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6748A - 기계형 통신 기술에서 전자 장치의 전력 소모를 절약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기계형 통신 기술에서 전자 장치의 전력 소모를 절약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6748A
KR20160126748A KR1020150058226A KR20150058226A KR20160126748A KR 20160126748 A KR20160126748 A KR 20160126748A KR 1020150058226 A KR1020150058226 A KR 1020150058226A KR 20150058226 A KR20150058226 A KR 20150058226A KR 20160126748 A KR20160126748 A KR 20160126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ding
channel state
signal
repetition
repetition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8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9107B1 (ko
Inventor
김상범
정경인
김성훈
이주호
장재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8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107B1/ko
Priority to CN201680023779.6A priority patent/CN107534518B/zh
Priority to US15/565,889 priority patent/US10602443B2/en
Priority to EP16783402.7A priority patent/EP3288316B1/en
Priority to PCT/KR2016/004119 priority patent/WO2016171469A1/ko
Priority to ES16783402T priority patent/ES2803200T3/es
Publication of KR20160126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6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04L1/0052Realisations of complexity reduction techniques, e.g. pipelining or use of look-up tables
    • H04L1/0053Realisations of complexity reduction techniques, e.g. pipelining or use of look-up tables specially adapted for power sa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3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n unwanted signal, e.g. interference or idle sign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Abstract

본 개시는 4G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통신 시스템을 IoT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는 기계형 통신 기술에서 전자 장치의 전력 소모를 절약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은, 신호의 수신에 대한 반복 횟수 레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디코딩 시작 시점 및 디코딩 주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반복 횟수 레벨 정보에 기반하여 반복 수신되는 상기 신호에 대해, 상기 디코딩 시작 시점 도래 시 상기 디코딩 주기마다 디코딩을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계형 통신 기술에서 전자 장치의 전력 소모를 절약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TO EFFICIENTLY SAVE THE UE POWER CONSUMPTION IN MACHINE TYPE COMMUNICATION}
본 발명의 기계형 통신 (Machine Type Communication) 기술을 구현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전력 소모를 절약하기 위한 신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이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은 사용자의 이동성을 확보하면서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이러한 이동통신 시스템은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 음성 통신은 물론 고속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단계에 이르렀다. 근거리 통신 기술 또한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한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뿐 아니라, 다양한 근거리 통신 기기들도 함께 보유하는 추세이다.
진보된 통신 기술은 사용자간뿐 만이 아니라, 모든 사물간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있으며, 이는 MTC (Machine Type Communication)라는 용어로 대변되고 있다. 기계형 통신 기기들은 단일 안테나, 저가의 수신기, 채널 환경이 열악한 위치에 설치 등 여러 요인들로 인해, 수신 감도가 좋지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계형 통신 기술에서, 기지국은 반복 전송을 통해 기계형 통신 기기에게 확장된 서비스 영역을 제공한다. 또한, 기계형 통신 기기도 기지국으로의 반복 전송을 통해 확장된 서비스 영역을 누릴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반복 전송은 기계형 통신 기기 또는 기지국에 더 많은 전력 소모를 강요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은, 신호의 수신에 대한 반복 횟수 레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디코딩 시작 시점 및 디코딩 주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반복 횟수 레벨 정보에 기반하여 반복 수신되는 상기 신호에 대해, 상기 디코딩 시작 시점 도래 시 상기 디코딩 주기마다 디코딩을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기; 및 신호의 수신에 대한 반복 횟수 레벨 정보를 획득하고, 디코딩 시작 시점 및 디코딩 주기를 결정하며, 상기 반복 횟수 레벨 정보에 기반하여 반복 수신되는 상기 신호에 대해, 상기 디코딩 시작 시점 도래 시 상기 디코딩 주기마다 디코딩을 시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기술에 따르면, 기지국 및 기계형 통신 기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반복 수신하는 신호의 디코딩 시작 시점 및 디코딩 주기를 설정함으로써, 반복 수신되는 신호에 대해 디코딩으로 인해 소모되는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채널 상태, 채널 상태 변화 및 수신하는 메시지 타입 등에 기반하여 디코딩 시작 시점 및 디코딩 주기를 변경함으로써 보다 적응적으로 소모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한 예시인 LTE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한 예시인 LTE 시스템에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에서 DRX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기계형 통신 기기에 적용되는 상이한 두 서비스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각 기계형 통신 기기들이 액세스를 위해 사용할 서브 밴드와 EPDCCH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기계형 통신 기기를 위해 서비스 영역을 확대하기 위한, EPDCCH와 데이터를 재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EPDCCH의 반복 주기와 DRX 주기를 연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신호 수신 반복 횟수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단말의 전력 소모 요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디코딩 시작 시점과 디코딩 주기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코딩 시작 시점과 디코딩 주기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코딩 시작 시점과 디코딩 주기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신호 수신 및 신호 처리와 관련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코딩 시작 시점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코딩 시작 시점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코딩 시작 시점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코딩 시작 시점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코딩 시작 시점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서 확장된 서비스 영역에서 시스템 정보 중 하나인 MIB을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MIB 패턴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MIB 패턴을 획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전자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발명 가운데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개시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또는"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는,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또는 A 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 가운데 "제 1, " "제2, " "첫째, "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이 본 발명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모두 사용자 기기이며,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LTE 시스템을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발명의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 및 채널형태를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에도 본 발명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약간의 변형으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자 장치"는, 단말 및/또는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기계형 통신 기술이 적용되는 기계형 통신 기기, MTC 단말 및/또는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간에 송수신하는 "신호"는, 다양한 신호 예컨대 제어 정보 및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메시지의 형식으로 전자 장치간에 송수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한 예시인 LTE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LTE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차세대 기지국(예: Evolved Node B, 이하 ENB, 노드 B (Node B) 또는 기지국(base station))(105, 110, 115, 120), MME (125, Mobility Management Entity) 및 S-GW(130, Serving-Gateway)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예: User Equipment, 이하 UE 또는 단말(terminal))(135)은 ENB(105 ~ 120) 및 S-GW(130)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도 1에서 ENB(105 ~ 120)는 예컨대,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시스템의 기존 노드 B에 대응된다. ENB는 UE(135)와 무선 채널로 연결되며 기존 노드 B 보다 복잡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LTE 시스템에서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한 VoIP(Voice over IP)와 같은 실시간 서비스를 비롯한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용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 되므로, UE들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을 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ENB(105 ~ 120)가 담당한다. 하나의 ENB(105 ~ 120)는 다수의 셀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100 Mbps의 전송 속도를 구현하기 위해서 LTE 시스템은 예컨대, 20 MHz 대역폭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한다)을 무선 접속 기술로 사용한다. 또한 단말의 채널 상태에 맞춰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과 채널 코딩률(channel coding rate)을 결정하는 적응 변조 코딩(Adaptive Modulation & Coding, 이하 AMC라 한다) 방식을 적용한다. S-GW(130)는 데이터 베어러를 제공하는 장치이며, MME(125)의 제어에 따라서 데이터 베어러를 생성하거나 제거한다. MME(125)는 UE(135)에 대한 이동성 관리 기능은 물론 각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다수의 ENB(105 ~ 120) 들과 연결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한 예시인 LTE 시스템에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LTE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은 단말과 ENB에서 각각 PDCP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205, 240), RLC (Radio Link Control 210, 235), MAC (Medium Access Control 215, 230)으로 이루어진다. PDCP(205, 240)는 IP 헤더 압축/복원 등의 동작을 담당하고, RLC (210, 235)는 PDCP PDU(Packet Data Unit)를 적절한 크기로 재구성해서 ARQ 동작 등을 수행한다. MAC(215, 230)은 한 단말에 구성된 여러 RLC 계층 장치들과 연결되며, RLC PDU들을 MAC PDU에 다중화하고 MAC PDU로부터 RLC PDU들을 역다중화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PHY (물리 계층 220, 225)은 상위 계층 데이터를 채널 코딩 및 변조하고, OFDM 심벌로 만들어서 무선 채널로 전송하거나,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한 OFDM 심벌을 복조하고 채널 디코딩해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동작을 한다.
도 3는 본 발명에서 전자 장치의 전력 소모를 절약하기 위한 DRX (Discontinuous RX)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DRX는 예컨대 단말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적용되며, 스케줄링 정보를 얻기 위해, 미리 정해진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에서만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기술이다. DRX는 대기 모드와 연결 모드에서 모두 동작 가능하며, 동작 방법은 각 모드에서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연결 모드에서, 단말이 스케줄링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PDCCH을 모니터링하는 것은 큰 전력 소모를 야기할 것이다. 따라서, 기본적인 DRX 동작으로, 전자 장치(예컨대, 단말)는 DRX 주기(300)를 갖고, on-duration(305) 시간 동안만 PDCCH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연결 모드에서 DRX 주기는 long DRX 와 short DRX의 두 가지 값이 설정될 수 있다. 일반적인 경우엔 long DRX 주기가 적용되며, 필요에 따라, 기지국은 MAC CE (Control Element)을 이용해, short DRX 주기를 트리거시킬 수 있다. 일정 시간이 지난 후, 단말은 short DRX 주기에서 long DRX 주기로 변경할 수 있다.
특정 단말의 초기 스케줄링 정보는 미리 정해진 PDCCH에서만 제공된다. 따라서, 단말은 주기적으로 PDCCH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만약 on-duration(305) 시간 동안, 새로운 패킷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가 PDCCH에 의해 수신되면(310), 단말은 DRX 비활성 타이머(DRX inactivity timer, IAT 315)를 시작한다. 단말은 DRX 비활성 타이머가 동작하는 동안 활성화 상태를 유지한다. 즉, PDCCH 모니터링을 지속한다.
또한, 단말은 HARQ RTT 타이머(HARQ RTT timer, RTT 320)도 시작한다. HARQ RTT 타이머는 단말이 HARQ RTT (Round Trip Time) 시간 동안 불필요하게 PDCCH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용되며, 상기 타이머 동작 시간 동안, 단말은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단, DRX 비활성 타이머와 HARQ RTT 타이머가 동시에 동작하는 동안에는 단말은 DRX 비활성 타이머를 기준으로 PDCCH 모니터링을 지속한다. HARQ RTT 타이머가 만료되면, DRX 재전송 타이머(DRX retransmission timer, RTX 325)가 시작된다. 상기 DRX 재전송 타이머가 동작하는 동안, 단말은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해야 한다. DRX 재전송 타이머의 동작 시간 동안, HARQ 재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가 수신될 수 있다(330).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면, 단말은 바로 DRX 재전송 타이머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다시 HARQ RTT 타이머를 시작한다. 단말은 위의 동작을 상기 패킷이 성공적으로 수신될 때까지 지속할 수 있다(335).
한편, 연결 모드에서의 DRX 동작과 관련된 설정 정보들은 RRC 연결 재설정(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를 통해 단말에게 전달된다. on-duration 타이머, DRX 비활성 타이머, DRX 재전송 타이머는 PDCCH 서브프레임(subframe)의 수로 정의된다. 타이머가 시작한 이 후, PDCCH 서브프레임으로 정의된 서브프레임이 설정된 수만큼 지나가면, 상기 타이머가 만료된다. FDD (Frequency Division Duplex)에서는 모든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PDCCH 서브프레임에 속하며, TDD (Time Division Duplex)에서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스페셜 서브프레임이 이에 해당한다. TDD 에서는 동일 주파수 대역에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및 스페셜 서브프레임이 존재한다. 이 중,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스페셜 서브프레임이 PDCCH 서브프레임으로 간주된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전자 장치, 예컨대 기계형 통신 기기(예: MTC UE)에 적용되는 상이한 두 서비스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기계형 통신 기기를 지원하는 기지국(예: eNB 400)은 예컨대 두 종류의 서비스 영역을 지원해야 할 수 있다. 한 예시로, 기계형 통신 기기(405)는 기존의 서비스 영역(Normal coverage 41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기계형 통신 기기(405)는 예컨대 지하실 등 기존의 서비스 영역(410) 밖에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확장된 서비스 영역(Enhanced coverage 415)라고 일컬을 수 있다. 혹은 기계형 통신 기기(405)는 단일 안테나, 저가의 수신기를 적용하여, 일반 단말에 비해, 수신 성능이 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기계형 통신 기기(405)에게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서비스 영역을 확장해야 할 수 있다..
기계형 통신 기기(405)의 서비스 영역을 확장하는 방법은 반복적인 송수신이다. 예를 들어, 확장된 서비스 영역을 필요로 하는 기계형 통신 기기(405) 혹은 일반 단말에게 기지국은 전달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반복 전송할 수 있다. 기계형 통신 기기(405)도 반복적으로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의 비트 에너지를 축적하여 소프트 컴바이닝을 수행함으로써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디코딩할 수 있다. 따라서, 기계형 통신 기기(405)에 일반 서비스 영역(410) 혹은 확장된 서비스 영역(415)을 적용하는냐에 따라, 송수신 동작 특성이 달라진다. 상기 반복되는 데이터 혹은 메시지(예: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간 송수신하는 신호는 확장된 서비스 영역에서 반복 전송된다고 가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각 전자 장치, 예컨대 기계형 통신 기기들이 액세스를 위해 사용할 서브 밴드와 EPDCCH (Enhanced PDCCH)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기계형 통신 기기는 1.4 MHz 의 제한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하는 1.4 MHz 대역은 주파수 호빙 (hopping)할 수도 있다. 하향링크 주파수 대역(DL bandwidth 500)내에 복수 개의 1.4 MHz 주파주 대역의 서브 밴드(sub-band 0 내지 2, 525, 530, 535)가 존재한다면, 복수 개의 EPDCCH 무선 자원(520)이 존재할 수 있다. 1.4 MHz 대역을 사용하는 기계형 통신 기기들은 더 넓은 하향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되는 PDCCH(540)을 수신할 수 없다. 따라서, PDCCH을 대신해,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해줄 수 있는 신규 제어 채널이 필요하다. EPDCCH는 기존의 PDSCH 영역에서 전송되면서 PDCCH의 역할을 해주는 제어 채널이다. 기계형 통신 기기를 위한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EPDCCH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각 기계형 통신 기기, 예컨대 MTC 단말(505, 510, 515)은 어느 하나의 서브 밴드의 EPDCCH을 사용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각 서브 밴드의 부하를 분산시키기 위해, 각 MTC 단말(505, 510, 515)들은 랜덤하게 하나의 서브 밴드를 선택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기계형 통신 기기를 위해 서비스 영역을 확대하기 위한, EPDCCH와 데이터를 재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기계형 통신 기기는 예컨대, 단일 안테나, 저가 수신기로 인한 수신 성능 저하, 기존 서비스 영역에서 벗어난 설치 등 여러 이유로 인해, 확장된 서비스 영역을 필요로 한다. 이를 지원하기 위해, 기지국은 통신을 위한 다양한 제어 정보와 일반 데이터를 반복 전송한다. 기계형 통신 기기는 반복 전송되는 신호를 소프트 컴바이닝(soft combining)하여, 기존의 서비스 영역에 벗어난 상당히 먼 거리에서도 원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기계형 통신 기기는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한 EPDDCH(600)을 반복 수신할 수 있다. 기계형 통신 기기는 수신한 복수 개의 EPDCCH을 소프트 컴바이닝하여, 디코딩을 수행한다. 상기 획득한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데이터(605)를 수신한다. 상기 데이터 역시 반복 전송될 것이다. 한편, 도면에서 설명되지는 않았으나, 기계형 통신 기기가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신호 또한 동일한 이유로 반복 전송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EPDCCH의 반복 주기와 DRX 주기를 연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신호의 반복 전송이 적용될 경우에도, 여전히 단말은 최대한 전력 소모를 절약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DRX 개념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반복 전송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반복 전송이 특정 타이밍(700)을 가지고 시작할 것이다. 즉, 미리 정의된 특정 타이밍에서 EPDCCH가 반복 전송되기 시작하며, 상기 EPDCCH가 지시하는 데이터(715)가 순차적으로 반복 전송될 것이다. 상기 EPDCCH와 데이터의 반복 전송이 종료되면, 새로운 EPDCCH와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반복 전송된다. 따라서, 이전 EPDCCH와 새로운 EPDCCH의 시작 사이에는 일정 크기의 EPDCCH의 반복 주기(705)가 존재하게 된다.
기계형 통기 기기에 적용되는 새로운 DRX의 주기(720)는 상기 반복 주기에 맞춰 결정될 수 있다. 기계형 통신 기기는 DRX 주기마다 깨어나, EPDCCH을 획득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반복 주기에 맞춰 DRX 주기가 결정되지 않으면, EPDCCH가 전송되지 않은 시간 구간에서 깨어나 EPDCCH을 수신 시도할 것이다. 즉, 설정될 DRX 주기는 상기 EPDCCH의 반복 주기의 배수로 설정되어야 한다. 상기 EPDCCH를 반복하는 횟수는 예컨대 20 ~ 200 번으로 매우 많아, 자연히 EPDCCH의 반복 주기도 길어질 수 있다. 이는 DRX 주기의 최대값도 확대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또한, DRX 주기의 최대값은 SFN (System Frame Number) 주기에 의해 제한되므로, 예컨대, 10.24 초 이상의 매우 긴 DRX 주기가 필요할 경우엔 SFN 주기도 같이 확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추가적으로 SFN 비트가 단말에게 제공될 수 있다.
DRX 주기가 도래하면, 기계형 통신 기기는 깨어나, 반복 전송되는 EPDCCH을 수신해야 한다. 이는 on-duration(725) 내에 이루어져야 한다. 역시 상기와 같은 이유에서 on-duration 구간은 확대되어야 한다. 한 예로, 확대되는 on-duration 구간은 기계형 통신 기기가 적어도 하나의 EPDCCH에 대한 모든 반복 전송을 수신할 수 있도록 길어야 한다. 예를 들어, EPDCCH의 반복 전송이 연속된 40 개의 서브프레임 (1 ms)들에서 매 서브프레임마다 전송된다면, on-duration의 길이는 적어도 40 ms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신호 수신 반복 횟수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도면은 한 예시로써 단말(예: 기계형 통신 기기)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의 반복 횟수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나, 단말이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신호의 반복 회수를 결정하는 데에도 유사한 기술적 사상이 적용됨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반복 횟수(예컨대, 신호 수신 또는 신호 전송의 반복 횟수)를 단말(800)이 결정한 후, 기지국(805)에 결정된 반복 횟수를 보고하는 방법(810, 옵션 1)이 있을 수 있고, 단말(800)이 반복 횟수를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여 기지국(805)에 보고하고, 기지국(805)이 상기 정보를 바탕으로 반복 횟수를 결정하는 방법(825, 옵션 2)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반복 횟수는 데이터 및 메시지(예: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도 있고, 혹은 데이터 및 메시지 종류마다 다르게 적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EPDCCH와 일반 데이터의 반복 횟수는 동일하거나 혹은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EPDCCH와 데이터의 코딩률, 변조 방식등에 따라 채널 에러를 극복하는 정도가 다르므로, 반복 횟수가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유사한 이유로, 취약한 채널 혹은 메시지에 더 많은 반복 횟수를 적용할 수 있다.
옵션 1(810)을 참조하면, 단말(800)은 815 단계에서, 반복 횟수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수집하고, 소정의 규칙에 따라 반복 횟수를 결정할 수 있다 . 반복 횟수를 결정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다. 예를 들어,
1) 예컨대, LTE 기술에서는 채널 상태를 반영하는 가장 대표적인 지표(이하, 채널 상태 정보)인 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Q (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등을 사용하여, 요구되는 반복 횟수를 결정할 수 있다. 미리 혹은 시그널링된 측정 구간 동안 상기 지표들을 측정한 후, 적어도 하나의 특정 채널 상태 임계 값을 기준으로 필요한 반복 횟수를 결정할 수 있다.
2) 이전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에서 액세스 성공까지 반복 전송된 프리앰블의 횟수를 필요한 반복 횟수로 결정할 수 있다.
3) 이전 시스템 정보, 예를 들어, MIB, SIB1, SIB2, ...를 성공적으로 수신할 때까지 상기 시스템 정보를 반복 수신한 횟수를 필요한 반복 횟수로 결정할 수 있다.
필요한 반복 횟수 그대로 지원하기 보다는 특정 단위, 즉, 특정 반복 횟수와 일대일 대응되는 반복 횟수 레벨 (repetition level)을 기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복 횟수 레벨 1은 반복 횟수 200 회, 반복 횟수 레벨 2은 반복 횟수 300 회로 맵핑될 수 있다. 측정된 RSRP 혹은 RSRQ 의 값을 바탕으로, 필요한 반복 횟수 250 회 정도로 계산된다면, 단말은 반복 횟수 레벨 2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레벨을 도입하는 이유는 실제 시스템에서 다양한 반복 횟수를 지원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수신 측에게 다양한 반복 횟수를 정확히 알려주기 위해서는, 시그널링 비트 수가 증가하는 등 복잡도가 증가되기 때문이다.
LTE 기술에서는 동시에 복수 개의 단말들을 서비스해줘야 하기에, 본 발명의 한 예시에 따르면, 동일한 반복 횟수 레벨를 가진 단말들을 그룹 별로 반복 송수신 주기를 맞춰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말(800)은 820 단계에서, 결정된 반복 횟수 레벨을 기지국(805)에게 보고할 수 있다.
옵션 2(825)를 참조하면, 단말(800)은 830 단계에서, 반복 횟수, 예컨대 반복 횟수 레벨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앞서 옵션 1에서 설명한 정보, 예컨대 채널 상태 정보, 프리앰블 반복 전송 횟수 또는 시스템 정보 반복 수신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805)은 835 단계에서, 단말(800)에 적용할 반복 횟수 레벨을 결정하기 위해 단말(800)로부터 상기 정보를 보고받을 수 있다.
아니면, 기지국(805)은 자신이 직접 상기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만약, 이전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에서 액세스 성공까지 반복 전송된 프리앰블의 횟수를 필요한 반복 횟수로 결정한다면, 기지국(805)은 단말(800)에게 특정 정보를 보고받을 필요가 없을 수 있다. 기지국(805)은 840 단계에서 상기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800)에 적용할 반복 횟수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805)은 845 단계에서 결정한 반복 횟수 레벨을 단말(845)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단말(예: 기계형 통신 기기)의 전력 소모 요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용이성을 위해, 한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EPDCCH (910)을 반복 수신한다고 가정하자. 앞서 설명하였듯이, 실제 단말이 EPDCCH를 성공적으로 디코딩하는데 필요한 송수신 반복 횟수(915)는 설정된 반복 횟수 레벨과 맵핑되는 반복 횟수보다는 같거나 작을 것이다. 소정의 규칙에 따라, 예를 들어, RSRP/RSRQ에 기반하여 결정된 반복 횟수는 반복 횟수 레벨 1(900)과 맵핑되는 반복 횟수보다는 크고, 반복 횟수 레벨 2(905)와 맵핑되는 반복 횟수보다는 작다고 가정할 때, 기지국과 단말은 반복 횟수 레벨 2를 적용할 수 있다.
단말이 반복 횟수 레벨 2와 맵핑되는 반복 횟수가 도달하기 전에 소프트 컴바이닝을 수행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면, 분명 단말은 역시 반복 횟수 레벨 2와 맵핑되는 반복 횟수가 도달하기 전에 EPDCCH를 성공적으로 디코딩해낼 수 있을 것이다(915). 따라서, EPDCCH를 획득하였기 때문에, 단말은 반복 전송되고 있는 EPDCCH를 더 이상 수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수신하지 않는 횟수(920)가 상대적으로 적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수신 동작을 중지함으로써 단말은 전력 소모를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LTE 표준에서는 PRACH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반복 횟수 레벨을 총 4 가지 (레벨 0은 반복 미 적용)로 갖기로 결정하였으며, 시스템 정보의 필요한 최대 반복 전송 횟수는 최대 300 회로 분석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레벨 간 횟수 차이를 예컨대 100 회 정도로 가정한다면, 불필요하게 수신할 수 있는 횟수는 작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단말의 전력 소모를 절약한다는 측면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반복 횟수 레벨 2와 맵핑되는 반복 횟수가 도달하기 전에 디코딩(decoding)을 시도하는 것은 이점이 있다. 특히 기계형 통신 기기에게는 전력 소모 절약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므로 보다 의미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단말은 실제 어느 시점에서 디코딩을 성공할지를 확신할 수 없다. 그렇다고 EPDCCH을 포함한 매 서브프레임마다 지속적으로 디코딩을 수행하는 것은 또 다른 전력 소모를 야기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단말이 적용된 반복 횟수 레벨과 맵핑되는 반복 횟수가 도달하기 전에 디코딩을 수행하되, 디코딩을 수행하는 시점 및 디코딩 주기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아래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겠지만, 반복 전송 횟수를 결정하는 지표(예컨대, 채널 상태 정보), 획득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종류 또는 반복 전송 횟수 결정 과정에서의 오차율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디코딩 시작 시점 및 디코딩 수행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아래의 명세서에서는 수신 측이 단말(예: 기계형 통신 기기)인 경우의 단말 동작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수신 측이 기지국일 경우, 기지국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물론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디코딩 시작 시점과 디코딩 주기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디코딩 시작 시점(1020)을 적용된 반복 횟수 레벨(1005)보다 소정 단계(예: 한 단계) 낮은 레벨(1000)과 대응하는 반복 횟수가 끝나는 시점(1020)을 기반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지국 혹은 단말이 하나의 반복 횟수 레벨을 결정하였을 때에는, 필요한 반복 횟수(1010)(즉, 디코딩이 성공 가능한 반복 횟수)는 적용된 반복 횟수 레벨보다 한 단계 낮은 레벨과 대응하는 반복 횟수보다는 크고, 적용된 반복 횟수 레벨과 대응하는 반복 횟수와는 같거나 작기 때문이다.
반복 전송 횟수를 결정하는 과정에서의 오차율이 거의 없다면, 적용된 반복 횟수 레벨보다 한 단계 낮은 레벨과 대응하는 반복 횟수보다 작은 횟수를 수신하여, 소프트 컴바이닝을 시도하여도 성공할 확률은 극히 낮을 것이다. 따라서, 디코딩 시작 시점 (1020)은 적용된 반복 횟수 레벨보다 적어도 한 단계 낮은 레벨과 대응하는 반복 횟수가 끝나는 시점을 기반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디코딩 시작 시점(1020)을 기준으로, 단말은 디코딩을 시도할 수 있다.
한 단계 낮은 레벨과 대응하는 반복 횟수가 끝나는 시점부터 디코딩을 시도하더라도, 신호(예: EPDCCH)가 전송되는 매 서브프레임마다 디코딩을 시도하는 것은 여전히 비효율적이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레벨간 반복 횟수의 차이는 100 회가 넘는 등 매우 많기 때문에, 매 서브프레임마다 디코딩을 시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디코딩 주기(1025)를 정의하여, 매 주기마다 디코딩을 시도할 수 있다. 상기 디코딩 주기는 반복 전송 횟수를 결정하는 지표(예: 채널 상태 정보), 획득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종류 또는 반복 전송 횟수 결정 과정에서의 오차율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은 디코딩이 성공하면(1010), 그 이후에 더 이상 신호를 반복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1015).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코딩 시작 시점과 디코딩 주기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디코딩 시작 시점(1120)을 반복 전송 횟수를 결정하는 지표(예: 채널 상태 정보), 획득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종류 또는 반복 전송 횟수 결정 과정에서의 오차율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지국 혹은 단말이 필요한 반복 횟수(1110)(즉, 디코딩이 성공 가능한 반복 횟수)는 적용된 반복 횟수 레벨보다 소정 단계(예: 한 단계) 낮은 레벨과 대응하는 반복 횟수(1100)보다는 크고, 적용된 반복 횟수 레벨과 대응하는 반복 횟수(1105)와는 같거나 작다. 그러나, 단말 또는 기지국이 여러 지표를 통해, 도출했던 필요한 반복 횟수(1110)에는 오차가 존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오차가 발생하는 대표적인 원인은 단말의 이동이다. 한 단말이 채널이 열악한 위치에서 필요한 반복 횟수를 도출하였는데, 상기 단말이 채널이 양호한 위치로 이동할 경우, 실제 필요한 반복 횟수(즉, 디코딩이 성공 가능한 반복 횟수)는 상기 도출했던 반복 횟수보다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적용된 반복 횟수 레벨보다 한 단계 낮은 레벨과 대응하는 반복 횟수보다 작은 횟수를 수신하여, 소프트 컴바이닝을 시도하여도 성공할 확률은 여전히 존재한다. 이는 디코딩 시작 시점 (1120)을 오차율을 고려하여, 적용된 반복 횟수 레벨 보다 한 단계 낮은 레벨의 반복 횟수가 끝내는 시점보다 더 낮게 설정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예컨대, 반복 횟수 레벨을 결정한 이후, 단말은 여전히 빠른 속도로 이동 중이고, 채널 상태가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다고 판단되면, 디코딩을 더 일찍 시작할 수 있다(1120). 이 경우, 단말은 데이터를 더 빨리 획득하여, 그만큼 반복 수신을 일찍 중지하여 단말 전력 소모를 절약할 수 있다. 반대로, 단말은 여전히 빠른 속도로 이동 중이고, 채널 상태가 점진적으로 악화되고 있다고 판단되면, 디코딩을 더 늦게 시작할 수 있다(1125). 이 경우, 단말은 디코딩 성공 가능성이 낮은 상황에서 불필요하게 디코딩을 시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예시로, 획득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종류가 디코딩 시점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는 신호(예: 데이터 또는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LTE 기술에서 기지국과 단말이 주고받은 메시지 중에는 긴급을 요구하는 메시지들이 있다. 예를 들어, ETWS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 CMAS (Commercial Mobile Alert Service)와 같은 재난 경보 메시지들은 예컨대, SIB10, 11, 12의 시스템 정보를 통해 단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재난 발생 여부는 페이징 메시지를 통해 단말들에게 알려질 수 있고,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SIB1의 시스템 정보를 통해 상기 SIB10, 11, 12의 스케줄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획득한 상기 SIB10, 11, 12의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여 재난 발생 여부, 즉 긴급을 요구하는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말이 상기 SIB10, 11, 12를 수신할 때, 가급적 빨리 디코딩에 성공하여 필요한 재난 정보를 획득한다면, 재난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수신할 메시지가 해당 메시지 종류인 경우, 상기 메시지 종류에 대응하는 시점부터 미리 디코딩을 시도할 수 있다. 또는, 수신할 메시지가 해당 메시지 종류인 경우, 약간의 디코딩 성공 확률이 존재한다면, 해당 시점부터 디코딩을 시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수신할 메시지가 해당 메시지 종류인 경우, 디코딩 주기(1130)도 더 짧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메시지의 종류는 디코딩 시작 시점 및 디코딩 주기를 적용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척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메시지의 종류가 미리 설정된 종류인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코딩 시작 시점 및 디코딩 주기를 적용하여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예시로, 반복 전송 횟수를 결정하는 지표의 값(예: 채널 상태 정보)이 디코딩 시점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상태 정보 중 RSRP 혹은 RSRQ을 이용하여 반복 횟수 레벨을 결정한다고 가정하자. 기지국 혹은 단말은 CRS (Common Reference Signal)의 RSRP 혹은 RSRQ을 측정한 후, 예시로써 하기와 같은 조건들을 이용하여, 적절한 반복 횟수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CRS 대신 UE-specific RS 혹은 MTC-specific RS가 이용될 수도 있다.
CRS 신호 품질 (예: RSRP) < 임계 값 A이면, 반복 횟수 레벨 3
임계 값 A = CRS 신호 품질 < 임계 값 B이면, 반복 횟수 레벨 2
임계 값 B = CRS 신호 품질이면, 반복 횟수 레벨 1
여기서 임계 값은 반복 회수 레벨을 구분하는 채널 상태 임계 값을 의미하고, 임계 값 A < 임계 값 B 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CRS 신호 품질은 디코딩 시점을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CRS 신호 품질이 임계 값 A보다 크고, 임계 값 B보다 작아 반복 횟수 레벨 2을 결정한 경우를 가정해 보자. 상기 CRS 신호 품질이 임계 값 A보다 임계 값 B에 더 가까울 수도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만약 상기 CRS 신호 품질이 임계 값 A에 더 가깝다면, 디코딩 시점은 반복 횟수 레벨 2 근처에서 시작할 수 있다. 그렇지 않고 임계 값 B에 더 가깝다면, 반복 횟수 레벨 1 근처에서 시작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채널 상태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채널 상태 임계 값의 차이를 고려하여 디코딩 시작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은 디코딩이 성공하면(1110), 그 이후에 더 이상 신호를 반복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1115).
도 12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코딩 시작 시점과 디코딩 주기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황에 따라 디코딩 시작 시점(1220)을 반복 전송이 시작하는 시점으로 고정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이 필요한 반복 횟수(1210)(즉, 디코딩이 성공 가능한 반복 횟수)는 적용된 반복 횟수 레벨 보다 한 단계 낮은 레벨과 대응하는 반복 횟수(1200)보다는 크고, 결정한 반복 횟수 레벨과 대응하는 반복 횟수(1205)와는 같거나 작다. 그러나, 단말이 이동하여 채널 상태가 급격히 좋아지는 경우, 단말은 반복 전송이 시작하는 시점부터 디코딩을 시작할 수 있다(1220). 또한, 디코딩 주기(1225)를 다소 길게 조정하여, 디코딩으로 인한 부하를 줄여줄 수도 있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예컨대, 긴급을 요구하는 메시지들, 즉 긴급 전화, 재난 경보(예: ETWS, CMAS 등) 등에 대해 최대한 빨리 정보를 획득 할 수 있도록, 반복 전송이 시작하는 시점부터 디코딩을 시작할 수 있다(122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은 디코딩이 성공하면(1210), 그 이후에 더 이상 신호를 반복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1215).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컨대, 단말 또는 기지국)의 신호 수신 및 신호 처리와 관련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300 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일반 모드(예: 일반 서비스 영역에 해당)로 신호 수신이 가능한지 아니면 확장된 모드(예: 확장된 서비스 영역에 해당)로 신호 수신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반 모드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면, 전자 장치는 1305 단계에서 기존의 신호 수신 및 처리 과정을 수행한다.
그렇지 않고, 확장된 모드로 신호 수신이 필요하다면, 1310 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반복 횟수 레벨을 획득할 수 있다. 앞서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반복 횟수 레벨은 기지국 혹은 단말이 결정하며, 결정된 레벨은 기지국, 단말 모두 알고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 부가적인 시그널링이 있을 수 있다.
1315 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다양한 방법으로 디코딩 시작 시점과 디코딩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앞서 도 9 내지 도 11에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 예를 기반으로 전자 장치는 디코딩 시작 시점 및 디코딩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단계의 디코딩 시작 시점을 결정하는 방법과 관련해서는 아래 도 14 내지 18을 통해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1320 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반복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며, 소프트 컴바이닝을 위해, 비트 에너지를 축척할 수 있다.
1325 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디코딩 시작 시점이 도래하면, 매 디코딩 주기마다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1330 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디코딩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 판단할 수 있다.
1340 단계에서 만약 디코딩에 성공했다면, 전자 장치는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신호 수신을 중지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단말은 RF 모듈, 모뎀의 동작을 다음 신호의 반복 전송이 시작할 때까지 중지시킬 수 있다. 그렇지 않고, 디코딩에 성공하지 못했다면, 1335 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다음 디코딩 주기에서 디코딩을 수행한 후, 1330 단계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코딩 시작 시점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400 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적용된 반복 횟수 레벨(N)을 확인할 수 있다.
1405 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적용된 반복 횟수 레벨 보다 소정 레벨(예: 한 레벨) 작은 레벨(N-1)에 대응하는 반복 횟수가 끝나는 시점을 기반으로 디코딩 시작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코딩 시작 시점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적용된 반복 횟수 레벨은 채널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을 가정한다. 적어도 하나의 채널 상태 임계 값과 채널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반복 횟수 레벨이 결정된 것을 가정한다.
1500 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적용된 반복 횟수 레벨(N)을 확인할 수 있다.
1505 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채널 상태 정보(예: RSRP, RSRQ)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채널 상태 정보는 상기 반복 횟수 레벨(N)을 결정하는 데에 사용된 정보일 수도 있고, 디코딩 시작 시점을 결정하기 위해 새롭게 획득된 정보일 수도 있다.
1510 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채널 상태 정보를, 반복 횟수 레벨을 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 상태 임계 값과 비교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채널 상태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채널 상태 임계 값과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채널 상태 정보가 임계 값 A와 임계 값 B 사이(A<B)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임계 값 A와의 차이 및/또는 임계 값 B와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1515 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적용된 반복 횟수 레벨 보다 소정 레벨(예: 한 레벨) 작은 레벨(N-1)에 대응하는 반복 횟수가 끝나는 시점을 기반으로, 채널 상태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채널 상태 임계 값과의 차이를 고려하여 디코딩 시작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채널 상태 정보가 임계 값 A에 가까운 경우, N-1에 대응하는 반복 횟수가 끝나는 시점 보다 상기 차이에 대응하는 시간만큼 미리 디코딩을 시작할 수 있다. 반면, 채널 상태 정보가 임계 값 B에 가까운 경우, N-1에 대응하는 반복 횟수가 끝나는 시점 보다 상기 차이에 대응하는 시간만큼 늦게 디코딩을 시작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코딩 시작 시점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600 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적용된 반복 횟수 레벨을 확인할 수 있다.
1605 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반복 횟수 레벨을 결정할 때와 비교하여 채널 상태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는 반복 횟수 레벨을 결정할 때의 RSRP, RSRQ를 기준으로 임계 값 이상의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채널 상태가 변경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1610 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디코딩 시작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규칙은 도 14 또는 도 15에서 설명한 방법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채널 상태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 1615 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채널 상태의 오차율을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채널 상태의 오차율이란, 채널 상태가 변경된 정도를 의미할 수 있다.
1620 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상기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른 디코딩 시작 시점을 기반으로, 채널 상태 오차율을 고려하여 디코딩 시작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채널 상태가 개선된 경우, 상기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른 디코딩 시작 시점 보다 상기 오차율에 대응하는 시간만큼 미리 디코딩을 시작할 수 있다. 반면, 채널 상태가 악화된 경우, 상기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른 디코딩 시작 시점 보다 상기 오차율에 대응하는 시간만큼 늦게 디코딩을 시작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코딩 시작 시점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700 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적용된 반복 횟수 레벨을 확인할 수 있다.
1705 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신호를 수신하고, 소프트 컴바이닝을 위해 수신한 신호들의 비트 에너지를 축적할 수 있다.
1710 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축적된 비트 에너지를 기반으로, 디코딩 성공 확률이 임계치 이상(또는 초과)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디코딩 성공 확률이 임계치 이상(또는 초과)이 아닌 경우, 전자 장치는 계속 반복하여 신호를 수신하며 비트 에너지를 축적할 수 있다.
만약, 디코딩 성공 확률이 임계치 이상(또는 초과)인 경우, 1715 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디코딩 성공 확률이 임계치 이상(또는 초과)되는 시점에 기반하여 디코딩 시작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는, 디코딩 성공 확률이 임계치 이상(또는 초과)되는 시점부터 디코딩을 시작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코딩 시작 시점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800 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적용된 반복 횟수 레벨을 확인할 수 있다.
1805 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수신할 메시지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는 신호(예컨대, 제어 정보 또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1810 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수신할 메시지의 종류가 소정의 메시지 종류(예: 긴급을 요하는 메시지 종류)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수신할 메시지가 소정의 메시지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다면, 전자 장치는 1815 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디코딩 시작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규칙은 도 14 내지 도 17 에서 설명한 방법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수신할 메시지가 소정의 메시지 종류에 해당한다면, 제 1 실시 예로써, 전자 장치는 1820 단계에서 메시지 종류에 대응하여 디코딩 시작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수신할 메시지가 긴급을 요하는 메시지의 종류에 해당한다면, 메시지의 종류에 대응하여 반복 수신 시작 시점부터 디코딩을 시작하거나, 소정의 디코딩 시작 시점부터 디코딩을 시작하거나, 상기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결정된 디코딩 시작 시점보다 소정 시간 미리 디코딩을 시작할 수 있다.
제 2 실시 예로써, 전자 장치는 1825 단계에서 신호를 수신(메시지 수신)하고, 소프트 컴바이닝을 위해 수신한 신호들의 비트 에너지를 축적할 수 있다. 그리고, 1830 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축적된 비트 에너지를 기반으로, 디코딩 성공 확률이 임계치 이상(또는 초과)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디코딩 성공 확률이 임계치 이상(또는 초과)이 아닌 경우, 전자 장치는 계속 반복하여 신호를 수신하며 비트 에너지를 축적할 수 있다. 만약, 디코딩 성공 확률이 임계치 이상(또는 초과)인 경우, 1835 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디코딩 성공 확률이 임계치 이상(또는 초과)되는 시점에 기반하여 디코딩 시작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는, 디코딩 성공 확률이 임계치 이상(또는 초과)되는 시점부터 디코딩을 시작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에서 확장된 서비스 영역에서 시스템 정보 중 하나인 MIB를 전자 장치(예: 기계형 통신 기기,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컨대, MIB는 매 라디오 프레임 (10ms)마다 첫번째 서브프레임 위치에서 1번 전송될 수 있다. 40 ms 동안 동일한 정보를 가진 총 4번의 MIB 전송이 이루어지며, 다음 40 ms에서는 적어도 SFN 정보가 갱신된 MIB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시스템 정보 중 하나인 MIB는 확장된 서비스 영역에 있는 기계형 통신 기기들이 MIB을 수신할 수 있도록, 기존의 40 ms 마다 4번의 전송 이외에 추가적으로 반복 전송될 수 있다. MIB 내에는 SFN (System Frame Number)가 40 ms 단위마다 변경되므로, 소프트 컴바이닝을 위해, 40 ms 단위를 기준으로 동일한 정보를 가진 MIB가 반복 전송될 수 있다(1900). 다음 40 ms 단위에서는 적어도 SFN 정보가 변경된 새로운 정보를 가진 MIB가 반복 전송될 수 있다다.
MIB는 옵션 A (1905)에서처럼 40 ms 단위로 항상 전송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기계형 통신 기기는 지연 없이 어느 시점에서든 MIB을 수신하여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대신 모든 시간에서 MIB 전송을 위한 자원을 할당해줘야 한다.
옵션 B (1910)에서는 온 (1915)혹은 오프 (1920) 동작을 통해, MIB가 전송되는 시간 구간이 정해질 수 있다. 온 혹은 오프를 위한 시그널링은 L1 파라미터, MAC CE 혹은 RRC 메시지 등의 방법으로 기계형 동신 기기들에게 지시될 수 있다. 온인 구간에서는 기계형 통신 기기를 위해 반복 전송되는 MIB가 전송되며, 오프인 구간에서는 기계형 통신 기기를 위해 반복 전송되는 MIB가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오프 구간에서도 기존 일반 단말들을 위한 기존 MIB는 계속 전송될 수 있다.
옵션 C (1925)에서는 미리 정해진 패턴에 따라, 기계형 통신 기기를 위해 반복 전송되는 MIB가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000' 패턴을 가지면, 각 숫자는 40 ms 단위로 기계형 통신 기기를 위해 반복 전송되는 MIB가 전송되는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1' (1930)에서는 기계형 통신 기기를 위해 반복 전송되는 MIB가 전송되고, '0' (1935)에서는 기계형 통신 기기를 위해 반복 전송되는 MIB가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0'에서도 기존 일반 단말들을 위한 기존 MIB는 계속 전송될 수 있다. 패턴은 재설정이 될 때까지 반복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옵션 C가 적용되는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별도의 시그널링 없이 기계형 통신 기기가 패턴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활용하여, 갱신된 MIB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도 20에서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MIB 패턴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기계형 통신 기기는 MIB 정보를 획득해야 한다(2000). 상기 이벤트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 전원을 킨 경우
- 셀 선택/재선택 시
- 핸드오버를 완료한 후
- 다른 시스템에서 LTE 시스템으로 inter-RAT 핸드오버를 완료한 후
- 서비스 영역에서 벗어났다가 다시 복귀한 후
- 시스템 정보가 갱신되었을 경우
예를 들어, 전원을 킨 기계형 통신 기기는 어느 40 ms 에서 MIB이 전송되는지를 모르기 때문에, 40 ms 단위로 MIB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 을 지속한다. MIB가 반복 전송되는 40 ms 동안 MIB을 수신하여 디코딩을 수행하면, 기계형 통신 기기는 MIB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2005). 본 발명에서는 기계형 통신 기기가 MIB 정보를 이미 획득하였어도, MIB 패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MIB 수신 및 디코딩을 지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2010). 기계형 통신 기기는 일정 시간 구간 동안 블라인드 디코딩을 지속하면, 일정 패턴으로 MIB가 반복되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도 21에서는 본 발명에서 MIB 패턴을 획득하는 전자 장치(예: 기계형 통신 기기,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100 단계에서 기계형 통신 기기는 일반 모드(예: 일반 서비스 영역에 해당)로 MIB 수신이 가능한지 아니면 확장된 모드(예: 확장된 서비스 영역에 해당)로 MIB 수신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반 모드로 MIB를 수신할 수 있다면, 기계형 통신 기기는 2105 단계에서 기존의 MIB 수신 과정을 수행한다.
그렇지 않고, 확장된 모드로 MIB 수신이 필요하다면, 기계형 통신 기기는 2110 단계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구간 동안 40 ms 단위로 MIB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시간 구간 동안 MIB를 성공적으로 디코딩하여도, 상기 블라인드 디코딩을 중지하지 않고 수행한다.
상기 시간 구간이 만료된 후, 2115 단계에서 기계형 통신 기기는 40 ms 단위로 MIB 디코딩이 성공한 구간을 도출하여 MIB 패턴을 예측하고 이를 저장할 수 있다. 2120 단계에서 기계형 통신 기기는 MIB를 다시 읽어야 하는 이벤트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다. 상기 이벤트란 는 아래의 경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 서비스 영역에서 벗어났다가 다시 복귀한 후
- 시스템 정보가 갱신되었을 경우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셀 재선택, 핸드오버, inter-RAT 핸드오버 등의 경우엔 서빙 셀이 변경되는 경우로, 모든 셀이 동일한 MIB 패턴을 적용한다는 가정이 없다면, MIB 패턴 자체가 변경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엔, 상기 저장한 MIB 패턴을 사용하는 것은 무의미할 수 있다.
2125 단계에서 기계형 통신 기기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였다면, 저장해놓은 MIB 패턴을 고려하여, MIB을 수신할 수 있는 40 ms 구간이 도래할 때까지 MIB 수신 및 디코딩을 유보할 수 있다.
2130 단계에서 기계형 통신 기기는 40 ms 구간이 도래하면, MIB 수신을 시작하고,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2135 단계에서 기계형 통신 기기는 MIB 디코딩에 성공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성공하지 못하였다면 예측한 MIB 패턴이 잘못된 것이므로, 2110 단계로 이동하여, MIB 패턴을 획득하는 동작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단말 또는 기계형 통신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자 장치는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상위 계층 장치(2210)와 데이터 등을 송수신하며, 제어 메시지 처리부(2215)를 통해 제어 메시지들을 송수신한다. 그리고 전자 장치는 다른 전자 장치로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송신 시, 제어부(2220)의 제어에 따라 다중화 장치(2205)를 통해 다중화 후 송신기(2200)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반면,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수신 시, 전자 장치는 제어부(2220)의 제어에 따라 수신기(2200)로 물리신호를 수신한 후, 역다중화 장치(2205)로 수신 신호를 역다중화하고, 각각 메시지 정보에 따라 상위 계층 장치(2210) 혹은 제어 메시지 처리부(2215)로 전달한다.
한편, 상기에서는 전자 장치가 복수 개의 블록들로 구성되고 각 블록이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되었지만, 이는 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 장치(2205)가 수행하는 기능을 제어부(2220) 자체가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2220)는 신호의 수신에 대한 반복 횟수 레벨 정보를 획득하고, 디코딩 시작 시점 및 디코딩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220)는 상기 반복 횟수 레벨 정보에 기반하여 반복 수신되는 상기 신호에 대해, 상기 디코딩 시작 시점 도래 시 상기 디코딩 주기마다 디코딩을 시도할 수 있다. 제어부(2220)는 상기 반복 수신되는 신호의 비트 에너지를 축적하고, 상기 축적된 비트 에너지에 기반하여 디코딩을 시도할 수 있다.
제어부(2220)는 디코딩이 성공하면, 반복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을 중단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220)는 상기 반복 횟수 레벨 정보보다 소정 레벨(예: 한 레벨) 작은 반복 횟수 레벨에 대응하는 반복 횟수만큼 신호를 수신한 시점을 기반으로 디코딩 시작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220)는 상기 반복 횟수 레벨 정보보다 한 레벨 작은 반복 횟수 레벨에 대응하는 반복 횟수만큼 신호를 수신한 시점부터 디코딩을 시작할 수 있다.
한 실시 예로써, 상기 반복 횟수 레벨 정보는 적어도 채널 상태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채널 상태 임계 값과 비교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22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 상태 임계 값과 상기 채널 상태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220)는 상기 반복 횟수 레벨 정보보다 소정 레벨 작은 반복 횟수 레벨에 대응하는 반복 횟수만큼 상기 신호를 수신한 시점을 기반으로, 상기 비교 결과 획득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 상태 임계 값과 상기 채널 상태 정보의 차이를 고려하여 디코딩 시작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220)는 상기 반복 횟수 레벨 정보를 획득한 이후, 채널 상태 변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220)는 상기 판단 결과 채널 상태가 변경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반복 횟수 레벨 정보보다 소정 레벨 작은 반복 횟수 레벨에 대응하는 반복 횟수만큼 상기 신호를 수신한 시점을 기반으로 상기 디코딩 시작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반면, 제어부(2220)는 상기 판단 결과 채널 상태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 채널 상태 오차율을 확인하고, 상기 반복 횟수 레벨 정보보다 소정 레벨 작은 반복 횟수 레벨에 대응하는 반복 횟수만큼 상기 신호를 수신한 시점을 기반으로 상기 채널 상태 오차율을 고려하여 상기 디코딩 시작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220)는 반복 수신하는 신호의 축적된 비트 에너지에 기반하여 디코딩 성공 확률이 소정 임계 값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디코딩 성공 확률이 상기 소정 임계 값 이상이 되는 시점을 기반으로 상기 디코딩 시작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220)는 수신할 메시지가 소정 메시지 종류(예: 긴급 메시지)에 해당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2220)는 상기 수신할 메시지가 상기 소정 메시지 종류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메시지 종류에 대응하여 상기 디코딩 시작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는(2220)는 상기 수신할 메시지가 상기 소정 메시지 종류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반복 수신되는 신호의 축적된 비트 에너지에 기반하여 디코딩 성공 확률이 소정 임계 값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디코딩 시작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220)는 채널 상태 정보, 수신할 메시지 종류 또는 상기 반복 횟수 레벨 정보를 획득할 시점과의 채널 상태 오차율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디코딩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술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 요소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 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entity)로 구성됨으로써, 결합되기 이전의 해당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사용된 용어 "~기", "~부", "장치" 또는 "모듈"은, 예를 들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unit)를 의미할 수 있다. "~기", "~부", "장치" 또는 "모듈"은 예를 들어, 유닛(unit), 로직(logic), 논리 블록(logical block), 부품(component) 또는 회로(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기", "~부", "장치" 또는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기", "~부", "장치" 또는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기", "~부", "장치" 또는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기", "~부", "장치" 또는 "모듈"은,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신호의 수신에 대한 반복 횟수 레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디코딩 시작 시점 및 디코딩 주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반복 횟수 레벨 정보에 기반하여 반복 수신되는 상기 신호에 대해, 상기 디코딩 시작 시점 도래 시 상기 디코딩 주기마다 디코딩을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수신되는 신호의 비트 에너지가 축적되고,
    상기 디코딩을 시도하는 단계는, 상기 축적된 비트 에너지에 기반하여 디코딩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이 성공하면, 상기 신호의 수신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 시작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반복 횟수 레벨 정보보다 소정 레벨 작은 반복 횟수 레벨에 대응하는 반복 횟수만큼 상기 신호를 수신한 시점을 기반으로 상기 디코딩 시작 시점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횟수 레벨 정보는 적어도 채널 상태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채널 상태 임계 값과 비교하여 결정되며,
    상기 디코딩 시작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 상태 임계 값과 상기 채널 상태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반복 횟수 레벨 정보보다 소정 레벨 작은 반복 횟수 레벨에 대응하는 반복 횟수만큼 상기 신호를 수신한 시점을 기반으로, 상기 비교 결과 획득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 상태 임계 값과 상기 채널 상태 정보의 차이를 고려하여 상기 디코딩 시작 시점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횟수 레벨 정보를 획득한 이후, 채널 상태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 시작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 채널 상태가 변경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반복 횟수 레벨 정보보다 소정 레벨 작은 반복 횟수 레벨에 대응하는 반복 횟수만큼 상기 신호를 수신한 시점을 기반으로 상기 디코딩 시작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채널 상태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 채널 상태 오차율을 확인하고, 상기 반복 횟수 레벨 정보보다 소정 레벨 작은 반복 횟수 레벨에 대응하는 반복 횟수만큼 상기 신호를 수신한 시점을 기반으로 상기 채널 상태 오차율을 고려하여 상기 디코딩 시작 시점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 시작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축적된 비트 에너지에 기반하여 디코딩 성공 확률이 소정 임계 값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디코딩 성공 확률이 상기 소정 임계 값 이상이 되는 시점을 기반으로 상기 디코딩 시작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 시작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는,
    수신할 메시지가 소정 메시지 종류에 해당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할 메시지가 상기 소정 메시지 종류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메시지 종류에 대응하여 상기 디코딩 시작 시점을 결정하거나, 상기 반복 수신되는 신호의 축적된 비트 에너지에 기반하여 디코딩 성공 확률이 소정 임계 값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디코딩 시작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 주기를 결정하는 단계는,
    채널 상태 정보, 수신할 메시지 종류 또는 상기 반복 횟수 레벨 정보를 획득할 시점과의 채널 상태 오차율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디코딩 주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
  1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기; 및
    신호의 수신에 대한 반복 횟수 레벨 정보를 획득하고, 디코딩 시작 시점 및 디코딩 주기를 결정하며, 상기 반복 횟수 레벨 정보에 기반하여 반복 수신되는 상기 신호에 대해, 상기 디코딩 시작 시점 도래 시 상기 디코딩 주기마다 디코딩을 시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복 수신되는 신호의 비트 에너지를 축적하고, 상기 축적된 비트 에너지에 기반하여 상기 디코딩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코딩이 성공하면, 상기 신호의 수신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복 횟수 레벨 정보보다 소정 레벨 작은 반복 횟수 레벨에 대응하는 반복 횟수만큼 상기 신호를 수신한 시점을 기반으로 상기 디코딩 시작 시점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횟수 레벨 정보는 적어도 채널 상태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채널 상태 임계 값과 비교하여 결정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 상태 임계 값과 상기 채널 상태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반복 횟수 레벨 정보보다 소정 레벨 작은 반복 횟수 레벨에 대응하는 반복 횟수만큼 상기 신호를 수신한 시점을 기반으로, 상기 비교 결과 획득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 상태 임계 값과 상기 채널 상태 정보의 차이를 고려하여 상기 디코딩 시작 시점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복 횟수 레벨 정보를 획득한 이후, 채널 상태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 결과 채널 상태가 변경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반복 횟수 레벨 정보보다 소정 레벨 작은 반복 횟수 레벨에 대응하는 반복 횟수만큼 상기 신호를 수신한 시점을 기반으로 상기 디코딩 시작 시점을 결정하고,
    상기 판단 결과 채널 상태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 채널 상태 오차율을 확인하고, 상기 반복 횟수 레벨 정보보다 소정 레벨 작은 반복 횟수 레벨에 대응하는 반복 횟수만큼 상기 신호를 수신한 시점을 기반으로 상기 채널 상태 오차율을 고려하여 상기 디코딩 시작 시점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축적된 비트 에너지에 기반하여 디코딩 성공 확률이 소정 임계 값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디코딩 성공 확률이 상기 소정 임계 값 이상이 되는 시점을 기반으로 상기 디코딩 시작 시점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신할 메시지가 소정 메시지 종류에 해당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수신할 메시지가 상기 소정 메시지 종류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메시지 종류에 대응하여 상기 디코딩 시작 시점을 결정하거나, 상기 반복 수신되는 신호의 축적된 비트 에너지에 기반하여 디코딩 성공 확률이 소정 임계 값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디코딩 시작 시점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채널 상태 정보, 수신할 메시지 종류 또는 상기 반복 횟수 레벨 정보를 획득할 시점과의 채널 상태 오차율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디코딩 주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KR1020150058226A 2015-04-24 2015-04-24 기계형 통신 기술에서 전자 장치의 전력 소모를 절약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79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8226A KR102179107B1 (ko) 2015-04-24 2015-04-24 기계형 통신 기술에서 전자 장치의 전력 소모를 절약하는 방법 및 장치
CN201680023779.6A CN107534518B (zh) 2015-04-24 2016-04-20 节省机器类型通信技术中电子设备的功耗的方法与设备
US15/565,889 US10602443B2 (en) 2015-04-24 2016-04-20 Method and device for saving power consumption of electronic device in machine type communication technology
EP16783402.7A EP3288316B1 (en) 2015-04-24 2016-04-20 Method and device for saving power consumption of electronic device in machine type communication technology
PCT/KR2016/004119 WO2016171469A1 (ko) 2015-04-24 2016-04-20 기계형 통신 기술에서 전자 장치의 전력 소모를 절약하는 방법 및 장치
ES16783402T ES2803200T3 (es) 2015-04-24 2016-04-20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ahorrar consumo de potencia de dispositivo electrónico en tecnología de comunicación de tipo máquin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8226A KR102179107B1 (ko) 2015-04-24 2015-04-24 기계형 통신 기술에서 전자 장치의 전력 소모를 절약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6748A true KR20160126748A (ko) 2016-11-02
KR102179107B1 KR102179107B1 (ko) 2020-11-16

Family

ID=57143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8226A KR102179107B1 (ko) 2015-04-24 2015-04-24 기계형 통신 기술에서 전자 장치의 전력 소모를 절약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02443B2 (ko)
EP (1) EP3288316B1 (ko)
KR (1) KR102179107B1 (ko)
CN (1) CN107534518B (ko)
ES (1) ES2803200T3 (ko)
WO (1) WO20161714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91095B2 (en) * 2017-02-08 2021-11-30 Nokia Technologies Oy Uplink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for narrowband machine type communication
US11444743B2 (en) 2019-07-03 2022-09-13 Qualcomm Incorporated Deactivating resources for repetitions of periodic communications
WO2021062802A1 (zh) * 2019-09-30 2021-04-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系统信息的传输方法和通信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2577A2 (ko) * 2011-06-28 2013-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신호 전송/수신 방법 및 장치와, 하향링크 신호 전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40136458A (ko) * 2012-04-13 2014-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비콘 프레임의 선택적 디코딩을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5012665A1 (ko) * 2013-07-26 2015-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Mtc를 위한 신호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171B1 (ko) 2005-12-29 2009-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디코딩 장치 및 방법
US20080031250A1 (en) * 2006-08-01 2008-02-07 Mehta Neelesh B Energy accumulation in destination nodes of wireless relay networks
US20140003374A1 (en) * 2012-07-02 2014-01-02 Innovative Son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 bund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N103929779B (zh) * 2013-01-14 2019-06-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控制信息的发送、控制信息的接收方法和装置
US9900876B2 (en) * 2013-01-18 2018-02-20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Repetition transmission for downlink control signal
CN103199975B (zh) 2013-03-28 2015-10-21 武汉邮电科学研究院 一种分布式载波聚合多室内联合基站系统
WO2014200396A1 (en) * 2013-06-11 2014-12-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riggering of transmission time interval bundling based on frequency selective channel quality information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10952192B2 (en) 2013-07-29 2021-03-16 Qualcomm Incorporated Connected mode design with bundling considerations
US11252582B2 (en) * 2013-09-27 2022-02-15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for determining start time of a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WO2015109607A1 (en) * 2014-01-27 2015-07-3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enodeb, and user equipment
BR112017009269A2 (pt) * 2014-11-06 2017-12-19 Intel Ip Corp terminação antecipada de transmissões repetidas para mtc
WO2016114641A1 (ko) 2015-01-16 2016-07-21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EP3266272B1 (en) * 2015-03-02 2020-08-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managing radio link failur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10461896B2 (en) * 2017-09-08 2019-10-2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Configuration of repetition factors for transmitting feedback data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2577A2 (ko) * 2011-06-28 2013-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신호 전송/수신 방법 및 장치와, 하향링크 신호 전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40136458A (ko) * 2012-04-13 2014-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비콘 프레임의 선택적 디코딩을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5012665A1 (ko) * 2013-07-26 2015-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Mtc를 위한 신호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534518A (zh) 2018-01-02
KR102179107B1 (ko) 2020-11-16
EP3288316B1 (en) 2020-06-03
CN107534518B (zh) 2020-10-16
EP3288316A4 (en) 2018-04-18
WO2016171469A1 (ko) 2016-10-27
US10602443B2 (en) 2020-03-24
ES2803200T3 (es) 2021-01-25
US20180110002A1 (en) 2018-04-19
EP3288316A1 (en) 201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4928B1 (ko) 채널 상태 정보 보고 방법, ue, 기지국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CN109716836B (zh) 一种支持波束扫描的寻呼通知的调度
CN107258105B (zh) 运行寻呼机制以实现增强覆盖模式
CN112969227B (zh) 执行和报告测量的方法和装置
CN108293257B (zh) 用于发送和接收调度请求的方法和装置
EP3811722B1 (en) Beam tracking and recovery in connected-mode discontinuous reception mode
CN113924819B (zh) 具有快速波束管理的不连续接收唤醒过程
EP3964026B1 (en) Wireless device-autonomous procedures for missed-wake up signals
WO2018082675A1 (zh) 一种无线通信的方法和装置
US20220225258A1 (en) Enhancing timing advance validity in preconfigured uplink resource for wireless networks
JP2023500453A (ja) 構成されたグラントチャネル占有時間共有プロシージャ
CN115244882A (zh) 使用基于多下行链路控制信息消息传递的框架的上行链路配置的授权
CN107534518B (zh) 节省机器类型通信技术中电子设备的功耗的方法与设备
US11671202B2 (en) Techniques for controlling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CN116830614A (zh) 用于在侧行链路操作中的用户设备功率节省的逐步感测
US118003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4731726A (zh) 通过不连续接收操作的信道状态信息报告
CN115735380A (zh) 车辆到一切小区重选
CN117044155A (zh) 使用用于无线接入的带宽部分进行数据传递的技术
CN115516928A (zh) 唤醒信号选择的小区指示
KR2020005030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