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7670A -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 케이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저전력 기반의 단말정보 출력 방법 - Google Patents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 케이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저전력 기반의 단말정보 출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7670A
KR20160127670A KR1020160051049A KR20160051049A KR20160127670A KR 20160127670 A KR20160127670 A KR 20160127670A KR 1020160051049 A KR1020160051049 A KR 1020160051049A KR 20160051049 A KR20160051049 A KR 20160051049A KR 20160127670 A KR20160127670 A KR 20160127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odule
unit
auxiliary display
portable termi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1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혜숙
황남인
Original Assignee
남혜숙
황남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혜숙, 황남인 filed Critical 남혜숙
Publication of KR20160127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76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2001/020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 케이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저전력 기반의 단말정보 출력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케이스 장치는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 및 휴대용 단말장치에 탈착 가능한 케이스 바디를 포함하는 단말 케이스 장치로서,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은, 통신부; 디스플레이부;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장치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지원하는 전자 잉크 방식의 인쇄 컨텐츠를 생성하며, 생성된 인쇄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 케이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저전력 기반의 단말정보 출력 방법{TERMINAL CASE DEVICE INCLUDING SUB DISPLAY MODULE AND METHOD FOR LOW POWER-BASED OUTPUTTING TERMINAL INFORMA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단말 케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에 착탈 가능하고, 사용자 단말에 기반한 정보를 출력하는 단말 케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이 확대되고, 다양한 스마트폰용 프로그램의 보급과 더불어, 블루투스, Wifi, GPS 등 센서 활용도가 늘어남에 따라 스마트폰의 이용빈도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며, 상대적으로 스마트폰의 전력 소모량 또한 점차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용자들은 스마트폰의 전력 소모량을 줄이기 위해 불필요한 센서 이용을 자제하거나 보조배터리를 휴대하는 등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터치 스크린은 각종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정보통신기기와 사용자 간의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입력 장치 중 하나로 사용자가 손이나 펜 등의 입력 도구를 이용하여 화면을 직접 접촉함으로써, 보다 쉽게 입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을 말한다.
한편, 최근에는 투명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로 이루어지며 배경이 투과되는 투명 상태에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투명 디스플레이(Transparent Display)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터치스크린과 투명 디스플레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5344호("전극-윈도우일체형 터치스크린 패널 및 그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안된 바 있는데, 상기 선행기술은 복수의 센싱 전극, 터치스크린 제어부와 투명 윈도우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주요한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투명윈도우와 터치스크린패널, 스크린 제어부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어 전력 소모량에 대한 부담, 제조단가 상승과 유지보수 부담이 있으며, 이용자의 선택을 확대하는데 한계가 있다.
KR 10-2012-005344 A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터치스크린, 투명디스플레이, 무선통신장치가 적용된 제2차 디스플레이 장치를 채용하여 메시지, 날씨, 지도 등 이용자가 사전에 지정한 평상시 활용도가 높은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용 프로그램을 제2차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여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동하지 않은 대기상태에서도 이용자가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부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용자 편의성과 불필요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을 절감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케이스 장치는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 및 휴대용 단말장치에 탈착 가능한 케이스 바디를 포함하는 단말 케이스 장치로서,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은, 통신부; 디스플레이부;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장치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지원하는 전자 잉크 방식의 인쇄 컨텐츠를 생성하며, 생성된 인쇄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케이스 장치에서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케이스 바디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케이스 바디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케이스 장치에서 상기 케이스 바디는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이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가이드 홈에 연결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케이스 장치에서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케이스 바디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케이스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장치의 스크린의 출력이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컨텐츠 정보의 수신 및 상기 인쇄 컨텐츠의 출력을 수행하도록 상기 통신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케이스 장치에서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 휴대용 단말장치에서 생성되거나 수신된 텍스트 정보, 사진 정보, 영상 정보 및 UI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케이스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부를 통해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상기 인쇄 컨텐츠의 출력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케이스 장치에서 상기 케이스 바디는,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부 영역이 삽입됨으로써 보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수용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상기 삽입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수용함으로써 상기 제1 프레임과 결합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 및 휴대용 단말장치에 탈착 가능한 케이스 바디를 포함하는 단말 케이스 장치에서 단말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휴대용 단말장치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지원하는 전자 잉크 방식의 인쇄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인쇄 정보를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은, 통신부; 상기 컨텐츠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통신부, 디스플레이부 및 전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정보 출력 방법에서 상기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인쇄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장치의 스크린의 출력이 오프된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차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스크린, 투명윈도우가 포함된 전자잉크 스크린부; 무선통신장치가 포함된 전자잉크 스크린 장착용 스크린 하우징; 탈착 가능한 스크린 하우징 장착용 휴대용단말장치 케이스로 구성된다.
상기 전자잉크 스크린부는 이용자의 입력을 위한 터치스크린; 투명강화유리; 그리고 투명윈도우 기술이 채택된 전자잉크 스크린; 이용자의 터치스크린 입력을 감지하는 입력 감지 모듈; 휴대용 단말기의 프로그램 출력을 위한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위한 출력모듈로 구성된다.
상기의 스크린 하우징은 전자잉크 스크린부 장착용 하우징; 각종 부품들을 중앙에서 통제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전자잉크 스크린부와의 입출력 통신을 위한 접촉식 스크린 통신모듈; 전자잉크 스크린부 및 스크린 하우징 구동을 위한 배터리; 휴대용 단말기와의 정보 송수신을 위한 무선통신모듈로 구성된다.
휴대용 단말장치 케이스는 휴대용 단말기와 스크린하우징을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터치스크린, 투명 디스플레이, 무선통신장치를 활용한 제2차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전력 절약 방법은 이용자가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 절약을 위해 전자잉크 스크린부에 특정 프로그램을 설정, 표시하는 단계(A)와, 이용자가 전자잉크 스크린부에 나타난 내용을 선택하여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앱을 구동하는 단계(B)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잉크 스크린부에 특정 프로그램을 설정, 표시하는 단계(A)는 이용자가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동하고, 전자잉크 스크린에 출력하고자 하는 앱을 구성한 후, 전자잉크 스크린 출력 설정을 지정하는 단계(A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용자가 스크린 출력 프로그램을 설정(A1)하게 되면,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전자잉크 스크린용 프로그램이 설정내용을 인식하는 단계(A2)를 거친 후, 블루투스 등 휴대용 무선통신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잉크 스크린에 프로그램 출력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A3)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 하우징의 휴대용 단말기 무선통신 모듈은 상기 단계(A3)의 프로그램 출력명령을 수신하고, 마이크로컨트롤러로 해당 명령을 전송(A4)하게 되고,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수신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내장메모리에 적재하는 단계(A5)를 거친 후 전자잉크 스크린에 해당 프로그램을 출력하는 단계(A6)를 포함할 수 있다.
이용자가 전자잉크 스크린에 나타난 내용을 선택하여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앱을 구동하는 단계(B)는 이용자가 전자잉크 스크린부에 나타난 내용을 확인하고, 추가적인 내용 확인을 위하여 해당 내용을 선택하는 단계(B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용자가 전자잉크 스크린부를 선택(B1)하면, 터치스크린 입력감지 모듈이 선택위치를 파악(B2)하여 마이크로컨트롤러에 선택 위치를 전송(B3)하게 되고,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해당 위치가 프로그램 구동영역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파악하는 단계(B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프로그램 구동영역이 아닌 경우에는 단계를 종료(B5)하고, 프로그램 구동영역인 경우 해당 프로그램 구동명령을 휴대용 단말장치 무선통신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B6)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장치의 전자잉크 스크린용 프로그램은 휴대용 단말장치의 무선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잉크 스크린의 프로그램 구동명령을 인식(B7)하고, 스마트폰의 전원을 기동(B8)하고, 해당 프로그램을 구동(B9)하여 이용자가 휴대용 단말장치를 통해 해당 프로그램을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B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단말 케이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저전력 기반의 단말정보 출력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터치스크린, 투명디스플레이, 무선통신장치가 적용된 제2차 디스플레이 장치(단말 케이스 장치)를 채용하여 메시지, 날씨, 지도 등 이용자가 사전에 지정한 평상시 활용도가 높은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용 프로그램을 표시하여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동하지 않은 대기상태에서도 이용자가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부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폰 대기시간 중의 이용자 편의성과 불필요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을 절감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케이스 장치는 전자 잉크 방식으로 컨텐츠 정보를 출력하는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예: 스마트폰)에서 생성 또는 수신되는 컨텐츠 정보를 저전력 기반에서 확인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케이스 장치의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은 자체적으로 별도의 전원부(예: 배터리 등)를 구비함으로써, 컨텐츠 정보를 자체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 단말의 전원에 기생하지 않는 독립적인 단말 케이스 장치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케이스 장치의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은 적어도 일부가 케이스 바디로부터 슬라이딩되거나,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자유롭게 디스플레이 모듈을 조작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케이스 장치의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은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다양한 컨텐츠 정보를 저전력 기반에서 계속적으로 출력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액세서리 아이템을 이용하지 않고도 단말 케이스 장치를 꾸밀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크린, 투명 디스플레이, 무선통신장치를 활용한 제2차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크린 하우징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자잉크 스크린부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자잉크 스크린 하우징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2차 디스플레이장치 출력용 프로그램 설정단계를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2차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케이스 장치(400)에서 컨텐츠 정보를 전자 잉크 방식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케이스 장치(400)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케이스 장치(400)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함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문서에서 언급되는 “컨텐츠 정보”는 휴대용 단말장치(300)로부터 수신된 다양한 형태의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정보는 휴대용 단말장치(300)에서 생성되거나 상기 휴대용 단말장치(300)가 외부 장치로부터 수집한 텍스트 정보, 사진 정보, 영상 정보 및 UI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크린, 투명 디스플레이, 무선통신장치를 활용한 제2차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터치스크린, 투명 디스플레이, 무선통신장치를 활용한 제2차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크린하우징부(100), 휴대용 단말장치 케이스(200), 휴대용 단말장치(300)와 제2차 디스플레이 장치(400)을 나타내고 있다,
본 문서의 용어와 관련하여, 제2차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휴대용 단말장치(300)와 독립적으로 컨텐츠 정보를 출력하는 전반적인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 문서에서 “단말 케이스 장치(400)”로 대체되어 기재되거나 병행하여 기재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스크린 하우징부(100)는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100)”로 기재될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장치 케이스(200)는 “케이스 바디(200)”로 기재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장치(300)는 “사용자 단말(300)”로 기재될 수 있다.
스크린하우징부(100)는 전자잉크스크린부와 스크린 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휴대용 단말장치 케이스(200)에 탈착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휴대용 단말장치 케이스(200)는 스크린하우징부(100) 또는 휴대용 단말장치(300)와 탈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스크린하우징부(100)를 휴대용 단말장치 케이스(200)에 장착하게 되면 제2차 디스플레이장치(400)가 구성된다.
이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2차 디스플레이장치(400)를 통해 표시될 프로그램을 설정하게 되면, 해당 프로그램이 제2차 디스플레이장치(400)에 나타나게 되고, 이용자는 휴대용 단말장치(300)를 대기상태(예: 스크린이 턴 오프된 상태)로 전환하더라도 제2차 디스플레이장치(400)를 통해 사용자는 해당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이용자가 제2차 디스플레이장치(400)에 나타난 내용을 조회하고자 제2차 디스플레이장치(400) 화면을 터치할 경우 대기상태에 있던 휴대용 단말장치(300)가 구동되며 해당 프로그램이 구동, 이용하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크린 하우징부(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크린 하우징부(100)는 전자잉크 스크린부(110)와 스크린 하우징(120)으로 구성되며, 전자잉크 스크린부(110)는 터치스크린, 전자잉크 스크린을 통해 이용자의 입력 감지와 프로그램 출력을 담당하며, 스크린 하우징(120)은 이용자 입출력 처리, 휴대용 단말장치와 전자잉크 스크린부(100)와의 통신 및 제2차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공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자잉크 스크린부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잉크 스크린부(110)는 터치스크린(112), 강화유리(113), 전자잉크 스크린(114), 입력감지모듈(111), 출력모듈(115)로 구성되어 있으며, 터치스크린(112)는 이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입력감지모듈(110)을 통해 스크린 하우징(120)으로 전송하며, 강화유리(113)는 전자잉크 스크린(114) 및 휴대용 단말장치의 액정화면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전자잉크 스크린(114)는 출력용 투명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고, 출력모듈(115)는 스크린 하우징부로부터 데이터 출력 명령을 수신받아 해당 내용을 전자잉크 스크린(114)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잉크 스크린(114)은 휴대용 단말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전자 잉크 방식으로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잉크는 입자의 전자기적 성질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방식으로, 전극판 사이에서 전하의 극성에 따라 흰색 또는 검은 색을 띄는 방식으로 컨텐츠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나 특정 전자 잉크의 방식으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전자잉크는 전력 소모가 거의 없고 리모트 컨트롤로 인쇄 내용을 변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서, 도 2의 전자잉크 스크린부(110), 전자잉크 스크린(114) 또는 이들의 조합은 “디스플레이부”로 기재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크린 하우징(120)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크린 하우징(120)은 마이크로컨트롤러(121)와 같은 제어부, 메모리(123)와 같은 저장부, 배터리(124)와 같은 전원부 및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통신부는 접촉식 스크린통신모듈(122) 및 무선통신모듈(125)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컨트롤러(121)는 스크린 하우징(120)의 중앙처리장치로, 메모리(123), 배터리(124), 접촉식 스크린통신모듈(122), 무선통신모듈(125)의 제어 및 데이터 송수신, 연산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컨트롤러(121)는 휴대용 단말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전자 잉크 방식의 인쇄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변환 컨텐츠를 전자잉크 스크린(114)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메모리(123)는 제2차 디스플레이장치 구동용 운영체제,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23)는 휴대용 단말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정보 또는 전자 잉크 방식으로 생성된 인쇄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배터리(124)는 제2차 디스플레이장치의 모든 구성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충전 가능한 형태로 구성된다.
접촉식 스크린통신모듈(122)는 전자잉크 스크린부(110)의 입력감지모듈(111)을 통한 이용자 입력 내용을 마이크로 컨트롤러(121)에 전달하고, 마이크로컨트롤러(121)로부터 수신받은 출력 명령을 전자잉크 스크린부(110)의 출력모듈(115)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통신모듈(125)은 휴대용 단말장치(300)와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도 4에서는 접촉식 스크린 통신모듈(122)과 무선통신모듈(125)이 별도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접촉식 스크린 통신모듈(122)과 무선통신모듈(125)은 하나의 모듈(예: 통신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2차 디스플레이장치 출력용 프로그램 설정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용자의 휴대용 단말장치(300)에는 제2차 디스플레이용 프로그램이 미리 설치되어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용자가 제2차 디스플레이장치(400)에 표시할 내용을 지정하고자 할 경우 나타내고자 하는 휴대용 단말장치의 앱을 구동한 후 제2차 디스플레이용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메뉴를 이용하여 제2차 디스플레이 장치로의 출력명령을 설정하게 된다. 제2차 디스플레이용 프로그램은 이용자의 설정 명령을 수신받아 휴대용 단말장치의 무선통신기능을 이용하여 제 2차 디스플레이 장치로 명령을 송신하고, 제2차 디스플레이장치는 출력명령을 수신받아 내장메모리에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한 후 전자잉크 스크린으로 해당 내용을 출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2차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용자의 휴대용 단말장치에는 제2차 디스플레이용 프로그램이 미리 설치되어 있고, 휴대용 단말장치는 대기전력 상태인 것으로 가정한다. 이용자가 제2차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자잉크 스크린에 표시된 내용을 상세 조회하고자 할 경우, 이용자는 전자잉크 스크린(114)을 손가락을 이용하여 터치하고, 전자잉크 스크린부(110)의 터치스크린이 입력명령을 감지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로 전달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입력영역을 해석하여 해당 프로그램 구동영역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구동영역이 아닐 경우 단계를 종료한다. 프로그램 구동영역으로 판단된 경우 무선모듈을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장치로 프로그램 구동명령을 송신하고, 대기상태에서도 무선통신모듈을 항상 감지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장치의 제2차 디스플레이장치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구동명령을 수신받아 휴대용 단말장치를 구동상태로 전환하고, 해당 휴대용 단말장치 프로그램을 구동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케이스 장치(400)에서 컨텐츠 정보를 전자 잉크 방식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러한 도 7의 각 단계의 내용은 전술한 도 5 및 도 6을 통해 디스플레이용 프로그램이 실행된 상태를 전제할 수 있다.
먼저, S710 단계에서, 단말 케이스 장치(400)는 휴대용 단말장치(300)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케이스 장치(400)는 휴대용 단말장치(300)에서 발생되거나 상기 휴대용 단말장치(300)가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정보를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통신 모듈(125)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S730 단계에서, 단말 케이스 장치(400)는 휴대용 단말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전자 잉크 방식의 인쇄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인쇄 컨텐츠는 컨텐츠 정보에 해당하는 내용을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100)에서 지원하는 전자 잉크 방식을 기반으로 변환하거나 생성한 흑백의 컨텐츠일 수 있다. 한정되지 않는 예로서, 이러한 인쇄 컨텐츠는 컨텐츠 정보와 다른 해상도, 다른 색상, 다른 용량을 가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눈의 피로도가 가장 적거나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스펙으로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케이스 장치(400)의 제어부(예: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휴대용 단말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내용과 디스플레이부(예: 전자잉크 스크린부(110) 또는 전자잉크 스크린(114))에서 지원하는 전자잉크 방식을 기반으로 인쇄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정보가 컬러 형태의 사진이라면, 단말 케이스 장치(400)의 제어부는 상기 컬러 사진과 크기가 유사한 흑백의 사진을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S750 단계에서, 단말 케이스 장치(400)는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200)을 통해 인쇄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케이스 장치(400)는 휴대용 단말장치(300)의 스크린이 오프된 상태에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거나 인쇄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장치(300)의 스크린을 켜지 않고서도,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200)을 통해 인쇄 컨텐츠를 저전력 기반에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케이스 장치(400)는 전원부를 통해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상기 인쇄 컨텐츠의 출력을 유지할 수 있다. 즉, 단말 케이스 장치(400)는 전원이 공급되는 한 계속적으로 인쇄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쇄 컨텐츠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고유한 컨텐츠일 수 있으며, 이러한 고유의 인쇄 컨텐츠를 계속적으로 출력시킴으로써, 사용자 각각에 따른 맞춤형 단말 케이스 장치(400)가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케이스 장치(400)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 케이스 장치(400)는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100), 케이스 바디(200) 및 휴대용 단말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100)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라 인쇄 컨텐츠(114)가 출력되고 있다. 이 경우,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케이스 바디(200)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스 바디(200)는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201) 및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케이스 바디(200)로부터 슬라이딩되거나 분리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20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측면부에는 이러한 가이드 홈(203)에 맞물리거나 끼워지도록 형성된 가이드 부재(103)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의 예시적인 구성을 통해,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케이스 바디(200)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한쪽 면에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될 수 있고, 나머지 다른 한쪽 면에는 커버 프레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 프레임은 단말 케이스 장치(400)의 상표 등이 인쇄될 수 있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 컨텐츠를 현재 보고 싶지 않거나, 이동 동작 등에서 전자잉크 스크린(114)을 보호해야 하는 경우, 사용자는 도 8의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분리하여 반대 면의 커버 프레임이 노출되도록 케이스 바디(200)에 삽입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케이스 장치(400)의 예시도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 바디(200)는 제1 프레임(210) 및 제2 프레임(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210)은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일부 영역(예: 아래쪽 면)이 삽입됨으로써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프레임(230)는 외부로 노출된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나머지 영역을 수용함으로써 제1 프레임(210)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단말 케이스 장치(400)는 2개의 프레임으로 분리된 케이스 바디(200)가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문서에서 기재된 기술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문서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스크린하우징부 110: 전자잉크 스크린부
120: 스크린 하우징 200: 휴대용 단말장치 케이스
300: 휴대용 단말장치 400: 제2차 디스플레이장치

Claims (10)

  1.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 및 휴대용 단말장치에 탈착 가능한 케이스 바디를 포함하는 단말 케이스 장치로서,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은,
    통신부;
    디스플레이부;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장치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지원하는 전자 잉크 방식의 인쇄 컨텐츠를 생성하며, 생성된 인쇄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케이스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케이스 바디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케이스 바디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케이스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바디는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이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가이드 홈에 연결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단말 케이스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케이스 바디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케이스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장치의 스크린의 출력이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컨텐츠 정보의 수신 및 상기 인쇄 컨텐츠의 출력을 수행하도록 상기 통신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케이스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 휴대용 단말장치에서 생성되거나 수신된 텍스트 정보, 사진 정보, 영상 정보 및 UI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케이스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부를 통해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상기 인쇄 컨텐츠의 출력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케이스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바디는,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부 영역이 삽입됨으로써 보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수용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상기 삽입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수용함으로써 상기 제1 프레임과 결합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단말 케이스 장치.
  9.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 및 휴대용 단말장치에 탈착 가능한 케이스 바디를 포함하는 단말 케이스 장치에서 단말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휴대용 단말장치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지원하는 전자 잉크 방식의 인쇄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인쇄 정보를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은,
    통신부;
    상기 컨텐츠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통신부, 디스플레이부 및 전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정보 출력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인쇄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장치의 스크린의 출력이 오프된 상태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정보 출력 방법.
KR1020160051049A 2015-04-27 2016-04-26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 케이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저전력 기반의 단말정보 출력 방법 KR201601276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8768 2015-04-27
KR20150058768 2015-04-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7670A true KR20160127670A (ko) 2016-11-04

Family

ID=57530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1049A KR20160127670A (ko) 2015-04-27 2016-04-26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 케이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저전력 기반의 단말정보 출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767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3467B1 (ko) * 2017-12-25 2018-08-30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영상표시장치
CN113920951A (zh) * 2021-09-15 2022-01-11 上海祺壹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小电流刷新屏幕的方法
KR20220077265A (ko) * 2020-12-01 2022-06-09 고동효 스마트 망원경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5344A (ko) 2010-07-08 2012-01-1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감지신호생성회로 및 반도체 메모리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5344A (ko) 2010-07-08 2012-01-1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감지신호생성회로 및 반도체 메모리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3467B1 (ko) * 2017-12-25 2018-08-30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영상표시장치
KR20220077265A (ko) * 2020-12-01 2022-06-09 고동효 스마트 망원경 장치
CN113920951A (zh) * 2021-09-15 2022-01-11 上海祺壹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小电流刷新屏幕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7269B1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415655B1 (ko) 이동 단말기
US20090058887A1 (en) Mehtod for gradually adjusting screen brightness when switching operating system
KR20170083404A (ko) 이동 단말기
KR20200095307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127670A (ko) 보조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 케이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저전력 기반의 단말정보 출력 방법
US10929733B2 (en) Electronic tag, data writing terminal and electronic tag system
KR20220044539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0365875B2 (en) Electronic device for changing clock
KR20160075206A (ko) 이동 단말기
KR20130018480A (ko) 프린팅 시스템 및 그 무선 데이터 전송 인터페이스의 정렬 구조
TW201530958A (zh) 行動顯示系統以及行動顯示裝置
US20220269106A1 (en) Electronic glasses
KR2016001816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통신 시스템
KR100507548B1 (ko) 표시장치 및 표시 시스템
KR20190080516A (ko) 두루마리 타입의 디지털 터치 노트
KR10187203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137995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TW200718176A (en) Mobile interface apparatus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mobile terminal and external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using the same
CN105059225A (zh) 一种汽车后排头枕装置及实现方法
CN204915562U (zh) 一种汽车后排头枕装置
CN205609165U (zh) 一种智能二维码显示终端的控制结构
KR20150031604A (ko) 데이터 송수신 통신 모듈을 가지는 전자 달력
KR2015013923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277278B1 (ko)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