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6796A - 전동드릴의 제동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드릴의 제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6796A
KR20160126796A KR1020150058328A KR20150058328A KR20160126796A KR 20160126796 A KR20160126796 A KR 20160126796A KR 1020150058328 A KR1020150058328 A KR 1020150058328A KR 20150058328 A KR20150058328 A KR 20150058328A KR 20160126796 A KR20160126796 A KR 20160126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unit
drill shaft
drill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8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비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비테크
Priority to KR1020150058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6796A/ko
Publication of KR20160126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67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5/00Hand-held or like portable drilling machines, e.g. drill guns; Equipment therefor
    • B23B45/003Attach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5/00Hand-held or like portable drilling machines, e.g. drill guns; Equipment therefor
    • B23B45/02Hand-held or like portable drilling machines, e.g. drill guns; Equipment therefor driven by electric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1Gearings, speed selectors, clutch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rotary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70/00Details of turning, boring or drilling machines, processes or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전동드릴의 사용 시 회전도구부의 회전이 관성에 의해 추가적으로 회전을 하는 것을 제동하여 사용자가 연속적으로 바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업무의 효율을 증대시키고, 사용자가 손으로 강제적 제동을 하지 않아도 되어 안전성을 증대시키는 장치와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가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부에서 길게 원형 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드릴샤프트; 상기 드릴샤프트 한쪽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드릴샤프트를 제동시킬 수 있는 제동부; 상기 드릴샤프트의 타단에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회전도구부; 상기 본체부 내부에 위치하고 스위치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동드릴의 제동 장치{Apparatus for brake of Electric drill}
본 발명은 전동드릴의 제동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조작으로 회전하는 전동드릴의 회전도구부가 조작을 멈출 때 관성에 의해 추가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멈추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동장치를 설치하여, 회전도구부가 즉각 제동되어 사용자가 연속적인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고 추가적인 회전에 대한 소음을 없애고 안전성을 증대시켜 업무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동드릴의 제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동드릴은 회전하는 드릴을 용이하게 이동하여 다양한 작업에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기계장비이며, 다양한 장소에서 다양한 작업들을 수행하기 용이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는 공구 중 하나이다. 특히 전동드릴은 끝단의 도구부를 용이하게 교체하여 다양한 모양, 크기의 나사, 너트, 볼트 등을 조이거나 풀 수 있으며 벽이나 대상 물체에 구멍을 내어 다양한 작업이 가능 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일반적으로 전동드릴은 권총식이나 일자형으로 형성되어있으며, 스위치 조작에 의해 모터를 회전시키게 되면 모터에 연결된 드릴샤프트가 회전하게 되고 이와 함께 결합된 드릴의 회전도구부가 회전하게 된다.
종래 기술에 의한 전동드릴은 스위치를 떼어 작동을 중지 시켰을 때 관성에 의해 회전도구부가 일시적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전동드릴은 이러한 관성에 의한 일시적인 회전이 멈추게 되면 다음 작업이 진행 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강제적으로 제동을 하거나 완전히 제동 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소음에 있어서도 관성에 의한 일시적인 회전으로 추가적인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간헐적인 전동드릴의 사용 시 관성에 의한 추가적인 회전을 제동시킴으로써 연속적인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여 업무의 효율을 증대시키고, 안전의 문제와 소음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전동드릴의 사용 시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회전도구부가 관성에 의해 추가적인 회전을 하지 않도록 제동하여 사용자가 연속적으로 바로 작업이 가능할 수 있도록 업무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전동드릴의 회전하는 드릴샤프트에 제동장치를 장착하여 회전도구부의 회전을 멈추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동드릴의 제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동장치가 회전도구부를 제동하여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회전도구부를 제동하지 않아도 되어 작업 시 안전성을 증대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회전도구부의 추가적인 회전을 줄여 회전에 의한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전동드릴의 제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가 형성된 본체부; 전기적 힘을 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상기 본체부 내부에서 길게 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드릴샤프트; 상기 드릴샤프트 상에 위치하여 상기 드릴샤프트를 제동시킬 수 있는 제동부; 상기 드릴샤프트의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드릴샤프트와 함께 회전하고 교체가 용이한 도구부를 포함하고 있는 회전도구부; 상기 본체부 내부에 위치하고 스위치부 또는 상기 제동부와 연결되어 회전 및 제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동부는 브레이크디스크장치, 회생제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브레이크디스크장치는 고정판, 마찰판,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스위치부, 전자기판, 회생제동저항용 전자기판, 연결대, 피봇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는 제1스위치, 제2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동부는 상기 제어부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힘을 전달 받아 작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동부는 상기 제어부의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받아 작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동부는 상기 브레이크디스크장치로 형성되어 상기 드릴샤프트를 제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동부는 상기 회생제동장치로 형성되어 상기 드릴샤프트를 제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회생제동장치는 상기 회생제동저항용 전자기판과 연결되어 인가신호를 받아 작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동드릴의 제동 장치는 전동드릴의 사용 시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회전도구부가 관성에 의해 추가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멈출 수 있도록 제동하여 전동드릴을 통한 작업이 끊기지 않고 연속적으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를 통해 업무의 시간을 줄일 수 있고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관성에 의해 추가적으로 회전하는 회전도구부를 강제적으로 제동하지 않아도 되어 사용자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으며, 추가적인 회전에 의한 소음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동드릴이 전기적 제어를 통해 브레이크디스크장치로 제동을 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동드릴이 전기적 제어를 통해 회생제동장치로 제동을 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동드릴이 기계적 제어를 통해 브레이크디스크장치로 제동을 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동드릴의 스위치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동드릴의 브레이크디스크장치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할 수 있고 여러 지 실시예를 통해 설명 될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동드릴의 제동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1은 전동드릴에서 전기적으로 브레이크디스크장치(310)를 제어하여 드릴샤프트(120)를 제동시키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동드릴은 본체부(100), 손잡이부(110), 드릴샤프트(120), 구동부(200), 제동부(300), 브레이크디스크장치(310), 제어부(400), 스위치부(410), 전자기판(420), 회전도구부(500), 도구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동드릴의 본체부(100)는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110)를 포함하고 있으며 드릴샤프트(120), 구동부(200), 제동부(300), 제어부(40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100)의 형태에 있어서 권총형, 소총형, 일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재질에 있어서도 플라스틱, 알루미늄, 카본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무겁지 않으며 열전달이 잘 안되도록 하거나 쉽게 파손되지 않는 재질이면 족하다.
본체부(100)의 안에 위치하여 구동부(200)에 의해 회전하는 드릴샤프트(120)는 구동부(200)에서 발생되는 회전의 힘을 본체부(100)와 드릴샤프트(120)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도구부(500)로 전달해 준다. 드릴샤프트(120)는 구동부(200)의 회전되는 부분에 직접 연결 되거나, 회전수를 변환시켜 출력을 증대 시켜주는 기어에 맞물려 기어로 연결될 수 있다. 드릴샤프트(120)와 구동부(200)의 결합에 있어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구동부(200)의 회전을 회전도구부(500)로 전달시켜 줄 수 있으면 족하다. 또한 드릴샤프트(120)의 모양과 재질에 있어서도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통형,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으로 형성 될 수 있으며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카본, 철, 플라스틱, 합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드릴샤프트(120) 상에 위치하고 드릴샤프트(120)의 회전을 제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동부(300)의 제동장치는 브레이크디스크장치(310)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드릴샤프트(120)가 회전할 때 함께 회전하며 운동하게 된다. 사용자가 전동드릴의 스위치부(410)에 손을 떼었을 때 구동부(200)는 서서히 회전을 멈추게 되고 이와 함께 드릴샤프트(120) 또한 서서히 회전을 멈추게 된다. 이 때, 드릴샤프트(120)와 연결된 브레이크디스크장치(310)는 역전류나 캘리퍼의 마찰을 통해서 제동력을 발생시키고 드릴샤프트(120)를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디스크와 디스크 사이의 마찰저항에 의해 제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어부(400)는 손잡이부 앞쪽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된 스위치부(410)와 본체부(100) 또는 손잡이부(110)의 안에 위치하여 한쪽은 스위치부(410)와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브레이크디스크장치(310)와 연결된 전자기판(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위치부(4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작동되어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된 신호는 전자기판(420)으로 전달된다. 스위치부(410)의 조작에 있어서 누를 수 있으며 당기거나 옆으로 이동시켜 조작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조작할 수 있는 것이면 족하다.
전자기판(420)은 스위치부(41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브레이크디스크장치(310)에서 제동운동이 일어날 수 있도록 브레이크디스크장치(310)를 제어해 준다. 전자기판(420)에서 받은 전기적 신호를 통하여 브레이크디스크장치(310)는 역전류나 캘리퍼의 마찰을 통하여 물리적인 제동력을 발생시켜 드릴샤프트(120)가 멈출 수 있도록 한다. 브레이크디스크장치(310)를 작동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스위치부(410)의 조작과 전자기판(420)의 제어를 통해 브레이크디스크장치(310)가 제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면 이에 족하다. 또한 브레이크디스크장치(310)의 물리적 제동의 방법에 있어서도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회전하는 브레이크디스크장치(310)에 다양한 방식의 물리적 방식의 제동이 가능하다.
회전도구부(500)는 본체부(100)의 드릴샤프트(120)와 연결되어 있어서 드릴샤프트(120)가 회전할 때 함께 회전하며, 제동될 때 함께 제동되어 회전을 멈추게 된다. 도구부(600)는 사용자가 작업을 하려고 하는 부분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으로 회전도구부(500)의 끝단에서 교체가 용이하도록 잠금쇠나 회전조임쇠의 방식으로 결합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의 결합이 가능하며 일체형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도구부(600)가 회전도구부(500)의 끝단에서 교체가 용이하게 결합되는 것이면 족하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동드릴의 제동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2는 전동드릴에서 전기적으로 회생제동장치(320)를 제어하여 드릴샤프트(120)를 제동시키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동드릴은 본체부(100), 손잡이부(110), 드릴샤프트(120), 구동부(200), 제동부(300), 회생제동장치(320), 제어부(400), 스위치부(410), 회생제동저항용 전자기판(430), 회전도구부(500), 도구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동드릴의 본체부(100)는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110)를 포함하고 있으며 드릴샤프트(120), 구동부(200), 제동부(300), 제어부(40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100)의 형태에 있어서 권총형, 소총형, 일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재질에 있어서도 플라스틱, 알루미늄, 카본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무겁지 않으며 열전달이 잘 안되도록 하거나 쉽게 파손되지 않는 재질이면 족하다.
본체부(100)의 안에 위치하여 구동부(200)에 의해 회전하는 드릴샤프트(120)는 구동부(200)에서 발생되는 회전의 힘을 본체부(100)와 드릴샤프트(120)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도구부(500)로 전달해 준다. 드릴샤프트(120)는 구동부(200)의 회전되는 부분에 직접 연결 되거나, 회전수를 변환시켜 출력을 증대 시켜주는 기어에 맞물려 기어로 연결될 수 있다. 드릴샤프트(120)와 구동부(200)의 결합에 있어서 이에 한정 되지 않으며 구동부(200)의 회전을 회전도구부(500)로 전달시켜 줄 수 있으면 족하다. 또한 드릴샤프트(120)의 모양과 재질에 있어서도 원통형,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으로 형성 될 수 있으며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카본, 철, 플라스틱, 합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드릴샤프트(120) 상에 위치하고 드릴샤프트(120)의 회전을 제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동부(300)의 제동장치는 회생제동장치(320)의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어 구동부(200)가 회전하고 제동될 때 회생되는 에너지로 역회전력을 발생시켜 드릴샤프트(120)를 멈출 수 있도록 해 준다.
회생제동장치(320)는 회생제동저항용 전자기판(430)과 연결되는데, 드릴샤프트(120)가 제동될 때나 감속될 때 정상적으로 흐르던 전류가 반대로 흐르게 된다. 반대로 흐르는 전류를 통해 생성된 회생에너지를 저항으로 소비하고, 회생 제동 토크를 얻어 정지하는 동안 드릴샤프트(120)를 완전히 멈추게 한다.
제어부(400)는 손잡이부 앞쪽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된 스위치부(410)와 본체부(100) 또는 손잡이부(110)의 안에 위치하여 한쪽은 스위치부(410)와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브레이크디스크장치(310)와 연결된 전자기판(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위치부(4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작동되어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된 신호는 회생제동저항용 전자기판(420)으로 전달된다. 스위치부(410)의 조작에 있어서 누를 수 있으며 당기거나 옆으로 이동시켜 조작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조작할 수 있는 것이면 족하다.
회생제동저항용 전자기판(430)은 사용자의 스위치부(410) 조작에 의해서 발생된 신호를 받고, 회생제동장치(320)에서 생성된 회생에너지를 받아 다시금 회생제동장치(320)를 제어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고, 스위치부(410)는 이를 제어할 수 있다. 회생제동장치(320)와 회생제동저항용 전자기판(430)의 상호관계에 있어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회생에너지를 이용하여 드릴샤프트(120)를 제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상호작용이 가능하며, 회생에너지를 이용해 드릴샤프트(120)를 멈출 수 있으면 족하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동드릴의 제동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3은 전동드릴에서 전기적으로 회생제동장치(320)를 제어하여 드릴샤프트(120)를 제동시키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동드릴은 본체부(100), 손잡이부(110), 드릴샤프트(120), 구동부(200), 제동부(300), 브레이크디스크장치(310), 제어부(400), 스위치부(410), 회전도구부(500), 도구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동드릴의 본체부(100)는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110)를 포함하고 있으며 드릴샤프트(120), 구동부(200), 제동부(300), 제어부(40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100)의 형태에 있어서 권총형, 소총형, 일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재질에 있어서도 플라스틱, 알루미늄, 카본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무겁지 않으며 열전달이 잘 안되도록 하거나 쉽게 파손되지 않는 재질이면 족하다.
본체부(100)의 안에 위치하여 구동부(200)에 의해 회전하는 드릴샤프트(120)는 구동부(200)에서 발생되는 회전의 힘을 본체부(100)와 드릴샤프트(120)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도구부(500)로 전달해 준다. 드릴샤프트(120)는 구동부(200)의 회전되는 부분에 직접 연결 되거나, 회전수를 변환시켜 출력을 증대 시켜주는 기어에 맞물려 기어로 연결될 수 있다. 드릴샤프트(120)와 구동부(200)의 결합에 있어서 이에 한정 되지 않으며 구동부(200)의 회전을 회전도구부(500)로 전달시켜 줄 수 있으면 족하다. 또한 드릴샤프트(120)의 모양과 재질에 있어서도 원통형,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으로 형성 될 수 있으며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카본, 철, 플라스틱, 합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드릴샤프트(120) 상에 위치하고 드릴샤프트(120)의 회전을 제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동부(300)의 제동장치는 브레이크디스크장치(310)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드릴샤프트(120)가 회전할 때 함께 회전하며 운동하게 된다. 사용자가 전동드릴의 스위치부(410)에 손을 떼었을 때 구동부(200)는 서서히 회전을 멈추게 되고 이와 함께 드릴샤프트(120) 또한 서서히 회전을 멈추게 된다. 이 때, 드릴샤프트(120)와 연결된 브레이크디스크장치(310)는 역전류나 캘리퍼의 마찰을 통해서 제동력을 발생시키고 드릴샤프트(120)를 정지시킨다. 또한 디스크와 디스크 사이의 마찰저항에 의해 제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어부(400)는 기계적인 장치로 구성되어 스위치부(410)와 브레이크디스크장치(310)에 연결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스위치부(410)를 조작하게 되면 기계적인 힘의 전달을 통해 브레이크디스크장치(310)를 제어하게 된다. 힘을 전달받은 브레이크디스크장치(310)는 드릴샤프트(120)의 회전을 제동시켜 회전도구부(500)의 회전을 멈출 수 있게 된다. 제어부(400)는 다양한 기계적인 구성이 가능하며 스위치부(410)에서 전달되는 힘을 브레이크디스크장치(310)로 전달해줄 수 있으면 이에 족하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동드릴의 제동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4는 전동드릴의 스위치부(41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위치부(410)는 제 1스위치(411)와 제 2스위치(4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동드릴에서 제1스위치(411)는 손잡이부(110)의 전면부에 형성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쉽게 손으로 손잡이부(110)를 잡아 손가락으로 조작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스위치(411)를 통하여 전동드릴의 구동부(200)를 작동시켜 회전도구부(500)를 회전시키거나 전류를 차단하여 구동부(200)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제1스위치(411)는 조작방식에 있어서 버튼, 센서, 회전 등 다양한 조작방식의 적용이 가능하고, 사용에 있어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구동부(200)를 작동시켜 회전도구부(500)를 회전시킬 수 있는 조작방식이면 이에 족하다.
제2스위치(412)는 손잡이부(11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손바닥이나 손꿈치를 통해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스위치(412)의 조작방식 또한 버튼, 센서, 회전 등 다양한 조작방식의 적용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용이하게 회전도구부(500)의 회전을 제동시킬 수 있는 조작방식이면 족하다.
스위치부(410)의 위치와 스위치의 개수에 있어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나 또는 복수개의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쉽게 전동드릴의 작동과 제동을 조작할 수 있으면 이에 족하다.
또한, 사용자의 임의적인 스위치부(410) 제어를 통한 제동이 아닌 제어부(400)의 전자기판(420) 및 회생제동저항용 전자기판(430)의 자체적인 제어를 통한 제동 또한 가능하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동드릴의 제동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5는 제동부(300)의 브레이크디스크장치(310)와 기계적 구조의 제어부(400)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브레이크디스크장치(310)는 고정판(311), 마찰판(312), 스프링(31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어부(400)는 연결대(440), 피봇(4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부(400)의 연결대(440)는 스위치부(410)와 연결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스위치부(410)를 작동할 때 연결대(440)는 함께 움직이게 된다. 연결대(440)는 한 개 이상의 연결대(440)가 연결되어 있으며 관절의 마디에는 피봇(450)이 고정되어 있어서 연결대(440)가 운동방향을 전환하여 힘을 전달할 수 있게 한다.
브레이크디스크장치(310)의 고정판(311)은 드릴샤프트(120)와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고 움직이게 된다. 마찰판(312)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드릴샤프트(120) 상에서 축방향으로 움직여 고정판(311)과 마찰저항을 일으키게 된다.
마찰판(312)은 제어부(400)의 연결대(440)와 연결되어 있는데, 사용자가 스위치부(410)를 누르게 되면 연결대(440)는 피봇(450)을 중심으로 회전하거나 이동되어 사용자의 힘을 마찰판(312)으로 전달하게 된다. 전달된 힘에 의해서 마찰판(312)은 고정판(311)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고정판(311)과 마찰판(312)은 마찰을 일으키며 마찰저항이 일어나게 된다. 마찰저항을 통해 드릴샤프트(120)에 고정된 고정판(311)은 제동되고 이와 함께 드릴샤프트(120) 또한 제동하게 된다.
고정판(311)과 마찰판(312)의 사이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스프링(313)이 구비되는데, 이는 사용자가 스위치부(410)를 눌러 고정판(311)과 마찰판(312)이 마찰이 일어나도록 사이의 간격을 줄일 때 스프링(313)의 탄성을 이용하여 고정판(311)과 마찰판(312)의 간격을 다시 처음 상태로 돌려주어 사용자가 일일이 제동을 풀지 않도록 하게한다.
스프링(313)의 위치에 있어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판(311)과 마찰판(312)의 사이 또는 스위치부(410), 연결대(413), 피봇(414) 등 다양한 위치에 결합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스위치부(410)를 작동할 때 다시금 원상태로 복귀하도록 하는 위치의 조립방식이면 족하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 본체부
110 : 손잡이부
120 : 드릴샤프트
200 : 구동부
300 : 제동부
310 : 브레이크디스크장치
311 : 고정판
312 : 마찰판
313 : 스프링
320 : 회생제동장치
400 : 제어부
410 : 스위치부
411 : 제1스위치
412 : 제2스위치
420 : 전자기판
430 : 회생제동저항용 전자기판
440 : 연결대
450 : 피봇
500 : 회전도구부
600 : 도구부

Claims (11)

  1. 전동드릴의 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동드릴 내부에 구비된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드릴샤프트;
    상기 드릴샤프트에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회전도구부;
    상기 드릴샤프트를 강제 제동하는 제동부; 및
    상기 제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전동드릴의 제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동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드릴의 제동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는 물리적 마찰을 통해 상기 드릴샤프트를 제동할 수 있는 브레이크디스크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드릴의 제동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디스크장치는 상기 드릴샤프트 상에서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드릴샤프트 상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마찰판을 구비하여, 상기 고정판과 상기 마찰판 사이의 마찰저항에 의해 제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드릴의 제동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과 상기 마찰판 사이에 하나 또는 복수의 스프링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드릴의 제동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동작신호를 인가되도록 사용자가 작동시키는 스위치부; 및
    상기 스위치부와 상기 마찰판 사이를 연결해 주는 연결대;
    가 구비되어, 상기 스위치부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연결대가 상기 마찰판과 상기 고정판이 마찰저항을 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드릴의 제동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는 하나 또는 복수개가 구비되며, 피봇을 통해 운동방향이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드릴의 제동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동작신호를 인가되도록 사용자가 작동시키는 스위치부; 및
    상기 스위치부와 연결된 전자기판;
    이 구비되어, 상기 스위치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전자기판이 상기 동작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마찰판을 상기 고정판과 마찰시켜 제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드릴의 제동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는 상기 드릴샤프트의 회전 방향에 대해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역회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드릴샤프트를 제동시키는 회생제동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드릴의 제동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회생제동장치와 연결된 회생제동저항용 전자기판;
    이 구비되어, 상기 회생제동장치에 동작신호를 인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드릴의 제동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생제동저항용 전자기판은 제동 시 소모되는 회전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드릴의 제동장치.
KR1020150058328A 2015-04-24 2015-04-24 전동드릴의 제동 장치 KR201601267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8328A KR20160126796A (ko) 2015-04-24 2015-04-24 전동드릴의 제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8328A KR20160126796A (ko) 2015-04-24 2015-04-24 전동드릴의 제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6796A true KR20160126796A (ko) 2016-11-02

Family

ID=57518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8328A KR20160126796A (ko) 2015-04-24 2015-04-24 전동드릴의 제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679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5284A (ko) 2017-11-13 2019-05-23 계양전기 주식회사 제동력 증대를 위한 구동모터용 제동장치
WO2021167880A1 (en) * 2020-02-17 2021-08-26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Electronic spindle lock for a power tool
US20220127910A1 (en) * 2020-10-28 2022-04-28 Globe (jiangsu) Co., Ltd. Electric drill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5284A (ko) 2017-11-13 2019-05-23 계양전기 주식회사 제동력 증대를 위한 구동모터용 제동장치
WO2021167880A1 (en) * 2020-02-17 2021-08-26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Electronic spindle lock for a power tool
US11919117B2 (en) 2020-02-17 2024-03-05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Electronic spindle lock for a power tool
EP4106952A4 (en) * 2020-02-17 2024-04-10 Milwaukee Electric Tool Corp ELECTRONIC SPINDLE LOCK FOR A POWER TOOL
US20220127910A1 (en) * 2020-10-28 2022-04-28 Globe (jiangsu) Co., Ltd. Electric drill
US11905761B2 (en) * 2020-10-28 2024-02-20 Globe (jiangsu) Co., Ltd. Electric dril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77445B (zh) 电磁离合式驱动装置
CN103596730B (zh) 电动螺丝起子的电棘轮
KR20160126796A (ko) 전동드릴의 제동 장치
EP2450151B1 (en) Two-switch device for an electric nail gun
JP5928803B2 (ja) ブラインドリベット締結装置
JP3124756B2 (ja) リベット締め装置
JP2007512149A (ja) 1本の駆動軸を備えたツイン・チャック式ドリル
CN110919081B (zh) 电动工具
JP6309022B2 (ja) プッシュスタート機能を有する衝撃レンチ
JP2020005866A5 (ko)
KR101641928B1 (ko) 방향전환기능을 구비한 외과수술용 핸드피스
US20200112283A1 (en) Electrical impact wrench with rebound impact mechanism
US8052130B2 (en) Power-actuated vise apparatus
EP2374580B1 (en) Electric gripper drive with a torsional compliance device
JP5573892B2 (ja) 電動ハンド
JP2012245614A (ja) 電動工具
JP2009190099A (ja) 電動工具
JP4454674B2 (ja) ねじ締付装置
KR20160040701A (ko) 토크를 전달하며 플라이 휠을 가진 전동 공구
US3321650A (en) Control mechanism for rotary power driven devices
JP5035216B2 (ja) 電動ハンド
DE59914410D1 (de) Antrieb für Greifeinrichtungen
CN109311143A (zh) 电脉冲工具
CN201638701U (zh) 电磁离合式驱动装置
WO2019092661A1 (en) Braking system for electrical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