 고정기구는 받침대(10)의 상면에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접착제는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pedestal 10 may be in the form of a substantially square pla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above-described cake fixing mechanism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edestal 10. More specifically, the cake fixing mechanism can b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edestal 10 with an adhesive or the like. At this time, the adhesive may be made of a material harmless to the human body.

한편, 받침대(10)는 케이크 고정기구가 구비되는 면의 반대편 면에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수용부(12)는 홈 또는 홀로써 다른 받침대(10)에 구비된 케이크 고정기구의 제1돌출부(120) 및/또는 제2돌출부(130)를 수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edestal 10 may include at least one receiving portion 12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where the cake holding mechanism is provided. That is, the receiving portion 12 can receive the first protrusion 120 and / or the second protrusion 130 of the cake fixing mechanism provided in the other pedestal 10 by grooves or holes.

보다 구체적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수용부(12)는 고깔형태의 제2돌출부(130)를 수용하는 원형의 홀일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수용부(12)는 도시된 바와 다르게 제1돌출부(120)를 수용하는 원형의 홈일 수도 있으며, 제1돌출부(120) 및 제2돌출부(130)를 수용하는 원형의 홈 및 원형의 홀을 포함할 수도 있다. 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8, the receiving portion 12 may be a circular hole that receives the second protrusion 130 of a cone shape. The receiving portion 12 may be a circular groove that receives the first protrusion 120 as shown in the drawing and may include a circular protrusion 120 that receives the first protrusion 120 and the second protrusion 130, And may include a groove and a circular hole.

따라서 케이크 고정기구가 결합된 받침대(10)는 박스(20) 내에 수용되기 전에, 적층되어 보관될 수 있다. 이때, 제1돌출부(120) 및/또는 제2돌출부(130)는 수용부(12)에 삽입되어, 적층된 받침대(10)의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보다 동일한 높이에 보다 많은 받침대(10)를 보관할 수 있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Therefore, the pedestal 10 to which the cake fixing mechanism is coupled can be stacked and stored before being accommodated in the box 20. [ At this time, the first protrusion 120 and / or the second protrusion 130 may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12 to reduce the height of the stacked pedestal 10. As a result, more pedestals (10) can be stored at the same height, and space can be efficiently used.

한편, 받침대(10)는 적어도 어느 한 단부면에 인접한 손잡이 홀(11)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구매자는 보다 용이하게 받침대(10)를 박스(20)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edestal 10 may include a handle hole 11 adjacent to at least one end face. Therefore, the purchaser can more easily take out the pedestal 10 from the box 20. [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받침대 20: 박스
110: 시트 120: 제1돌출부
130: 제2돌출부 140: 이미지부
100: pedestal 20: box
110: sheet 120: first protrusion
130: second protrusion 140:

Claims (8)

안착면을 갖는 시트; 및
상기 시트와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착면에서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며, 상기 안착면의 중심에서 길이가 다른 제1반경과 제2반경 사이에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으로 구비되는 제1돌출부;
를 포함하는, 케이크 고정기구.
A sheet having a seating surface; And
A first protrusion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at and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seating surface and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provided between a first radius and a second radius different in length from the center of the seating surface;
The cake fixing device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및 상기 제1돌출부는 석회석과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한 물질로 만들어지는, 케이크 고정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eet and the first projections are made of a material containing limestone and a thermoplastic res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석회석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열가소성 수지 60 내지 100 중량부를 포함하는, 케이크 고정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eet comprises 60 to 100 parts by weight of a thermoplastic resin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limestone pow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내측 일부가 꺾여 상기 제1돌출부를 형성하는, 케이크 고정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eet is folded at an inner portion thereof to form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의 연장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소정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로 상기 안착면에서 돌출되는 제2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케이크 고정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cond projection disposed on an extension of the first projection and projecting from the seating surface at a height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heigh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돌출부의 내측에 구비되며, 그림이나 문자가 기재된 이미지부를 더 포함하는, 케이크 고정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mage portion disposed on the seating surface and provided inside the first projection, wherein the image portion describes a figure or a letter.
받침대;
상기 받침대를 수납할 수 있는 박스;
상기 받침대에 고정되는,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케이크 고정기구를 포함하는, 포장박스.
Pedestal;
A box capable of receiving the pedestal;
The packaging box as set forth in any one of claims 1 to 6, which is fixed to the pedesta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케이크 고정기구가 고정되는 면의 반대편 면에 형성된 수용부를 포함하는, 포장박스.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radle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formed on a side opposite to a side where the cake fixing mechanism is fixed.
KR1020150060846A 2015-04-29 2015-04-29 Cake holder and Packing box including the same KR20160128832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846A KR20160128832A (en) 2015-04-29 2015-04-29 Cake holder and Packing box including the same
PCT/KR2015/008312 WO2016175391A1 (en) 2015-04-29 2015-08-07 Cake fixing device and packaging box includ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846A KR20160128832A (en) 2015-04-29 2015-04-29 Cake holder and Packing box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832A true KR20160128832A (en) 2016-11-08

Family

ID=57198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0846A KR20160128832A (en) 2015-04-29 2015-04-29 Cake holder and Packing box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60128832A (en)
WO (1) WO2016175391A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4417Y1 (en) * 1998-08-12 2000-10-02 민권식 Lower support plate useful cake box
KR200328099Y1 (en) * 2003-07-10 2003-09-26 옥윤선 Bread support plate
KR200400038Y1 (en) * 2005-08-10 2005-11-01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Cake plate
KR20060000097U (en) * 2006-11-09 2006-12-07 홍석근 Pan
KR20110101015A (en) * 2010-03-05 2011-09-15 김용진 Cake hol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75391A1 (en) 2016-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91965A3 (en) Flexible packaging composites
TW491766B (en) Label for in-mold decorating
ES2186920T3 (en) ARTICLE THAT INCLUDES A FILM THAT HAS A POLYAMIDE SEALANT, A NUCLEO POLYAMIDE COAT, AND A BARRIER COAT OF O2, AND PACKAGING PRODUCT THAT USES THE SAME.
US9045271B2 (en) Packag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NO20023839L (en) Foam plastic based on starch
CL2008001193A1 (en) Supplementary tube or piece of tube comprising a polyethylene composition containing a base resin which consists of a first and a second homo or copolymeric fraction of ethylene, and in which the base resin has a density between 0.945 to 0.949 kg / cm3; and use of a polyethylene composition.
CN102154949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recyclable and reusable stone paper
WO2008102670A1 (en) Surface protection sheet
ATE310048T1 (en) RELEASE AGENT POLYMERIC MONOLITH
MX2019002561A (en) Multilayer films and laminates and articles comprising the same.
WO2010021796A3 (en) Multi-layer optical articles
KR102427086B1 (en) Mask Pack Storage Pouch
FI124641B (en) Battery sticker and battery
ES2330946T3 (en) VARIOUS LAYERS POLYMER SHEETS.
TW200615166A (en) Inkjet recording sheet
AR053009A1 (en) IMPROVEMENTS IN CLEANING PANOS
KR20160128832A (en) Cake holder and Packing box including the same
ATE362840T1 (en) SYNTHETIC PAPER
WO2012067472A3 (en) Environmentally friendly heat-shrinkable film
WO2008130375A3 (en) Liquid films containing nanostructured materials
JP2018069460A (en) Sheet and packaging bag
KR101471174B1 (en) Packing sheet
CN104369939A (en) Hollow formed container with label and hollow container forming method
MX2023002207A (en) Recyclable packaging material and process of preparation thereof.
BRPI0407580A (en) packaging polymer layer with improved release proper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