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8695A - 산화제를 이용한 조류 제거 방법 - Google Patents

산화제를 이용한 조류 제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8695A
KR20160128695A KR1020150060443A KR20150060443A KR20160128695A KR 20160128695 A KR20160128695 A KR 20160128695A KR 1020150060443 A KR1020150060443 A KR 1020150060443A KR 20150060443 A KR20150060443 A KR 20150060443A KR 20160128695 A KR20160128695 A KR 201601286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algae
coagulant
oxidizing agent
raw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0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욱
이인규
신태섭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60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8695A/ko
Publication of KR20160128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86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inorgan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organic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화제를 이용한 조류 제거 방법 및 조류 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류 제거 방법 및 조류 제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산화제는 조류의 세포벽을 파괴하여 EOM(Extracellular Organic Matters)을 유출시키고, 상기 유출된 EOM이 응집 보조제 역함을 함으로써 조류 플럭입자의 형성 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Description

산화제를 이용한 조류 제거 방법{METHOD FOR ELIMINATING ALGAE USING OXIDANTS}
본 발명은 산화제를 이용한 조류 제거 방법 및 조류 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류 제거 방법 및 조류 제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산화제는 조류의 세포벽을 파괴하여 EOM(Extracellular Organic Matters)을 유출시키고, 상기 유출된 EOM이 응집 보조제 역함을 함으로써 조류 플럭입자의 형성 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조류의 발생은 수질개선, 오염원 차단 등 국가적 차원의 수질 정책 시행에도 불구하고 갈수현상 및 이상고온과 같은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인해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는 환경 난제이다. 상수원에서 발생 된 조류는 이취미 및 독소 발생의 원인이 되어 국민의 보건환경적 안정성을 해칠 위험을 가지고 있으므로, 국가적 차원에서 조류 발생에 대한 대응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조류는 주로 수온이 상승하는 봄철부터 조류가 발생하기 시작하여 늦은 가을까지 성장한다. 일반적으로 냉수성 규조류가 3~5월인 봄철에 주로 증식하며, 수온이 상승하는 5~6월로 접어들면서 녹조류로 변화한다. 녹조류가 증식하면 물 속 pH가 상승하며, 남조류는 한번 증식하면 수일 내로 대량 증식하여 녹조현상을 유발한다.
우리나라는 상수원수의 수질변화 및 특성을 관리하여 최적의 수돗물을 생산하기 위한 조류 예보제를 시행하고 있다. 조류예보제는 1996년 처음 도입되었으며 2008년부터 조류경보제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조류경보제는 조류발생을 쉽게 판별할 수 있는 클로로필-a의 농도와 독성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남조류의 세포수를 기준으로 발생정도에 따라 주의보, 경보, 대발생 등 3단계로 구분해 발령한 후 단계적 대응조치를 시행하는 제도이다. 한강 본류에서는 2000년부터 2012년까지 총 6회의 조류주의보가 발령되었으며, 팔당호의 경우에는 거의 매년 조류주의보가 발령되는 등 한강 수계에서 조류문제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현행 조류경보제는 남조류의 동정과 계수과정에 특별한 훈련과 많이 시간이 소요됨에 불구하고 객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 문제로 인해 실제 정수장에서 경보제에 따른 관련 자료를 사용하기에 큰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수질관리를 위해 남조류의 농도를 측정하는 장치 및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기존의 정수처리공정은 일반적으로 취수, 응집/침전, 침전, 여과, 소독의 순으로 구성된다. 하지만 기존 정수처리공정은 수원의 수질 변화에 대한 대응능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여름철 취수원에서 발생되는 조류의 경우 정수처리장의 설비의 고장 및 정상적인 처리 공정의 운영을 불가능하게 하는 등 수돗물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고 있다. 미국 내 정수장 운영자를 대상으로 수행 된 설문조사 통계에서도 이취미 문제와 필터 폐색에 따른 여과지 운영 시간의 감소가 조류 발생으로 인해 발생하는 정수장 운영의 주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취미 문제의 경우, 오존 공정을 도입한 정수처리장에서는 큰 문제가 되지 않았으나 응집장애 및 침전효율 저하 등의 문제는 미국 전역의 정수처리장에서 고르게 나타난 특징을 보였다. 따라서 조류의 특성을 고려하여 기존의 정수처리공정 전단에 전처리 공정을 구축/운영하여 처리장의 과도한 부하를 줄일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선행특허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36896호
이에, 본 발명은 기존 정수처리공정의 조류제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자들은 산화제를 이용하여 조류 세포벽을 파괴하는 경우, 플럭입자(Floc)의 형성을 촉진함으로써 부상공정에서의 제거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산화제를 이용한 조류 제거 방법 및 조류 제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화제 처리 전 후의 조류 세포벽을 도 1에 나타내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S1) 조류 함유 원수에 산화제를 첨가하여 조류세포를 분해하는 단계;
S2) 상기 분해된 조류세포가 조류 플럭입자(floc)를 형성하는 단계; 및
S3) 상기 형성된 조류 플럭입자를 미세기포를 이용하여 부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류 제거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류 제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산화제는 산소, 염소, 브롬, 과산화수소, 과망간산, 과망간산염, 차아염소산염, 염소산염, 오존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류 제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S1) 이후에 응집제를 첨가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집제는 알루미늄염, 철염, 키토산 또는 폴리아크릴아마이드일 수 있다. 상기 응집제는 폴리염화알루미늄(PAC: Poly Aluminium Chloride), 황산알루미늄(Aluminium Sulfate: Al2(SO4)H2O), 황산제1철(Ferrous Sulfate: FeSO4·H2O), 황산제2철(Ferric Sulfate: Fe2(SO4)3), 염화제2철(Ferric Chloride: FeCl3), 수산화칼슘(Calcium Hydroxide: Ca(OH)2), 산화칼슘(Calcium Oxide: CaO), 알루미늄산나트륨(Sodium Aluminate: Na2Al2O2), 키토산(Chitosan), 폴리아크릴아마이드(polyacrylamide)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원수가 유입되는 착수정;
상기 착수정과 연결되어 원수 내의 조류를 산화제로 분해하는 산화조;
상기 산화조에 연결되어 조류 플럭입자(floc)를 응집시키는 응집혼화조;
상기 응집혼화조에 연결되어 응집된 조류 플럭입자를 미세기포를 이용하여 부상시켜 제거하는 부상분리조; 및
상기 착수정 내에 유입되는 원수 내의 조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조류 제거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류 제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산화조는 산화제를 공급받기 위한 산화제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류 제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산화제는 산소, 염소, 브롬, 과산화수소, 과망간산, 과망간산염, 차아염소산염, 염소산염, 오존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류 제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응집혼화조는 응집제를 공급받기 위한 응집제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집제는 폴리염화알루미늄(PAC: Poly Aluminium Chloride), 황산알루미늄(Aluminium Sulfate: Al2(SO4)H2O), 황산제1철(Ferrous Sulfate: FeSO4·H2O), 황산제2철(Ferric Sulfate: Fe2(SO4)3), 염화제2철(Ferric Chloride: FeCl3), 수산화칼슘(Calcium Hydroxide: Ca(OH)2), 산화칼슘(Calcium Oxide: CaO), 알루미늄산나트륨(Sodium Aluminate: Na2Al2O2), 키토산(Chitosan), 폴리아크릴아마이드(polyacrylamide)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류 제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부상분리조는 미세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한 미세기포주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류 제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산화제공급부로부터 산화조로의 산화제 공급량, 응집제공급부로부터 응집혼화조로의 응집제 공급량, 또는 미세기포주입부로부터의 부상분리조로의 미세기포 주입량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류 제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조류 제거 시스템은
원수가 유입되는 착수정;
상기 착수정과 연결되어 원수 내의 조류를 산화제로 분해하는 산화조;
상기 산화조에 산화제를 공급하기 위한 산화제공급부;
상기 산화조에 연결되어 조류 플럭입자(floc)를 응집시키는 응집혼화조;
상기 응집혼화조에 응집제를 공급하기 위한 응집제공급부;
상기 응집혼화조에 연결되어 응집된 조류 플럭입자를 미세기포를 이용하여 부상시켜 제거하는 부상분리조;
상기 부상분리조에 미세기포를 주입하기위한 미세기포주입부; 및
상기 착수정 내에 유입되는 원수 내의 조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모니터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부는 산화제공급부로부터 산화조로의 산화제 공급량, 응집제공급부로부터 응집혼화조로의 응집제 공급량, 또는 미세기포주입부로부터의 부상분리조로의 미세기포 주입량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류 제거 방법 및 조류 제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산화제는 조류의 세포벽을 파괴하여 EOM(Extracellular Organic Matters)을 유출시키고, 상기 유출된 EOM이 응집 보조제 역함을 함으로써 조류 플럭입자의 형성 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도 1은 산화제 처리 전 후의 조류 세포벽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류 제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류 제거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본 발명은 산화제를 이용한 조류 제거 방법 및 조류 제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조류"는 녹조 또는 적조 현상을 유발하는 조류를 의미하며, 예를 들면, 알렉산드리움속(Alexandrium spp.)(Urban Tillmann, et al., Mar. Ecol. Prog. Ser., 230:47-58, 2002), 디노피시스속(Dinophysis spp.)(Christopher O. Miles, et al., Chem. Res. Toxicol., 17(11):1423-1433, 2004), 감비아디스커스 톡시커스(Gambierdiscus toxicus)(R. Bagnis, et al., Toxicon,, 18(2) 199-208, 1980), 짐노디니움 카테나툼(Gymnodinium catenatum)(Martina A Doblin, et al., Journal of Experimental Marine Biology and Ecology, 236(1): 33-47, 1999), 카레니아 브레비스(Karenia brevis)(Karenia brevis, et al., Harmful Algae, 2(2): 147-160, 2003), 카레니아 브레비스 설카툼(Karenia brevis sulcatum)(Kevin G. Sellner, et al., Journal of Industrial Microbiology&Biotechnology, 30(7): 383-406, 2003), 칼로디니움 베테피쿰(Karlodinium veneficum)(PATRICIA M. GLIBERT, et al., Journal of Shellfish Research, 26(4):919-925, 2007), 링비아속(Lyngbya)(Wayne W. Carmichael, Human and Ecological Risk Assessment: An International Journal, 7(5), 2001), 피스테리아속(Pfiesteria spp.)(Joann M. Burkholder, et al., Phycologia, 40(3):186-214, 2001), 피스테리아 피시시다(Pfiesteria piscicida)(Alan J. Lewitus, et al., Journal of Phycology, 35(2):303-312), 프로토센트룸 리마(Prorocentrum lima)(I. Bravo, et al., Toxicon, 39(10):1537-1545), 프로토페리디니움 크라시페스(Protoperidinium crassipes)(D. Stoecker, et al., Ecological Studies, Part C, 189:177-187, 2006) 슈도-니트치아(Pseudo-nitzschia spp.)(Astrid Schnetzer, et al., Harmful Algae, 6(3): 372-387, 2007), 피로디늄 바하멘세 변종 콤프레숨(Pyrodinium bahamense var. compressum)(Gires Usup, et al., Natural Toxins, 2(5):254-262) 등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S1) 조류 함유 원수에 산화제를 첨가하여 조류세포를 분해하는 단계;
S2) 상기 분해된 조류세포가 조류 플럭입자(floc)를 형성하는 단계; 및
S3) 상기 형성된 조류 플럭입자를 미세기포를 이용하여 부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류 제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류 제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를 도 2에 도시하였다.
상기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산화제는 산소, 염소, 브롬, 과산화수소, 과망간산, 과망간산염, 차아염소산염, 염소산염, 오존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산화제는 조류의 세포벽을 파괴하여 EOM(Extracellular Organic Matters)을 유출시키고, 상기 유출된 EOM이 응집 보조제 역함을 함으로써 조류 플럭입자의 형성 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조류 제거 방법은 단계 S1) 이후에 응집제를 첨가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집제는 조류, 부유물질 및 협잡물을 응집시키려는 콜로이드의 하전을 중화하는 능력과 콜로이드 입자를 상호 결합시키는 가교 능력을 가진 물질로서, 전자는 피응집 콜로이드와 반대 전하를 가진 이온일 수 있고, 후자는 고분자 물질이 될 수 있다. 상기 응집제는 금속염, 합성 고분자 또는 천연고분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응집제는 알루미늄염, 철염, 키토산 또는 폴리아크릴아마이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응집제는 폴리염화알루미늄(PAC: Poly Aluminium Chloride), 황산알루미늄(Aluminium Sulfate: Al2(SO4)H2O), 황산제1철(Ferrous Sulfate: FeSO4·H2O), 황산제2철(Ferric Sulfate: Fe2(SO4)3), 염화제2철(Ferric Chloride: FeCl3), 수산화칼슘(Calcium Hydroxide: Ca(OH)2), 산화칼슘(Calcium Oxide: CaO), 알루미늄산나트륨(Sodium Aluminate: Na2Al2O2), 키토산(Chitosan), 폴리아크릴아마이드(polyacrylamide)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원수가 유입되는 착수정;
상기 착수정과 연결되어 원수 내의 조류를 산화제로 분해하는 산화조;
상기 산화조에 연결되어 조류 플럭입자(floc)를 응집시키는 응집혼화조;
상기 응집혼화조에 연결되어 응집된 조류 플럭입자를 미세기포를 이용하여 부상시켜 제거하는 부상분리조; 및
상기 착수정 내에 유입되는 원수 내의 조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조류 제거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착수정, 산화조, 응집혼화조, 부상분리조 및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조류 제거 시스템을 나타내는 전체 구성도를 도 3에 도시하였다.
상기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조류 제거 시스템은 조류(algae), 부유물질 및 협잡물로 오염된 원수가 유입되는 착수정(100)과, 상기 착수정(100)에 연결되어 원수 내의 조류를 분해하는 산화조(200), 상기 산화조(200)에 연결되어 분해된 조류, 부유물질 및 협잡물의 플럭입자를 응집시키는 응집혼화조(300), 상기 응집혼화조(300)에 연결되어 응집된 분해된 조류, 부유물질 및 협잡물의 플럭입자를 미세기포를 이용하여 수면 위로 분리하여 제거하는 부상분리조(400), 및 상기 착수정(100) 내에 유입되는 원수 내의 조류 농도를 측정하는 모니터링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조류 제거 시스템은 산화조(200)에 산화제를 공급하는 산화제공급부(201)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조류 제거 시스템은 상기 응집혼화조(300)에 응집제를 공급하는 응집제공급부(301)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조류 제거 시스템은 상기 부상분리조(400)에 미세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한 미세기포주입부(401)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세기포주입부(401)는 기포를 소정의 압력으로 공급하기 위한 통상의 구성, 즉 기포를 기포공급호스(402)를 통해 공급하는 블로어나 공기압축기가 될 수 있거나, 또는 고압기포탱크와 기포의 공급/차단 제어 및 유량 제어를 위한 밸브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산화제공급부(201), 응집제공급부(301) 및 미세기포주입부(401)는 작업자가 설정한 주입량 등의 설정 값에 따라, 또는 후술하는 모니터링부(500)의 검출신호에 따라 자동화된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류 제거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상술하기로 한다.
상기 구현예에 있어서, 착수정(100)은 유입되는 원수를 처리 공정에 일정하게 공급하기 위해 구성된 것으로, 착수정(100)으로부터 산화조(200)로의 원수의 주입 량은 모니터링부(5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있어서, 산화조(200)는 착수정(100)으로부터 유입된 원수 내의 조류를 분해하여 조류 플럭입자를 형성하기 위해 구성된 것으로, 상기 산화조(200)는 산화제를 공급받기 위한 산화제공급부(2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화제공급부(201)는 산화제공급호스를 이용하여 산화조(200) 내 하부에 위치하도록 산화조(200) 내부로 연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 산화제공급부(201)에 의해 공급받은 산화제는 산화조(200) 내 하부에서 조류, 부유물질 및 협잡물로 오염된 원수에 주입될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있어서, 응집혼화조(300)는 산화조(200)에서 분해된 조류, 부유물질 및 협잡물을 응집 또는 흡착하여 수면 위로 부상할 수 있는 플록을 형성하기 위해 구성된 것으로, 상기 응집혼화조(300)는 응집제를 공급받기 위한 응집제공급부(30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집제공급부(301)는 응집제공급호스를 이용하여 응집혼화조(300) 내 하부에 위치하도록 응집혼화조(300) 내부로 연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응집제공급부(301)에 의해 공급받은 응집제는 응집혼화조(300) 내 하부에서 원수에 주입될 수 있다. 상기 응집제공급부(301)은 응집제뿐만 아니라 조류, 부유물질 및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pH 조절제 또는 살조제 등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있어서, 부상분리조(400)는 응집혼화조(300)로부터 응집된 조류, 부유물질 및 협잡물 플록을 미세기포에 의해 부상시킴으로써 조류, 부유물질 및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해 구성될 것으로, 기포를 공급받기 위한 미세기포주입부(4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세기포주입부(401)는 부상분리조(400) 내 하부에서 미세기포를 주입하여 조류, 부유물질 및 협잡물이 응집되어 형성된 플록들을 신속히 부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미세기포에 의해 플록들이 부상하게 되면 부상분리조(400) 상부에 위치된 오염물질들이 수면 위로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있어서, 모니터링부(500)는 착수정(100) 내의 원수의 수질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구성된 것으로, 수집된 정보 및 작업자가 사전에 설정한 내용에 기초하여 예를 들면, 산화제공급부(201)로부터 산화조(200)로의 산화제 공급량, 응집제공급부(301)으로부터 응집혼화조(300)으로의 응집제 공급량, 뿐만 아니라 미세기포주입부(401)로부터의 미세기포주입량을 제어할 수 있다.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착수정
200 산화조
201 산화제공급부
300 응집혼화조
301 응집제공급부
400 부상분리조
401 미세기포주입부
402 기포공급호스

Claims (13)

  1. S1) 조류 함유 원수에 산화제를 첨가하여 조류세포를 분해하는 단계;
    S2) 상기 분해된 조류세포가 조류 플럭입자(floc)를 형성하는 단계; 및
    S3) 상기 형성된 조류 플럭입자를 미세기포를 이용하여 부상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조류 제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제는 산소, 염소, 브롬, 과산화수소, 과망간산, 과망간산염, 차아염소산염, 염소산염, 오존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조류 제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S1) 이후에 응집제를 첨가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인, 조류 제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제는 알루미늄염, 철염, 키토산 또는 폴리아크릴아마이드인 것인, 조류 제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제는 폴리염화알루미늄(PAC: Poly Aluminium Chloride), 황산알루미늄(Aluminium Sulfate: Al2(SO4)H2O), 황산제1철(Ferrous Sulfate: FeSO4·H2O), 황산제2철(Ferric Sulfate: Fe2(SO4)3), 염화제2철(Ferric Chloride: FeCl3), 수산화칼슘(Calcium Hydroxide: Ca(OH)2), 산화칼슘(Calcium Oxide: CaO), 알루미늄산나트륨(Sodium Aluminate: Na2Al2O2), 키토산(Chitosan), 폴리아크릴아마이드(polyacrylamide)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류 제거 방법.
  6. 원수가 유입되는 착수정;
    상기 착수정과 연결되어 원수 내의 조류를 산화제로 분해하는 산화조;
    상기 산화조에 연결되어 조류 플럭입자(floc)를 응집시키는 응집혼화조;
    상기 응집혼화조에 연결되어 응집된 조류 플럭입자를 미세기포를 이용하여 부상시켜 제거하는 부상분리조; 및
    상기 착수정 내에 유입되는 원수 내의 조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모니터링부
    를 포함하는 조류 제거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조는 산화제를 공급받기 위한 산화제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인, 조류 제거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제는 산소, 염소, 브롬, 과산화수소, 과망간산, 과망간산염, 차아염소산염, 염소산염, 오존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조류 제거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혼화조는 응집제를 공급받기 위한 응집제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인, 조류 제거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제는 폴리염화알루미늄(PAC: Poly Aluminium Chloride), 황산알루미늄(Aluminium Sulfate: Al2(SO4)H2O), 황산제1철(Ferrous Sulfate: FeSO4·H2O), 황산제2철(Ferric Sulfate: Fe2(SO4)3), 염화제2철(Ferric Chloride: FeCl3), 수산화칼슘(Calcium Hydroxide: Ca(OH)2), 산화칼슘(Calcium Oxide: CaO), 알루미늄산나트륨(Sodium Aluminate: Na2Al2O2), 키토산(Chitosan), 폴리아크릴아마이드(polyacrylamide)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류 제거 세스팀.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분리조는 미세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한 미세기포주입부를 포함하는 것인, 조류 제거 시스템.
  12. 제7항, 제9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산화제공급부로부터 산화조로의 산화제 공급량, 응집제공급부로부터 응집혼화조로의 응집제 공급량, 또는 미세기포주입부로부터의 부상분리조로의 미세기포 주입량을 제어하는 것인, 조류 제거 시스템.
  13. 제6항에 있어서,
    원수가 유입되는 착수정;
    상기 착수정과 연결되어 원수 내의 조류를 산화제로 분해하는 산화조;
    상기 산화조에 산화제를 공급하기 위한 산화제공급부;
    상기 산화조에 연결되어 조류 플럭입자(floc)를 응집시키는 응집혼화조;
    상기 응집혼화조에 응집제를 공급하기 위한 응집제공급부;
    상기 응집혼화조에 연결되어 응집된 조류 플럭입자를 미세기포를 이용하여 부상시켜 제거하는 부상분리조;
    상기 부상분리조에 미세기포를 주입하기위한 미세기포주입부; 및
    상기 착수정 내에 유입되는 원수 내의 조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모니터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부는 산화제공급부로부터 산화조로의 산화제 공급량, 응집제공급부로부터 응집혼화조로의 응집제 공급량, 또는 미세기포주입부로부터의 부상분리조로의 미세기포 주입량을 제어하는 것인, 조류 제거 시스템.
KR1020150060443A 2015-04-29 2015-04-29 산화제를 이용한 조류 제거 방법 KR201601286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443A KR20160128695A (ko) 2015-04-29 2015-04-29 산화제를 이용한 조류 제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443A KR20160128695A (ko) 2015-04-29 2015-04-29 산화제를 이용한 조류 제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695A true KR20160128695A (ko) 2016-11-08

Family

ID=57528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0443A KR20160128695A (ko) 2015-04-29 2015-04-29 산화제를 이용한 조류 제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8695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39604A (zh) * 2016-12-24 2018-07-03 云南爱尔发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高效收集三角褐指藻的方法
CN108622951A (zh) * 2018-04-17 2018-10-09 上海泽耀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快速修复河道的绿色药剂
CN110217871A (zh) * 2019-05-17 2019-09-10 茂名市水务投资集团有限公司 一种含藻原水的高效混凝除藻方法
CN110627139A (zh) * 2018-06-23 2019-12-31 威海翔泽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污水改性剂及其废水cod和氨氮去除方法
CN112299548A (zh) * 2020-09-28 2021-02-02 浙江工业大学 一种富臭氧胶质微纳气泡原位氧化分解藻华水体中藻毒素的方法
KR20210106783A (ko) * 2020-02-21 2021-08-31 박영선 폐수정화장치 및 폐수정화장치를 이용한 폐수정화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39604A (zh) * 2016-12-24 2018-07-03 云南爱尔发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高效收集三角褐指藻的方法
CN108622951A (zh) * 2018-04-17 2018-10-09 上海泽耀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快速修复河道的绿色药剂
CN110627139A (zh) * 2018-06-23 2019-12-31 威海翔泽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污水改性剂及其废水cod和氨氮去除方法
CN110217871A (zh) * 2019-05-17 2019-09-10 茂名市水务投资集团有限公司 一种含藻原水的高效混凝除藻方法
KR20210106783A (ko) * 2020-02-21 2021-08-31 박영선 폐수정화장치 및 폐수정화장치를 이용한 폐수정화방법
CN112299548A (zh) * 2020-09-28 2021-02-02 浙江工业大学 一种富臭氧胶质微纳气泡原位氧化分解藻华水体中藻毒素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28695A (ko) 산화제를 이용한 조류 제거 방법
Hakizimana et al. Assessment of hardness, microorganism and organic matter removal from seawater by electrocoagulation as a pretreatment of desalination by reverse osmosis
Shen et al. Enhanced algae removal by drinking water treatment of chlorination coupled with coagulation
CN106865920B (zh) 含重金属离子酸性废水的深度处理方法及回用工艺
Ghernaout et al. Enhanced coagulation for algae removal in a typical Algeria water treatment plant.
CN100336746C (zh) 利用冶金污水制取纯水的方法
CN106348523A (zh) 食品工业废水的处理方法
CN106315973A (zh) 高盐高钙工业废水的处理方法
CN108975641A (zh) 一种垃圾沥滤液的处理方法
KR101360018B1 (ko) 해안, 도서 지역을 위한 수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CN106277449A (zh) 酸性工业废水的处理方法
CN106277598A (zh) 高盐高有机物工业废水的处理方法
KR101221565B1 (ko) 전기응집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KR101339303B1 (ko) 전기응집과 전기분해를 이용한 불소가 함유된 질소 함유 병합처리방법
CN110156275A (zh) 一种环境友好型循环水旁流生物处理系统及方法
CN111115919B (zh) 一种制药废水的预处理方法
CN101905936A (zh) 一种油田采出水的处理方法及其处理流程
CN104310593B (zh) 一种生物处理硐坑水中铊的方法
KR101853095B1 (ko) 수중 조류 제거방법
CN102060417A (zh) Clt酸生产废水的处理工艺及装置
Shakir et al. Lead removal from industrial wastewater by electrocoagulation process
CN205222876U (zh) 一种高盐高COD废水多级Fenton处理装置
KR20160005409A (ko) 수중 부상분리 촉진 장치 및 방법
CN107032536A (zh) 一种串级一体式气浮去除柑橘废水中cod的方法
CN109052753B (zh) 回注水处理系统及回注水处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