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6763A - 관로 레이더 탐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관로 건전도 및 주변 지반 교란 평가 방법 - Google Patents

관로 레이더 탐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관로 건전도 및 주변 지반 교란 평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6763A
KR20160126763A KR1020150058258A KR20150058258A KR20160126763A KR 20160126763 A KR20160126763 A KR 20160126763A KR 1020150058258 A KR1020150058258 A KR 1020150058258A KR 20150058258 A KR20150058258 A KR 20150058258A KR 20160126763 A KR20160126763 A KR 20160126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ceiver
sewage pipe
underground
gyroscop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8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억준
황학수
Original Assignee
허억준
황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억준, 황학수 filed Critical 허억준
Priority to KR1020150058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6763A/ko
Publication of KR20160126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67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9/00Gyroscopes; 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Turn-sensitive devices without moving masses; Measuring angular rate using gyroscopic eff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microwaves or radio waves, i.e. electromagnetic waves with a wavelength of one millimetre or more
    • G01N22/02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12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c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15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specially adapted for use during transport, e.g. by a person, vehicle or boa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ophys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전자기파를 하수관로를 포함한 외부 지중에 방사하고 수신된 반사파를 기초로 하여 인식된 지하 영역 내의 관로 열화 상태와 상기 하수관로 주변의 지반 교란을 평가하는 지하 탐사 레이더 및 방법이 제공된다. 지하 탐사 레이더는 하수관로를 따라 일정한 거리 간격으로 이동 및 회전하면서 전자기파를 상기 하수관로를 포함한 외부 지중에 방사시키고 상기 하수관로 및 상기 외부 지중의 불연속면에 부딪쳐 반사되는 반사파를 수신하고 자이로스코프가 탑재된 송수신기; 상기 송수신기를 상기 하수관로의 내부 전방 혹은 후방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상기 송수신기를 순차적으로 전방위 회전시키고 송신/수신 개폐를 동기화하는 스테퍼 모터를 제어하는 회전부; GPS 위성 신호 및 상기 송수신기에 탑재된 상기 자이로스코프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지하 탐사 레이더의 현재 위치를 추출하는 위치 추출부; 및 상기 이동부 및 상기 회전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위치 추출부로부터의 상기 송수신기의 현재 위치 및 상기 회전부에 의해 회전된 상기 송수신기의 방사 방향을 기초로 하여 상기 송수신기가 상기 전자기파를 방사한 지하 영역을 인식하고, 상기 송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반사파를 기초로 하여 상기 인식된 지하 영역 내의 관로 열화 상태 및 상기 하수관로 주변의 지반 교란을 평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관로 레이더 탐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관로 건전도 및 주변 지반 교란 평가 방법{Hole radar expl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evaluating soundness of sewage pipe and disturbance of foundation around sewage pip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관로 레이더 탐사(Hole radar exploration; 이하 'HRE'라 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HRE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하수관로를 탐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공 하수관의 직경이 대략 800 mm 이상인 경우에는 작업자가 직접 투입되어 하수관로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게 되지만, 하수관의 직경이 작을 경우에는 작업자의 투입이 불가능하여, 현재로서 하수관로의 이상 유무를 판단케 하는 방법은 하수관로를 주행하는 주행대차의 상부에 CCTV 카메라를 탑재시켜 하수관로를 촬영하고 평가하는 것이 유일한 방법이다. 그러나 이 같은 CCTV 촬영 방법은 사람의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결함만 평가할 수 있으며, 하수관로 내에 탁도가 높은 하수로 차있을 경우, 하수관로로 유입된 토사가 퇴적된 경우, 그리고 하수관로의 결함부분에 이물질이 부착된 경우에는 하수관로 결함을 찾아낼 수 없다는 심각한 단점을 갖고 있다.
최근 지반을 대상으로 건설 공사의 규모가 대형화되고 있다. 대상 심도도 증가됨에 따라 지반에 대한 정보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도심의 공사 현장의 경우, 불규칙하게 매설된 상하수도관, 가스관 등과 같은 지하 공공 시설물들이 시공상 장애 요인으로 작용함에 따라, 이들 지하 매설물들에 대한 정확한 정보의 파악도 중요한 시공 과정의 일부로 간주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물리 탐사 기술을 응용한 지표 투과 레이더(Ground penetration radar; GPR) 탐사 기법이 각광받고 있다. 지표 투과 레이더 탐사는 건설 분야뿐만 아니라 지하 매설물 탐사, 특정 폐기물의 안전한 폐기 장소 선정, 유적지 발굴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그 활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지표 투과 레이더 탐사는 지하매질의 전기전도도와 유전율에 따라 그 가탐심도가 필연적으로 제한을 받는다. 우리나라의 토양은 다량의 점토성분과 습기를 포함하고 있어 대부분의 지역에서 가탐심도가 1~2 m 내이다. 또한 상기 하수관로의 열화상태를 포함한 건전도 평가를 위해서는 고주파수(GHz 이상)의 레이더를 사용해야하는데, 이런 경우에는 가탐심도가 수십cm 내이며, 또한 천부지하의 토석류와 지중에 매설된 다른 구조물에 의한 난반사로 인해 지면에서 수행되는 지표 투과 레이더 탐사로는 하수관로 건전도 평가 및 주변지역 지반침하를 평가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특허 등록번호 10-0847772에는 휴대와 설치 및 작동이 용이하며 최대 5 km까지의 심부 지질, 지반 및 암반의 정확한 구조 및 물성 파악이 용이하고 지하의 공간 정보를 정확하게 탐사할 수 있는 인공 및 자연 송신원 전자기파 지하 탐사 장치가 개시되어 있지만, 이 방법에서 사용된 송신 주파수대역은 .수 Hz~수십 KHz로서 전자파의 분해능은 송신주파수에 따라 수십 m~수백 m이다. 그러므로 지표 투과 레이더 탐사의 가탐심도의 제한은 극복할 수 있으나, 그 분해능에서 수 cm ~수십 cm 를 요구하는 지하 영역 내의 하수관로 열화 상태 그리고 하수관로 주변 2~3 m 내의 지반 교란을 평가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하수관로 내에서 주파수가 수십 MHz 이상의 전자기파를 하수관로를 포함한 외부 지중에 방사하고 수신된 반사파를 기초로 하여 인식된 지하 영역 내의 관로 열화 상태와 상기 하수관로 주변의 지반 교란을 평가하는 HRE 장치 및 하수관로의 건전도 및 하수관로 주변 지반 침하 평가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지하 탐사 레이더는 하수관로를 따라 일정한 거리 간격으로 이동 및 회전하면서 전자기파를 상기 하수관로를 포함한 외부 지중에 방사시키고 상기 하수관로 및 상기 외부 지중의 불연속면에 부딪쳐 반사되는 반사파를 수신하고 자이로스코프가 탑재된 송수신기; 상기 송수신기를 상기 하수관로의 내부 전방 혹은 후방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상기 송수신기를 순차적으로 전방위 회전시키고 송신/수신 개폐를 동기화하는 스테퍼 모터를 제어하는 회전부; GPS 위성 신호 및 상기 송수신기에 탑재된 상기 자이로스코프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지하 탐사 레이더의 현재 위치를 추출하는 위치 추출부; 및 상기 이동부 및 상기 회전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위치 추출부로부터의 상기 송수신기의 현재 위치 및 상기 회전부에 의해 회전된 상기 송수신기의 방사 방향을 기초로 하여 상기 송수신기가 상기 전자기파를 방사한 지하 영역을 인식하고, 상기 송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반사파를 기초로 하여 상기 인식된 지하 영역 내의 관로 열화 상태 및 상기 하수관로 주변의 지반 교란을 평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하수관로의 건전도 및 하수관로 주변 지반 침하 평가 방법은 GPS 위성 신호 및 하수관로 내에 위치한 송수신기에 탑재된 자이로스코프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송수신기의 현재 위치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하수관로를 따라 상기 지하 탐사 레이더가 일정한 거리 간격으로 이동 및 정지하고, 일정한 회전 각도로 360ㅀ회전하면서 전자기파를 상기 하수관로를 포함한 외부 지중에 순차적으로 방사시키고 상기 하수관로를 포함한 상기 외부 지중에 부딪쳐 반사되는 반사파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송수신기의 현재 위치 및 전자기파 방사 방향에 따라 상기 수신된 반사파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전자기파를 방사한 지하 영역과 반사면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송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상기 반사파를 기초로 하여 상기 인식된 하수관로의 열화 상태 및 상기 하수관로 주변의 지반 교란을 평가하고 GIS를 기초로 측정 처리 자료를 공간적으로 표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송수신기를 하수관로를 따라 일정한 거리 간격으로 이동 및 회전하면서 전자기파를 상기 하수관로를 포함한 외부 지중에 방사시키고 상기 하수관로와 상기 외부 지중의 불연속면에 부딪쳐 반사되는 반사파를 수신하고 수신된 반사파를 기초로 하여 인식된 지하 영역 내의 관로 열화 상태와 상기 하수관로 주변의 지반 교란을 평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RE 장치의 구성을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로 건전도 및 주변 지반 교란 평가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RE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관로 건전도 및 주변 지반 교란 평가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RE 장치의 구성을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RE 장치는 송수신기(100), 이동부(200), 회전부(300), 위치 추출부(4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송수신기(100)는 하수관로(미도시)를 따라 일정한 거리 간격으로 이동 및 회전하면서 전자기파를 상기 하수관로를 포함한 외부 지중에 방사시키고 상기 하수관로와 상기 외부 지중의 불연속면에 부딪쳐 반사되는 반사파를 수신하고 자이로스코프(110)가 탑재되어 있다.
이동부(200)는 상기 송수신기(100)를 상기 하수관로의 내부 전방 혹은 후방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킨다.
회전부(300)는 상기 송수신기(100)를 순차적으로 전방위 회전시키고, 송신/수신 개폐를 동기화하는 스테퍼 모터(310)를 제어한다.
위치 추출부(400)는 GPS 위성 신호 및 상기 송수신기(100)에 탑재된 상기 자이로스코프(110)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송수신기(100)의 현재 위치를 추출한다.
제어부(500)는 상기 이동부(200) 및 상기 회전부(3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500)는 상기 위치 추출부(400)로부터의 상기 송수신기(100)의 현재 위치 및 상기 회전부(300)에 의해 회전된 상기 송수신기(100)의 방사 방향을 기초로 하여 상기 송수신기(100)가 상기 전자기파를 방사한 지하 영역을 인식하고, 상기 송수신기(100)에 의해 수신된 반사파를 기초로 하여 상기 인식된 지하 영역 내의 관로 열화 상태와 상기 하수관로 주변의 지반 교란을 평가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로 건전도 및 주변 지반 교란 평가 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로 건전도 및 주변 지반 교란 평가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위치 추출부(400)는 GPS 위성 신호 및 하수관로 내에 위치한 송수신기(100)에 탑재된 자이로스코프(110)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송수신기(100)의 현재 위치를 추출한다(단계 S210).
상기 송수신기(100)은 상기 하수관로를 따라 일정한 거리 간격으로 이동 및 정지하고, 일정한 회전 각도로 360ㅀ회전하면서 전자기파를 상기 하수관로를 포함한 외부 지중에 순차적으로 방사시키고 상기 하수관로를 포함한 상기 외부 지중에 부딪쳐 반사되는 반사파를 수신한다 (단계 S220).
제어부(500)는 상기 추출된 송수신기(100)의 현재 위치 및 전자기파 방사방향에 따라 상기 수신된 반사파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전자기파를 방사한 지하 영역과 반사면을 인식한다 (단계 S230).
제어부(500)는 상기 송수신기(100)에 의해 수신된 상기 반사파를 기초로 하여 상기 인식된 하수관로의 열화 상태 및 상기 하수관로 주변의 지반 교란을 평가하고 GIS를 기초로 측정 처리 자료를 공간적으로 표현한다 (단계 S240).
100: 송수신기
110; 자이로스코프
200: 이동부
300: 회전부
310: 스테퍼 모터
400: 위치 추출부
500: 제어부

Claims (2)

  1. 하수관로를 따라 일정한 거리 간격으로 이동 및 회전하면서 전자기파를 상기 하수관로를 포함한 외부 지중에 방사시키고 상기 하수관로 및 상기 외부 지중의 불연속면에 부딪쳐 반사되는 반사파를 수신하고 자이로스코프가 탑재된 송수신기;
    상기 송수신기를 상기 하수관로의 내부 전방 혹은 후방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상기 송수신기를 순차적으로 전방위 회전시키고 송신/수신 개폐를 동기화하는 스테퍼 모터를 제어하는 회전부;
    GPS 위성 신호 및 상기 송수신기에 탑재된 상기 자이로스코프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지하 탐사 레이더의 현재 위치를 추출하는 위치 추출부; 및
    상기 이동부 및 상기 회전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위치 추출부로부터의 상기 송수신기의 현재 위치 및 상기 회전부에 의해 회전된 상기 송수신기의 방사 방향을 기초로 하여 상기 송수신기가 상기 전자기파를 방사한 지하 영역을 인식하고, 상기 송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반사파를 기초로 하여 상기 인식된 지하 영역 내의 관로 열화 상태 및 상기 하수관로 주변의 지반 교란을 평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관로 레이더 탐사 장치.
  2. GPS 위성 신호 및 하수관로 내에 위치한 송수신기에 탑재된 자이로스코프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송수신기의 현재 위치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하수관로를 따라 상기 지하 탐사 레이더가 일정한 거리 간격으로 이동 및 정지하고, 일정한 회전 각도로 360ㅀ회전하면서 전자기파를 상기 하수관로를 포함한 외부 지중에 순차적으로 방사시키고 상기 하수관로를 포함한 상기 외부 지중에 부딪쳐 반사되는 반사파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송수신기의 현재 위치 및 전자기파 방사 방향에 따라 상기 수신된 반사파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전자기파를 방사한 지하 영역과 반사면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송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상기 반사파를 기초로 하여 상기 인식된 하수관로의 열화 상태 및 상기 하수관로 주변의 지반교란을 평가하고 GIS를 기초로 측정 처리 자료를 공간적으로 표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수관로의 건전도 및 하수관로 주변 지반 침하 평가 방법.
KR1020150058258A 2015-04-24 2015-04-24 관로 레이더 탐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관로 건전도 및 주변 지반 교란 평가 방법 KR201601267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8258A KR20160126763A (ko) 2015-04-24 2015-04-24 관로 레이더 탐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관로 건전도 및 주변 지반 교란 평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8258A KR20160126763A (ko) 2015-04-24 2015-04-24 관로 레이더 탐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관로 건전도 및 주변 지반 교란 평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6763A true KR20160126763A (ko) 2016-11-02

Family

ID=57518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8258A KR20160126763A (ko) 2015-04-24 2015-04-24 관로 레이더 탐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관로 건전도 및 주변 지반 교란 평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676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30291A (zh) * 2020-09-10 2021-01-15 电子科技大学 一种用于井间电磁探测的信号同步收发方法及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30291A (zh) * 2020-09-10 2021-01-15 电子科技大学 一种用于井间电磁探测的信号同步收发方法及系统
CN112230291B (zh) * 2020-09-10 2021-10-15 电子科技大学 一种用于井间电磁探测的信号同步收发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08402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locating and identifying objects located above the ground and below the ground in a pre-referenced area of interest
Royal et al. Site assessment of multiple-sensor approaches for buried utility detection
US6725161B1 (en) Method for locating and identifying underground structures with horizontal borehole to surface tomography
Ékes et al. GPR goes underground: Pipe penetrating radar
Sărăcin Using georadar systems for mapping underground utility networks
KR20190127515A (ko) 전기비저항을 이용하여 복합관로를 탐사하기 위한 빅데이터 기반의 지하매설 정보 획득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126763A (ko) 관로 레이더 탐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관로 건전도 및 주변 지반 교란 평가 방법
US6949930B2 (en) Time domain indu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buried objects in a medium by inducing and measuring transient eddy currents
Bachiri et al. GPR application in Civil Engineering to search and detect underground Networks
KR102275670B1 (ko) 지중관로 주변 4 방향의 지질 탐사와 동시에 지중관로의 궤적을 산출하는 장치
Ékes et al. Completing condition assessments using in-pipe GPR as pipe penetrating radar
Ékes et al. Robot mounted GPR for pipe inspection
Abd Gani et al. Undergrounds water pipe mapping using ground penetrating radar and global positioning system
WO2021077234A1 (en) Underground localization using ground penetrating radar
JPH06174837A (ja) 地中埋設管の継手位置検知方法
CN116908830A (zh) 埋地管道阀门井探测方法
CN104090304A (zh) 直接对非金属管线远距离探测的方法及系统
Xu et al. Research on application of Ground Penetrating Radar in road Inspection
Siggins et al. Laboratory simulation of high-frequency GPR responses of damaged tunnel liners
WO2021250663A1 (en) An excavator system for locating an underground utility line
KR200194861Y1 (ko) 지피알 시스템을 이용한 지하매설물 탐측장치의 수신신호해석부
JP2018119904A (ja) レーダ地中探査装置及びレーダ地中探査方法
Hoffer Underground Locators: Overview and Challenges| SoftDig
Chen Research on Application of Ground Penetrating Radar in Detecting Underground Void Areas and Pipelines
Ralston et al. Use of ground penetrating radar in underground coal mi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